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193B1 -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193B1
KR101979193B1 KR1020160160947A KR20160160947A KR101979193B1 KR 101979193 B1 KR101979193 B1 KR 101979193B1 KR 1020160160947 A KR1020160160947 A KR 1020160160947A KR 20160160947 A KR20160160947 A KR 20160160947A KR 101979193 B1 KR101979193 B1 KR 101979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rtable lighting
information
lighting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2471A (ko
Inventor
차순흥
Original Assignee
(주)이코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코모스 filed Critical (주)이코모스
Priority to KR1020160160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193B1/ko
Publication of KR20180062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7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05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the device being a pocket la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피커 모듈 및 조명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를 사용자 단말의 각종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는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은 스피커 모듈 및 조명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조명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휴대용 조명기기와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단말에서 발생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상기 휴대용 조명기기의 상기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조명 모듈을 선택적 또는 동시에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METHOD FOR CONTROLING OF PORTABLE LIGHTING DEVICE USING LINKED WITH USER TERMINAL AND APPLICATION PROGRAM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피커 모듈 및 조명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를 사용자 단말의 각종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는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등산, 캠핑, 낚시 등과 같은 다양한 아웃도어 야외 활동이 활성화되면서 다양한 아웃도어 용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야외 활동에서의 필수품 중에 하나로 휴대용 랜턴을 들 수 있다.
휴대용 랜턴은 야외활동 중의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조명 기기로, 최근에는 휴대용 랜턴에 블루투스 스피커를 결합한 휴대용 랜턴이 주목을 받고 있다. 즉, 기존의 조명 기능과 함께 더불어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의 휴대 단말 등으로부터 전달된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스피커의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어, 그 인기가 점차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스피커가 결합된 휴대용 랜턴은 단순히 사용자의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전달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뿐, 보다 다양한 방식의 단말 연동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단말에 구비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보다 더 효율적으로 스피커가 결합된 휴대용 랜턴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97870호, 2012년 11월 05일 공고 (명칭: 스마트 랜턴)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특히 스피커 모듈 및 조명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를 사용자 단말의 각종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는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단말에 설치된 통화 어플리케이션, 차량 관리 어플리케이션, 결제 어플리케이션,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비롯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에서 특정 정보의 발생이 감지되면, 이에 대응하는 다양한 상황 정보들을 수집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한 후, 이에 따라 휴대용 조명 기기의 스피커 모듈 또는 조명 모듈을 동시,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은 스피커 모듈 및 조명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조명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휴대용 조명기기와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단말에서 발생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상기 휴대용 조명기기의 상기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조명 모듈을 선택적 또는 동시에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상기 단말의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생되는 착신 알림일 경우, 상기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알림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위치하고 있는 지 여부를 수집된 상황 정보를 기초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상기 단말의 차량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생되는 이상 알림인 경우, 상기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상 알림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한 이후에, 상기 휴대용 조명 기기의 잔여 전력을 확인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조명 기기의 잔여 전력을 더 고려하여 상기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조명 모듈을 선택적 또는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상기 단말의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생되는 결제 알림인 경우, 상기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알림을 통해 결제 장소를 확인하고, 상기 결제 장소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수집한 후, 수집된 상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상기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생되는 감정과 관련된 텍스트 정보인 경우, 상기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상기 단말의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생되는 음원 재생 정보인 경우, 상기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는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다른 단말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다른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 음원 재생과 관련된 선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음원 재생 정보와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 수집된 선호 정보를 비교하여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선호 음악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선호 음악에 대한 음원을 확인하여 상기 스피커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단말의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생되는 음원 재생 정보인 경우, 상기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는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다른 단말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조명 기기와 상기 다른 단말과의 거리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단말과의 거리에 따라 상기 스피커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음원의 출력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휴대용 조명기기와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단말에서 발생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상기 휴대용 조명기기의 