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701B1 - 스마트폰 고정벨트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고정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701B1
KR101975701B1 KR1020180026832A KR20180026832A KR101975701B1 KR 101975701 B1 KR101975701 B1 KR 101975701B1 KR 1020180026832 A KR1020180026832 A KR 1020180026832A KR 20180026832 A KR20180026832 A KR 20180026832A KR 101975701 B1 KR101975701 B1 KR 101975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martphone
pair
elastic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제경
Original Assignee
손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제경 filed Critical 손제경
Priority to KR1020180026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마, 등산, 조깅, 싸이클링과 같이 몸의 진동이 심한 운동을 할 때에 스마트폰(휴대폰)을 견고하게 탄성벨트 힘으로 고정시키는 스마트폰 고정벨트로서, 사용자의 어깨에서 허리에 걸치는 벨트 형태의 중앙부에 스마트폰의 고정부가 있어서 가로, 세로형태로 스마트폰을 밀착 고정으로 휴대의 편리성 및 안전성이 보장되고, 착용자의 앞에서도 착용가능하고 등 쪽으로도 착용 가능하여 편리성도 보장되는 스마트폰 고정벨트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중앙 탄성받침판에 스마트폰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포켓을 형성하도록 한쌍의 수직탄성밴드 및 한쌍의 수평탄성밴드로 봉제되어 구성된 스마트폰 고정부, 상기 중앙 탄성받침판의 상측에서 신체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어깨에 걸치도록 확개 연장된 한쌍의 어깨측 걸림벨트 및 하측 좌우측에서 신체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허리에 걸치는 한쌍의 허리측 걸림벨트가 구비된 제1 탄성벨트(100)와, 상기 어깨측 걸림벨트의 끝단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어깨측 연장걸림벨트 및 상기 허리측 걸림벨트의 끝단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허리측 연장걸림벨트로 구성된 제2 탄성벨트(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고정벨트에 달성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고정벨트{Smartphone fixing belt}
본 발명은 승마, 등산, 조깅, 싸이클링과 같이 몸의 진동이 심한 운동을 할 때에 스마트폰(휴대폰)을 견고하게 탄성벨트 힘으로 고정시키는 스마트폰 고정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어깨에서 허리에 걸치는 벨트 형태의 중앙부에 스마트폰의 고정부가 있어서 가로, 세로형태로 스마트폰을 밀착 고정으로 휴대의 편리성 및 안전성이 보장되고, 착용자의 앞에서도 착용가능하고 등 쪽으로도 착용 가능하여 편리성도 보장되는 스마트폰 고정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smartphone)은 PC의 소형화된 운영 체제를 탑재한 기기에 무선 전화 통신 가능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듈이 추가된 휴대 전화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현대인의 대다수가 외부에서 전자 우편, 인터넷 검색, 문서를 읽고 쓰고 저장하거나, 업무나 생활에 필요한 앱을 설치하여 항시 휴대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의 스마트폰은 고가형 보급이 일반적이어서 분실이나 부주의에 의한 낙하 파손 등으로 적지 않은 손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사용자 대부분이 별도의 보호케이스를 사용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보호케이스에 의한 스마트폰의 보호는 사용자가 항시 휴대시에는 가능하나, 별도의 스마트폰 휴대수단을 이용하여 손에 휴대하지 않을 경우에는 별도의 스마트폰 휴대수단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스마트폰을 소지하기 위한 휴대수단에 대해서 최근에 다양한 형태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나, 주로 스마트폰의 외곽형상을 갖는 단일 포켓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통상적이며, 찰용이 주로 바지의 허리띠(혁대)에 장착하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스마트폰 휴대장치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소지하는 경우, 허리띠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일률적으로 종방향으로 착용하도록 되어 있어 앉거나 구부릴 때 매우 불편하고, 핸드폰을 종방향으로 인출하도록 하는 개폐구조를
