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236B1 - Front side member - Google Patents

Front side mem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236B1
KR101978236B1 KR1020170182970A KR20170182970A KR101978236B1 KR 101978236 B1 KR101978236 B1 KR 101978236B1 KR 1020170182970 A KR1020170182970 A KR 1020170182970A KR 20170182970 A KR20170182970 A KR 20170182970A KR 101978236 B1 KR101978236 B1 KR 101978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side
bolt
sleeve
side membe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9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덕현
박상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70182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23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2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8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light alloys, e.g. extru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A front side member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ide member is arranged along a vehicle body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sides of the front of a vehicle body, and comprises: a front member formed with an aluminum extruded material; a rear member formed by roll forming; and internal and external connection members connecting the front member and the rear member at internal and external sides. The front side member more comprises: internal and external fastening units fastened to each side mutually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nection members; a reinforcing pipe fixated in a state in which a front end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and external fastening units at an external side of the external connection member; and a reinforcing member fixated to the reinforcing pipe at an external side of the external connection member, and bonded through a flange on a lower surface of the external connection member.

Description

프론트 사이드 멤버{FRONT SIDE MEMBER} Front side member {FRONT SIDE MEMBER}

본 발명은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량화하면서도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nt side memb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ont side member capable of reinforcing rigidity while being lightweight.

일반적으로 차체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는 차체의 전방 골격을 이루는 핵심적인 구조물로써,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설계 및 제작 요건은 다음과 같다. In general, the front side member of the vehicle body is a core structure that forms the front frame of the vehicle body, and the design and manufacturing requirements of the front side member are as follows.

첫째,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는 엔진 및 트랜스미션과 같은 중량체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First, the front side member must secure the strength and rigidity that can support the load of the weight body such as engine and transmission.

둘째,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는 서스펜션을 통하여 전달되는 노면하중에 대한 충분한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해야 한다. Second, the front side member should secure sufficient strength and rigidity against road loads transmitted through the suspension.

셋째,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는 서스펜션을 통한 범핑 및 선회 거동에 대해 타이어와 차체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충분한 설계자유도를 확보해야 한다. Third, the front side member should secure sufficient design freedom so that interference between the tire and the vehicle body does not occur with respect to bumping and turning behavior through the suspension.

넷째,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는 고속 충돌 시, 효율적으로 충돌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야 한다. Fourth, the front side member should be designed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efficiently absorb the collision energy during high-speed collision.

다섯째,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는 저속 충돌 시, 차체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강성을 확보해야 한다. Fifth, the front side member should secure rigidity so that body deformation does not occur during a low-speed collision.

특히, 상기한 넷째의 고속 충돌 성능과, 다섯째의 저속 충돌 성능은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제작과정에서 자동차 업계의 대표적인 충돌법규인 US-NCAP(북미)의 법규와, RCAR(Research Council for Automobile Repairs: 세계자동차 수리기술위원회)의 법규 만족과 승객보호 및 수리비 개선 등의 측면에서 소비자의 요구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부분이다. In particular, the fourth high-speed collision performance, and the fifth low-speed collision performanc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ront side member, the US-NCAP (North America) law, which is the representative collision law of the automobile industry, and the Research Council for Automobile Repairs: The demands and interests of consumers are being concentrated in terms of satisfying the regulations of the Korea Automobile Repair and Technology Commission, protecting passengers and improving repair costs.

이러한 충돌 성능을 만족하기 위하여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측면에 다수개의 보강부재가 적용된다. In order to satisfy this collision performance,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are applied to the side of the front side member.

한편으로, 자동차 업계에서는 경량화를 위하여 스틸 소재 대신 알루미늄 소재를 이용하여 차체 부품의 제조가 이루어지는 추세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utomotive industry, the manufacturing of car body parts using aluminum material instead of steel material is a trend to reduce the weight.