상기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조명 모듈을 선택적 또는 동시에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의하면, 스피커 모듈 및 조명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를 사용자 단말의 각종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직접적인 사용자의 개입이 없더라도 휴대용 조명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단말에 설치된 통화 어플리케이션, 차량 관리 어플리케이션, 결제 어플리케이션,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비롯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에서 특정 정보의 발생이 감지되면, 이에 대응하는 다양한 상황 정보들을 수집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한 후, 이에 따라 휴대용 조명 기기의 스피커 모듈 또는 조명 모듈을 동시,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황별로 적합하게 휴대용 조명 기기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효과 이외의 다양한 효과들이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기기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은 휴대용 조명 기기(100) 및 단말(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휴대용 조명 기기(100) 및 단말(200)은 통신망(500)을 통해 서비스 서버(300)와 연결되어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서버(300)를 포함하여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이 구성될 수도 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100)는 스피커 모듈과 조명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장착된 배터리를 통해 이동하는 상황에서도 스피커를 통해 음원을 출력하거나 조명을 발광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100)는 전면에 복수 개의 LED 램프가 위치할 수 있으며 후면에 스피커 모듈이 탑재되어 내장된 음원 또는 단말(200)로부터 전달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100)는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에서 발생되는 각종 제어 정보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거나 조명을 발광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은 휴대용 조명 기기(100) 내에 설치되거나 단말(2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단말(200)은 휴대용 조명 기기(100)와 연동하여 휴대용 조명 기기(100) 제어를 위한 각종 정보를 휴대용 조명 기기(1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말(200)은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국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200)은 그 구현 형태에 따라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말(200)은 통신망(500)을 통해 스트리밍 서버(200)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단말(200)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100)는 단말(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 bee), NFC(Near Field ommunication) 중의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100) 및 단말(200)은 상기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모듈을 칩의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휴대용 조명 기기(100)와 단말(200)이 서로 일정 거리 내로 인접하게 되면, 소정의 설정 방식으로 통신 페어링을 수행하게 되며, 통신 페어링이 이뤄진 이후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페어링 과정은 공지된 다양한 절차를 통해 이뤄질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과정에 따라 단말(200)과 휴대용 조명 기기(100)가 연결이 이뤄지게 되면, 휴대용 조명 기기(100)를 제어를 위한 각종 정보의 송수신 과정이 이뤄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은 휴대용 조명 기기(100)의 주체적인 제어에 따라 그 동작이 이뤄질 수 있으며, 단말(200)의 주체적인 제어에 따라 그 동작이 이뤄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100) 및 단말(200)은 통신망(500)을 경유하여 서비스 서버(300)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100)는 사용자의 상황 판단을 위한 정보의 수집을 통신망(500)을 경유하여 서비스 서버(300)를 통해 수집할 수 있으며, 단말(200)은 음원 재생을 위한 음원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망(500)은 단일의 통신망 형태보다는 다양한 종류, 예컨대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종류의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된 통신망이 혼합된 형태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는 단말(200)에서 발생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확인하고(S101),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수집한다(S103).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단말(200)에 구비된 각종 어플리케이션에서 정의된 로직에 따라 발생되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통화 어플리케이션일 경우 착신 알림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차량 관리 어플리케이션일 경우 이상 알림 등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는 단말(200)이 수집할 수 있으며, 휴대용 조명 기기(100)가 수집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300)가 수집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용 조명 기기(100), 단말(200) 및 서비스 서버(300)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모두 수집할 수 있다.
이후, 수집된 사용자의 상황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고(S105), 판단된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스피커 모듈 및 조명 모듈을 선택적 또는 동시에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S107).
이때,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 형태로 휴대용 조명 기기(100)에 탑재될 수 있으며, 단말(200)에 탑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휴대용 조명 기기(100)를 의미하는 경우, 휴대용 조명 기기(100)는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단말(200)에서 발생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하고,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200)로부터 수집하거나,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집하거나 직접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한 후, 판단된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휴대용 조명 기기(100)의 스피커 모듈 및 조명 모듈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여 휴대용 조명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단말(200)인 경우, 단말(200)은 구비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중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정보가 발생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휴대용 조명 기기(100)로부터 수집하거나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집하거나 직접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고, 판단된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상기 휴대용 조명 기기(100)의 스피커 모듈 및 조명 모듈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정보를 상기 휴대용 조명 기기(100)로 전달하여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장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기기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기기(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조명부(14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통신부(100)는 단말(200) 및 서비스 서버(300)와의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1 통신 모듈(111) 및 제2 통신 모듈(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통신 모듈(111)은 단말(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초광대역통신(UWB; 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모듈이 될 수 있다.
