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610B1 - 다계층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다계층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610B1
KR101977610B1 KR1020110092702A KR20110092702A KR101977610B1 KR 101977610 B1 KR101977610 B1 KR 101977610B1 KR 1020110092702 A KR1020110092702 A KR 1020110092702A KR 20110092702 A KR20110092702 A KR 20110092702A KR 101977610 B1 KR101977610 B1 KR 101977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ower layer
format
resolution
res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8844A (ko
Inventor
김대희
박민우
조대성
최웅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28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calable video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04N19/3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in the spatial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04N19/36Scalability techniques involving formatting the layers as a function of picture distortion after decoding, e.g. signal-to-noise [SNR] scal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sub-sampling or interpolation, e.g. alteration of picture size or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0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0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 H04N19/82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involving filtering within a prediction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위 계층에서 발생하는 잔차(residual) 영상의 동적 범위(dynamic range)를 감소시키기 위한 다계층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영상을 계층별로 부호화하는 다계층 영상 부호화 방법은, 입력 영상을 포맷 하향 변환하고 상기 포맷 하향 변환된 입력 영상을 부호화하여 하위 계층 비트열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하위 계층 영상에 1차원 예측 필터를 적용하여 포맷 상향 변환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영상과 상기 포맷 상향 변환된 영상 간의 잔차 영상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잔차 영상을 부호화하여 상위 계층 비트열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계층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와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DECODING MULTI-LAYER VIDEOS}
본 발명은 다양한 네트워크 및 디바이스 환경에서 고화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영상을 부호화/복호화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위 계층에서 발생하는 잔차(residual) 영상의 동적 범위(dynamic range)를 감소시키기 위한 다계층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계층 영상 부호화/복호화는 네트워크의 다양한 대역폭과 디바이스의 다양한 디코딩 능력 및 사용자의 제어에 따른 QoS(Quality of Service)를 만족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부호화기에서 한 번의 부호화로 계층화된 다계층 영상 비트열들을 발생시키고, 복호화기에서는 복호 능력에 맞게 다계층 영상 비트열들을 복호화한다. 이러한 다계층 영상 부호화/복호화를 통하여 시간적, 공간적, SNR(Signal-to-noise ratio) 계층 부호화를 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계층에 따른 부호화/복호화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본 계층에서는 기본 해상도의 영상을 부호화하고, 다음 상위 계층에서는 보다 높은 해상도의 영상을 얻기 위하여 추가적인 부호화를 수행하고, 다음 상위 계층에서도 마찬가지로 추가적인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다계층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는 상위 계층의 부호화 또는 복호화 과정에서 하위 계층 영상을 사용할 때, 상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와 하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가 동일하면 하위 계층 영상을 복사하여 사용하고, 상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와 하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가 다를 경우에는 하위 계층 영상을 상향 샘플링/변환(Up-sampling/conversion)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 영상을 사용하면, 하위 계층 영상에 양자화 오류와 같은 부호화 영향(effect)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는 경우 상위 계층에서 영상 예측 효율을 저하 시킬 수 있으므로 잔차 영상의 동적 범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위 계층에서 발생하는 잔차 영상의 동적 범위(dynamic range)를 감소시키기 위한 다계층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위 계층 예측 프래그의 설정에 따라 하위 계층 영상에 1차원 필터링을 수행하는 포맷 상향 변환부를 포함하는 다계층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영상을 