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648B1 - 코골이 방지 모션 침대 - Google Patents

코골이 방지 모션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648B1
KR101978648B1 KR1020180145071A KR20180145071A KR101978648B1 KR 101978648 B1 KR101978648 B1 KR 101978648B1 KR 1020180145071 A KR1020180145071 A KR 1020180145071A KR 20180145071 A KR20180145071 A KR 20180145071A KR 101978648 B1 KR101978648 B1 KR 101978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mattress
weight
sign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닥터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닥터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닥터웰
Priority to KR1020180145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6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8Use of remot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3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beds 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 모션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전방측에 프레임헤드(15)가 설치된 프레임(10)과; 프레임(10)에 안착되는 매트리스(20)와;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상기 매트리스(20)를 부분 경사 및 승강시키는 링크조립체(30)와; 링크조립체(30)를 작동시키는 링크구동부(40)와; 메트리스(20)로부터 설정된 값 이상의 소음을 측정하였을 때 대응되는 기준소음신호(S3)를 발생하는 소음측정부(70)와; 기준소음신호(S3)가 발생되었을 때 상기 매트리스(20)를 부분 경사 및 승강되도록 상기 링크구동부(40)를 작동시키는 구동제어부(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골이 방지 모션 침대{AUTOMATED ANTI-SNORING MOTION BED}
본 발명은 매트리스를 부분적으로 승강시키는 모션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면 도중 코를 골 때 매트리스를 자동으로 움직여 코골이를 멈추게 할 수 있는 코골이 방지 모션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프레임에 쿠션을 가지는 매트리스가 안착된 기본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대부분의 가정에 보급되어 수면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이때 숙면을 유도하기 위하여, 누울때 편안한 체형이 되도록 쿠션을 특화하거나, 매트리스 내부에 탄성이 우수한 스프링을 내장하는 등의 다양한 시도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침대를 단순히 취침 용도로만 사용하지 않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매트리스를 부분적으로 승강시키기는 모션 침대가 소개되고 있다. 모션침대는 지면을 지지하는 프레임에 매트리스가 안착되고, 프레임에는 매트리스를 부분 승강시키는 링크조립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모션 베드는, 사용자가 링크조립체를 구동시켜 매트리스의 각도를 조절하며, 단순히 취침 용도뿐만 아니라 독서, TV 시청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수면을 취하는 사람은 정도 차이는 있으나 몸이 매우 피곤할 때나, 코의 구조적인 문제에 의하여 수면도중 코를 고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본인은 수면의 질이 저하되거나 수면무호흡증에 의하여 숙면을 이루지 못하였고, 만성기관지염이나 돌연사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코를 골때 함께 자는 배우자는 코고는 소리에 의하여 숙면을 이루지 못하고, 심할 경우에는 잠을 깨서 다시 수면을 취할 수가 없었다.
이러한 코고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기구, 약물이나 치료법이 소개되고 있으나, 사용자에 따라 효과나 효능이 발휘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기구나 약물을 사용하지 않고, 침대의 모션을 이용하여 코골이를 방지할 수 있는 코골이 방지 모션 침대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취침 도중 코를 골때 매트리스가 움직이면서 코골이를 멈추게 할 수 있는 코골이 방지 모션 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 모션 침대는,
지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전방측에 프레임헤드(15)가 설치된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상호 분리된 제1,2매트리스(21)(22);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매트리스(21)(22)를 독립적으로 부분 경사 및 승강시키는 제1,2링크조립체(31)(32); 상기 제1,2링크조립체(31)(32)를 작동시키는 링크구동부(40); 상기 제1매트리스(21)에서 설정된 값 이상의 무게증가를 감지하였을 때 대응되는 제1기준무게신호(S1a)를 발생하는 제1무게측정부(51); 상기 제2매트리스(22)에서 설정된 값 이상의 무게증가를 감지하였을 때 대응되는 제2기준무게신호(S1b)를 발생하는 제2무게측정부(52); 주위 조도를 측정하여 설정된 값 이하의 조도를 감지하였을 때 대응되는 기준조도신호(S2)를 발생하는 조도측정부(60); 상기 제1매트리스(21)에서 설정된 값 이상의 소음을 