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118B1 -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118B1
KR101977118B1 KR1020170021149A KR20170021149A KR101977118B1 KR 101977118 B1 KR101977118 B1 KR 101977118B1 KR 1020170021149 A KR1020170021149 A KR 1020170021149A KR 20170021149 A KR20170021149 A KR 20170021149A KR 101977118 B1 KR101977118 B1 KR 101977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dule
unit
sensing signal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5162A (ko
Inventor
강재선
김성진
김병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가나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가나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가나이엔지
Priority to KR1020170021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118B1/ko
Publication of KR20180095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 공간 내부 및/또는 주변 등을 촬영하기 위하여 한 개 이상 설치되는 카메라와, 상기 작업공간 일 측에 장착되어 각종 신호를 센싱하여 센싱한 감지신호를 송신장치로 전송하는 센서부와, 센서부를 통하여 센싱되는 각종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로 전송하고 또는 상기 카메라에 의한 영상신호와 상기 센서부를 통한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장치로 송신하는 송신장치와,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와,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장치의 누전, 단선, 통신선의 단선, 전원 공급 불량 등 다양한 오작동 원인의 발생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수동 및 자동방식에 의한 신속한 사후 대처를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ABNORMALITY DETECTING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DEVICE OF CCTV CAMERA}
본 발명은 작업 공간 내부 및/또는 주변 등을 촬영하기 위하여 한 개 이상 설치되는 카메라와, 상기 작업공간 일 측에 장착되어 각종 신호를 센싱하여 센싱한 감지신호를 송신장치로 전송하는 센서부와, 센서부를 통하여 센싱되는 각종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로 전송하고 또는 상기 카메라에 의한 영상신호와 상기 센서부를 통한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장치로 송신하는 송신장치와,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와,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장치의 누전, 단선, 통신선의 단선, 전원 공급 불량 등 다양한 오작동 원인의 발생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수동 및 자동방식에 의한 신속한 사후 대처를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난현장, 승강기, 타워크레인 및 골프장 등에는 보안 및 안전 상의 이유로 영상 관제를 위한 다수의 감시카메라(CCTV)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감시카메라(CCTV)의 도입으로 중앙 통제실 등에서 원격으로 상기 재난현장 등 작업공간에 대한 용이한 감시가 가능하게 되었다.
일반적인 영상 관제 시스템은 다수의 지점에 설치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중앙 통제실로 송신하는 송신장치와, 중앙 통제실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지며, 특정 카메라로부터 영상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해당 카메라 설치 지점으로 작업자가 직접 이동하여 카메라를 점검하게 된다. 이 때, 해당 카메라 또는 송신장치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해당 카메라 또는 송신장치로 접근해야 하지만, 해당 카메라 또는 송신장치는 일반적으로 지면에서 수 미터 떨어진 지점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접근을 위하여 크레인 등 별도의 장비를 활용하여야 하므로, 오류 수정에 대한 비용 상승 및 신속한 사후 대처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작업공간의 특정 위치에 감시카메라를 설치하고 이 감시카메라는 동축케이블을 통해 모니터가 설치된 감시실로 유선 연결되었으며, 다수의 감시카메라를 설치하는 경우 카메라 영상도 여러 개가 되기 때문에 다수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여러 영상을 모아서 소수의 모니터에 적절히 배분, 표시해 중앙 서버에서 관리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보안시스템은 촬영된 영상을 동축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전송하게 되므로 유선망이 손상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였으며 작업공간에 대한 선명한 영상을 손상 없이 원거리까지 전송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도 1은 종래 무선영상처리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인바,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무선영상처리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최근 무선통신의 발달과 함께 CCTV 시스템에 있어서도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하여 저장하거나 화면에 출력하는 무선전송시스템이 등장했다. 종래 무선전송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압축하는 영상처리유닛(110)과 영상처리유닛(110)과 유선으로 연결되고 압축된 영상신호를 무선신호로 전송하는 무선송신유닛(120)과 무선송신안테나(130), 그리고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유닛(120)과 무선수신안테나(140) 등을 포함하고 있다.
(특허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30414호(2006. 12. 19. 공개) "차량 후방 감시 및 도어폰에 적용되는 무선 영상 전송장치"
상기 공개특허를 살펴 보면, 무선영상전송시스템(100)은 카메라(1)와 영상처리유닛(110), 무선송신유닛(120)을 따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구조가 복잡하고 유지 보수가 어려워 과다한 설치, 운영비가 발생하였고, 영상처리유닛(110)과 무선송신유닛(120) 각각에 IP 주소가 부여되기 때문에 복잡한 네트워크 설정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무선영상전송시스템(100)은 HD급이 아닌 화질이 낮은 저해상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이를 승강기에 적용하는 경우 카메라(1)에 의해 촬영되는 무선영상신호만으로는 작업공간에 대한 안전을 통합적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무선영상전송시스템(100)은 케이블이 훼손되거나 케이블 자체가 끊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자가 감시카메라 및/또는 송신장치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해당 카메라 등에 직접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없이 이상 원인을 용히하게 파악하고, Full-HD급 고화질의 영상 데이터를 손상 없이 원거리에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공간의 일 측에 장착되는 각종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와 함께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며, 무선통신 두절 시 자동 전원 제어에 의한 자동 무선복구 기능에 의한 무선통신 유지기능으로 작업공간에 대한 종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시작되었다.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작업공간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영상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작업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카메라 및/또는 송신장치가 설치된 위치로 크레인 등을 활용하여 이동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카메라 및/또는 송신장치의 이상 유무 및 그 이상 원인을 용이하게 예측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과 무선통신 두절 시 자동 전원제어 기능에 의한 자동 무선통신 복구기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상 유무 및 이상 원인을 용이하게 예측하고 판단하여 작업자의 신속한 사후 대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 및/또는 송신장치의 이상 발생시, 습도 감지 센서에 의한 카메라 및/또는 송신장치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여 작업자가 습기에 의한 누전인 것을 예측할 수 있고,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한 카메라 및/또는 송신장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고온에 따른 노이즈 발생 등을 예측할 수 있으며, 전원 단락 감지 센서에 의한 카메라 및/또는 송신장치의 전원 단락 여부를 알 수 있고, 송신장치 도어 개폐 감지 센서에 의한 송신장치 단자함의 도어 개폐 여부를 인식할 수 있으며, 통신 단락 감지 센서에 의하여 송신장치와 수신장치 간의 통신 단락 여부를 알 수 있으며, 가속도 감지센서에 의하여 예를 들어 가속도 이상 여부를 인식하여 승강기와 같은 작업공간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다양한 유형의 이상 원인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장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신호뿐만 아니라, 센서와 연결되어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감지신호를 원격지에 위치하는 수신장치(중앙 서버)에 무선통신으로 안정적으로 전송하여 작업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기상황에 즉시 대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가 특정 