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960B1 -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960B1
KR101975960B1 KR1020170142715A KR20170142715A KR101975960B1 KR 101975960 B1 KR101975960 B1 KR 101975960B1 KR 1020170142715 A KR1020170142715 A KR 1020170142715A KR 20170142715 A KR20170142715 A KR 20170142715A KR 101975960 B1 KR101975960 B1 KR 101975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rotective cover
air
fan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재춘
Original Assignee
차재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재춘 filed Critical 차재춘
Priority to KR1020170142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4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hand f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의 휴대선풍기에 장착해 여름철에 바람을 쐴 때에도 미세먼지가 제거된 바람을 쐴 수 있으며, 여름철이 아닐 때에도 개인용 또는 휴대용 공기청정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마련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팬 및 상기 회전팬을 감싸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휴대선풍기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보호커버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보호커버의 전방 및 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공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보호커버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팬에 의해 상기 보호커버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이동하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공기청정기 {FILTERING DEVICE FOR PORTABLE FAN AND PORTABLE AIR CLEANER USING THAT}
본 발명은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가능한 소형의 휴대선풍기에 장착해 여름철에 바람을 쐴 때에도 미세먼지가 제거된 바람을 쐴 수 있으며, 여름철이 아닐 때에도 개인용 또는 휴대용 공기청정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선풍기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팬이 후방의 공기를 전방으로 송풍하도록 된 것으로, 주로 더위가 심한 여름철에 많이 사용한다.
종래의 선풍기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스탠드의 상부에 모터 및 회전팬을 포함하는 헤드부가 설치되어 실내에 거치하거나 헤드부를 벽면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벽체형으로 주로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소형으로 제작되는 휴대선풍기의 사용도 증가하고 있다.
휴대선풍기는 통상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의 상부에 모터와 회전팬이 설치되는 구조이며, 손잡이의 내부에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와 구동제어를 위한 조작부가 마련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휴대선풍기는 더위가 심한 여름철에 사용을 주로 하는데, 여름철 이외에는 사용을 하지 않고 방치하여 사용 기간이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아울러 최근들어 미세먼지에 의한 공기 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선풍기를 통해 바람을 송풍할 때, 미세먼지에 의해 오염된 바람을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흡입하게 됨에 따라 호흡기질환이나 피부질환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스탠드형이나 벽걸이형과 같은 종래의 선풍기의 경우 공기를 여과할 수 있는 필터나 공기정화커버 등의 기술이 많이 개발되었으나, 사용이 미비하였으며, 선풍기의 사용은 선풍기가 설치된 실내에서만 국한되며, 미세먼지로 인해 대기오염에 노출되는 상황을 개선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69974호 : 선풍기 부설 공기 청정 필터 한국등록특허 제10-1184038호 : 선풍기용 공기정화커버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휴대가 가능한 휴대선풍기에 장착해 휴대선풍기의 송풍 과정에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깨끗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마련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팬 및 상기 회전팬을 감싸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휴대선풍기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보호커버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보호커버의 전방 및 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공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보호커버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팬에 의해 상기 보호커버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이동하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하부에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길이 인입되어 상기 휴대선풍기의 손잡이와 헤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부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은 통과할 수 없고 공기만 통과할 수 있는 미세기공을 갖는 여과지가 지그재그 방향으로 접힌 상태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는 상기 보호커버의 중심을 수평방향을 따라 지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에 상기 보호커버의 프레임에 끼워질 수 있도록 체결홈을 갖는 제1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부에는 상기 보호커버의 수직방향 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돌출 설치되어 상기 보호커버가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제2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는 상기 통과홈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통과홈의 가장자리에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이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ㄷ'자 