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877B1 - 비자, 초두구를 포함하여 조성된 시트마스크팩 전용 항산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항산화·고보습 시트마스크팩 - Google Patents

비자, 초두구를 포함하여 조성된 시트마스크팩 전용 항산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항산화·고보습 시트마스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877B1
KR101978877B1 KR1020170081527A KR20170081527A KR101978877B1 KR 101978877 B1 KR101978877 B1 KR 101978877B1 KR 1020170081527 A KR1020170081527 A KR 1020170081527A KR 20170081527 A KR20170081527 A KR 20170081527A KR 101978877 B1 KR101978877 B1 KR 101978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mask pack
mixture
sheet mask
antioxi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662A (ko
Inventor
전용진
유호진
전영상
Original Assignee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삼정트레이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삼정트레이딩 filed Critical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81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87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마스크팩 원료의 피부자극과 보습효과 부재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항산화, 보습효과를 나타내는 비자, 초두구 추출물을 활용하여 한방 시트마스크팩 원료를 개발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특히, 한방원료를 주성분으로 하여 피부에 자극이 없으며 보습효과가 뛰어난 시트마스크팩 전용 항산화·고보습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항산화·고보습 시트마스크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자, 초두구를 포함하여 조성된 시트마스크팩 전용 항산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항산화·고보습 시트마스크팩{ANTIOXIDATIVE COMPOSITION COMPRISING TORREYA SEED AND APLINIA KATSUMADAI HAYATA SEEDS FOR SHEET TYPE MASK PACK AND THE ANTIOXIDATIVE AND MOISTURIZING PRODUCE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시트마스크팩 원료의 피부자극과 보습효과 부재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비자, 초두구 추출물을 활용하여 한방 시트마스크팩 원료를 개발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특히, 한방원료를 주성분으로 하여 피부에 자극이 없는 시트마스크팩 전용 항산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항산화·고보습 시트마스크팩에 관한 것이다.
한방화장품에 대한 정의는 현재 명확하지 않으나 대체로 자연에서 유래한 천연 한방 약재들을 사용한 화장품으로 규정할 수 있다. 일부 화장품 회사에서는 한방화장품을‘한의학 서적에 근거하여 천연유래의 한방 약재들이 피부에서 나타내는 효능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각각의 약재들이 최대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함량 및 조합을 결정하여 사용한 화장품’이라고 정의하기도 한다. 현재까지 한방화장품을 표방하여 시장에 출시된 화장품들의 특징을 살펴보면 국내 한의과 대학 또는 한의학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서 한방이론을 적용하거나, 인삼, 감초, 녹용, 당귀, 천궁 등과 같은 한방약재를 유효성분으로 사용하였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방화장품 시장은 규모가 빠르게 성장하기 시작하여 전체 화장품 시장에서 한방화장품이 차지하는 비율이 초기에는 2%에서 현재 20%대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급성장하였다. 한방화장품은 아모레퍼시픽(AP)의 설화수 출시 이후 2000년대 초반부터 급성장세를 보여 매년 10% 이상의 성장세를 올리다 2009년 8%대의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성숙단계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방화장품 시장이 성숙기에 들면서 국내 화장품 회사들은 다양한 영역으로 범위를 넓히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한방화장품의 영역 확대는 신규 한방 브랜드 출시나 남성라인 출시와 같은 방법으로 시도되고 있다.
최근 한방화장품은 지역특화 원료를 사용하고 이를 소비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소구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대청도에서 수급한‘적송’, 가거도에서 자란 ‘토후박’을 원료로 사용하여 소비자들에게 지역을 한정하여 일반적인 소재의 가치를 높이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최근 한방화장품에 나타나는 경향은 지자체 또는 연구기관과 약재의 재배와 관리에 대한 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좀더 신뢰할 수 있는 한방약재를 확보하기 위한 한방화장품 제조 회사들의 노력으로 해석 될 수 있다.
국내 시장에서 한방화장품은 로레알, 에스티로더, 크리스찬디올, 서슬리, 랑콤, 샤넬, 시세이도 등과 같은 세계적인 글로벌 브랜드와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한방화장품의 큰 특징은 주요 사용 약재 원료에 대해서 국내에서 재배된 약재를 사용하여 원료를 제조하고 이를 한방화장품에 사용한다는 점이다. 한방화장품을 생산하는 모든 회사가 국내에서 재배된 약재를 원료로 사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아모레퍼시픽의 경우 모든 한방브랜드에서 국내 재배 약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국내재배 약재 사용에 대한 트랜드는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다.
고기능적 효능, 효과와 식물성이라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세계적인 화장품 트랜드 속에서 우리 고유의 전통을 알리며 자연 친화적인 소재로 인해 피부에 잘 맞게 처방하여 문제의 근원까지 치료할 수 있는 우수한 소재이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글로벌코스메틱 사업단과 업계에 따르면 국내 한방화장품 생산 규모는 2011년 기준 1조 5169억으로 전체 화장품 생산액 6조 3856억원의 23.8%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07년부터 2011년까지의 한방화장품 생산실적을 살펴보면 성장률은 업치락 뒤치락 다소 변동이 있지만 생산규모는 연 평균 1663억 가량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또한 국내 화장품 총 생산실적 대비 한방화장품 생산비율은 2009년 이후로 1.2%씩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방화장품은 현재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및 에이블씨엔씨를 포함한 10여개 회사에서 설화수, 수려한 등 200여개가 넘는 한방브랜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특징 (콘셉트)별로 보면 퓨전한방, 난액보습, 전통한방, 자음윤부, 궁중한방, 발효한방, 110년 산삼 배양근, 홍삼 등 다양하다. 주요소재도 특징별로 국내 한방재료를 기초로 하고 있다.
한방화장품은 2010년 국내화장품 생산실적에서도 상위 20개 품목 가운데 12개 품목을 차지하고 있다. 상위 20개 품목에서도 1위부터 5위까지 모두 한방화장품이다. 이 같은 수치는 국내 한방화장품 성장가능성과 국내시장을 기반으로 한 해외진출에 매우 유리한 고지에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품목들이 국내 대기업 한두곳의 제품으로 제한되고 있다는 맹점이 있다. 상위 20위 안에 랭크된 한방화장품 12개 품목 중 10개가 아모레퍼시픽 제품이고 LG생활건강의 ‘후’, 두리화장품의 ‘댕기머리가’가 속해있다. 또한 2010년 기준 한방화장품 생산실적 TOP5 브랜드도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 설화수, 더 히스토리오브 후, 수려한, 한율, 다나한이 전부다.
한방화장품의 제품유형별 생산실적 비중을 비교하면, 기능성, 기초화장품, 두발용 제품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전체 화장품 생산실적과 유사하긴 하지만 상대적으로 색조화장품과 인체세정용 화장품 등의 생산은 매우 저조한 편이다.
팩과 마스크는 고대 이집트로부터 시작되어 다양한 형태의 진흙, 토양, 꿀, 곡물가루, 달걀껍질가루 등 천연재료들을 사용하였다. 마스크(Mask)는‘덮어 가리다, 막다’등의 의미로 유럽, 미국 등에서 사용하였으며, 현재는 팩과 마스크 모두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시트마스크팩 시장이 독립적인 제품 카테고리로 인식되기 시작한 점은 2000년대 초 세계적인 명품 화장품 브랜드에서 기존의 단순 시트마스크팩의 효과와 기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제품들이 출시되면서 시작됐다.
현재 국내외 거의 모든 화장품 브랜드에서 시트마스크팩은 기초 제품의 중요한 카테고리로 자리를 잡고 있어 시트마스크팩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소비자들이 영양크림이나 에센스 등으로 피부를 관리하는데 머무르지 않고 분말형이나 얼굴과 특정부위의 팩을 사용하는 것으로 세분화되면서 시트마스크팩 시장은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일반 에센스 사용시 액상이 공기 중에 그대로 누출되기 때문에 공기 중으로 증발되는 양이 상대적으로 많고 분말 팩 등의 경우 별도로 액상을 개어 얼굴에 바른 후 마를 때까지 행동의 제약이 따라 세안 등의 사후적인 불편함이 동반된다. 하지만 최근 시트마스크팩은 상대적으로 얼굴에 붙이고 떼어내 버리면 된다는 편리함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2002년 500억원대 규모의 시장에서 지난 2010년 1993억원, 2011년 2391억원, 2012년 2411억원, 2013년 2500억원 등으로 매년 두자릿수 성장률을 유지하며 10년간 5배 가량 시장 규모가 성장했다.