그러나,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보강부재는 스틸 소재를 적용하면, 충돌 성능 및 비용이 저렴한 대신, 중량이 높은 단점이 있고, 알루미늄 소재를 적용하면, 경량화가 가능하지만, 충돌 성능이 낮고,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when the front side member and the reinforcing member are applied to a steel material, the collision performance and cost are low, bu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weight is high. There is a disadvantage.

이러한 문제점을 보강하면서,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충돌 성능을 향상시키는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While reinforcing this problem,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needed to improve the collision performance of the front side member.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tters described in this Background section are intend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not previousl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경량화를 위하여 프론트 멤버와 연결 멤버를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하고, 강성을 위하여 상기 리어 멤버, 보강 파이프, 및 보강 멤버를 스틸 소재로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연결 멤버와 보강 파이프 사이에 내측 및 외측 체결 유닛을 적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각 부품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각 부품간의 부식을 방지하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are formed of an aluminum material for light weight, and the rear member, the reinforcing pipe, and the reinforcing member are formed of a steel material for rigidity,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reinforcing pipe. It is made of a structure that applies the inner and outer fastening unit to facilitate the assembly between the parts, and at the same time to provide a front side member to prevent corrosion between each part.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차체 전방 양측에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는 알루미늄 압출재로 형성되는 프론트 멤버, 롤 포밍 성형되는 리어 멤버, 및 상기 프론트 멤버과 상기 리어 멤버를 내,외측에서 연결하는 내측 및 외측 연결 멤버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및 외측 연결 멤버의 상호 대응하는 각 일측에 체결되는 내측 및 외측 체결 유닛, 상기 외측 연결 멤버의 외측방에서 상기 내측 및 외측 체결 유닛에 선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는 보강 파이프, 및 상기 외측 연결 멤버의 외측방에서 상기 보강 파이프와 고정되고, 상기 외측 연결 멤버의 하면에 플랜지를 통해 접합되는 보강 멤버를 더 포함하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를 제공할 수 있다. In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ront side membe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along the vehicle body longitudinal direction, the front side member is a front member formed of aluminum extrusion material, a rear member formed by roll forming, and the front Inner and outer connecting members for connecting the member and the rear member in the inner, outer, and the inner and outer fastening unit fastened to each of the corresponding side of the inner and outer connection member, the outer side of the outer connection member And a reinforcing pipe fixed to the inner and outer fastening units in a state where the tip is fitted, and a reinforcing member fixed to the reinforcing pipe at an outer side of the outer connecting member and join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onnecting member via a flange. You can provide a front side member.

또한, 상기 내측 및 외측 체결유닛은 내측 및 외측 연결 멤버에 서로 대응하여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체결홀에 체결되는 관통 볼트, 상기 관통 볼트의 내경부에 배치되는 관통 슬리브, 및 상기 관통 볼트와 상기 관통 슬리브 사이에 도포되는 상기 관통 볼트와 상기 관통 슬리브를 상호 접착하는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and outer fastening units have fastening holes respectively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inner and outer connecting members, through bolt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s, through sleeves disposed i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bolts, and the through holes. It may be made of an adhesive for adhering the through bolt and the through sleeve applied between the bolt and the through sleeve.

또한, 상기 관통 볼트는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되어 상기 내측 및 외측 연결 멤버에 형성되는 각 체결홀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rough bolt may be screwed into each of the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inner and outer connection member is formed with a screw tab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또한, 상기 관통 볼트는 상기 내측 및 외측 연결 멤버에 형성되는 각 체결홀에 체결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일단에 지지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rough bol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support flange at one end so as to be supported in a fastened state to each of the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inner and outer connection members.

또한, 상기 관통 볼트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 슬리브는 스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rough bolt may be made of aluminum, and the through sleeve may be made of steel.

또한, 상기 접착제는 상기 관통 볼트와 관통 슬리브 사이에서, 상기 관통 볼트와 관통 슬리브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유입홀에 유입되어 고착되는 구조용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adhesive may be formed between the through bolt and the through sleeve, the structural adhesive is introduced into and adhered to the plurality of inlet holes formed on the through bolt and the through sleeve.

