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961B1 - 무인 숙박 시설을 위한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무인 숙박 시설을 위한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961B1
KR101975961B1 KR1020180091030A KR20180091030A KR101975961B1 KR 101975961 B1 KR101975961 B1 KR 101975961B1 KR 1020180091030 A KR1020180091030 A KR 1020180091030A KR 20180091030 A KR20180091030 A KR 20180091030A KR 101975961 B1 KR101975961 B1 KR 101975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room
information
processo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일
Original Assignee
이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일 filed Critical 이재일
Priority to KR1020180091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10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7C9/00079
    • G07C9/00119
    • G07C9/00158
    • G07C9/00166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무인 숙박 시설을 위한 관리 장치에 있어서, 유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제1 통신 모듈,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스캐너, 지문 인식 센서, 제1 메모리, 제1 프로세서, 및 보안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보안 영역은, 보안 통신을 지원하고 비접촉식 근거리 통신 방식인 NFC 통신을 지원하는 제2 통신 모듈, 상기 각 객실의 객실 키 인증 정보 및 객실 이용 권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 및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신분 확인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신분 확인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전자 장치로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된 객실 키 인증 정보들 중에서 선택된 객실에 대한 객실 키 인증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선택된 객실에 대한 상기 객실 키 인증 정보는, 상기 모바일 전자 장치가 상기 선택된 객실의 출입문에 설치된 객실 출입 장치와 일정한 거리 내로 근접하게 되면,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상기 선택된 객실의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장치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무인 숙박 시설을 위한 관리 장치{Management device for unmanned accommodation}
본 발명은 무인 숙박 시설을 위한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전자 장치로 무인 숙박 시설을 이용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전송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무인 숙박 시설 내의 장치들로 상기 인증 정보에 대한 이용 권한 정보를 전송하여 관리자의 개입없이 무인 숙박 시설을 이용하도록 지원하는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여가를 즐기기 위해 숙박 시설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사용자(이용객)의 사생활 보호를 위하여 숙박 시설이 무인으로 운영되는 무인 숙박 시설 이른바, 무인텔이 인기를 끌고 있다.
상기 무인 숙박 시설은 프론트에 별도의 관리자를 두지 않고, 객실 사용 현황을 화면에 표시하면서 이용하고자 하는 객실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치(예: 키오스크(kiosk) 단말기)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인 숙박 시설은 상기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객실 선택 및 비용 지불에 대응하여 객실을 이용할 수 있는 카드 키를 지급하고, 카드 키를 지급받은 사용자가 카드 키를 객실의 도어 락(door lock)에 끼우거나 접촉하는 방식으로 객실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운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카드 키를 객실에 두고 나오거나 분실하게 되면, 객실 출입이 어려워 외출 시 카드 키를 항상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무인 숙박 시설의 경우, 미성년자의 이용을 제한하기 어려울 수 있다. 즉, 사람에 의해 운영되는 숙박 시설의 경우에는 사람이 직접 이용객에게 신분증 등을 요구하여 이를 확인함으로써, 성년자만 숙박 시설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었으나, 무인 숙박 시설의 경우에는 결제만 이루어지면 시설 이용이 가능하므로 미성년자의 숙박 시설 이용을 제한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무인 숙박 시설에 배치된 키오스크 단말기를 통해 이용객의 신분증을 스캔하여 성년인지를 확인하는 방안이 대두되고 있지만, 미성년자가 성년인 타인의 신분증을 도용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미성년자의 숙박 시설 이용을 제한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무인 숙박 시설의 이용할 수 있는 카드 키를 지급하지 않고 NFC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전자 장치로 무인 숙박 시설을 이용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모바일 전자 장치를 이용해 무인 숙박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무인 숙박 시설을 위한 관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사용자의 신분증을 확인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차량 및 차량의 탑승자를 촬영한 영상,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영상, 및 사용자의 지문 인식을 통해 사용자가 미성년자인지를 판단하는 무인 숙박 시설을 위한 관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사용자가 미성년자인지에 대한 판단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이용 권한 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무인 숙박 시설 내의 장치들로 전송함으로써, 미성년자가 성인만이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무인 숙박 시설을 위한 관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숙박 시설을 위한 관리 장치(100)는, 유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제1 통신 모듈(110),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20), 스캐너(130), 지문 인식 센서(140), 제1 메모리(150), 제1 프로세서(160), 및 보안 영역(170)을 포함하고, 상기 보안 영역(170)은, 보안 통신을 지원하고 비접촉식 근거리 통신 방식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지원하는 제2 통신 모듈(171), 상기 각 객실의 객실 키 인증 정보(173a) 및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173), 및 제2 프로세서(17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제1 통신 모듈(110)을 통해, 상기 무인 숙박 시설의 주차장에 설치된 제1 카메라(11)로부터 상기 주차장에 주차되는 차량 및 상기 차량의 탑승자를 촬영한 제1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차량이 이륜차인지 사륜차인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110)을 통해, 상기 무인 숙박 시설의 출입구 통로를 바라보도록 설치된 제2 카메라(13)로부터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출입구로 들어가려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제2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스캐너(13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신분증을 스캔한 제1 화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신분증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증명 사진, 주민등록번호, 및 제1 지문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증명 사진 및 상기 제2 영상을 비교하고, 상기 증명 사진 및 상기 제2 영상을 비교한 결과, 상기 증명 사진의 얼굴 윤곽 및 특징점들 및 상기 제2 영상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얼굴 윤곽 및 특징점들의 제1 유사도가 제1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지문 인식 센서(14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고, 상기 제1 지문 영상과 상기 지문 인식 센서(140)를 통해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제2 지문 영상을 비교하고, 상기 제1 지문 영상 및 상기 제2 지문 영상을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지문 영상에서 추출한 지문에 포함된 융선들의 길이, 상기 융선들의 방향, 상기 융선들이 갈라지는 지점, 상기 융선들이 이어지는 지점, 및 상기 융선들이 끝나는 지점에 관한 제1 지문 정보 및 상기 제2 지문 영상에 추출한 지문에 포함된 융선들의 길이, 상기 융선들의 방향, 상기 융선들이 갈라지는 지점, 상기 융선들이 이어지는 지점, 및 상기 융선들이 끝나는 지점에 관한 제2 지문 정보의 제2 유사도가 제2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신분증이 도용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를 신분증 도용자로 신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상기 무인 숙박 시설에서의 퇴거를 요청하고, 상기 제1 유사도가 상기 제1 임계치 이상이거나, 상기 제2 유사도가 상기 제2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주민등록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미성년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성년자이거나, 상기 사용자가 미성년자이면서 상기 사용자의 법정 대리인의 동의를 얻은 경우, 상기 제2 프로세서(175)로 제어 권한을 넘기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프로세서(175)는, 상기 제2 통신 모듈(171)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전자 장치(50)로 상기 제2 메모리(173)에 저장된 객실 키 인증 정보(173a)들 중에서 선택된 객실에 대한 객실 키 인증 정보(173a)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된 객실에 대한 상기 객실 키 인증 정보(173a)는, 상기 모바일 전자 장치(50)가 상기 선택된 객실의 출입문에 설치된 객실 출입 장치(31)와 일정한 거리 내로 근접하게 되면,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상기 선택된 객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안 영역(170)은, 트러스트존(TrustZone)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안 영역(170)은, 별도의 칩(chip)으로 구성된 보안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안 요소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eSE(embedded secure element), 또는 Micro SD 카드(micro secure digital card)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프로세서(175)는, 상기 사용자가 성년인지 또는 미성년인지에 따라 결정되는 권한 정보 및 상기 선택된 객실의 정보를 매핑하여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를 설정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110)을 통해, 상기 객실 출입 장치(31), 상기 선택된 객실 내부에 설치된 스마트 TV(35), 및 상기 선택된 객실 내부에 설치되거나 상기 무인 숙박 시설 내의 복도에 설치된 물품 판매 장치(37)로 