미국의 화장품 및 미용용품 시장규모는 2012년 기준 477만 달러로 전년 대비 11.6% 성장하였다. 미국의 화장품 및 미용용품 생산업의 주요 품목군은 스킨케어, 헤어케어 및 샤워용품, 데오도란트 및 발한억제제, 향수, 구강청결제, 썬케어, 네일케어 및 베이비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트마스크팩 제품이 포함된 스킨케어 제품은 23.7%에 달한다.
< 국내 관련 기술 현황 >
화장품 시트마스크팩에 사용되는 천연한방 추출물은 유효성분이 소량 함유되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주로 콘셉트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시트마스크팩에 첨가되는 합성화학원료를 피부를 자극하며, 보습효과 부재의 단점을 노출하고 있다.
최근 시트마스크팩 화장품은 하나의 기초 제품군 카테고리로 성장하면서 다양한 기술개발을 통한 제품들을 시트마스크팩 전문 기업들로부터 출시되고 있다.
다양한 천연 추출물을 첨가한 제형 개발에 투자하고 있지만, 피부자극과 보습효과에 대한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며, 한방원료의 경우 한약재로부터 안전하게 천연성분을 추출하는 기술 보유는 필수적이고 추출법확립은 이러한 개발에 있어 우선적으로 실행되어하는 원천적이면서도 어려운 분야라고 할 수 있다.
< 국외 관련 기술 현황 >
미국의 경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구매 패턴은 실용주의로 변하여 화장품 및 미용용품을 구매할 때도 가치와 효능, 기능 등을 꼼꼼히 비교 분석하여 구매하는 소비자들을 위하여 노화방지, 보습, 화이트닝 등 다양한 피부개선용 제품을 개발하고 제품화하고 있다.
중국은 한방과 친환경 성분을 강조해 큰 성장세를 이룬 바이챠오지, 샹이번차오 등 중국 대표 로컬화장품회사가 큰 발전을 이루었으며, 현재 유럽, 미국, 일본 등의 선진국은 광우병 같은 동물성 전염병 등으로 인하여 동물성 원료보다는 식물성 원료 소재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약물 전달 시스템 등의 효능을 극대화를 위한 기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10-0295875(등록일자 2001.05.0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81200(등록일자 2011.11.0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84656(등록일자 2013.07.0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48466(등록일자 2016.08.09)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66822(등록일자 2015.11.02)
본 발명은 시트마스크팩 원료의 피부자극과 보습효과 부재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자와 초두구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산화에 뛰어난 한방 시트마스크팩 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특히, 한방원료를 주성분으로 하여 피부에 자극이 없는 시트마스크팩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시트마스크팩용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된 항산화·고보습 시트마스크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자추출물분말 1.0~99.0wt%와 초두구추출물분말 1.0~99.0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비자, 초두구를 활용한 시트마스크팩전용 항산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시트마스크팩전용 항산화 조성물을 이용한 시트마스크팩으로서,
정제수(Water), 디소듐 EDTA(Disodium EDTA); 뷰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피이지/피피지-17/6코폴리머(PEG/PPG-17/6 Copolymer)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기본베이스 조성물; 글리세린(Glycerin); 뷰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베타인(Betaine); 나이아신아미드(Niacinamide); 바이오사카라이드 검-1(Biosaccharide Gum-1);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제1조성물과,
정제수(Water); 소듐 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제2조성물과,
뷰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크산탄 검(Xanthan Gum)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제3조성물과,
정제수(Water); 카보머(Carbomer)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제4조성물과,
에탄올(Ethanol);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클로르페네신(Chlorphenesine); 1,2-헥산디올(1,2-Hexanediol); 향료(Fragrance);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제5조성물과,
상기 시트마스크팩전용 항산화 조성물;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항산화, 고보습 시트마스크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마스크팩전용 항산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시트마스크팩은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
첫째. 종래 피부자극 및 보습효과 부재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시트마스크팩 화장품 원료의 단점을 대체할 수 있는 원료로서 활용도가 높고, 특히 항산화능이 뛰어난 비자, 초두구 추출물을 원료를 포함하여 시트마스크팩의 피부 접촉시 나타나는 피부자극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천연한방 시트마스크팩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시트마스크팩을 제공한다.
둘째. 천연한방 추출물을 사용함으로서 기존 시트마스크팩 원료의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비자, 초두구 혼합 추출물의 항산화 DPPH 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비자, 초두구 혼합 추출물의 항산화 ABTS 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마스크팩(SJ-TNAKE)의 적용 전과 적용 직 후의 피부 보습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마스크팩(SJ-TNAKE)의 농도에 따른 흡광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양성 대조군인 SDS 농도에 따른 흡광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마스크팩(SJ-TNAKE)의 농도별 세포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양성 대조군인 SDS 농도별 세포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마스크팩(SJ-TNAKE)의 미생물 검출 시험성적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마스크팩(SJ-TNAKE)의 중금속 검출 시험성적서.
먼저,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시트마스크팩의 시료명은 당초에 "SJEM-Mask"였으나, 특허출원 시점에 "SJ-TNAKE"로 변경되어, "SJ-TNAKE"라는 변경된 시료명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시된 시험성적서 및 실험 그래프는 변경되기 전의 시료명인 "SJEM-Mask"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는 변경된 시료명 "SJ-TNAKE"와 동일한 시료임을 밝히는 바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술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자, 초두구를 활용한 시트마스크팩전용 항산화 조성물은 비자추출물분말 1.0~99.0wt%와 초두구추출물분말 1.0~99.0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상기 비자와 초두구의 배합비 예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비자 초두구 합계
배합예 1 1.0wt% 99.0wt% 100.0wt%
배합예 2 10.0wt% 90.0wt% 100.0wt%
배합예 3 20.0wt% 80.0wt% 100.0wt%
배합예 4 30.0wt% 70.0wt% 100.0wt%
배합예 5 40.0wt% 60.0wt% 100.0wt%
배합예 6 50.0wt% 50.0wt% 100.0wt%
배합예 7 60.0wt% 40.0wt% 100.0wt%
배합예 8 70.0wt% 30.0wt% 100.0wt%
배합예 9 80.0wt% 20.0wt% 100.0wt%
배합예 10 90.0wt% 10.0wt% 100.0wt%
배합예 11 99.0wt% 1.0wt% 100.0wt%
상기 비자와 초두구는 분말 형태로서,
시료의 5~15배에 해당되는 70% 에탄올에 넣어 상온에서 24~72시간 침지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회전감압농축기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기로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비자 또는 초두구를 70% 에탄올과 1:10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상온에서 24~72시간 동안 침지추출 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회전감압농축기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기로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비자는 우리나라의 남부지방과 일본에 자생하는 비자나무는 주목과의 상록교목으로 비자나무의 성숙된 종자에서 종피를 제거하고 건조한 것을 비자라 한다. 식용증진, 소화촉진, 변비 및 치질 치료 등의 약리작용을 나타내며, 십이지장충 및 구충제로 이용한다. 비자에서 추출한 기름은 식용하며, 머릿기름이나 연료로도 사용되어 왔다. 비자나무에 관한 선행연구로는 비자에 함유된 지방질과 sterol 성분, desmethylsterol 조성 및 비자유의 지질대사와 이와 관련된 효소발현 등에 대한 연구된바 있으며, 비자의 살충효과 및 항균성에 대해 보고된 바 있다.