또한, 상기 보강 파이프는 스틸 소재로 이루어져 일단부가 상기 내측 및 외측 체결 유닛의 각 관통 슬리브에 끼워져 접합되고, 타단부가 체결단으로 압착 성형되어 상기 보강 멤버의 일측과 체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pipe may be made of a steel material, one end of which is fitted to each through sleeve of the inner and outer fastening units, and the other end may be press-molded to the fastening end to be fastened to one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경량화를 위하여 프론트 멤버와 연결 멤버를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하고, 강성을 위하여 상기 리어 멤버, 보강 파이프, 및 보강 멤버를 스틸 소재로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연결 멤버와 보강 파이프 사이에 내측 및 외측 체결 유닛을 적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각 부품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각 부품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are formed of an aluminum material for light weight, and the rear member, the reinforcing pipe, and the reinforcing member are formed of a steel material for rigidity,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reinforcing pipe. The inner and outer fastening units are configured to facilitate assembly between the parts, and to prevent corrosion between the parts.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경량화함과 동시에, 강성을 보강하면서도, 부식을 방지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weight and at the same time reinforce the rigidity, to prevent corrosion to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In addition, 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or predic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sclosed directly or implicitly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various effects predi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sclo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적용되는 보강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front sid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sid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inforcing member applied to the front sid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적용되는 보강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ont sid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sid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inforcing member applied to the front side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론트 사이드 멤버는 차체 전방 양측에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형상으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Front side mem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symmetrically in the same shape along the vehicle body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front.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는 양측 프론트 사이드 멤버(1) 중, 일측 프론트 사이드 멤버(1)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1 to 3, in this specification, one front side member 1 is described as an example among the two front side members 1.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1)는 프론트 멤버(10), 리어 멤버(20), 연결 멤버(30), 내측 및 외측 체결 유닛(40a, 40b), 보강 파이프(50), 및 보강 멤버(60)를 포함한다. The front side member 1 includes the front member 10, the rear member 20, the connecting member 30, the inner and outer fastening units 40a and 40b, the reinforcing pipe 50, and the reinforcing member 60. Include.

먼저, 상기 프론트 멤버(10)는 차량의 전방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 빔(미도시)의 후방 측과 연결된다. First, the front member 10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a bumper beam (not shown) dispos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in front of the vehicle.

이러한 프론트 멤버(10)는 경량화를 위하여 알루미늄 압출재로 형성된다. The front member 10 is formed of aluminum extruded material for weight reduction.

그리고 상기 리어 멤버(20)는 상기 프론트 멤버(10)의 후측에 배치되어 차량의 사이드 실(미도시)과 연결된다. The rear member 20 is disposed at the rear side of the front member 10 and connected to a side seal (not shown) of the vehicle.

이러한 리어 멤버(20)는 스틸 소재로 이루어져 롤 포밍 성형을 통해 형성된다. The rear member 20 is made of a steel material is formed through roll forming molding.

그리고 상기 연결 멤버(30)는 상기 프론트 멤버(10)와 리어 멤버(20)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프론트 멤버(10)와 리어 멤버(20)를 상호 연결한다. The connection member 30 is configured between the front member 10 and the rear member 20 to interconnect the front member 10 and the rear member 20.

이러한 연결 멤버(30)는 내측 연결 멤버(30a)와 외측 연결 멤버(30b)로 이루어져 상기 프론트 멤버(10)와 리어 멤버(20)를 내측과 외측에서 각각 연결한다. The connection member 30 consists of an inner connection member 30a and an outer connection member 30b to connect the front member 10 and the rear member 20 from inside and outside, respectively.

또한, 상기 연결 멤버(20)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member 20 is made of aluminum.

그리고 상기 내측 및 외측 체결 유닛(40a, 40b)은 상기 내측 및 외측 연결 멤버(30a, 30b)의 상호 대응하는 각 일측에 형성된 체결홀(31)에 각각 장착된다. The inner and outer fastening units 40a and 40b are mounted to fastening holes 31 formed at respective one sides of the inner and outer connecting members 30a and 30b, respectively.