측정하였을 때 대응되는 제1기준소음신호(S3a)를 발생하는 제1소음측정부(71); 상기 제2매트리스(22)에서 설정된 값 이상의 소음을 측정하였을 때 대응되는 제2기준소음신호(S3b)를 발생하는 제2소음측정부(72); 상기 제1,2소음측정부(71)(72)에서 측정된 소음에 100~2000Hz 주파수의 소음이 포함될 경우 기준주파수신호(S4)를 발생하는 기준주파수감지부(80); 및 상기 제1,2매트리스(21)(22)에 취침 목적으로 누워있는 사람이 코골이를 하고 있다라는 것을 의미하는 상기 제1,2기준무게신호(S1a)(S1b), 기준조도신호(S2), 제1,2기준소음신호(S3a)(S3b) 및 기준주파수신호(S4)가 모두 발생되었을 때 상기 제1,2매트리스(21)(22)를 부분 경사 및 승강되도록 상기 링크구동부(40)를 작동시키는 구동제어부(9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무게측정부(51)는, 상기 프레임(10)의 좌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기준무게신호(S1a)를 발생하는 제1무게센서(51a)와, 상기 제1무게센서(51a)와 제1매트리스(21)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제1무게센서(51a)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제1플레이트(51b)를 포함하고; 상기 제2무게측정부(52)는, 상기 프레임(10)의 우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기준무게신호(S1b)를 발생하는 제2무게센서(52a)와, 상기 제2무게센서(52a)와 제2매트리스(22)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제2무게센서(52a)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제2플레이트(52b)를 포함하고; 상기 제1소음측정부(71)는, 상기 프레임헤드(15)의 좌측에 제1매트리스(21)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1관부(71a)와, 상기 제1관부(71a)의 내측 바닥에 설치되어 제1관부(71a)로 유입되는 소음을 감지하여 대응되는 상기 제1기준소음신호(S3a)를 발생하는 제1소음센서(71b)를 포함하고; 상기 제2소음측정부(72)는, 상기 프레임헤드(15)의 우측에 제2매트리스(22)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2관부(72a)와, 제2관부(72a)의 내측 바닥에 설치되어 제2관부(72a)로 유입되는 소음을 감지하여 대응되는 상기 제2기준소음신호(S3b)를 발생하는 제2소음센서(7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무게측정부, 조도측정부, 소음측정부 및 기준주파수검지부의 유기적인 작동 관계에 의하여, 취침 도중 코를 골때 매트리스가 자동으로 움직여 코를 고는 것을 멈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인은 물로 배우자의 숙면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 모션침대에 있어 매트리스의 모션 운동을 수행하는 링크조립체가 프레임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매트리스가 프레임에 안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모션 운동을 수행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도 3의 무게측정부가 제1,2무게측정부로 구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도 4의 제1,2무게측정부가 제1,2매트리스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3의 소음측정부가 제1,2소음측정부로 구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제1,2소음측정부가 프레임헤드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 모션 침대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 모션침대에 있어 매트리스의 모션 운동을 수행하는 링크조립체가 프레임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매트리스가 프레임에 안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모션 운동을 수행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 모션 침대는, 지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전방측에 프레임헤드(15)가 설치된 프레임(10)과; 프레임(10)에 안착되는 매트리스(20)와;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상기 매트리스(20)를 부분 경사 및 승강시키는 링크조립체(30)와; 링크조립체(30)를 작동시키는 링크구동부(40)와; 매트리스(20)에서 설정된 값 이상의 무게증가를 감지하였을 때 대응되는 기준무게신호(S1)를 발생하는 무게측정부(50)와; 주위 조도를 측정하여 설정된 값 이하의 조도를 감지하였을 때 대응되는 기준조도신호(S2)를 발생하는 조도측정부(60)와; 메트리스(20)로부터 설정된 값 이상의 소음을 측정하였을 때 대응되는 기준소음신호(S3)를 발생하는 소음측정부(70)와; 상기 소음측정부(70)에서 측정된 소음에 100~2000Hz 주파수의 소음을 포함할 경우 기준주파수신호(S4)를 발생하는 기준주파수감지부(80)와; 기준무게신호(S1), 기준조도신호(S2), 기준소음신호(S3) 및 기준주파수신호(S4)가 발생되었을 때 상기 매트리스(20)를 부분 경사 및 승강되도록 상기 링크구동부(40)를 작동시키는 구동제어부(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코골이 방지 모션 침대는 별도의 리모콘을 구비하여, 리모콘에 의하여 알람을 설정하거나 모션침대의 승강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모콘은 매트리스(20)의 머리 부분, 다리부분, 머리다리 부분을 동시 또는 독립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메트리스(20)는 눕는 사람에게 편안함을 인가하기 위하여 쿠션을 가지며, 후술할 링크조립체(30)에 의하여 부분 승강되어 다양한 경사면을 형성한다.
