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322B1 - 전자문서의 점자 변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문서의 점자 변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322B1
KR101979322B1 KR1020190006375A KR20190006375A KR101979322B1 KR 101979322 B1 KR101979322 B1 KR 101979322B1 KR 1020190006375 A KR1020190006375 A KR 1020190006375A KR 20190006375 A KR20190006375 A KR 20190006375A KR 101979322 B1 KR101979322 B1 KR 101979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braille
point
document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휘
박호성
Original Assignee
(주)에이티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티소프트 filed Critical (주)에이티소프트
Priority to KR1020190006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322B1/ko
Priority to PCT/KR2019/014624 priority patent/WO202014950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09B21/005Details of specially-adapted software to access information, e.g. to browse through hyperlinked information
    • G06F17/2247
    • G06F17/226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시스템 서버, 리포팅 툴 및 전자 점자 파일 생성툴로 구성된 전자 문서의 점자 변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정보시스템 서버의 점자 파일 생성 요청의 대상이 되는 문서 파일로부터 생성된 접근성 태그를 포함하는 데이터 교환 파일을 전송하는 리포팅 툴(reporting tool) 및 리포팅 툴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교환 파일을 전달받아, 점역용 마크업 언어 파일(Brialle Text Markup Language, BTML)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점역용 마크업 언어 파일을 점역하여 전자 점자 파일을 생성하는 전자 점자 파일 생성 툴을 포함하며, 점역용 마크업 언어 파일은, 접근성 태그가 전자 점자 파일로 점역하기 위한 점역 태그로 변환되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문서의 점자 변환 시스템{Electronic document braille translation system and a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전자문서 점자변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서식을 포함하는 전자문서의 점자 변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각장애인의 점자 사용 인구가 줄어드는 이유는 점자가 어려워서가 아니라 점자로 제공되는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보 부족으로 인해 시각장애인의 사회활동, 경제활동 및 취업활동이 위축되는 문제를 해소할 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의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동질감과 자신감을 제공하고 학업이나 직업(직무) 수행을 통한 사회진출과 경제 및 취업 활동을 위해, 각종 정보시스템에 점자 정보 제공을 위한 인프라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전자 문서 트렌드에 따라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정보시스템 인프라 구축하기 위한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많은 정보가 종이로 출력되기보다 전자화 문서 또는 전자 문서로 제공되는 추세에 맞춰 시각장애인에게도 시스템에서 바로 점자를 전자파일로 제공되는 추세이다.
이는 시각장애인 점자 인구의 53.4%가 점자 정보 단말기를 통한 점자 정보 접근을 선호하는데, 이는 정보가 점자 파일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점자 정보 단말기에서 바로 점자 확인이 가능하여 전자 문서 시대에 맞게 정보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고지서, 영수증, 내역서, 통지서 및 증명서 등과 같이 공공, 금융, 의료, 교육 등의 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각종 문서 서식과 데이터에 시각 장애인들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정보시스템 서버에서 레포팅 툴(reporting tool) 등과 연동해서 점자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솔루션은 없기 때문에 점자 인프라가 매우 부족한 상태이며, 특히 전자 문서화가 빠르게 확산되는 트렌드에 맞춰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도 전자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시각장애인의 대체자료로서 점자의 요구는 절대적이지만 정보시스템 서버에서 자동으로 레포팅 툴과 연동해서 점자 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메일로 제공하는 시스템등은 제공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의료기관 및 금융기관 등이 운영하는 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각종 증명서, 내역서, 계약서 등의 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해 서버 플랫폼과 OS(Operating System)별로 동작하는 정보시스템용 HTML5 기반의 전자 문서 점자변환 기술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또한, 웹(Web)등에서 처리되는 전자 문서가 일반적으로 표와 같은 서식을 가지고 있으며, 영어나 숫자 및 특수 기호등이 혼용되어 시각장애인이 음성만으로 정확하게 정보를 접근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증명서나 통지서 및 내역서 등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거나 법적 효력을 갖는 문서의 경우 화면 캡쳐 방지나 미리보기가 없기 때문에 웹에서 스크린리더로 아예 접근할 수 없는 페이지가 대다수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이하에서는 중증 시각장애인의 경우 문서를 읽기 위한 유일한 수단이 점자인 점을 고려하여, 정보시스템에서 처리되는 증명서나 통지서, 명령서, 고지서, 내역서 등의 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해 최근 전자화 트렌드에 맞게 전자 점자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전자 정보 단말기에서 이를 바로 확인하도록, 웹에서 접근이 불가능한 페이지의 내용을 점자로 변환하여 대체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웹 접근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나아가, 리포팅 툴과의 연동을 통해 원본 문서의 텍스트뿐만 아니라 서식에 포함된 표의 정보까지 점자로 변환해 줌으로써 시각장애인의 정확한 정보 접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정보시스템 서버, 리포팅 툴 및 전자 점자 파일 생성툴로 구성된 전자 문서의 점자 변환 시스템은, 상기 정보시스템 서버의 점자 파일 생성 요청의 대상이 되는 문서 파일로부터 생성된 접근성 태그를 포함하는 데이터 교환 파일을 전송하는 리포팅 툴(reporting tool); 및 상기 리포팅 툴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교환 파일을 전달받아, 점역용 마크업 언어 파일(Brialle Text Markup Language, BTML)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점역용 마크업 언어 