상기 초두구는 생강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과피를 제거한 종자로 진토제, 건위제 등의 한약제로 사용되고 있다. 초두구 성분으로는 diary iheptanoids, flavonoids, monoterpenes, sesquiterpenoids와 stilbenes 등의 성분이 알려져 있다. 초두구 추출물을 이용한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활성, 항로타바이러스 활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었을 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는 실정이다.
상기 비자는 살충, 항균효과 외에 항산화 효과를 가지며, 상기 초두구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활성, 항로타바이러스 활성외에 항산화 효과를 가지며, 상기 항산화 효과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자 에탄올추출물 (TNE), 초두구 에탄올추출물 (AKE)을 1.0~99.0wt% 비율별로 혼합하여 DPPH 기본 시험에서 Vitamin C와 비교한 결과 항산화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항산화 효과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자 에탄올추출물 (TNE), 초두구 에탄올추출물 (AKE)을 1.0~99.0wt% 비율별로 혼합하여 ABTS 기본 시험에서 Vitamin C와 비교한 결과 항산화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시트마스크팩전용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고보습 시트마스크팩은 2가지 실시예로 제시된다.
제1실시예는,
정제수(Water) 70.0~80.0wt%; 디소듐 EDTA(Disodium EDTA) 0.01~0.05wt%; 뷰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피이지/피피지-17/6코폴리머(PEG/PPG-17/6 Copolymer)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기본베이스 조성물 10~15wt%; 글리세린(Glycerin) 4.0~8.0wt%; 뷰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4~8wt%; 베타인(Betaine) 0.1~0.5wt%; 나이아신아미드(Niacinamide) 0.05~0.3wt%; 바이오사카라이드 검-1(Biosaccharide Gum-1) 0.005~0.03wt%;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05~0.3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100wt%의 제1조성물 73.0~78.0wt%와,
정제수(Water) 90.0~96.0wt%; 소듐 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4.0~10.0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제2조성물 1.0~3.0wt%와,
뷰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96.0~99.5wt%; 크산탄 검(Xanthan Gum) 0.5~4.0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제3조성물 7.0~13.0wt%와,
정제수(Water) 96.0~99.5wt%; 카보머(Carbomer) 0.5~4.0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제4조성물 7.0~13.0wt%와,
에탄올(Ethanol) 47.0~55.0wt%;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4.0~10.0wt%; 클로르페네신(Chlorphenesine) 4.0~10.0wt%; 1,2-헥산디올(1,2-Hexanediol) 30.0~37.0wt%; 향료(Fragrance) 0.4~1.5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제5조성물 1.5~4.5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시트마스크팩 화장품(A) 60.0~99.5wt%와,
비자추출물분말 1.0~99.0wt%와 초두구추출물분말 1.0~99.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시트마스크팩전용 항산화 조성물(B) 0.5~40.0wt%의 혼합(A+B)으로 조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조성물 75.5wt%, 제2조성물 1.58wt%, 제3조성물 10.0wt%, 제4조성물 10.0wt%, 제5조성물 2.92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시트마스크팩 화장품(A) 85.0wt%와,
비자추출물분말 20.0wt%와 초두구추출물분말 80.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시트마스크팩전용 항산화 조성물(B) 15.0wt%의 혼합(A+B)으로 조성된다.
제2실시예는,
정제수(Water) 70.0~80.0wt%; 디소듐 EDTA(Disodium EDTA) 0.01~0.05wt%; 판테놀(Panthenol),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피이지/피피지-17/6코폴리머(PEG/PPG-17/6 Copolymer)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기본베이스 조성물 10~15wt%; 글리세린(Glycerin) 4.0~8.0wt%; 뷰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4~8wt%; 베타인(Betaine) 0.1~0.5wt%; 나이아신아미드(Niacinamide) 0.05~0.3wt%; 바이오사카라이드 검-1(Biosaccharide Gum-1) 0.005~0.03wt%;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05~0.3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100wt%의 제1조성물 73.0~78.0wt%와,
정제수(Water) 96.0~99.5wt%; 소듐 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0.5~4.0wt% ;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제2조성물 7.0~13.0wt%와,
뷰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90.0~96.0wt%; 크산탄 검(Xanthan Gum) 4.0~10.0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제3조성물 1.0~3.0wt%와,
정제수(Water) 96.0~99.5wt%; 카보머(Carbomer) 0.5~4.0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제4조성물 7.0~13.0wt%와,
에탄올(Ethanol) 47.0~55.0wt%;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4.0~10.0wt%; 클로르페네신(Chlorphenesine) 4.0~10.0wt%; 1,2-헥산디올(1,2-Hexanediol) 30.0~37.0wt%; 향료(Fragrance) 0.4~1.5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제5조성물 1.5~4.5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시트마스크팩 화장품(A) 60.0~99.5wt%와,
비자추출물분말 1.0~99.0wt%와 초두구추출물분말 1.0~99.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시트마스크팩전용 항산화 조성물(B) 0.5~40.0wt%의 혼합(A+B)으로 조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조성물 75.5wt%, 제2조성물 10.0wt%, 제3조성물 1.58wt%, 제4조성물 10.0wt%, 제5조성물 2.92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시트마스크팩 화장품(A) 85.0wt%와,
비자추출물분말 20.0wt%와 초두구추출물분말 80.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시트마스크팩전용 항산화 조성물(B) 15.0wt%의 혼합(A+B)으로 조성된다.
상기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차이는 시트마스크팩의 원료인 기본 베이스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조성물을 적용하기 위한 시트마스크팩의 원료 기본 베이스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시트마스크팩의 원료 기본 베이스는 성분조성 및 배합비에 따른 2가지 실시예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기본 베이스는 Butylene glycol, Glycereth-26, PEG/PPG-17/6 Copolymer의 배합으로 조성되는 것으로서,
기본베이스 조성물은 뷰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63.0~69.0wt%,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22.0~30.0wt%, 피이지/피피지-17/6코폴리머(PEG/PPG-17/6 Copolymer) 4.0~9.0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아래의 표 2와 같이 배합조성된 Hydropharm 131이다.
원료명 함량(wt%)
Butylene glycol 66.70
Glycereth-26 26.65
PEG/PPG-17/6 Copolymer 6.65
Total 100.00
실시예 2에 따른 기본 베이스는 Panthenol, Glycereth-26, PEG/PPG-17/6 Copolymer의 배합으로 조성되는 것으로서,
판테놀(Panthenol) 5.0~10.0wt%와,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57.0~65.0wt%, 피이지/피피지-17/6코폴리머(PEG/PPG-17/6 Copolymer) 28.0~33.0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아래의 표 3과 같이 배합조성된 Hydropharm EG이다.
원료명 함량(wt%)
Panthenol 7.70
Glycereth-26 61.55
PEG/PPG-17/6 Copolymer 30.75
Total 100.00%
상기 표 2에 제시된 Hydropharm 131와 표 3에 제시된 Hydropharm EG를 이용한 시트마스크팩 화장품 제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의 표 4 및 표 5와 같다.
구분 원료명 wt%



