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059B1 - 인쇄 회로 기판 동축 커넥터 - Google Patents

인쇄 회로 기판 동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059B1
KR101979059B1 KR1020147030722A KR20147030722A KR101979059B1 KR 101979059 B1 KR101979059 B1 KR 101979059B1 KR 1020147030722 A KR1020147030722 A KR 1020147030722A KR 20147030722 A KR20147030722 A KR 20147030722A KR 101979059 B1 KR101979059 B1 KR 101979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adapter
connector portion
limiting element
outer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0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5185A (ko
Inventor
울프 휘겔
마르틴 바그너
Original Assignee
후버 앤드 주흐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버 앤드 주흐너 아게 filed Critical 후버 앤드 주흐너 아게
Publication of KR20140145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4Intermediate parts, e.g. adapters, splitters or elbo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4Intermediate parts, e.g. adapters, splitters or elbows
    • H01R24/542Adap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5Connection to a rigid planar substrate, e.g.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커넥터 부분 (2), 제 2 커넥터 부분 (3) 및 상기 제 1 커넥터 부분 (2) 과 상기 제 2 커넥터 부분 (3) 사이에 배열된 어댑터 (4) 를 포함하는 동축 커넥터 (1) 에 관한 것이다. 조립시, 상기 어댑터 (4) 는 측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제 1 커넥터 부분 (2) 의 외부 컨덕터 (8) 에서의 개구부 (6) 에 배열된다. 절연 재료로 제조된 제한 요소 (9) 는 상기 개구부 (6) 의 진입 영역에 배열되고 상기 어댑터의 측방향 편향을 제한한다.

Description

인쇄 회로 기판 동축 커넥터{PRINTED CIRCUIT BOARD COAXIAL CONNECTOR}
본 발명은 인쇄 회로 기판들용 동축 커넥터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인쇄 회로 기판들에 SMD (표면 장착 디바이스) 구성요소들이 끼워 맞춤되고 이어서 납땜된 후, 인쇄 회로 기판들은 고 주파수들에서 서로 접촉된다. 이와 관련하여,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의 로케이션 및 위치의 부정확성들은 고 주파수 특성들이 손실되지 않도록 보상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접촉점들은 동시에 연결되어야 한다. 이런 목적을 위하여, 국부적으로 중첩 배열된 2개의 동축 접촉점들을 상호 연결하고 블라인드 플러그 (blind-plug) 될 수 있는 동축 커넥터들이 사용되어 축방향 및 반경방향 오프셋이 고려된다. 동축 접촉점들의 예들로는 동축 케이블들, 해당 레이아웃 구조들을 구비한 인쇄 기판들 및 필터 또는 듀플렉서 커플링들과 같은 하우징 리드 인들 (housing lead-ins) 이 포함된다.
블라인드 플러그될 수 있는 인쇄 회로 기판 동축 커넥터들은 선행 기술에서 공지되어 있다. 이들 동축 커넥터들은 어댑터 부분을 통하여 작동식으로 상호 연결된 제 1 커넥터 부분 및 제 2 커넥터 부분을 구비한 다층 구조를 갖는다. 선행 기술에서 공지된 커넥터들의 단점은 이들 커넥터들이, 위치에 따라, 전송 특성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결함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동일한 출원인 명의의 WO2011/088902 는 2011년 7월 28일에 발행되었고 범용의 인쇄 회로 기판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커넥터는 어댑터 부분을 통하여 작동식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는 제 1 커넥터 부분 및 제 2 커넥터 부분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측은 해당 커넥터 부분과 어댑터의 연관 단부를 "견고하게" 상호 연결하는 기계 작동식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정상 상황들 하에서 이런 연결은 전혀 더 이상 해제가능하지 않거나 증가된 힘으로 단지 해제가능하다. 작동식 연결 수단은 축방향 및 측방향의 오프셋이 가능한 한 크도록 컨덕터들에 대하여 배열된다.
Radiall 명의의 US5980290 은 1998년에 발행되었고 구형 조인트 인서트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링은 커넥터 부분의 단부 내로 삽입되고 여기에 고정된다. 상기 링은 조인트 인서트가 커넥터 부분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Gilbert Engineering Co. 명의의 US4925403 은 1988년에 발행되었고 어댑터 부분을 구비한 기재된 타입의 동축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커넥터는 임의의 측방향 오프셋을 보상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기계식 스냅인 연결은 어댑터 부분의 외부 커넥터에 의해서 발생된다.