상기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권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성년이면 성년자 이용 등급으로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가 미성년자이면 미성년자 이용 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TV(35)는, 성인 채널로의 채널 변경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에 포함된 상기 권한 정보가 상기 미성년자 이용 등급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권한 정보가 상기 미성년자 이용 등급인 경우, 채널을 변경하지 않고, 화면에 채널 변경 불가 이유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물품 판매 장치(37)는, 구비된 물품들 중 성인용품을 구매하려는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에 포함된 상기 권한 정보가 상기 미성년자 이용 등급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권한 정보가 상기 미성년자 이용 등급인 경우, 상기 성인용품을 판매하지 않고, 화면에 판매 불가 이유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사용자가 미성년자라고 판단되면, 상기 법정 대리인의 동의서를 상기 스캐너(130)에 올려놓도록 요청하고, 상기 스캐너(130)에 상기 법정 대리인의 동의서가 올려지는 경우, 상기 스캐너(130)를 통해 상기 법정 대리인의 동의서를 스캔한 제2 화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법정 대리인의 동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스캐너(130)에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법정 대리인의 동의서가 올려지지 않는 경우, 외부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법정 대리인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법정 대리인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법정 대리인 명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메모리(150)에 저장된 전자 동의서(151)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동의서(151)를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전자 동의서(151)를 분석하고, 상기 전자 동의서(151)의 분석 결과, 상기 전자 동의서(151)에 기입된 정보 중 상기 법정 대리인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통해 상기 법정 대리인이 상기 사용자의 법정 대리인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전자 동의서(151)에 포함된 전자 서명을 통해 상기 법정 대리인의 동의 여부를 확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차량이 이륜차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미성년자라고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사용자가 미성년자이면서 상기 사용자의 법정 대리인의 동의를 얻지 못한 경우, 상기 제1 메모리(150)에 저장된 가출 청소년 신고 정보 데이터베이스(155)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가출 청소년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가 가출 청소년인 경우, 상기 사용자를 가출 청소년으로 신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를 가출 청소년으로 신고하는 기능은, 외부 신고 서버로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사용자가 미성년자이면서 상기 사용자의 법정 대리인의 동의를 얻지 못한 경우, 상기 제1 메모리(150)에 저장된 청소년 여가 선용 시설 데이터베이스(153)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무인 숙박 시설과 인접한 위치에 있으면서 청소년이 출입 가능한 여가 선용 시설을 상기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추천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모바일 전자 장치를 이용해 무인 숙박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카드 키의 소지 요구에 따른 불편함 및 카드 키의 분실에 대한 우려가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분증과 함께 사용자의 생체 정보 예컨대, 사용자의 얼굴 형상 또는 지문 등을 이용해 사용자를 확인함으로써, 보다 강력하게 출입 및 시설 이용을 제한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숙박 시설의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숙박 시설을 위한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숙박 시설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성년자의 무인 숙박 시설 이용을 위한 보호자 동의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숙박 시설 내의 장치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차량 및 차량의 탑승자를 촬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모듈(module)", 및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 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 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모듈(module)",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의 컴포넌트와 등가 혹은 둘 이상의 컴포넌트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버 또는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하드웨어 모두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 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숙박 시설을 위한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이 설명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 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 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숙박 시설의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숙박 시설을 위한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무인 숙박 시설은 무인 숙박 시설 관리 장치(100)(이하, 관리 장치라 한다), 무인 숙박 시설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제1 카메라(11), 무인 숙박 시설의 출입구 통로 쪽에 설치되는 제2 카메라(13), 무인 숙박 시설의 각 객실 출입문에 설치되는 객실 출입 장치(31), 각 객실 내부에 설치되는 객실 환경 제어 장치(33), 각 객실 내부에 설치되는 스마트 TV(35), 및 무인 숙박 시설 내의 복도나 각 객실 내부에 설치되는 물품 판매 장치(3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무인 숙박 시설의 구성요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인 숙박 시설은 상술한 구성요소들 외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스마트 냉장고, 스마트 에어컨, 보일러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무인 숙박 시설의 구성요소들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리 장치(10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카메라(11), 상기 제2 카메라(13), 상기 객실 출입 장치(31), 상기 객실 환경 제어 장치(33), 상기 스마트 TV(35), 및 상기 물품 판매 장치(37)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100)는 NFC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전자 장치(5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전력선 통신,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통신, 또는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NFC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비콘(beacon) 통신, WiFi(wireless fidelity)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또는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IrD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11) 및 상기 제2 카메라(13)는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11) 및 상기 제2 카메라(13)는 각각 하나 이상의 렌즈(lens),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시(flas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11)는 무인 숙박 시설의 주차장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차량 및 상기 차량의 탑승자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카메라(110)는 촬영한 영상을 상기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카메라(13)는 무인 숙박 시설의 출입구 통로 쪽에 설치되어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출입구로 들어가려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카메라(13)는 촬영한 영상을 상기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객실 출입 장치(31)는 각 객실 출입문에 설치되는 일종의 도어 락으로서,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객실 출입 장치(31)는 상기 관리 장치(100)로부터 객실 키 인증 정보(173a)를 수신한 모바일 전자 장치(50)와의 NFC 통신을 통해 상기 출입문의 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바일 전자 장치(50)가 상기 객실 출입 장치(31)에 일정 거리 내로 접근하면, 상기 객실 출입 장치(31)는 상기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를 기반으로 상기 모바일 전자 장치(50)에 저장된 상기 객실 키 인증 정보(173a)가 상기 객실 출입 장치(31)가 설치된 객실에 대한 이용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용 권한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실 출입 장치(31)는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면서, 상기 객실 내에 설치된 객실 환경 제어 장치(33)로 객실 환경 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객실 출입 장치(31)는 상기 객실 환경 제어 장치(33)가 상기 객실의 전등을 켜도록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객실 출입 장치(31)는 상기 객실 환경 제어 장치(33)가 이전에 설정된 객실 환경 그대로를 복구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객실의 전등 및 스마트 TV(35)를 켜두고 외출했던 경우, 상기 객실 출입 장치(31)는 상기 객실 환경 제어 장치(33)가 객실의 전등 및 스마트 TV(35)를 켜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객실 환경 제어 장치(33)는 각 객실 내부에 설치되고, 객실 내의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객실 환경 제어 장치(33)는 객실 내의 전등을 온/오프(on/off)시킬 수 있고, 에어컨 또는 보일러를 제어하여 객실 내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스마트 TV(35)의 온/오프 및 채널 변경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실 환경 제어 장치(33)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현재 설정된 객실 환경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객실 환경 제어 장치(33)는 객실 내의 벽면에 패널(panel)의 형태로 설치되거나, 리모컨(remote control)의 형태로 객실 내에 비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객실 환경 제어 장치(33)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일부는 객실 내의 벽면에 패널의 형태로 설치되고 다른 일부는 리모컨의 형태로 객실 내에 비치될 수도 있다.
