KR101980627B1 - 플러그 플로우 전해수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플러그 플로우 전해수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627B1
KR101980627B1 KR1020170166660A KR20170166660A KR101980627B1 KR 101980627 B1 KR101980627 B1 KR 101980627B1 KR 1020170166660 A KR1020170166660 A KR 1020170166660A KR 20170166660 A KR20170166660 A KR 20170166660A KR 101980627 B1 KR101980627 B1 KR 101980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ic
storage tank
plug flow
water
electrolytic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석
이호일
박현종
Original Assignee
(주) 시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시온텍 filed Critical (주) 시온텍
Priority to KR1020170166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6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는
원수 또는 전해수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
한쌍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며, 전기분해에 의하여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조;
상기 전해조에 전해질을 공급하는 전해질 저장조;
상기 전해조와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를 연통하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에 전해수를 공급하는 전해수 이송관; 및
상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와 전해조를 연통하며, 전해조에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러그 플로우 전해수 생성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olyzed water using plug flow}
본 발명은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를 포함하는 전해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해수는 원수에 전기적인 힘을 가하여 전해공정을 수행하여 수득되는 것을 의미한다. 전해수는 산성 전해수와 알칼리 전해수가 있으며, 살균, 세정 및 이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전해수는 높은 살균 효과를 가지고 있어, 식품 관련분야, 특히 식품 또는 식품 가공 설비의 살균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 식품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가정 또는 소규모 사업장에서 살균을 위하여 소형의 전해수 제조장치를 설치하고, 전해수를 제조하여 이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통상의 전해수 생성장치는 전해원료를 공급하고 전극 에 직류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극 및 격막을 구비한 전해조를 포함한다.
전해조 외에도, 전해수 생성장치는 전해공정 수행 전 원수를 보관하는 원수 보관조 및 전해 공정 수행 후 생성된 전해수를 보관하는 전해수 보관조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38087호에서도 원수 보관조와 전해수 보관조를 별도로 포함하는 전해수 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좁은 공간에서 작은 설비를 이용하여 전해수를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원수 및 전해수 보관조를 별도로 포함하는 경우 설비의 크기가 현저히 커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정된 공간에서 전해수 생성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3808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작은 설비로 전해수를 생성할 수 있는 전해수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는
원수 또는 전해수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
한쌍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며, 전기분해에 의하여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조;
상기 전해조에 전해질을 공급하는 전해질 저장조;
상기 전해조와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를 연통하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에 전해수를 공급하는 전해수 이송관; 및
상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와 전해조를 연통하며, 전해조에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에서 상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는 1개 이상의 격실을 포함하며,
상기 격실은 서로 교차하여 형성된 2개 이상의 격벽을 포함하여 플러그 플로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에서 상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는 2층 이상으로 적층된 격실을 포함하며,
상층 격실에서 하층 격실로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 층간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에서 상기 전해조는 분리막에 의해 분획된 양극부 및 음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막의 양면과 각각 접하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에서 상기 전해조는 전극과 분리막을 밀착하기 위한 전극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에서 상기 전극 지지체는 탄성계수가 1 내지 40kgf/㎠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는 상기 전해질 저장조와 전해조를 연통하는 전해질 공급관 및 상기 전해질 공급관에 형성된 전해질 공급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에서 상기 전해질 저장조는 교차 형성된 격벽을 포함하여 전해질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에서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는 상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의 일측에 형성되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로 원수를 유입하는 원수 유입밸브및 상기 수위센서와 연통되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 이하인 경우 원수가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로 유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수와 전해수가 함께 저장되는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를 포함하여 원수 저장조 및 전해수 저장소를 별도로 보관하기 위한 보관조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기존의 방식보다 현저히 작은 전해수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 중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 생성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원수 또는 전해수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
한쌍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며, 전기분해에 의하여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조;
상기 전해조에 전해질을 공급하는 전해질 저장조;