NEC Co. 명의의 US5879177 은 어댑터 부분에 의해서 작동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 1 커넥터 부분 및 제 2 커넥터 부분을 구비한 다른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어댑터 부분은 임의의 측방향 오프셋을 보상하는데 사용된다.
동일한 출원인 명의의 WO0052788A1 은 2000년에 발행되었고 개선된 범용의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커넥터는 어댑터 부분에 의해서 작동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 1 커넥터 부분 및 제 2 커넥터 부분을 포함한다. 볼 조인트는 이로써 발생된 힘들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일 측에 사용된다.
Rosenberger 명의의 EP1207592 는 2002년에 발행되었고 제 1 동축 플러그 커넥터, 제 2 동축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제 1 동축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제 2 동축 플러그 커넥터를 연결하는 접촉 부시를 구비한 동축 플러그 배열체에 관한 것이다. 이 접촉 부시는 미리 정해진 영역에서 측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 1 동축 플러그 커넥터 및 접촉 부시는 이들의 외부 컨덕터들의 영역에서 래치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들의 외부 컨덕터들의 영역에서의 래치 연결부는 이동의 자유를 제한하는 효과가 있다. 모든 제 1 동축 플러그 커넥터들은 공통의 제 1 플라스틱 하우징에 배열되고, 그리고 모든 제 2 동축 플러그 커넥터들은 공통의 제 2 플라스틱 하우징에 배열된다.
범용의 추가의 커넥터들은 US2004038586, US2007026698A, US2006194465A, CN2879475Y 및 CN101459304A 에서 공지되어 있다.
선행 기술에서 공지된 어떠한 지적 재산권들은 커넥터의 전송 특성들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서 어떠한 제안도 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전송 특성들을 갖는 범용의 커넥터를 개시하는데 있다.
이 목적은 독립항에서 규정된 커넥터에 의해서 달성된다.
선행 기술에서 공지된 커넥터들은 트랜스시버 디바이스들에서 특히 사용된다. 예들 들면,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는 특정 동축 연결부들에 함께 보내진다.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는 각각의 경우에 규정된 주파수 스펙트럼의 사용때문에 다르다. 간섭 없는 작업을 달성하기 위하여, 송신 신호 스펙트럼의 일부는 반드시 수신 신호 스펙트럼에 속하지 않아야 한다. 이 거동은 또한 진동 로드 (load) 및/또는 충격 로드를 위해 제공되어야 한다. 송신 신호로부터 이런 간섭 신호들의 가능한 소스들의 예들은 불량 또는 복수의 기계식 접촉들 때문에 수동 상호 변조이다.
간섭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추가의 메카니즘은 송신 신호의 위상 또는 주파수 변조에 기인한다. 이 효과는 공진 구조에서 송신 신호의 약한 출력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고, 이 공진 구조의 공진 주파수는 예를 들어 진동 또는 기계적 충격들에 의해서 변화될 수 있다. 공진 구조들은 서로에 대하여 불리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접촉점들로 인해 커넥터에서 발생할 수 있고, 주파수들이 계속 증가하면서 특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다. 이들 문제점들은 기하학적 편차들을 보상하도록 설계되어서 가변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유형의 커넥터들에서 특히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부정적인 영향을 방지하므로, 특히 고 주파수들에서, 신호들의 전송을 개선한다. 연결 요소의 외부 컨덕터에서 전송 신호의 간섭 출력은 따라서 더 이상 어떠한 부정적인 영향도 미치지 않을 정도로 감소된다.