형상을 갖는 체결브라켓을 더 구비하되, 상기 체결브라켓은 상기 연결부의 다양한 크기에 대하여 체결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브라켓에 형성된 진입홈의 폭보다 큰 직경의 연결부를 갖는 휴대선풍기에 체결할 때, 상기 체결브라켓이 체결되는 연결부의 형상 및 직경에 대응하여 압축 변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브라켓의 하단에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휴대선풍기의 연결부 또는 손잡이 상단을 감싸는 스커트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커트부가 상기 연결부 또는 손잡이의 상단에 밀착되어 상기 케이스와 휴대선풍기의 체결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스커트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고정밴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필터부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장착슬롯이 케이스의 내주면 및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여과지와, 상기 여과지의 외주면을 지지하되 상기 케이스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테두리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부가 상기 장착슬롯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진입해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슬롯은 상기 케이스의 내경에 비해 양 단부의 직선거리가 더 짧도록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재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재의 대향되는 양측을 내부로 가압하여 상기 장착슬롯의 양단부 직경보다 폭이 짧아지도록 압축시켜 상기 장착슬롯을 통과하며, 상기 장착슬롯의 통과 후 외력이 제거되면 초기 상태로 복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공기청정기는 상기 기재된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와, 상기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가 결합되는 휴대선풍기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선풍기의 손잡이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휴대선풍기를 기립된 상태로 지지하는 기립지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립지지부는 지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회동삽입부재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립지지부는 상기 손잡이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체결부재와, 상기 손잡이체결부재의 하단에 설치되어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로드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로드체결부재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공기청정기는 휴대선풍기의 사용시 공기 중의 미세먼지와 오염원을 제거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공기의 질을 높일 수 있으며, 여름철 뿐 아니라 소형 사무공간이나 소규모 공간 내의 간이 공기청정기로서 사용함으로써 휴대선풍기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다른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공기청정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4는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의 필터유닛을 체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의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공기청정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200)를 이용한 휴대용 공기청정기(10, 이하 '휴대용 공기청정기'라 함)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휴대용 공기청정기(10)는 휴대선풍기(100)와, 휴대선풍기(100)에 장착되는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200)를 구비한다.
휴대선풍기(100)는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소형의 선풍기로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110)와, 손잡이(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부로 이루어져 있다.
손잡이(110)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원통형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직경 또는 폭이 2~4cm 정도 되도록 형성된다. 이 손잡이(110)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와, 헤드유닛(12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마련되는데, 제어부는 버튼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다이얼방식으로 형성되어 온/오프 제어 및 회전팬의 회전속도 제어가 다이얼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는 교체 가능한 건전지 형태가 될 수도 있고, 손잡이(110)의 내부로 일체로 삽입되어 교체가 가능하지는 않지만 외부 전원을 통해 충전 가능한 2차 전지가 적용될 수 있다.
헤드유닛(120)은 구동모터와 회전팬 및 보호커버(121)로 이루어진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손잡이(110)의 상부측에 상기 손잡이(110)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회전팬이 설치된다. 회전팬은 회전시 후방의 공기를 전방으로 송풍하도록 형성되고, 회전팬과 구동팬을 감싸도록 보호커버(121)가 설치된다.
보호커버(121)는 소정 직경의 프레임들이 방사상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팬과 구동모터의 전방 및 후방에서 각각 회전팬과 구동모터를 감싸도록 체결되는 형태이다.
상기 휴대선풍기(10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휴대선풍기(100)의 구성과 동일하며, 상기 헤드유닛(120)과 손잡이(110)의 형상과 크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200)(이하 '필터장치(200)'라 함')는 상기 휴대선풍기(100)의 보호커버(121)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팬의 회전에 의해 헤드유닛(120)의 후방에서 전방측으로 이동하는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여과한다.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200)는 보호커버(121)를 감싸는 케이스(210)와, 케이스(2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부(220)를 구비한다.