상기 스마트 TV(35)는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는 텔레비전의 기능에 인터넷 접속 기능이 결합되어, 각종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됨으로써, 웹 서핑, VOD 시청,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게임 등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TV(35)는 상기 객실 환경 제어 장치(33)에 의해 채널이 변경될 수 있는데,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에 기반하여 변경 채널에 대한 화면 표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에 성인 채널에 대한 이용 권한이 없는 경우, 상기 스마트 TV(35)는 성인 채널 화면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물품 판매 장치(37)는 일종의 자동 판매기로서, 각종 음료수, 과자류, 면도기, 칫솔, 또는 성인용품 등을 사용자가 구입할 수 있도록 무인 숙박 시설 내의 복도나 각 객실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물품 판매 장치(37)는 상기 관리 장치(100)로부터 객실 키 인증 정보(173a)를 수신한 모바일 전자 장치(50)와의 NFC 통신을 통해 물품 판매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물품 판매 장치(37)는 사용자가 구매할 물품을 선택한 후, 선택한 물품의 구매 대금을 결제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전자 장치(50)를 상기 물품 판매 장치(37)에 일정 거리 내로 접근시키면, 상기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를 기반으로 상기 모바일 전자 장치(50)에 저장된 상기 객실 키 인증 정보(173a)가 상기 물품의 구매에 대한 이용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용 권한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물품의 구매 대금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고,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장치(100)는 제1 통신 모듈(110),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20), 스캐너(130), 지문 인식 센서(140), 제1 메모리(150), 제1 프로세서(160), 보안 영역(170), 및 상기 보안 영역(170)에 포함되는 제2 통신 모듈(171), 제2 메모리(173), 및 제2 프로세서(17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관리 장치(10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 장치(100)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외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모듈(110)은 상기 제1 카메라(11), 상기 제2 카메라(13), 상기 객실 출입 장치(31), 상기 객실 환경 제어 장치(33), 상기 스마트 TV(35), 및 상기 물품 판매 장치(37)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통신 모듈(110)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카메라(11), 상기 제2 카메라(13), 상기 객실 출입 장치(31), 상기 객실 환경 제어 장치(33), 상기 스마트 TV(35), 또는 상기 물품 판매 장치(37)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에게 각종 컨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20)는 액정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20)는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제스처, 근접,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스캐너(130)는 화상 정보 입력 장치로서, 화상 정보를 광학적으로 인식하여 상기 제1 프로세서(16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캐너(130)는 사용자의 신분증을 스캔하여 생성된 화상 정보를 상기 제1 프로세서(16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인식 센서(140)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지문 인식 센서(140)는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광이 사용자의 지문에 반사되면 반사된 광을 감지하여 지문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문 인식 센서(140)는 지문 영상을 상기 제1 프로세서(16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모리(150)는 상기 관리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메모리(150)는 상기 제1 프로세서(160)에 통해 실행되는 관리 장치(100)의 기능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메모리(150)는 미성년자의 무인 숙박 시설 이용을 보호자(법정 대리인)가 동의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전자 동의서(151), 청소년 여가 선용 시설 데이터베이스(DB)(153), 및 가출 청소년 신고 정보 데이터베이스(155)를 저장할 수 있다. 청소년 여가 선용 시설 DB(153)에는 무인 숙박 시설과 인접한 위치에 있으면서 청소년이 출입 가능한 여가 선용 시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가출 청소년 신고 정보 DB(155)에는 가출 청소년에 대한 신상 정보 예를 들어, 가출 청소년의 이름, 나이, 성별, 사진, 보호자 이름, 보호자 연락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관리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제1 통신 모듈(110)을 제어하여 무인 숙박 시설 내의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하여 화면을 출력할 수 있고, 스캐너(13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신분증을 스캔할 수 있고, 지문 인식 센서(14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지문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제1 메모리(150)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메모리(150)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필요한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제1 메모리(15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제1 프로세서(160)에 연결된 상기 관리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다른 구성요소(예: 제1 통신 모듈(11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기 제1 메모리(150)의 휘발성 영역(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고, 휘발성 영역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상기 제1 메모리(150)의 비휘발성 영역(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제1 카메라(11)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차량 및 상기 차량의 탑승자를 촬영한 제1 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제1 영상의 분석을 통해, 차량의 출입 여부, 차량의 종류, 및 차량에 탑승한 인원수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차량의 종류가 사륜차인지 또는 이륜차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차량의 종류가 이륜차라고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미성년자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운전자에 대한 신분 확인 절차를 미성년자에 대한 신분 확인 절차에 준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운전자에 대한 신분증을 증명 사진, 주민 등록 번호, 및 지문 영상이 포함된 신분증(예: 주민등록증)으로 한정하여 사용자에게 요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신분증을 소지하고 있지 않거나 상기 신분증의 분석 결과 미성년자로 판단되면 보호자의 동의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지문 영상이 포함되지 않은 신분증(예: 운전면허증)만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신분증에 대한 분석 수행 외에 상기 지문 인식 센서(140)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고, 인식된 지문 영상을 외부 시스템(예: 지문 자동 식별 시스템(automated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을 통해 조회하여 상기 신분증에 대한 진위 여부 및 미성년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사용자가 미성년자로 판단되면 보호자의 동의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차량에 탑승한 인원수를 판단함으로써, 신분 확인을 위한 인원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차량에 탑승한 인원수대로 신분 확인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제2 카메라(13)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제2 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제2 영상의 분석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얼굴 윤곽 및 특징점들을 추출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의 신분증에 포함된 증명 사진과의 비교를 통해 상기 신분증에 대한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상기 제2 영상과 상기 사용자의 신분증에 포함된 증명 사진과의 비교를 통해, 상기 신분증이 상기 사용자의 신분증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지문 인식 센서(140)에 지문을 인식시키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인식 센서(140)를 통해 지문 영상이 획득되면,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신분증의 지문 영상과 상기 지문 인식 센서(140)를 통해 획득한 지문 영상을 비교하여 이차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신분증에 대한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신분증이 상기 사용자의 소유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1 통신 모듈(110)을 통해 외부 신고 서버(예: 경찰 서버)로 상기 사용자를 신고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에게 퇴거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신고와 관련하여,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외부 신고 서버로 상기 사용자의 차량 및 상기 차량의 탑승자를 촬영한 제1 영상 및 상기 사용자(및 동행자)의 얼굴을 촬영한 제2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차량을 이용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영상은 제외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신분증을 통해 사용자 본인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가 성인(성년자)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신분증에 기재된 주민등록번호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성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사용자가 성인이 아닌 경우, 보호자 동의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보호자 동의를 확인하는 절차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보호자의 동의를 얻지 못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퇴거 요청을 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보호자의 동의를 얻지 못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가출 청소년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제1 메모리(150)에 저장된 가출 청소년 신고 정보 DB(155)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가출 청소년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외부 신고 서버(예: 경찰 서버)를 통해 상기 가출 청소년 신고 정보 DB(155)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가출 청소년인 경우,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사용자를 신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외부 신고 서버로 상기 사용자의 차량 및 상기 차량의 탑승자를 촬영한 제1 영상 및 상기 사용자(및 동행자)의 얼굴을 촬영한 제2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차량을 이용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영상은 제외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사용자가 미성년자이면서 상기 보호자의 동의를 얻지 못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청소년 여가 선용 시설을 추천해줄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제1 메모리(150)에 저장된 청소년 여가 선용 시설 DB(153)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청소년 여가 선용 시설을 추천해줄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사용자가 본인 확인된 성인이거나 보호자의 동의를 얻은 미성년자라고 확인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이용 가능한 객실 정보를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현재 빈 객실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가 특정 객실을 선택하면,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보안 영역(170)에 포함된 제2 프로세서(175)로 객실 선택에 따른 결제 및 객실 키 인증 정보(173a)의 발급을 위한 제어 권한을 넘길 수 있다.
