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310B1 - 마스크팩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마스크팩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310B1
KR101974310B1 KR1020180080965A KR20180080965A KR101974310B1 KR 101974310 B1 KR101974310 B1 KR 101974310B1 KR 1020180080965 A KR1020180080965 A KR 1020180080965A KR 20180080965 A KR20180080965 A KR 20180080965A KR 101974310 B1 KR101974310 B1 KR 101974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pack
pattern
essence
wat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태준
Original Assignee
황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태준 filed Critical 황태준
Priority to KR1020180080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r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용을 위해 얼굴에 덮어서 사용하는 마스크팩과, 마스크팩이 수납되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얼굴 윤곽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발수층이 일정 문양으로 형성되되, 수분 또는 에센스 함침시 젖은 부분과 발수층에 의해 젖지 않은 부분의 음영 대비에 의한 문양이 나타나고, 건조시 문양이 사라짐으로써 사용시 얼굴에서의 제거 시기를 알 수 있는 마스크팩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마스크팩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기{MASK PACK AND PACKING POUCH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 미용을 위해 얼굴에 덮어서 사용하는 마스크팩과, 마스크팩이 수납되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 외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체온조절, 분비, 배설, 흡수 등의 다양한 작용을 하며, 특히 몸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으로 인체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외부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피부는 환경적 스트레스로 인한 막지질의 과산화, 면역 약화, 염증 반응, 세포외 기질의 붕괴 등으로 인하여 피부 탄력의 저하, 수분의 손실 등이 일어나게 되고 결국 피부의 노화를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손상된 피부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하여 비타민과 미네랄 등을 외부에서 공급하는 것은 피부의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로서, 오늘날 현대인들은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피부질환 및 노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손상받은 피부를 빠르게 회복하기 위한 기능성 화장품이나 팩, 마사지, 전문적인 시술 등으로 피부관리를 하고 있다.
이러한 여러 종류의 피부관리법 중에서도 다양한 종류의 팩 제품들이 시중에 출시되어 손쉽게 구할 수 있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많이 선호되고 있으며, 팩 제품을 얼굴에 바르거나 붙여서 피부 표면에 수분과 영양을 공급하여 피부를 촉촉하고 탄력적으로 만들며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피부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한다.
얼굴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고 탄력적인 피부를 유지하기 위한 마스크팩은 사용방법에 따라 크게 워시 오프형(wash off type), 필 오프형(peel off type), 시트형(sheet type)의 세 가지로 대별되며, 여기서 시트형은 시트에 미리 미용성분과 수분을 포함하는 에센스가 적셔져 있어서 피부에 붙인 후 마르면 떼어내는 타입이다.
그런데, 종래의 시트형 마스크팩은 에센스가 마른 적당한 시점에서 사용자가 이를 떼어내게 되는데, 아직 에센스가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너무 빨리 떼어내는 바람에 충분한 미용효과를 보지 못하고 마스크팩을 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에센스가 완전히 말라서 더 이상 미용효과를 보기 어려운 경우에도 이를 알지 못하여, 계속 불편함을 감수하면서 착용하고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시트형 마스크팩은 단순히 피부 상태의 개선을 위한 미용의 기능을 할 뿐, 표면에 특별한 문양이나 형상이 인쇄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심미감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시 표면에 나타나는 문양에 의해 사용자의 심미감을 충족시킬 수 있는 마스크팩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함침된 에센스가 건조되면서 마스크팩에 나타난 문양이 소멸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끔 하여, 사용시 마스크팩의 제거시점을 알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센스가 함침되어 표면에 문양이 나타난 상태의 마스크팩을 수납하는 마스크팩 포장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센스와 건조 상태의 마스크팩을 별도 공간에 수납하고, 사용시 마스크팩에 에센스를 함침시켜 문양이 나타나게 하는 마스크팩 포장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 전 에센스 함침에 의해 마스크팩에 문양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마스크팩 포장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얼굴 