한편, 제2 통신 모듈(112)는 통신망(500)을 통해 서비스 서버(300)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원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통신 모듈(112)은 구현 방식에 따라 생략될 수 있으며, 휴대용 조명 기기(100)는 단말(20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기기(100)의 전반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예컨대,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20)는 저장부(130)에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131)이 저장되어 있을 경우, 상기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131)의 실행을 제어하고 실행에 따라 발생되는 각종 정보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120)는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발생되는 제어 정보에 따라 조명부(140)의 조명 모듈(141) 및 출력부(150)의 스피커 모듈(151)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어부(120)는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 전반을 제어하고, 상기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에서 발생되는 제어 정보에 따라 휴대용 조명 기기(100)를 구성하는 각 모듈의 제어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131)이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 제어부(120)는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30)는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131)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13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구현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정의된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131)은 휴대용 조명 기기(100)의 제조자에 의해 제작 및 배포될 수 있으며, 일부 또는 전부를 저장부(130)에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정의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조명부(140)는 복수의 LED 램프로 구성된 조명 모듈(14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명부(140)는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따라 발생되는 각종 제어 정보를 제어부(120)를 통해 전달받고 이에 따라 복수의 LED 램프를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LED 램프를 특정 조명 패턴에 따라 대응하는 일부의 LED 램프만이 발광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출력부(150)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모듈(15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따라 발생되는 각종 제어 정보를 제어부(120)를 통해 전달받아 스피커 모듈(151)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기기(100)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도 3을 통해 휴대용 조명 기기(100)의 주요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에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100)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100)는 기기 자체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입력 모듈로 구성되는 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100)는 외부의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미도시)에 전력이 저장되는 과정을 제어하고, 제어부(120)의 제어 동작에 따라 배터리(미도시)에 저장된 전력을 각 구성으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전원관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100)는 구현 방식에 따라 일정 반경 내 사용자의 상황 판단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센싱할 수 있는 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들을 구현 방식에 따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100)는 저장부(130)에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131)이 구비되어 있지 않을 경우, 단말(200)의 제어에 따라 필요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따라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200)의 주요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200)은 단말 통신부(210), 단말 입력부(220), 단말 제어부(230), 단말 저장부(240) 및 단말 출력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단말 통신부(210)는 제1 단말 통신 모듈(211) 및 제2 단말 통신 모듈(2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단말 통신 모듈(211)은 휴대용 조명 기기(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초광대역통신(UWB; 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모듈이 될 수 있다.
한편, 제2 단말 통신 모듈(212)은 통신망(500)을 통해 서비스 서버(300)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원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 각종 기능 설정 및 단말(2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단말 제어부(23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단말 입력부(220)는 키보드나 키패드와 같은 키 입력 수단, 터치센서나 터치 패드와 같은 터치 입력 수단, 음성 입력 수단,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와 근접 센서, 그리고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현재 개발 중이거나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30)는 단말(2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하드웨어적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로딩 데이터가 로딩되는 실행 메모리(예컨대, 레지스터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상기 프로세서와 메모리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들을 입출력하는 버스(BUS)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으로 단말(200)에 정의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단말(200)에 구비되는 기능 중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가 가능한 구성 요소를 단말 제어부(230)의 기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말 저장부(2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그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저장부(240)는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241) 및 각종 어플리케이션(242)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24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에 따라 정의된 각종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단말 제어부(230)는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241)의 실행에 따라 발생되는 각종 정보를 휴대용 조명 기기(100)로 전달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말 제어부(230)는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241)의 실행에 따라 발생되는 각종 정보를 더 수집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고, 판단된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휴대용 조명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휴대용 조명 기기(100)로 전달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242)은 단말(200)에 구비될 수 있는 통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242)들은 통화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단말(200)에 기본적으로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부터, 게임 어플리케이션, 차량 관리 어플리케이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등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추가적으로 별도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242)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 저장부(240)는 내부의 저장 공간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각종 어플리케이션(242)을 설치하고 어플리케이션(242)에 실행에 필요한 자원을 할당하는 등의 각종 정보의 저장과 관련된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24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저장부(240)에 설치된 각종 어플리케이션(242)과 연동을 수행한다는 점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241)은 정의된 어플리케이션(242)에서 발생된 정보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한 후 휴대용 조명 기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적합한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생성된 제어 정보를 단말 통신부(210)의 제1 단말 통신 모듈(211)을 통해 페어링 상태의 휴대용 조명 기기(100)로 전달하여 휴대용 조명 기기(100)의 스피커 모듈 또는 조명 모듈의 동작이 이뤄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단말 저장부(24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200)을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와 같은 단말(200) 구동을 위한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한다. 