상기 보안 영역(170)은 보안이 요구되는 정보(예: 객실 키 인증 정보(173a),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 등) 및 이를 이용하는 프로그램(예: 애플릿(applet))을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안 영역(170)은 신뢰 실행 환경을 제공하는 트러스트존(TrustZon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러스트존은 예를 들어, 상기 관리 장치(100)의 프로세서 안에 일반 구역(normal world)과 대비되는 독립적인 보안 구역(secure world)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제1 프로세서(160) 및 상기 제2 프로세서(175)는 하나의 프로세서에 포함되지만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일반 구역을 담당하고 상기 제2 프로세서(175)는 보안 구역을 담당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안 영역(160)은 별도의 칩(chip)으로 구성된 보안 요소(secure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안 요소는 예를 들어, SIM/UICC(subscriber identity module/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eSE(embedded secure element), 또는 Micro SD 카드(micro secure digital car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모듈(171)은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전자 장치(50)와의 보안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통신 모듈(171)은 상기 모바일 전자 장치(50)와 보안 통신 채널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안 통신 채널은 예를 들어, 송수신하는 장치가 인증된 장치에 국한되고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송수신되는 통신 채널을 의미한다. 상기 제2 통신 모듈(171)은 비접촉식 근거리 통신 방식인 NFC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제2 메모리(173)는 상기 보안 영역(17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메모리(173)는 상기 제2 프로세서(175)를 통해 실행되는 상기 관리 장치(100)의 기능 중 보안 기능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보안 기능은 예를 들어, 상기 제2 통신 모듈(171)을 통한 상기 모바일 전자 장치(50)와의 통신 기능, 상기 보안 통신을 위한 장치 인증 기능 및 데이터 암복호화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메모리(173)에는 객실 키 인증 정보(173a) 및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객실 키 인증 정보(173a)는 객실 출입 및 시설 이용을 승인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객실 키 인증 정보(173a)는 출입 가능한 객실 정보(예: 객실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객실 키 인증 정보(173a)는 객실 정보와 함께 미성년자 여부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는 상기 객실을 대여한 사용자가 무인 숙박 시설 내의 장치들을 이용할 수 있는 권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는 각 객실의 정보(예: 객실 번호) 및 각 객실을 대여한 사용자의 권한 정보가 매핑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객실을 대여한 사용자가 성년자이고, 제2 객실을 대여한 사용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상기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는 제1 객실의 객실 번호와 매핑된 성년자 이용 등급으로 설정된 제1 권한 정보, 및 제2 객실의 객실 번호와 매핑된 미성년자 이용 등급으로 설정된 제2 권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로세서(175)는 상기 보안 영역(170)에 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프로세서(175)는 상기 제2 통신 모듈(171)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전자 장치(5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로세서(175)는 상기 제2 메모리(173)를 제정하여 상기 제2 메모리(173)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필요한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프로세서(175)는 상기 제2 메모리(173)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175)에 연결된 상기 보안 영역(17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로세서(175)는 사용자의 객실 선택 후, 상기 제1 프로세서(160)로부터 제어 권한을 수신하면, 선택된 객실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고,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객실의 객실 키 인증 정보(173a)를 발급할 수 있다. 상기 객실에 대한 결제와 관련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175)는 상기 제2 통신 모듈(171)을 통해 상기 모바일 전자 장치(50)로 선택된 객실에 대한 상세 정보(예: 상기 객실의 종류, 상기 객실의 번호, 상기 객실 내의 구비 품목, 상기 객실의 대여 시간, 상기 객실의 대여 요금 등)를 전송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의 결제 승인에 따라, 상기 모바일 전자 장치(50)는 상기 제2 통신 모듈(171)로 결제 수단 정보(예: 결제하려는 카드의 종류, 카드의 번호, 또는 카드의 비밀 번호 등)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제2 프로세서(175)는 상기 결제 수단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객실에 대한 결제를 완료할 수 있다.
상기 객실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제2 프로세서(175)는 상기 제2 통신 모듈(171)을 통해 상기 모바일 전자 장치(50)로 상기 객실의 객실 키 인증 정보(173a)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객실 키 인증 정보(173a)는 상기 객실에 대한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객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실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제2 프로세서(175)는 상기 객실의 정보(예: 객실 번호) 및 상기 객실을 대여한 사용자의 권한 정보를 매핑시켜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로세서(175)는 설정된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를 상기 무인 숙박 시설 내의 장치들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프로세서(175)는 상기 제1 통신 모듈(110)을 통해 상기 객실 출입 장치(31), 상기 스마트 TV(35), 및 상기 물품 판매 장치(37)로 상기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 전자 장치(50)를 상기 객실의 객실 출입 장치(31)에 근접시키면, 상기 객실 출입 장치(31)는 상기 객실 키 인증 정보(173a)가 상기 객실에 대한 이용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객실의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객실 출입 장치(31)는 상기 객실 키 인증 정보(173a)에 포함된 객실의 정보가 상기 객실 출입 장치(31)가 설치된 객실의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객실에 대한 이용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모바일 전자 장치(50)를 상기 물품 판매 장치(37)에 근접시키면, 상기 물품 판매 장치(37)는 상기 객실 키 인증 정보(173a)가 물품의 구매에 대한 이용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물품을 판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물품이 성인용품인 경우, 상기 물품 판매 장치(37)는 상기 객실 키 인증 정보(173a)에 포함된 객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에서 상기 객실 정보에 대응하는 권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권한 정보가 미성년자 이용 등급으로 설정된 경우, 물품 판매를 거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프로세서(175)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무인 숙박 시설을 퇴실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전자 장치(50)로 상기 객실 키 인증 정보(173a)의 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로세서(175)는 상기 무인 숙박 시설 내의 장치들로 전송된 상기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를 삭제 또는 변경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프로세서(175)는 상기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에서 퇴실한 사용자의 객실 정보와 연관된 정보들이 삭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숙박 시설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인 숙박 시설 관리 장치(100)(이하, 관리 장치라 한다)에 포함된 제1 프로세서(160)는 동작 311에서, 제1 통신 모듈(110)을 통해 주차장에 설치된 제1 카메라(11)로부터 차량 및 상기 차량의 탑승자를 촬영한 제1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제1 영상의 분석을 통해, 상기 차량의 출입 여부, 상기 차량의 종류, 및 상기 차량에 탑승한 인원수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313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제1 통신 모듈(110)을 통해 무인 숙박 시설의 출입구 통로 쪽에 설치된 제2 카메라(13)로부터 상기 출입구로 들어가려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제2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제1 영상의 분석 결과, 판단된 인원수대로 상기 제2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제2 카메라(13)가 차량에 탑승한 인원 모두에 대해 얼굴을 촬영할 수 있도록, 차량에 탑승한 인원수와 촬영된 제2 영상의 개수가 동일할 때까지 상기 제2 카메라(13)의 촬영을 제어하여 상기 제2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동작 315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출입구로 들어온 사용자에게 신분증을 요구할 수 있으며, 신분증을 스캔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사용자가 본인의 신분증을 스캐너(130)에 놓도록 요청할 수 있고, 상기 스캐너(130)를 통해 상기 신분증을 스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스캐너(130)로부터 상기 신분증의 스캔에 의해 생성된 화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화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신분증에 표시된 상기 사용자의 증명 사진, 주민등록번호, 또는 지문 영상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동작 317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신분증의 증명 사진과 상기 제2 영상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증명 사진에서 추출된 사용자의 얼굴 윤곽 및 특징점들과 상기 제2 영상에서 추출된 사용자의 얼굴 윤곽 및 특징점들을 비교할 수 있다.
