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722B1 - 고정구조 일체형 컨테이너 하우스 - Google Patents

고정구조 일체형 컨테이너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722B1
KR101975722B1 KR1020180156054A KR20180156054A KR101975722B1 KR 101975722 B1 KR101975722 B1 KR 101975722B1 KR 1020180156054 A KR1020180156054 A KR 1020180156054A KR 20180156054 A KR20180156054 A KR 20180156054A KR 101975722 B1 KR101975722 B1 KR 101975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nut
lower frame
bol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응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트
Priority to KR1020180156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04B1/34347Ancho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83Small buildings of the ISO container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구조 일체형 컨테이너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형태의 상부프레임(11) 및 하부프레임(12)이 측부프레임(13)에 연결되어 육면체를 이루게 프레임조립체에 철판(14)이 덧대어져 구현되는 컨테이너몸체(10)와; 하부프레임(12)의 코너 부분 4 곳에 형성된 프레임관통공(20)과; 하부프레임(12) 내측에서 프레임관통공(20) 각각을 관통하는 볼트몸체(31) 및 그 프레임관통공(20) 외측의 하부프레임(12)에 걸어지는 볼트헤드(32)로 구성된 고정볼트(30)와; 하부프레임(12)에서 돌출되는 각각의 볼트몸체(31)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서, 관통되는 고리구멍(40a)이 형성된 고리너트(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정구조 일체형 컨테이너 하우스{container house having fix structure}
본 발명은 컨테이너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풍이나 지진에도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고정구조 일체형 컨테이너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 하우스란,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태의 철골뼈대에 철판을 덧대어 박스 형태로 구현된 조립식 주택의 일종으로서, 내부에 전기배선을 하고, 거주를 위한 가구들을 설치함으로서 사람이 거주할 수 있도록 하는 주거공간을 구현하고, 필요에 따라 특정 지형에 설치되어 기후나 지진관측용도, 또는 산악지형에 설치되어 홍수통제소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 하우스는 공장에서 제작한 후 차량에 의하여 운반되고, 이후 차량 크레인에 의하여 차량에서 들어올려진 후 지면에 미리 시공된 콘크리트 기초에 안착되는 것에 의하여 설치가 완료되므로, 결과적으로 시공 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그런데 컨테이너 하우스는 단지 지면에 내려놓은 상태로 사용되므로, 태풍이 불때, 또는 지진이 발생될 때 콘크리트 기초에서 움직이게 되고, 심할 경우 다른 장소로 미끄러지거나 굴러 넘어지게 되어 많은 물적 및 인명 피해가 발생되었다.
또한 컨테이너 하우스는 도로 환경이 열악한 지역, 예를 들면 산악지역이나 해안지역등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컨테이너 하우스를 공장에서 제조한 후 목적 지역까지 운반할 때, 챠량에 인가되는 큰 충격에 의하여 차량에서 미끄러지거나 떨어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태풍이나 지진이 발생되더라도 초기 설치된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운반도중에서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고정구조 일체형 컨테이너 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조 일체형 컨테이너 하우스는, 사각형태의 상부프레임(11) 및 하부프레임(12)이 측부프레임(13)에 연결되어 육면체를 이루게 프레임조립체에 철판(14)이 덧대어져 구현되는 컨테이너몸체(10); 상기 하부프레임(12)의 코너 부분 4 곳에 형성된 프레임관통공(20); 상기 하부프레임(12) 내측에서 상기 프레임관통공(20) 각각을 관통하는 볼트몸체(31) 및 그 프레임관통공(20) 내측의 하부프레임(12)에 걸어지는 볼트헤드(32)로 구성된 고정볼트(30); 상기 4 개의 상기 프레임관통공(20)에서 돌출되는 상기 볼트몸체(31)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서, 원형의 고리구멍(40a)이 형성된 고리너트(40); 콘크리트 기초(B) 바닥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원형의 고리구멍(40a)에 끼워지는 앙카볼트(60); 상기 앙카볼트(60)에 끼워져 상기 고리너트(40)에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고리구멍(40a)의 내직경보다 큰 외직경을 가지는 디스크(70); 및 상기 앙카볼트(6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디스크(70)를 상기 고리너트(40)에 가압하는 너트(80);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너트(40)는, 상기 프레임관통공(20)을 관통한 볼트몸체(31)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몸체(41)와, 상기 너트몸체(41)의 단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앙카볼트(60)가 