선행 기술에서 공지된 커넥터들에서, 전송 특성들에 대해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하학적 가변 공진 챔버는 연결 요소 (어댑터) 의 외부 컨덕터와 이 외부 컨덕터에 작동식으로 연결되어 커넥터의 축방향 및 반경방향 이동성을 함께 보장하는 커넥터 부분들의 기하학적 구조 때문에 임의의 위치들에서 형성된다. 어댑터는, 환형 방식으로 배열된 스프링 텅부들 (spring tongues) 을 통하여, 커플링된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전도성 하우징에서의 개구부의 내부면과 상호 작용한다. 이 경우에, 공진 주파수는, 어댑터가 측방향으로 편향 (기울어짐) 되는 경우에, (스프링 텅부들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는) 어댑터의 외부 컨덕터가 커플링된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전도성 하우징의 에지에 도달하면서 나타나게 된다. 하우징의 에지와 어댑터의 외부 컨덕터 사이의 거리가 임의의 양을 초과하면, 공진기를 용량식으로 로딩하고 영향을 미치는 공진 주파수를 유발하는 공진 회로가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위험한 상태로 있는 (at risk) 커넥터 부분에 대하여 어댑터의 최대 측방향 편향 (기울어짐 이동) 을 감소시키는, 예를 들면 제한 링의 형태의 제한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 문제를 회피한다. 이 문제를 회피하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일 실시형태는 제 1 커넥터 부분, 제 2 커넥터 부분 및 어댑터를 포함하고, 이 어댑터는 조립시 제 1 커넥터 부분과 제 2 커넥터 부분 사이에 배열되고, 전기 전도 방식으로 제 1 커넥터 부분과 제 2 커넥터 부분에 커플링될 수 있고, 그리고 조인트 방식으로 제 1 커넥터 부분과 제 2 커넥터 부분을 작동식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제 1 커넥터 부분 및 제 2 커넥터 부분 각각은 내부 컨덕터 및 외부 컨덕터를 구비하고, 내부 컨덕터 및 외부 컨덕터는 절연체에 의해서 서로에 대하여 유지된다. 비슷하게 어댑터는 내부 컨덕터 및 외부 컨덕터를 포함하고, 내부 컨덕터 및 외부 컨덕터는 절연체에 의해서 서로에 대하여 유지된다. 제 1 커넥터 부분 또는 제 2 커넥터 부분의 외부 컨덕터는 각각의 경우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이 개구부는 어댑터가 안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설계된다. 2개의 단부들에서, 어댑터의 외부 컨덕터는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접촉 리지들을 구비한 탄성 스프링 텅부들을 포함하고, 이 탄성 스프링 텅부들은, 조립시, 제 1 커넥터 부분 또는 제 2 커넥터 부분의 개구부들 내로 삽입되고 여기에서 접촉면들과 전기 전도 방식으로 상호 작용한다. 탄성 스프링 텅부들은 접촉 리지들과 함께 사용되어 확실한 전기 연결을 생성하고 유지한다. 제 1 커넥터 부분 또는 제 2 커넥터 부분의 외부 컨덕터에서의 어댑터를 삽입하는데 사용된 개구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는 하나의 에지를 따라서 제한 요소, 바람직하게는 비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제한 링을 포함한다. 제한 링은 해당 커넥터 부분에 대하여 어댑터의 최대 가능한 측방향 편향을 제한하고, 그리고 어댑터의 외부 컨덕터와 커넥터 부분의 외부 컨덕터 사이의 최소 가능한 거리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제한 링은 유해한 공진 구조들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제한 링은 커넥터 부분의 하우징의 전체 폭을 초과하여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커넥터 부분의 하우징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한 링은 예를 들어 스냅인으로 또는 나사식으로 커넥터 부분의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동축 커넥터는 제 1 커넥터 부분, 제 2 커넥터 부분, 및 제 1 커넥터 부분과 제 2 커넥터 부분 사이에 배열된 어댑터를 포함한다. 조립시 (작동식으로 연결시), 어댑터는 측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도록 제 1 커넥터 부분의 외부 컨덕터의 개구부에 배열된다. 어댑터의 외부 컨덕터는, 예를 들어 탄성 스프링 텅부들을 통하여, 환형 방식으로, 제 1 커넥터 부분의 외부 컨덕터와 상호 작용한다. 다른 작동식 연결들은 적어도 측방향 이동이 제한되지 않는 한 가능하다. 비전도성 재료로 제조된 제한 요소는 개구부의 진입 영역에 배열된다. 이 제한 요소는 제어된 방식으로 어댑터의 측방향 편향을 제한하는데 사용된다. 제한 요소는 환형 방식으로 유리하게 설계되고 구멍을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구멍은 원통형이거나 원뿔형일 수 있다. 다른 형상들이 가능하다. 제한 요소는 제 1 커넥터 부분의 외부 컨덕터의 리세스에 배열될 수 있다. 제한 요소는 리세스에서 예를 들어 압축되고 및/또는 스냅식으로 끼워지고 및/또는 접착되는 것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다. 하지만, 제한 요소는 또한 제 1 커넥터 부분의 외부 하우징의 일부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제 1 커넥터 부분의 외부 컨덕터는 제한 요소 내로 압축되고 및/또는 스낵식으로 끼워지고 및/또는 접착될 수 있다. 제한 요소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유리하다. 다른 절연 재료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한 요소는 변형시 어댑터에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어댑터의 외부 컨덕터는 규정된 방식으로 제한 요소와 상호 작용하고 이 외부 컨덕터의 최대 측방향 편향을 결정하는 원주 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제 이하에서 단지 실시형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에 근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된 커넥터의 측면도이고;
도 2 는 도 1 에 따른 조립된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3 은 편향 위치에서의 도 1 에 따른 조립된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4 는 단면선 BB 를 따라서 취한 도 3 에 따른 조립된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제 2 실시형태의 사시 단면도이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상기 도면들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들이 대응 영역들/부분들에 대해서 사용된다.
