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617B1 -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617B1
KR101974617B1 KR1020170109661A KR20170109661A KR101974617B1 KR 101974617 B1 KR101974617 B1 KR 101974617B1 KR 1020170109661 A KR1020170109661 A KR 1020170109661A KR 20170109661 A KR20170109661 A KR 20170109661A KR 101974617 B1 KR101974617 B1 KR 101974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magnet
grooves
leg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3631A (ko
Inventor
함상일
Original Assignee
함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상일 filed Critical 함상일
Priority to KR1020170109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617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2Stowable tables with detachable top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4Tabl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garden or otherwise in the open air, e.g. with means for holding umbrellas or umbrella-like sunshad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에 관한 것으로, 각 단위 화로대의 상판 저면에 돌출된 테두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테두리부에 복수개의 자석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자석 체결홈에 자석이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돌출 체결수단 없이 상기 자석에 의하여 이웃 화로대와 수평으로 또는 저면으로 마주보며 수직하게 체결할 수 있어, 사용시 측면 확장성뿐만 아니라 분리이동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PORTABLE ASSEMBLY CHARCOAL BURNER TABLE}
본 발명은 화로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성을 높이고, 사용시 조립식으로 필요 공간에 맞게 확장할 수 있는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에 관한 것이다.
화로대는 화로 주변에 설치되어 음식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테이블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다리로 구성된다.
최근에 들어 캠핑, 등산등 야외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휴대하기 편리하며 쉽게 조립할 수 있는 화로대가 다수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 한국 등록특허 제10-1487184호(휴대용 조립식 멀티테이블)와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2611호(휴대용 화로 테이블)가 알려져 있다. 전자는 다수의 메인테이블판과 지지대로 구성되어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휴대하기 편리한 장점이 있고, 후자는 상판 저면에 다리고정대를 구비하여 분리된 다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자의 선행기술에서는 각 메인테이블판의 측면 테두리부에 돌출된 결합돌기와 결합공이 마주보는 면에서 서로 엇갈리게(교차되게) 또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방향성있게 체결되어야만 하는 문제(통공의 화살표방향)와 돌출된 결합돌기로 휴대성에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고, 후자의 선행기술에서는 분리된 다리를 고정하기 위해 별도로 다리고정대를 구비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상판 저면에 돌출된 테두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테두리부에 복수개의 자석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자석 체결홈에 자석이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돌출 체결수단 없이 상기 자석에 의하여 이웃 화로대와 수평으로 또는 저면으로 수직하게 체결할 수 있어, 사용시 측면 확장성뿐만 아니라 분리이동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는 2 이상 짝수개로 구비되되 각각은, 꼬치를 꽂을 수 있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직사각형 금속 상판; 상기 금속 상판의 저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자석 체결홈; 상기 복수개의 자석 체결홈 중 2개 이상에 삽입 체결된 복수개의 자석; 상기 금속 상판의 저면 4개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4개의 다리고정소켓; 및 상기 4개의 다리고정소켓에 각각 체결된 4개의 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금속 상판의 저면에서 상기 다리의 굵기에 1/2이상 높이로 돌출되고, 2개의 좌우 테두리부와 상기 좌우 테두리부보다 긴 2개의 상하 테두리부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상기 복수개의 자석 체결홈는 상기 2개의 좌우 테두리부에 각각 2개씩 좌우 서로 같은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상하 테두리부에 각각 2개 이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좌우 테두리부에 형성된 자석 체결홈과 같은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두리부의 폭은 상기 자석의 반경보다 크되 직경보다 작고, 상기 복수개의 자석 체결홈는 각각 상기 테두리부의 높이와 같은 깊이를 갖는 원형홈으로 상기 테두리부의 양측면으로 일부 잘리고, 상기 복수개의 자석은 상기 자석 체결홈의 깊이와 같은 두께를 갖고 상하 극성을 달리하는 원주형 자석으로, 상기 복수개의 자석 체결홈 중 상기 2개의 좌우 테두리부에 형성된 자석 체결홈에 삽입되되, 일측면으로 이웃한 자석 체결홈에는 극성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삽입 체결되고, 좌우 양측면으로 마주보는 테두리부의 자석 체결홈에는 극성이 서로 반대칭을 이루도록 삽입 체결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 상판은 상자성체이고, 상기 4개의 다리고정소켓은 각각 상기 금속 상판의 저면에서 상기 테두리부와 같은 높이로 돌출된 삽입홈부와 상기 삽입홈부의 내측으로 상기 다리의 상부를 고정하는 