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484B1 -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484B1
KR101975484B1 KR1020180115492A KR20180115492A KR101975484B1 KR 101975484 B1 KR101975484 B1 KR 101975484B1 KR 1020180115492 A KR1020180115492 A KR 1020180115492A KR 20180115492 A KR20180115492 A KR 20180115492A KR 101975484 B1 KR101975484 B1 KR 101975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tructure
coating
adhesive
concrete
resin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수
황상석
윤일선
Original Assignee
가람환경기술(주)
이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람환경기술(주), 이영수 filed Critical 가람환경기술(주)
Priority to KR1020180115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도포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코팅하는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로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형성된 공극을 되메우는 되메움재와; 상기 공극이 되메움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도포되는 접착재와; 상기 접착재의 내부에 일부가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접착재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접착재에 분산되게 배치되는 수지 앵커재와; 상기 수지 앵커재가 분산되게 배치된 상기 접착재의 상면에 용융 분사 도포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이 코팅되도록 하는 코팅재를; 포함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폴리머로 코팅시에 코팅된 상기 폴리머가 콘크리트의 표면에 코팅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 및 그 시공방법{COATING STRUCTURE OF CONCRETE SURFA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코팅재로 코팅시에 코팅된 상기 코팅재가 콘크리트의 표면에 코팅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영구적 구조물로 알려진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가 복합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그 보호 대책으로 도장하는 방법이 널리 채택되고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는 염해, 알카리 골재반응, 중성화 및 기타 동해 등에 의해 복합적으로 발생하여 콘크리트의 균열, 탈락 등의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열화로부터 콘크리트를 보호하기 위하여 다양한 도장시스템이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열화가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밝혀지면서 복합 열화에 대한 도료, 도장시스템이 필수불가결하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 요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염해(Chloride attack)는 염분에 의해 콘크리트 속의 강재가 부식되어 그것에 의해 콘크리트에 균열, 탈락이 생기는 현상이다. 대책으로는 철근의 부식원인이 되는 환경으로부터의 열화인자인 산소, 물, 염분의 차단 및 균열 추종성이 있는 도료가 적용되어야 한다.
알카리 골재반응(Alkali-aggregate reaction)은 시멘트에 포함된 알카리 성분과 골재의 실리카와 물이 반응하여 물유리(Na2H2SiO4)가 되고 이 물유리가 팽창을 일으켜 콘크리트의 균열, 붕괴가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물의 침입을 차단하는 기능 및 콘크리트 내부에 존재하는 물을 적당하게 발산시키는 기능을 부여하고, 콘크리트 균열에 대한 추종성이 있는 도료를 적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 도료들은 콘크리트와의 초기 접착성은 양호하나 열팽창계수나 건조, 수축 등의 변형특성이 콘크리트와 큰 차이를 나타내어 장기적으로 콘크리트의 계면에서 탈락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접착강도가 저하되고 장기적인 내구성 확보가 곤란한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코팅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코팅구조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형성된 공극(2)을 되메우는 되메움재(10)와, 상기 공극(2)이 되메움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도포되는 접착재(20)와, 상기 접착재(20)와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 사이에 도포되는 방수재(30)와, 상기 접착재(200)의 상면에 도포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이 코팅되도록 하는 코팅재(40)로 구성되어 있다.