A



Water 55.0700
Disodium EDTA 0.0200
Hydropharm 131* 10.0000
Glycerin 5.0000
Butylene Glycol 5.0000
Betaine 0.2000
Niacinamide 0.1000
Biosaccharide Gum-1 0.0100
Triethanolamine 0.1000
B
Water 1.5000
Sodium Hyaluronate 0.0800
C
Butylene Glycol 9.9000
Xanthan Gum 0.1000
D
Water 9.9000
Carbomer 0.1000

E


Ethanol 1.5000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0.2000
Chlorphenesine 0.2000
1,2-Hexanediol 1.0000
Fragrance 0.0200
합계 100.0000
* Hydropharm 131은 Butylene glycol 66.70wt%, Glycereth-26 26.65wt%, PEG/PPG-17/6 Copolymer 6.65wt%을 혼합하여 100wt%로 조성된 것을 사용한다.
구분 원료명 wt%



A



Water 55.0700
Disodium EDTA 0.0200
Hydropharm EG* 10.0000
Glycerin 5.0000
Butylene Glycol 5.0000
Betaine 0.2000
Niacinamide 0.1000
Biosaccharide Gum-1 0.0100
Triethanolamine 0.1000
B
Water 9.9000
Sodium Hyaluronate 0.1000
C
Butylene Glycol 1.5000
Xanthan Gum 0.0800
D
Water 9.9000
Carbomer 0.1000