윤곽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발수층이 일정 문양으로 형성되되, 수분 또는 에센스 함침시 상기 수분 또는 에센스에 의해 젖은 부분과 상기 발수층에 의해 젖지 않은 부분의 음영 대비에 의한 문양이 나타나고, 상기 수분 또는 에센스 건조시 상기 문양이 사라짐으로써 사용시 얼굴에서의 제거 시기를 알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발수층은, 표면에 상기 문양이 형성되고 발수 혼합액이 도포된 롤러로 상기 원단을 가압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발수 혼합액은 발수제, 바인더, 고착제, 실리콘 유연제, 증점제, 물을 혼합한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발수 혼합액은 화이트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발수 혼합액은, 발수제 45wt%~48wt%, 바인더 15wt%~18wt%, 고착제 3wt%~6wt%, 실리콘 유연제 1wt%~3wt%, 증점제 1wt%~4wt%, 물 30wt%~33wt%를 혼합한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발수 혼합액은 화이트 안료 2wt%~5w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마스크팩을 내부공간에 수용하는 마스크팩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마스크팩이 수용되는 제1 공간부와, 에센스가 충진되는 제2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2 공간부는 접합부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용기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사용시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2 공간부를 연통시켜, 상기 제1 공간부의 마스크팩에 상기 제2 공간부의 에센스가 함침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공간부 가압시 상기 접합부의 개봉에 의해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2 공간부가 연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공간부의 마스크팩에 상기 에센스 함침시, 상기 마스크팩에 나타나는 문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일면에 형성되는 투명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에 의하면, 에센스 함침에 의해 마스크팩의 표면에 문양이 나타나게 되므로, 마스크팩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심미감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에 의하면, 함침된 에센스가 건조되면서 마스크팩에 나타난 문양이 소멸하게 되므로, 사용시 마스크팩의 제거시점을 쉽게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용기에 의하면, 사용시 마스크팩에 에센스를 함침시켜 문양이 나타나게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용기에 의하면, 에센스 함침시 나타나는 문양이 투명창부를 통해 확인되므로, 사용시 마스크팩의 전체 면적에 에센스가 고르게 함침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용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용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마스크팩의 에센스 함침에 의해 표면에 문양이 나타난 모습을 나타낸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의 에센스 건조에 의해 표면의 문양이 사라진 모습을 나타낸 사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의 실시예에서 '에센스'라 함은 피부 미용을 위한 미용성분과 수분을 포함하는 화장수, 또는 별도의 미용성분 없이 수분만으로 이루어지는 화장수를 가리킴을 미리 밝혀둔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100)은 시중 판매시 마스크팩 포장용기(일명, '파우치') 내부에 포장 보관되고, 사용시에는 포장용기에서 인출한 후 얼굴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때, 마스크팩(100)에는 미용성분 및/또는 수분이 함유된 에센스가 함침되어 있으며, 마스크팩(100)이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면 에센스가 피부의 표피층에 직접 영양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마스크팩(100)은 액상의 에센스가 함침될 수 있도록 흡수율이 높은 부직포, 직물, 종이류 등의 소재로 성형 제조되며, 얼굴 윤곽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마스크팩(100)은 호흡 및 시야 확보와, 눈, 코, 입을 통해 에센스가 체내로 무단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입 부위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개방부(110)가 형성되고, 눈과 코 부위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눈꺼풀과 콧등을 덮을 수 있도록 절개부(120)가 형성된다. 마스크팩(100)이 턱 윤곽에 밀착되도록, 턱 부위에 대응되는 위치에도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의 절개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팩(100)은 사람마다 다양한 굴곡 및 크기로 형성되는 얼굴에도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평균의 얼굴 형상으로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성인 남성용, 성인 여성용, 어린이용으로 분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100)에 의하면, 마스크팩(100)에 수분 또는 에센스 함침시 마스크팩(100)의 표면에 미리 인쇄된 소정의 문양이 나타나며, 건조시에는 이 문양이 사라지게 되므로 얼굴에 부착한 마스크팩(100)의 제거 시점을 쉽게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팩(100)의 외측면 즉, 착용시 얼굴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면의 반대면에 발수층(130)이 일정 문양으로 인쇄된다.