가지고 있어 신체구조상 매우 불편하고 편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스마트폰의 휴대수단은 출근시에 바지의 혁대 착용에는 휴대기능은 제공되나, 혁대의 착용이 불필요하고 급격한 운동을 요구하는 승마, 등산, 조깅, 싸이클링과 같이 몸의 진동이 심한 운동을 할 때에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특허문헌 1에는 공장이나 건설현장에서 움직이면서 작업할 때나 등산시 혹은 어린이를 업고 나들이할 때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노트북을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거치대 기술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단순히 공장이나 건설현장에서 작업시에 거치목적이어서 과격하고 급격한 운동에 따른 스마트폰의 휴대는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6349호(2014.08.26. 등록) 특허문헌 2 :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9543호(2001.07.11. 등록) 특허문헌 3 :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2178호(2002.10.26.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문제된 단점을 해소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스마트폰 고정벨트는 신속한 착용으로 승마, 등산, 조깅, 싸이클링과 같이 몸의 진동이 심한 운동을 할 때에 스마트폰(핸드폰)을 견고하게 탄성벨트 힘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신뢰성이 보장되는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 고정벨트는 사용자의 어깨에서 허리에 걸치는 벨트 형태의 중앙부에 스마트폰의 고정부가 있어서 가로, 세로형태로 스마트폰을 밀착 고정으로 휴대의 편리성 및 안전성이 보장되고, 착용자의 앞에서도 착용가능하고 등 쪽으로도 착용 가능하여 편리성도 보장되는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 고정벨트는,
중앙 탄성받침판에 스마트폰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포켓을 형성하도록 한쌍의 수직탄성밴드 및 한쌍의 수평탄성밴드로 봉제되어 구성된 스마트폰 고정부, 상기 중앙 탄성받침판의 상측에서 신체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어깨에 걸치도록 확개 연장된 한쌍의 어깨측 걸림벨트 및 하측 좌우측에서 신체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허리에 걸치는 한쌍의 허리측 걸림벨트가 구비된 제1 탄성벨트:
상기 어깨측 걸림벨트의 끝단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어깨측 연장걸림벨트 및 상기 허리측 걸림벨트의 끝단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허리측 연장걸림벨트로 구성된 제2 탄성벨트; 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고정벨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어깨측 걸림벨트와 어깨측 연장걸림벨트, 상기 허리측 걸림벨트와 허리측 연장걸림벨트의 연결은 상호 간의 끝단 측에 대응으로 봉제된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는 한쌍의 수직탄성밴드가 상기 탄성받침판에 양측 및 외측에 간격을 갖고 형성된 각각의 봉제편으로 봉제되어 상호간이 대향 부착되어 중앙부를 벌릴 수 있는 수직포켓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수평탄성밴드는 상기 한쌍의 수직탄성밴드의 덮는 상태로 하측에서 상기 탄성받침판에 양측 및 외측에 간격을 갖고 형성된 각각의 봉제편으로 봉제되어 상호간이 대향 부착되어 중앙부를 벌릴 수 있는 수평포켓입구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최근 건강을 목적으로 운동시에도 간편하고 안전하게 스마트폰을 휴대할 수 있어 편리성이 보장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의 고정상태가 심한 운동에도 분리됨이 없이 안전하게 보관되어 신뢰성이 보장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간소한 구조로서 공업적으로도 양산(量産)에 의한 최대한 저렴한 원가로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탄성벨트와 제2 탄성벨트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사시 사진이다.
도 2는 도 1에 개시된 실시예 1의 정면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탄성벨트와 제2 탄성벨트의 분리상태 사진이다.
도 4는 도 1의 "F"부 발췌 확대 사진이다.
도 5는 도 2의 "G"부 발췌 확대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에 따른 스마트폰을 수직방향으로 수납 고정한 발췌 확대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에 따른 스마트폰을 수평방향으로 수납 고정한 발췌 확대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탄성벨트의 어깨측 걸림벨트와 제2 탄성벨트의 어깨측 연장걸림벨트의 연결단계를 보여주는 상태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탄성벨트의 허리측 걸림벨트와 제2 탄성벨트의 허리측 연장걸림벨트의 연결단계를 보여주는 상태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사용에 따른 착용자가 앞에서 착용한 상태 사진이다.