E


Ethanol 1.5000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0.2000
Chlorphenesine 0.2000
1,2-Hexanediol 1.0000
Fragrance 0.0200
합계 100.0000
* Hydropharm EG는 Panthenol 7.70wt%, Glycereth-26 61.55wt%, PEG/PPG-17/6 Copolymer 30.75wt%을 혼합하여 100wt%로 조성된 것을 사용한다.
표 1에 제시된 배합예 1에 따른 비자, 초두구 혼합물 15.0wt%와,
상기 표 4에 제시된 시트마스크팩 화장품 제형 85.0wt%를 혼합하여 제조된 시트마스팩을 통해 피부보습 시험, 세포 생존율 시험, 피부 첩포에 의한 일차자극 인체적용시험을 아래와 같이 실시하였다.
< 피부보습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시트마스크팩의 인체적용시험은 청운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의뢰하여 (주)엘리드에서 시험 연구한 결과로서, 엘리드 기관생명 윤리위원회 표준운영지치(ver. 3.0)에 의거하여 승인 후에 (주)엘리드 표준 운용 절차(EL-P-7400)에 따라 연구를 수행한 결과이다.
1. 시험방법
가. 연구 대상자
등록 연구 대상자(명) 20
최종 완료 연구 대상자 20
평균연령 ± 표준편차 40.35 ± 8.53
성별
나. 시험기간: 1일
다. 측정시점: 시료 적용 전 및 적용 직 후
라. 시료 적용 방법: 세안 후 안면부에 마스크팩을 20분간 적용 후 떼어내고 피부에 가볍게 두드려 흡수시킴
마. 평가방법
1) 시료 적용 전
- Corneometer를 이용한 피부 볼 부위의 보습 평가
- 시료 적용 방법: 세안 후, 안면부에 마스크팩을 20분 간 적용 후 떼어 내고 피부에 가볍게 두드려 흡수시킴
2) 시료 적용 직 후
- Corneometer를 이용한 피부 볼 부위의 보습 평가
- 연구 대상자에 의한 주관적 설문평가
바. 효능평가 방법
1) 기기적 평가
- 기기적 평가는 시료 적용 전 및 적용 직 후 실시하였으며, 피부 볼 부위에서의 보습량을 Corneometer CM825(Courage and Khazaka, Germany)로 3회 측정 후의 평균값을 구하여 평가하였다. 보습량이 높으면 측정값이 높아지고, 낮으면 측정값이 낮아진다.
- Corneometer를 이용한 피부 보습량 증가율은 다음의 공식 (1)을 이용하였다.
피부 보습량의 증가율(%) = [(시료 적용 후 측정값 - 시료 적용 전 측정값) / 시료 적용 전 측정값 ] × 100 ---- (1)
2) 주관적 설문평가
- 연구 대상자를 대상으로 시료의 일반적 평가(사용감), 효능성 평가, 시료에 대한 호감도 및 안전성 등을 조사하였다.
사. 연구 결과
Corneometer를 이용한 메이크업 보습값 측정 결과 및 통계분석 결과는 다음의 표 7, 표 8 및 도 3과 같다.
피부 보습값 (평균 ± 표준편차)
시료 적용 전 시료 적용 직 후
A.U. 63.312 ± 7.265 74.937 ± 5.119
피부 보습값의 통계 분석 결과
시료 적용 전 vs. 적용 직 후
p-value <0.001***
Probability p(paired t-test, significant; *** p<0.001)
피부 보습을 평가하기 위해, Corneometer를 이용하여 볼 부위의 피부 보습값을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피부 보습 측정값은 시료 적용 전에 비하여 시료 적용 직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 하였다.(p<0.001)
또한, 피부 보습값의 개별 증가율은 다음의 표 9와 같다.
시료에 의한 피부 보습값의 연구 대상자 개별 증가율(평균, %)
적용 직 후
개별 증가율(%) 19.178
피부 보습을 평가하기 위해, Corneometer를 이용하여 볼 부위의 피부 보습값을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피부 보습 측정값은 시료 적용 전에 비하여 시료 적용 직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하였다(p<0.001).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마스크팩은 적용 직 후에 피부 보습 증가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평가 기간 동안 특별한 피부 이상 반응[itching(가려움) 등의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과 vesicle(수포) 등의 인체적 징후] 을 나타내지 않았다.
< 세포 생존율 시험 >
본 발명에 따른 시트마스크팩의 세포 생존율 시험은 청운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의뢰한 SJ-TNAKE 시료의 세포생존율 연구하였고, (주)엘리드 오송연구소 표준 운용 절차(EL-7400-V/812)에 따라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절차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험방법
가. 세포주 선택 및 세포배양
시료의 세포생존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HaCaT 세포를 사용하였다. 세포를 100 mm2 culture dish에 1.5 × 106 cells/dish로 접종한 후 페니실린 (100 IU/mL), 스트렙토마이신( 100 ㎍/mL), 10% Fetal bovine serum (FBS)를 함유하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배지를 넣고 37℃,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Sanyo, Japan) 내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는 매 2일 간격으로 계대배양하였으며, 8~15 passage에 해당하는 세포를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나. MTT(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assay 법을 이용한 세포생존 시험
MTT assay 법은 세포의 탈 수소 효소작용에 의하여 노란색을 띄는 수용성 기질인 MTT tetrazolium을 적자색을 띄는 formazan으로 환원시키는 미토콘드리아의 능력을 측정하는 검사법이다. MTT의 환원은 대사가 활발한 세포에서만 일어나므로 시료의 세포생존을 평가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계대배양한 HaCaT 세포를 96-well plate에 1.5 × 104 cells/well로 분주하고 37℃,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 media를 serum free media로 교체하였다. 이어서 최종처리 농도가 0.5, 1, 5, 10 ㎍/mL이 되도록 SJ-TNAKE를 세포에 처리하였으며, 양성대조군(SDS)은 최종처리 농도가 1, 10, 100, 1000 ㎍/mL이 되도록 SDS를 세포내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세포배양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 후 차광상태에서 MTT solution(5mg/mL) 20uL를 각 well에 처리하여 2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상등액을 제거하고, 생성된 formazan을 DMSO 150 마이크로리터로 완전히 용해시킨 후 microplate reader(Biotek Synergy-HT, USA)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생존 시험은 3회 반복 실시 하였으며, 그 결과값은 아래 식으로 계산하여 무처리군 대비 세포생존율로 나타내었으며 3회 실험의 평균값±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세포생존율(%) = ( 시료 처리군 흡광도 / 시료 무처리군 흡광도 ) × 100