송신장치를 선택하여, 선택된 송신장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작업공간 내 복수의 송신장치가 인접하도록 위치하여도 작업자가 상기 송신장치들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송신장치로부터 감지신호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방지하여 단말기가 최소한의 부하만을 받아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단말기의 감지신호저장모듈을 통하여 지정된 기간 동안 저장된 감지신호에 대한 히스토리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신장치의 유형별 감지신호 중 특정 유형의 감지신호의 송신을 요청 및/또는 제 1 무선통신부가 수신한 유형별 감지신호 중 특정 감지신호만을 선택하는 감지신호 선택모듈과, 상기 감지신호 선택모듈에 의하여 선택된 특정 유형의 감지신호만을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신호 표시모듈을 통하여 작업자가 신속하게 오작동을 예측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가 수신한 감지신호와, 감지신호 저장모듈을 통해 저장한 감지신호 히스토리를 비교하여 카메라 및/또는 송신장치의 이상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신호 표시모듈을 구비하여 송신장치 등의 이상 작동 원인을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가 감지신호 선택모듈을 통해 선택한 특정 감지신호만을 감지신호 저장모듈을 통해 저장한 감지신호와 비교하여 송신장치 등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신호 비교모듈을 구비하여 작업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가 송신장치로부터 데이터 정보가 단말기로 전송되지 아니한 경우 재전송을 요청하는 재전송 요청모듈과, 제 1 무선통신부의 실시간으로 데이터 정보의 수신여부를 확인하여 데이터 정보가 전송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재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보내는 재전송 확인모듈을 통하여 단말기와 송신장치의 안정적인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처리부와 무선송수신부를 포함하여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를 전송함에 있어 무선통신으로 전송함에 따라, 작업공간의 일 측에 설치될 수 있는 케이블이 훼손되거나 케이블 자체가 끊어지는 문제가 없으므로 작업공간에 대한 감시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를 변환하는 데이터가공부와 데이터를 무선신호로 처리하는 무선처리부를 포함하여, 하나의 통합된 모듈로서 구성되는 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하여, 기존에 데이터를 변환하는 유닛과 무선신호를 처리하는 유닛을 개별적으로 구축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설치의 복잡성, 유지보수의 어려움, 각 유닛구축 및 설치비용 과다발생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설치 및 운영의 경제성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신장치와 단말기 및/또는 수신장치 간의 무선통신 연결상태를 일정 주기로 점검하여 무선통신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자동으로 무선통신 재접속을 수행하는 자동재접속부를 포함하여, 무선통신 불안정으로 연결이 끊어지더라도 즉시 자동 연결될 수 있으므로 작업공간에 대한 상태를 단절 없이 실시간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신장치와 단말기 및/또는 수신장치 간의 무선통신 연결이 끊어지거나 불안정한 경우 자동재접속부가 송신장치에 탑재된 전원제어기능을 통하여 상기 송신장치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on)/오프(off) 할 수 있도록 하여 무선통신방식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도록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데이터가공부와 상기 무선처리부를 모두 처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관리부를 포함하여, 송신장치를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공간에 대한 안전시스템 구성시 설치 모듈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의 편의성 및 경제성으로 광범위 작업공간 안전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무선송수신부의 기능 중 무선신호로 처리된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기능만을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관리부를 포함하여, 무선송수신부에 주어지는 부하를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송신장치를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와의 통신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 가공부와 무선처리부 각각에 부여되던 IP 주소를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된 송신장치에 하나로 통합하여 부여함으로써 복잡한 과정을 통해 연동 및 설치해야 했던 종전 시스템 구조를 단순화시키며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높여 설치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EEE 802.11n 규격(최고속도: 300Mbps, 유효 전송률: 150Mbps) 또는 IEEE 802.11ac 규격의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Wi-Fi 모듈을 포함하여, 많은 양의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와 고화질의 영상을 장거리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선설치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는 작업공간에 대한 광범위 안전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Wi-Fi 처리모듈과 LTE 처리모듈 및 신호감지모듈을 포함하는 무선처리부, 그리고 Wi-Fi 모듈과 LTE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송수신부를 포함하여, 무선신호 세기에 따라 Wi-Fi 처리모듈과 LTE 처리모듈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작업공간의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를 끊김 없이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도 송신장치의 동작상태를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재전송부와 오류수정부를 포함하여,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확인하고 오류를 검사하며, 실시간으로 작업공간의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원격지에서도 감시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은 작업 공간 내부 및/또는 주변 등을 촬영하기 위하여 한 개 이상 설치되는 카메라와; 상기 작업공간 일 측에 장착되어 각종 신호를 센싱하여 센싱한 감지신호를 송신장치로 전송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통하여 센싱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감지신호와 함께 상기 카메라에 의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장치로 전송하는 송신장치와; 제 1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감지신호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카메라 및/또는 송신장치의 이상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와;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의 상기 센서부는 습도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전원 단락 감지 센서, 송신장치 도어 개폐 감지 센서, 통신 단락 감지 센서, 가속도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의 상기 단말기는 작업공간에 기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송신장치 중 특정 송신장치를 선택하여 상기 제 1 무선통신부가 선택된 송신장치에서의 감지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송신장치선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의 상기 단말기는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한 감자신호를 저장 가능한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모듈과; 수신한 감지신호를 지정된 기간 동안 저장하여 감지신호에 대한 히스토리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신호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의 상기 단말기는 감지신호를 유형별 선택 및/또는 표시하는 유형별 선택/표시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유형별 선택/표시모듈은 송신장치의 유형별 감지신호 중 특정 감지신호의 송신을 요청 및/또는 제 1 무선통신부가 수신한 유형별 감지신호 중 특정 감지신호만을 선택하는 감지신호 선택모듈과; 상기 감지신호 선택모듈에 의하여 선택된 특정 유형의 감지신호만을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신호 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의 상기 단말기는 수신한 감지신호와, 상기 감지신호 저장모듈을 통해 저장한 감지신호 히스토리를 비교하여 카메라 및/또는 송신장치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신호 비교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의 상기 감지신호 비교모듈은 상기 감지신호 선택모듈을 통해 선택한 특정 감지신호만을 상기 감지신호 저장모듈을 통해 저장한 감지신호와 비교하여 카메라 및/또는 송신장치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신호 비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의 상기 감지신호 비교모듈은 모든 유형의 감지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감지신호 저장모듈로부터 수신하여 비교하는 유형별 비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의 상기 단말기는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데이터 정보가 단말기로 전송되지 아니한 