동작 319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증명 사진의 사용자와 상기 제2 영상의 사용자가 동일한 사용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증명 사진에서 추출된 사용자의 얼굴 윤곽 및 특징점들과 상기 제2 영상에서 추출된 사용자의 얼굴 윤곽 및 특징점들을 비교한 결과, 그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동일한 사용자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신분증에 대한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신분증이 상기 사용자 본인 소유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신분증이 본인 소유라고 판단되면, 동작 331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사용자가 성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신분증에 표시된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의 성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성인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사용자에게 이용 가능한 객실 정보를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현재 빈 객실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가 빈 객실들 중 특정 객실을 선택하면,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보안 영역(170)에 포함된 제2 프로세서(175)로 객실 선택에 따른 결제 및 객실 키 인증 정보(173a)의 발급을 위한 제어 권한을 넘길 수 있다.
제어 권한을 넘겨받은 상기 제2 프로세서(175)는, 상기 특정 객실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고, 결제가 완료되면 동작 333에서,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전자 장치(50)로 상기 특정 객실을 이용할 수 있는 객실 키 인증 정보(173a)를 발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프로세서(175)는 상기 사용자에게 결제를 할 본인 소유의 모바일 전자 장치(50)를 상기 관리 장치(100)의 제2 통신 모듈(171)로 근접시킬 것을 요청할 수 있고, 상기 모바일 전자 장치(50)가 상기 제2 통신 모듈(171)에 근접하면, 결제를 진행하고 상기 객실 키 인증 정보(173a)를 상기 모바일 전자 장치(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로세서(175)는 상기 특정 객실 및 상기 무인 숙박 시설 내의 장치들에 대한 이용 권한 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미성년자 여부에 따라 설정되는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를 상기 무인 숙박 시설 내의 장치들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프로세서(175)는 결제를 한 사용자의 모바일 전자 장치(50)뿐만 아니라 상기 사용자와 동행한 다른 사용자의 모바일 전자 장치(50)로도 상기 객실 키 인증 정보(173a)를 발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프로세서(175)는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전자 장치(50)로 상기 객실 키 인증 정보(173a)의 전송이 완료된 후, 상기 객실 키 인증 정보(173a)를 발급받을 동행자의 모바일 전자 장치(50) 또는 상기 사용자 소유의 다른 모바일 전자 장치(50)가 존재하는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물어볼 수 있으며, 동행자의 모바일 전자 장치(50) 또는 상기 사용자 소유의 다른 모바일 전자 장치(50)가 상기 제2 통신 모듈(171)로 근접하면 상기 객실 키 인증 정보(173a)를 전송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이용자들이 각각 상기 특정 객실의 출입 및 상기 무인 숙박 시설 내의 장치들을 이용할 수 있는 상기 객실 키 인증 정보(173a)를 가지고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특정 객실에 대한 출입이 보다 자유로울 수 있다.
동작 319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증명 사진의 사용자와 상기 제2 영상의 사용자가 동일한 사용자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동작 335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사용자에게 지문 인식 센서(140)에 지문을 올려놓도록 요청할 수 있고, 상기 지문 인식 센서(140)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제1 프로세서(16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동작 337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신분증의 지문 영상 및 상기 지문 인식 센서(140)를 통해 획득한 지문 영상을 비교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신분증의 지문 영상에서 추출한 지문 정보와 상기 지문 인식 센서(140)를 통해 획득한 지문 영상에서 추출한 지문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지문 영상에서 지문의 굴곡 유형을 파악하고 지문에 포함된 융선들의 길이, 방향, 또는 특이 지점(예: 융선들이 갈라지는 지점, 융선들이 이어지는 지점, 또는 융선이 끝나는 지점 등) 등을 추출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339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신분증의 지문 영상의 사용자와 상기 지문 인식 센서(140)를 통해 획득한 지문 영상의 사용자가 동일한 사용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신분증의 지문 영상에 추출한 지문 정보와 상기 지문 인식 센서(140)를 통해 획득한 지문 영상에서 추출한 지문 정보를 비교한 결과, 그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동일한 사용자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신분증에 대한 이차적인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신분증이 상기 사용자 본인 소유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신분증이 본인 소유라고 판단되면, 동작 331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신분증이 본인 소유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즉, 상기 신분증이 도용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동작 351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사용자를 신고할 수 있으며, 퇴거를 요청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제1 통신 모듈(110)을 통해 외부 신고 서버(예: 경찰 서버)로 상기 사용자를 신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신고와 관련하여,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외부 신고 서버로 상기 사용자의 차량 및 상기 차량의 탑승자를 촬영한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사용자(및 동행자)의 얼굴을 촬영한 상기 제2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동작 331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가 성인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즉 상기 사용자가 미성년자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동작 353에서,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 동의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자 동의를 확인하는 절차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보호자의 동의를 얻은 경우, 동작 333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보호자의 동의를 얻지 못한 경우, 동작 355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퇴거를 요청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보호자의 동의를 얻지 못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가출 청소년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제1 메모리(150)에 저장된 가출 청소년 신고 정보 DB(155)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가출 청소년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가출 청소년인 경우,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제1 통신 모듈(110)을 통해 외부 신고 서버(예: 경찰 서버)로 상기 사용자를 신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신고와 관련하여,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외부 신고 서버로 상기 사용자의 차량 및 상기 차량의 탑승자를 촬영한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사용자(및 동행자)의 얼굴을 촬영한 상기 제2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사용자가 미성년자이면서 상기 보호자의 동의를 얻지 못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청소년 여가 선용 시설을 추천해줄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제1 메모리(150)에 저장된 청소년 여가 선용 시설 DB(153)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청소년 여가 선용 시설을 추천해줄 수 있다.