도 11 본 발명의 사용에 따른 착용자가 등 쪽으로 착용한 상태 사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진으로서,
도 12는 사시 사진이고, 도 13은 정면 사진이며,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사용에 따른 스마트폰의 수평,수직방향 수납상태를 사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진으로서,
도 16는 사시 사진이고, 도 17은 정면 사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사용에 따른 스마트폰의 수직방향 수납상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분할된 2개의 제1, 제2의 탄성벨트을 연결해서 신체에 밀착된 상태로 착용하고 제1의 탄성벨트에 구비된 스마트폰 고정부에 의해 스마트폰의 방향에 구애없이 수납한 상태로 심한 운동에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스마트폰 고정벨트를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격자형의 장식체 고정홈(210)이 성형된 사각판체(100)의 단위체로서, 상호간은 테두리면을 맞댄 상태로 인접된 상태로 시공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폰 고정벨트는 상호간이 연결된 상태로 신체에 착용되는 제1 탄성벨트(100)와 제2 탄성벨트(200)로 구성된다.
제1 탄성벨트(100)는 중앙의 탄성받침판(151)에 스마트폰(H.P)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포켓을 형성하도록 한쌍의 수직탄성밴드(152) 및 한쌍의 수평탄성밴드(153)로 봉제되어 구성된 스마트폰 고정부(15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 탄성받침판(151)의 상측에서 신체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어깨에 걸치도록 확개 연장된 한쌍의 어깨측 걸림벨트(154) 및 하측 좌,우측에서 신체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허리에 걸치는 한쌍의 허리측 걸림벨트(15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한쌍의 어깨측 걸림벨트(154)와 허리측 걸림벨트(155)는 끝단의 일측면에 벨크로테이프(156)가 봉제되어 부착된다.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150)는 도 4 및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쌍의 수직탄성밴드(152)가 상기 탄성받침판(151)에 양측 및 외측에 간격을 갖고 형성된 각각의 봉제편(152a)으로 봉제되어 상호간이 대향 부착되어 중앙부를 벌릴 수 있는 수직포켓입구(152b)가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수평탄성밴드(153)는 상기 한쌍의 수직탄성밴드(152)의 덮는 상태로 하측에서 상기 탄성받침판(151)에 양측 및 외측에 간격을 갖고 형성된 각각의 봉제편(153a)으로 봉제되어 상호간이 대향 부착되어 중앙부를 벌릴 수 있는 수평포켓입구(153b)을 형성한다.
이러한 스마트폰 고정부(150)의 구성에 의해 도 6과 같이, 스마트폰(H.P)을 상기 수직포켓입구(152b)를 벌리고 수납하게 되면 한쌍의 수직탄성밴드(152)에 의해 탄력적으로 수납되고, 도 7과같이 스마트폰(H.P)을 상기 수평포켓입구(153b)를 벌리고 수납하게 되면 한쌍의 수평탄성밴드(153)에 의해 탄력적으로 수납된다.
이러한 수납에 의해 심한운동에도 안전하고 견고하게 스마트폰이 수납할 수 있다.
특히, 한쌍의 수직탄성밴드(152) 및 수평탄성밴드(153)을 상기 탄성받침판(151)에 부착상태를 제공하는 각각의 봉제편(152a)(153a)은 상,하,좌,우에서 탄성지지력을 제공하여 스마트폰(H.P)의 유동이 없이 견고한 지지력으로 수납하게 된다.