경우 재전송을 요청하는 재전송 요청모듈;과, 상기 제 1 무선통신부의 실시간으로 데이터 정보의 수신여부를 확인하여 데이터 정보가 전송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재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보내는 재전송 확인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의 상기 재전송 요청모듈과 재전송 확인모듈은 상기 송신장치 선택모듈에 의하여 특정 송신장치만을 선택한 경우 선택된 송신장치에만 재전송 요청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의 상기 송신장치는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는 영상신호와 센서에 의하여 센싱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와; 상기 데이터수신부로부터 영상신호와 감지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전달받은 영상신호와 감지신호를 압축하는 데이터가공부와, 압축된 디지털 영상신호와 감지신호를 상기 데이터가공부로부터 전달받아 무선신호로 처리하는 무선처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처리부와; 상기 데이터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무선신호를 단말기 및/또는 수신장치로 전송하는 무선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의 상기 송신장치는 상기 데이터수신부, 데이터처리부와, 무선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송신제어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송신제어부는 주변 장치를 통제하고 주변장치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관리부는 상기 데이터가공부와 상기 무선처리부를 모두 처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의 상기 제어관리부는 상기 무선송수신부의 기능 중 무선신호로 처리된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기능만을 구동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무선송수신부에 주어지는 부하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의 상기 송신장치는 상기 송신장치와 상기 수신장치 간의 무선통신 연결상태를 일정 주기로 점검하여 무선통신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자동으로 무선통신 재접속을 수행하는 자동재접속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의 상기 무선처리부는 압축된 디지털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를 Wi-Fi 무선신호로 처리하는 Wi-Fi 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송수신부는 IEEE 802.11n 규격 또는 IEEE 802.11ac 규격의 무선통신 방식을 갖는 Wi-Fi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의 상기 무선처리부는 압축된 디지털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를 LTE 무선신호로 처리하는 LTE 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송수신부는 LTE 규격의 무선통신 방식을 갖는 LTE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의 상기 무선송수신부는 IEEE 802.11n 규격 또는 IEEE 802.11ac 규격의 무선통신 방식을 갖는 Wi-Fi 모듈; 및 LTE 규격의 무선 이동통신 방식을 갖는 LTE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처리부는 Wi-Fi 처리모듈; LTE 처리모듈; 및 신호감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감지모듈은 주위의 무선신호의 세기를 감지하여 상기 송신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송신제어부는 상기 신호감지모듈의 세기 정보에 따라 상기 Wi-Fi 처리모듈과 LTE 처리모듈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의 상기 송신장치는 상기 단말기의 재전송 지시에 따라 센서에 의해 센싱된 감지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수신장치에 전송하는 재전송부와; 센싱된 감지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오류수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의 상기 자동재접속부는 상기 송신장치와, 단말기 및/또는 수신장치와의 무선통신 연결이 끊어지거나 불안정한 경우 송신장치에 탑재된 전원제어기능을 통하여 상기 송신장치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on)/오프(off) 할 수 있도록 하여 무선통신방식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작업공간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영상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작업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카메라 및/또는 송신장치가 설치된 위치로 크레인 등을 활용하여 이동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카메라 및/또는 송신장치의 이상 유무 및 그 이상 원인을 용이하게 예측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과 무선통신 두절 시 자동 전원제어 기능에 의한 자동 무선통신 복구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상 유무 및 이상 원인을 용이하게 예측하고 판단하여 작업자의 신속한 사후 대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 및/또는 송신장치의 이상 발생시, 습도 감지 센서에 의한 카메라 및/또는 송신장치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여 작업자가 습기에 의한 누전인 것을 예측할 수 있고,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한 카메라 및/또는 송신장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고온에 따른 노이즈 발생 등을 예측할 수 있으며, 전원 단락 감지 센서에 의한 카메라 및/또는 송신장치의 전원 단락 여부를 알 수 있고, 송신장치 도어 개폐 감지 센서에 의한 송신장치 단자함의 도어 개폐 여부를 인식할 수 있으며, 통신 단락 감지 센서에 의하여 송신장치와 수신장치 간의 통신 단락 여부를 알 수 있으며, 가속도 감지센서에 의하여 예를 들어 가속도 이상 여부를 인식하여 승강기와 같은 작업공간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다양한 유형의 이상 원인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장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신호뿐만 아니라, 센서와 연결되어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감지신호를 원격지에 위치하는 수신장치(중앙 서버)에 무선통신으로 안정적으로 전송하여 작업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기상황에 즉시 대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를 보인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가 특정 송신장치를 선택하여 선택된 송신장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작업공간 내 복수의 송신장치가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작업자가 상기 송신장치들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송신장치로부터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방지하여 단말기가 최소한의 부하만을 받아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단말기의 감지신호저장모듈을 통하여 지정된 기간 동안 저장된 감지신호에 대한 히스토리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창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송신장치의 유형별 감지신호 중 특정 유형의 감지신호의 송신을 요청 및/또는 제 1 무선통신부가 수신한 유형별 감지신호 중 특정 감지신호만을 선택하는 감지신호 선택모듈과, 상기 감지신호 선택모듈에 의하여 선택된 특정 유형의 감지신호만을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신호 표시모듈을 통하여 작업자가 신속하게 오작동을 예측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가 수신한 감지신호와, 감지신호 저장모듈을 통해 저장한 감지신호 히스토리를 비교하여 카메라 및/또는 송신장치의 이상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신호 표시모듈을 구비하여 송신장치 등의 이상 작동 원인을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가 감지신호 선택모듈을 통해 선택한 특정 감지신호만을 감지신호 저장모듈을 통해 저장한 감지신호와 비교하여 송신장치 등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신호 비교모듈을 구비하여 작업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가 송신장치로부터 데이터 정보가 단말기로 전송되지 아니한 경우 재전송을 요청하는 재전송 요청모듈과, 제 1 무선통신부의 실시간으로 데이터 정보의 수신여부를 확인하여 데이터 정보가 전송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재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보내는 재전송 확인모듈을 통하여 단말기와 송신장치의 안정적인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처리부와 무선송수신부를 포함하여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를 전송함에 있어 무선통신으로 전송함에 따라, 작업공간의 일 측에 설치될 수 있는 케이블이 훼손되거나 케이블 자체가 끊어지는 문제가 없으므로 작업공간에 대한 감시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창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를 변환하는 데이터가공부와 데이터를 무선신호로 처리하는 무선처리부를 포함하여, 하나의 통합된 모듈로서 구성되는 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하여, 기존에 데이터를 변환하는 유닛과 무선신호를 처리하는 유닛을 개별적으로 구축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설치의 복잡성, 유지보수의 어려움, 각 유닛구축 및 설치비용 과다발생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설치 및 운영의 경제성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보인다.