데이터 영역은 단말(200)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241) 및 각종 어플리케이션(242)들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저장부(24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multimedia card micro)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ROM) 등의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 출력부(250)는 단말(20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의 단말 출력부(250)는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241) 및 각종 어플리케이션(242)의 실행에 따른 정보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말 출력부(2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TOLED(Transparant OLED)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4를 통해 단말(200)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4를 통해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단말(2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단말(2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단말(200)은 전기적인 신호인 음원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원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음원 출력부(미도시)는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241) 및 어플리케이션(242)의 실행에 따라 발생되는 각종 정보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는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즉, 전술한 것처럼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이 휴대용 조명 기기(100)에 탑재되어 있을 경우, 휴대용 조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는 휴대용 조명 기기(100)를 의미하며, 단말(20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전달받아 실질적인 판단은 휴대용 조명 기기(100)가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에 정의된 로직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이 단말(200)에 탑재되어 있을 경우, 단말(200)은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에 따른 판단을 수행하여,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에서 정의하고 있는 로직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결과를 휴대용 조명 기기(100)로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에 정의되고 있는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는 단말(200)에서 발생되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착신 알림을 확인하게 된다(S201).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는 착신 알림과 관련된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수집한다(S203). 그리고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여(S205), 사용자가 착신음을 들을 수 있는 상황일 경우(S207), 휴대용 조명 기기(100)의 스피커 모듈을 통해 착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S209), 조명 모듈을 통해 착신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게 된다(S211).
상기 동작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100)는 복수 개의 LED 램프로 구성되는 조명 모듈이 전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후면에는 스피커 모듈이 탑재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조명 기기(100)는 아웃도어용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나무, 텐트 등의 특정 장소에 걸려 위치하거나 테이블 위에 거치대를 통해 올려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200)을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는 ①의 휴대용 조명 기기(100)의 전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②의 휴대용 조명 기기(100)의 후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단말(200)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으나, 단말(200)에서 발생되는 착신을 쉽게 인지할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휴대용 조명 기기(100)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200)에서의 착신 알림을 휴대용 조명 기기(100)의 조명 모듈을 통해 출력하여 알리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휴대용 조명 기기(100)의 후면부에 위치하는 경우, 휴대용 조명 기기(100)의 조명 모듈을 인지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 것이므로, 스피커 모듈을 통해 출력하여 알리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용 조명 기기(100)의 전면부에 위치하고 있으나, 주변의 여러 다른 사용자들과 이야기를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조명 모듈의 LED 램프를 발광하여 착신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보다는 스피커 모듈을 통해 착신음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는 단말(200)의 통화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되는 착신 알림이 확인되면, 단말(200)의 사용자가 착신음을 들을 수 있는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확인하게 된다. 예컨대, 단말(200)과 휴대용 조명 기기(100) 간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휴대용 조명 기기(10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단말(200)의 마이크를 통해 수집하여 이에 따른 신호 감도를 통해 단말(200)이 어느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조명 기기(100)를 통해 음향이 출력되고 있는 지, 주변의 소음은 어떠한 상황인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사용자가 착신음을 들을 수 있는 상황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상황 정보들을 수집하여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수집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한 후, 판단된 상황에 따라 스피커 모듈 및 조명 모듈을 선택적 또는 동시에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주변이 조용하고 어두운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용 조명 기기(100)의 전면부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휴대용 조명 기기(100)의 조명 모듈의 조도를 약하게 하여 착신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착신 안내 메시지는 정의된 조명의 단순 점등 형태로 출력될 수 있으며, 기 정의된 텍스트 패턴에 따라 조명의 점등을 제어하여 출력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휴대용 조명 기기(100)의 후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 스피커 모듈을 통해 별도의 음향이 출력되고 있지 않을 경우, 착신음의 크기를 작게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음향이 출력되고 있을 때는 출력되는 음향을 중지하거나 음향의 중지 없이 착신음과 함께 조명 모듈이 발광되도록 제어하여 현재 단말(200)에서 착신이 발생되고 있음을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200)의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생되는 착신 알림을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휴대용 조명 기기(100)를 통해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야외 활동에서 통화 착신을 놓치지 않고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는 단말(200)에서 발생되는 차량 관리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사고 발생과 같은 이상 알림을 확인하게 된다(S301).