한편, 제2 탄성벨트(200)는 상기 제1 탄성벨트(100)의 어깨측 걸림벨트(154)의 끝단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어깨측 연장걸림벨트(210) 및 상기 허리측 걸림벨트(155)의 끝단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허리측 연장걸림벨트(2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한쌍의 어깨측 걸림벨트(154)와 허리측 걸림벨트(155)에 봉제된 상기 벨크로테이프(156)에 결합하도록 한쌍의 어깨측 연장걸림벨트(210)와 허리측 연장걸림벨트(220) 각각에도 벨크로테이프(230)이 봉제되어 부착된다.
상기 제2 탄성벨트(200)는 상기 제1 탄성벨트(100)을 연결지지하여 신체착용상태를 유지하고, 착용이나 벗을 때 편리성을 위해 제공된다.
즉, 상기 제1 탄성벨트(100)와 제2 탄성벨트(20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어깨측 걸림벨트(154)와 어깨측 연장걸림벨트(210) 각각이 벨크로 테이프(156)(230)에 부착되고, 상기 허리측 걸림벨트(155)와 허리측 연장걸림벨트(220)도 각각 벨크로 테이프(156)(230)에 의해 연결되어서 신체에서 밀착상태로 착용할 수 있다.
물론, 벗을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상호간을 연결하는 벨크로 테이프(156)(230)의 붙음상태를 분리하여 간단하게 벗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스마트폰(H.P)을 스마트폰 고정부(150)에 수납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앞에서도 착용가능하고 등 쪽으로도 착용 가능한 이점도 있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스마트폰 고정부(150)를 달리 구성한 다른 실시예로서, 다른 점은 중앙의 탄성받침판(151)에 스마트폰(H.P)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수납할 수 있는 수직포켓입구(165a), 수평포켓입구(165b)를 형성한 벨크로판(161)이 각각의 봉제편(161a)과 상기 수직포켓입구(165a)의 상부 양측을 봉제하여 스마트폰(H.P)이 수납되는 포켓을 형성하고, 수납된 스마트폰(H.P)의 빠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탄성받침판(151)에 일측이 봉제되어 타측단이 상기 벨크로판(161)의 표면에 탈부착으로 각각의 상기 수직포켓입구(165a), 수평포켓입구(165b)를 개폐하도록 각각 벨크로 테이프(162)(163)을 구성한 스마트폰 고정부(150A)를 구성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14 및 도 15에 보여준 바와 같이, 상기 벨크로 테이프(162 또는 163)를 벨크로판(161)에서 떼어내고 포켓입구(165a 또는165b)을 통해 스마튼폰(H.P)을 수납하고 다시 상기 벨크로 테이프(162 또는 163)을 다시 벨크로판(161)에 부착하여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도 16 내지 도 18은 또 다른 스마트폰 고정부(150B)를 구성한 것으로서, 수직탄성밴드(171)와 수평탄성밴드(172)에 의해 포켓을 형성한 실시예로 상기 수직탄성밴드(171)는 상기 탄성받침판(151)에 상,하부 단부 양측에 간격을 갖고 형성된 각각의 봉제편(171a)으로 봉제되어 상부에 수직포켓입구(171b)가 형성되고, 수평탄성밴드(172)가 상기 수직탄성밴드(171)의 덮는 상태로 하측에서 상기 탄성받침판(151)에 상하부 양측 및 좌측에 간격을 갖고 형성된 각각의 봉제편(172a)으로 봉제되어 우측에 수평포켓입구(172b)을 형성하고. 수납되는 스마트폰(H.P)의 빠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탄성받침판(151)에 일측이 봉제되어 타측단이 상기 각각의 수직탄성밴드(171)의 상부, 수평탄성밴드(171)의 우측에 탈부착되는 벨크로테이프(173)(174)에 의해 각각의 상기 수직포켓입구(171b), 수평포켓입구(172b)를 개폐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 역시 도 17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상기 벨크로 테이프(173)를 수직탄성밴드(171)에서 떼어내고 포켓입구(171b)을 통해 스마튼폰(H.P)을 수납하고 다시 수직탄성밴드(171)에 대응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에 벨크로 테이프(173)를 부착하여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스마트폰(H.P)의 수평수납시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벨크로 테이프(174)를 수평탄성밴드(172)에서 떼어내고 포켓입구(172b)를 개방한 후에 스마트폰(H.P)을 수납하고 다시 수평탄성밴드(172)에 대응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에 벨크로 테이프(174)를 부착하여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다.