파일을 점역하여 전자 점자 파일을 생성하는 전자 점자 파일 생성 툴을 포함하며, 상기 점역용 마크업 언어 파일은, 상기 접근성 태그가 상기 전자 점자 파일로 점역하기 위한 점역 태그로 변환되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점역용 마크업 언어 파일은, 헤더, 점역용 마크업 데이터, 출력용 점자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헤더는 상기 문서 파일의 버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점역용 마크업 데이터는 상기 문서 파일의 접근성 태그에 기반하여 변환된 점역 태그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며, 상기 출력용 점자 정보는 출력용 점자 파일 변환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점역용 마크업 언어 파일은, 상기 문서에 포함된 표(table)가 세로 반복 표, 가로 반복 표, 크로스탭, 사용자 정의 표, 탬플릿 표 중 적어도 하나로 판단된 경우, 미리 정의된 점역 규정에 따라 표 데이터가 재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전자 점자 파일 생성툴은, 점역용 마크업 언어 파일 생성부와 점역용 마크업 언어 파일 점역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점역용 마크업 언어 파일 생성부는, 상기 데이터 교환 파일에 포함된 표(table)의 형태에 기반하여 재구성된 표 데이터와 페이지 번호, 문서 제목,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재구성하여, 점역용 마크업 언어 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점역용 마크업 언어 파일 점역부는, 상기 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점역용 마크업 파일을 기반으로 점역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점자 파일 생성 요청이 점자 파일 이메일 전송 요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정보시스템 서버는, 상기 전자 점자 파일을 사용자의 이메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전자 점자 파일 생성툴은, 상기 문서 서식에 대응되는 점자 서식 파일이 점자 서식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점자 서식 파일을 인출(loading)하여 전자 점자 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문서 서식에 대응되는 점자 서식 파일이 점자 서식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문서 파일에 포함된 속성값과 매칭되는 유사 점자 서식 파일을 인출하여 전자 점자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서식을 포함하는 전자문서의 점자 변환을 보다 명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변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는 세로 반복 표의 속성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표 데이터를 추출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은 사용자 정의 표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는 템플릿 표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는 비슷한 표가 붙어서 하나가 된 표 및 문맥 파악이 불가능한 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은 세로 반복 표, 크로스탭, 사용자 정의표를 점역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번역 시스템을 통한 전자 점자 파일 다운로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번역 시스템을 통한 전자 점자 파일의 외부 서비스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번역 시스템을 통한 미리 정해진 점자 서식 파일을 이용하여 점자 파일을 생성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시각장애인의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해 정보시스템 서버에서 리포팅 툴, 웹그리드, HWP. PDF 등의 형태로 생성·처리되는 전자 문서를 단순 텍스트뿐만 아니라 표·서식의 내용까지 점자로 변환하여 시각장애인이 전자 점자 파일 형태로 다운로드하거나, 이메일로 전송한 후 점자 정보 단말기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증명서와 같은 문서는 문서 데이터와 문서 서식으로 구성된다. 문서 데이터는 마크-업(mark-up) 언어로 문서에 포함된 개별 항목·내용마다 식별자를 부여하여 문서의 데이터를 구조화한 파일이고, 문서 서식은 데이터 파일 항목의 위치, 크기, 개수 등 실제 표시되는 방법을 기술한 파일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문서의 생성에 있어서는, 문서 데이터와 문서 서식을 결합하여 내용과 모양이 완전한 문서가 생성된다.
문서의 경우, 묵자(墨字)로 표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는 점자(點字, braille)에 대비되는 일반 텍스트로서 문서 데이터 파일에 있는 텍스트 및 문서 서식 파일에 있는 텍스트를 모두 포함한다. 이에 반해 점자는 묵자 한 글자를 6점의 점형(종으로 3점, 횡으로 2점)을 조합하여 나타낸 문자로서, 직사각형의 점칸(braille cell)에 점의 수와 위치에 의하여 63개의 서로 다른 점형(點型)이 만들어지고, 각 점형에 글자를 배정하여 문자체계를 이룬다. 예를 들어, 6개의 점 하나하나에 고유번호를 붙여 왼쪽 위에서 아래로 1 · 2 · 3점을, 오른쪽 위에서 아래로 4 · 5 · 6점을 각각 배정한다.
따라서, 단순히 문서 데이터만을 점역하는 경우에는 그 의미가 90% 이상 전달되지만, 문서 서식(e.g. 표)처럼 구조화된 묵자를 점역하면, 그 구조에 따라 의미 전달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묵자에 문서 제목, 표 제목, 표 머리글, 표 내용 등을 지시하거나 의미할 수 있는 마크업(markup)기호가 필요하며, 이러한 기호들은 접근성 태그라고 한다.
그러나, 문서 데이터와 문서 서식을 결합하여 최종 리포트를 생성하고 리포트에 존재하는 각각의 항목에 접근성 태그를 부여하여 데이터 교환 파일이 생성되더라도, 이는 일반적인 데이터 교환 파일에 접근성 태그가 추가된 파일 정도에 불과하므로, 시각장애인이 문서의 의미를 100% 이해하는 것은 용이하지 아니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묵자 데이터를 점역 규칙에 맞게 재구성함과 동시에, 문서 데이터뿐만이 아니라 문서에 포함된 표를 포함하는 문서 서식·구조를 기술한 파일(이하, 점역용 마크업 언어(Braille Text Markup Language, BTML)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이를 점역하는 경우 시각 장애인에게 100% 완벽한 점역을 제공하는 방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묵자와 점자는 구조나 표현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일반 묵자 문서를 완벽한 점자로 점역하려면 문서 제목, 대제목, 소제목, 표 제목, 표 내용 등의 속성을 명시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점역용 마크업 언어(BTML) 파일은 원본 문서 내용과 서식을 분석하여 점역에 필요한 점역 태그와 출력용 점자 파일 변환에 필요한 정보 및 원본 묵자 내용이 재구성된 텍스트가 함께 기록한 파일로, 점역기를 이용하여 점자 단말기용 점자 파일(BRL) 또는 출력용 점자 파일(BRF)로 변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BTML 파일이라고 설명하나, 문서 데이터와 문서 서식을 이용하여 생성된 점역을 위한 파일로 전자 점자 파일을 위하여 사용되는 데이터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BTML 파일은 헤더, 점역용 마크업 데이터, 출력용 점자 정보로 구성되며, 헤더에는 파일의 버전 정보를 기록하고, 점역용 마크업 데이터에는 문서 파일의 접근성 태그에 기반하여 그 중 일부가 변환된 점역 태그를 포함하는 데이터으로 예를 들어, 원본의 각 페이지 단위로 페이지 변경선과 점역 태그가 추가된 원본 텍스트 내용이 기록된다.