다리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리고정수단은 상기 삽입홈부의 측벽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테이퍼형관통공; 상기 관통공에 체결된 고정용 볼; 상기 고정용 볼을 밀착시키는 스프링; 및 상기 관통공에 끼워져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마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4개의 다리는 각 상부에 상기 고정용 볼을 수용하는 볼수용홈이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삽입홈부에 2개 마주보며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는 상기 다리가 2개의 관통공을 잇는 선을 축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삽입되도록 경사진 것을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삽입홈부에 2개 마주보며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는 상기 관통공의 이웃한 측벽에 마주보며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의 내측으로 드러난 상기 금속 상판의 저면에는 상기 다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회전축 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4개의 다리는 각각 상부에 상기 볼수용홈이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부위에 2개 형성되고, 상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내측 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홈의 양측에 상기 볼수용홈의 이웃한 부위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단 다리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에는 제2회전축 부재가 상기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지며 이동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제1회전축 부재와 상기 제2회전축 부재의 사이에는 소정의 작동로드가 양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삽입홈부의 절개부의 일측과 상기 상단 다리 절개부를 지나며 상기 제2회전축 부재를 상기 절개홈을 따라 상, 하 이동시키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 단위 화로대의 상판 저면에 돌출된 테두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테두리부에 복수개의 자석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자석 체결홈에 자석이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돌출 체결수단 없이 상기 자석에 의하여 이웃 화로대와 수평으로 또는 저면으로 마주보며 수직하게 체결할 수 있어, 사용시 측면 확장성뿐만 아니라 분리이동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를 펼쳐놓은 일 사용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를 접은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2개의 단위 화로대가 저면으로 마주보며 수직하게 체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상부에 체결된 화로대 상판을 수직하게 이탈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단위 화로대의 체결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를 뒤집어서 표현한 것으로 체결모습을 보인 부분확대도 및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부분확대도의 AA'선 단면도로 다리의 체결원리를 보여준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에 대응되는 단면도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다리의 체결원리를 보여준다.
도 11은 도 10의 실시 예로 체결된 다리를 접은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100)는,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2 이상 짝수개(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로 구비되되 각각은, 소정의 막대기(1)로 꼬치(2)를 꽂을 수 있는 복수개의 통공(12)이 형성된 직사각형 금속 상판(10); 상기 금속 상판의 저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 테두리부(20); 상기 테두리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자석 체결홈(22); 상기 복수개의 자석 체결홈 중 2개 이상에 삽입 체결된 복수개의 자석(50a, 50b); 상기 금속 상판의 저면 4개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4개의 다리고정소켓(30); 및 상기 4개의 다리고정소켓에 각각 체결된 4개의 다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100)를 이루는 단위 화로대(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는 도 1과 같이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이루고, 동일한 방식으로 다리를 체결한다. 개별 단위 화로대로도 사용될 수 있으나,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2개(110, 120)로 1개조를 구성하여 8개의 다리(40)를 하측 화로대(120)의 저면에 놓고 상측 화로대(110)를 서로 저면이 마주보며 복수개의 자석(50a, 50b)에 의하여 수직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각 단위 화로대의 테두리부(20)는 형상이 다양할 수 있으나, 도 4 및 도 6의 확대도와 같이, 8개의 다리(40)를 충분히 보관할 수 있도록 금속 상판(10)의 저면(100')에서 다리(40)의 굵기에 1/2 이상 높이(h)로 돌출되고, 2개의 좌우 테두리부(20a, 20c)와 상기 좌우 테두리부보다 긴 2개의 상하 테두리부(20b, 20d)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자석 체결홈(22)도 상기 테두리부(20)에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도 4와 같이, 2개의 좌우 테두리부(20a, 20c)에는 각각 2개(50a, 50b)씩 좌우 서로 같은 간격으로 형성되고, 2개의 상하 테두리부(20b, 20d)에는 각각 2개 이상으로 형성하되 각 좌우 테두리부(20a)(20c)에 형성된 자석 체결홈(22)과 같은 간격으로 형성된 것이 포함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1과 같이, 상기 자석 체결홈(22)에 적절히 자석(50a, 