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286B1 - 간격조절 조립구조를 갖는 단자대 - Google Patents

간격조절 조립구조를 갖는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286B1
KR101974286B1 KR1020170172960A KR20170172960A KR101974286B1 KR 101974286 B1 KR101974286 B1 KR 101974286B1 KR 1020170172960 A KR1020170172960 A KR 1020170172960A KR 20170172960 A KR20170172960 A KR 20170172960A KR 101974286 B1 KR101974286 B1 KR 101974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terminal
power connection
gap adjusting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석
Original Assignee
이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석 filed Critical 이기석
Priority to KR1020170172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2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08Modular bloc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 제1전원접속부가 구비되는 제1단자대와 복수개 제2전원접속부가 구비되는 제2단자대가 간격조절구에 의해 서로 연결 조립되기 때문에 간격조절구의 두께만큼 서로 멀어지도록 이격될 수 있어 제1전원접속부와 제2전원접속부가 밀착되지 않음에 따라 전선의 조립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제1전원접속부와 제2전원접속부가 서로 엇갈리게 위치되도록 조립됨에 따라 조립과정에서 제1전원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이 제2전원접속부에 닿지 않음은 물론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닿지 않으며 전선을 전기적으로 제1전원접속부와 제2전원접속부에 접속 조립하는 과정에서 간섭을 주지 않게 되어 합선을 방지하고 조립작업성 및 조립편의성과 함께 조립에 따른 작업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간격조절 조립구조를 갖는 단자대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간격조절 조립구조를 갖는 단자대{terminal block with space adjusting structure}
본 발명은 간격조절 조립구조를 갖는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 접속단자부를 갖는 단자대와 단자대를 서로 복층으로 구비하여 접속단자부에 전선을 연결 조립할 때 접속단자부와 전선과의 접촉을 방지하여 조립 시 합선을 방지하고 좁은 공간에서의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단자대와 단자대는 물론 단자대에 구비되는 복수개 접속단자부의 간격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단자대를 선택적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간격조절 조립구조를 갖는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용 단자대는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등에서 차단기를 거쳐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선을 중간 접속시키는 전기부품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단자대는 접속단자부가 일렬로 배열된 단층단자대와 접속부가 복측으로 배열된 복층단자대로 구분되는 바, 근자들어서는 전기기기에 사이에 설치되어 다수의 전선접속을 위해 복층 단자대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복층 단자대는 접속단자부의 배열이 앞열이 낮고 뒷열이 높게 구비하고 있다.
종래 복층 단자대를 살펴보면, 등록실용 20-0464029호인 단자간 간섭방지를 갖는 단자대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제1단자공간부와 제2단자공간부를 분리하여 합선을 방지하는 절연벽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벽은 접속단자의 접속단자삽입부를 접속단자삽입공으로 유도되게 유도벽이 상부에서 지그재그로 형성되고, 상기 제1단자공간부의 접속단자홈은 전선이 앞에서 연결되게 앞면이 열려 2개 내지 30개로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공간부의 접속단자홈은 전선이 뒤에서 연결되게 뒷면이 열려 2개 내지 30개로 형성되어 전선이 양방향으로 연결되는 단자대와, 상기 접속단자홈에 삽입결합되는 탄성편은 접속단자삽입부의 하부의 양 측면에서 돌출하여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은 단자핀을 접속면으로 유도하는 유도면이 형성되고, 상기 면접속유도부는 상기 단자핀을 접속되게 유도하는 유도면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면의 상면으로 상기 단자핀과 접속되는 면이 확장되어 접속면이 형성되는, 단자핀과 접속이 용이한 접속단자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단자핀과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물리적인 외력의 변형을 최적화하며 접속을 극대화하고 지속시키는 단자간 간섭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과 같은 복층 단자대는, 단자대와 단자대가 서로 밀착되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단자대에 각각 구비되는 접속단자부에 전선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접속단자부와 전선이 서로 접촉되거나 또는 전선의 연결과정에서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접촉되어 전기적인 합선이 야기되는 문제점은 물론, 하나의 단자대에 복층으로 구비되는 접속단자부의 거리가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편의성 및 작업효율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하나의 단자대에 접속단자부가 복층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대의 길이를 연장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설치여건에 따라 각각 다른 길이를 갖는 단자대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64029호(2012.11.30.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실용 20-0296752호(2002.11.20. 등록)