도 1 은 제 1 커넥터 부분 (2), 제 2 커넥터 부분 (3) 및 어댑터 (4) 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 (1) 를 도시하고 있고, 상기 어댑터는 커플링 상태로 제 1 커넥터 부분 (2) 을 제 2 커넥터 부분 (3) 에 작동식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제 1 커넥터 부분 (2), 제 2 커넥터 부분 (3) 및 어댑터 (4) 는 동축 방식으로 구성된다.
도 1 은 작동식으로 연결된 상태로의 동축 커넥터 (1) 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따른 단면선 AA 를 따라서 취한 동축 커넥터 (1) 의 단면도이다. 동축 커넥터는 도 1 및 도 2 에서 편향되어 있지 않다. 도 3 은 동축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그리고 도 4 는 도 3 에 따른 단면선 BB 를 따라서 취한 동축 커넥터 (1) 의 단면도이다. 제 1 커넥터 부분 (2) 및 제 2 커넥터 부분 (3) 은 거리 (a) 만큼 서로에 대하여 편향되어 (오프셋되어) 배열된다. 오프셋은 어댑터 (4) 에 의해서 보상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제 1 커넥터 부분 (2) 및 제 2 커넥터 부분 (3) 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필요하다면, 제 1 커넥터 부분 (2) 및 제 2 커넥터 부분 (3) 은 요건에 따라 동일하지 않게 구성될 수 있다.
제 1 커넥터 부분 (2) 및 제 2 커넥터 부분 (3) 각각은 각각의 경우에 그 전방 단부에서 슬리브 같은 방식으로 설계된 원통형 내부 컨덕터 (5) 를 포함한다. 내부 컨덕터 (5) 는 절연체 (7) 에 의해서 외부 컨덕터 (8) 에 대하여 위치되고 유지된다. 이런 경우에 제 1 커넥터 부분 (2) 및 제 2 커넥터 부분 (3) 의 하우징으로서 동시에 작용하는 외부 컨덕터 (8) 는 개구부 (6) 를 포함하고, 이 개구부는,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원통형이고, 그리고 내부 컨덕터 (5) 와 동축으로 배열된다. 내부 컨덕터 (5) 는 외부 컨덕터 (8) 의 개구부 (6) 내부에 배열된다. 다른 구성들도 가능하다.
도 2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절연체 (7) 는 제 1 내부 컨덕터 (5) 를 따라서 연장되고, 그리고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슬리브 영역 (17) 을 형성하고, 이 슬리브 영역은 이런 경우에 내부 컨덕터 (5) 와 인접하고, 이 슬리브 영역에는 외부로 돌출한 환형 보유 리지 (10)(제 1 작동식 연결 수단) 가 형성된다. 조립시, 환형 보유 리지 (10) 는 어댑터 (4) 의 절연체 (12)(이런 경우에 2 부분 절연체) 의 환형 홈 (11)(제 2 작동식 연결 수단) 에 맞물리고, 그리고 그것과 함께 측방향으로 조인트된 기계식 연결부 (13) 를 형성한다. 기계식 연결부 (13) 는 일반적으로 해제 가능한 스냅식 연결부로서 설계되고, 그리고 축방향 (이런 경우에 z-방향) 으로 특정 힘을 가함으로써 어댑터 (4) 가 제 1 커넥터 부분 (2) 으로부터 연결 해제되게 한다.