끼워지는 고리구멍(40a)이 형성된 고리몸체(42)와, 상기 너트몸체(41)의 바닥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하부프레임(12)의 측면에 밀착되는 편편한 밀착면(43)을 포함하되, 상기 너트몸체(41)는 상기 고리몸체(42)가 연결된 부분에서 상기 밀착면(43)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고; 상기 고리구멍(40a)은 30~80mm 범위의 내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볼트헤드(32)와 하부프레임(12)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리너트(40)의 공회전을 방지하는 와셔(50)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프레임관통공)에 고정볼트를 관통시킨 후 고리너트를 관통된 볼트몸체에 체결시키는 것으로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큰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견고한 내구성을 가지는 고정구조 일체형 컨테이너 하우스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고리몸체에 전체적으로 링 형태를 가지는 고리구멍이 형성되고, 고리구멍이 30~60mm 범위의 내경을 가지므로, 앙카볼트의 설치 위치가 설계에서 약간 벗어나더라도 앙카볼트를 고리구멍에 끼워넣을 수 있는 공간이나, 또한 운반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큰 직경의 벨트(미도시)를 용이하게 걸어지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범용적인 고정구조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조 일체형 컨테이너 하우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고정구조를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고정구조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고정구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고리너트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조 일체형 컨테이너 하우스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조 일체형 컨테이너 하우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고정구조를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고정구조의 단면도이다. 또 도 4는 도 3의 고정구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고리너트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조 일체형 컨테이너 하우스는, 사각형태의 상부프레임(11) 및 하부프레임(12)이 측부프레임(13)에 연결되어 육면체를 이루게 프레임조립체에 철판(14)이 덧대어져 구현되는 컨테이너몸체(10)와; 하부프레임(12)의 코너 부분 4 곳에 형성된 프레임관통공(20)과; 하부프레임(12) 내측에서 상기 프레임관통공(20) 각각을 관통하는 볼트몸체(31) 및 그 프레임관통공(20) 내측의 하부프레임(12)에 걸어지는 볼트헤드(32)로 구성된 고정볼트(30)와; 하부프레임(12)에서 돌출되는 각각의 볼트몸체(31)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서, 관통되는 고리구멍(40a)이 형성된 고리너트(40)와; 각각의 볼트헤드(32)와 하부프레임(12)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고리너트(40)의 공회전을 방지하는 와셔(50)와; 콘크리트 기초(B) 바닥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각각의 고리구멍(40a)을 관통하게 끼워지는 앙카볼트(60)와; 앙카볼트(60)에 끼워져 고리너트(40)에 거치되는 디스크(70)와; 앙카볼트(60)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디스크(70)를 고리너트(40)에 가압하는 너트(80);를 포함한다.
컨테이너몸체(10)를 구현함에 있어서, 상부프레임(11), 하부프레임(12) 및 측부프레임(13)은 상호 연결되어 육면체를 이루며, 프레임조립체에 철판(14)이 덧대어져 이동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우수하게 할 수 있다.
하부프레임(12)의 코너 4 곳에는 고정볼트(30)가 끼워지는 프레임관통공(20)이 형성되며, 컨테이너몸체(10)의 크기에 따라 프레임관통공(20)의 개수가 늘어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리너트(40)는, 프레임관통공(20)을 관통한 볼트몸체(31)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몸체(41)와, 너트몸체(41)의 단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고리구멍(40a)이 형성된 고리몸체(42)와, 너트몸체(41)의 바닥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하부프레임(12)의 측면에 밀착되는 편편한 밀착면(43)으로 구성된다.
너트몸체(41)는 고리몸체(42)가 연결된 부분에서 하부프레임(12)에 밀착면(43)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하부프레임(12)을 관통하는 볼트몸체(31)가 너트몸체(41)에 나사결합될 때 밀착면(43)은 하부프레임(12)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고, 이에 따라 상하부 방향에서 고리너트(40)로 강한 충격이나 힘이 인가되더라도 고리너트(40)는 하부프레임(12)으로부터 꺾이거나 분리되지 않게 된다.
고리몸체(42)에는 전체적으로 링 형태를 가지는 고리구멍(40a)이 형성되고, 고리구멍(40a)에 후술할 앙카볼트(60)나 운반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벨트(미도시)가 걸어진다. 이러한 고리몸체(42)에 형성된 고리구멍(40a)은 30~80mm 범위의 내경을 가진다.