상술한 신분증의 진위 여부 확인 절차 및 성인 여부 확인 절차는 결제를 하는 사용자뿐만 아니라 동행자 모두에 대해서 진행할 수 있다. 즉, 동작 315 내지 동작 331, 동작 335 내지 동작 355는 상기 제1 영상을 통해 확인된 인원수만큼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성년자의 무인 숙박 시설 이용을 위한 보호자 동의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인 숙박 시설 관리 장치(100)(이하, 관리 장치라 한다)에 포함된 제1 프로세서(160)는 미성년자에 대한 보호자 동의를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동작 410에서, 상기 미성년자가 보호자 동의서를 지참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미성년자에게 상기 보호자 동의서를 지참한 경우, 상기 보호자 동의서를 스캐너(130)에 올려놓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미성년자가 상기 보호자 동의서를 지참한 경우, 즉 상기 스캐너(130)에 상기 보호자 동의서가 올려지는 경우, 동작 430에서, 상기 스캐너(130)는 상기 보호자 동의서를 스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스캐너(130)로부터 상기 보호자 동의서의 스캔에 의해 생성된 화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화상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동작 450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화상 정보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보호자의 동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보호자 동의서에 기재된 보호자가 상기 미성년자의 보호자가 맞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외부 서버(예: 법원 서버)를 통해 상기 미성년자의 주민등록번호 및 상기 보호자 동의서에 기재된 보호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해 상기 보호자가 상기 미성년자의 보호자가 맞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보호자가 상기 미성년자의 보호자가 맞는 경우,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보호자 동의서에 기재된 상기 보호자의 서명 및 날인을 통해 상기 보호자의 동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미성년자가 상기 보호자 동의서를 지참하지 않은 경우, 즉 상기 스캐너(130)에 상기 보호자 동의서가 지정된 시간 내에 올려지지 않은 경우, 동작 470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미성년자의 보호자 명의의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메모리(150)에 저장된 전자 동의서(151)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외부 서버(예: 법원 서버)를 통해 상기 미성년자의 보호자(법정 대리인) 정보 예컨대, 보호자의 주민등록번호, 보호자의 연락처 등을 획득할 수 있고, 상기 보호자 명의의 전자 장치(예: 보호자의 연락처)로 상기 전자 동의서(151)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보호자 명의의 전자 장치로 상기 전자 동의서(151)를 전송하는 방식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MMS))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보호자가 상기 전자 동의서(151)에 정보를 기입하고 전자 서명을 하여 상기 관리 장치(100)로 상기 전자 동의서(151)를 전송하면, 동작 490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제1 통신 모듈(110)을 통해 상기 전자 동의서(151)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 동의서(151)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동의서(151)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동작 450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보호자의 동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전자 동의서(151)에 기입된 정보 중 보호자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예: 성명 및 주민등록번호 등)를 통해 보호자가 맞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전자 동의서(151)에 포함된 전자 서명을 통해 상기 보호자의 동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숙박 시설 내의 장치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인 숙박 시설 관리 장치(100)(이하, 관리 장치라 한다)는 사용자의 신분 확인이 완료되고 특정 객실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동작 510에서,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전자 장치(50)로 상기 특정 객실의 정보를 포함하는 객실 키 인증 정보(173a)를 발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관리 장치(100)의 보안 영역(170)에 포함된 제2 프로세서(175)는 보안 통신 채널을 지원하는 제2 통신 모듈(171)을 통해 제2 메모리(173)에 저장된 상기 객실 키 인증 정보(173a)를 상기 모바일 전자 장치(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100)는 동작 520에서, 무인 숙박 시설 내의 장치들로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프로세서(175)는 제1 통신 모듈(110)을 통해 상기 특정 객실의 출입문에 설치된 객실 출입 장치(31), 상기 특정 객실 내부에 설치된 스마트 TV(35), 및 상기 무인 숙박 시설 내의 복도나 상기 특정 객실 내부에 설치되는 물품 판매 장치(37)로 상기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장치들을 이용할 수 있는 권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권한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성인이면 성년자 이용 등급으로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가 미성년자이면 미성년자 이용 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대여한 객실 정보와 매핑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모바일 전자 장치(50)를 상기 객실 출입 장치(31)에 근접시키면, 동작 530에서, 상기 모바일 전자 장치(50)는 상기 객실 출입 장치(31)로 객실 개방을 요청할 수 있다.
객실 개방 요청을 수신한 객실 출입 장치(31)는, 동작 540에서, 객실 키 인증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객실 출입 장치(31)는 상기 모바일 전자 장치(50)에 저장된 객실 키 인증 정보(173a)가 객실에 대한 이용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객실의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객실 출입 장치(31)는 상기 객실 키 인증 정보(173a)에 포함된 객실 정보가 상기 객실 출입 장치(31)가 설치된 객실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객실 정보들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객실 정보가 상이한 경우, 즉 사용자가 선택한 객실과 다른 객실에 설치된 객실 출입 장치(31)에 모바일 전자 장치(50)를 근접시키는 경우, 상기 출입문은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출입문이 개방되면, 상기 객실 출입 장치(31)는 동작 550에서, 상기 객실 내부에 설치된 객실 환경 제어 장치(33)로 객실 환경 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객실 출입 장치(31)는 상기 객실 환경 제어 장치(33)가 상기 객실의 전등을 켜도록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객실 출입 장치(31)는 상기 객실 환경 제어 장치(33)가 이전에 설정된 객실 환경 그대로를 복구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객실의 전등 및 스마트 TV(35)를 켜두고 외출했던 경우, 상기 객실 출입 장치(31)는 상기 객실 환경 제어 장치(33)가 객실의 전등 및 스마트 TV(35)를 켜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가 상기 객실 환경 제어 장치(33)를 이용해, 상기 객실 내의 스마트 TV(35)의 채널을 변경하고자, 채널 변경 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객실 환경 제어 장치(33)는 동작 560에서, 상기 스마트 TV(35)로 채널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채널 변경 요청을 수신한 상기 스마트 TV(35)는 동작 570에서, 이용 권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마트 TV(35)는 변경하고자 하는 채널이 성인 채널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성인 채널로의 변경 요청인 경우, 상기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를 기반으로 상기 성인 채널로의 변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마트 TV(35)는 상기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에 상기 객실을 대여한 사용자의 권한 정보가 성년자 이용 등급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성인 채널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권한 정보가 미성년자 이용 등급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스마트 TV(35)는 상기 성인 채널로의 변경을 하지 않고, 화면 상에 변경 불가 이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객실 내부에 설치되거나 무인 숙박 시설의 복도에 설치된 물품 판매 장치(37)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상기 물품 판매 장치(37)에서 특정 물품을 선택하고, 선택한 특정 물품의 대금을 결제함으로써, 상기 특정 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제 시, 사용자는 모바일 전자 장치(50)와 상기 물품 판매 장치(37)와의 NFC 통신을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모바일 전자 장치(50)를 상기 물품 판매 장치(37)에 근접시킴으로써, 동작 580에서와 같이, 상기 물품 판매 장치(37)로 물품 구매 즉,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물품 