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567B1 - 정전기 방식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정전기 방식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567B1
KR101978567B1 KR1020170106545A KR20170106545A KR101978567B1 KR 101978567 B1 KR101978567 B1 KR 101978567B1 KR 1020170106545 A KR1020170106545 A KR 1020170106545A KR 20170106545 A KR20170106545 A KR 20170106545A KR 101978567 B1 KR101978567 B1 KR 101978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plate
fine dust
air passag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608A (ko
Inventor
신윤환
Original Assignee
신윤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윤환 filed Critical 신윤환
Priority to KR1020170106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567B1/ko
Publication of KR20190021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28Plant or installations without electricity supply, e.g. using electrets
    • B03C3/30Plant or installations without electricity supply, e.g. using electrets in which electrostatic charge is generated by passage of the gases, i.e. tribo-electri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발명은 정전기 방식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형성되며 일측에 공기입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에 공기출구(112)가 형성되는 공기통로(110)와, 상기 공기통로 내부에 설치되는 정전기망과(120) 상기 정전기망(120)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는 흡입팬(13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본발명은 미세먼지를 빠르고 간편하고 확실하게 포집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정전기 방식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Fine dust removal device by electrostatic method}
본발명은 정전기 방식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 내부의 공기통로 내부에 정전기망과, 흡입팬을 설치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정전기 방식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미세먼지를 걸러내기 위해 필터방식과 함께 정전기 방식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개발되어 왔으며, 최근 황사문제로 더 중요한 기술이 되고 있다. 종래 정전기 방식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로서는 일례로서,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92-0009018호에는 집진부(3)의 집진판(7)을 일체로 사출성형하고, 반발극판(9)이 지지체(10)와 일체로 사출성형된 방전부(4)에 각각 도금된 피목막(11)을 형성하여 하우징(2)에 삽입하면서 하우징(2)의 내벽면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돌기(5)(5a)에 의해 고정설치하여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식 공기청정기의 집진기가 공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553563호에는 흡입구(11)와 배출구(12) 사이에 송풍팬(20)을 지니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이오나이저(32)와 대전판(35)을 지니는 전기집진부(30); 상기 전기집진부(30)에 양전하와 음전하를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정전기발생부(40); 및 상기 송풍팬(20), 전기집진부(30), 정전기발생부(40)를 설정된 조건으로 가동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공기청정기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것이 복잡하거나 완전히 포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미세먼지를 빠르고 간편하게 확실하게 포집할 수 있는 정전기 방식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정전기 방식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형성되며 일측에 공기입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에 공기출구(112)가 형성되는 공기통로(110)와, 상기 공기통로 내부에 설치되는 정전기망과(120) 상기 정전기망(120)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는 흡입팬(1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미세먼지를 빠르고 간편하고 확실하게 포집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 정전기 방식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사시도
도 2는 정전기 방식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상세도
도 3은 본발명 다른 실시례의 정전기 방식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설명도
도 4는 본발명의 격리판 평면도
도 5는 종래의 날개 없는 선풍기 정면도
도 6은 종래의 날개 없는 선풍기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날개 없는 선풍기 분해 사시도
본발명은 정전기 방식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형성되며 일측에 공기입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에 공기출구(112)가 형성되는 공기통로(110)와, 상기 공기통로 내부에 설치되는 정전기망과(120) 상기 정전기망(120)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는 흡입팬(1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하부에는 미세먼지 포집상자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 정전기 방식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사시도, 도 2는 정전기 방식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상세도, 도 3은 본발명 다른 실시례의 정전기 방식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설명도, 도 4는 본발명의 격리판 평면도, 도 5는 종래의 날개 없는 선풍기 정면도, 도 6은 종래의 날개 없는 선풍기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날개 없는 선풍기 분해 사시도이다.
본발명의 정전기 방식을 이용한 2.5㎛이하의 초미세먼지 포집이 가능하다.
정전기가 인체 무해하며 초미세먼지까지 흡착가능하다.
본발명은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형성되며 일측에 공기입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에 공기출구(112)가 형성되는 공기통로(110)와, 상기 공기통로 내부에 설치되는 정전기망과(12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정전기망(120) 전방 또는 후방에 흡입팬(130)이 설치된다.