대표적인 점역 태그로는 표 1과 같은 항목이 있다.
점역 코드 설명
<<tbl1>> 1단계 표 시작 테두리 선
<</tbl1>> 1단계 표 끝 테두리 선
<<tbl2>> 2단계 표 시작 테두리 선
<<//tbl2>> 2단계 표 끝 테두리 선
<<tbl3>> 3단계 표 시작 테두리 선
<<//tbl3>> 3단계 표 끝 테두리 선
<<tr1/>> 표 열제목 구분선
<<p>>숫자<</p>> 묵자 페이지 번호(원본 페이지 변경선)
<<c>>내용<</c>> 컴퓨터 점자
<<a>>내용<</a>> 아스키 문자
<<u>>내용<</u>> 밑줄
<<i>>내용<</i>> 이탤릭체
<<b>>내용<</b>> 볼드체
<<hd>>내용<</hd>> 머리말
출력용 점자 정보에는 줄칸수, 머리말/꼬리말 등의 출력용 점자 파일 변환에 필요한 정보가 기록된다.본 발명에서, 리포팅 툴(reporting tool)은 데이터베이스(DB)에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고, 서식 디자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식 파일을 만들 수 있으며, 데이터 파일과 서식 파일을 결합하여 최종 리포트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출력하도록 한다. 서식 디자인 프로그램은, 리포트 디자이너 프로그램으로 불릴 수 도 있으며, 문서 서식 파일을 생성한다.
대상 문서의 원본은 여러 개의 페이지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점자서식 파일에는 여러 개의 페이지 점자 서식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에 포함된 페이지 번호를 이용하여 점자 서식에서 알맞은 페이지 서식을 찾아 렌더링(rendering)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대상 문서의 원본이 총 3 페이지로 구성된 '사용내역 조회서'로서, 발급번호, 가입자 항목을 항목명으로 가진 경우, 각 페이지에는 동일한 항목 값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각 페이지에는 일자, 내역, 가격을 열(column) 제목으로 가지는 세로 반복 표가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총 3 페이지 중 마지막 페이지에는 “이 증명서는 원본과 같다”라는 내용 증명 사항, 사용내역 조회서의 발급년도, 발급월, 발급일 및 “㈜미래카드 김미래”라는 발급자자 증명 사항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상 문서 원본에 포함된 문서 데이터와 문서 서식을 렌더링 하여, 점자 서식이 생성되며, 점자 서식 파일의 수정을 위하여 원본 묵자가 점자 파일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점자 파일 서식이 분석되어 전자 점자 파일을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점자 파일은 점자 정보 단말기를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제공될 수 있는데, 점자 정보 단말기는 시각 장애인들이 전자 점자와 음성을 통해 문서의 출력과 인터넷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휴대용 정보통신 기기이다. 9개의 버튼이 달린 점자 입력 키보드와 32칸의 점자 셀이 붙어 있어 전자 점자 파일을 읽어와서 점자 셀에 점형 돌기를 표시함으로써 점자 표시가 가능한 점자 출력 패드(e.g. 태블릿), 음성 출력을 위한 스피커 등을 갖추고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PC)에 연결해서 문서 작성과 데이터 교환, 인터넷 검색 등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변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자 변환 시스템은 점역 중간 파일 생성부(110), 점역 중간 파일 점역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자 변환 시스템에 따라, 리포팅 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점역 중간 파일 생성부와 점역 중간 파일 점역부는 전자 점자 파일 생성툴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포트 뷰어, 아래한글(HWP) 파일, PDF 파일 등에서 텍스트 및 접근성 태그를 추출하여 데이터 교환 파일이 생성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데이터 및 서식 디자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 교환 파일이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리포트 디자이너는 대상 문서 파일에서 점자 정보를 포함하는 리포트를 디자인하는 시점에 접근성 태그를 부여할 수 있다. 리포트 디자이너는 리포트 디자인 시점에 접근성 태그를 부여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나, 리포트 디자인 시점에 접근성 태그를 부여할 수 있도록 리포트 디자이너 프로그램이 수정될 수 도 있다. 여기서, 부여된 접근성 태그는 리포트 서식 파일에 저장되었다가 추후 데이터 파일과 결합하여 최종 리포트 파일이 생성되면 해당 대상 문서 파일로 다시 전달되어, 전자 점자 파일이 포함된 대상 문서 파일을 위하여 사용된다.
리포팅 툴은 접근성 태그가 추가된 최종 리포트 파일을 분석하여 문서 제목, 표 제목, 표 머리글, 표 내용, 열 제목, 필드 내용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구조와 그에 따른 텍스트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접근성 태그가 포함된 데이터 교환 파일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교환 파일에 포함될 수 있는 요소는 페이지 번호, 문서 제목, 텍스트 문단, 표 유형, 표 제목, 표 머리글, 표 내용, 표를 구성한 각각의 셀 정보, 혹은 기타 표의 구조적 정보일 수 있다. 즉, 종래 리포팅 툴은 단순히 일반적인 데이터 교환 파일에 불과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리포팅 툴은 접근성 태그를 포함한 데이터 교환 파일을 생성하고 전송하도록 한다.