이러한 내측 및 외측 체결 유닛(40a, 40b)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볼트(41), 관통 슬리브(45), 및 접착제(47)로 이루어진다. These inner and outer fastening units 40a and 40b are made of a through bolt 41, a through sleeve 45, and an adhesive 47, as shown in FIG. 4.

상기 내측 및 외측 체결 유닛(40a, 40b)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inner and outer fastening units 40a and 40b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상기 관통 볼트(41)는 상기 내측 및 외측 연결 멤버(30a, 30b)의 각 체결홀(31)에 체결된다. The through bolts 41 are fastened to the respective fastening holes 31 of the inner and outer connecting members 30a and 30b.

즉, 상기 각 체결홀(31)과 상기 관통 볼트(41)의 외주면에는 각각 나사탭이 형성되고, 각 나사탭을 통하여 상호 체결된다. That is, screw tab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respective fastening holes 31 and the through bolts 41, and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rough the respective screw tabs.

이러한 관통 볼트(41)는 일단에 지지 플랜지(43)가 일체로 형성된다. One end of the through bolt 41 is integrally formed with a support flange 43.

이때, 상기 지지 플랜지(43)는 상기 내측 및 외측 연결 멤버(30a, 30b)에 형성되는 각 체결홀(31)에 체결된 상태로 지지되기 위함이다. At this time, the support flange 43 is to be supported in a state that is fastened to each fastening hole 31 formed in the inner and outer connection members (30a, 30b).

또한, 상기 관통 볼트(41)는 상기 연결 멤버(30)와 동일하게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through bolt 41 is made of the same aluminum material as the connection member 30.

그리고 상기 관통 슬리브(45)는 상기 관통 볼트(41)의 내경부에 배치된다. And the through sleeve 45 is disposed i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bolt 41.

또한, 상기 관통 슬리브(45)는 상기 관통 볼트(41)와 마찬가지로 일단에 지지 플랜지(43)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rough sleeve 45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support flange 43 at one end similarly to the through bolt 41.

이러한 관통 슬리브(45)는 스틸 소재로 이루어진다. This through sleeve 45 is made of steel.

그리고 상기 접착제(47)는 상기 관통 볼트(41)와 상기 관통 슬리브(45) 사이에 도포되어 상기 관통 볼트(41)와 관통 슬리브(45)를 상호 접착시킨다. The adhesive 47 is applied between the through bolt 41 and the through sleeve 45 to bond the through bolt 41 and the through sleeve 45 to each other.

이때, 상기 접착제(47)는 상기 관통 볼트(41)와 관통 슬리브(45)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입홀(H)에 유입되어 고착된다. At this time, the adhesive 47 is introduced into and adhered to the plurality of inflow holes H formed on the through bolt 41 and the through sleeve 45.

다시 말해, 상기 접착제(47)는 상기 관통 볼트(41)와 관통 슬리브(45) 사이에 개재됨과 동시에, 상기 관통 볼트(41)와 관통 슬리브(45)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유입홀(H) 사이사이로 유입되어 접착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In other words, the adhesive 47 is interposed between the through bolt 41 and the through sleeve 45 and between the plurality of inflow holes H formed in the through bolt 41 and the through sleeve 45, respectively. Flows in between to further improve adhesion.

이러한 접착제(47)는 구조용 접착제가 상기 관통 볼트(41)와 관통 슬리브(45) 사이에서 도포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링 형상으로 형성된 접착 테이프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 볼트(41)와 관통 슬리브(45)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The adhesive 47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a structural adhesive is applied between the through bolt 41 and the through sleeve 45,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s formed of an adhesive tape formed in a ring shape to form the through bolt. I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41 and the through sleeve 45.

한편, 상기 보강 파이프(50)는 상기 외측 연결 멤버(30a)의 외측방에서 상기 내측 및 외측 체결 유닛(40a, 40b)에 선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접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einforcement pipe 50 is joined to the inner and outer fastening units 40a, 40b in a state where the front end is fitted i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connecting member 30a.