본 발명은 하나의 단자대에 접속단자부를 복수개 구비하되 복수개 구비되는 단자대와 단자대를 서로 연결 조립하도록 하여 설치여건에 따라 필요한 개수만큼 단자대를 연결 조립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단자대를 복층으로 연결 조립하되 단자대와 단자대를 서로 이격되도록 조립하여 단자대에 구비되는 전원접속부에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성 및 작업효율성은 물론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원접속부와 전선의 조립작업시에 전선이 전원접속부에 접촉되거나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전원접속부에 접속되어 전기적인 합선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간격조절 조립구조를 갖는 단자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간격조절 조립구조를 갖는 단자대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에 복수개 제1전원접속부가 구비되는 제1단자대와; 상기 제1단자대의 제1전원접속부와 단차지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에 복수개 제2전원접속부가 구비되는 제2단자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단자대의 전면(12)에는 제1단자대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단자대의 후면(22)에는 제2단자대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단자대연결부와 대응되는 제1간격조절연결부와 상기 제2단자대연결부와 대응되는 제2간격조절연결부가 구비되는 간격조절구가 구비되어 상기 간격조절구의 두께만큼 상기 제1단자대의 제1전원접속부와 상기 제2단자대의 제2전원접속부의 간격이 이격되어 조립되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단자대의 제1전원접속부와 상기 제2단자대의 제2전원접속부는, 상기 간격조절구에 의해 서로에 대해 간섭되지 않도록 엇갈리게 위치되도록 연결 조립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단자대의 제1단자대연결부는, 상기 제1단자대의 전면(12) 상부에서 하부측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홈 또는 돌기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자대의 제2단자대연결부는, 상기 제2단자대의 후면(22) 상부에서 하부측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홈 또는 돌기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간격조절구의 제1간격조절연결부는, 상기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제1단자대연결부와 대응되게 끼워지도록 상기 간격조절구의 상부에서 하부측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돌기 또는 홈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간격조절구의 제2간격조절연결부는, 상기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제2단자대연결부와 대응되게 끼워지도록 상기 간격조절구의 상부에서 하부측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돌기 또는 홈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단자대의 제1단자대연결부는, 상기 제1단자대상부에서 하부측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돌부와 이 제1돌부 하부측에 구비되는 제2돌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복수개 제1전원접속부가 구비되는 제1단자대와 복수개 제2전원접속부가 구비되는 제2단자대가 간격조절구에 의해 서로 연결 조립되기 때문에 간격조절구의 두께만큼 서로 멀어지도록 이격될 수 있어 제1전원접속부와 제2전원접속부가 밀착되지 않음에 따라 전선의 조립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제1전원접속부와 제2전원접속부가 서로 엇갈리게 위치되도록 조립됨에 따라 조립과정에서 제1전원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이 제2전원접속부에 닿지 않음은 물론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닿지 않으며 전선을 전기적으로 제1전원접속부와 제2전원접속부에 접속 조립하는 과정에서 간섭을 주지 않게 되어 합선을 방지하고 조립작업성 및 조립편의성과 함께 조립에 따른 작업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간격조절 조립구조를 갖는 단자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간격조절 조립구조를 갖는 단자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간격조절 조립구조를 갖는 단자대의 구성을 나타낸 일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간격조절 조립구조를 갖는 단자대의 구성을 나타낸 타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간격조절 조립구조를 갖는 단자대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조립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간격조절 조립구조를 갖는 단자대의 조립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간격조절 조립구조를 갖는 단자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격조절 조립구조를 갖는 단자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에 복수개 제1전원접속부(11)가 구비되는 제1단자대(10)와, 상기 제1단자대(10)의 제1전원접속부(11)와 단차지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에 복수개 제2전원접속부(21)가 구비되는 제2단자대(20)와, 상기 제1단자대(10)와 제2단자대(20)를 조립 연결하여 제1단자대(10)와 제2단자대(20)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구(3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간격조절구(30)는 상기 제1단자대(10)와 