도 2, 도 3 및 도 5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어댑터 (4) 의 절연체 (12) 는 2개의 부분들로 형성되고, 그리고, 도면을 참조하면, 제 1 상부 부분 및 제 2 하부 부분 (12.1, 12.2) 을 포함한다. 절연체 (12) 는 어댑터 (4) 의 외부 컨덕터 (15) 에 대하여 어댑터 (4) 의 내부 컨덕터 (14) 를 위치시킨다. 단부들에서, 내부 컨덕터 (14) 와 외부 컨덕터 (15) 모두는 각각 내부 스프링 텅부 (18) 또는 외부 스프링 텅부 (19) 를 포함하고, 이 내부 또는 외부 스프링 텅부들은 이들 원주상에 제 1 접촉 리지 (20) 및 제 2 접촉 리지 (21) 를 포함하고, 이들 접촉 리지들은 원주방향으로 외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힘들을 약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제 1 접촉 리지 (20) 및 제 2 접촉 리지 (21) 의 외부 표면들은 타원형인 것이 유리하다. 내부 스프링 텅부 (18) 및 외부 스프링 텅부 (19) 는 슬릿들 (22, 23) 에 의해서 원주방향으로 기능적으로 분리되고, 그리고 반경 반향으로 탄성을 갖는다. 연결시, 제 1 접촉 리지 (20) 및 제 2 접촉 리지 (21) 는 제 1 커넥터 부분 (2) 및 제 2 커넥터 부분 (3) 의 내부 컨덕터 (5) 및 외부 컨덕터 (8) 의 내부의 제 1 접촉면 (24) 및 제 2 접촉면 (25) 과 실질적으로 환형 접촉을 형성한다. 기계식 연결부 (13) 또는 내부 스프링 텅부 (18) 및 외부 스프링 텅부 (19) 의 구성은 어댑터 (4) 가 제 1 커넥터 부분 (2) 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 (α) 만큼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한다 (참조 도 3 및 도 5). 자유 단부에서, 제 1 커넥터 부분 (2) 의 외부 컨덕터 (8) 는 환형 제한 요소 (9) 를 포함하고, 이 환형 제한 요소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들로 제조되고, 그리고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제 1 커넥터 부분 (2) 의 외부 컨덕터 (8) 에서 리세스 (16) 내로 압축된다. 제한 요소 (9) 가 어댑터 (4) 의 외부 컨덕터 (8) 에 형성된 환형 리지 (27) 와 접촉된다는 점에서, 제한 요소 (9) 는 제 1 커넥터 부분 (2) 에 대하여 어댑터 (4) 의 최대 가능한 측방향 경사 각도 (α) 를 제한한다. 다른 구성들도 가능하다. 외부 컨덕터 (15) 의 제 2 접촉 리지 (21) 와 환형 리지 (27) 간의 거리 (b) 는 최대 가능한 측방향 경사 각도 (α) 가 임의의 양을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리지 (27) 의 위치는 외부 컨덕터와 제한 요소 (9) 간의 접촉점을 규정한다. 어댑터 (4) 의 전기 전도성 제 2 외부 컨덕터 (15) 와 전기 전도성 제 1 외부 컨덕터 (8) 사이에서 최소 가능한 거리 (t)(참조 도 5) 는 제한 요소 (9) 에 의해서 제한되어 상기 문제점으로부터 기인한 복수의 접촉점들과 이로써 발생된 피드백이 감소된다. 제한 요소는 최소 거리 (t) 가 임의의 양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위상 변조의 그 밖에 발생하는 위상 편차가 감소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제 2 커넥터 부분 (3) 은 그 외부 컨덕터 (8) 에 성형되어 조립을 단순화시키는 깔대기 형상부 (26) 를 포함한다. 특히 어댑터 (4) 가 각지게 위치된 경우 또는 측방향 오프셋이 조립동안 발생하면, 깔대기 형상부 (26) 는 내부 컨덕터 (8) 에서 어댑터 (4) 의 자유 단부를 그렇게 제공된 개구부 내로 안전하게 안내하는 조립체 보조물로서 역할을 한다.
도 5 는 커넥터 (1) 의 다른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커넥터 (1) 의 기본 원리는 도 1 내지 도 3 의 커넥터의 기본 원리에 상응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들을 갖는다. 제 1 커넥터 부분 (2) 및 제 2 커넥터 부분 (3) 및 어댑터 (4) 는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로 도시된다. 이해를 위하여, 커넥터 부분들 (2, 3) 및 어댑터 (4) 는 내부 컨덕터가 도시될 수 있도록 단면으로 도시된다. 도 5 에서, 제 1 커넥터 부분 (2) 및 제 2 커넥터 부분 (3) 은 서로 (측방향으로) 오프셋되고, 이 오프셋은 어댑터 (4) 에 의해서 보상된다. 도 1 내지 도 4 에 따른 제 1 실시형태에서와는 달리, 이런 경우에 제한 요소 (9) 는 제 1 커넥터 부분 (2) 의 외부 하우징을 형성한다. 외부 컨덕터 (8) 는 아래로 부터 제한 요소 (9) 내로 압축된다. 제한 요소 (9) 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유리하다. 다른 차이점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깔대기 형상부 (26) 가 제 2 커넥터 부분 (3) 의 외부 컨덕터 (8) 에 부착되고, 그리고 어댑터 (4) 를 편향시키거나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도록 제한 요소로서 사용된다는 것이다. 제 1 커넥터 부분과 제 2 커넥터 부분이 서로 끼워질 때, 깔대기 형상부 (26) 는 제 2 커넥터 부분 (3) 의 외부 컨덕터 (8) 에서 개구부 (6) 내로 어댑터 (4) 를 삽입하는데 사용된다.