점역 중간 파일 생성부(110)는 텍스트 추출부(21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교환 파일을 이용하여 점역을 위한 점역 중간 파일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점역 중간 파일 생성부(110)는 전달받은 데이터 교환 파일을 분석하여 페이지 번호, 문서 제목, 텍스트 문단 등을 점역 중간 파일에 맞게 재구성한다. 점역 중간 파일 생성부(110)는 데이터 교환 파일 파서, 표 데이터 처리모듈, 점자용 서식 결합 모듈, BTML 파서, BTML 파일 생성 모듈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BTML 파서는 리포팅 툴과 연동하여 생성된 전자 문서에서 문서명, 페이지 번호, 본문 내용, 본문에 있는 표 서식, 표 내용 등을 추출하여 점역용 문서 객체 모델(Braille Text Object Model, BTOM)을 생성할 수 있다. 표를 제외한 데이터는 서식 필드명과 필드값을 BTOM에 추가하고 표 서식 및 표 데이터는 표 데이터 처리모듈을 호출하여 얻은 결과값을 BTOM에 추가한다.
표 데이터 처리모듈은 추출된 표 정보를 이용하여 표 유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일치하는 유형을 찾아 추출된 표 정보를 표 점역 규칙에 맞게 재구성하여 점역용 마크업 언어(BTML) 파일에 저장한다. 표 유형 데이터베이스에는 일반적인 민원 증명서에 사용되는 30여 가지의 표 형식과 이에 따른 점역용 마크업 언어 파일 규정이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표 유형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해당 표 정보가 표 유형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될 수 도 있다.
점역 중간 파일 점역부(120)는 생성된 데이터 교환 파일인 BTML 파일 또는 텍스트를 점역한다. 점역 중간 파일 점역부(120)는 BTML 인터프리터, 점역 모듈, BRL 파일 생성 모듈, BRF 파일 생성 모듈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BTML 인터프리터는 점역용 마크업 언어 파일(BTML)을 한 줄씩 읽어서 점역 태그를 나타내는 점역 코드이면 미리 정의된 점자로 대체하고, 일반 문자(text) 정보이면 점역 모듈을 통해 점역된 점자로 대체하면서 BRL 파일 생성 모듈을 통하여 점자 단말기용 전자 점자 파일(BRL)을 생성할 수 있다. 출력용 점자 파일이 필요한 경우 BRF 파일 생성모듈과 BTML에 있는 출력용 점자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용 점자 파일을 생성할 수 도 있다. 즉, BRF 파일 생성모듈은 BTML 파일의 출력용 점자 정보에 저장된 줄 칸 정보를 인출하여 생성된 BRL 파일의 한 줄당 최대 칸수와 한 페이지당 최대 줄 수를 변경하고 각각의 페이지 하단에 꼬리말과 페이지 번호를 점역·추가하여 출력용 점자 파일(BRF)를 생성한다. 따라서, BRL 파일 생성 모듈 혹은 BRF 파일 생성 모듈를 통하여 점역된 파일은 전자 점자 파일로 생성된다.
전자 점자 파일과 관련하여, BRF(Braille Ready Fromat) 포맷, BRL(MicroBraille File) 포맷, BBF(Braille Best File) 포맷은 출력용 점자 파일의 포맷이며, HSB(Hasang Braille) 포맷, VBF(Voice Braille Format) 포맷, BLB(Braille Love Braille) 포맷은 편집용 점자 파일의 포맷이다. 여기서, 현재 점자 파일 표준 포맷(format)은 BRL 포맷과 BRF 포맷이 일반적이다. BRL 포맷은 줄 수, 칸 수의 개념이 없으며 점자 정보 단말기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파일 형식이며, BRF 포맷은 줄 수, 칸 수, 머리글, 꼬리글 개념이 존재하면 점자 파일을 종이로 출력하여 점자 대체 자료를 생성할 때 사용되는 파일 형식이다. 따라서, 점역 중간 파일 점역부는 점역된 내용을 바탕으로 외부 사용자 요청에 따라 BRL 포맷 혹은 BRF 포맷을 가지는 파일을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표 데이터 인식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일반 문단의 경우 “학번: 93~~~”처럼 인접해서 표시된 경우,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지만, i)표의 경우 필드명과 필드값이 몇 줄 떨어져서 나오거나 ii)표 제목이 큰 제목과 작은 제목으로 분리되어 있고 데이터는 작은 제목에만 존재한다거나(e.g. 지출(카드, 현금) // 4,000원, 300원), iii)표 제목이 2줄이고 내용도 2줄씩 반복되는 등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해당 내용을 이해할 수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국립 장애인 도서관 주관으로 표 점역 지침이 존재하며, 묵자 표를 점자로 점역할 때에는 표 점역 지침에 맞게 점역되어야 한다. 하지만, 표 점역 지침과 관련된 규정에는 아주 소수의 표에 대한 지침만 언급되어 있기 때문에 민원 발급 문서등 실 생활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표는 제외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표 점역 지침과 관련된 규정을 참고하여 추가적인 규칙을 자체적으로 정의한다.
표 인식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달받은 표 데이터를 세로 반복 표, 가로 반복 표, 크로스탭, 사용자 정의 표, 템플릿 표 등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유형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세로 반복 표는 데이터를 보관하는 표의 일종으로 열 머리글만 있고 행 데이터가 증가되는 표로 정의한다. 세로 반복 표에서는 행의 중간이나 끝에 요약정보 행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으며, 요약정보 행은 일부 열이 병합되거나 사용자 정의 표처럼 구성될 수 도 있다. 나아가, 행 데이터가 2개 이상이거나 1개인경우라도 의미상으로 증가가 가능한 표의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세로 반복 표로 인식된 경우, 세로 반복 표의 각 열 제목을 나타내는 머리글, 표 본문에 해당하는 반복부, 그리고 표 내용을 요약하는 요약부로 구성된다고 판단될 수 있다.