케이스(210)는 보호커버(12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데, 보호커버(121)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원통형의 부재로 형상되며 송풍이 이루어지는 방향 즉, 회전팬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휴대선풍기(100)의 헤드유닛(120)이 원형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케이스(210) 역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휴대선풍기(100)의 헤드유닛(120) 형상이 삼각형이나 사각형, 오각형 또는 육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케이스(210)는 헤드유닛(120)의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의 중공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210)의 전방과 후방은 각각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는데, 특히 헤드유닛(120)의 후방에 위치하는 케이스(210)의 후단부에는 케이스(210)의 형상유지와 지지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프레임(211)이 케이스(210)의 단면 중심을 지나는 방향을 따라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케이스(210)의 하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소정길이 인입되어 있는 통과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과홈(212)은 휴대선풍기(100)의 헤드유닛(120)과 손잡이(110)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케이스(210)를 헤드유닛(120)의 후방부에 위치시킨 상테에서 상기 연결부가 통과홈(212)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삽입될 수 있는 방향으로 체결하여 케이스(210)를 보호커버(121)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10)에는 내주면에 보호커버(121)와의 체결 후 고정을 위한 제1 고정돌기(213)와 두 개의 제2 고정돌기(2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고정돌기(213)는 보호커버(121)의 중심을 수평방향을 따라 지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측의 케이스(210)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데, 보호커버(121)의 프레임이 끼워질수 있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고정돌기(214)는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케이스(21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수직방향 축을 중심으로 할 때 좌우 양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고정돌기(214)는 보호커버(121)의 전방부에서 보호커버(121)가 케이스(210)의 전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보호커버(121)를 잡는다. 상기 케이스(210)의 후방부에는 상술한 보강프레임(21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210)를 헤드유닛(120)에 끼우면 상기 보호커버(121)의 전방과 후방이 각각 제1 고정돌기(213) 및 제2 고정돌기(214)와 보강프레임(211)에 의해 각각 걸려 이탈하지 않는다.
상기 케이스(210)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데, 사용자가 케이스(210)를 헤드유닛(12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약간 벌려서 헤드유닛(120)을 케이스(210)에 끼우거나 뺄 수 있도록 소정의 신축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필터부(220)는 보강프레임(211)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케이스(210) 내부에 장착되는데, 오염물질은 통과할 수 없고 공기만 통과할 수 있는 미세기공을 갖는 여과지(222)를 포함한다.
상기 여과지(222)는 지그재그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접힌 상태에서 상기 외주면이 케이스(210)의 내주면측에 지지되고 내주면이 보강프레임(211)의 중심부 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회전팬이 구동하여 헤드부의 후방에서 전방측으로 강제송풍이 이루어질 때, 상기 공기가 여과지(222)의 미세기공을 통과해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미세기공을 통과할 수 없는 오염물질은 여과지(222)에서 걸러지게 된다.
상기 여과지(222)를 지그재그 형태로 접는 것은 단위시간당 필터부(220)를 통과하는 공기량을 늘리기 위한 것이다. 여과지(222)는 미세기공을 가지며, 이 미세기공을 통해서만 공기가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여과지(222)가 펼쳐져 있는 상태에서는 여과지(222)의 전체 면적 중 미세기공에 의한 면적만 공기가 이동할 수 있으므로 특히 회전팬에 의해 강제송풍이 이루어져 단위시간당 공기의 이동량이 많아져야 하는 경우 공기의 이동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여과지(222)를 지그재그 방향이 되도록 접어 여과지(222) 전체에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미세기공의 수를 증가시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는 필터장치(2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필터장치(200)는 다양한 크기의 손잡이(110)에 대하여 체결이 가능하도록 체결브라켓(23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체결브라켓(230)은 케이스(210)의 통과홈(212)에 끼워질 수 있게 형성되는데, 상기 통과홈(212)의 가장자리에 끼워질 수 있게 외주면에 끼움홈(231)이 형성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체결브라켓(230)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서, 연결부의 형상이나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한 휴대선풍기(100)에 체결이 가능하다. 즉, 상기 체결브라켓(230)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홈(232)으로 휴대선풍기(100)의 연결부가 진입하게 되는데, 상기 장착홈(232)의 폭은 휴대선풍기(100)의 연결부 직경 또는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며, 사용자가 케이스(210)를 휴대선풍기(100)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부를 체결브라켓(230)의 장착홈(232)으로 끼우기 위해 가압하면 상기 체결브라켓(230)이 압축되면서 연결부의 진입이 허용되며, 탄성력에 의해 연결부는 장착홈(232)에 끼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나 형상의 연결부가 체결될 수 있으므로 휴대선풍기(100)의 종류에 관계없이 호환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체결브라켓(230)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스커트부(2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커트부(233)도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110)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체결된다.