계층별로 부호화하는 다계층 영상 부호화 방법은, 입력 영상을 포맷 하향 변환하고 상기 포맷 하향 변환된 입력 영상을 부호화하여 하위 계층 비트열을 생성하는 과정과, 하위 계층 예측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하위 계층 영상에 적응적 또는 선택적으로 1차원 예측 필터를 적용하여 포맷 상향 변환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영상과 상기 포맷 상향 변환된 영상 간의 잔차 영상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잔차 영상을 부호화하여 상위 계층 비트열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영상을 계층별로 부호화하는 다계층 영상 부호화 장치는, 포맷 하향 변환된 입력 영상을 부호화하여 하위 계층 비트열을 생성하는 하위 계층 부호화부와, 하위 계층 예측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하위 계층 영상에 적응적 또는 선택적으로 1차원 예측 필터를 적용하여 포맷 상향 변환을 수행하는 포맷 상향 변환부와, 상기 입력 영상과 상기 포맷 상향 변환된 영상 간의 잔차 영상을 계산하는 잔차 결정부와, 상기 계산된 잔차 영상을 부호화하여 상위 계층 비트열을 생성하는 잔차 부호화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계층 영상들을 복호화하는 다계층 영상 복호화 방법은, 하위 계층 비트열을 복호화하여 하위 계층 영상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위 계층 비트열을 복호화하여 잔차 영상을 출력하는 과정과, 하위 계층 예측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하위 계층 영상에 적응적 또는 선택적으로 1차원 예측 필터를 적용하여 포맷 상향 변환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잔차 영상과 상기 포맷 상향 변환된 영상을 합하여 상위 계층 영상을 복원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계층 영상들을 복호화하는 다계층 영상 복호화 장치는, 하위 계층 비트열을 복호화하여 하위 계층 영상을 출력하는 하위 계층 복호화부와, 상위 계층 비트열을 복호화하여 잔차 영상을 출력하는 잔차 복호화부와, 하위 계층 예측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하위 계층 영상에 적응적 또는 선택적으로 1차원 예측 필터를 적용하여 포맷 상향 변환을 수행하는 포맷 상향 변환부와, 상기 잔차 영상과 상기 포맷 상향 변환된 영상을 합하여 상위 계층 영상을 복원하는 영상 복원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계층 영상 부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계층 영상 복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실시 예의 포맷 상향 변환을 하는데 필요한 영상 변환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코덱의 종류 즉, H.264 혹은 VC-1과 같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기본 계층 영상과 두 개의 상위 계층을 포함하는 3계층의 영상을 처리하는 다계층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안을 가정한 것이다. 3계층 부호화는 3개의 비트열을 생성하는 것을 의미하고, 3계층 복호화는 3개의 비트열을 복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 따라 계층의 수를 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계층 영상 부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실시 예에서 3개의 계층 부호화를 위해서는 원래 입력 영상을 두 번에 걸쳐 하향 변환한다. 이 과정을 통해 원래 입력 영상으로부터 두 개의 영상이 생성된다. 두 번 하향 변환된(down-converted) 영상은 기본 계층 영상, 한 번 하향 변환된 영상은 제2 계층 영상, 원래 입력 영상은 제3 계층 영상임을 가정한다.
상기 기본 계층 영상은 임의의 표준 영상 코덱을 통해 부호화하여 기본 계층 비트열(base layer bitstream)을 생성한다. 도 1의 부호화 장치는 기본 계층 영상을 복원하고, 포맷 상향 변환 과정을 거친 기본 계층 영상과 제2 계층 영상과의 차이인 잔차 영상을 부호화하여 제2 계층 비트열을 생성한다. 또한 도 1의 부호화 장치는 제2 계층 영상을 복원하고 제1 계층 포맷 상향 영상과 합성한 후 포맷 상향 변환 과정을 거친 영상과 제3 계층 영상인 원래 입력 영상과의 차이인 잔차 영상을 부호화하여 제3 계층 비트열을 생성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4 계층 이상의 비트열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에서 부호화 장치는 입력 영상(원 영상)를 제1 포맷 하향 변환부 11과 제2포맷 하향 변환부 13을 통해 순차로 하향 변환한다. 이 과정을 통해 원래 영상으로부터 두 개의 영상이 생성된다. 입력 영상으로부터 두 번 하향 변환된 영상 즉, 제2 포맷 하향 변환부 13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은 기본 계층 영상이다. 상기 입력 영상으로부터 한 번 하향 변환된 영상 즉, 제1 포맷 하향 변환부 11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은 제2 계층 영상이다. 원래 입력 영상은 제3 계층 영상이다. 기본 계층 부호화부 15에서 기본 계층 영상을 부호화하여 기본 계층 비트열을 생성한다. 기본 계층 부호화부 15로는 VC-1, H.264 등과 같은 임의의 표준 영상 코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서 잔차 부호화부 23은 잔차 영상을 부호화하여 제2 계층 비트열을 생성한다. 여기서 잔차 영상은 기본 계층 영상을 복원하고 포맷 상향 변환 과정을 거친 영상과 제2 계층 영상간의 차이를 의미한다. 기본 계층 복원부 17은 기본 계층 영상을 복원하고, 이렇게 복원된 기본 계층 영상은 제1 포맷 상향 변환부 19에서 포맷 상향 변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제1 잔차 결정부 21은 포맷 상향 변환 과정을 거쳐 얻어진 영상 즉, 상향 변환(up-converted) 기본 계층 영상과 제2계층 영상간의 차이를 구하여 잔차를 출력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잔차 결정부 21은 제2 계층 영상 및 포맷 상향 변환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상향 변환 기본 계층 영상 사이의 차이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잔차 결정부는 감지부로서 이해할 수 있다.