이 경우, 마스크팩(100)이 에센스에 의해 젖게 되면 에센스의 수분 성분이 마스크팩(100)의 원단 내부로 침투하며, 이때 발수층(130)으로 문양이 인쇄된 부분에는 에센스 수분의 내부 침투가 방지된다.
이에 따라, 발수층(13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발수층(130)이 형성된 문양 부분이 음영의 대비를 이루어 마스크팩(100)의 표면에 문양의 형태가 나타나게 된다. 즉, 마스크팩(100)에서 에센스 함침에 의해 젖은 부분이 짙은 음영을 이루면서 발수층(130)이 형성된 문양 부분과 대비됨에 따라, 외관상 마스크팩(100)의 표면(외측면)에 문양의 형태가 뚜렷하게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문양의 형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제품의 홍보를 위한 문자나 도형, 또는 무늬나 문양, 특정 캐릭터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발수층(130) 문양은 롤러 인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마스크팩(100)의 표면에 나타나는 문양은 롤러로 마스크팩(100) 원단의 일면을 가압할 때 롤러에 문양 형태로 묻은 발수 혼합액이 원단의 표면에 인쇄되어 나타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100)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마스크팩 원단에 발수층 문양 형성단계(S10);
마스크팩(100) 원단이 복수 개의 롤(roll)을 따라 이송되는 과정에서 롤러를 거치게 된다. 이때, 롤러는 회전하면서 마스크팩(100) 원단의 일면을 가압하여 원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형태의 문양을 반복하여 인쇄한다.
롤러는 110℃~130℃의 온도로 마스크팩(100) 원단의 일면을 가압하며, 롤러의 표면에는 소정 형태의 문양이 형성되어 있다. 롤러에는 발수 혼합액이 도포되며, 롤러의 가압에 의한 문양 인쇄 과정에서 마스크팩(100) 원단에 롤러의 문양 형태를 따라 발수 혼합액이 인쇄된다.
일 예로서, 마스크팩(100) 원단에 인쇄하고자 하는 문양이 롤러의 표면에 홈의 형태로 음각될 수 있다. 롤러에 도포된 발수 혼합액은 롤러 표면의 홈에 충진되며, 마스크팩(100) 원단 가압시 발수 혼합액이 마스크팩(100) 원단에 전이되어 문양이 인쇄된다.
다른 예로서, 롤러의 표면에 소정 형태의 문양을 이루도록 돌출부가 양각될 수 있다. 돌출부에는 발수 혼합액이 도포되어 있으며, 문양 인쇄 과정에서 마스크팩(100) 원단에 돌출부의 형태를 따라 발수 혼합액이 전이된다.
여기서, 발수 혼합액은 발수제 45wt%~48wt%, 바인더 15wt%~18wt%, 고착제 3wt%~6wt%, 실리콘 유연제 1wt%~3wt%, 증점제 1wt%~4wt%, 물 30wt%~33wt%를 혼합한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화이트 안료 2wt%~5wt%가 필요에 따라 더 첨가될 수 있다.
이때, 발수제는 예컨대 지르코늄염 아세테이트(zirconum acetate) 용액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45wt% 미만이면 발수 효과가 떨어지고, 48wt%를 초과하면 투입량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여 경제성이 떨어진다.