50b)을 삽입하여, 별도의 돌출 체결수단 없이도 상기 자석에 의하여 이웃 화로대와 수평으로 방향을 달리하며 다양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20)의 폭(w)은, 도 6의 확대도와 같이, 자석의 반경보다 크되 직경보다 작고, 상기 복수개의 자석 체결홈(22)은 각각 상기 테두리부의 높이(h)와 같은 깊이를 갖는 원형홈으로, 테두리부(20: 20a, 20b. 20c. 20d)의 양측면으로 일부 잘려 내외 측면 개방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외 측면 개방구는 내 측면 개방구보다 작고 삽입된 자석의 측면 접선이 테두리부(20)의 외 측면 상에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자석에 의한 체결(결합)력을 높이고, 자석 체결홈(22)에 자석의 삽입과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자석(50a, 50b)은 상기 자석 체결홈(22)의 깊이보다 작거나 같은 두께를 갖고 상하 극성을 달리하는 원주형 자석으로, 도 6과 같이, 복수개의 자석 체결홈(22) 중 2개의 좌우 테두리부(20a, 20c)에 형성된 자석 체결홈에 삽입되되, 일측면(20a 또는 20c)으로 이웃한 자석 체결홈에는 노출된 극성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삽입 체결되고, 좌우 양측면으로 마주보는 테두리부(20a와 20c)의 자석 체결홈에는 노출된 극성이 서로 반대칭을 이루도록 삽입 체결(즉, 대각선 방향으로 동일한 극성이 노출되도록 삽입 체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1의 확대도와 같이,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석(50a, 50b)이 만나며 수평으로 강하게 체결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도 4와 같이, 수직으로 체결시에도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석(50a, 50b)이 만나며 체결하게 되어 체결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금속 상판(10)은 철판과 같은 강자성체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삽입된 자석 간에 서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상자성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골드(gold) 등으로 아노다이징(anodizing)한 알루미늄으로 함이 원하는 색의 피막형성, 경량성 및 가공성 등에 있어 좋다. 후자의 경우, 상자성체 금속 상판(10)의 테두리부(20)에 형성된 자석 체결홈(22)에는 자석(50a, 50b)을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 체결하게 된다.
상기 4개의 다리고정소켓(30)은, 도 6의 확대도 및 도 7과 같이, 각각 금속 상판의 저면(100')에서 테두리부(20)와 같은 높이(h)로 돌출된 삽입홈부(31)와 상기 삽입홈부의 내측으로 다리(40)의 상부(43)를 고정하는 다리고정수단(32)을 구비한다.
도 6의 확대도 및 도 7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다리고정수단(32)으로 삽입홈부(31) 내측에 나사산 요홈을 형성하고, 나사산이 둘레로 형성한 다리(40)의 상부(43)를 돌려서 체결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도 8 내지 도 10의 각 실시 예에서는 도 7에 대응되는 단면도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다리의 체결원리를 보여준다.
먼저, 도 8에서는,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다리고정소켓(30a)으로, 다리고정수단(32a)은 삽입홈부(31)의 측벽에 서로 마주보며 형성된 2개의 테이퍼형(tapered) 관통공(31a); 상기 관통공에 체결된 고정용 볼(35); 상기 고정용 볼을 밀착시키는 스프링(34); 및 상기 관통공에 끼워져 상기 스프링(34)을 지지하는 마개부재(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때, 상기 다리고정소켓(30a)에 체결되는 다리(40a)는 상부에 상기 고정용 볼(35)을 수용하는 볼수용홈(44)이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31a)과 상기 볼수용홈(44)은 물론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다리(40a)를 다리고정소켓(30a)에 밀어 넣고 돌려주면, 볼수용홈(44)에 고정용 볼(35)이 삽입되면서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9의 실시 예는 도 8의 실시 예와 달리 다리고정소켓(30b)으로 삽입홈부(31b)가 2개의 관통공(31a)을 있는 선을 축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다리(40a)가 상기 삽입홈부(31b)에 경사지게 삽입한 후, 회전으로 볼수용홈(44)에 고정용 볼(35)이 삽입, 체결하게 됨으로써, 다리(40a)를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9(b)는 도 9(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0의 실시 예는 도 8의 실시 예에서 다리를 두 번 꺾어(회전시켜) 접고 펴는 수단들을 더 구비한 것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다리고정소켓(30c)으로 다리고정수단(32a)은 삽입홈부(31)에 2개 마주보며 형성된 테이퍼형 관통공(31a)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부(31)는 상기 관통공(31)의 이웃한 측벽에 마주보며 절개부(35)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31)의 내측으로 드러난 금속 상판의 저면(100')에는 다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회전축 부재(38)가 부싱(37)을 통해 부착되고, 4개의 다리(40c)는 각각 상부에 볼수용홈(44)이 상기 관통공(31)과 대응되는 부위에 2개 형성되고, 상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내측 장홈(45)이 형성되고, 상기 장홈의 양측에 상기 볼수용홈(44)의 이웃한 부위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절개홈(46, 47)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단 다리 절개부(49)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개홈은 단차진 절개홈(46, 47)으로, 제2회전축 부재(48)가 상기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지며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축 부재(38)와 상기 제2회전축 부재(48)의 사이에는 소정의 작동로드(39)가 양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삽입홈부의 절개부(35)의 일측과 상기 상단 다리 절개부(49)를 지나며 상기 제2회전축 부재(48)를 상기 절개홈(46, 47)을 따라 상, 하 이동시키게 된다.