다시 말해, 상기 상기 보강 파이프(50)는 일단부가 상기 내측 및 외측 체결 유닛(40a, 40b)의 각 관통 슬리브(45)에 끼워져 접합되고, 타단부가 체결단(51)으로 압착 성형되어 이하에서 설명할 보강 멤버(60)의 일측과 체결된다. In other words, the reinforcement pipe 50 has one end fitted to each of the through sleeves 45 of the inner and outer fastening units 40a and 40b, and the other end is press-molded with the fastening end 51. It is fastened with one side of the reinforcement member 60 to be described.

여기서 상기 체결단(51)에는 상기 보강 멤버(60)와의 체결을 위한 볼트홀(53)이 형성된다. Here, the fastening end 51 has a bolt hole 53 for fastening with the reinforcing member 60 is formed.

이러한 보강 파이프(50)는 상기 관통 슬리브(45)와 동일하게 스틸 소재로 이루어진다. The reinforcement pipe 50 is made of a steel material in the same manner as the through sleeve 45.

마지막으로 상기 보강 멤버(60)는 상기 외측 연결 멤버(30b)의 외측방에서 상기 보강 파이프(50)와 고정된다. Finally, the reinforcing member 60 is fixed with the reinforcing pipe 50 i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connecting member 30b.

이때, 상기 보강 멤버(60)에는 상기 보강 파이프(50)의 체결단(51)이 안착되도록 상기 체결단(51)의 형상을 따라 안착면(61)이 형성된다. In this case, a seating surface 61 is formed in the reinforcing member 60 along the shape of the fastening end 51 such that the fastening end 51 of the reinforcing pipe 50 is seated.

이러한 보강 멤버(60)는 상기 외측 연결 멤버(30b)의 하면에 접합 플랜지(63)를 통하여 접합된다. This reinforcing member 60 is join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connecting member 30b through a joining flange 63.

즉, 상기 보강 멤버(60)는 상기 보강 파이프(50)와 기계적 체결된 상태로, 상기 외측 연결 멤버(30b)와 용접 접합된다. That is, the reinforcing member 60 is mechanically fastened with the reinforcing pipe 50 and welded to the outer connecting member 30b.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론트 사이드 멤버(1)는 경량화를 위하여 프론트 멤버(10)와 연결 멤버(30)를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하고, 강성을 위하여 상기 리어 멤버(20), 보강 파이프(50), 및 보강 멤버(60)를 스틸 소재로 형성함에 있어서, 각 부품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각 부품간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 및 외측 체결 유닛(40a, 40b)을 적용한 것이다. Therefore, the front side memb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front member 10 and the connection member 30 of aluminum material for light weight, and the rear member 20 and the reinforcement pipe 50 for rigidity. ), And the reinforcing member 60 is formed of a steel material, the inner and outer fastening units (40a, 40b) is applied to facilitate the assembly between the parts, and to prevent corrosion between the parts.