2. 시험결과
시료 SJ-TNAKE 0.5, 1, 5, 10 μg/mL과 양성 대조군인 SDS를 각각 1, 10, 100, 1000 μg/mL으로 HaCaT 세포에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MTT assay법을 이용하여 세포생존을 측정한 결과 얻어진 540 nm에서의 흡광도 측정값 및 세포생존율을 아래의 표 12, 13에 나타내었으며 또한 그 결과를 도 4, 5, 6 및 7과 같이 그래프로 표시하였다. 무처리군 대비 SJ-TNAKE의 세포생존율은 0.5 μg/mL에서 103.30%, 1 μg/mL에서 104.25%, 5 μg/mL에서 102.56%, 10 μg/mL에서 99.17%였다. 처리 농도에 따른 대비검정 (contrast test)을 실시한 결과 처리농도 0.5, 1 및 5 μg/mL에서 무처리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양성대조군인 SDS 처리 군에서는 무처리군 대비 SDS 1 μg/mL에서 98.32%, 10 μg/mL에서 24.76%, 100 μg/mL에서 4.64%, 1000 μg/mL에서 4.53%의 세포생존율을 각각 나타내었으며 처리 농도에 따른 대비검정 (contrast test)을 실시한 결과 처리농도 10, 100 및 1000 μg/mL에서 무처리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시험은 3회 반복 실시하였으며 각 반복 시험별 결과값은 표 14, 15, 16 및 17과 같다.
효과 검정 결과 SJ-TNAKE 농도별 처리 후 비교
자유도 유의확률
농도 4 <0.0011
Probability p(Freiedman two-way anaysis of variance by ranks test 1 )
효과 검정 결과 SDS 농도별 처리 후 비교
자유도 유의확률
농도 4 <0.0011
Probability p(Freiedman two-way anaysis of variance by ranks test 1 )
SJ-TNAKE 처리군의 흡광도 측정값 및 세포 생존율(평균 ± 표준편차)
시료농도(㎍/mL) 0
(무처리군 a)
0.5 1 5 10
흡광도(OD 540) 1.056±0.060 1.092±0.072 1.101±0.064 1.083±0.064 1.048±0.072
세포생존율(%) 100.00±0.00 103.30±0.75 104.25±0.27 102.56±0.33 99.17±1.16
p-value b - 0.013* 0.008** 0.008** 0.441
a: 무처리군 = 배양액만을 처리한 군
b: Probability p (Wilcoxon signed rank test, significant; *p<0.05, **p<0.01)
양성대조군(SDS) 처리군의 흡광도 측정값 및 세포생존율(평균 ± 표준 편차)
시료농도(㎍/mL) 0
(무처리군 a)
0.5 1 5 10
흡광도(OD 540) 1.056±0.060 1.038±0.056 0.262±0.030 0.049±0.002
0.048±0.003
세포생존율(%) 100.00±0.00 98.32±0.81 24.76±0.90 4.64±0.20 4.53±0.24
p-value b - 0.066 0.008** 0.008** 0.008**
a: 무처리군 = 배양액만을 처리한 군
b: Probability p (Wilcoxon signed rank test, significant; **p<0.01)
SJ-TNAKE 처리군의 각 반복 시험 별 흡광도
흡광도(OD 540)
1차 시험 2차 시험 3차 시험 평균±표준편차
무처리군 1.087 무처리군 1.104 무처리군 0.978 1.056±0.060
0.5㎍/mL 1.130 0.5㎍/mL 1.145 0.5㎍/mL 1.000 1.092±0.072
1㎍/mL 1.137 1㎍/mL 1.148 1㎍/mL 1.018 1.101±0.064
5㎍/mL 1.120 5㎍/mL 1.131 5㎍/mL 1.000 1.083±0.064
10㎍/mL 1.093 10㎍/mL 1.096 10㎍/mL 0.956 1.048±0.072
SJ-TNAKE 처리군의 각 반복 시험 별 세포생존율
무처리군 대비 세포생존율(%)
1차 시험 2차 시험 3차 시험 평균±표준편차
무처리군 100.00 무처리군 100.00 무처리군 100.00 100.00±0.00
0.5㎍/mL 103.96 0.5㎍/mL 103.68 0.5㎍/mL 102.25 103.30±0.75
1㎍/mL 104.63 1㎍/mL 104.02 1㎍/mL 104.09 104.25±0.27
5㎍/mL 103.01 5㎍/mL 102.42 5㎍/mL 102.25 102.56±0.33
10㎍/mL 100.55 10㎍/mL 99.25 10㎍/mL 97.72 99.17±1.16
양성대조군(SDS) 처리군의 각 반복 시험 별 흡광도
흡광도(OD 540)
1차 시험 2차 시험 3차 시험 평균±표준편차
무처리군 1.087 무처리군 1.104 무처리군 0.978 1.056±0.060
1㎍/mL 1.070 1㎍/mL 1.074 1㎍/mL 0.971 1.038±0.056
10㎍/mL 0.263 10㎍/mL 0.287 10㎍/mL 0.236 0.262±0.030
100㎍/mL 0.048 100㎍/mL 0.051 100㎍/mL 0.048 0.049±0.002
1000㎍/mL 0.046 1000㎍/mL 0.051 1000㎍/mL 0.046 0.048±0.003
양성대조군(SDS) 처리군의 각 반복 시험 별 흡광도 및 세포생존율
무처리군 대비 세포생존율(%)
1차 시험 2차 시험 3차 시험 평균±표준편차
무처리군 100.00 무처리군 100.00 무처리군 100.00 100.00±0.00
1㎍/mL 98.44 1㎍/mL 97.28 1㎍/mL 99.25 98.32±0.81
10㎍/mL 24.16 10㎍/mL 26.03 10㎍/mL 24.10 24.76±0.90
100㎍/mL 4.39 100㎍/mL 4.65 100㎍/mL 4.87 4.64±0.20
1000㎍/mL 4.20 1000㎍/mL 4.65 1000㎍/mL 4.74 4.53±0.24
< 피부 첩포에 의한 일차자극 인체적용시험 >
(주)KC피부임상연구센터 표준 운용 절차(SOP)에 따라 연구를 수행한 결과이다.
1. 시험 제품
제품명 성상 농도
SJ-TNAKE 갈색 액상 100%
- 사용 부위: 등
- 사용 방법: 시험제품은 25㎕씩 IQ Ultra에 적하 시킨 후 시험부위(등)에 부착하여 고정시켰다. 판정은 판정 기준에 따라 전문가에 의해 패치 제거 1시간, 24시간 후에 이루어졌다.
- 평가 기준
기호 Grade 판정기준
- 0 Negative
+ 1 Slight erythema, either spotty or diffuse
++ 2 Moderate uniform erythema
+++ 3 Intense erythema with edema
++++ 4 Intense erythema with edema & vesicles
2. 시험 방법
가. 시험대상자 방문 및 진행 일정
1) 방문 1: 시험대상자 동의 및 시험대상자 선정 및 제외 기준 확인
패치 부착 전 피부 상태 확인 및 사진 촬영
패치 부착
2) 방문 2: 패치 제거 (패치 부착 24시간 후)
패치 제거 1시간 후 사진 촬영
피부 자극 및 이상반응 확인
3) 방문 3: 패치 제거 24시간 후 (패치 부착 48시간 후) 사진 촬영
피부 자극 및 이상반응 확인
나. 피부 측정 방법 및 절차
피부 상태 확인을 위해 시험대상자는 준비된 가운으로 상의를 갈아입은 후 항온항습 조건(온도20~24℃, 습도40~60%)의 공간에서 약 30분간 피부 안정을 취해 측정 환경에 적응하도록 하였다. 시험제품 적용 부위를 촬영하였고, 매번 같은 조건에서 숙련된 연구자 2명에 의해 피부 반응 확인이 진행되었다.
다. 피부 효능 평가 항목
1) 패치 부착
시험대상자의 등 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킨 다음, 시험제품은 25㎕씩 IQ Ultra에 적하 시킨 후 시험부위(등)에 부착하여 고정시켰다.
2) 피부 자극 확인
2명의 전문가에 의하여 패치 제거 1시간, 24시간 후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ICDRG)의 판정기준에 따라 자극 정도를 관찰하였다.
3) 피부 자극 지수 계산 방법