매트리스(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분리된 제1,2매트리스(21)(22)로 구성된다. 제1,2매트리스(21)(22)는 분리되어 있으므로 부부 각각은 독립된 제1,2매트리스(21)(22)를 사용하며, 이에 따라 일측 매트리스에서 움직임이 발생되더라도, 예를 들면 취침도중에 한 배우자가 뒤척이더라도 뒤척임에 따라 움직임이 타측 매트리스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배우자는 숙면이 방해받지 않게 된다.
한편, 제1,2매트리스(21)(22)는 후술할 제1,2링크조립체(31)(32)에 연동되어 부분 경사 및 승강되는 제1,2플레이트프레임(25)(26)에 의하여 지지되며, 제1,2플레이트프레임(25)(26)은 제1,2매트리스(21)(22)의 머리 부분, 상체 부분, 엉덩이 부분 및 다리 부분을 독립적으로 지지한다. 이때 제1,2플레이트프레임(25)(26) 중 제1,2매트리스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부분을 제1,2전단플레이트프레임(25a)(26a)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제1,2플레이트프레임(25)(26)에 의하여, 쿠션을 가지는 제1,2매트리스(21)(22)는 취침자의 몸무게를 지탱함과 동시에 편편한 상태에서 부분 경사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링크조립체(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매트리스(21)와 제2매트리스(22)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키는 제1,2링크조립체(31)(32)로 구성되고, 이에 따라 제1링크조립체(31)는 제1매트리스(21)를 움직이고, 제2링크조립체(32)는 제2매트리스(21)를 움직인다. 이러한 제1,2링크조립체(31)(32) 각각은 제1,2매트리스(21)(22)의 머리부분, 상체 부분, 엉덩이 부분, 다리부분을 부분적으로 승강시켜 제12매트리스에 여러 경사 각도를 구현한다.
링크구동부(40)는 모터와 기어로 구성되어 링크조립체(30)를 구성하는 제1,2링크조립체(31)(32)를 작동시킨다.
상기 링크조립체(30) 및 링크구동부(40)는 당업계의 모션 베드에 사용되는 링크조립체 및 링크구동부와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도 3의 무게측정부가 제1,2무게측정부로 구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1,2무게측정부가 제1,2매트리스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측정부(50)는, 매트리스(20)에 인가된 설정된 값 이상의 무게증가를 감지하였을 때 대응되는 기준무게신호(S1)를 발생한다. 이러한 무게측정부(50)는, 제1매트리스(21)에서 설정된 값 이상의 무게증가를 감지하였을 때 대응되는 제1기준무게신호(S1a)를 발생하는 제1무게측정부(51)와, 제2매트리스(22)에서 설정된 값 이상의 무게증가를 감지하였을 때 대응되는 제2기준무게신호(S1b)를 발생하는 제2무게측정부(52)를 포함한다. 즉 제1무게측정부(51)는 제1매트리스(21)에 사람이 누웠을 때 인가되는 제1매트리스(21)에서의 무게증가를 감지하여 제1기준무게신호(S1a)를 발생하고, 제2무게측정부(52)는 제2매트리스(22)에 사람이 누웠을 때 인가되는 제2매트리스(22)에서의 무게증가를 감지하여 제2기준무게신호(S1b)를 발생하는 것이다.