100: 제1 탄성벨트 150, 150A, 150B: 스마트폰 고정부
151: 탄성받침판 152, 171: 수직탄성밴드
152a, 153a, 161a, 171a, 172a: 봉제편
152b, 165a, 171b: 수직포켓입구
153b, 165b, 172b: 수평포켓입구
153, 172: 수평탄성밴드 154: 어깨측 걸림벨트
155: 허리측 걸림벨트
156, 162, 163, 173, 174 230: 벨크로 테이프
161: 벨크로판
200: 제2 탄성벨트 210: 어깨측 연장걸림벨트
220: 허리측 연장걸림벨트 H.P: 스마트폰

Claims (5)

  1. 중앙 탄성받침판에 스마트폰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포켓을 형성하도록 한쌍의 수직탄성밴드 및 한쌍의 수평탄성밴드로 봉제되어 구성된 스마트폰 고정부, 상기 중앙 탄성받침판의 상측에서 신체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어깨에 걸치도록 확대 연장된 한쌍의 어깨측 걸림벨트 및 하측 좌우측에서 신체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허리에 걸치는 한쌍의 허리측 걸림벨트가 구비된 제1 탄성벨트와, 상기 어깨측 걸림벨트의 끝단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어깨측 연장걸림벨트 및 상기 허리측 걸림벨트의 끝단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허리측 연장걸림벨트로 구성된 제2 탄성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어깨측 걸림벨트와 어깨측 연장걸림벨트, 상기 허리측 걸림벨트와 허리측 연장걸림벨트의 연결은 상호 간의 끝단 측에 대응으로 봉제된 벨크로 테이프로 구성된 스마트폰 고정벨트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는 한쌍의 수직탄성밴드가 상기 탄성받침판에 양측 및 외측에 간격을 갖고 형성된 각각의 봉제편으로 봉제되어 상호간이 대향 부착되어 중앙부를 벌릴 수 있는 수직포켓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수평탄성밴드는 상기 한쌍의 수직탄성밴드의 덮는 상태로 하측에서 상기 탄성받침판에 양측 및 외측에 간격을 갖고 형성된 각각의 봉제편으로 봉제되어 상호간이 대향 부착되어 중앙부를 벌릴 수 있는 수평포켓입구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고정벨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는 상기 중앙 탄성받침판에 수직포켓입구, 수평포켓입구를 형성한 벨크로판이 각각의 봉제편과 상기 수직포켓입구의 상부 양측을 봉제하여 스마트폰이 수납되는 포켓을 형성하고, 수납된 스마트폰의 빠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탄성받침판에 일측이 봉제되어 타측단이 상기 벨크로판의 표면에 탈부착으로 각각의 상기 수직포켓입구, 수평포켓입구를 개폐하도록 각각 벨크로 테이프를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고정벨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는 상기 중앙 탄성받침판에 수직탄성밴드가 상,하부 단부 양측에 간격을 갖고 형성된 각각의 봉제편으로 봉제되어 상부에 수직포켓입구가 형성되고, 수평탄성밴드가 상기 수직탄성밴드를 덮는 상태로 하측에서 상기 탄성받침판에 상하부 양측 및 좌측에 간격을 갖고 형성된 각각의 봉제편으로 봉제되어 우측에 수평포켓입구을 형성하고, 수납된 스마트폰의 빠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탄성받침판에 일측이 봉제되어 타측단이 상기 각각의 수직탄성밴드의 상부, 수평탄성밴드의 우측에 탈부착되는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각각의 상기 수직포켓입구, 수평포켓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고정밸트.