되메움재(10)는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형성된 공극(2)에 충진되어 공극(2)을 되메움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이 매끄럽도록 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방수재(30)가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접착재(20)는 되메움이 완료된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도포되어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코팅재(40)가 접착재(20)에 의하여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코팅재(40)에 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방수재(30)는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과 접착재(200) 사이에 도포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이 매끄럽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접착재(20)가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코팅재(40)는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이 코팅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코팅구조는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접착재(20)에 의하여 코팅이 이루어지는 코팅재(40)와 접착재(20) 사이의 결합력이 시간이 경과하면서 저하되어 코팅재(40)가 탈락되어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을 보호하지 못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게 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 및 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폴리머로 코팅시에 코팅된 상기 폴리머가 콘크리트의 표면에 코팅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코팅된 코팅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도포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코팅하는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로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형성된 공극을 되메우는 되메움재와; 상기 공극이 되메움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도포되는 접착재와; 상기 접착재의 내부에 일부가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접착재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접착재에 분산되게 배치되는 수지 앵커재와; 상기 수지 앵커재가 분산되게 배치된 상기 접착재의 상면에 용융 분사 도포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이 코팅되도록 하는 코팅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수지 앵커재와 상기 코팅재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지 앵커재는 상기 접착재에 불규칙적으로 분산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앵커재의 직경은 50 ㎛ 내지 250 ㎛ 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돌출된 상기 수지 앵커재는 가열되어 용융된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일정 면적으로 퍼진 후에 상기 코팅재와 함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코팅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착재는 우레탄, 에폭시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과 상기 접착재 사이에는 방수재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형성된 공극을 되메움재로 되메우는 제1단계와; 상기 공극이 되메움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접착재를 도포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접착재의 내부에 일부가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접착재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수지 앵커재를 상기 접착재에 분산되게 배치하는 제3단계와; 상기 수지 앵커재가 분산되게 배치된 상기 접착재의 상면에 코팅재를 용융 분사 도포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이 코팅되도록 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이 평탄하지 않은 경우에는 핸드글라인더, 망치, 사포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평탄화시키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과 상기 접착재 사이에는 방수재를 도포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단계와 상기 제4단계 사이에는 돌출된 상기 수지 앵커재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단계를 더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폴리머로 코팅시에 코팅된 상기 폴리머가 콘크리트의 표면에 코팅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코팅된 코팅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코팅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의 'Ⅲ-Ⅲ'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를 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기재한 시공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의 'Ⅲ-Ⅲ'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를 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기재한 시공흐름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는,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도포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을 코팅하는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로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형성된 공극(2)을 되메우는 되메움재(100)와; 상기 공극(2)이 되메움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도포되는 접착재(200)와; 상기 접착재(200)의 내부에 일부가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접착재(200)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접착재(200)에 분산되게 배치되는 수지 앵커재(300)와; 상기 수지 앵커재(300)가 분산되게 배치된 상기 접착재(200)의 상면에 용융 분사 도포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이 코팅되도록 하는 코팅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되메움재(100)는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형성된 공극(2)에 충진되어 공극(2)을 되메움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이 매끄럽도록 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후술할 방수재(500)가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되메움재(100)는 자갈, 모래, 진흙 등을 혼합한 재질로 형성하며, 이러한 혼합 재질에 접착 재료를 추가로 혼합함으로써 공극(2)의 내부에 충진되어 공극(2)을 되메우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되메움재(10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형성된 공극(2)을 되메움하기 전에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이 고르지 못하고 울퉁불퉁한 경우에는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을 핸드 글라인더, 망치, 사포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을 평탄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재(200)는 되메움이 완료된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도포되어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코팅재(400)가 접착재(200)에 의하여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코팅재(400)에 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접착재(200)는 우레탄, 에폭시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어 일부가 접착재(200)의 내부로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는 수지 앵커재(300)와 그 상면에 도포되는 코팅재(4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수지 앵커재(300)는 접착재(200)의 표면에 코팅재(400)가 도포되어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이 코팅재(400)에 의하여 코팅 처리시에 코팅재(400)가 접착재(200)로부터 쉽게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수지 앵커재(300)는 일부가 접착재(200)의 내부로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가 접착재(200)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일부는 접착재(200)와 맞물리고 나머지 일부는 코팅재(400)와 맞물리도록 하여 코팅재(400)가 접착재(200)에 견고하게 코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수지 앵커재(300)는 시공의 용이성을 위하여 접착재(200)에 불규칙적으로 분산된 형태로 배치되지만, 접착재(200)의 전체 면적에 걸쳐서 균일하게 배치되는 것이 코팅재(400)와 접착재(200)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는데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수지 앵커재(300)와 코팅재(400)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코팅재(400)와 수지 앵커재(300)가 동종 재질에 의하여 상호 견고하게 융착되어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코팅재(400)가 견고하게 코팅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지 앵커재(300)의 직경은 50 ㎛ 내지 250 ㎛ 가 되도록 형성되어 일부는 접착재(200)에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는 접착재(200)의 외부로 돌출되며, 돌출된 상기 수지 앵커재는 가열되어 용융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일정 면적으로 퍼진 후에 코팅재(400)와 함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코팅 처리되도록 한다.
수지 앵커재(300)의 돌출된 영역을 가열하여 용융시킴으로써 수지 앵커재(300)가 코팅재(40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수지 앵커재(300)의 돌출된 영역이 용융되어 접착재(200)의 표면에 일정 면적으로 넓게 퍼지면서 접착재(200)의 상면에 코팅되는 코팅재(400)와의 접촉 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접착재(200)와 코팅재(400) 사이의 결합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수지 앵커재(300)는 일부가 코팅재(400)의 내부에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가 코팅재(4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일정한 부피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며, 다만 코팅재(400)의 내부에 매립된 일부와 코팅재(400)의 외부로 돌출된 나머지 일부의 체적이나 외면의 면적이 동일한 것이 접착재(200)와 코팅재(40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효과적이다.