상기 정전기망이 설치되는 공기통로 하부에는 승하강판이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 하부에는 미세먼지 포집상자가 설치된다. 상기 정전기망에는 양전하와 음전하를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정전기발생부가 설치되며 정전기 발생부는 하부의 미세먼지 포집상자에 설치된 전원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정전기망이 설치되는 공기통로 하부는 전동액츄에이터에 의해 전후방 운동하는 격리판이 설치된다. 상기 격리판은 세로방향이 갈라진 틈이 다수개 평행하게 형성되어 승하강판 전동액츄에이터가 그 틈사이로 승하강한다.
또한, 상기 격리판(140)은 상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격리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공기통로는 격리판의 곡면형상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격리판은 세로방향으로 갈라진 틈이 형성되고, 승하강판 전동액츄에이터가 상기 틈 사이로 승하강하되, 상기 격리판의 틈에는 승하강판 전통액츄에이터가 승하강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스펀지(150)로 막혀지게 되어 공기가 새지 않게 밀폐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틈 내부의 양 측면에는 스펀지가 형성되고, 상기 틈 내부의 일측은 스펀지로 막혀있지 않아 원형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틈의 원형홀로 승하강판 전동액츄에이터가 승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틈의 원형홀로 승하강판 전동액츄에이터가 승강한 상태에서 격리판이 수평방향으로 전,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틈 내부의 양 측면에 형성된 스펀지 사이로 승하강판 전동액츄에이터가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틈의 입구측에 형성된 스펀지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격리판이 전방으로 전진할 시 스펀지 사이에 승하강판 전동액추에이터가 유입되는 것이 용이하다.
상기 격리판이 격리판 수납판에 수납되면 공기통로와 포집상자가 연결된다. 그러므로 승하강판 하면에 설치되는 승하강판 전동액츄에이터가 길이가 축소하여 승하강판이 하강한 후 격리판이 다시 닫긴후 정전기망에서 먼지를 제거한다. 상기 미세먼지 포집상자 벽면에는 송풍기가 설치되어 바람에 의해 정전기망에 달라붙은 미세먼지를 제거하게 된다. 이후 다시 승하강판이 승하강판액츄에이터가 길이가 늘어나서 상승하면 격리판 액츄에이터가 격리판을 격리판수납함에서 출몰시켜 공기통로 하면을 닫게 된다. 상기 미세먼지 포집상자는 서랍식으로 형성되어 측면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어서, 미세먼지가 많이 포집되면 사람이 꺼집어 내어 비우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송풍기는 날개 없는 송풍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송풍기는 널리 알려진 관용의 기술을 사용한다. 상기 관용의 기술은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472759호, 10-1237548호에 종래기술로 기재되어 있되,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472759호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둘레에는 다수의 공기 유입홀(11)이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에는 상기 본체(1)의 상부에 분리 가능한 연결수단(5)에 의해 연결되는 수직 연결관(21)이 형성되는 환형 노즐(2)과; 상기 본체(1)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 유입홀(11)들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1)의 상부로 상승되는 바람을 발생시키고, 임펠러 모터(33)가 수직으로 고정되어 상기 본체(1)의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송풍부(3)와; 상기 수직 연결관(21)의 내부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임펠러 모터(33)의 상부를 눌러주어 상기 임펠러 모터(33)를 고정하는 모터 커버부재(4)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커버부재(4)는, 상기 임펠러 모터(33)의 상부를 눌러주는 원형의 누름판(41)과, 상기 누름판(41)의 외주연에서 하부의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원뿔관(42)과, 바람이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되게 하면서 상기 원뿔관(42)의 하부 둘레와 상기 수직 연결관(21)의 내부 둘레를 연결하는 연결부(43)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43)는, 상기 수직 연결관(21)의 내부 둘레에 밀착되어 볼트(433)에 의해 수직 연결관(21)에 고정되는 원형링(431)과, 상기 원형링(431)의 내주면과 상기 원뿔관(42)의 하부 둘레를 상호 연결하고 사이 공간을 통해 바람이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되게 하는 다수의 연결대(432)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5)은, 상기 원형링(431)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1) 내부의 상부 둘레에 삽입되고 다수의 탭홀(511)이 형성되는 돌출부(51)와, 상기 본체(1)의 상부 둘레에 상기 탭홀(511)들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다수의 조립홀(52)과, 상기 조립홀(52)을 관통하여 탭홀(511)에 체결되는 다수의 볼트(53)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51)의 하부에는 패킹 삽입홈(512)이 더 형성되어 상기 패킹 삽입홈(512)에는 돌출부(51)의 하단과 임펠러 하우징(31)의 상부 둘레를 밀봉시키는 패킹(6)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없는 선풍기가 공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발명은 정전기망이 설치된 공기통로는 설치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케이스 내부에서 직선 형태로 설치가 되되, 상기 정전기망이 설치된 공기통로는 케이스 내부에서 곡선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전기망이 설치된 공기통로를 곡선으로 설치하면, 미세먼지를 걸러내는데 더욱 용이하다.