상기 전해조와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를 연통하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에 전해수를 공급하는 전해수 이송관; 및
상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와 전해조를 연통하며, 전해조에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을 포함하는 전해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는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를 포함함으로써 전해수 생성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는 1개 이상, 구체적으로는 2 내지 30개의 격실을 포함하며, 상기 격실은 서로 교차하여 형성된 2개 이상, 구체적으로는 3 내지 50 개의 격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격벽에 의해 플러그 플로우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의 구동을 살펴보면, 원수가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 내에 1차적으로 충진된다.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는 격벽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포함하며, 전해수의 생성 전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는 원수로 충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유로를 기준으로 외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측의 일단을 유로의 시작점이라 하고, 유로를 기준으로 외부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 측의 일단을 유로의 말단이라 한다.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에 충진된 원수는, 전해조로 이송되며 전해조에서 전기분해 반응 수행 후 생성된 전해수는 다시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로 이송된다. 이때, 전해수는 유로의 시작점으로 이송되며, 순차적으로 유로를 채워나가며 당초 충진된 원수를 유로의 말단 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때, 격벽에 의해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 내부의 유체는 플러그 플로우 흐름을 띠게 되며, 이에 따라 유입되는 전해수와 원수의 혼합 없이 전해수와 원수를 보관할 수 있다. 나아가 전해공정이 계속하여 수행되는 경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의 원수는 모두 전해조를 거쳐 전해수로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에 유입되며, 이에 따라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 전체가 전해수로 충진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플러그플로우 저장조내 원수 또는 전해수를 전해조와 연동하여 순환시킬 수 있는 순환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는 하나의 저장조만을 포함하여 전해수를 보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비 크기의 저감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에서 상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는 2층 이상으로 적층된 격실을 포함하며, 상층 격실에서 하층 격실로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 층간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좋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는 2 내지 10층, 더욱 구체적으로는 2 내지 4층으로 격실이 적층된 구조일 수 있으며, 각 격실은 원수 또는 전해수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관통된 층간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에서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가 다층으로 형성된 경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는 최상층에 형성되고,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는 최하층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각 격실의 격벽에 의해 유입구부터 유출구 까지 유체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다층격실로 유로를 형성하는 경우, 단층의 격실을 이용하여 플러그 플로우를 형성하는 경우 대비 플러그 플로우의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는 상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의 일측에 형성되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의 구동 중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가 전해수로 모두 충진된 경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로부터 전해수를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전해수의 배출은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의 어느 곳에서나 가능하나, 좋게는 유로의 말단 부근에 배출구 및 전해수 배출밸브를 형성함으로써 전해수를 배출하여 이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가 일정량 이상의 전해수를 배출한 경우, 다시 원수가 유입되어 전해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 이하인 경우 원수가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로 유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는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에서 유출되는 액체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 1 전도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도도 센서에 의해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에서 배출되는 용액이 전해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에서 전해조는 분리막에 의해 분획된 양극부 및 음극부를 포함하며, 분리막의 양면과 각각 접하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극은 메쉬 또는 타공을 포함하여 분리막에 의한 물질교환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에서 전해조는 전해 공정 수행 중 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며 전기 전도성이 있는 물질인 경우 제한없이 이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이고 비한정적인 일 예로, 양극 또는 음극은 루테늄, 이리듐, 주석, 로듐, 팔라듐, 오스뮴 및 백금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전극 활성물질이 티탄, 탄탈 및 백금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재위에 산화물 피복을 조성하여 활성물질을 보호하는 형태이거나, 통상의 DSA전극 또는 티타늄 전극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에서 상기 전해조는 전극과 분리막을 밀착시키기 위한 전극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에서 전해조가 전극 지지체를 포함함으로써, 분리막의 양쪽에 형성된 양극과 음극이 밀착하여, 전극간 거리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해수 생성에 따른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에서 상기 전해조는 탄성을 가지는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극에 항상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분리막과 전극을 밀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체는 탄성 계수가 1kgf/㎠ 내지 40kgf/㎠, 구체적으로는 3kgf/㎠ 내지 30kgf/㎠, 더욱 구체적으로는 5kgf/㎠ 내지 20kgf/㎠ 일 수 있다.