Figure 112017061806856-pat00001
피부자극지수 구분
0.00 - 0.25 비자극성
0.26 - 1.00 약한 자극성
1.01 - 2.50 중등도 자극성
2.51 - 4.00 강한 자극성
3. 시험 결과
가. 시험대상자 정보
시험대상자 정보
시험 시작 시험대상자 33명
중도 탈락자 0명
시험 완료 시험대상자 33명
성별 33명
평균 나이 44.061±6.986세
나. 피부 자극 판정 결과
1) 피부 자극 판정 결과
“SJ-TNAKE”의 피부 첩포 일차자극 인체적용시험 진행 결과, “SJ-TNAKE”의 피부 자극 지수는 0.02로 비자극 제품으로 판정되었다.
피부 자극 판정 결과
피부 자극 판정 결과
시험제품명 피부반응도(명) 평균
피부반응도
피부
자극지수
1시간 후 24시간 후
SJ-TNAKE 1 0 0.03 0.02
다. 시험대상자 이상반응 평가 결과
시험대상자 이상반응 평가 결과
피부 이상반응(명, 단계 평균)
시간 홍반 부종 인설 가려움 자통 작열감 뻣뻣함 따끔거림
패치 제거 1시간 후
-

-

-

-

-

-

-

-
패치 제거 24시간 후
-

-

-

-

-

-

-

-
단계 = 1:약함, 2: 중간, 3: 심함
본 발명에 따른 비자, 초두구를 활용한 시트마스크팩전용 항산화 조성물은 비자추출물분말와 초두구추출물분말의 적정 배합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통해 항산화능과 보습효과가 뛰어난 시트마스크팩전용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Claims (6)