그리고, 수지 앵커재(300)는 접착재(200)가 건조되기 전에 접착재(200)의 상면에 분사되는 형태로 배치된 후에 접착재(200)가 굳으면서 접착재(200)에 결합되고, 접착재(200)에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열을 가해서 용융시키게 된다.
코팅재(400)는 수지 앵커재(300)가 용융되어 접착재(200)의 상면에 일정 면적으로 퍼진 상태에서 접착재(200)와 수지 앵커재(300)의 상면에 용융 분사 도포되고, 용융된 수지 앵커재(300)와 코팅재(400)가 함께 건조되면서 코팅 처리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러한 코팅재(400)는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이 코팅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접착력, 내구성, 수밀성, 내마모성, 충격성, 내화학성 등이 우수한 폴리머 수지 분발을 주 성분으로하며 고온의 열원으로 용융하는 용사코팅 방식으로 코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코팅재(400)는 무독성이며 도막 형성시 뛰어난 내화학성 및 내구성을 가지며 시공 시간이 짧고 냄새가 없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색상 및 두께 조절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형성된 공극(2)을 되메움재(100)로 되메우는 작업을 진행하기 전에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과 접착재(200) 사이에는 방수재(500)가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방수재(500)가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과 접착재(200) 사이에 도포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이 매끄럽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접착재(200)가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를 콘크리트 표면에 시공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이 울퉁불퉁하고 평탄하지 않은 경우에 핸드글라인더, 망치, 사포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을 평탄화시키는 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콘크리트 구조물(1) 표면의 평탄화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형성된 공극(2)을 되메움재(100)로 되메우는 제1단계(S1)를 진행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 표면에 공극(2)이 없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구조물(1)의 공극(2)이 되메움 된 후에는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방수재(500)를 도포하는 단계를 진행하게 되는데, 방수재(500)를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1)의 내부로 수분이나 이물질 및 방수재(500)의 상면에 도포되는 접착재(200)가 콘크리트 구조물(1)의 내부로 침투함을 방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코팅재(400)가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코팅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 후, 방수재(500)의 상면에는 접착재(200)를 도포하는 제2단계(S2)를 진행하고,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재(200)가 건조되기 전에 접착재(200)의 내부에 일부가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가 접착재(2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수지 앵커재(300)를 접착재(200)에 분산되게 배치하는 제3단계(S3)를 진행하게 된다.
수지 앵커재(300)가 접착재(200)에 분사되어 분산되게 배치시에는 콘크리트 구조물(1)의 전체 면적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코팅재(400)와 접착재(200) 사이의 결합력이 배가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지 앵커재(300)는 접착재(200)가 굳으면서 접착재(200)에 결합되고, 접착재(200)에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열을 가해서 용융시키게 된다.
그리고, 코팅재(400)는 접착재(200)가 용융되어 접착재(200)의 상면에 일정 면적으로 퍼진 상태에서 접착재(200)와 수지 앵커재(300)의 상면에 용융 분사 도포되고, 용융된 수지 앵커재(300)와 코팅재(400)가 함께 건조되면서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이 코팅되도록 하는 제4단계(S4)를 진행하게 된다.