도 1에서 제2 계층 복원부 25는 제2 계층 부호화부 23에서 출력되는 제2 계층 영상을 복원한다. 이렇게 복원된 제2 계층 영상은 합성부 31에서 제1 포맷 상향 변환부 19에서 출력되는 영상과 합해진다. 합성부 31의 출력은 제2 포맷 상향 변환부 33에서 포맷 상향 변환된다. 제2 잔차 결정부 27은 포맷 상향 변환 과정을 거쳐 얻어진 영상 즉, 상향 변환된(up-converted) 제2 계층 영상과 제3 계층 영상인 입력 영상간의 차이를 구하여 잔차를 출력한다. 잔차 부호화부 29는 제2 잔차 결정부 27에서 출력되는 잔차 영상을 부호화하여 제3 계층 비트열을 생성한다. 도 1의 실시 예에서는 기본 계층 영상, 제2 계층 영상, 그리고 제3 계층 영상을 포함하는 다계층 영상을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부호화 장치의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4 개 계층 이상의 다계층 비트열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계층 영상 복호화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될 본 발명의 다계층 영상 복호화 장치는 도 1의 구성을 갖는 영상 부호화 장치는 물론 잔차를 이용하여 부호화된 계층별 비트열을 복호화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계층 영상 복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다계층 영상 복호화 장치는 기본 계층 비트열을 VC-1, H.264 등과 같은 임의의 표준 영상 코덱을 통해 복호화하여 기본 계층 영상을 복원한다. 도 2의 복호화 장치는 제2 계층 비트열을 잔차 코덱을 통해 복호화하고, 이렇게 복호화된 제2 계층의 잔차 영상과 복호화된 기본 계층 영상을 포맷 상향 변환 과정을 거친 영상과 합하여 제2 계층 영상을 복원한다. 또한 도 2의 복호화 장치는 제3 계층 비트열을 잔차 코덱을 통해 복호화하고, 이렇게 복호화된 제3 계층의 잔차 영상과 복호화된 제2 계층 영상을 포맷 상향 변환 과정을 거친 영상과 합하여 제3 계층 영상을 복원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도 2의 복호화 장치는 4 개 계층 이상의 다계층 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도 2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2을 참조하면, 기본 계층 복호화부 54는 기본 계층 비트열을 복호화하여 기본 계층 영상을 복원한다. 기본 계층 복호화부 54는 VC-1, H.264 등과 같은 임의의 표준 영상 코덱을 사용할 수 있다. 잔차 복호화부 56은 제2 계층 비트열을 복호화하여 잔차 영상을 출력한다. 여기서 제2 계층 비트열을 복호화하여 잔차 영상을 출력하는 것에 대해서는 전술한 도 1 혹은 도 2에 나타낸 부호화 과정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다. 즉, 도 1 혹은 도 2에 따르면, 잔차 부호화부 23에서 생성되는 제2 계층 비트열은 잔차 결정부 21에서 검출한 잔차 영상을 부호화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를 복호화하면 잔차 영상을 얻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2에서 잔차 복호화부 56은 제2 계층 비트열을 복호화하여 제2 계층의 잔차 영상을 출력한다. 제2 계층 영상 복원부 62는 상기 제2 계층의 잔차 영상과, 복호화된 기본 계층 영상을 제1 포맷 상향 변환부 60를 통해 포맷 상향 변환 과정을 거친 영상과 합하여 제2 계층 영상으로 복원한다.
또한 도 2에서 잔차 복호화부 58는 제3 계층 비트열을 복호화하여 제3 계층의 잔차 영상을 출력한다. 제3 계층 영상 복원부 66은 상기 제3 계층의 잔차 영상과, 상향 변환된 제2 계층 영상을 합하여 제3 계층 영상으로 복원한다. 여기서 상기 상향 변환된 제2 계층 영상은 복호화된 제2 계층 영상을 제2 포맷 상향 변환부 64를 통해 포맷 상향 변환 과정을 거쳐 얻어진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4 계층 이상의 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실시 예에서 포맷 상향 변환을 하는데 필요한 영상 변환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도 2의 실시 예에서 포맷 상향 변환은 계층간 서로 다른 영상의 포맷을 맞추는 과정이다. 하위 계층에 비해 상위 계층은 고화질의 영상을 표현하기 때문에 포맷 상향 변환의 영상 변환이 필요하다. 계층간 영상 변환을 위해서는 비트 깊이 상향 변환(bit depth up-conversion), 공간 해상도 상향 변환(resolution up-conversion), 컬러 색차 정보 상향 변환(chroma up-conversion), 톤 매핑(tone mapping)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변환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비트 깊이 상향 변환은 심플 비트 시프팅, 스무딩 및 톤 매핑 중 하나를 근거로 수행된다. 