α 경사 각도 13 기계식 연결부
a 거리 14 내부 컨덕터 (어댑터)
b 거리 15 외부 컨덕터 (어댑터)
t 최소 가능한 거리 16 리세스 (외부 컨덕터 (8))
1 동축 커넥터 17 구멍 (슬리브 영역)
2 제 1 커넥터 부분 18 내부 스프링 텅부
3 제 2 커넥터 부분 19 외부 스프링 텅부
4 어댑터 20 제 1 접촉 리지
5 내부 컨덕터 (커넥터 부분) 21 제 2 접촉 리지
6 개구부 22 슬릿 (스프링 텅부)
7 절연체 (커넥터 부분) 23 슬릿 (스프링 텅부)
8 외부 컨덕터 (커넥터 부분) 24 제 1 접촉면
9 환형 제한 요소 25 제 2 접촉면
10 환형 보유 리지 (제 1 작동식 연결 수단) 26 깔대기 형상부
11 환형 홈 (제 2 작동식 연결 수단) 27 환형 리지 (어댑터)
12 절연체 (어댑터)

Claims (10)

  1. 동축 커넥터 (1) 로서,
    a. 제 1 커넥터 부분 (2), 제 2 커넥터 부분 (3) 및 상기 제 1 커넥터 부분 (2) 과 상기 제 2 커넥터 부분 (3) 사이에 배열된 어댑터 (4) 를 포함하고,
    b. 조립시, 상기 어댑터 (4) 는 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제 1 커넥터 부분 (2) 의 외부 컨덕터 (8) 에서의 개구부 (6) 에 배열되고,
    c. 절연 재료로 제조된 제한 요소 (9) 는 상기 제 1 커넥터 부분 (2) 의 상기 외부 컨덕터 (8) 및 상기 어댑터 (4) 의 상기 제 2 커넥터 부분 (3) 의 사이에서 상기 개구부 (6) 의 진입 영역에 배열되고, 그리고
    d. 상기 제한 요소 (9) 는 상기 어댑터 (4) 의 측방향 편향 및 상기 제 1 커넥터 부분 (2) 의 상기 외부 컨덕터 (8) 및 상기 어댑터 (4) 의 제 2 외부 컨덕터 (15) 사이의 최소 가능한 거리 (t) 를 제한하는, 동축 커넥터 (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요소 (9) 는 환형이고 구멍 (17)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1).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 (17) 은 원통형이거나 원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1).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요소 (9) 는 상기 제 1 커넥터 부분 (2) 의 상기 외부 컨덕터 (8) 에서의 리세스 (16) 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1).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요소 (9) 는 상기 리세스 (16) 내로 압축되는 것, 스냅식으로 끼워지는 것 및 접착되는 것 중 하나 이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1).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요소 (9) 는 상기 제 1 커넥터 부분 (2) 의 외부 하우징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1).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 부분 (2) 의 상기 외부 컨덕터 (8) 는 상기 제한 요소 (9) 내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1).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요소 (9) 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1).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요소 (9) 는 변형시 상기 어댑터 (4) 에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1).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4) 의 제 2 외부 컨덕터 (15) 는 상기 제한 요소 (9) 와 상호 작용하는 원주 리지 (2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1).
KR1020147030722A 2012-04-05 2013-04-03 인쇄 회로 기판 동축 커넥터 KR101979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0487/12 2012-04-05
CH00487/12A CH706343A2 (de) 2012-04-05 2012-04-05 Leiterplatten-Koaxialverbinder.