  1. 비자추출물분말 20.0wt%와 초두구추출물분말 80.0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자 및 초두구를 활용한 시트마스크팩전용 항산화 조성물.
  2. 삭제
  3. 정제수(Water) 70.0~80.0wt%; 디소듐 EDTA(Disodium EDTA) 0.01~0.05wt%; 뷰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피이지/피피지-17/6코폴리머(PEG/PPG-17/6 Copolymer)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기본베이스 조성물 10~15wt%; 글리세린(Glycerin) 4.0~8.0wt%; 뷰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4~8wt%; 베타인(Betaine) 0.1~0.5wt%; 나이아신아미드(Niacinamide) 0.05~0.3wt%; 바이오사카라이드 검-1(Biosaccharide Gum-1) 0.005~0.03wt%;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05~0.3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100wt%의 제1조성물 73.0~78.0wt%와,
    정제수(Water) 90.0~96.0wt%; 소듐 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4.0~10.0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제2조성물 1.0~3.0wt%와,
    뷰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96.0~99.5wt%; 크산탄 검(Xanthan Gum) 0.5~4.0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제3조성물 7.0~13.0wt%와,
    정제수(Water) 96.0~99.5wt%; 카보머(Carbomer) 0.5~4.0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제4조성물 7.0~13.0wt%와,
    에탄올(Ethanol) 47.0~55.0wt%;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4.0~10.0wt%; 클로르페네신(Chlorphenesine) 4.0~10.0wt%; 1,2-헥산디올(1,2-Hexanediol) 30.0~37.0wt%; 향료(Fragrance) 0.4~1.5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제5조성물 1.5~4.5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시트마스크팩 화장품(A) 85.0wt%와,
    청구항 1의 시트마스크팩전용 항산화 조성물(B) 15.0wt%의 혼합(A+B)으로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고보습 시트마스크팩.
  4. 정제수(Water) 70.0~80.0wt%; 디소듐 EDTA(Disodium EDTA) 0.01~0.05wt%; 판테놀(Panthenol),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피이지/피피지-17/6코폴리머(PEG/PPG-17/6 Copolymer)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기본베이스 조성물 10~15wt%; 글리세린(Glycerin) 4.0~8.0wt%; 뷰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4~8wt%; 베타인(Betaine) 0.1~0.5wt%; 나이아신아미드(Niacinamide) 0.05~0.3wt%; 바이오사카라이드 검-1(Biosaccharide Gum-1) 0.005~0.03wt%;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05~0.3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100wt%의 제1조성물 73.0~78.0wt%와,
    정제수(Water) 96.0~99.5wt%; 소듐 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0.5~4.0wt% ;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제2조성물 7.0~13.0wt%와,
    뷰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90.0~96.0wt%; 크산탄 검(Xanthan Gum) 4.0~10.0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제3조성물 1.0~3.0wt%와,
    정제수(Water) 96.0~99.5wt%; 카보머(Carbomer) 0.5~4.0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제4조성물 7.0~13.0wt%와,
    에탄올(Ethanol) 47.0~55.0wt%;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4.0~10.0wt%; 클로르페네신(Chlorphenesine) 4.0~10.0wt%; 1,2-헥산디올(1,2-Hexanediol) 30.0~37.0wt%; 향료(Fragrance) 0.4~1.5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제5조성물 1.5~4.5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시트마스크팩 화장품(A) 85.0wt%와,
    청구항 1의 시트마스크팩전용 항산화 조성물(B) 15.0wt%의 혼합(A+B)으로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고보습 시트마스크팩.
  5. 청구항 3에 있어서,
    기본베이스 조성물은 뷰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66.70wt%,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26.65wt%, 피이지/피피지-17/6코폴리머(PEG/PPG-17/6 Copolymer) 6.65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고보습 시트마스크팩.
  6. 청구항 4에 있어서,
    기본베이스 조성물은 판테놀(Panthenol) 7.70wt%와,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61.55wt%, 피이지/피피지-17/6코폴리머(PEG/PPG-17/6 Copolymer) 30.75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고보습 시트마스크팩.







KR1020170081527A 2017-06-28 2017-06-28 비자, 초두구를 포함하여 조성된 시트마스크팩 전용 항산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항산화·고보습 시트마스크팩 KR101978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527A KR101978877B1 (ko) 2017-06-28 2017-06-28 비자, 초두구를 포함하여 조성된 시트마스크팩 전용 항산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항산화·고보습 시트마스크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527A KR101978877B1 (ko) 2017-06-28 2017-06-28 비자, 초두구를 포함하여 조성된 시트마스크팩 전용 항산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항산화·고보습 시트마스크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662A KR20190001662A (ko) 2019-01-07
KR101978877B1 true KR101978877B1 (ko) 2019-05-16

Family

ID=65016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527A KR101978877B1 (ko) 2017-06-28 2017-06-28 비자, 초두구를 포함하여 조성된 시트마스크팩 전용 항산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항산화·고보습 시트마스크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8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632B1 (ko) * 2019-12-30 2020-04-06 정은우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875B1 (ko) * 1998-11-07 2001-11-14 정찬복 초두구추출물을함유하는화장료
KR101081200B1 (ko) 2008-11-26 2011-11-07 (주)아모레퍼시픽 초두구 추출물 및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66822B1 (ko) 2008-12-10 2015-11-06 (주)아모레퍼시픽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증상 개선 증진용 화장료조성물
KR101648466B1 (ko) 2009-10-26 2016-08-16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55714B1 (ko) * 2009-11-17 2012-06-12 (주)아모레퍼시픽 비자나무의 미성숙 열매 또는 종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84656B1 (ko) 2010-12-02 2013-07-10 김미량 화장료 조성물
KR101785498B1 (ko) * 2015-11-13 2017-10-16 성훈경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662A (ko) 201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416B1 (ko)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769422B1 (ko) 다중기능성 세럼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CN111481481A (zh) 一种金丝皇菊纳米技术护肤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494661B1 (ko) 흑마늘박 발효물을 포함하는 두피 또는 모발 케어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55342B1 (ko) 초정 광천수를 함유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CN110123653A (zh) 一种含有γ-氨基丁酸苦参碱离子液体的护肤品
KR20120056594A (ko) 모자반 추출물, 청각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6309340A (zh) 一种柚子汁抗皱去纹护肤配方
CN108852951A (zh) 一种润肤洁肤组合物及植物沐浴露
US20150182443A1 (e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extract composition with whitening skin-care function adn its preparation method
KR20110110995A (ko) 초정 광천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KR10242934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5342933B (zh) 一种中药复方洁面泡腾片及其制备方法
KR101397160B1 (ko)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2092B1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8877B1 (ko) 비자, 초두구를 포함하여 조성된 시트마스크팩 전용 항산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항산화·고보습 시트마스크팩
CN104814916A (zh) 补水保湿精华素及制备方法
KR20150106070A (ko) 여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세안제품
KR101869763B1 (ko) 무좀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581166B1 (ko) 황칠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09951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
KR101985660B1 (ko) 누룩으로 발효시킨 복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8303A (ko)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91494B1 (ko) 피부의 볼륨 증가 촉진용 조성물
KR102289943B1 (ko)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