도 2는 세로 반복 표의 속성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표 데이터를 추출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에서 세로 반복 표는 열 제목을 사용하여 원본과 비슷한 표로 점역하는 것이 기본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열 부분 분할된 경우에는 큰 제목 안에 작은 제목을 “”로 묶어서 표현하고, 열 분할된 경우에는 분할된 열 들을 다음 열 전에 가로로 풀어서 표현하며, 열 스택(e.g, 다중 반복행)인 경우 겹쳐 쌓여있는 행들을 행 단위로 가로로 풀어서 표현할 수 있다. 열 반복(e.g,다단 표)인 경우 반복된 열을 행으로 추가해서 표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점역의 경우에는 점역자가 약간의 변형을 하였음을 나타내는 표시(예를 들어, “점역자 주”)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 제목이 병합된 경우에는 행 데이터의 두 필드를 합하여 하나의 필드로 표현할 수 있으며, 반복행 셀 추가의 경우에는 열 머리글에 가상 열 제목이 추가될 수 있다. 반복행 셀 병합된 경우에는 셀 병합 해제한 후 새로운 셀에 동일한 값을 추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머리글 분리 작업이 완료되면, 표 데이터 처리 모듈은 점역 규정에 따라 머리글 텍스트를 재배치할 수 있다.
지출
카드 현금
4,000 원 300원
400원 5,000원
표 2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표 2의 '지출'로 표시된 머리글은 2개의 열과 1개의 행으로 구성된 셀로서, 접근성 태그가 포함된 데이터 교환 파일로 (머리글, 병합크기(2*1), 지출)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카드' 및 '현금'과 관련된 머리글은, (머리글, 병합크기(1*1), 카드) (머리글, 병합크기(1*1), 현금)로 표시되고, 표 본문에 해당하는 내용의 경우, (반복부, 병합크기(1*1), 4,000원) (반복부, 병합크기(1*1), 300원)와 같이 접근성 태그가 포함된 데이터 교환 파일로 구성될 수 있다.따라서, 접근성 태그가 포함된 데이터 교환 파일의 분석을 통하여, 모든 머리글에 존재하는 셀들의 상하좌우 관계가 파악되면 점역 규정에 따라 열 제목 텍스트가 재배치되어 BTML 파일에 저장될 수 있다(e.g. “지출(카드, 현금)”).
마찬가지로, 반복부 데이터는 표 머리글 구조를 참고하여 순서대로 BTML 파일에 저장될 수 있다. 만일 반복부 중간에 요약하는 행이 추가되어 있다면 해당 행 내에서 항목명/속성명과 항목값/속성값을 구분하여 “제목: 내용”형태로 재 배치하여 BTML 파일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로 반복 표는 데이터를 보관하는 표로 행 머리글만 있고 열 데이터가 증가되는 표로 정의된다. 열의 중간이나 끝에 요약정보 열 데이터가 나올 수 있으며, 열 데이터가 2개 이상이거나 1개이지만 의미상으로 증가가 가능한 표로 나타낼 수 있다. 가로 반복표로 인식된 경우에는, 모든 가로 반복 표는 세로 반복 표로 변환될 수 있기 때문에, 세로 반복 표로 변환하고 가로 반복 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접근성 태그가 포함된 데이터 교환 파일이 분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크로스탭은 데이터를 요약하는 표로 열 머리글과 행 머리글이 모두 존재하는 표로서, 2차원 표로 불리기도 한다. 크로스탭의 경우 행/열 데이터가 동시에 증가되거나 고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행/열 데이터가 2개 이상이거나 현재는 1개이지만 의미상으로 증가가 가능한 표를 말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크로스탭 쿼리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크로스탭 쿼리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서 하나의 컬럼 값들을 행 머리글로 사용하고 다른 컬럼 값들을 열 머리글로 사용하는 구조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정의 표는 행 제목만 있고 데이터 개수가 고정된 표를 의미하며, 본문 안에 있는 독립된 표로 항목명과 항목값을 정리한 非목록(非반복)의 의사전달 표로 정의된다. 사용자 정의 표는 하나의 행에 2개 이상의 행 제목과 내용이 나올 수 있으며, 행 단위로 대제목, 중제목으로 행 제목이 그룹화될 수 도 있다.
크로스탭으로 인식되거나, 사용자 정의 표로 인식된 경우에는 유사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크로스탭 혹은 사용자 정의 표의 경우에는 머리글, 반복부, 요약부가 명확하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셀들의 접근성 태그(속성명 또는 속성값)와 셀 들의 병합정보를 이용한 상하관계 및 계층 관계가 구분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크로스탭은 열 제목과 행 제목을 사용하여 원본과 비슷한 표로 점역하고, 행 부분 분할된 경우 큰 제목과 작은 제목을 단계별 제목으로 표현할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 정의 표의 일 예를 나타내며, 도 3에서 나타난 사용자 정의 표의 경우에는 내용을 풀어서 행 제목만 있는 표로 점역할 수 있다. 만약 i)행 부분이 분할되거나, ii)행 부분 분할 및 혼합된 경우, iii) 부분 분할된 행이 혼합된 경우 iv)행을 열로 분할한 경우에는 큰 제목과 작은 제목을 글머리 기호로 표현할 수 있다. 행이 혼합된 경우에는 혼합된 행을 분리하여 행 제목만 있는 세로로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사용자 정의 표의 경우에는, 여러가지 속성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점역자가 약간의 변형을 하였음을 나타내는 표시(예를 들어, “점역자 주”)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뢰인 성명 홍길동
주소 서울 금천구
예를 들어, 표 3의 경우, (속성명, 병합크기(1*2), 의뢰인), (속성명, 병합크기(1*1), 성명), (속성값, 병합크기(1,1), 홍길동), (속성명, 병합크기(1*1), 주소), (속성값, 병합크기(1,1), 서울 금천구)와 같이, 셀의 접근성 태그와 병합 정보를 이용하여 “의뢰인/성명”과 “의뢰인/주소”를 재배치하여 BTML 파일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템플릿 표는 데이터를 보기 좋게 정리하는 표로 문서의 서식 자체를 나타내는 인쇄할 용지에 맞춰진 표로서, 사용자 정의 표와 비슷하지만 문서를 디자인한 표인지 문서안에 존재하는 표인지의 차이가 존재한다.