나아가, 지지체의 재질은 상술한 범위의 탄성계수를 만족하는 경우 제한 없이 이용 가능하다. 구체적이고 비한정적인 일 예로, 지지체의 재질은 PE, PTFE 또는 PFM 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에서 지지체는 양극과 분리막을 밀착하기 위한 양극 지지체 또는 음극과 분리막을 밀착하기 위한 음극 지지체일 수 있으며, 좋게는 양극 지지체와 음극 지지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체의 형상은 분리막을 통한 물질이동을 확보하면서도 전극과 분리막을 밀착하기 위한 형상인 경우 제한이 없으나, 구체적으로 메쉬형 또는 타공을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는 상기 전해질 저장조와 전해조를 연통하는 전해질 공급관 및 상기 전해질 공급관에 형성된 전해질 공급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해조로 공급되는 전해질은 생성되는 전해수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이고 비한정적인 일 예로, 세정력있는 강알칼리 전해수를 생성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전해질은 K2CO3 또는 Na2CO3일 수 있으며, 살균력 있는 살균 전해수를 생성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전해질은 NaCl 또는 KCl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전해조에 공급되는 전해질은 수용액상일 수 있으며, 이때 전해질 수용액의 농도는 전해수의 생성목적 및 전해질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구체적이고 비한정적인 일 예로 전해질 수용액의 농도는 0.01 내지 3 M, 더욱 구체적으로는 0.01 내지 1.0M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에서, 전해질은 생성하고자 하는 전해수의 종류에 따라 양극부 또는 음극부로 이송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에 포함되는 분리막은 통상적으로 전해수 생성에 이용되는 것인 경우 제한 없이 이용이 가능하다. 비한정적인 일 예로 분리막은 이온교환막 또는 중성막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는 한쌍 이상, 일예로 1 내지 20쌍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해조의 크기, 전해수의 생성량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에서, 상기 전해질 저장조 또한 교차 형성된 격벽을 포함하여 전해질 유로를 형성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해질 수용액은 전해조로 공급되어 전해 공정을 거친 후 이온 농도가 낮아지게 되며, 이러한 전해질이 전해조로 다시 공급되는 경우 과도한 전력 소모를 유발하며 전해수 생성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질 저장조는 내부에 격벽으로 형성된 유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격벽 구조에 의해 전해질의 흐름을 플러그 플로우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해질 저장조에서는 반응 전 전해질 전해조로 공급하며, 전해조에서는 반응 후 전해질을 다시 전해질 저장조로 이송한다. 이때, 반응 후 전해질은 유로를 기준으로 전해질 저장조의 일단으로 유입되고, 반응 전 전해질은 유로를 기준으로 전해질 저장조의 타단에서 배출된다. 결과적으로, 전해질 저장조의 유로는 전해 공정의 수행에 따라 반응 후 전해질로 순차적으로 채워지게 된다. 이때, 전해질 저장조 내부는 격벽에 의해 형성된 플러그 플로우에 따라, 반응 전 전해질과 반응 후 전해질이 혼합되지 않은 채 순차적으로 반응 후 전해질로 전해질 저장조가 채워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는 전해질 저장조에서 전해조로 이송되는 전해질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 2전도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가 제 2전도도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반응 후 전해질이 다시 전해조로 이송되는 경우 전해질의 농도를 확인할 수 있어 전해질의 교체시기를 도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의 구동을 상세히 알아본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전해수 생성장치의 구동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위한 일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원수공급관(30)을 통하여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100)로 원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원수는 격벽(110)에 의해 플러그 흐름을 형성하여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를 충진하게 된다.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가 원수로 충진된 뒤, 원수 이송관(20)을 따라 원수가 전해조(200)로 공급되며, 전해조는 양극(220)과 음극(230)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210)을 포함한다. 이때 전해조에는 전해질 저장조(300)로부터 전해질 공급 펌프(310)을 통하여 전해질을 공급 받으며, 전해반응 수행 후의 전해질은 다시 전해질 저장조(300)으로 이송된다.
전해조 내에서 전해반응에 의해 전해수가 생성되면, 생성된 전해수는 전해수 이송관(10)으로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로 다시 이송되며, 이때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로 이송된 전해수는 플러그 흐름에 의해 원수와 혼합되지 않고, 격벽으로 형성된 유로를 따라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에 충진된다.
전해수가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에 완전히 충진되면, 전해수 배출 밸브(400)를 이용하여 전해수를 배출할 수 있으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의 일측에 형성된 수위 센서(500)을 통해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 내의 수위를 확인하고, 일정 수위 이하가 되면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를 다시 원수로 충진한 뒤, 전해공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에서,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가 2층의 격실로 형성된 경우, 각층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a는 상층 격실(120)을 도시한 것이고, 도 2의 b는 하층 격실(130)을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원수 공급관(30)을 통하여 상층 격실에 원수가 유입되고, 격벽(110)에 의해 유도된 플러그 흐름에 따라 상층 격실에 원수가 충진된다. 상층 격실에 원수가 충진된 후, 관통공(140)을 따라 원수가 하층 격실로 유입될 수 있다. 하층 격실에서는 관통공(140)으로 유입된 원수가 다시 격벽(110)을 따라 형성된 플러그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하층 격실을 충진할 수 있다. 이렇게 양 층의 격실이 모두 충진된 후 원수 이송관(20)을 통하여 원수가 전해조로 이송되어 전해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전해 공정이 수행된 이후에는 전해수 이송관(10)을 통하여 다시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로 전해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전해수는 플러그 흐름을 형성하여 당초 충진된 원수와 혼합되지 않고, 상층 격실부터 전해수를 순차적으로 충진하게 되며, 충진된 전해수를 전해수 배출밸브를 이용하여 배출하여 이용할 수 있다.