수지 앵커재(300)의 일부가 접착재(200)의 상면에 일정 면적으로 퍼진 상태에서 코팅재(400)를 접착재(200)의 상면에 용융 분사 도포하게 되면 접착재(200)의 상부에 일정 면적으로 퍼진 수지 앵커재(300)가 코팅재(400)의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코팅재(400)가 건조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코팅재(400) 사이의 결합력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폴리머로 코팅시에 코팅된 상기 폴리머가 콘크리트의 표면에 코팅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코팅된 코팅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콘크리트 구조물 2 : 공극
100 : 되메움재 200 : 접착재
300 : 수지 앵커재 400 : 코팅재
500 : 방수재

Claims (11)

  1.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도포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을 코팅하는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로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형성된 공극(2)을 되메우는 되메움재(100)와;
    상기 공극(2)이 되메움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도포되는 접착재(200)와;
    상기 접착재(200)의 내부에 일부가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접착재(200)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접착재(200)에 분산되게 배치되는 수지 앵커재(300)와;
    상기 수지 앵커재(300)가 분산되게 배치된 상기 접착재(200)의 상면에 용융분사 도포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이 코팅되도록 하는 코팅재(400)를; 포함하고,
    돌출된 상기 수지 앵커재는 가열되어 용융된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일정 면적으로 퍼진 후에 상기 코팅재(400)와 함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코팅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앵커재(300)와 상기 코팅재(400)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앵커재(300)는 상기 접착재(200)에 불규칙적으로 분산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앵커재(300)의 직경은 50 ㎛ 내지 250 ㎛ 가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재(200)는 우레탄, 에폭시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과 상기 접착재(200) 사이에는 방수재(500)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
  8.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형성된 공극(2)을 되메움재(100)로 되메우는 제1단계와;
    상기 공극(2)이 되메움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접착재(200)를 도포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접착재(200)의 내부에 일부가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접착재(2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수지 앵커재(300)를 상기 접착재(200)에 분산되게 배치하는 제3단계와;
    상기 수지 앵커재(300)가 분산되게 배치된 상기 접착재(200)의 상면에 코팅재(400)를 용융 분사 도포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이 코팅되도록 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단계와 상기 제4단계 사이에는 돌출된 상기 수지 앵커재(300)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단계를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 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이 평탄하지 않은 경우에는 핸드 글라인더, 망치, 사포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을 평탄화시키는 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 시공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과 상기 접착재(200) 사이에는 방수재(500)를 도포하는 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 시공방법.
  11. 삭제
KR1020180115492A 2018-09-28 2018-09-28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75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492A KR101975484B1 (ko) 2018-09-28 2018-09-28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492A KR101975484B1 (ko) 2018-09-28 2018-09-28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484B1 true KR101975484B1 (ko) 2019-05-07

Family

ID=66656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492A KR101975484B1 (ko) 2018-09-28 2018-09-28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039B1 (ko) * 2020-12-28 2021-08-30 한신호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 보수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868A (ko) * 1999-05-01 2000-12-05 김경옥 수용성 1액형 도막 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복합 도막방수시공방법
KR100706678B1 (ko) * 2006-03-14 2007-04-13 한토산업 (주) 고분자 세라믹스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단면보수ㆍ보강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868A (ko) * 1999-05-01 2000-12-05 김경옥 수용성 1액형 도막 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복합 도막방수시공방법
KR100706678B1 (ko) * 2006-03-14 2007-04-13 한토산업 (주) 고분자 세라믹스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단면보수ㆍ보강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039B1 (ko) * 2020-12-28 2021-08-30 한신호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 보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02469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 및 시트 이중방수재 및그의 시공방법
KR101975484B1 (ko) 콘크리트 표면 코팅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288632B1 (ko) 단열, 차열, 방수 및 결로방지 성능을 발현하는 단열방수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1741798B1 (ko) 콘크리트 교면의 방수층 구조
KR102551933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점착 접착형 복합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JP2003253608A (ja) 舗装方法及び舗装構造
KR101733535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적층 자착형 부직포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공법
PL210549B1 (pl) Sposób powlekania elementów budowlanych wykonanych na bazie cementu i powlekany element kształtowy na bazie cementu
KR10190283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 적층 자착형 점착씰 보강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시공공법
KR101931321B1 (ko) 초속경 교량 상판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교량 상판 보수방법
JP2020044498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表面被覆方法
JP4319995B2 (ja) 高付着防食被膜付き鉄筋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37443B1 (ko) 도막과 시트의 복합 방수재와 그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방법
KR100831087B1 (ko) Mma 공중합수지를 혼합한 단면보수재와 이를 이용하는열화콘크리트 교량상판 단면보수방법
CN211525713U (zh) 一种外墙穿墙预埋防水套管结构
KR20120077760A (ko) 건축물의 방수 시공 방법
CN207863199U (zh) 一种防水保温一体化板
JP2004036227A (ja) 舗装方法およびアスファルト舗装構造体
JP6095842B1 (ja) 橋梁の床版遊間止水・床版防水構造
JP7462262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塗布材およびその塗布方法
KR102288637B1 (ko) 단열, 차열, 방수 및 결로방지가 우수한 단열방수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0658662B1 (ko) 도로 및 교면 방수 공법
KR200226637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보호층 구조
KR101937868B1 (ko) 방수시트
JP2000328503A (ja) 舗装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