도 4를 참조하여 템플릿 표를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가로 반복 표, 세로 반복 표, 크로스탭, 사용자 정의 표가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므로, 각각을 분리하여 각각의 인식방법에 따라 인식하고 BTML 파일에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템플릿 표의 경우에는 내용을 풀어서 글머리 기호 있는 텍스트로 점역하고, 내부 표는 각각의 표 점역 방법에 따라 점역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비슷한 표가 붙어서 하나가 된 표에 있어서는 하나의 표를 세로로 분할하여 두 개의 표로 점역할 수 도 있다.
도 5는 비슷한 표가 붙어서 하나가 된 표 및 문맥 파악이 불가능한 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표에 2개 이상의 반복 구간이 있는 경우, 각각의 반복 구간을 하나의 표로 볼 수 있다. 다만, 반복 표 하단에 사용자 정의표처럼 보이는 요약부를 사용하였다면, 하나의 표로 판단될 수 도 있다. 열 제목이 여러 라인인 경우, 영문 표기 같은 부연 설명이면 개행(line alignment)을 제거할 수 있다. 만약, 셀 내용이 복잡하거나 여러 문장인 경우 행 제목에 1, 2, 3 …과 같은 숫자를 표기하고 열 제목에 가, 나, 다 …와 같은 기호를 표기하고 여러 줄이면 글머리 기호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점역자가 약간의 변형을 하였음을 나타내는 표시(예를 들어, “점역자 주”)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셀 내용이 체크박스인 경우 혹은 셀 내용이 이미지인 경우, 웹 콘텐츠 접근성을 참고하여 적당한 대체 텍스트를 제공하며, 속성값이 연속 2개인 경우에는 독립 텍스트이면 각각의 속성에 대하여 각각 점역을 하나, 종속 텍스트이면 바로 앞의 속성값에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병합 없이 속성명이 연속 2개인 경우에는 큰 제목과 작은 제목의 글머리 기호로 표현할 수 있다.
도 6은 상술한 세로 반복 표, 크로스탭, 사용자 정의표를 점역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이다. 문서에 포함된 서식·표의 경우 점자 표 시작선, 점자 표 끝선을 이용하여 서식·표의 내용을 표현하고, 점자 항목 구분선을 이용하여 속성명과 속성값을 구분할 수 있다. 속성명, 속성값에 대하여는 필요에 따라 공백 문자가 결합될 수 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점자 번역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자 번역 시스템은 서버, 리포팅 툴, 전자 점자 파일 생성툴을 포함하며, 서버는 공공, 금융, 의료, 교육 등의 정보시스템 서버일 수 있으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AS)로 나타낼 수 도 있다. 리포팅 툴은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고, 서식 디자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식 파일을 만들 수 있으며, 데이터 파일과 서식 파일을 결합하여 최종 리포트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출력할 수 있는 전자 장치기기등을 의미한다. 전자 점자 파일 생성툴은, 리포팅 툴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문서 데이터 및 문서 서식을 점역하고, 전자 점자 파일을 생성하는 전자 장치기기등을 의미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번역 시스템을 통한 전자 점자 파일 다운로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민원인은 서버를 통하여 민원 서식등 특정 문서에 대한 전자 점자파일 다운로드를 요청한다고 가정한다.
서버(e.g. WAS(Web Application Server))는 민원 서식등 특정 문서에 대한 점자 파일을 생성하기 위하여, 리포팅 툴로 점자 파일 생성을 요청한다(S801).
리포팅 툴은, 점자 파일 생성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접근성 태그를 설정하여 리포트를 렌더링한다(S803). 이는 대상 문서에 포함된 문서 데이터 파일과 문서 서식 파일을 구분하여 전자 점자 파일로 변환하기 위함이다. 리포트를 렌더링하여 문서 데이터 파일과 문서 서식 파일을 구분한 경우, 그 중 점자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접근성 태그가 포함된 데이터 교환 파일을 전자 점자 파일 생성툴에 전달한다(S805).
전자 점자 파일 생성툴은 리포팅 툴로부터 전달된 접근성 태그가 포함된 데이터 교환 파일을 이용하여 BTML을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자 점자 파일을 생성한다(S805). 즉, 접근성 태그가 포함된 데이터 교환 파일을 이용하여 표 데이터 및 텍스트를 인식하고, 그 내용들을 전자 점자 파일인 BTML로 점역한 후, 이를 전자 점자 파일인 BRL 포맷등으로 변환한다.
이렇게 변환된 전자 점자 파일은 리포팅 툴로 전달되고(S811), 리포팅 툴은 점자 파일 생성 요청을 한 서버로 점자 파일을 전달한다(S813), 따라서, 서버는 전달된 점자 파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815)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번역 시스템을 통한 전자 점자 파일의 외부 서비스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F 변환 파일을 이메일을 통하여 전송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며, 사용자에게 문서 데이터 및 문서 서식을 제공하는 다양한 포맷의 파일에 대한 외부 서비스 방식에 대하여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도 8에서는 도 7에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상술한 내용으로 대체한다.
도 8의 경우, 서버(e.g. WAS)에서 민원 서식등 특정 문서에 대한 전자 점자 파일의 생성과 함께 이메일 전송 옵션을 수신한 경우, 리포팅 툴로 점자 파일 생성을 요청한다. (S901).