상기 스커트부(233)에는 스커트부(233)의 외주면을 감싸는 고정밴드(234)가 장착되어 체결브라켓(230)과 휴대선풍기(100)의 손잡이(110) 사이의 체결력을 높인다.
상기 고정밴드(234)는 도시된 본 실시예와 같이 탄성력이 있는 탄성밴드일 수도 있고, 일측과 타측에 벨크로와 같은 접착수단을 갖는 스트립상의 밴드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만약 고정밴드(234)가 일측과 타측에 접착수단을 갖는 스트립상의 밴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고정밴드(234)의 일측을 스커트부(233)에 고정시켜두고 타측을 스커트부(233)를 둘러서 감싼 뒤 접착수단을 통해 상호 체결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필터장치(200)는 체결브라켓(230)을 제외한 케이스(210)와 필터부(220)의 구성이 앞선 실시예의 필터장치(200)와 동일하므로 동일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는 필터장치(200)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필터부(220)가 케이스(210)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의 테두리부재(221)와, 이 테두리부재(221)의 내측에 설치되는 상기 여과지(22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10)에는 테두리부재(221)가 관통해 케이스(21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장착슬롯(215)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필터부(220)를 장착슬롯(215)을 통해 케이스(210)에 장착 또는 탈거할 수 있어서, 상기 필터부(220)의 여과성능이 저하되거나 파손될 경우 필터부(220)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필터장치(200)의 제4 실시예는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케이스(210)에 장착슬롯(215)이 형성되고, 필터부(220)가 테두리부재(221)와 여과지(22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장착슬롯(215)이 양단부의 직선거리가 케이스(210)의 내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필터부(220)는 테두리부재(221)가 탄성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시된 것과 같이 필터부(220)를 케이스(210)에 장착할 때, 테두리부재(221)의 양측 가장자리를 중심부를 향해 가압하여 폭이 상기 장착슬롯(215)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압축시킨 다음 필터부(220)를 장착슬롯(215)을 통해 케이스(210)의 내부로 삽입한다.
필터부(220)의 삽입 후 외력이 제거되면 테두리부재(221)는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되며, 테두리부재(221)의 직경이 장착슬롯(215)의 직선길이보다 크기 때문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필터부(220)가 케이스(210)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의 필터장치(200)는 휴대선풍기(100)의 헤드유닛(120)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헤드유닛(120) 후방에 위치하는 필터부(220)를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한 깨끗한 공기를 전방으로 송풍하므로 휴대선풍기(100)를 공기청정기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도 7에는 휴대용 공기청정기(10)의 사용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공기청정기(10)는 사용자가 손잡이(110)를 잡고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도 있지만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기립지지부(300)를 통해 테이블이나 책상 위에 기립된 상태로 설치해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기립지지부(300)는 지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재(310)와, 베이스부재(3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손잡이(110)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회동삽입부재(320)를 포함한다.