또한, 본 발명은 송신장치와 수신장치 간의 무선통신 연결상태를 일정 주기로 점검하여 무선통신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자동으로 무선통신 재접속을 수행하는 자동재접속부를 포함하여, 무선통신 불안정으로 연결이 끊어지더라도 즉시 자동 연결될 수 있으므로 작업공간에 대한 단절 없이 실시간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송신장치와 단말기 및/또는 수신장치 간의 무선통신 연결이 끊어지거나 불안정한 경우 자동재접속부가 송신장치에 탑재된 전원제어기능을 통하여 상기 송신장치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on)/오프(off) 할 수 있도록 하여 무선통신방식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데이터가공부와 상기 무선처리부를 모두 처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관리부를 포함하여, 송신장치를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공간에 대한 안전시스템 구성시 설치 모듈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의 편의성 및 경제성으로 광범위 작업공간 안전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무선송수신부의 기능 중 무선신호로 처리된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기능만을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관리부를 포함하여, 무선송수신부에 주어지는 부하를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송신장치를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와의 통신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 가공부와 무선처리부 각각에 부여되던 IP 주소를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된 송신장치에 하나로 통합하여 부여함으로써 복잡한 과정을 통해 연동 및 설치해야 했던 종전 시스템 구조를 단순화시키며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높여 설치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IEEE 802.11n 규격(최고속도: 300Mbps, 유효 전송률: 150Mbps) 또는 IEEE 802.11ac 규격의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Wi-Fi 모듈을 포함하여, 많은 양의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와 고화질의 영상을 장거리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선설치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는 작업공간에도 광범위 안전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Wi-Fi 처리모듈과 LTE 처리모듈 및 신호감지모듈을 포함하는 무선처리부, 그리고 Wi-Fi 모듈과 LTE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송수신부를 포함하여, 무선신호 세기에 따라 Wi-Fi 처리모듈과 LTE 처리모듈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작업공간의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를 끊김 없이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보인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도 송신장치의 동작상태를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재전송부와 오류수정부를 포함하여,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확인하고 오류를 검사하며, 실시간으로 작업공간의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원격지에서도 감시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무선영상처리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4는 도 3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센서부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도 4에 따른 영상 가공부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송신부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송신부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원거리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 수신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과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나타내는 참고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인바,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은 작업 공간 내부 및/또는 주변 등을 촬영하기 위하여 한 개 이상 설치되는 카메라(10)와, 상기 작업공간 일 측에 장착되어 각종 신호를 센싱하여 센싱한 감지신호를 송신장치(30)로 전송하는 센서부(20)와, 센서부(20)를 통하여 센싱되는 각종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40)로 전송하고 또는 상기 카메라(10)에 의한 영상신호와 상기 센서부(20)를 통한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장치(50)로 송신하는 송신장치(30)와, 상기 송신장치(30)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40)와, 상기 송신장치(30)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신장치(50)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가 단말기(40)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장치(30)의 누전, 단선, 통신선의 단선, 전원 공급 불량 등 다양한 오작동 원인의 발생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신속한 사후 대처를 가능케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작업공간은 승강기 내부 탑승 공간, 타워크레인, 재난현장, 골프장 등 뿐만 아니라 상기 CCTV용 카메라(10)가 설치 가능한 다양한 임의의 공간을 지칭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특정 용도의 공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도 3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10)는 작업공간 내부 및/또는 주변 등을 촬영하기 위한 장치로 카메라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작업공간 내부 및/또는 주변 등을 촬영할 수 있는 각종 영상촬영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상기 카메라(10)는 작업공간 내 및/또는 주변 등에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음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촬영한 영상신호를 송신장치(3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카메라(10)는 다수의 아날로그 또는 HD-SDI, ethernet 영상이 촬영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송신장치(3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는 작업공간의 일 측 또는 다양한 위치에 장착되어 카메라(10) 및/또는 송신장치(30)의 이상 유무를 파악할 수 있는 각종 감지신호를 센싱하여 상기 감지신호를 송신장치(30)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송신장치(30)로 전송된 센서부(20)의 감지신호는 수신장치(50)로 전송되어 상기 수신장치(50)에서 송신장치(30)의 이상 여부를 알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단말기(40)로 전송되어 단말기(40)에서 이상 여부를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20)는 카메라(10) 및/또는 송신장치(30)의 내부 또는 주변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센서부(20)는 습도 감지 센서(20a), 온도 감지 센서(20b), 전원 단락 감지 센서(20c), 송신장치 도어 개폐 감지 센서(20d), 통신 단락 감지 센서(20e), 가속도 감지센서(20f) 등 복수의 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도 5 참조). 또한, 전술한 종류의 센서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다른 센서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센서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인바,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센서부(2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10) 및/또는 송신장치(30)의 이상 발생시, 습도 감지 센서(20a)에 의한 카메라(10) 및/또는 송신장치(30)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여 작업자가 카메라(10) 및/또는 송신장치(30)의 습기에 의한 누전인 것을 예측할 수 있고, 온도 감지 센서(20b)에 의한 카메라(10) 및/또는 송신장치(3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고온에 따른 노이즈 발생 등을 예측할 수 있으며, 전원 단락 감지 센서(20c)에 의한 카메라(10) 및/또는 송신장치(30)의 전원 단락 여부를 알 수 있고, 송신장치 도어 개폐 감지 센서(20d)에 의한 송신장치(30) 단자함의 도어 개폐 여부를 인식할 수 있으며, 통신 단락 감지 센서(20e)에 의하여 송신장치(30)와 수신장치(50) 간의 통신 단락 여부를 알 수 있으며, 가속도 감지센서(20f)에 의하여 예를 들어 승강기의 가속도 이상 여부를 인식하여 작업공간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의 감지신호를 통한 이상 여부 판단 프로세스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송신장치(30)는 카메라(10)와 연결되어 카메라(10)에 의하여 촬영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영상수신부(311)와, 센서부(20)와 연결되어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센서수신부(312)를 포함하여 작업공간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31); 상기 영상수신부(311)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압축하는 영상가공부(321a)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수신부로(312)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데이터가공부(321); 및 압축된 디지털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를 상기 데이터가공부(321b)로부터 전달받아 무선신호로 처리하는 무선처리부(322);를 포함하는 데이터처리부(32); 상기 데이터처리부(32)로부터 전달되는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무선송수신부(33); 및 상기 데이터수신부(31), 데이터처리부(32), 무선송수신부(33)를 제어하는 송신제어부(35);를 포함하여 작업공간 내부/주변부에서 획득되는 영상신호와 감지신호를 통합적으로 관리운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송신장치(30)는 상기 수신장치(50)와의 무선통신 연결상태를 일정 주기로 점검하여 무선통신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자동으로 무선통신 재접속을 수행하는 자동재접속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30)의 데이터 송수신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처리부(322)와 무선송수신부(33)에 의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나, 근거리 또는 원거리 무선통신 외에 유선 통신 기술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역시 가능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무선통신수단에 의한 통신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선 통신 기술은 공지된 또는 공지될 다양한 통신 기술 중 임의의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무선통신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수신부(31)는 영상수신부(311) 및 센서수신부(312)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수신부(311)는 상기 카메라(10)에 유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송신제어부(35)에 의해 제어되고 여러 채널의 SD 아날로그 영상 또는 HD-DSI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아날로그 카메라와 디지털, HD 카메라가 혼합된 CCTV 시스템을 구성하여 통합된 하나의 IP주소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인 비용으로 작업공간 내부/주변부에 복수의 CCTV 시스템을 설치 및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수신부(312)는 작업공간의 일 측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부(20)와 유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송신제어부(35)에 