한편, 상기 출구부근에는 정전기망 끝단을 바람방향과 직각으로 만들어 필터로 설치하며, 정전기망을 거친 공기의 유속을 측정하여 일정속도이하일 경우 정전기망에 미세먼지가 많이 끼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제어부에서 상기 격리판의 액츄에이터를 가동하여 공기통로 하면을 열게 된다. 미세먼지가 제거된 후 다시 격리판으로 공기통로 하면을 닫게 된다.
따라서 본발명은 미세먼지를 빠르고 간편하고 확실하게 포집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 케이스 110 : 공기통로
111 : 공기입구 112 : 공기출구
120 : 정전기망 130 : 흡입팬
140 : 격리판 150 : 스펀지

Claims (2)

  1.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형성되며 일측에 공기입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에 공기출구(112)가 형성되는 공기통로(110)와, 상기 공기통로(110) 내부에 설치되는 정전기망(120)과, 상기 정전기망(120)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는 흡입팬(130)으로 구성되는 정전기 방식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망(120)이 설치되는 공기통로(110) 하부에는 승하강판이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100) 하부에는 미세먼지 포집상자가 설치되고, 상기 정전기망(120)에는 양전하와 음전하를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정전기발생부가 설치되며, 상기 정전기발생부는 하부의 미세먼지 포집상자에 설치된 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정전기망(120)이 설치되는 공기통로(110) 하부는 전동액츄에이터에 의해 전후방 운동하는 격리판(140)이 설치되며, 상기 격리판(140)은 세로방향이 갈라진 틈이 다수개 평행하게 형성되어 틈사이로 승하강판 전동액츄에이터가 승하강하는 것이며,
    상기 격리판(140)은 상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격리판(140)의 상부에 위치하는 공기통로(110)는 격리판(140)의 곡면형상 따라 형성되고,
    상기 격리판(140)은 세로방향으로 갈라진 틈이 형성되고, 승하강판 전동액츄에이터가 틈 사이로 승하강하되, 상기 격리판(140)의 틈에는 승하강판 전통액츄에이터가 승하강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스펀지(150)로 막혀지게 되어 공기가 새지 않게 밀폐되는 것으로,
    상기 격리판(140)의 틈 내부의 양 측면에는 스펀지가 형성되고, 상기 격리판(140)의 틈 내부의 일측은 스펀지로 막혀있지 않아 원형홀이 형성되고, 틈의 원형홀로 승하강판 전동액츄에이터가 승하강하게 되고, 틈의 원형홀로 승하강판 전동액츄에이터가 승강한 상태에서 격리판(140)이 수평방향으로 전,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격리판(140)의 틈 내부의 양 측면에 형성된 스펀지 사이로 승하강판 전동액츄에이터가 삽입되는 것이며,
    상기 격리판(140)의 틈의 입구측에 형성된 스펀지(150)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격리판(140)이 전방으로 전진할 시 스펀지(150) 사이에 승하강판 전동액추에이터가 유입되는 것이 용이한 것이며,
    상기 격리판(140)이 격리판수납판에 수납되면 공기통로(110)와 미세먼지 포집상자가 연결되므로, 승하강판 하면에 설치되는 승하강판 전동액츄에이터가 길이가 축소하여 승하강판이 하강한 후 격리판(140)이 다시 닫긴후 정전기망(120)에서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며,
    상기 미세먼지 포집상자 벽면에는 송풍기가 설치되어 바람에 의해 정전기망(120)에 달라붙은 미세먼지를 제거하게 된 후, 다시 승하강판이 승하강판액츄에이터가 길이가 늘어나서 상승하면 격리판액츄에이터가 격리판(140)을 격리판수납함에서 출몰시켜 공기통로(110) 하면을 닫게 되는 것이며,
    상기 미세먼지 포집상자는 서랍식으로 형성되어 측면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어서, 미세먼지가 많이 포집되면 사람이 꺼집어 내어 비울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정전기망(120)이 설치된 공기통로(110)는 설치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케이스(100) 내부에서 직선 형태로 설치가 되되, 상기 정전기망(120)이 설치된 공기통로(110)는 케이스(100) 내부에서 곡선으로 설치하므로, 미세먼지를 걸러내는데 더욱 용이한 것이며,
    상기 공기통로(110)의 공기출구(112) 부근에는 정전기망(120) 끝단을 바람방향과 직각으로 만들어 필터로 설치하며, 정전기망(120)을 거친 공기의 유속을 측정하여 일정속도이하일 경우 정전기망(120)에 미세먼지가 많이 끼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에서 상기 격리판(140)의 액츄에이터를 가동하여 공기통로(110) 하면을 열게 되고, 미세먼지가 제거된 후 다시 격리판(140)으로 공기통로(110) 하면을 닫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식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2. 삭제