회동삽입부재(320)는 베이스부재(310)에 대하여 소정각도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필터장치(200)가 장착된 휴대선풍기(100)의 송풍방향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기립지지부(300)를 적용하면 책상이나 테이블 위에 설치할 수 있으며, 업무 과정에서 개인용 공기청정기로 사용자의 주변 공기를 정화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립지지부(400)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손잡이(110)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체결부재(410)와, 상기 손잡이체결부재(410)의 하단에 설치되어 연장로드(430)를 감싸는 로드체결부재(420)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기립지지부(400)는 자전거나 유모차와 같이 탑승해 이동하는 이동수단에 설치할 수 있도록 된 것이며, 특히 유모차에 설치하는 경우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에게 깨끗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 호흡기가 약한 유아의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원형 단면의 연장로드(430)에 체결될 수 있도록 로드체결부재(42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는 달리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 단면을 갖는 프로파일이나 연장로드(43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로드체결부재(42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10)는 휴대가 가능한 휴대선풍기(100)에 필터장치(200)를 장착해 언제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으며, 책상이나 테이블 또는 이동수단에 장착해 개인용 공기청정기로도 사용할 수 있어 휴대선풍기(100)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최근 문제가 되는 공기오염에 의한 호흡기질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공기청정기
100: 휴대선풍기
110: 손잡이 120: 헤드유닛
121: 보호커버
200: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
210: 케이스 211: 보강프레임
212: 통과홈 213: 제1 고정돌기
214: 제2 고정돌기 215: 장착슬롯
220: 필터부 221: 테두리부재
222: 여과지 230: 체결브라켓
231: 끼움홈 232: 장착홈
233: 스커트부 234: 고정밴드
300: 기립지지부
310: 베이스부재 320: 회동삽입부재
400: 기립지지부
410: 손잡이체결부재 420: 로드체결부재
430: 연장로드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마련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팬 및 상기 회전팬을 감싸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휴대선풍기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보호커버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보호커버의 전방 및 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공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보호커버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팬에 의해 상기 보호커버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이동하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는 하부에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길이 인입되어 상기 휴대선풍기의 손잡이와 헤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부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은 통과할 수 없고 공기만 통과할 수 있는 미세기공을 갖는 여과지가 지그재그 방향으로 접힌 상태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 후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는 상기 보호커버의 중심을 수평방향을 따라 지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에 상기 보호커버의 프레임에 끼워질 수 있도록 체결홈을 갖는 제1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부에는 상기 보호커버의 수직방향 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돌출 설치되어 상기 보호커버가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제2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
  4.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마련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팬 및 상기 회전팬을 감싸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휴대선풍기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보호커버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보호커버의 전방 및 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공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보호커버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팬에 의해 상기 보호커버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이동하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는 하부에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길이 인입되어 상기 휴대선풍기의 손잡이와 헤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부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은 통과할 수 없고 공기만 통과할 수 있는 미세기공을 갖는 여과지가 지그재그 방향으로 접힌 상태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 후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통과홈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통과홈의 가장자리에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이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ㄷ'자 형상을 갖는 체결브라켓을 더 구비하되,
    상기 체결브라켓은 상기 연결부의 다양한 크기에 대하여 체결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브라켓에 형성된 진입홈의 폭보다 큰 직경의 연결부를 갖는 휴대선풍기에 체결할 때, 상기 체결브라켓이 체결되는 연결부의 형상 및 직경에 대응하여 압축 변형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브라켓의 하단에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휴대선풍기의 연결부 또는 손잡이 상단을 감싸는 스커트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커트부가 상기 연결부 또는 손잡이의 상단에 밀착되어 상기 케이스와 휴대선풍기의 체결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스커트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고정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
  6.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마련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팬 및 상기 회전팬을 감싸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휴대선풍기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보호커버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보호커버의 전방 및 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공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보호커버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팬에 의해 상기 보호커버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이동하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는 하부에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길이 인입되어 상기 휴대선풍기의 손잡이와 헤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부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은 통과할 수 없고 공기만 통과할 수 있는 미세기공을 갖는 여과지가 지그재그 방향으로 접힌 상태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 후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필터부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장착슬롯이 케이스의 내주면 및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여과지와, 상기 여과지의 외주면을 지지하되 상기 케이스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테두리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부가 상기 장착슬롯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진입해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슬롯은 상기 케이스의 내경에 비해 양 단부의 직선거리가 더 짧도록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재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재의 대향되는 양측을 내부로 가압하여 상기 장착슬롯의 양단부 직경보다 폭이 짧아지도록 압축시켜 상기 장착슬롯을 통과하며, 상기 장착슬롯의 통과 후 외력이 제거되면 초기 상태로 복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와;
    상기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가 결합되는 휴대선풍기를 포함하는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공기청정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선풍기의 손잡이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휴대선풍기를 기립된 상태로 지지하는 기립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공기청정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지지부는 지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회동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공기청정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지지부는 상기 손잡이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체결부재와,
    상기 손잡이체결부재의 하단에 설치되어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로드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로드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공기청정기.