즉, 화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도를 고려하고 하위 계층 영상과 상위 계층 영상의 특성에 따라,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비트 깊이 상향 변환 310 => 공간 해상도 상향 변환 330 => 컬러 색차 정보 상향 변환 370 => 추가 톤 매핑 390의 순서로 변환을 실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비트 깊이 상향 변환 310 => 1차원 필터링 350 => 컬러 색차 정보 상향 변환 370 => 추가 톤 매핑 390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비트 깊이 상향 변환 310 => 컬러 색차 정보 상향 변환 370 => 톤 매핑 390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비트 깊이 상향 변환 310 => 공간 해상도 상향 변환 330 => 톤 매핑 390의 순서로 변환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예에서는 설명되지 않았으나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영상 변환 순서는 실시 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응용분야에 따라 영상 변환의 조합이 결정될 수 있다. 영상 변환의 순서를 정하여 영상 특성(화질)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영상 변환의 순서는 영상 변환의 중요도에 따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각 변환에 대해 설명하면, 비트 깊이 상향 변환 310은 영상을 표현하는 화소의 표현 단위를 변환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하위 계층(base layer or lower layer)의 영상은 한 화소를 표현하는 데 8비트가 필요하지만, 상위 계층(enhancement layer or higher layer)의 영상은 한 화소를 표현하는 데 10비트 또는 12비트를 사용한다. 비트 깊이의 증가는 영상의 동적 범위(dynamic range)를 높여 주어 고화질의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도 3에서 비트 깊이 상향 변환 310의 경우 다음 3가지의 방법 중 하나의 선택이 가능하다. 즉, 심플 비트 시프팅(simple bit shifting) 311을 통한 변환 방법, 공간필터(2D-Spatial Filter)를 이용하는 스무딩(smoothing) 313을 통한 변환 방법, 톤 매핑 315을 통한 변환 방법이 있다. 상기 심플 비트 시프팅 311을 통한 변환 방법은 단순히 비트 시프팅을 하여 비트 깊이를 변환하는 것이다. 상기 스무딩 313을 통한 변환 방법은 비트 깊이 변환을 할 때 잡음을 제거하는 효과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톤 매핑 315을 통한 변환 방법은 비트 깊이 변환을 할 때 선형이 아닌 비선형 대응 변환을 통하여 원본 영상에 가까운 영상을 복원 가능하게 한다.
도 3에서 상기 컬러색차정보 상향 변환 370은 한 영상을 표현하는 컬러색차정보의 확장 변환이다. 예를 들면, 하위 계층 영상의 컬러색차정보(chroma sample)가 YCbCr4:2:0인 경우 4개의 화소를 나타내는 데 4개의 Y 값, 1개의 Cb 값, 1개의 Cr 값이 필요하다. 상위 계층 영상의 컬러색차정보를 YCbCr4:2:2로 변환한다면 4개의 화소를 나타내는 데 4개의 Y 값, 2개의 Cb 값, 2개의 Cr 값이 필요하다.
도 3에서 상기 추가 톤 매핑 390은 주어진 비트 깊이에서 선형이 아닌 비선형 대응 변환을 통하여 원본 영상에 가까운 영상을 복원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다. 단, 추가 톤 매핑 390은 상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와 하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가 동일한 경우 하위 계층 영상에 대해 1차원 예측 필터가 적용되지 않으며, 비트 깊이 변환이 단순 쉬프팅이거나 스무딩일 때 적용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 톤 매핑 390은 상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와 하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가 다른 경우 또는 1-D filter가 적용된 경우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맷 상향 변환부는 상위 계층에서 발생하는 잔차 영상의 동적 범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하위 계층으로부터 입력된 하위 계층 영상에 1차원 예측 필터(1-D prediction filter)를 적용하여 1차원 필터링을 수행한다. 이러한 1차원 필터링은 아래 <표 1>에서와 같이 시퀀스 레이어(Sequence layer)의 비트스트림 구문(Syntax)에서 하위 계층 예측 프래그가 미리 설정(일 예로, LOWER_LAYER_PRED_FLAG ==1)되어 있는 경우에만 수행된다. <표 1>은 다계층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의 포맷 상향 변환부에서 영상 변환 과정을 수행하는 데 있어 필요한 정보인 시퀀스 레이어의 비트스트림 구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하위 계층 예측 플래그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영상 변환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SEQUENCE LAYER( ) { Number of bits Descriptor
...