KR1020170106545A 2017-08-23 2017-08-23 정전기 방식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1978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545A KR101978567B1 (ko) 2017-08-23 2017-08-23 정전기 방식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545A KR101978567B1 (ko) 2017-08-23 2017-08-23 정전기 방식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608A KR20190021608A (ko) 2019-03-06
KR101978567B1 true KR101978567B1 (ko) 2019-05-14

Family

ID=65761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545A KR101978567B1 (ko) 2017-08-23 2017-08-23 정전기 방식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5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929A (ko) 2020-01-07 2021-07-15 엄태훈 대전효과를 이용한 솔 없는 먼지떨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389A1 (ko) * 2021-11-05 2023-05-1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정전기 방전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098Y1 (ko) 2002-07-24 2002-11-07 이병욱 환기유니트용 필터구조
JP2004273244A (ja) 2003-03-07 2004-09-30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の空気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0041C2 (sv) * 2006-07-14 2008-02-12 Freshman Ab Luftfilterarrangemang och ett förfarande för tillverkning av ett sådant luftfilterarrangemang
KR102274377B1 (ko) * 2014-08-30 2021-07-07 (주)화인스케이프 공기 청정기
KR101854526B1 (ko) * 2015-10-23 2018-05-04 한석진 미세먼지 포집 및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청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098Y1 (ko) 2002-07-24 2002-11-07 이병욱 환기유니트용 필터구조
JP2004273244A (ja) 2003-03-07 2004-09-30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の空気供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929A (ko) 2020-01-07 2021-07-15 엄태훈 대전효과를 이용한 솔 없는 먼지떨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608A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522535U (zh) 空气净化器设备
KR101978567B1 (ko) 정전기 방식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CN109351089B (zh) 一种空气净化器
CN204220314U (zh) 一种旋风除尘器
WO2020244321A1 (zh) 空气处理组件及具有其的清洁设备
CN106500193A (zh) 一种可移动式空气净化装置
JP2019130437A (ja) 集塵システム
CN210474309U (zh) 一种自清理静电除尘装置
KR101129782B1 (ko) 집진장치
CN206553687U (zh) 一种棉纺除尘机
KR101352617B1 (ko) 인쇄회로기판 절단장비용 복합 집진장치
CN113576358B (zh) 一种集尘分离组件及清洁设备的基站
CN203526386U (zh) 废料回收装置
CN107583385A (zh) 一种多重除尘装置
CN104324807A (zh) 一种石墨加工中心除尘装置
CN210631854U (zh) 一种厂车间除尘调温系统
CN209049187U (zh) 一种用于电线加工的净烟装置
KR101604088B1 (ko) 습식 대기정화장치
CN214919077U (zh) 用于装配墙板智能化生产的模板清理机的除尘装置
KR20160034562A (ko) 집진 장치
CN212424743U (zh) 一种高压电选机的出料装置
CN210044983U (zh) 一种垂直型滤筒除尘器
CN217368777U (zh) 一种高效的旋转封闭式静电除尘器
CN210097278U (zh) 一种机械环保除尘装置
CN214107610U (zh) 一种静电喷粉回收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