KR1020170142715A 2017-10-30 2017-10-30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공기청정기 KR101975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715A KR101975960B1 (ko) 2017-10-30 2017-10-30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715A KR101975960B1 (ko) 2017-10-30 2017-10-30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960B1 true KR101975960B1 (ko) 2019-05-07

Family

ID=66655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715A KR101975960B1 (ko) 2017-10-30 2017-10-30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96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086B1 (ko) * 2018-06-15 2019-10-31 김통일 핸디형 선풍기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청정기
KR200492677Y1 (ko) * 2019-11-22 2020-11-23 김종백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
JP6838719B1 (ja) * 2020-09-14 2021-03-03 株式会社シオガイ精機 可搬型脱臭器、及び脱臭方法
KR20210043834A (ko) 2019-10-14 2021-04-22 채수원 일회용 미세먼지 마스크를 필터로 사용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KR20210108559A (ko) 2020-02-26 2021-09-03 임화목 미세먼지 흡착 구조의 선풍기
KR20220053413A (ko) 2020-10-22 2022-04-29 정우영 다용도 송풍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0920A (ja) * 2002-01-22 2003-07-29 Frontier Sangyo Kk エアーフィルタ
KR100669974B1 (ko) 2004-12-02 2007-01-19 김의웅 선풍기 부설 공기 청정 필터
KR101184038B1 (ko) 2012-04-06 2012-09-18 변수근 선풍기용 공기정화커버
US20140141708A1 (en) * 2012-11-21 2014-05-22 Dnkb, Inc. Ventila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0920A (ja) * 2002-01-22 2003-07-29 Frontier Sangyo Kk エアーフィルタ
KR100669974B1 (ko) 2004-12-02 2007-01-19 김의웅 선풍기 부설 공기 청정 필터
KR101184038B1 (ko) 2012-04-06 2012-09-18 변수근 선풍기용 공기정화커버
US20140141708A1 (en) * 2012-11-21 2014-05-22 Dnkb, Inc. Ventila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086B1 (ko) * 2018-06-15 2019-10-31 김통일 핸디형 선풍기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청정기
KR20210043834A (ko) 2019-10-14 2021-04-22 채수원 일회용 미세먼지 마스크를 필터로 사용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KR200492677Y1 (ko) * 2019-11-22 2020-11-23 김종백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
KR20210108559A (ko) 2020-02-26 2021-09-03 임화목 미세먼지 흡착 구조의 선풍기
JP6838719B1 (ja) * 2020-09-14 2021-03-03 株式会社シオガイ精機 可搬型脱臭器、及び脱臭方法
JP2022047878A (ja) * 2020-09-14 2022-03-25 株式会社シオガイ精機 可搬型脱臭器、及び脱臭方法
KR20220053413A (ko) 2020-10-22 2022-04-29 정우영 다용도 송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960B1 (ko)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공기청정기
US20190290080A1 (en) Suction or Blower Device
US7189272B2 (en) Movable spray painting stand
JP2619548B2 (ja) 送風装置
KR101911828B1 (ko) 휴대용 선풍기의 공기 정화 장치, 공기 정화장치의 필터 및 필터 제조 방법
JP4515500B2 (ja) 表面処理器具用ツール
US20080040874A1 (en) Lint roller/brush assembly
KR20170081414A (ko) 선풍기 겸용 에어워셔
US20130137361A1 (en) Ventilating fan
KR20230036087A (ko) 공기청정 송풍장치
GB2296426A (en) A vacuum cleaner with damp cloth apparatus
CN217658490U (zh) 一种扇伞及其风扇装置
CN105327873B (zh) 挂壁式空调器
WO2012029745A1 (ja) フィルタ移動機構及び空調室内機
KR200184974Y1 (ko) 스탠드형 및 휴대형 겸용 진공청소기
KR101263832B1 (ko) 다기능 선풍기
CN205341352U (zh) 滚刷及除尘模块及挂壁式空调器
CN113309723A (zh) 一种出风装置
JP2512192B2 (ja) 送風装置
CN219706927U (zh) 一种车用空调出风口的清理装置及车辆
CN219306602U (zh) 清理装置
CN212057691U (zh) 滚轮导轨装置和空调器
CN212299368U (zh) 一种空调挡风装置
CN216467267U (zh) 一种电动客车节能空调过滤网
CN215170955U (zh) 一种出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