의해 제어되고, 예를 들어 습도 감지 신호, 온도 감지 신호, 전원 단락 감지 신호, 송신장치 도어 개폐 감지 신호, 통신 단락 감지 신호, 가속도 감지 신호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부(20)는 송신장치(30)의 이상 작동과 관련하여 다양한 종류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센서 및 디지털 센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제어부(35)의 제어로 센서수신부(312)가 아날로그 감지신호를 수신받는 경우 아날로그 감지신호는 센서가공부(321b)로 전달되고, 센서수신부(312)가 디지털 감지신호를 수신받는 경우 디지털 감지신호는 압축된 디지털 영상신호와 함께 무선처리부(322)로 바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처리부(32)는 데이터가공부(321) 및 무선처리부(322);를 포함하며, 데이터가공부(321)는 영상가공부(321a)와 센서가공부(321b)를 포함하고, 무선처리부(322)는 Wi-fi 처리모듈(322a), LTE 처리모듈(322b)과 신호감지모듈(322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따른 영상 가공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인바,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가공부(321a)는 상기 영상수신부(311)로부터 전달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영상변환모듈(321aa)과, 상기 영상변환모듈(321aa)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압축하는 영상압축모듈(321a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변환모듈(321aa)은 상기 영상수신부(311)가 디지털 카메라에 연결되어 디지털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영상압축모듈(321ab)은 디지털 영상신호를 H.264, MPEG4, MPEG2, MJPEG 등의 형태로 압축하는 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원본 영상에 주는 손실을 최소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압축방식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센서가공부(321b)는 상기 송신제어부(35)의 제어로 센서수신부(312)로부터 아날로그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변환된 디지털 감지신호를 무선처리부(322)로 전달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처리부(322)는 상기 송신제어부(35)의 제어에 따라 압축된 디지털 영상신호 및 디지털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무선신호로 처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Wi-Fi 처리모듈(322a)을 포함하여 무선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 Wi-Fi 처리모듈(322a)은 무선송수신부(33)에서 후술하는 Wi-Fi 모듈(33a)에 의해 Wi-Fi 무선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압축된 디지털 영상신호 및 디지털 감지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상기 무선처리부(322)는 Wi-Fi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것뿐만 아니라, LTE 무선신호, NFC 무선신호 등 공지된 또는 공지될 다양한 근거리 또는 원거리 무선신호로 처리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하에서의 Wi-Fi 처리모듈(322a), LTE 처리모듈(322b), 신호감지모듈(322c)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송신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인바,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처리부(3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Wi-Fi 처리모듈(322a) 대신 LTE 처리모듈(322b)을 포함하여 LTE 무선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LTE 처리모듈(322b)은 상기 압축된 디지털 영상신호 및 디지털 감지신호를 상기 무선송수신부(33)에서 후술하는 LTE 모듈 (33b)에 의해 LTE 무선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압축된 디지털 영상신호 및 디지털 감지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송신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인바,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처리부(322)는 Wi-Fi 처리모듈(322a)과 LTE 처리모듈(322b)을 모두 포함하여 상기 Wi-Fi 신호와 LTE 신호의 세기를 감지할 수 있는 신호감지모듈(322c)을 포함하여 상기 Wi-Fi 처리모듈(322a)과 상기 LTE 처리모듈(322b)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신호감지모듈(322c)은 주변 Wi-Fi 신호와 LTE 신호를 감지하여 그 세기를 측정하고, 세기가 큰 신호의 정보를 상기 송신제어부(35)에 제공하여 상기 Wi-Fi 처리모듈(322a)과 상기 LTE 처리모듈(322b)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신호감지모듈(322c)을 통하여 선택된 무선처리부(322)의 모듈에 따라 압축된 디지털 영상신호 및 디지털 감지신호를 Wi-Fi 무선신호 또는 LTE 무선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무선송수신부(33)로 전달한다. 따라서, 통신환경에 따라 무선신호의 형태를 선택하여 끊김 없이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처리부(322)는 주변 장치를 통제하고 주변장치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관리부(351)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가공부(321)와 동시에 처리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영상가공부(321a), 센서가공부(321b) 및 무선처리부(322)는 송신제어부(35)에 의하여 동시에 처리됨으로써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송수신부(33)는 상기 무선처리부(322)로부터 전달되는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Wi-Fi 모듈(33a)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제어부(35)에 의하여 제어된다. 또한, 상기 무선송수신부(33)는 Wi-Fi 모듈(33a) 외에 LTE 모듈(33b) 및/또는 공지된 또는 공지될 다양한 무선통신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특정 무선통신수단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Wi-Fi 모듈(33a)은 상기 송신제어부(35)에 의하여 무선신호로 처리된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기능만 구동된다. 상기 무선송수신부(33)로부터 전송된 무선신호는 단말기(40) 및/또는 수신장치(50)에서 수신하게 되는데, 상기 Wi-Fi 모듈(33a)은 인터넷망이 연결된 상기 단말기(40) 및/또는 수신장치(50)와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Client 기능만이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무선송수신부(33)는 최소한의 부하를 받으면서 안정적인 통신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송신제어부(35)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Wi-Fi 모듈(33a)은 IEEE 802.11n 규격 또는 IEEE 802.11ac 규격의 무선통신 방식을 갖는다. 네트워크 전송방식 종류는 현재 IEEE 802.11a/b/g/n/ac가 있으며, IEEE 802.11n은 2.4GHz 주파수에서 최대 300Mbps 속도를 내고, IEEE 802.11ac는 5GHz 주파수에서 최대 867Mbps 속도를 내는 전송방식이다.
특히, IEEE 802.11n 규격 또는 IEEE 802.11ac 규격의 무선통신 방식은 다중 안테나 방식과 다중 반송파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용량을 비약적으로 발전시킨 무선랜 기술로서 기존의 무선 방식에 비해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른 속도록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 Km의 먼 거리까지 무선신호를 보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신장치(40)에 IEEE 802.11n 규격 또는 IEEE 802.11ac 규격의 무선통신 방식을 적용할 경우 많은 양의 영상정보와 고화질의 영상을 빠른 속도로 전송할 수 있으며, 150Mbps의 유효전송률을 가져 무선전송에 의한 데이터 손실을 감안하더라도 압축된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를 손실 없이 먼 거리까지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송수신부(33)는 LTE 규격의 무선 이동통신 방식을 갖는 LTE 모듈(33b)을 포함할 수 있으며, LTE 모듈(33b)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처리부(322)가 상기 LTE 처리모듈(322b)을 포함하는 경우 기존에 형성되어 있는 LTE 공중망을 이용하여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LTE(Long Term Evolution) 규격의 무선 이동통신 방식은 3세대(3G) 이동통신과 4세대(4G) 이동통신의 중간에 해당하는 무선규격으로 100Mbps의 최대속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상기 무선처리부(322)가 Wi-Fi 처리모듈(322a)과 상기 LTE 처리모듈(322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 무선송수신부(33)는 Wi-fi 모듈(33a) 및 LTE 모듈(33b)을 모두 포함하여 상기 송신제어부(35)의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신호감지모듈(322c)이 감지하는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Wi-fi 처리모듈(322a)과 상기 LTE 처리모듈(322b)이 선택적으로 구동되고 선택된 처리모듈에 따라 Wi-fi 모듈(33a) 및 LTE 모듈(33b)을 통하여 무선신호가 전송된다.
상기 자동재접속부(34)는 상기 송신장치(30)와 단말기(40) 및/또는 수신장치(50) 간의 무선통신 연결상태를 일정 주기로 점검하여 무선통신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자동으로 무선통신 재접속을 수행한다. 종래에는 IP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기술자가 직접 또는 원격에서 IP를 재접속하는 물리적인 과정이 필요하여,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이 불가했고 그 결과 작업공간의 실시간 안정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본 발명은 자동재접속부(34)를 포함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자동재접속부(34)의 구동 방식에 대해서는 별도의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어 상기 송신장치(30)와 단말기(40) 및/또는 수신 장치(50) 간의 무선통신 연결이 끊어지거나 불안정한 경우 상기 송신장치(30)에 탑재된 전원제어기능을 통하여 상기 송신장치(30)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on)/오프(off)할 수 있도록 하여 무선통신방식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신제어부(35)는 데이터수신부(31), 데이터가공부(321)와 무선처리부(322)를 포함하는 데이터처리부(32), 무선송수신부(33), 자동재접속부(34), 재전송부(36) 그리고 오류수정부(37)를 제어하며, 주변장치를 통제하고 주변장치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관리부(3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관리부(351)는 상기 송신제어부(35)의 기능 중 무선신호로 처리된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기능만을 구동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송신제어부(35)에 주어지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송신제어부(35)는 송신장치(3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을 포함하고, 운영체제는 여러 가지 형태를 포함할 수 있지만 다양한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고 경제적인 설치가 가능한 리눅스(Linux)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관리부(351)는 운영체제의 핵심부를 의미하는 커널(Kernel)을 포함한다. 커널(Kernel) 역시 리눅스 커널(Linux Kernel)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시스템이 포함하는 주변 장치들을 통제하고 주변장치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상기 제어관리부(351)는 리눅스 커널을 활용하여 영상가공부(321a), 센서가공부(321b) 및 무선처리부(322)가 하나의 송신제어부(35)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무선송수신부(33)의 기능 중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에 필요한 기능만 구동하도록 제어하여 무선송수신부(33)에 주어지는 부하가 최소가 되도록 한다.