구매 요청을 수신한 상기 물품 판매 장치(37)는 동작 590에서, 이용 권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물품 판매 장치(37)는 구매하려는 물품이 성인용품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성인용품에 대한 구매 요청인 경우, 상기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를 기반으로 상기 성인용품의 판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물품 판매 장치(37)는 상기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에 상기 객실을 대여한 사용자의 권한 정보가 성년자 이용 등급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성인용품을 판매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권한 정보가 미성년자 이용 등급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물품 판매 장치(37)는 상기 성인용품을 판매하지 않고, 화면 상에 판매 불가 이유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차량 및 차량의 탑승자를 촬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인 숙박 시설의 주차장에는 사용자의 차량 및 상기 차량의 탑승자를 촬영할 수 있는 제1 카메라(1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11)는 상기 주차장의 출입구 또는 상기 주차장 내의 주차 구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차량의 일측 상방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차량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주차장에 차량이 주차되면, 상기 제1 카메라(11)는 상기 차량의 일측 상방에서 상기 차량을 촬영하게 되고, 상기 차량의 전방(또는 후방)의 형상뿐만 아니라 일측방의 형상까지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차량이 세로 방향으로 주차되는 상태뿐만 아니라 가로 방향으로 주차되는 상태까지도 감안하여 촬영되기 때문에, 상기 차량의 종류 판별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6의 (a)에서와 같이, 상기 주차장에 사륜차가 세로 방향으로 주차되면, 상기 제1 카메라(11)는 상기 사륜차의 전방(또는 후방)의 형상에서 2개의 바퀴 형상이 포함되고, 상기 사륜차의 일측방의 형상에서 2개의 바퀴 형상이 포함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주차장에 사륜차가 가로 방향으로 주차되더라도, 상기 제1 카메라(11)는 상기 사륜차의 전방(또는 후방)의 형상에서 2개의 바퀴 형상이 포함되고, 상기 사륜차의 일측방의 형상에서 2개의 바퀴 형상이 포함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6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주차장에 이륜차가 세로 방향으로 주차되면, 상기 제1 카메라(11)는 상기 이륜차의 전방(또는 후방)의 형상에서 1개의 바퀴 형상이 포함되고, 상기 이륜차의 일측방의 형상에서 2개의 바퀴 형상이 포함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주차장에 상기 이륜차가 가로 방향으로 주차되더라도, 상기 제1 카메라(11)는 상기 이륜차의 전방(또는 후방)의 형상에서 2개의 바퀴 형상이 포함되고, 상기 이륜차의 일측방의 형상에서 1개의 바퀴 형상이 포함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인 숙박 시설의 출입구 통로 쪽에는 상기 출입구로 들어가려는 사용자(및 동행자)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는 제2 카메라(1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카메라(13)는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출입구로 들어가려는 사람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통로를 바라보도록 설치되고, 상기 통로의 폭을 커버할 수 있는 화각(촬영 각도)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카메라(13)는 상기 통로를 지나가는 사람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카메라(13)는 상기 통로를 지나가는 사람에게 모두 얼굴을 촬영할 수 있도록 지정된 위치에 멈추라고 지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카메라(13)는 복수의 사람들이 상기 통로를 지나갈 때, 모든 사람들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카메라(13)는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통로를 지나가는 복수의 사람들을 연속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카메라(13)는 촬영된 복수의 영상들에서 사람의 얼굴 형상에 대응되는 지정된 형상(예: 오메가 형상)을 검출하고, 상기 지정된 형상의 개수가 상기 통로를 지나가는 인원수와 일치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형상의 개수와 상기 인원수가 일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카메라(13)는 상기 사람들에게 재촬영을 위해 지정된 위치에 서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제1 카메라 13: 제2 카메라
31: 객실 출입 장치 33: 객실 환경 제어 장치
35: 스마트 TV 37: 물품 판매 장치
50: 모바일 전자 장치 100: 무인 숙박 시설 관리 장치
110: 제1 통신 모듈 120: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30: 스캐너 140: 지문 인식 센서
150: 제1 메모리 160: 제1 프로세서
170: 보안 영역 171: 제2 통신 모듈
173: 제2 메모리 173a: 객실 키 인증 정보
173b: 객실 이용 권한 정보 175: 제2 프로세서

Claims (10)

  1. 무인 숙박 시설을 위한 관리 장치(100)에 있어서,
    유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제1 통신 모듈(110);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20);
    스캐너(130);
    지문 인식 센서(140);
    제1 메모리(150);
    제1 프로세서(160); 및
    보안 영역(170)을 포함하고,
    상기 보안 영역(170)은,
    보안 통신을 지원하고 비접촉식 근거리 통신 방식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지원하는 제2 통신 모듈(171);
    각 객실의 객실 키 인증 정보(173a) 및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173); 및
    제2 프로세서(175)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제1 통신 모듈(110),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20), 상기 스캐너(130), 상기 지문 인식 센서(140), 상기 제1 메모리(150), 상기 보안 영역(1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1 메모리(150)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메모리(150)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필요한 데이터를 불러오도록 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110)을 통해, 상기 무인 숙박 시설의 주차장에 설치된 제1 카메라(11)로부터 상기 주차장에 주차되는 차량 및 상기 차량의 탑승자를 촬영한 제1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차량이 이륜차인지 사륜차인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110)을 통해, 상기 무인 숙박 시설의 출입구 통로를 바라보도록 설치된 제2 카메라(13)로부터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출입구로 들어가려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제2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스캐너(13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신분증을 스캔한 제1 화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신분증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증명 사진, 주민등록번호, 및 제1 지문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증명 사진 및 상기 제2 영상을 비교하고,
    상기 증명 사진 및 상기 제2 영상을 비교한 결과, 상기 증명 사진의 얼굴 윤곽 및 특징점들 및 상기 제2 영상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얼굴 윤곽 및 특징점들의 제1 유사도가 제1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지문 인식 센서(14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고,
    상기 제1 지문 영상과 상기 지문 인식 센서(140)를 통해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제2 지문 영상을 비교하고,
    상기 제1 지문 영상 및 상기 제2 지문 영상을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지문 영상에서 추출한 지문에 포함된 융선들의 길이, 상기 융선들의 방향, 상기 융선들이 갈라지는 지점, 상기 융선들이 이어지는 지점, 및 상기 융선들이 끝나는 지점에 관한 제1 지문 정보 및 상기 제2 지문 영상에 추출한 지문에 포함된 융선들의 길이, 상기 융선들의 방향, 상기 융선들이 갈라지는 지점, 상기 융선들이 이어지는 지점, 및 상기 융선들이 끝나는 지점에 관한 제2 지문 정보의 제2 유사도가 제2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신분증이 도용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를 신분증 도용자로 신고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상기 무인 숙박 시설에서의 퇴거를 요청하고,
    상기 제1 유사도가 상기 제1 임계치 이상이거나, 상기 제2 유사도가 상기 제2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주민등록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미성년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성년자이거나, 상기 사용자가 미성년자이면서 상기 사용자의 법정 대리인의 동의를 얻은 경우, 상기 제2 프로세서(175)로 제어 권한을 넘기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프로세서(175)는,