다시 말해, 상기 내측 및 외측 체결 유닛(40a, 40b)은 상기 연결 멤버(30)와 체결되는 관통 볼트(41)를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하고, 상기 보강 파이프(50)와 접합되는 관통 슬리브(45)를 스틸 소재로 형성한 상태로, 상기 관통 볼트(41)와 관통 슬리브(45) 사이에 접착제(47)를 개재함으로써, 상기 관통 볼트(41)와 관통 슬리브(46) 사이의 갈바닉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 멤버(30)와 보강 파이프(50) 사이의 체결력 향상과, 갈바닉 부식 방지 효과를 함께 만족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inner and outer fastening units 40a and 40b form a through bolt 41 fastened to the connection member 30 by using an aluminum material, and a through sleeve 45 to be joined to the reinforcement pipe 50. Is formed of a steel material, by interposing the adhesive 47 between the through bolt 41 and the through sleeve 45, to prevent galvanic corrosion between the through bolt 41 and the through sleeve 46.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improvement of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connection member 30 and the reinforcement pipe 50 and the galvanic corrosion prevention effect.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론트 사이드 멤버(1)는 경량화함과 동시에, 강성을 보강하면서도, 각 부품간의 부식을 방지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front side memb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weight and at the same time reinforce the rigidity, while preventing corrosion between the components to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1: 프론트 사이드 멤버 10: 프론트 멤버
20: 리어 멤버 30: 연결 멤버
30a: 내측 연결 멤버 30b: 외측 연결 멤버
31: 체결홀 40a: 내측 체결 유닛
40b: 외측 체결 유닛 41: 관통 볼트
43: 지지 플랜지 45: 관통 슬리브
47: 접착제 H: 유입홀
50: 보강 파이프 51: 체결단
53: 볼트홀 60: 보강 멤버
61: 안착면 63: 접합 플랜지
1: front side member 10: front member
20: rear member 30: connection member
30a: inner connecting member 30b: outer connecting member
31: fastening hole 40a: inner fastening unit
40b: outer fastening unit 41: through bolt
43: support flange 45: through sleeve
47: adhesive H: inlet hole
50: reinforcing pipe 51: fastening end
53: bolt hole 60: reinforcement member
61: seating surface 63: joint flange

Claims (7)

차체 전방 양측에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는
알루미늄 압출재로 형성되는 프론트 멤버;
롤 포밍 성형되는 리어 멤버; 및
상기 프론트 멤버과 상기 리어 멤버를 내,외측에서 연결하는 내측 및 외측 연결 멤버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및 외측 연결 멤버의 상호 대응하는 각 일측에 체결되는 내측 및 외측 체결 유닛;
상기 외측 연결 멤버의 외측방에서 상기 내측 및 외측 체결 유닛에 선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는 보강 파이프; 및
상기 외측 연결 멤버의 외측방에서 상기 보강 파이프와 고정되고, 상기 외측 연결 멤버의 하면에 접합 플랜지를 통해 접합되는 보강 멤버;
를 더 포함하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
In the front side membe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along the vehicle body longitudinal direction,
The front side member
A front member formed of aluminum extrusion material;
A rear member roll formed; And
Inner and outer connection members for connecting the front member and the rear member from the inside, the outside,
Inner and outer fastening units fastened to respective one sides of the inner and outer connecting members;
A reinforcing pipe fixed to the inner and outer fastening units in a state where the tip is fitted i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connecting member; And
A reinforcing member fixed to the reinforcing pipe at an outer side of the outer connecting member and joined to a lower surface of the outer connecting member through a joining flange;
Front side member including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및 외측 체결유닛은
내측 및 외측 연결 멤버에 서로 대응하여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체결홀에 체결되는 관통 볼트;
상기 관통 볼트의 내경부에 배치되는 관통 슬리브; 및
상기 관통 볼트와 상기 관통 슬리브 사이에 도포되는 상기 관통 볼트와 상기 관통 슬리브를 상호 접착하는 접착제;
로 이루어지는 구성되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and outer fastening unit
Fastening holes are respectively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ner and outer connection members,
Through bolts fastened to the respective fastening holes;
A through sleeve disposed in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through bolt; And
An adhesive for mutually bonding the through bolt and the through sleeve applied between the through bolt and the through sleeve;
The front side member which consists of.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볼트는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되어 상기 내측 및 외측 연결 멤버에 형성되는 각 체결홀에 나사 체결되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
The method of claim 2,
The through bolt is
A screw thread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side member to be screwed into each of the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inner and outer connecting member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볼트는
상기 내측 및 외측 연결 멤버에 형성되는 각 체결홀에 체결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일단에 지지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
The method of claim 2,
The through bolt is
And a support flange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thereof so as to be supported by being fastened to each of the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inner and outer connection member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볼트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 슬리브는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
The method of claim 2,
The through bolt is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the through sleeve is a front side member made of a steel materi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관통 볼트와 관통 슬리브 사이에서, 상기 관통 볼트와 관통 슬리브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유입홀에 유입되어 고착되는 구조용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
The method of claim 2,
The adhesive
Between the through bolt and the through sleeve, a front side member consisting of a structural adhesive flowing into and fixed to a plurality of inlet holes formed on the through bolt and the through slee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파이프는
스틸 소재로 이루어져 일단부가 상기 내측 및 외측 체결 유닛의 각 관통 슬리브에 끼워져 접합되고, 타단부가 체결단으로 압착 성형되어 상기 보강 멤버의 일측과 체결되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reinforcement pipe is
A front side member made of a steel material, one end of which is fitted into each of the through sleeves of the inner and outer fastening units, and the other end is press-molded into the fastening end to be fastened to one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KR1020170182970A 2017-12-28 2017-12-28 Front side member KR1019782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970A KR101978236B1 (en) 2017-12-28 2017-12-28 Front side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970A KR101978236B1 (en) 2017-12-28 2017-12-28 Front side memb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236B1 true KR101978236B1 (en) 2019-09-03