상기 단말기(40)는 상기 송신장치(30)와 유선 및/또는 무선통신 방식에 의하여 연결되어 작업자가 상기 송신장치(30)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특히 앱 구동 및 무선통신을 제어하는 시스템만을 위한 별도의 단말기보다는 최근 그 활용성이 증대되고 사용자 누구나 휴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휴대성과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서의 단말기는 하드웨어적 요소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 이식되는 소프트웨어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말기(40)는 상기 단말기(40)에 기 설치되어 있는 지정된 앱(Application; App)을 구동하여 상기 송신장치(30)와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단말기(40)가 송신장치(30)와 연결되는 방식은 무선통신 방식 외에 유선통신 방식 역시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무선통신 방식은 예를 들어 Wi-Fi, LTE 등 공지된 또는 공지될 임의의 근거리 또는 원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의미하여, 유선통신 방식 역시 공지된 또는 공지될 근거리 또는 원거리 유선통신 방식을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말기(40)는 제 1 무선통신부(41), 송신장치 선택모듈(42), 데이터변환모듈(43), 감지신호저장모듈(44), 유형별 선택/표시모듈(45), 감지신호비교모듈(46), 재전송요청모듈(47), 재전송확인모듈(48)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들은 모두 단말기(40)에 기 설치되어 있는 앱에 구비되어, 상기 앱을 구동시 활용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제 1 무선통신부(41)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단말기(40)에 기 설치되어 있는 앱을 구동하면, 상기 제 1 무선통신부(41)가 상기 송신장치(30)에 감지신호의 송신을 요청한다. 그 후, 상기 송신장치(30)가 송신한 상기 감지신호 등을 수신하여 감지신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40)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무선통신부(41)는 예를 들어 Wi-Fi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송신장치(30)가 LTE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LTE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신장치(30)가 Wi-Fi 모듈(33a) 및 LTE 모듈(33b)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전송되는 Wi-Fi 무선신호와 LTE 무선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40)를 통하여 송신장치(30)의 이상 여부를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송신장치(30)가 지면으로부터 10m 정도의 높이 지점과 같이 닿을 수 없는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해당 송신장치(30) 측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크레인 등 특수장비를 활용할 필요성이 없으므로 작업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다. 즉, 원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하여 작업자가 상기 송신장치(30)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상기 송신장치(30)의 이상 여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하여 송신장치(30) 이상 작동시 작업자가 송신장치(30)와 근접하는 경우 상기 송신장치(30)로부터 감지신호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송신장치(30)의 이상 여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도 있다.
상기 송신장치선택모듈(42)은 작업공간에 기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송신장치(30) 중 특정 송신장치(30)에서의 감지신호 송신을 요청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어, 특정 송신장치(30)에서의 감지신호만을 수신받고자 하는 경우, 상기 송신장치(30)와 인접하는 단말기(40)와 모두 무신통신 가능한 인접한 공간 내에 복수의 송신장치(30)가 기 설치되어 상기 송신장치들(30)에서의 감지신호가 모두 단말기(40)에 송신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상기 단말기(40)에 높은 수준의 부하가 걸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송신장치선택모듈(42)을 통하여 특정 송신장치(30)를 선택한 경우, 상기 제 1 무선통신부(41)는 선택된 송신장치(30)에 대해 감지신호의 송신을 요청하여 상기 송신장치(30)의 감지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변환모듈(43)은 상기 단말기(40)가 수신한 감지신호를 저장 가능한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는 모듈로, 일반적으로 상기 감지신호를 단말기(40)에 저장하기 위한 형태의 감지신호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감지신호저장모듈(44)은 수신한 감지신호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로, 사용자가 상기 감지신호에 대한 히스토리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여 감지신호의 일정 기간 내 상기 감지신호의 변경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상태를 시간대별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여 불특정인이 송신장치(30)의 도어를 개폐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감지신호 저장모듈(44)은 저장된 감지신호를 일정 기간, 예를 들어 24시간 저장하는 것으로 설정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상기의 예시는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특정 시간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형별 선택/표시모듈(45)은 감지신호를 유형별 선택 및/또는 표시하는 모듈로, 이를 위하여 감지신호 선택모듈(451)과 감지신호 표시모듈(4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신호 선택모듈(451)은 송신장치(30)의 유형별 감지신호 중 특정 감지신호의 송신을 요청 및/또는 상기 제 1 무선통신부(41)가 수신한 유형별 감지신호 중 특정 감지신호만을 선택하는 모듈이다. 전자의 경우, 상기 감지신호 선택모듈(451)이 특정 유형의 감지신호를 선택한 경우, 상기 제 1 무선통신부(41)가 송신장치(30)에 선택된 감지신호의 데이터 정보만을 송신할 것을 요청하여, 상기 감지신호만을 수신한다. 후자의 경우, 제 1 무선통신부(41)는 모든 유형의 감지신호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신호 선택모듈(451)이 특정 유형의 감지신호만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감지신호만이 단말기(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감지신호 표시모듈(452)은 상기 감지신호 선택모듈(451)에 의하여 선택된 특정 유형의 감지신호만을 단말기(4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이다.
상기 감지신호 비교모듈(46)은 단말기(40)에서 수신한 감지신호와, 상기 감지신호 저장모듈(44)을 통해 저장한 감지신호를 비교하여 카메라(10) 및/또는 송신장치(3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어 상기 송신장치(30)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며 송신장치(30) 내 습도가 시간이 지날수록 높아진 경우, 습기에 의한 누전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송신장치(30)의 도어가 일정 시간 내 열리고 다시 닫혔으며, 회로가 단선되어 있는 경우, 불특정인이 상기 송신장치(30)의 도어를 열고 회로를 단선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감지신호 비교모듈(46)은 선택신호 비교모듈(461)과 유형별 비교모듈(4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신호 비교모듈(461)은 상기 감지신호 선택모듈(451)을 통해 선택한 특정 감지신호만을 비교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신호 선택모듈(451)에서 습도 감지신호만을 선택한 경우, 감지신호 저장모듈(44)로부터 습도 감지신호에 대한 히스토리 데이터만을 수신하여 상기 센싱된 습도 감지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4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형별 비교모듈(462)은 상기 감지신호 선택모듈(451)에 의하여 특정 감지신호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 모든 유형의 감지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감지신호 저장모듈(44)로부터 수신하여 비교하는 모듈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든 유형의 감지신호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상기 송신장치(30)의 이상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재전송요청 모듈(47)은 상기 송신장치(30)로부터 데이터 정보가 단말기(40)로 전송되지 아니한 경우 재전송을 요청하는 모듈이다. 무선통신 환경이 순간적으로 불안정하여 상기 제 1 무선통신부(41)가 데이터 정보를 전송받지 못한 경우, 상기 재전송요청 모듈(47)은 재전송부(36)에 데이터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보낸다. 또한, 상기 송신장치 선택모듈(42)에 의하여 특정 송신장치(30)만을 선택한 경우, 상기 재전송요청 모듈(47)은 선택된 송신장치(30)에만 재전송 요청을 수행한다.