고리구멍(40a)의 내경이 30mm 이하일 경우, 콘크리트 기초(B)에 고정된 앙카볼트(60)가 위치가 설계위치보다 조금 틀어질 경우 고리몸체(42)에 끼워 고정시킬 수 없고, 또한 컨테이너 하우스를 운반차량에 임시고정하기 위한 벨트가 잘 끼워어지지 않게 된다. 참고적으로 현재 유통되는 앙카볼트(60)의 최대 직경은 20mm 이고, 운반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벨트의 직경은 50~60mm 이다.
반대로 고리구멍(40a)의 내경이 80mm 이상일 경우, 고리몸체(42)와 앙카볼트(60) 사이에 이격이 발생되어 태풍이나 지진이 발생할 때 컨테이너몸체(10)는 심하게 흔들리고, 흔들림에 따른 충격이 증폭되어 컨테이너몸체(10)를 파손시키거나, 앙카볼트(60)를 파손시킨다.
한편, 밀착면(43)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면(43) 표면에서 돌출되는 뾰족한 엠보(44)가 다수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리너트(40)가 고정볼트(30)에 체결되어 하부프레임(12)에 밀착될 때 엠보(44)가 하부프레임(12)의 표면을 파고들어가고, 따라서 외부에서 충격이나 진동이 인가되더라도 고리너트(40)가 하부프레임(12)으로부터 회전되거나 헐거워지지 않게 된다.
상기 고리너트(40)의 구조에 의하여, 고리너트(40)를 후술할 앙카볼트(60)에 고정시키거나 차량에 고정된 벨트(미도시)를 연결할 때, 태풍이나 지진등에 의하여 컨테이너몸체(10)에 큰 충격이나 진동이 인가되더라도 컨테이너몸체(10)를 움직이지 않게 견고한 고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와셔(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12) 내측에서 볼트헤드(32)와 하부프레임(12)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볼트헤드(42)에 비하여 큰 직경을 가짐으로써 볼트헤드(42)에 의하여 프레임관통공(20) 주위의 하부프레임(12) 배면에 큰 면적으로 밀착된다. 이에 따라, 고리너트(40)에 큰 충격이나 인장력이 인가되더라도, 와셔(50)는 인가되는 충격이나 인장력을 넓은 면적에서 하부프레임(12)에서 분산시킴으로써 하부프레임(12)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앙카볼트(60)는 콘크리트 기초(B)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부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고리구멍(40a)을 관통하게 끼워진다.
디스크(70)는 앙카볼트(60)에 끼워진 상태로 고리너트(40)의 상부에 거치되며, 이를 위하여 고리너트(40)의 외직경보다 큰 외직경을 가진다.
너트(80)는 고리구멍(40a) 및 디스크(70)를 관통한 앙카볼트(60)에 나사결합되어 디스크(70)를 고리너트(40)의 상부면에 가압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컨테이너 하우스는 콘크리트 기초(B)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프레임(12)에 형성된 프레임관통공(20)에 고정볼트(30)를 관통시킨 후 고리너트(40)를 관통된 볼트몸체(31)에 체결시키는 것으로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큰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견고한 내구성을 가지는 고정구조 일체형 컨테이너 하우스의 구현이 가능하다. 특히 이러한 구조는 컨테이너몸체(10)를 구조변경하지 않고도 구현됨으로서, 기존 컨테이너 하우스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고리몸체(42)에 전체적으로 링 형태를 가지는 고리구멍(40a)이 형성되고, 고리구멍(40a)이 30~60mm 범위의 내경을 가지므로, 앙카볼트(60)의 설치 위치가 설계에서 약간 벗어나더라도 앙카볼트(60)를 고리구멍(40a)에 끼워넣을 수 있는 공간이나, 또한 운반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큰 직경의 벨트(미도시)를 용이하게 걸어지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범용적인 고정구조의 구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태풍이나 지진이 발생되더라도 컨테이너몸체(10)는 초기 설치된 위치에서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다른 장소로 운반도중에도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컨테이너몸체 11 ... 상부프레임
12 ... 하부프레임 13 ... 측부프레임
14 ... 철판 20 ... 프레임관통공
30 ... 고정볼트 31 ... 볼트몸체
32 ... 볼트헤드 40 ... 고리너트
40a ... 고리구멍 41 ... 너트몸체
42 ... 고리몸체 43 ... 밀착면
44 ... 엠보 50 ... 와셔
60 ... 앙카볼트 70 ... 디스크
80 ... 너트

Claims (5)

  1. 사각형태의 상부프레임(11) 및 하부프레임(12)이 측부프레임(13)에 연결되어 육면체를 이루게 프레임조립체에 철판(14)이 덧대어져 구현되는 컨테이너몸체(10);
    상기 하부프레임(12)의 코너 부분 4 곳에 형성된 프레임관통공(20);
    상기 하부프레임(12) 내측에서 상기 프레임관통공(20) 각각을 관통하는 볼트몸체(31) 및 그 프레임관통공(20) 내측의 하부프레임(12)에 걸어지는 볼트헤드(32)로 구성된 고정볼트(30);
    상기 4 개의 상기 프레임관통공(20)에서 돌출되는 상기 볼트몸체(31)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서, 원형의 고리구멍(40a)이 형성된 고리너트(40);