PCT/EP2013/056999 WO2013150059A1 (de) 2012-04-05 2013-04-03 Leiterplatten-koaxialverbin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185A KR20140145185A (ko) 2014-12-22
KR101979059B1 true KR101979059B1 (ko) 2019-05-15

Family

ID=48045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0722A KR101979059B1 (ko) 2012-04-05 2013-04-03 인쇄 회로 기판 동축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84688B2 (ko)
EP (1) EP2834888B1 (ko)
KR (1) KR101979059B1 (ko)
CN (1) CN104303377B (ko)
BR (1) BR112014024734B1 (ko)
CH (1) CH706343A2 (ko)
WO (1) WO20131500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5521B2 (en) 2013-01-09 2017-08-15 Amphenol Corporation Float adapter for electrical connector
US9356374B2 (en) 2013-01-09 2016-05-31 Amphenol Corporation Float adapter for electrical connector
ES2635625T3 (es) * 2013-07-30 2017-10-04 Abb Schweiz Ag Dispositivo de conexión para un aparato conmutador
DE102013111905B9 (de) * 2013-10-29 2015-10-29 Telegärtner Karl Gärtner GmbH Verbindungseinrichtung zum elektrischen Verbinden zweier Leiterplatten
CN106688144A (zh) * 2014-08-12 2017-05-17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具有电容性联接的同轴电缆以及连接器
EP3043425B1 (en) * 2015-01-12 2020-12-16 Amphenol Corporation Float adapter for electrical connector
CN106159504B (zh) * 2015-04-17 2021-06-15 上海雷迪埃电子有限公司 紧凑型射频同轴连接器
CN104852180B (zh) * 2015-06-08 2018-01-26 苏州瑞可达连接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盲插浮动式连接器
DE202015007010U1 (de) * 2015-10-07 2015-10-22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Verbinder
EP3208894B1 (en) * 2016-02-16 2019-11-27 Amphenol Corporation Float adapter for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WO2017194715A1 (en) * 2016-05-12 2017-11-16 Huber+Suhner Ag Circuit board coaxial connector
KR20180077505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엠피디 기판연결용 커넥터
JP6840594B2 (ja) * 2017-03-27 2021-03-1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組立体
US10446955B2 (en) 2017-04-14 2019-10-15 Amphenol Corporation Shielded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s
US10505303B2 (en) * 2017-04-14 2019-12-10 Amphenol Corporation Float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s
US11056807B2 (en) 2017-04-14 2021-07-06 Amphenol Corporation Float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s
JP6946157B2 (ja) * 2017-11-24 2021-10-0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圧着端子
JP7094246B2 (ja) * 2018-06-11 2022-07-01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中継コネクタ、及びその中継コネクタを用いたコネクタ組立体
EP3881397B1 (en) * 2018-11-12 2024-03-06 Huber+Suhner Ag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EP3881396A1 (en) 2018-11-12 2021-09-22 Huber+Suhner AG Board to board connector assembly for hf signal transmission
DE102019117473A1 (de) * 2019-06-28 2020-12-31 Tesat-Spacecom Gmbh & Co. Kg Schaltungsanordnung bestehend aus zwei miteinander verbundenen Hochfrequenzkomponenten
CN112636033B (zh) * 2019-09-23 2023-09-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板间浮动电源连接器
US11387611B2 (en) 2019-09-30 2022-07-12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axial connectors for board-to-board interconnection
KR102122687B1 (ko) * 2019-11-08 2020-06-26 주식회사 기가레인 관절 운동 범위가 제한되는 커넥터
EP3843219A1 (en) 2019-12-23 2021-06-30 ODU GmbH & Co. KG Adaptive connector
JP7417200B2 (ja) 2020-08-06 2024-01-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装置
JP2022030015A (ja) * 2020-08-06 2022-02-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装置
EP3989368A1 (de) * 2020-10-20 2022-04-27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verbindungselement und leiterplattenanordnung
US11824293B2 (en) * 2021-12-01 2023-11-21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Circuit board with high power interconnect conductive coi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0290A (en) 1997-01-20 1999-11-09 Radiall Coaxial electric connector element with movable contact and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such a connector
US6497579B1 (en) 1999-03-02 2002-12-24 Huber+Suhner Ag Coaxial connection with a tiltable adapter for a printed circuit board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7859A (en) 1986-08-15 1987-10-06 Amp Incorporated Floating coaxial connector
US4824399A (en) 1987-06-19 1989-04-25 Amp Incorporated Phase shifter