그리고, 휴대용 조명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는 이상 알림과 관련된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S303),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고(S305), 판단된 결과에 따라 스피커 모듈 및 조명 모듈을 선택적 또는 동시에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는 휴대용 조명 기기(100)의 잔여 전력을 확인할 수 있다(S307). 즉,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100)는 휴대하는 상황에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충전이 가능한 소정의 배터리를 장착하고 있는 상태에서, 배터리의 전력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휴대용 조명 기기(100)의 잔여 전력을 확인하고(S307), 구조음 출력이 적합한 지 여부를 판단하여(S309), 스피커 모듈을 통해 구조음을 출력하거나(S311), 조명 모듈의 점등을 제어하여 구조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S313).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단말(200)은 각종 어플리케이션들을 설치할 수 있으며, 차량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이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상태에서, 단말(200)은 차량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이상 상황을 차량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200) 또는 차량에 구비된 각종 센서를 통해 차량이 급정지를 하거나 차량에 급격한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 등을 수집하고 이를 통해 단말(200)의 차량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차량에서 사고 발생과 같은 이상 상황을 확인하고 이상 알림을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확인한 휴대용 조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는 사고 알림과 관련된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조명 기기(100)가 센서를 구비한 상태에서, 파우치에 들어 있는 지 또는 일정 반경으로 조명을 발광할 수 있는 상황인지 여부 등을 확인하거나, 현재 시간을 확인하여 낮인지 밤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상황을 판단하여, 휴대용 조명 기기(100)가 파우치에 들어 있어 조명을 발광하더라도 이를 다른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스피커 모듈을 통해 구조음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구조음을 출력할 수 있으며, 현재 시간이 밤이며, 일정 반경 내 다른 사용자가 쉽게 위치할 수 있는 한적한 도로에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으며, 조명을 발광할 수 있는 상태인 경우, 조명 모듈의 점등을 제어하여 사고 발생을 안내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는 휴대용 조명 기기의 잔여 전력을 확인하여, 조명 모듈의 점등 제어보다는 스피커 모듈을 통해 구조음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면 구조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비상 상황에 처하게 될 경우, 휴대용 조명 기기(100)를 통해 구조음을 출력하거나 구조 신호를 출력하여 별다른 사용자의 개입이 없더라도 구조 요청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은 휴대용 조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단말(100)에서 발생되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의 결제 정보를 확인한다(S401).
그리고, 결제 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S403), 수집된 상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여(S405), 이에 따라 스피커 모듈 및 조명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조명 기기(100)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S407).
특히,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는 결제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단말(200)에서 발생되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의 결제 정보를 통해, 결제 장소가 낚시터임을 확인하게 되면, 낚시터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 예컨대, 온도, 습도, 시간, 날씨 등의 정보를 단말(200)에 구비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센서 등을 통해 수집하거나, 낚시터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여 낚시터에 대응하는 날씨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현재 사용자가 현재 낚시터에 있으며, 현재 시간이 심야 시간인 것으로 판단되면, 스피커 모듈을 통해 대응하는 음향, 예컨대 벌레 퇴치가 가능한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출력하고, 조명 모듈을 통해 은은한 조명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야영장에서 캠핑하고 있는 상황에서 날씨가 화창한 것으로 판단되면, 신나는 음원이 스피커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200)의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생되는 결제 정보와 연계하여 휴대용 조명 기기(10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는 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되는 감정과 관련된 텍스트 정보를 확인하고(S501), 감정 정보와 관련된 상황 정보를 수집한다(S503).
그리고, 휴대용 조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는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고(S505), 판단된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스피커 모듈 및 조명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조명 기기(100)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S507).
예를 들어 단말(200)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되는 텍스트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감정과 관련된 텍스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감정과 관련된 텍스트 정보는 "우울, 행복, 기쁨, 슬픔, 놀람"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작성하는 문자 메시지 등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각종 텍스트 정보를 분석하고, 텍스트 정보에서 지정된 감정과 관련된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여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는 상기 감정과 관련된 텍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수집한다.