LOWER _ LAYER _ PRED _ FLAG 1 Uimsbf
if((PICTURE_WIDTH == LOWER_PICTURE_WIDTH) &&
(PICTURE _HEIGHT == LOWER_PICTURE_HEIGHT) &&
(LOWER_LAYER_PRED_FLAG == 0)) {
BIT _ UPCONVERSION 2 Uimsbf
if(BIT_UPCONVERSION == 1 ||
BIT_UPCONVERSION == 3) {
ENHANCEMENT _ LAYER _ TONE _ MAP _ FLAG 1 Uimsbf
}
if(BIT_UPCONVERSION == 3) {
SMOOTHING _ WND 2 Uimsbf
SMOOTHING _ TH _ MINUS _1 2 Uimsbf
}
else {
if(BIT_DEPTH_MINUS_8 != LOWER_BIT_DEPTH_MINUS_8) {
ENHANCEMENT _ LAYER _ TONE _ MAP _ FLAG 1 Uimsbf
}
}
COLOR _ DIFFERENCE _ UPCONVERSION 2 Uimsbf
if(ENHANCEMENT_LAYER_TONE_MAP_FLAG ||
( (PICTURE _HEIGHT == LOWER_PICTURE_HEIGHT) &&
(PICTURE _HEIGHT == LOWER_PICTURE_HEIGHT) &&
(BIT_UPCONVERSION == 2) ) ) {
Y_ NUM _ LINEAR _ SEGMENTS 16 Uimsbf
Y_ LENGTH _ OF _ FLC _X_ MINUS _1 4 Uimsbf
Y_ LENGTH _ OF _ FLC _Y_ MINUS _1 4 Uimsbf
for(i=0; i <= Y_NUM_LINEAR_SEGMENTS; i++) {
Y_ MAP _ PARA _X[i] variable size Uimsbf
Y_ MAP _ PARA _Y[i] variable size Uimsbf
}
U_ NUM _ LINEAR _ SEGMENTS 16 Uimsbf
U_ LENGTH _ OF _ FLC _X_ MINUS _1 4 Uimsbf
U_ LENGTH _ OF _ FLC _Y_ MINUS _1 4 Uimsbf
for(i=0; i <= U_NUM_LINEAR_SEGMENTS; i++) {
U_ MAP _ PARA _X[i] variable size Uimsbf
U_ MAP _ PARA _Y[i] variable size Uimsbf
}
V_ NUM _ LINEAR _ SEGMENTS 16 Uimsbf
V_ LENGTH _ OF _ FLC _X_ MINUS _1 4 Uimsbf
V_ LENGTH _ OF _ FLC _Y_ MINUS _1 4 Uimsbf
for(i=0; i <= V_NUM_LINEAR_SEGMENTS; i++) {
V_ MAP _ PARA _X[i] variable size Uimsbf
V_ MAP _ PARA _Y[i] variable size Uimsbf
}
}
...
ALIGNtoBYTE ()
}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맷 상향 변환부는 시퀀스 레이어의 비트스트림 구문에서 하위 계층 예측 프래그가 미리 설정(일 예로, LOWER_LAYER_PRED_FLAG ==1)되어 있는 경우, 공간 해상도 상향 변환 330 또는 1차원 필터 예측(1-D Filtered Prediction) 350에서 1차원 예측 필터를 적용하여 1차원 필터링을 수행한다.
여기서, 복원 영상을 생성하는데 있어서, 공간 해상도 상향 변환 330 또는 1차원 필터 예측 350이 비트 깊이 변환과 함께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비트 깊이 변환 중 단순 비트 시프팅 311만이 사용가능하다. 이는 해상도 변환 및 1차원 필터 예측에 사용되는 필터의 제수(분모)를 조작하여 동시에 수행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하, 포맷 상향 변환부에서 시퀀스 레이어(Sequence layer)의 비트스트림 구문(Syntax)에서 하위 계층 예측 프래그가 미리 설정(LOWER_LAYER_PRED_FLAG == 1)되어 있는 경우, 상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와 하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에 따라서 공간 해상도 상향 변환 330 또는 1차원 필터 예측(1-D Filtered Prediction) 350에서 1차원 필터링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포맷 상향 변환부는 상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와 하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가 동일한 경우, 하위 계층에서 복원된 영상을 상위 계층의 예측영상으로 변환하기 위해 수평방향으로만 1차원 필터를 적용한다.