도 10(a)는 다리(40c)를 접은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CC'선 단면도이다. 다리(40c)를 펴기 위해서는, 먼저 제1회전축 부재(38)로 작동로드(39)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세우고, 이어 제2회전축 부재(48)로 다리 몸통(42)을 회전시켜 세우고, 다음 다리 몸통(42)을 눌러 단차진 절개홈(46, 47)에 제2회전축 부재(48)를 미끄러지며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마지막으로 장홈의 양측에 구비된 볼수용홈(44)에 관통공(31a)에 삽입된 고정용 볼(35)이 체결되도록 하면 된다.
도 11은 도 10의 실시 예로 체결된 다리를 접은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에서 하측 화로대(120)를 도 11의 화로대(120a)와 같이 4개의 대리(40c)를 접어서 일측으로 놓을 수 있도록 구성할 경우, 상측 화로대(110)는 타측으로 4개의 다리를 접어놓고, 이들을 저면이 서로 마주보게 수직하게 체결하면, 별도의 다리고정대 없이도 8개의 다리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기타, 미설명된 도면 부호 11은 측면 관통공, 13은 모서리 관통공, 14는 저면에 다리고정소켓이 부착된 상판 영역, 41은 다리 하부이다.
10: 상판 20: 테두리부
22: 자석 체결홈 30: 다리고정소켓
32: 다리고정수단 40: 다리
50a, 50b: 자석 100: 조립식 화로대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단위 화로대

Claims (7)

  1.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갖는 2 이상 짝수개로 구비되되 각각은,
    꼬치를 꽂을 수 있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직사각형 금속 상판;
    상기 금속 상판의 저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자석 체결홈;
    상기 복수개의 자석 체결홈 중 2개 이상에 삽입 체결된 복수개의 자석;
    상기 금속 상판의 저면 4개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4개의 다리고정소켓; 및
    상기 4개의 다리고정소켓에 각각 체결된 4개의 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금속 상판의 저면에서 상기 다리의 굵기에 1/2배 이상 높이로 돌출되고, 2개의 좌우 테두리부와 상기 좌우 테두리부보다 긴 2개의 상하 테두리부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상기 2 이상 짝수개 중 2개는 상, 하측 화로대로 1개조를 구성하여, 상기 1개조의 다리 8개를 상기 상, 하측 화로대의 마주보는 저면 사이에 두고, 상기 상, 하측 화로대의 복수개의 자석에 의하여 수직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상, 하측 화로대는 각각 상기 1개조의 다리 8개를 상기 테두리부로 감쌀 수 있는 크기를 갖고, 저면을 마주하며 수직으로 체결시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석이 만나도록 복수개의 자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자석 체결홈은 상기 2개의 좌우 테두리부에 각각 2개씩 좌우 서로 같은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상하 테두리부에 각각 2개 이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좌우 테두리부에 형성된 자석 체결홈과 같은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
  3. 제 2 항에서,
    상기 테두리부의 폭은 상기 자석의 반경보다 크되 직경보다 작고,
    상기 복수개의 자석 체결홈은 각각 상기 테두리부의 높이와 같은 깊이를 갖는 원형홈으로 상기 테두리부의 양측면으로 일부 잘리고,
    상기 복수개의 자석은 상하 극성을 달리하는 원주형 자석으로, 상기 복수개의 자석 체결홈 중 상기 2개의 좌우 테두리부에 형성된 자석 체결홈에 삽입되되, 일측면으로 이웃한 자석 체결홈에는 극성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삽입 체결되고, 좌우 양측면으로 마주보는 테두리부의 자석 체결홈에는 극성이 서로 반대칭을 이루도록 삽입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상판은 상자성체이고,
    상기 4개의 다리고정소켓은 각각 상기 금속 상판의 저면에서 상기 테두리부와 같은 높이로 돌출된 삽입홈부와 상기 삽입홈부의 내측으로 상기 다리의 상부를 고정하는 다리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고정수단은 상기 삽입홈부의 측벽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테이퍼형 관통공;
    상기 관통공에 체결된 고정용 볼;
    상기 고정용 볼을 밀착시키는 스프링; 및