리포팅 툴은, 리포트를 렌더링하고 접근성 태그가 포함된 데이터 교환 파일을 전송한다(S903).
전자 점자 파일 생성툴은 데이터 교환 파일을 수신하여, 전자 점자 파일을 생성하며, 이를 리포팅 툴로 다시 전송한다(S905).
리포팅 툴은 대상 문서를 PDF로 변환하고, 수신된 전자 점자 파일과 함께 PDF를 서버로 전송한다(S907). 본 실시예에서는 PDF와 전자 점자 파일을 각각의 파일로 전달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PDF에 전자 점자 파일이 삽입되어 전송될 수 도 있다.
서버는 PDF 파일을 이용하여 대상 문서의 원본을 발급하고, 전자파일을 이메일등을 이용하여 외부 전송 할 수 있다(S909).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번역 시스템을 통한 전자 점자 파일의 진위 확인용 전자 문서를 보관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F 파일을 서버에 저장하는 것으로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또한, 도 9와 관련하여 도 7 및 도 8에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상술한 내용으로 대체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번역 시스템을 통하여 미리 정해진 점자 서식 파일을 이용하여 점자 파일을 생성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9에서는 미리 정해진 점자 서식 파일을 이용하여 전자 점자 파일을 생성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도 5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대상 문서의 서식(e.g. 표)가 복잡하여 문서 서식을 그대로 따라 전자 점자 파일을 생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 원본 대상 문서의 텍스트만을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점자 서식 파일과 결합하여 전자 점자 파일을 생성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도 9에서 도 7에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상술한 내용으로 대체한다.
도 9에서, 서버(e.g. WAS)에서 민원 서식등 특정 문서에 대한 점자 파일을 생성을 요청한다(S1001).
리포팅 툴은, 리포트를 렌더링하고 접근성 태그가 포함된 데이터 교환 파일을 전송한다(S1003).
전자 점자 파일 생성툴은 수신된 데이터 교환 파일속에서 서식·표 데이터를 분석하고, 항목명과 항목값을 구분하여 텍스트를 재배치할 수 있다.
이때, 서식·표 데이터를 분석하여 텍스트를 재배치할 수 도 있으나, 미리 저장된 점자 서식 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점자 서식 데이터베이스에 점자 서식에 대하여 미리 정의되어 있다면, 전자 점자 파일 생성툴은 점자 서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점자 서식파일을 검색할 수 도 있다. 이에 따라, 점자 서식 데이터베이스에 점자 서식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점자 서식 파일이 인출(loading)될 수 있다(S1005). 인출된 점자 서식과 데이터를 결합하여 전자 점자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점자 서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점자 서식은, 미리 생성된 점자 파일 서식에서 항목값에 부여된 고유번호를 확인하여 전자 점자 파일 생성 시점에 고유번호가 부여된 항목값이 전달될할 수 있도록, 리포트에 있는 항목값 영역에 대하여 동일한 고유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만약, 데이터 교환 파일 속에서 서식·표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나, 대상 문서의 서식·표가 복잡하여 문서 서식을 그대로 이용하여 전자 점자 파일을 생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대상 문서의 문서 서식을 제외하고, 원본 대상 문서의 텍스트 혹은 속성·항목 값 등 만을 이용하고 문서 서식 혹은 속성·항목 명을 모두 포함하는 미리 저장된 유사 점자 서식 파일을 인출하여 전자 점자 파일을 생성할 수 도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점자 파일 생성툴은, 데이터 교환 파일을 수신하여, 전자 점자 파일을 생성하며 이를 리포팅 툴로 다시 전송한다(S1007).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 문서의 점자 변환 시스템은 다양한 정보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1. 정보시스템 서버, 리포팅 툴 및 전자 점자 파일 생성툴로 구성된 전자 문서의 점자 변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시스템 서버의 점자 파일 생성 요청의 대상이 되는 문서 파일로부터 생성된 접근성 태그를 포함하는 데이터 교환 파일을 전송하는 리포팅 툴(reporting tool); 및
    상기 리포팅 툴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교환 파일을 전달받아, 점역용 마크업 언어 파일(Brialle Text Markup Language, BTML)을 생성하고, 생성된 점역용 마크업 언어 파일을 점역하여 전자 점자 파일을 생성하는 전자 점자 파일 생성 툴을 포함하며,
    상기 점역용 마크업 언어 파일은, 상기 전자 점자 파일로 점역하기 위하여 점역 규정에 따라 문서 데이터가 재배치된 상기 접근성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점자 파일 생성툴은,
    점역용 마크업 언어 파일 생성부와 점역용 마크업 언어 파일 점역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점역용 마크업 언어 파일 생성부는,
    상기 데이터 교환 파일에 포함된 표(table)의 형태에 기반하여 재구성된 표 데이터와 페이지 번호, 문서 제목,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재구성하여, 점역용 마크업 언어 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점역용 마크업 언어 파일 점역부는,
    상기 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점역용 마크업 파일을 기반으로 점역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변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역용 마크업 언어 파일은,
    헤더, 점역용 마크업 데이터, 출력용 점자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헤더는 상기 문서 파일의 버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점역용 마크업 데이터는 상기 문서 파일의 접근성 태그에 기반하여 변환된 점역 태그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며,
    상기 출력용 점자 정보는 출력용 점자 파일 변환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변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역용 마크업 언어 파일은,
    상기 문서에 포함된 표(table)가 세로 반복 표, 가로 반복 표, 크로스탭, 사용자 정의 표, 탬플릿 표 중 적어도 하나로 판단된 경우, 미리 정의된 점역 규정에 따라 표 데이터가 재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변환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파일 생성 요청이 점자 파일 이메일 전송 요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정보시스템 서버는,
    상기 전자 점자 파일을 사용자의 이메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변환 시스템.