상기 재전송 확인모듈(48)은 실시간으로 데이터 정보의 수신여부를 확인하여 데이터 정보가 전송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재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보내는 모듈이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 상기 단말기(40)가 송신장치(30)와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40)를 가지고 무선통신 가능 영역 내에 진입한 경우, 상기 재전송 확인모듈(48)이 활성화되어 지속적인 재전송을 요청한다. 또한, 상기 송신장치 선택모듈(42)에 의하여 특정 송신장치(30)만을 선택한 경우, 상기 재전송 확인모듈(48)은 선택된 송신장치(30)에만 재전송 요청을 수행한다.
상기 수신장치(50)는 상기 무선송수신부(33)와 무선통신하여 영상신호와 감지신호를 전송받는 제 2 무선통신부(51); 상기 제 2 무선통신부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와 감지신호를 저장 가능한 형태의 영상신호와 감지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관리부(52); 상기 데이터관리부(52)에 의하여 변환된 영상신호와 감지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53); 및 상기 수신장치를 제어하는 수신제어부(54);를 포함한다.
제 2 무선통신부(51)는 송신장치(3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Wi-Fi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송신장치(30)가 LTE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LTE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신장치(30)가 Wi-Fi 모듈(33a) 및 LTE 모듈(33b)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전송되는 Wi-Fi 무선신호와 LTE 무선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데이터관리부(52)는 수신한 무선신호를 저장 가능한 형태의 신호로 변환한다. 특히, 데이터관리부(52)는 압축된 영상신호를 해제하여 출력 가능한 원본 영상으로 되돌릴 수 있으며 단순 저장하기 위한 형태의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로 변환할 수도 있다.
저장부(53)는 영상신호와 감지신호를 저장할 수 있는 각종 저장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LTE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휴대용 저장장치나 스마트폰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원거리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 수신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인바,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설명하면, 송신장치(30)는 수신장치(50)의 재전송 지시에 따라 카메라(10) 또는 센서부(20)로부터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를 획득하여 단말기(40) 및/또는 수신장치(50)에 전송하는 재전송부(36) 및 송신장치(30)의 오류를 검사하여 오류 수정 즉시 카메라(10) 및 센서(20)로부터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를 획득하여 단말기(40) 및/또는 수신장치(50)에 전송하는 오류수정부(37)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전송부(36)는 단말기(30) 및/또는 수신장치(50)와의 무선통신 환경에서도 끊김 없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구성된다. 특히, 승강기와 같이 탑승자의 안정과 직결되는 특수한 환경에서는 실시간 영상전송이 필수적인바 본 발명에서 재전송부(36)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장치(30)는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고, 수신장치(50)와 멀리 떨어져 설치될 수 있는 장거리 무선통신 방식이 적용되고 육안으로 확인하기 힘든 작업공간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송신장치(30)의 동작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관리제어시스템의 설치는 필수적이다.
본 발명에서, 재전송부(36)는 단말기(30) 및/또는 수신장치(50)의 재전송 지시에 따라 카메라(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 또는 센서부(20)에 의해 센싱된 감지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단말기(30) 및/또는 수신장치(50)에 전송한다. 상기 재전송부(36)는 수신장치(50)에서 오류 확인을 위한 재전송 요청을 한경우, 수신장치(50)는 전송된 무선 데이터 정보를 바탕으로 일시적 오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재전송부(36)는 단말기(30) 및/또는 수신장치(50)에서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여 재전송 요청을 한경우에는 재전송부(36)의 영상신호 또는 감지신호(무선 데이터 정보) 재전송을 통해 주변 무선환경이 불안정한 경우에도 무선 데이터 전송의 끊김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오류수정부(37)는 상기 재전송부(36)가 단말기(30) 및/또는 수신장치(50)로부터 재전송 요청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송신장치(30)의 일시적 오류로 인하여 영상신호 또는 감지신호를 전송할 수 없는 경우 송신장치(30)의 오류가 복구되면 즉시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를 전송하도록 하여 작업공간에 대한 데이터 및 영상 전송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오류수정부(37)는 송신장치(30)의 오류를 자체적으로 검사하여 오류 수정 즉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 또는 센서에 의해 센싱된 감지신호를 상기 단말기 및/또는 수신장치(50)에 전송한다.
수신장치(50)는 주기적으로 상기 송신장치(3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와 감지신호를 획득하여 오류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스캐닝관리부(55);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무선 영상신호와 감지신호가 상기 무선통신부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송신장치 측에 재전송을 요청하는 무선데이터 확인부(5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스캐닝관리부(55)는 주기적으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신호와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데이터획득모듈(551); 상기 데이터획득모듈(551)을 통해 획득한 영상신호와 감지신호를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영상신호와 감지신호와 각각 비교하여 오류를 검사하는 오류검사모듈(552); 상기 오류검사모듈(552)에 의해 오류가 있는 영상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재전송부(46)에 다시 영상신호와 감지신호를 요청하는 지시모듈(553); 및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영상신호와 감지신호와 상기 지시모듈(553)의 요청으로 획득한 영상신호와 감지신호를 각각 비교하여 일시적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모듈(554);을 포함할 수 있다.
오류검사모듈(552)은 데이터획득모듈(551)로부터 전달된 영상신호와 감지신호로부터 오류 여부를 판단한다. 송신장치(40)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의 영상신호와 감지신호의 크기, 손실율, 전송속도, 특히 영상신호의 화질 등과 비교하여 오류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오류가 있는 경우 상기 지시모듈(553)을 작동시킨다.
지시모듈(553)은 오류검사모듈(552)에 의해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제 2 무선통신부(51)와 무선송수신부(33)을 통하여 재전송부(36)에 영상신호와 감지신호를 재요청한다. 요청을 받은 재전송부(36)는 상기 지시모듈(553)의 신호에 따라 영상신호와 감지신호를 수신장치(50)로 전송한다.
비교모듈(554)은 처음 오류가 판단되었던 데이터 정보(영상신호와 감지신호)와 요청을 통해 재전송부(36)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정보를 비교하여 일시적 오류 여부를 판단한다. 비교모듈(554)은 지시모듈(553)의 지시에 따라 재전송부(36)로부터 통하여 전송받은 데이터 정보를 기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정보와 다시 비교하여 정상적인 데이터 정보가 전송된 경우에는 일시적인 오류로 판단하며, 계속하여 오류 있는 데이터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송신장치(30)의 오류로 판단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수신제어부(54)에 알림 신호를 전송한다.
무선데이터 확인부(56)는 송신장치(30)로부터 데이터 정보가 수신장치(50)로 전송되지 아니한 경우 재전송을 요청하기 위한 구성이다. 무선통신 환경이 불안정하여 무선통신부(51)가 데이터 정보를 전송받지 못한 경우, 무선데이터 확인부(56)는 재전송부(46)에게 데이터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보낸다.