    콘크리트 기초(B) 바닥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원형의 고리구멍(40a)에 끼워지는 앙카볼트(60);
    상기 앙카볼트(60)에 끼워져 상기 고리너트(40)에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고리구멍(40a)의 내직경보다 큰 외직경을 가지는 디스크(70); 및
    상기 앙카볼트(6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디스크(70)를 상기 고리너트(40)에 가압하는 너트(80);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너트(40)는, 상기 프레임관통공(20)을 관통한 볼트몸체(31)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몸체(41)와, 상기 너트몸체(41)의 단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앙카볼트(60)가 끼워지는 고리구멍(40a)이 형성된 고리몸체(42)와, 상기 너트몸체(41)의 바닥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하부프레임(12)의 측면에 밀착되는 편편한 밀착면(43)을 포함하되, 상기 너트몸체(41)는 상기 고리몸체(42)가 연결된 부분에서 상기 밀착면(43)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고;
    상기 고리구멍(40a)은 30~80mm 범위의 내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조 일체형 컨테이너 하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볼트헤드(32)와 하부프레임(12)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리너트(40)의 공회전을 방지하는 와셔(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조 일체형 컨테이너 하우스.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56054A 2018-12-06 2018-12-06 고정구조 일체형 컨테이너 하우스 KR101975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054A KR101975722B1 (ko) 2018-12-06 2018-12-06 고정구조 일체형 컨테이너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054A KR101975722B1 (ko) 2018-12-06 2018-12-06 고정구조 일체형 컨테이너 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722B1 true KR101975722B1 (ko) 2019-05-07

Family

ID=6665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054A KR101975722B1 (ko) 2018-12-06 2018-12-06 고정구조 일체형 컨테이너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7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418B1 (ko) 2022-10-07 2023-09-15 김재연 컨테이너 하우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295B1 (ko) * 2011-06-28 2011-11-17 한별하우징(주) 컨테이너 하우스용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295B1 (ko) * 2011-06-28 2011-11-17 한별하우징(주) 컨테이너 하우스용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418B1 (ko) 2022-10-07 2023-09-15 김재연 컨테이너 하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6071B1 (en) Cabinet anchor bolt assembly
US9252310B2 (en) Wear reduction system for rooftop mounts
US10815661B2 (en) Canopy interface for a ceiling mount
KR101975722B1 (ko) 고정구조 일체형 컨테이너 하우스
JP2016211216A (ja) 天井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2058520B1 (ko) 데크 플레이트용 인서트 구조체
KR20200075460A (ko) 고정구조 일체형 컨테이너 하우스
JP5671743B2 (ja) 他物固定具
JP2009235786A (ja) Alcパネルの上部スライド取付構造
KR19990049130A (ko) 스페이스 댐퍼
JP2014218850A (ja) ソーラーパネルの風除け装置、およびソーラーパネルの設置構造
JP2012112137A (ja) 固定台
KR102406936B1 (ko) 내진용 케이블 트레이 행거장치
JPS63176532A (ja) 地中埋設筐
JPH0339527Y2 (ko)
KR200176615Y1 (ko) 건물 벽체의 외부배관용 방범패널
JP2022079276A (ja) アンカーボルトおよび摩擦減震装置の協働機構
JP2012188865A (ja) 他物固定具
JP3075609U (ja) アルミ枠パネル構造
JPH0118739Y2 (ko)
JPH0640285Y2 (ja) 免震支持装置
JPH06341191A (ja) 天井吊り金具
JP2007211469A (ja) 減震装置
KR20210057540A (ko) 방습기능이 개선된 천장매입등
JP2012219475A (ja) 屋外設置物の設置用金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