  6. 삭제
KR1020190006375A 2019-01-17 2019-01-17 전자문서의 점자 변환 시스템 KR101979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375A KR101979322B1 (ko) 2019-01-17 2019-01-17 전자문서의 점자 변환 시스템
PCT/KR2019/014624 WO2020149501A1 (ko) 2019-01-17 2019-10-31 전자문서의 점자 변환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375A KR101979322B1 (ko) 2019-01-17 2019-01-17 전자문서의 점자 변환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534A Division KR102126342B1 (ko) 2019-04-15 2019-04-15 접근성 태그를 이용하여 표와 서식이 포함된 전자문서를 점자로 변환하는 점자 변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322B1 true KR101979322B1 (ko) 2019-05-15

Family

ID=66579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375A KR101979322B1 (ko) 2019-01-17 2019-01-17 전자문서의 점자 변환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9322B1 (ko)
WO (1) WO2020149501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9501A1 (ko) * 2019-01-17 2020-07-23 (주)에이티소프트 전자문서의 점자 변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814495A (zh) * 2020-07-10 2020-10-23 兰州大学 一种基于svg的电路图到盲文转换方法及系统
CN111881696A (zh) * 2020-07-31 2020-11-03 兰州大学 一种cml到化学盲文的转换系统及方法
KR102182716B1 (ko) * 2020-02-19 2020-11-25 한국타피(주) 점자 모듈, 이를 포함하는 무인민원발급 장치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1045308A1 (ko) * 2019-09-05 2021-03-11 (주)에이티소프트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pdf 등의 전자문서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384508B1 (ko) 2020-11-04 2022-04-13 (주)에이티소프트 전자점자 파일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392590B1 (ko) 2020-11-09 2022-04-29 (주)에이티소프트 전자점자 파일의 생성을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1640A (ja) * 2004-05-19 2005-12-02 Nippon Hoso Kyokai <Nhk> 出力呈示装置および出力呈示プログラム
JP2009204710A (ja) * 2008-02-26 2009-09-10 Nippon Hoso Kyokai <Nhk> 触覚提示装置及び触覚提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8595A (ja) * 2000-05-08 2001-11-16 Nec Corp 点字変換システム
KR20070057351A (ko) * 2005-12-02 2007-06-07 주식회사 팬택 점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1979322B1 (ko) * 2019-01-17 2019-05-15 (주)에이티소프트 전자문서의 점자 변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1640A (ja) * 2004-05-19 2005-12-02 Nippon Hoso Kyokai <Nhk> 出力呈示装置および出力呈示プログラム
JP2009204710A (ja) * 2008-02-26 2009-09-10 Nippon Hoso Kyokai <Nhk> 触覚提示装置及び触覚提示方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9501A1 (ko) * 2019-01-17 2020-07-23 (주)에이티소프트 전자문서의 점자 변환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1045308A1 (ko) * 2019-09-05 2021-03-11 (주)에이티소프트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pdf 등의 전자문서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10029014A (ko) 2019-09-05 2021-03-15 (주)에이티소프트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pdf 등의 전자문서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96939B1 (ko) * 2019-09-05 2021-09-01 (주)에이티소프트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pdf 등의 전자문서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182716B1 (ko) * 2020-02-19 2020-11-25 한국타피(주) 점자 모듈, 이를 포함하는 무인민원발급 장치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CN111814495A (zh) * 2020-07-10 2020-10-23 兰州大学 一种基于svg的电路图到盲文转换方法及系统
CN111814495B (zh) * 2020-07-10 2024-03-22 兰州大学 一种基于svg的电路图到盲文转换方法及系统
CN111881696A (zh) * 2020-07-31 2020-11-03 兰州大学 一种cml到化学盲文的转换系统及方法
CN111881696B (zh) * 2020-07-31 2024-02-23 兰州大学 一种cml到化学盲文的转换系统及方法
KR102384508B1 (ko) 2020-11-04 2022-04-13 (주)에이티소프트 전자점자 파일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392590B1 (ko) 2020-11-09 2022-04-29 (주)에이티소프트 전자점자 파일의 생성을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9501A1 (ko)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322B1 (ko) 전자문서의 점자 변환 시스템
US20200334412A1 (en) Data storage medium having a computer program executable to generate a detail document
US7996759B2 (en) Data insertion from a database into a fixed electronic template form that supports overflow data
Tanner et al. Measuring mass text digitization quality and usefulness
US7475333B2 (en) Defining form formats with layout items that present data of business application
Nolan et al. XML and web technologies for data sciences with R
US10282410B2 (en) Assistive technology for the impaired
Heather Turnitoff: Identifying and fixing a hole in current plagiarism detection software
US7707488B2 (en) Analyzing lines to detect tables in documents
US10178248B2 (en) Computing device for generating a document by combining content data with form data
CN111767057A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装置
JP2003114882A (ja) 出版用コンテンツをフォーマット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70182990A1 (en) Reproduction of documents into requested forms
KR102126342B1 (ko) 접근성 태그를 이용하여 표와 서식이 포함된 전자문서를 점자로 변환하는 점자 변환방법
Kichuk Loose, falling characters and sentences: the persistence of the OCR problem in digital repository e-books
Toselli et al. Transcribing a 17th-century botanical manuscript: Longitudinal evaluation of document layout detection and interactive transcription
Wilkinson et al. Document computing: technologies for managing electronic document collections
US8687210B2 (en) Document data access
CN113065316A (zh) 将方正小样文件动态转换成html并录入题库、从题库选题组稿并生成小样文件的方法
US10606928B2 (en) Assistive technology for the impaired
KR102384508B1 (ko) 전자점자 파일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US20240184985A1 (en) Information representation structure analysis device, and information representation structure analysis method
CN116050360A (zh) Pdf表单文件的快速制作方法及其设备
Youngen TEX-based production at AMS
JP3197724U (ja) 保険用の帳票作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