    상기 제2 통신 모듈(171)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전자 장치(50)로 상기 제2 메모리(173)에 저장된 객실 키 인증 정보(173a)들 중에서 선택된 객실에 대한 객실 키 인증 정보(173a)를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선택된 객실에 대한 상기 객실 키 인증 정보(173a)는,
    상기 모바일 전자 장치(50)가 상기 선택된 객실의 출입문에 설치된 객실 출입 장치(31)와 일정한 거리 내로 근접하게 되면,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상기 선택된 객실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로세서(175)는,
    상기 사용자가 성년인지 또는 미성년인지에 따라 결정되는 권한 정보 및 상기 선택된 객실의 정보를 매핑하여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를 설정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110)을 통해, 상기 객실 출입 장치(31), 상기 선택된 객실 내부에 설치된 스마트 TV(35), 및 상기 선택된 객실 내부에 설치되거나 상기 무인 숙박 시설 내의 복도에 설치된 물품 판매 장치(37)로 상기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를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권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성년이면 성년자 이용 등급으로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가 미성년자이면 미성년자 이용 등급으로 설정되는 관리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안 영역(170)은,
    별도의 칩(chip)으로 구성된 보안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요소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eSE(embedded secure element), 또는 Micro SD 카드(micro secure digital card)를 포함하는 관리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TV(35)는,
    성인 채널로의 채널 변경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에 포함된 상기 권한 정보가 상기 미성년자 이용 등급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권한 정보가 상기 미성년자 이용 등급인 경우, 채널을 변경하지 않고, 화면에 채널 변경 불가 이유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관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품 판매 장치(37)는,
    구비된 물품들 중 성인용품을 구매하려는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객실 이용 권한 정보(173b)에 포함된 상기 권한 정보가 상기 미성년자 이용 등급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권한 정보가 상기 미성년자 이용 등급인 경우, 상기 성인용품을 판매하지 않고, 화면에 판매 불가 이유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관리 장치.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사용자가 미성년자이면서 상기 사용자의 법정 대리인의 동의를 얻지 못한 경우, 상기 제1 메모리(150)에 저장된 가출 청소년 신고 정보 데이터베이스(155)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가출 청소년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가 가출 청소년인 경우, 상기 사용자를 가출 청소년으로 신고하고,
    상기 사용자를 가출 청소년으로 신고하는 기능은,
    외부 신고 서버로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관리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160)는,
    상기 사용자가 미성년자이면서 상기 사용자의 법정 대리인의 동의를 얻지 못한 경우, 상기 제1 메모리(150)에 저장된 청소년 여가 선용 시설 데이터베이스(153)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무인 숙박 시설과 인접한 위치에 있으면서 청소년이 출입 가능한 여가 선용 시설을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추천해주는 관리 장치.
KR1020180091030A 2018-08-06 2018-08-06 무인 숙박 시설을 위한 관리 장치 KR101975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030A KR101975961B1 (ko) 2018-08-06 2018-08-06 무인 숙박 시설을 위한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030A KR101975961B1 (ko) 2018-08-06 2018-08-06 무인 숙박 시설을 위한 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961B1 true KR101975961B1 (ko) 2019-05-08

Family

ID=66580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030A KR101975961B1 (ko) 2018-08-06 2018-08-06 무인 숙박 시설을 위한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96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0562A (zh) * 2019-08-26 2019-12-13 恒大智慧科技有限公司 一种身份验证装置及门口机
CN113822472A (zh) * 2021-09-03 2021-12-21 杭州拼便宜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智能仓储管理方法
US20230138613A1 (en) * 2021-10-28 2023-05-04 Kenneth McClendon Automated Rental Systems and Methods
KR102620239B1 (ko) * 2023-03-21 2024-01-03 이희용 숙박업소 비대면 단기 임대 무인 관제 시스템
WO2024039168A1 (ko) * 2022-08-16 2024-02-22 한화비전 주식회사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투숙객의 이용 현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329A (ko) * 2000-04-06 2001-10-31 최병준 무인객실 서비스 시스템
KR20160040037A (ko) * 2014-10-02 2016-04-12 (주) 키움소프트 다중구조의 근거리 영상감지에 의한 객체 인증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329A (ko) * 2000-04-06 2001-10-31 최병준 무인객실 서비스 시스템
KR20160040037A (ko) * 2014-10-02 2016-04-12 (주) 키움소프트 다중구조의 근거리 영상감지에 의한 객체 인증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0562A (zh) * 2019-08-26 2019-12-13 恒大智慧科技有限公司 一种身份验证装置及门口机
CN113822472A (zh) * 2021-09-03 2021-12-21 杭州拼便宜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智能仓储管理方法
US20230138613A1 (en) * 2021-10-28 2023-05-04 Kenneth McClendon Automated Rental Systems and Methods
WO2024039168A1 (ko) * 2022-08-16 2024-02-22 한화비전 주식회사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투숙객의 이용 현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2620239B1 (ko) * 2023-03-21 2024-01-03 이희용 숙박업소 비대면 단기 임대 무인 관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962B1 (ko) 무인 숙박 시설을 위한 관리 방법
KR101975961B1 (ko) 무인 숙박 시설을 위한 관리 장치
US102968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river authentication through embedded sensing
JP7279973B2 (ja) 指定ポイント承認における身元識別方法、装置及びサーバ
US11205312B2 (en) Applying image analytics and machine learning to lock systems in hotels
US10641014B2 (en) Advanced bike locking system and method
US20170308740A1 (en) Biometric ident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60155127A1 (en) Smart vending apparatus with automated regulatory compliance verification and method of use
US11462095B2 (en) Facility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JP2009009231A (ja) 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およびセキュリティ管理方法
KR102008194B1 (ko) 안면 인식을 이용한 도서 무인 대출 자동화 방법 및 무인 대출 자동화 시스템
CN111401159A (zh) 酒店鉴权管理方法、系统、酒店管理系统以及用户终端
KR102451378B1 (ko)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
JP3804532B2 (ja) 通行制御装置
KR102259578B1 (ko) 성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20180115900A1 (en) Method and system of access of a mobile terminal to infromation in an area
WO2017122055A1 (en) A system for proximate and/or remote electronic transaction authorization based on user authentication and/or biometric identification
KR20180122095A (ko) 스마트 파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장 위치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
JP6969730B2 (ja) 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を用いてアクセス許可を確認する方法
KR100685723B1 (ko) 차량도난방지기능을 갖는 주차장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4218689B2 (ja) 通行制御システム、および通行制御装置
US202201803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nding items
KR20160068710A (ko) 스마트 성인인증앱 시스템
Makarov et al. Authenticating vehicles and drivers in motion based on computer vision and RFID tags
JP7458991B2 (ja) 認証装置、認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