제1무게측정부(51)는, 프레임(10)의 좌측에 설치되어 제1기준무게신호(S1a)를 발생하는 제1무게센서(51a)와, 제1무게센서(51a)와 제1매트리스(21)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제1무게센서(51a)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제1플레이트(51b)를 포함한다. 이때 제1플레이트(51b)는 제1무게센서(51a)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짐으로써, 쿠션을 가지는 제1매트리스(21)에서의 무게증가를 제1무게센서(51a)로 확실하게 전달한다.
제1무게측정부(51)는 제1매트리스(21)의 머리부분을 지지하는 제1전단플레이트프레임(25a)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무게측정부(51)에서 측정하는 무게증가는 제1매트리스(21)에 눕는 사람의 머리에 의하여 발생된다.
제2무게측정부(52)는, 프레임(10)의 우측에 설치되어 제2기준무게신호(S1b)를 발생하는 제2무게센서(52a)와, 제2무게센서(52a)와 제2매트리스(22)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제2무게센서(52a)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제2플레이트(52b)를 포함한다. 이때 제2플레이트(52b)는 제2무게센서(52a)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짐으로써, 쿠션을 가지는 제2매트리스(22)의 무게증가를 제2무게센서(52a)로 확실하게 전달한다.
제1,2무게측정부(51)(52) 각각은 제1,2매트리스(21)(22)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제1,2전단플레이트프레임(25a)(26a)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2무게측정부(51)(52)에서 측정하는 무게증가는 제1,2매트리스(21)(22) 각각에 눕는 사람의 머리 무게의 의하여 발생된다.
이러한 제1,2무게측정부(51)(52)에서 발생되는 제1기준무게신호(S1a)나 제2기준무게신호(S1b)에 의하여, 특정 매트리스에 취침을 위하여 취침자가 누었다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조도측정부(60)는 침대 주위 조도를 측정하여 설정된 값 이하의 조도, 예를 들면 야간에 소등하였을 때의 조도를 감지하였을 때 대응되는 기준조도신호(S2)를 발생한다.
도 6은 도 3의 소음측정부가 제1,2소음측정부로 구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제1,2소음측정부가 프레임헤드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측정부(70)는 제1매트리스(21)에서 설정된 값 이상의 소음을 측정하였을 때 대응되는 제1기준소음신호(S3a)를 발생하는 제1소음측정부(71)와, 제2매트리스(22)에서 설정된 값 이상의 소음을 측정하였을 때 대응되는 제2기준소음신호(S3b)를 발생하는 제2소음측정부(72)를 포함한다. 즉 제1소음측정부(71)는 제1매트리스(21)에서 발생되는 취침자의 코골이 소음을 측정하여 제1기준소음신호(S3a)를 발생하고, 제2소음측정부(72)는 제2매트리스(22)에서 발생되는 취침자의 코골이 소음을 측정하여 제2기준소음신호(S3b)를 발생하는 것이다.
이때 제1,2소음즉정부(71)(72)는, 제1,2무게측정부(51)(52)에서 제1,2기준무게신호(S1a)(S1b)가 발생되고, 조도측정부(60)에서 기준조도신호(S2)가 발생되었을 때 작동하며, 평소 제1,2매트리스에 사람이 누워있지 않으면 작동하지 않는다.
제1소음측정부(71)는, 프레임헤드(15)의 좌측에 제1매트리스(21)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1관부(71a)와, 제1관부(71a)의 내측 바닥에 설치되어 제1관부(71a)로 유입되는 소음을 감지하여 대응되는 상기 제1기준소음을 감지하는 제1소음센서(71b)로 구성된다.
제2소음측정부(72)는, 프레임헤드(15)의 우측에 제2매트리스(22)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2관부(72a)와, 제2관부(72a)의 내측 바닥에 설치되어 제2관부(72a)로 유입되는 소음을 감지하여 대응되는 상기 제2기준소음을 감지하는 제2소음센서(72b)로 구성된다.