그리고, 포맷 상향 변환부는 상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와 하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가 상이한 경우, 공간 해상도 상향 변환 과정에서 기존의 기본(default) 필터를 이용하여 수직 방향의 상향 변환을 수행하고, 대체 필터를 이용하여 수평 방향의 상향 변환을 수행한다. 상기 대체 필터는 기본 필터의 계수와 1차원 필터의 계수를 컨볼류션(convolution) 하여 생성된 계수를 가지는 필터이다. 한편, 포맷 상향 변환부는 상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와 하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가 상이하고 1차원 필터가 사용되지 않은(일 예로, LOWER_LAYER_PRED_FLAG ==0) 경우, 종래와 동일한 방법으로 공간 해상도 상향 변환을 위한 기본 필터를 수평 수직 방향으로 적용하여 공간 해상도 상향 변환 330을 수행한다. 이때 두 방향의 필터는 동일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계층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에서 포맷 상향 변환부는 하위 계층 예측 프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1차원 필터 예측을 수행하므로 잔차 영상의 동적 범위 및 연산량 및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모바일 환경과 같이 저복잡도가 요구되는 응용에서 활용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2)

  1. 입력 영상을 계층별로 부호화하는 다계층 영상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입력 영상을 포맷 하향 변환하고 상기 포맷 하향 변환된 입력 영상을 부호화하여 하위 계층 비트열을 생성하는 과정과,
    하위 계층 예측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하위 계층 영상에 적응적 또는 선택적으로 1차원 예측 필터를 적용하여 포맷 상향 변환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영상과 상기 포맷 상향 변환된 영상 간의 잔차 영상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잔차 영상을 부호화하여 상위 계층 비트열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다계층 영상 부호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맷 상향 변환을 수행하는 과정은,
    하위 계층 예측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하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와 상기 입력 영상의 해상도가 동일한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하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와 상기 입력 영상의 해상도가 동일한 경우, 상기 하위 계층 영상에 수평방향으로 상기 1차원 예측 필터만을 적용하여 제1 포맷 상향 변환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하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와 상기 입력 영상의 해상도가 상이한 경우, 상기 하위 계층 영상에 수직방향으로 미리 정해진(default) 필터를 적용하고 수평방향으로 대체(alternative) 필터를 적용하여 제2 포맷 상향 변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다계층 영상 부호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맷 상향 변환 또는 제2 포맷 상향 변환을 수행하는 과정은,
    심플 비트 시프팅을 기반으로 비트 깊이 변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다계층 영상 부호화 방법.
  4. 입력 영상을 계층별로 부호화하는 다계층 영상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포맷 하향 변환된 입력 영상을 부호화하여 하위 계층 비트열을 생성하는 하위 계층 부호화부와,
    하위 계층 예측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하위 계층 영상에 적응적 또는 선택적으로 1차원 예측 필터를 적용하여 포맷 상향 변환을 수행하는 포맷 상향 변환부와,
    상기 입력 영상과 상기 포맷 상향 변환된 영상 간의 잔차 영상을 계산하는 잔차 결정부와,
    상기 계산된 잔차 영상을 부호화하여 상위 계층 비트열을 생성하는 잔차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다계층 영상 부호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맷 상향 변환부는,
    하위 계층 예측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하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와 상기 입력 영상의 해상도가 동일한지 확인하고,
    상기 하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와 상기 입력 영상의 해상도가 동일한 경우, 상기 하위 계층 영상에 수평방향으로 상기 1차원 예측 필터만을 적용하여 제1 포맷 상향 변환을 수행하고,
    상기 하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와 상기 입력 영상의 해상도가 상이한 경우, 상기 하위 계층 영상에 수직방향으로 미리 정해진(default) 필터를 적용하고 수평방향으로 대체(alternative) 필터를 적용하여 제2 포맷 상향 변환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층 영상 부호화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맷 상향 변환부는,
    심플 비트 시프팅을 기반으로 비트 깊이 변환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층 영상 부호화 장치.
  7. 계층 영상들을 복호화하는 다계층 영상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하위 계층 비트열을 복호화하여 하위 계층 영상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위 계층 비트열을 복호화하여 잔차 영상을 출력하는 과정과,
    하위 계층 예측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하위 계층 영상에 적응적 또는 선택적으로 1차원 예측 필터를 적용하여 포맷 상향 변환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잔차 영상과 상기 포맷 상향 변환된 영상을 합하여 상위 계층 영상을 복원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다계층 영상 복호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포맷 상향 변환을 수행하는 과정은,
    하위 계층 예측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하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와 상기 잔차 영상의 해상도가 동일한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하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와 상기 잔차 영상의 해상도가 동일한 경우, 상기 하위 계층 영상에 수평방향으로 상기 1차원 예측 필터만을 적용하여 제1 포맷 상향 변환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하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와 상기 잔차 영상의 해상도가 상이한 경우, 상기 하위 계층 영상에 수직방향으로 미리 정해진(default) 필터를 적용하고 수평방향으로 대체(alternative) 필터를 적용하여 제2 포맷 상향 변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다계층 영상 복호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맷 상향 변환을 수행하는 과정 또는 상기 제2 포맷 상향 변환을 수행하는 과정은,
    심플 비트 시프팅을 기반으로 비트 깊이 변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다계층 영상 복호화 방법.