    상기 관통공에 끼워져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마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4개의 다리는 각 상부에 상기 고정용 볼을 수용하는 볼수용홈이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삽입홈부에 2개 마주보며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는 상기 다리가 2개의 관통공을 잇는 선을 축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삽입되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삽입홈부에 2개 마주보며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는 상기 관통공의 이웃한 측벽에 마주보며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의 내측으로 드러난 상기 금속 상판의 저면에는 상기 다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회전축 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4개의 다리는 각각 상부에 상기 볼수용홈이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부위에 2개 형성되고, 상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내측 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홈의 양측에 상기 볼수용홈의 이웃한 부위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단 다리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에는 제2회전축 부재가 상기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지며 이동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제1회전축 부재와 상기 제2회전축 부재의 사이에는 소정의 작동로드가 양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삽입홈부의 절개부의 일측과 상기 상단 다리 절개부를 지나며 상기 제2회전축 부재를 상기 절개홈을 따라 상, 하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
KR1020170109661A 2017-08-29 2017-08-29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 KR101974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661A KR101974617B1 (ko) 2017-08-29 2017-08-29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661A KR101974617B1 (ko) 2017-08-29 2017-08-29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631A KR20190023631A (ko) 2019-03-08
KR101974617B1 true KR101974617B1 (ko) 2019-09-05

Family

ID=65801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661A KR101974617B1 (ko) 2017-08-29 2017-08-29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6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0573B2 (ja) * 1994-01-13 2000-01-17 アルカテル・エヌ・ブイ 調節された光増幅器
KR200191805Y1 (ko) * 2000-03-14 2000-08-16 곽수만 액정 모니터용 힌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0573U (ja) * 1994-01-31 1994-08-09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テーブル構造
KR20090011839U (ko) * 2009-10-22 2009-11-23 강승일 조립식 캠핑용 화로테이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0573B2 (ja) * 1994-01-13 2000-01-17 アルカテル・エヌ・ブイ 調節された光増幅器
KR200191805Y1 (ko) * 2000-03-14 2000-08-16 곽수만 액정 모니터용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631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8353A (en) Stand for storage of shoes
US8955928B2 (en) Joining connectors and a rack using joining connectors
US7004082B2 (en) Outdoor table, outdoor table and chair set
KR101462774B1 (ko) 조립식 화로
US11672378B2 (en) Oven based non-powered accessory system
JP2786745B2 (ja) カセット格納装置
KR101974617B1 (ko) 휴대용 조립식 화로대
JPS5937039U (ja) 焼き肉用台
US4043056A (en) Make a face game
KR20140005062A (ko) 조립식 테이블
KR101466142B1 (ko) 접철식 바베큐 구이 장치
US4790540A (en) Display tray and board game support
KR20160044893A (ko) 접이식 테이블
JP6937445B1 (ja) モバイル用スタンド
KR20110124496A (ko) 캠핑용 테이블
CA107511S (en) Golf bag top
KR101719784B1 (ko) 블록 조립식 키트
KR200301876Y1 (ko) 조립식 수납장
KR200322285Y1 (ko) 조립식 평상
KR200145613Y1 (ko) 보관대용 칸막이 고정장치
JP3108158U (ja) 連結部材
KR200324149Y1 (ko) 야외용 고기구이기
KR20170001866U (ko) 다중 연결형 수납함
KR200237301Y1 (ko) 적재용 절첩주벽
KR200215753Y1 (ko) 장식용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