10 전해수 이송관
20 원수 이송관
30 원수 공급관
100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
110 격벽
120 상층 격실
130 하층 격실
140 관통공
200 전해조
210 분리막
220 양극
230 음극
300 전해질 저장조
310 전해질 공급 펌프
400 전해수 배출밸브
500 수위센서

Claims (10)

  1. 원수 또는 전해수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
    한 쌍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로부터 이송되는 원수가 전기분해되어 전해수가 생성되는 전해조;
    상기 전해조에 전해질을 공급하는 전해질 저장조;
    상기 전해조와 상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가 연통되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에 전해수를 공급하는 전해수 이송관; 및
    상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와 상기 전해조를 연통하며, 상기 전해조에 상기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에 충진된 원수가 상기 전해조로 유입되어 전해수가 생성되고 상기 전해수가 상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로 재이송되어 상기 원수를 밀어내어 상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에 보관되는 전해수 생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는 1개 이상의 격실을 포함하며,
    상기 격실은 서로 교차하여 형성된 2개 이상의 격벽을 포함하여 플러그 플로우를 형성하는 전해수 생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는 2층 이상으로 적층된 격실을 포함하며,
    상층 격실에서 하층 격실로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 층간 관통공을 포함하는 전해수 생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는 분리막에 의해 분획된 양극부 및 음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막의 양면과 각각 접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전해수 생성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는 전극과 분리막을 밀착하기 위한 전극 지지체를 포함하는 전해수 생성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지지체는 탄성계수가 1 내지 40kgf/㎠인 전해수 생성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는 상기 전해질 저장조와 전해조를 연통하는 전해질 공급관 및 상기 전해질 공급관에 형성된 전해질 공급 펌프를 포함하는 전해수 생성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저장조는 교차 형성된 격벽을 포함하여 전해질 유로를 형성하는 전해수 생성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는 상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의 일측에 형성되며,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는 전해수 생성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 이하인 경우 원수가 플러그 플로우 저장조로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전해수 생성장치.
KR1020170166660A 2017-12-06 2017-12-06 플러그 플로우 전해수 생성장치 KR101980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660A KR101980627B1 (ko) 2017-12-06 2017-12-06 플러그 플로우 전해수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660A KR101980627B1 (ko) 2017-12-06 2017-12-06 플러그 플로우 전해수 생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0627B1 true KR101980627B1 (ko) 2019-05-20

Family

ID=66678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660A KR101980627B1 (ko) 2017-12-06 2017-12-06 플러그 플로우 전해수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6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1477A (ja) * 2001-04-10 2002-10-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解水生成装置
KR20060058643A (ko) * 2004-11-25 2006-05-30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해수 생성 장치의 전해조
KR20150081796A (ko) * 2014-01-07 2015-07-15 (주)보령건설 토르말린 여과지를 이용한 우수 재활용 시스템
KR20160038087A (ko) 2011-08-24 2016-04-06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전해수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1477A (ja) * 2001-04-10 2002-10-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解水生成装置
KR20060058643A (ko) * 2004-11-25 2006-05-30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해수 생성 장치의 전해조
KR20160038087A (ko) 2011-08-24 2016-04-06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전해수 제조 장치
KR20150081796A (ko) * 2014-01-07 2015-07-15 (주)보령건설 토르말린 여과지를 이용한 우수 재활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03251B (zh) 电解水产生方法和发生器
JP2015500402A (ja) 二重隔膜電解槽組立体および残留塩類のない洗浄液を生成しそして同時に既定レベルの遊離型有効塩素とphを持つ消毒液を生成する方法
JP7271612B2 (ja) 電解水生成装置および電解水生成方法
JP4705190B1 (ja) 電解生成水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80627B1 (ko) 플러그 플로우 전해수 생성장치
KR101352887B1 (ko) 수전해 이온수 발생장치
KR101312879B1 (ko) 3조 1포트식 전기분해 장치
TWI721607B (zh) 氟氣製造裝置
CN206156809U (zh) 电解水生成装置以及电极单元
JP4838705B2 (ja) オゾン水生成器
US4046654A (en) Process for desalination with chlor-alkali production in a mercury diaphragm cell
JP2016196672A (ja) 電解槽および次亜塩素酸水製造装置
JPH07299457A (ja) 電解水生成装置
JP4685830B2 (ja) 電解水の製造装置、電解水の製造方法および電解水
JP4685838B2 (ja) 電解水の製造装置、電解水の製造方法および電解水
WO2017119073A1 (ja) 電解水製造装置および電解水製造方法
KR101779032B1 (ko) 수전해조 및 이를 이용하는 미용기구
JP4620720B2 (ja) 電解水の製造装置、電解水の製造方法および電解水
WO2017047121A1 (ja) 電極および電解装置
KR20180123022A (ko) 휴대용 전기 분해 시스템
JP2016172921A (ja) ガス生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装置
CN106163995B (zh) 电解水生成装置、电极单元以及电解水生成方法
JP2019147073A (ja) 次亜塩素酸水の製造装置
JP6675112B2 (ja) 電解原水貯留式電解装置
JP4641040B2 (ja) アルコール溶液の電解改質方法及びその電解改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