또한, 무선데이터 확인부(56)는 실시간으로 데이터 정보를 수신여부를 확인하여 데이터 정보가 전송될 때 까지 지속적으로 재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보낸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10 : 카메라 20 : 센서부 30 : 송신장치 40 : 단말기
50 : 수신장치

Claims (19)

  1. 작업 공간 내부 및/또는 주변 등을 촬영하기 위하여 한 개 이상 설치되는 카메라와, 상기 작업공간 일 측에 장착되어 각종 신호를 센싱하여 센싱한 감지신호를 송신장치로 전송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통하여 센싱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감지신호와 함께 상기 카메라에 의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장치로 전송하는 송신장치와, 기 설치되어 있는 앱을 구동하면 작동하는 제 1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감지신호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카메라 및/또는 송신장치의 이상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와,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장치는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는 영상신호와 센서에 의하여 센싱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와, 상기 데이터수신부로부터 영상신호와 감지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전달받은 영상신호와 감지신호를 압축하는 데이터가공부와 압축된 디지털 영상신호와 감지신호를 상기 데이터가공부로부터 전달받아 무선신호로 처리하는 무선처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처리부와, 상기 데이터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무선신호를 단말기 및/또는 수신장치로 전송하는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송신장치와 상기 수신장치 간의 무선통신 연결상태를 일정 주기로 점검하여 무선통신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자동으로 무선통신 재접속을 수행하는 자동재접속부와, 상기 데이터수신부와 데이터처리부와 무선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송신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제어부는 주변 장치를 통제하고 주변장치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관리부는 상기 데이터가공부와 상기 무선처리부를 모두 처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습도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전원 단락 감지 센서, 송신장치 도어 개폐 감지 센서, 통신 단락 감지 센서, 가속도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작업공간에 기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송신장치 중 특정 송신장치를 선택하여 상기 제 1 무선통신부가 선택된 송신장치에서의 감지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송신장치선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를 저장 가능한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모듈과, 수신한 감지신호를 지정된 기간 동안 저장하여 감지신호에 대한 히스토리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신호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감지신호를 유형별 선택 및/또는 표시하는 유형별 선택/표시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유형별 선택/표시모듈은 송신장치의 유형별 감지신호 중 특정 감지신호의 송신을 요청 및/또는 제 1 무선통신부가 수신한 유형별 감지신호 중 특정 감지신호만을 선택하는 감지신호 선택모듈과; 상기 감지신호 선택모듈에 의하여 선택된 특정 유형의 감지신호만을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신호 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수신한 감지신호와, 상기 감지신호 저장모듈을 통해 저장한 감지신호 히스토리를 비교하여 카메라 및/또는 송신장치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신호 비교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 비교모듈은 감지신호 선택모듈을 통해 선택한 특정 감지신호만을 상기 감지신호 저장모듈을 통해 저장한 감지신호와 비교하여 카메라 및/또는 송신장치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신호 비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 비교모듈은 모든 유형의 감지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감지신호 저장모듈로부터 수신하여 비교하는 유형별 비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데이터 정보가 단말기로 전송되지 아니한 경우 재전송을 요청하는 재전송 요청모듈;과, 상기 제 1 무선통신부의 실시간으로 데이터 정보의 수신여부를 확인하여 데이터 정보가 전송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재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보내는 재전송 확인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 요청모듈과 재전송 확인모듈은 상기 송신장치 선택모듈에 의하여 특정 송신장치만을 선택한 경우 선택된 송신장치에만 재전송 요청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관리부는 상기 무선송수신부의 기능 중 무선신호로 처리된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기능만을 구동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무선송수신부에 주어지는 부하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처리부는 압축된 디지털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를 Wi-Fi 무선신호로 처리하는 Wi-Fi 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송수신부는 IEEE 802.11n 규격 또는 IEEE 802.11ac 규격의 무선통신 방식을 갖는 Wi-Fi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처리부는 압축된 디지털 영상신호 및 감지신호를 LTE 무선신호로 처리하는 LTE 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송수신부는 LTE 규격의 무선통신 방식을 갖는 LTE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수신부는 IEEE 802.11n 규격 또는 IEEE 802.11ac 규격의 무선통신 방식을 갖는 Wi-Fi 모듈; 및 LTE 규격의 무선 이동통신 방식을 갖는 LTE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처리부는 Wi-Fi 처리모듈; LTE 처리모듈; 및 신호감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감지모듈은 주위의 무선신호의 세기를 감지하여 상기 송신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송신제어부는 상기 신호감지모듈의 세기 정보에 따라 상기 Wi-Fi 처리모듈과 LTE 처리모듈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
  18. 제13항과,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는 상기 단말기의 재전송 지시에 따라 센서에 의해 센싱된 감지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수신장치에 전송하는 재전송부와; 상기 송신장치에 대한 오류 수정 후 센싱된 감지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오류수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재접속부는 상기 송신장치와, 단말기 및/또는 수신장치와의 무선통신 연결이 끊어지거나 불안정한 경우 송신장치에 탑재된 전원제어기능을 통하여 상기 송신장치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on)/오프(off) 할 수 있도록 하여 무선통신방식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
KR1020170021149A 2017-02-16 2017-02-16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 KR101977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149A KR101977118B1 (ko) 2017-02-16 2017-02-16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149A KR101977118B1 (ko) 2017-02-16 2017-02-16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162A KR20180095162A (ko) 2018-08-27
KR101977118B1 true KR101977118B1 (ko) 2019-05-23

Family

ID=63455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149A KR101977118B1 (ko) 2017-02-16 2017-02-16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1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265B1 (ko) * 2019-12-23 2021-03-16 주식회사 엠티에스컴퍼니 불법 송신기 탐지 시스템
KR102564553B1 (ko) * 2021-04-29 2023-08-09 주식회사가나이엔지 유무선 통합형 실내 안전감시시스템
KR102656140B1 (ko) * 2021-04-29 2024-04-12 주식회사가나이엔지 유무선 통합형 산업안전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459B1 (ko) * 2014-01-24 2014-05-20 (주)이엔씨파워 방범용 cctv의 작동 상태 감시 시스템
KR101438645B1 (ko) * 2013-06-07 2014-09-12 주식회사가나이엔지 통합형 무선영상전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1592940B1 (ko) * 2014-12-02 2016-02-11 이플래넷 주식회사 수막타워 제어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645B1 (ko) * 2013-06-07 2014-09-12 주식회사가나이엔지 통합형 무선영상전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1396459B1 (ko) * 2014-01-24 2014-05-20 (주)이엔씨파워 방범용 cctv의 작동 상태 감시 시스템
KR101592940B1 (ko) * 2014-12-02 2016-02-11 이플래넷 주식회사 수막타워 제어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162A (ko) 201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53491B (zh) 远程观察系统及其方法
KR101977118B1 (ko)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
US9618613B2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3994787B2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EP2817890B1 (en) Dual communication-interface facility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180014288A (ko) 이동형 cctv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감시 시스템
KR101827408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승강기 내부 데이터 및 영상 전송시스템
KR20200134677A (ko) 실시간 선박 영상 모니터링을 이용한 선박 원격관제시스템
KR101611956B1 (ko) 다채널용 카메라 장치
KR101062964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배전 전력구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438645B1 (ko) 통합형 무선영상전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1471060B1 (ko) 통합형 무선영상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감시시스템
KR101020670B1 (ko) 원격테스트 기능을 구비한 방범 시스템
KR101583413B1 (ko) 무인 경비용 포터블 카메라 장치
CN203368642U (zh) 一种门机运行监视系统
US20220394439A1 (en) Electronic Monitoring System with Secondary Communication Path for Evaluating Device Locations
KR102564553B1 (ko) 유무선 통합형 실내 안전감시시스템
US10950066B2 (en) Control transmission device, maintenance communication device, and train maintenance system
KR101243882B1 (ko)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rtgc 원격제어 시스템
KR20140146429A (ko)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cctv 영상 획득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56140B1 (ko) 유무선 통합형 산업안전시스템
JP2003259343A (ja) 画像遠隔監視システム
CN113401801A (zh) 用于远程控制起重机的系统和方法
KR102517804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승강기 내부 영상 표시시스템
KR20060095684A (ko) 무인 감시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