상기 제1,2기준소음은, 예를 들면 40 에서 80 데시벨로 설정한다. 통상 40 데시벨은 조용한 도서관이나 새 지저귐 정도의 소리이고, 80데시벨은 시끄러운 음악이나 시계 알람소리 정도의 소음이다.
제1,2관부(71a)(72a)는 소정의 깊이를 가지며 제1,2매트리스(21)(22) 각각을 향하도록 프레임헤드(15)에 매립된다. 따라서 제1관부(71a)는 제1매트리스(21)에서 발생되는 코골이 소음을 제1소음센서(71b)로 전달하고, 제2매트리스(21)에서 발생된 코골이 소음은 차단한다. 반대로 제2관부(72a)는 제2매트리스(22)에서 발생된 코골이 소음을 제2소음센서(72b)로 전달하고, 제1매트리스(21)에서 발생된 코골이 소음을 차단한다. 제1관부(71a)(72a)는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관형태로 구현됨으로써, 단순한 구조로 특정 매트리스에서 발생되는 코골이 소음을 해당 소음센서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2소음측정부(71)(72)에서 발생되는 제1기준소음신호(S3a)나 제2기준소음신호(S3b)에 의하여, 특정 매트리스에 누워있는 사람에게서 소음(대화 또는 코골이)이 발생되고 있다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준주파수감지부(80)와 측정된 소음에 100~2000Hz 주파수의 소음이 발생될 경우 기준주파수신호(S4)를 발생한다. 이러한 기준주파수감지부(80)에 의하여, 침대에 누워있는 사람에게서 발생되는 소음이 코골이라는 것을 좀더 확실하게 규정한다.
구동제어부(90)를 기준무게신호(S1)를 구성하는 제1,2기준무게신호(S1a)(S1b), 기준조도신호(S2), 기준소음신호(S3)를 구성하는 제1,2기준소음신호(S3a)(S3b), 기준주파수신호(S4)가 발생되었을 때 해당 제1,2매트리스(21)(22)를 부분 경사지도록 링크구동부(40)를 작동시킨다.
다음 상기 코골이 방지 모션 침대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1,2매트리스(11)(12)에 취침을 위하여 사람이 누우면, 제1,2무게센서(51)(52)는 무게증가를 감지하여 제1,2기준무게신호(S1a)(S1b)를 발생하는데, 이를 제1조건으로 한다.
취침을 위하여 야간에 소등하였을 때 조도측정부(60)는 설정된 값 이하의 조도를 감지하여 기준조도신호(S2)를 발생하는데, 이를 제2조건으로 한다.
제1,2조건이 충족된 상태에서, 제1,2소음측정부(71)(72)가 소음을 측정하여 제1,2기준소음신호(S3a)(S3b)를 발생하는데, 이를 제3조건으로 한다.
그리고 기준주파수감지부(80)가 제1,2소음측정부(71)(72)에서 발생된 소음에서 100~2000Hz 주파수의 소음을 감지하면 이를 제4조건으로 한다.