바인더와 고착제는 마스크팩(100) 원단에 에센스 함침시 에센스의 알콜 성분에 의해 발수층 문양이 용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발수층 문양의 모양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바인더의 함량이 15wt% 미만이면 에센스의 알콜 성분에 의해 발수층 문양이 용해될 수 있고, 18wt%를 초과하면 투입량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여 경제성이 떨어진다. 또한, 고착제는 예컨대 섬유용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용액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3wt% 미만이면 발수층 문양의 고착효과가 떨어지고, 6wt%를 초과하면 투입량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여 경제성이 떨어진다.
실리콘 유연제는 마스크팩(100) 원단에 탄성과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1wt% 미만이면 유연효과가 떨어지고, 3wt%를 초과하면 투입량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여 경제성이 떨어진다.
증점제는 마스크팩(100) 원단 패딩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1wt% 미만이면 효과가 떨어지고, 4wt%를 초과하면 투입량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여 경제성이 떨어진다.
물은 혼합액의 희석용으로 사용되며, 발수 효과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30wt%~33wt%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이트 안료는 에센스 함침시 젖은 부분과 대비하여 발수층의 문양이 선명하게 나타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2wt% 미만이면 발수층 문양을 선명하게 나타내는 효과가 떨어지고, 5wt%를 초과하면 에센스 건조시에도 발수층 문양의 흔적이 남아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발수 혼합액의 성분은 친환경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혼합된 발수 혼합액은 롤러 표면에 도포되며, 롤러에 의한 마스크팩(100) 원단 가압시 마스크팩(100) 원단의 일면에 문양의 형태로 인쇄되어 발수층(130)을 이루게 된다. 발수층(130)이 형성된 부분은 에센스 함침시 에센스의 침투가 방지되며, 따라서 마스크팩(100) 원단의 에센스 함침시 에센스에 젖어서 음영이 짙어진 부분과의 대비에 의해 마스크팩(100) 표면에 일정 형태의 문양이 나타나게 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아울러, 마스크팩(100)의 사용에 의해 마스크팩(100)에 함침된 에센스가 피부로 스며들면, 에센스로 젖은 부분이 건조되면서 발수층(130)과의 음영구분 효과가 사라진다. 이때, 사용자는 마스크팩(100)의 표면에 나타난 문양이 사라지는 것을 확인하고 마스크팩을 얼굴에서 떼어낼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건조단계(S20):
표면에 발수 혼합액으로 문양이 인쇄된 마스크팩(100) 원단은 40yd/min~60yd/min의 속도로 반대쪽으로 이송되어 다시 롤의 형태로 권취되며, 도중에 내부에 160℃~180℃의 분위기 온도가 형성되는 텐터기(tenter machine)를 통과하면서 건조가 이루어진다.
이때, 마스크팩(100) 원단의 이동 속도가 40yd/min 미만이면 마스크팩(100) 원단의 열변형 우려가 있고, 60yd/min을 초과하면 균일한 건조 품질을 보장할 수 없다.
마스크팩(100) 원단은 텐터기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분사되는 열풍에 의해 건조될 수 있으며, 이때 히트세팅 공정과 열처리에 의한 수축공정이 함께 수행될 수 있다. 건조처리된 마스크팩(100) 원단은 롤 형태로 권취되어 다음 단계로 옮겨진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텐터기를 거치는 건조단계(S20)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절단단계(S30):
상술한 건조단계(S20)를 거쳐서 표면에 발수층(130)이 형성된 마스크팩(100) 원단은, 커팅기에 의해 얼굴 윤곽을 갖는 마스크팩(100)의 형태로 절단된다. 이때, 마스크팩(100) 원단은 롤 이송에 의해 반대쪽 롤로 이송되면서 절단되며, 절단과 동시에 개방부(110)와 절개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에센스 함침단계 (S40):
절단된 마스크팩(100)에 에센스를 함침한다. 여기서 '에센스'는 피부 미용을 위한 미용성분과 수분을 포함하는 화장수, 또는 별도의 미용성분 없이 수분만으로 이루어지는 화장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에센스가 함침된 마스크팩(100)의 표면에는 에센스가 젖은 부분과 발수층(130)에 의해 젖지 않은 부분으로 음영이 구분되어 문양이 나타나게 된다.