예컨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추론하거나, 사용자의 일정 반경 내 주변 환경 정보를 센싱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는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집안에서 우울한 감정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기분을 밝게 해줄 수 있는 음원을 휴대용 조명 기기(100)로 전달하여 스피커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따라 조명 모듈의 발광 정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단말(200)에서 발생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감정을 확인하고 사용자의 감정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원을 출력하거나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새로운 감성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는 단말(200)의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생되는 음원 재생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S601).
예컨대,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휴대용 조명 기기인 경우, 단말(200)로부터 전달되는 음원 재생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단말(200)인 경우,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원 재생 요청의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는 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일정 반경 내 다른 단말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S603).
휴대용 조명 기기(100) 일정 반경 내 페어링된 사용자의 단말(200) 이외의 또 다른 단말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휴대용 조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는 다른 단말로부터 음원 재생과 관련된 선호 정보를 수집하여 확인할 수 있다(S605).
이후,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는 복수의 사용자들의 선호 음악을 판단하고(S607), 선호 음악에 해당하는 음원을 확인한 후(S609), 확인된 음원을 스피커 모듈을 통해 출력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캠핑 등의 아웃도어 생활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선호 음악을 고려하여 보다 지능적으로 음원을 휴대용 조명 기기(1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용 조명 기기(100)를 들고 이동하는 상황(예컨대 등산 중)에서, 스피커 모듈을 통해 음원이 출력되고 있다면,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다른 단말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확인하고 존재하는 경우, 다른 단말과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단말과의 거리는 예컨대, 휴대용 조명 기기(100)와 사용자의 단말(200)이 아닌 다른 단말(200)로부터 송출되는 블루투스 신호의 세기에 따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는 상기 다른 단말과의 거리에 따라 휴대용 조명 기기(100)의 스피커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음원의 출력 크기를 작게 하거나 크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조명 기기를 들고 이동하는 상황에서도 별다른 사용자의 개입이 없더라도 보다 용이하게 휴대용 조명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부터 제5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이 휴대용 조명 기기(100)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휴대용 조명 기기(100)가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단말(200)로 요청하여 수집함으로써, 본 발명의 동작이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이 단말(200)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단말(200)이 직접 상기 프로그램의 로직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생성된 제어 정보를 휴대용 조명 기기(100)로 제공하여 본 발명의 동작이 이뤄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그 실행하는 주체에 기술적 특징이 있기 보다는 단말(200)에서 발생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상황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휴대용 조명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기기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함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피커 모듈 및 조명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를 사용자 단말의 각종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제어함으로써, 직접적인 사용자의 개입이 없더라도 휴대용 조명 기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휴대용 조명 기기를 비롯한 아웃도어 용품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은 이는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휴대용 조명 기기 110: 통신부
120: 제어부 130: 저장부
140: 조명부 141: 조명 모듈
150: 출력부 151: 스피커 모듈
200: 단말 210: 단말 통신부
220: 단말 입력부 230: 단말 제어부
240: 단말 저장부 250: 단말 출력부
300: 서비스 서버 300: 통신망

Claims (10)

  1. 스피커 모듈 및 조명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조명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휴대용 조명기기와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상기 휴대용 조명기기와 페어링 된 단말에 설치 된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온도, 습도, 시간, 날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상기 휴대용 조명기기의 상기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조명 모듈을 선택적 또는 동시에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단말에 기본적으로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설치 된 어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상기 단말의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생되는 착신 알림일 경우,
    상기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알림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위치하고 있는 지 여부를 상기 휴대용 조명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단말의 마이크를 통해 수집하여 이에 따른 신호 감도를 통해 판단하고,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조명 모듈을 선택적으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상기 단말의 차량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생되는 이상 알림인 경우,
    상기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상 알림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한 이후에,
    상기 휴대용 조명 기기의 잔여 전력을 확인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조명 기기의 잔여 전력을 더 고려하여 상기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조명 모듈을 선택적 또는 동시에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상기 단말의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생되는 결제 알림인 경우,
    상기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알림을 통해 결제 장소를 확인하고, 상기 결제 장소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수집한 후, 수집된 상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상기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생되는 감정과 관련된 텍스트 정보인 경우,
    상기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상기 단말의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생되는 음원 재생 정보인 경우,