상기 제1,2,3,4조건이 모두 충족되었을 때, 취침을 위하여 제1,2매트리스(21)(22)에 사람이 눕고, 소등하며, 코를 골고 있다라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이러한 조건들이 충족되면, 링크구동부(40)가 제1,2링크조립체(41)(42)를 작동시켜 제1,2매트리스(21)(22)를 움직이고, 이에 따라 코골이를 멈추게 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무게측정부(50), 조도측정부(60), 소음측정부(60) 및 기준주파수검지부(80)의 유기적인 작동 관계에 의하여, 취침 도중 코를 골때 매트리스(20)가 자동으로 움직여 코를 고는 것을 멈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인은 물로 배우자의 숙면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프레임 15 ... 프레임헤드
20 ... 매트리스 21, 22 ... 제1,2매트리스
25, 26 ... 제1,2플레이트프레임 25a, 26a ... 제1,2전단플레이트프레임
30 ... 링크조립체 31, 32 ... 제1,2링크조립체
40 ... 링크구동부 50 ... 무게측정부
51 ... 제1무게측정부 51a ... 제1무게센서
51b ... 제1플레이트 52 ... 제2무게측정부
52a ... 제2플레이트 52b ... 제2무게센서
60 ... 조도측정부 70 ... 소음측정부
71 ... 제1소음측정부 71a ... 제1관부
71b ... 제1소음센서 72 ... 제2소음측정부
72a ... 제2관부 72b ... 제2소음센서
80 ... 기준주파수감지부 90 ... 구동제어부
S1 ... 기준무게신호 S1a, S1b ... 제1,2기준무게신호
S2 ... 기준조도신호 S3 ... 기준소음신호
S3a, S3b ... 제1,2기준소음신호 S4 ... 기준주파수신호

Claims (2)

  1. 지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전방측에 프레임헤드(15)가 설치된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상호 분리된 제1,2매트리스(21)(22);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매트리스(21)(22)를 독립적으로 부분 경사 및 승강시키는 제1,2링크조립체(31)(32); 상기 제1,2링크조립체(31)(32)를 작동시키는 링크구동부(40);
    상기 제1매트리스(21)에서 설정된 값 이상의 무게증가를 감지하였을 때 대응되는 제1기준무게신호(S1a)를 발생하는 제1무게측정부(51);
    상기 제2매트리스(22)에서 설정된 값 이상의 무게증가를 감지하였을 때 대응되는 제2기준무게신호(S1b)를 발생하는 제2무게측정부(52);
    주위 조도를 측정하여 설정된 값 이하의 조도를 감지하였을 때 대응되는 기준조도신호(S2)를 발생하는 조도측정부(60);
    상기 제1매트리스(21)에서 설정된 값 이상의 소음을 측정하였을 때 대응되는 제1기준소음신호(S3a)를 발생하는 제1소음측정부(71);
    상기 제2매트리스(22)에서 설정된 값 이상의 소음을 측정하였을 때 대응되는 제2기준소음신호(S3b)를 발생하는 제2소음측정부(72);
    상기 제1,2소음측정부(71)(72)에서 측정된 소음에 100~2000Hz 주파수의 소음이 포함될 경우 기준주파수신호(S4)를 발생하는 기준주파수감지부(80); 및
    상기 제1,2매트리스(21)(22)에 취침 목적으로 누워있는 사람이 코골이를 하고 있다라는 것을 의미하는 상기 제1,2기준무게신호(S1a)(S1b), 기준조도신호(S2), 제1,2기준소음신호(S3a)(S3b) 및 기준주파수신호(S4)가 모두 발생되었을 때 상기 제1,2매트리스(21)(22)를 부분 경사 및 승강되도록 상기 링크구동부(40)를 작동시키는 구동제어부(9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무게측정부(51)는, 상기 프레임(10)의 좌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기준무게신호(S1a)를 발생하는 제1무게센서(51a)와, 상기 제1무게센서(51a)와 제1매트리스(21)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제1무게센서(51a)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제1플레이트(51b)를 포함하고;
    상기 제2무게측정부(52)는, 상기 프레임(10)의 우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기준무게신호(S1b)를 발생하는 제2무게센서(52a)와, 상기 제2무게센서(52a)와 제2매트리스(22)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제2무게센서(52a)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제2플레이트(52b)를 포함하고;
    상기 제1소음측정부(71)는, 상기 프레임헤드(15)의 좌측에 제1매트리스(21)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1관부(71a)와, 상기 제1관부(71a)의 내측 바닥에 설치되어 제1관부(71a)로 유입되는 소음을 감지하여 대응되는 상기 제1기준소음신호(S3a)를 발생하는 제1소음센서(71b)를 포함하고;
    상기 제2소음측정부(72)는, 상기 프레임헤드(15)의 우측에 제2매트리스(22)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2관부(72a)와, 제2관부(72a)의 내측 바닥에 설치되어 제2관부(72a)로 유입되는 소음을 감지하여 대응되는 상기 제2기준소음신호(S3b)를 발생하는 제2소음센서(7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 모션 침대.