US4808115A (en) * 1987-07-28 1989-02-28 Amp Incorporated Line replaceable connector assembly for use with printed circuit boards
US4925403A (en) 1988-10-11 1990-05-15 Gilbert Engineering Company, Inc. Coaxial transmission medium connector
JP2503322B2 (ja) * 1991-04-30 1996-06-05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2914266B2 (ja) 1996-01-24 1999-06-28 日本電気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接続用アダプタ及び同軸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3035541B1 (ja) 1999-03-19 2000-04-24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フロ―ティングコネクタ
US6174206B1 (en) 1999-07-01 2001-01-16 Avid Technology, Inc. Connector adaptor for BNC connectors
JP2001244017A (ja) * 2000-02-25 2001-09-07 Yazaki Corp コネクタ結合構造
US6224421B1 (en) * 2000-02-29 2001-05-01 Palco Connector, Inc. Multi-part connector
DE10057143C2 (de) 2000-11-17 2003-02-06 Rosenberger Hochfrequenztech Koaxialsteckanordnung für Hochfrequenzanwendungen
US6827608B2 (en) 2002-08-22 2004-12-07 Corning Gilbert Inc. High frequency, blind mate, coaxial interconnect
US7070448B2 (en) 2004-03-25 2006-07-04 Adc Telecommunications, Inc. Coaxial/triaxial adapter assembly including an adapter and interchangeable connector ends and method
DE202004005273U1 (de) 2004-04-02 2004-06-03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oaxialsteckverbindung für Leiterplatten mit gefedertem Toleranzausgleich
US7112078B2 (en) * 2005-02-28 2006-09-26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Gimbling electronic connector
CN2879475Y (zh) 2006-04-28 2007-03-14 西安科耐特科技有限责任公司 可偏转射频同轴连接器
US7816925B1 (en) * 2007-06-20 2010-10-19 Gale Robert D Electrical continuity tester and tracer
CN101459304B (zh) 2009-01-05 2010-08-04 江苏科技大学 一种可稍许插偏的射频同轴连接器
DE102009032103A1 (de) 2009-07-08 2011-01-13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Leistungsteil für einen Motor eines Flurförderzeugs
CN101656383B (zh) 2009-08-03 2012-11-21 上海雷迪埃电子有限公司 弹簧加载连接器
KR101529374B1 (ko) * 2010-01-25 2015-06-16 후버 앤드 주흐너 아게 회로 기판 동축 커넥터
CN101982903A (zh) * 2010-09-15 2011-03-02 华为技术有限公司 电路板连接器及通信设备
CN102255193A (zh) 2011-05-10 2011-11-23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浮动结构的射频同轴连接器
CN202111339U (zh) * 2011-06-09 2012-01-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同轴转接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0290A (en) 1997-01-20 1999-11-09 Radiall Coaxial electric connector element with movable contact and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such a connector
US6497579B1 (en) 1999-03-02 2002-12-24 Huber+Suhner Ag Coaxial connection with a tiltable adapter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H706343A2 (de) 2013-10-15
KR20140145185A (ko) 2014-12-22
US20150118899A1 (en) 2015-04-30
EP2834888B1 (de) 2017-08-30
US9484688B2 (en) 2016-11-01
BR112014024734B1 (pt) 2021-03-16
EP2834888A1 (de) 2015-02-11
CN104303377B (zh) 2017-05-17
CN104303377A (zh) 2015-01-21
WO2013150059A1 (de)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059B1 (ko) 인쇄 회로 기판 동축 커넥터
JP6881442B2 (ja) プラグソケットコネクター
CN111903014B (zh) 同轴连接器
AU2013209121B2 (en) RF connector
CN110311239B (zh) 信号触点部以及接地触点部联动的基板配合连接器
CN104577387A (zh) 用于电连接两个电路板的连接装置
CN110311238B (zh) 基板配合连接器
KR101529374B1 (ko) 회로 기판 동축 커넥터
US7112078B2 (en) Gimbling electronic connector
US10973124B2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adapter to connect two circuit boards
CN103166009A (zh) 同轴插接装置
CN110710065B (zh) 具有用于改变导体的接地路径的接地管的同轴连接器
EP3357128B1 (en) Coaxial electrical interconnect
US20220140512A1 (en) Female multipolar connector and multipolar connector set equipped therewith
JP2016526761A (ja) プラグインコネクタ
WO2018086077A1 (en) Mechanical protective ring for female connector of jack type for 4.3-10 coaxial connection system
WO2018060873A1 (en) Coaxial connector assembly
EP4150710A1 (en) An improved adapter for a low intermodulation board-to-board rf coaxial connection assembly
KR102203367B1 (ko) 커넥팅 장치
WO2024050728A1 (en) Connection assembly for multiple module-to-board (m2b) or module to module (m2m) connec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ary coaxial connection assemblies wherein the outer contact of one socket being integral part of module of m2b or m2m
US20240120693A1 (en) Connector with float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