KR1020180026832A 2018-03-07 2018-03-07 스마트폰 고정벨트 KR101975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832A KR101975701B1 (ko) 2018-03-07 2018-03-07 스마트폰 고정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832A KR101975701B1 (ko) 2018-03-07 2018-03-07 스마트폰 고정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701B1 true KR101975701B1 (ko) 2019-08-28

Family

ID=67775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832A KR101975701B1 (ko) 2018-03-07 2018-03-07 스마트폰 고정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70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7350A (ja) * 1995-02-27 1996-09-13 Takashi Suzuki 携帯電話の携行補助具
JPH09149111A (ja) * 1995-11-24 1997-06-06 Watt Kk 電話器等の携帯用ケース
KR200239543Y1 (ko) 2001-04-11 2001-10-11 이화영 핸드폰 휴대 케이스
KR200292178Y1 (ko) 2002-04-04 2002-10-18 유용운 이어폰형 핸즈프리가 내장된 핸드폰 휴대장치
US20040005050A1 (en) * 2002-07-02 2004-01-08 Wayne Lewis Hands free personal phone holder
KR20080033427A (ko) * 2005-07-20 2008-04-16 씨티이 피티와이 리미티드 아이템들의 저장 및/또는 운반용 의류
KR101436349B1 (ko) 2014-01-08 2014-09-05 주식회사 써밋트시스템 인체 근육에 밀착되어 착용하는 다용도 거치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7350A (ja) * 1995-02-27 1996-09-13 Takashi Suzuki 携帯電話の携行補助具
JPH09149111A (ja) * 1995-11-24 1997-06-06 Watt Kk 電話器等の携帯用ケース
KR200239543Y1 (ko) 2001-04-11 2001-10-11 이화영 핸드폰 휴대 케이스
KR200292178Y1 (ko) 2002-04-04 2002-10-18 유용운 이어폰형 핸즈프리가 내장된 핸드폰 휴대장치
US20040005050A1 (en) * 2002-07-02 2004-01-08 Wayne Lewis Hands free personal phone holder
KR20080033427A (ko) * 2005-07-20 2008-04-16 씨티이 피티와이 리미티드 아이템들의 저장 및/또는 운반용 의류
KR101436349B1 (ko) 2014-01-08 2014-09-05 주식회사 써밋트시스템 인체 근육에 밀착되어 착용하는 다용도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0345B2 (en) Secure cell phone holder
US7424110B1 (en) Wrist clip
US20040029623A1 (en) Cellular telephone and PDA carrying system
US6375056B1 (en) Over the shoulder holster belt
US20120217275A1 (en) Wrist-based systems and methods to carry mobile device(s)
US20090013719A1 (en) Cell phone necklaces
US20190104831A1 (en) Holster for an electronic device
US11044986B2 (en) Tethered chest pouch assembly
KR101975701B1 (ko) 스마트폰 고정벨트
KR200483465Y1 (ko) 다기능 벨트
US10211875B1 (en) Mobile phone and mobile device carrying case
EP2399480A1 (en) Configurable purse to be worn around a leg, sustained at a waist belt or hanging from a shoulder strap
KR200468009Y1 (ko) 휴대폰용 손목지갑
CN203789194U (zh) 新型消防通讯背心
KR102342744B1 (ko) 사용이 편리한 휴대폰 보관케이스
JP7358273B2 (ja) リュックサック及びリュックサックの装着方法
CN215776161U (zh) 一种多功能通讯背包
KR200256221Y1 (ko) 멜빵과 탈착이 용이한 주머니 세트
KR102155953B1 (ko)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 및 이를 구비한 의복
JPH06311911A (ja) 品物の保持装置
TWM543600U (zh) 可多種組合變化之背包
KR960001676Y1 (ko) 휴대용 핸드폰 케이스
CN210382737U (zh) 一种摄像马甲
CN210076881U (zh) 一种应急救援智能人员装备携行平台
KR20090066983A (ko) 휴대용 핸드폰 케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