  2. 삭제
KR1020180145071A 2018-11-22 2018-11-22 코골이 방지 모션 침대 KR101978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071A KR101978648B1 (ko) 2018-11-22 2018-11-22 코골이 방지 모션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071A KR101978648B1 (ko) 2018-11-22 2018-11-22 코골이 방지 모션 침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675 Division 2018-06-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648B1 true KR101978648B1 (ko) 2019-05-15

Family

ID=6657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071A KR101978648B1 (ko) 2018-11-22 2018-11-22 코골이 방지 모션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64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708B1 (ko) * 2019-08-28 2020-10-29 이경환 이분할 구조의 다단변형 모션침대
KR20210101759A (ko) * 2020-02-11 2021-08-19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코골이 원인을 예측하고 그리고 코골이를 방지하는 전동 침대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123832A (ko) * 2020-04-06 2021-10-14 이경환 사용자 맞춤형 모션베드 구동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112973A (ko) 2021-02-05 2022-08-12 안진희 보강형 구조를 갖는 모션 침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17309A (ja) * 2013-03-14 2016-06-16 セレクト コンフォート コーポレーションSelect Comfort Corporation 膨張式エアマットレスいびき検出及び応答
KR101692326B1 (ko) * 2015-07-15 2017-01-03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이중 계량장치를 구비한 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17309A (ja) * 2013-03-14 2016-06-16 セレクト コンフォート コーポレーションSelect Comfort Corporation 膨張式エアマットレスいびき検出及び応答
KR101692326B1 (ko) * 2015-07-15 2017-01-03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이중 계량장치를 구비한 침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708B1 (ko) * 2019-08-28 2020-10-29 이경환 이분할 구조의 다단변형 모션침대
KR20210101759A (ko) * 2020-02-11 2021-08-19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코골이 원인을 예측하고 그리고 코골이를 방지하는 전동 침대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70933B1 (ko) * 2020-02-11 2022-03-07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코골이 원인을 예측하고 그리고 코골이를 방지하는 전동 침대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123832A (ko) * 2020-04-06 2021-10-14 이경환 사용자 맞춤형 모션베드 구동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87151B1 (ko) * 2020-04-06 2022-04-14 이경환 사용자 맞춤형 모션베드 구동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112973A (ko) 2021-02-05 2022-08-12 안진희 보강형 구조를 갖는 모션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648B1 (ko) 코골이 방지 모션 침대
US20220000654A1 (en) Inflatable Air Mattress Snoring Detection and Response
US20200405240A1 (en) Bed with User Occupancy Tracking
US20190201266A1 (en) Bed having rollover identifying feature
US10393691B2 (en) Capacitive sensing for furniture
US20230380756A1 (en) Bed with user tracking features
US20190298074A1 (en) Mattress with an integrated mattress adjustment apparatus
JP2014515628A (ja) 患者支持装置のためのセンシングシステム
JP2012518456A (ja) ベッドの高さ調節に対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10555615B2 (en) Calibration of detection features for automated furniture
JPH06327653A (ja) 就寝装置
CN117015328A (zh) 基于用户睡眠状态的床垫调节
KR20170099192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면자세 감지 시스템
US20230181104A1 (en) Snore detection and response for adjustable bed systems
KR20200136446A (ko) 통합된 매트리스 조정 장치를 가진 매트리스
JP7497221B2 (ja) マットレス、センサシステム
US20240138585A1 (en) Sequence initiation for placing a smart bed in an out-of-bed state
US20240138584A1 (en) Sleep sequence initiation for a smart bed
KR20230155696A (ko) 스마트 침대
JPH03140106A (ja) 快眠装置
JP2021194041A (ja) マットレス、センサシステム
BE1021385B1 (nl) Inrichting voor het veranderen van de hoek van minimaal een deel van een slaapoppervlak en werkwijze om snurken door een persoon te verminde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