Family

ID=67951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970A KR101978236B1 (en) 2017-12-28 2017-12-28 Front side memb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23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696B1 (en) 2019-11-20 2020-07-03 서진산업 주식회사 Front Side Member using steel single plate
EP4095019A1 (en) * 2021-05-27 2022-11-30 Fahrzeugbau KEMPF GmbH Lightweight chassis for a commercial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527B1 (en) * 2008-07-31 2009-12-03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ront side member assembly
KR20110011085A (en) * 2009-07-27 2011-02-0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Method for fabricating a member of vehicle and side member produced by the same
KR101523851B1 (en) * 2013-12-16 2015-05-29 서진산업 주식회사 Front side member with collision avoidance structure for vehicle
KR101804432B1 (en) * 2016-08-26 2018-01-10 주식회사 한국쓰리축 Cargo truck and extension fr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527B1 (en) * 2008-07-31 2009-12-03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ront side member assembly
KR20110011085A (en) * 2009-07-27 2011-02-0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Method for fabricating a member of vehicle and side member produced by the same
KR101523851B1 (en) * 2013-12-16 2015-05-29 서진산업 주식회사 Front side member with collision avoidance structure for vehicle
KR101804432B1 (en) * 2016-08-26 2018-01-10 주식회사 한국쓰리축 Cargo truck and extension fr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696B1 (en) 2019-11-20 2020-07-03 서진산업 주식회사 Front Side Member using steel single plate
EP4095019A1 (en) * 2021-05-27 2022-11-30 Fahrzeugbau KEMPF GmbH Lightweight chassis for a commercial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0983B2 (en) Floor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body with a lightweight construction
JP4730018B2 (en) Vehicle shock absorption structure
US8714635B2 (en) Front body of vehicle
US7571957B2 (en) Component integration panel system with closed box section
JP6025996B2 (en) Body side structure
KR101978236B1 (en) Front side member
US10618561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US20170313356A1 (en) Vehicle frame assembly
WO2015145700A1 (en) Suspension subframe
US11235809B2 (en) Vehicle body for vehicles
JP4469703B2 (en) Vehicle powertrain support structure
KR20230073512A (en) Towing pipe connection structure
KR101650775B1 (en)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JP2019064504A (en) Vehicle sub frame
KR101624235B1 (en) Structure of subframe for vehicle
KR20220053286A (en) Vehicle body joint structure
CN108725587B (en) Frame front end extension beam bracket
CN109823401B (en) Mounting assembly of rear independent suspension
KR100980881B1 (en) Trailing arm mounting unit for vehicle
CN102556177A (en) Automobile body connection device of aluminum alloy automobile
US20230174155A1 (en) Vehicle Lower Body
KR101286685B1 (en)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KR102460554B1 (en) Bumper bean unit for vehilce
KR101399337B1 (en) A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KR100756632B1 (en) Rear Suspension Mounting Structure In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