  10. 계층 영상들을 복호화하는 다계층 영상 복호화 장치에 있어서,
    하위 계층 비트열을 복호화하여 하위 계층 영상을 출력하는 하위 계층 복호화부와,
    상위 계층 비트열을 복호화하여 잔차 영상을 출력하는 잔차 복호화부와,
    하위 계층 예측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하위 계층 영상에 적응적 또는 선택적으로 1차원 예측 필터를 적용하여 포맷 상향 변환을 수행하는 포맷 상향 변환부와,
    상기 잔차 영상과 상기 포맷 상향 변환된 영상을 합하여 상위 계층 영상을 복원하는 영상 복원부를 포함하는 다계층 영상 복호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포맷 상향 변환부는,
    하위 계층 예측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하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와 상기 잔차 영상의 해상도가 동일한지 확인하고,
    상기 하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와 상기 잔차 영상의 해상도가 동일한 경우, 상기 하위 계층 영상에 수평방향으로 상기 1차원 예측 필터만을 적용하여 제1 포맷 상향 변환을 수행하고,
    상기 하위 계층 영상의 해상도와 상기 잔차 영상의 해상도가 상이한 경우, 상기 하위 계층 영상에 수직방향으로 미리 정해진(default) 필터를 적용하고 수평방향으로 대체(alternative) 필터를 적용하여 제2 포맷 상향 변환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층 영상 복호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맷 상향 변환부는,
    심플 비트 시프팅을 기반으로 비트 깊이 변환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층 영상 복호화 장치.
KR1020110092702A 2010-09-14 2011-09-14 다계층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와 방법 KR1019776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8259410P 2010-09-14 2010-09-14
US61/382,594 2010-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844A KR20120028844A (ko) 2012-03-23
KR101977610B1 true KR101977610B1 (ko) 2019-05-15

Family

ID=458067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701A KR20120028843A (ko) 2010-09-14 2011-09-14 계층적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0110092702A KR101977610B1 (ko) 2010-09-14 2011-09-14 다계층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와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701A KR20120028843A (ko) 2010-09-14 2011-09-14 계층적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8494294B2 (ko)
EP (2) EP2617193A4 (ko)
JP (2) JP5539592B2 (ko)
KR (2) KR20120028843A (ko)
CN (2) CN103098472A (ko)
WO (2) WO20120364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6468A2 (en) * 2010-09-14 201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ierarchical picture encoding and decoding
MX361767B (es) 2012-07-09 2018-12-17 Vid Scale Inc Arquitectura de códec para codificación de video de múltiples capas.
US9648318B2 (en) 2012-09-30 2017-05-09 Qualcomm Incorporated Performing residual prediction in video coding
WO2014058110A1 (ko) * 2012-10-09 2014-04-1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계층 비디오를 위한 계층 간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JP6345650B2 (ja) 2013-04-05 2018-06-20 サターン ライセンシング エルエルシーSaturn Licensing LL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9510001B2 (en) * 2013-07-09 2016-11-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Video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530955B1 (ko) * 2013-09-16 2015-06-25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케일러블 코딩기반의 디지털 홀로그램 압축 장치
US10142638B2 (en) 2013-10-11 2018-11-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encoding/decoding image and device using same
US20150124873A1 (en) * 2013-11-01 2015-05-07 Microsoft Corporation Chroma Down-Conversion and Up-Conversion Processing
JP6497014B2 (ja) * 2014-09-24 2019-04-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EP3099051B1 (en) * 2015-05-29 2018-03-14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processing image data
US10091506B2 (en) * 2015-06-11 2018-10-02 Sony Corporation Data-charge phase data compression architecture
US10027968B2 (en) * 2015-06-12 2018-07-17 Sony Corporation Data-charge phase data compression tool
KR20180064411A (ko) * 2015-09-15 2018-06-14 디지털인사이트 주식회사 Hdr 양자화 혹은 마스킹 방법 및 장치
KR102476207B1 (ko) * 2015-11-12 2022-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반도체 시스템
WO2019191904A1 (zh) * 2018-04-03 2019-10-10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12040240B (zh) * 2020-11-03 2021-08-27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5869A1 (en) 2008-03-10 2009-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encoding apparatus, video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00046612A1 (en) 2008-08-25 2010-02-25 Microsoft Corporation Conversion operations in scalable video encoding and decoding
US20100135393A1 (en) * 2007-06-27 2010-06-03 Yong Ying Gao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or decoding video data using enhancement layer residual prediction for bit depth scal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729B1 (ko) 1993-11-30 1997-10-22 양승택 공간영역 계층 부호화 장치에서의 움직임 정도 구분 방법
JP3781220B2 (ja) * 1995-12-27 2006-05-3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信号符号化方法、画像信号符号化装置及び画像信号伝送方法
WO1997042742A2 (en) * 1996-05-08 1997-11-13 Philips Electronics N.V. Transmission of a digital information signal having a specific first sampling frequency
KR100367831B1 (ko) * 1998-06-30 2003-01-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및 장치