포장단계(S40):
에센스가 함침된 마스크팩(100)은 마스크팩 포장용기에 1개씩 삽입되어 포장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 개의 마스크팩(100)이 포장용기에 삽입·포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용기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마스크팩 포장용기(200)에 마스크팩(100)이 에센스가 함침된 상태로 삽입·포장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마스크팩(100)의 포장시에는 건조된 마스크팩(100)이 삽입되어 제공되고, 사용시에는 필요에 따라 마스크팩 포장용기(200) 내부에서 마스크팩(100)에 에센스가 함침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마스크팩 포장용기(200)의 내부공간이 제1 공간부(210)와, 제1 공간부(2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공간부(220)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의 제1 공간부(210)에는 표면에 발수층(130) 문양을 갖는 마스크팩(100)이 건조된 상태로 삽입되며, 상부의 제2 공간부(220)에는 액상의 에센스가 충진된다.
제1 공간부(210)와 제2 공간부(220)는 예컨대 고온 열접착에 의해 형성되는 접합부(230)에 의해 구획되며, 이때 접합부(230)는 사용자가 제2 공간부(220)에 힘을 가하여 압착시켰을 때 내부압력에 의해 개봉될 정도의 열접착강도를 갖는다.
즉, 사용자는 필요시 제2 공간부(220)를 압착시켜 접합부(230)를 개봉함으로써, 제2 공간부(220)와 제1 공간부(210)가 상호 연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 공간부(220)에 충진된 에센스가 제1 공간부(210)로 유입되어 마스크팩(100)에 함침되며, 마스크팩(100)의 표면에는 발수층(130) 문양이 나타나게 된다.
한편, 제1 공간부(210) 영역과 대응되는 마스크팩 포장용기(200)의 일면에는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창부(2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투명창부(240)를 통해 마스크팩(100) 표면에 나타나는 문양을 확인함으로써 에센스 함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마스크팩의 에센스 함침에 의해 표면에 문양이 나타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의 에센스 건조에 의해 표면의 문양이 사라진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과 도 7을 비교하면, 에센스 함침에 의해 마스크팩(100)의 표면에 나타난 문양이 건조시 사라지게 됨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마스크팩(100) 사용시 표면에 나타나는 문양으로 인해 사용자의 심미감을 충족시킬 수 있으며, 시간 경과에 따라 문양이 사라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마스크팩(100) 제거 시점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마스크팩
110 : 개방부
120 : 절개부
130 : 발수층
200 : 마스크팩 포장용기
210 : 제1 공간부
220 : 제2 공간부
230 : 접합부
240 : 투명창부

Claims (10)

  1. 얼굴 윤곽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발수층이 일정 문양으로 형성되되, 수분 또는 에센스 함침시 상기 수분 또는 에센스에 의해 젖은 부분과 상기 발수층에 의해 젖지 않은 부분의 음영 대비에 의한 문양이 나타나고, 상기 수분 또는 에센스 건조시 상기 문양이 사라짐으로써 사용시 얼굴에서의 제거 시기를 알 수 있으며,
    상기 발수층은 표면에 상기 문양이 형성되고 발수 혼합액이 도포된 롤러로 원단을 가압하여 형성하며,
    상기 발수 혼합액은, 발수제 45wt%~48wt%, 바인더 15wt%~18wt%, 고착제 3wt%~6wt%, 실리콘 유연제 1wt%~3wt%, 증점제 1wt%~4wt%, 화이트 안료 2wt%~5wt%, 물 30wt%~33wt%를 혼합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기재된 마스크팩을 내부공간에 수용하는 마스크팩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마스크팩이 수용되는 제1 공간부와, 에센스가 충진되는 제2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2 공간부는 접합부에 의해 구획되며,
    사용시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2 공간부를 연통시켜, 상기 제1 공간부의 마스크팩에 상기 제2 공간부의 에센스가 함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용기.