    상기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는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다른 단말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다른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 음원 재생과 관련된 선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음원 재생 정보와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 수집된 선호 정보를 비교하여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선호 음악을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선호 음악에 대한 음원을 확인하여 상기 스피커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상기 단말의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생되는 음원 재생 정보인 경우,
    상기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는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다른 단말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조명 기기와 상기 다른 단말과의 거리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단말과의 거리에 따라 상기 스피커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음원의 출력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
  9.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0. 휴대용 조명기기와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상기 휴대용 조명기기와 페어링 된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온도, 습도, 시간, 날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상기 휴대용 조명기기의 스피커 모듈 및 조명 모듈을 선택적 또는 동시에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도록 구현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단말에 기본적으로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설치 된 어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상기 단말의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생되는 착신 알림일 경우,
    상기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알림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위치하고 있는 지 여부를 상기 휴대용 조명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단말의 마이크를 통해 수집하여 이에 따른 신호 감도를 통해 판단하고,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조명 모듈을 선택적으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0160947A 2016-11-30 2016-11-30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 KR101979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947A KR101979193B1 (ko) 2016-11-30 2016-11-30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947A KR101979193B1 (ko) 2016-11-30 2016-11-30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471A KR20180062471A (ko) 2018-06-11
KR101979193B1 true KR101979193B1 (ko) 2019-05-20

Family

ID=62601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947A KR101979193B1 (ko) 2016-11-30 2016-11-30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1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363B1 (ko) * 2005-11-07 2006-1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상태 기반 텔레매틱스용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및방법
KR101516662B1 (ko) * 2014-02-28 2015-05-04 차순흥 휴대용 led 조명기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040B1 (ko) * 2004-03-02 2006-07-13 (주)엘고테크 휴대용 조명장치 및 이 장치의 제어방법
KR20060059105A (ko) * 2004-11-26 2006-06-01 주식회사 이트로닉스 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120006254A (ko) * 2010-07-12 2012-01-1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 단말기와 조명 장치를 이용한 감정 메시지 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101520709B1 (ko) * 2012-05-07 2015-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KR101197870B1 (ko) 2012-08-27 2012-11-05 주식회사 지비솔루션즈 스마트 랜턴
KR101699456B1 (ko) * 2014-05-21 2017-02-23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 배열 램프 시스템
KR102460459B1 (ko) * 2015-02-27 2022-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를 이용한 카드 서비스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363B1 (ko) * 2005-11-07 2006-1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상태 기반 텔레매틱스용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및방법
KR101516662B1 (ko) * 2014-02-28 2015-05-04 차순흥 휴대용 led 조명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471A (ko) 201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5881B2 (ja) 着信通知方法、装置、電子デバイス、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457632B1 (ko) 프로그램 알림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기기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 알림 방법
KR102070196B1 (ko)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5940770A (zh) 室内照明装置、室内照明系统及其操作方法
KR20140112900A (ko) 블루루스 디바이스에서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62746A (ko) 음성 신호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램프 장치 및 상기 램프 장치의 구동 방법
CN105493479A (zh) 多设备无线禁用和启用
KR20170067050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40074549A (ko)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한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7015572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ransport device thereof
KR102421824B1 (ko)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음성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284940B2 (en) Earse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30106511A (ko) 휴대 단말기의 위급 상황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11297014B2 (en) System to help prevent distracted driving
US10841248B1 (en) Connection specific selection of automated response messages
JP2013093893A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52599A (ko) 근거리 통신 모듈 기반의 빠른 기기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JP2007325158A (ja) 情報提示制御装置および情報提示制御方法
CN112150778A (zh) 环境音处理方法及相关装置
KR102475304B1 (ko) 전자 장치 및 케이블과 그의 구동 방법
CN112970268B (zh) 选择响应方法、耳机基座、耳机选择方法、设备及介质
KR101979193B1 (ko)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
JP6710274B2 (ja) 管理装置及び空調システム
WO2021253926A1 (zh) 一种儿童遗留车辆内的报警方法、报警装置及穿戴设备
KR20210088215A (ko) 블루투스를 활용한 스티커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