US6873655B2 (en) * 2001-01-09 2005-03-29 Thomson Licensing A.A. Codec system and method for spatially scalable video data
JP2005506815A (ja) * 2001-10-26 2005-03-0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空間拡張可能圧縮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050105222A (ko) * 2003-02-17 2005-11-0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비디오 부호화
JP4373693B2 (ja) * 2003-03-28 2009-11-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音響信号の階層符号化方法および階層復号化方法
US20050195896A1 (en) * 2004-03-08 2005-09-08 National Chiao Tung University Architecture for stack robust fine granularity scalability
KR101014667B1 (ko) * 2004-05-27 2011-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케일러블 동영상 인코딩, 디코딩 장치 및 그 방법
US20070014348A1 (en) 2005-04-12 2007-01-1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tion compensated fine granularity scalable video coding with drift control
KR101326610B1 (ko) * 2005-07-11 2013-11-08 톰슨 라이센싱 매크로블록 적응적 인터-층 인트라 텍스쳐 예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772868B1 (ko) * 2005-11-29 2007-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계층을 기반으로 하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방법및 장치
US7742524B2 (en) * 2006-11-17 2010-06-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encoding a video signal using inter-layer prediction
KR20090129412A (ko) * 2007-03-02 2009-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신호 디코딩/인코딩 방법 및 장치
ATE484155T1 (de) * 2007-06-29 2010-10-15 Fraunhofer Ges Forschung Skalierbare videocodierung, die pixelwert- verfeinerungsskalierbarkeit unterstützt
DK2835976T3 (en) * 2008-04-16 2016-12-05 Ge Video Compression Llc Bit depth scalability
KR101107318B1 (ko) * 2008-12-01 2012-01-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케일러블 비디오 인코딩, 디코딩 방법 및 스케일러블 비디오 인코더, 디코더
KR101597987B1 (ko) 2009-03-03 2016-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계층 독립적 잔차 영상 다계층 부호화 장치 및 방법
WO2012036468A2 (en) * 2010-09-14 201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ierarchical picture encoding and decod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5393A1 (en) * 2007-06-27 2010-06-03 Yong Ying Gao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or decoding video data using enhancement layer residual prediction for bit depth scalability
US20090225869A1 (en) 2008-03-10 2009-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encoding apparatus, video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00046612A1 (en) 2008-08-25 2010-02-25 Microsoft Corporation Conversion operations in scalable video encoding and deco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98472A (zh) 2013-05-08
CN103098471A (zh) 2013-05-08
WO2012036467A2 (en) 2012-03-22
JP2013541899A (ja) 2013-11-14
JP5612214B2 (ja) 2014-10-22
KR20120028843A (ko) 2012-03-23
JP2013537388A (ja) 2013-09-30
KR20120028844A (ko) 2012-03-23
EP2617196A2 (en) 2013-07-24
WO2012036467A3 (en) 2012-05-31
EP2617193A2 (en) 2013-07-24
JP5539592B2 (ja) 2014-07-02
US20120063517A1 (en) 2012-03-15
WO2012036468A3 (en) 2012-06-14
US20130300923A1 (en) 2013-11-14
CN103098471B (zh) 2016-07-06
EP2617193A4 (en) 2016-03-23
US20120063692A1 (en) 2012-03-15
US8494294B2 (en) 2013-07-23
WO2012036468A2 (en) 2012-03-22
US8774542B2 (en)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610B1 (ko) 다계층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와 방법
JP5295233B2 (ja) ビデオエンコーダ、ビデオデコーダ、エンコードするための方法、デコードするため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スケーラブルなビットストリーム
KR101597987B1 (ko) 계층 독립적 잔차 영상 다계층 부호화 장치 및 방법
CN113170218B (zh) 具有多级增强和可调编码格式的视频信号增强解码器
US11146803B2 (en) Distribution of multi-format high dynamic range video using layered coding
JP5039142B2 (ja) 品質スケーラブルな符号化方法
US7864219B2 (en) Video-signal layered coding and decoding methods, apparatuses, and programs with spatial-resolution enhancement
US20130272391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Quantization Matrix Coding
US10542265B2 (en) Self-adaptive prediction method for multi-layer codec
KR20150126728A (ko) 조합된 공간 및 비트 심도 확장성
US20230421815A1 (en) Transformations for signal enhancement coding
KR20150010903A (ko) 모바일 단말 화면을 위한 3k해상도를 갖는 디스플레이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JP2007174568A (ja) 符号化方法
CN116508091A (zh) 使用后处理控制的视频解码
US20240040160A1 (en) Video encoding using pre-processing
JP3576660B2 (ja)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復号化装置
JP3914214B2 (ja)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復号化装置
Cunha et al. Data compression algorithms for biomedical images
US201401856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image encoding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image decoding
KR20140127406A (ko) 비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그를 이용한 장치
KR20140127405A (ko) 비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그를 이용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