  8. 삭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부 가압시 상기 접합부의 개봉에 의해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2 공간부가 연통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용기.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부의 마스크팩에 상기 에센스 함침시, 상기 마스크팩에 나타나는 문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일면에 형성되는 투명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용기.
KR1020180080965A 2018-07-12 2018-07-12 마스크팩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기 KR101974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965A KR101974310B1 (ko) 2018-07-12 2018-07-12 마스크팩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965A KR101974310B1 (ko) 2018-07-12 2018-07-12 마스크팩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310B1 true KR101974310B1 (ko) 2019-04-30

Family

ID=66285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965A KR101974310B1 (ko) 2018-07-12 2018-07-12 마스크팩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3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4810A (ko) * 2019-08-26 2021-03-08 한아리 피부관리 마스크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862U (ko) * 2008-10-02 2010-04-12 이생테크노팩 주식회사 마스크 팩용 포장대
KR101449704B1 (ko) * 2014-05-02 2014-10-15 벤텍스 주식회사 고수분 전이성과 혈류개선에 의한 보온 기능을 갖는 의류용 섬유시트
KR20170045823A (ko) * 2015-10-20 2017-04-28 고경찬 미용용 마스크 팩
KR20170114231A (ko) * 2016-04-05 2017-10-13 주식회사 동우에이엘티 자당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 도포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862U (ko) * 2008-10-02 2010-04-12 이생테크노팩 주식회사 마스크 팩용 포장대
KR101449704B1 (ko) * 2014-05-02 2014-10-15 벤텍스 주식회사 고수분 전이성과 혈류개선에 의한 보온 기능을 갖는 의류용 섬유시트
KR20170045823A (ko) * 2015-10-20 2017-04-28 고경찬 미용용 마스크 팩
KR20170114231A (ko) * 2016-04-05 2017-10-13 주식회사 동우에이엘티 자당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 도포구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4810A (ko) * 2019-08-26 2021-03-08 한아리 피부관리 마스크팩
KR102246688B1 (ko) * 2019-08-26 2021-04-30 한아리 피부관리 마스크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164304A (ja) 皮膚又は毛髪の処理用のシート材料
US3598685A (en) Means for ornamenting fingernails and toenails
US2001862A (en) Facial tissue support
US6161554A (en) Removable tattoo eyebrows
GB2100980A (en) Cosmetic face mask
JP2002543009A (ja) 少なくとも2つのエレメントをその場で接触させるユニット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3165241U (ja) シルク製フェイスマスク
WO2007123380A1 (en) Mask pack containing pow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74310B1 (ko) 마스크팩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기
KR200381099Y1 (ko) 마사지팩용 마스크
KR200294046Y1 (ko) 화장용 퍼프
KR20190080467A (ko) 미용 마스크팩
JPS60165902A (ja) 美容パツク材、その製法及び使用方法
KR200332089Y1 (ko) 마스크 팩용 부직포
KR200462101Y1 (ko) 1회용 헤어 마스크 팩
JP3985916B2 (ja) 化粧用パフの製造方法
KR200451470Y1 (ko) 병풍형 마사지팩 포장 파우치
KR101801314B1 (ko) 미용팩 인쇄방법
WO2015011216A1 (en) Applicator body dispensing machine
KR102342783B1 (ko) 캐릭터 연출이 가능한 기능성 마스크팩
CN109788836A (zh) 面膜
KR200478562Y1 (ko) 시트 마스크
KR20070081813A (ko) 황토페이스마스크팩 및 그 황토페이스마스크팩용황토시트지와 그 제조방법
KR101925896B1 (ko) 우레탄 라미네이팅 시트를 이용한 마스크 팩 및 기능성 패치
KR20170001252U (ko) 조각형 미용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