제2단자대(2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단자대(10)의 전면(12)과 제2단자대(20)의 후면(22)을 조립 연결하여 제1단자대(10)와 제2단자대(20)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간격조절구(30)에 의해 제1단자대(10)와 제2단자대(20)의 간격이 조절되어 조립되기 때문에, 제1단자대(10)와 제2단자대(20)가 서로 밀착되지 않음에 따라 제1단자대(10)의 제1전원접속부(11)와 제2단자대(20)의 제2전원접속부(21) 역시 서로 밀착되지 않게 되어 좁은 공간에서의 전선을 제1전원접속부(11)와 제2전원접속부(21)에 전기적으로 연결 조립함에 따른 작업성 및 작업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상기 제1단자대(10)의 전면(12)에는 제1단자대연결부(13)가 구비되고, 상기 제2단자대(20)의 후면(22)에는 제2단자대연결부(23)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구(30)의 일면에는 상기 제1단자대연결부(13)와 대응되는 제1간격조절연결부(31)가 구비되고 상기 간격조절구(30)의 이면에는 상기 제2단자대연결부(23)와 대응되는 제2간격조절연결부(32)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제1단자대(10)의 제1단자대연결부(13)가 간격조절구(30)의 제1간격조절연결부(31)와 슬라이딩 끼움 연결되어 조립되고, 제2단자대(20)의 제2단자대연결부(23)가 간격조절구(30)의 제2간격조절연결부(32)와 슬라이딩 끼움 연결되어 조립되기 때문에, 간격조절구(30)의 두께만큼 제1단자대(10)와 제2단자대(20)의 간격이 서로에 대해 떨어지도록 위치될 수 있어, 제1전원접속부(11)와 제2전원접속부(21)에 전기적으로 전선을 연결할 때 간섭을 주지 않게 됨은 물론 좁은 공간에서의 전선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간격조절구(30)를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자대(10)의 전면과 제2단자대(20)의 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복수개 연결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간격조절구(30)를 제1단자대(10)와 제2단자대(20) 일측단과 타측단에 각각 구비하여 제1단자대(10)와 제2단자대(20)를 연결 조립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간격조절구(30)에 의해 쉽고 용이하게 제1단자대(10)와 제2단자대(20)의 간격이 서로에 대해 떨어지도록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제1단자대(10)와 제2단자대(20)가 간격조절구(30)의 두께만큼 간격이 서로에 대해 떨어지도록 위치될 수 있어, 제1전원접속부(11)와 제2전원접속부(21)에 전기적으로 전선을 연결할 때 간섭을 주지 않게 됨은 물론 좁은 공간에서의 전선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간격조절구(30)에 의해 조립 연결되는 제1단자대(10)의 제1전원접속부(11)와 상기 제2단자대(20)의 제2전원접속부(21)는, 상기 간격조절구(30)에 의해 서로에 대해 간섭되지 않도록 엇갈리게 위치되도록 연결 조립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전원접속부(11)와 제2전원접속부(21)의 위치가 서로에 대해 간섭을 주지 않도록 엇갈리게 위치되기 때문에, 전선을 제1전원접속부(11)와 제2전원접속부(21)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연결되는 제1전원접속부(11)와 제2전원접속부(21)에 각각 연결된 전선들이 서로 닿지 않게 되고, 제1전원접속부(11) 또는 제2전원접속부(21)에 연결되는 전선이 제1전원접속부(11) 또는 제2전원접속부(21)에 닿지 않음은 물론, 전선을 제1전원접속부(11)와 제2전원접속부(21)에 조여주는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기적인 합선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단자대(10)의 제1단자대연결부(13)는, 상기 제1단자대(10)의 전면(12) 상부에서 하부측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홈 또는 돌기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자대(20)의 제2단자대연결부(23)는, 상기 제2단자대(20)의 후면(22) 상부에서 하부측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홈 또는 돌기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구(30)의 제1간격조절연결부(31)는, 상기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제1단자대연결부(13)와 대응되게 끼워지도록 상기 간격조절구(30)의 상부에서 하부측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돌기 또는 홈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간격조절구(30)의 제2간격조절연결부(32)는, 상기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제2단자대연결부(23)와 대응되게 끼워지도록 상기 간격조절구(30)의 상부에서 하부측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돌기 또는 홈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서로에 대해 대응되는 홈 또는 돌기에 의해 상기 제1단자대연결부(13)와 제2단자대연결부(23) 및 제1간격조절연결부(31)와 제2간격조절연결부(32)가 구비되기 때문에, 제1단자대연결부(13)와 제1간격조절연결부(31) 및 제2단자대연결부(23)와 제2간격조절연결부(32)가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끼움 연결되어 제1단자대(10)와 제2단자대(20)가 간격조절구(30)에 조립 연결될 수 있음에 따라 조립성은 물론 조립에 대한 작업효율성 및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단자대(10)의 제1단자대연결부(13)는, 상기 제1단자대(10)의 상부에서 하부측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돌부(13a)와 이 제1돌부(13a) 하부측에 구비되는 제2돌부(13b)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2단자대(20)의 제2단자대연결부(23) 역시 제2단자대(20) 상부에서 하부측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2개의 돌부로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제1돌부(13a)와 제2돌부(13b)에 의해 제1단자대연결부(13)가 구비됨에 따라 제2단자대연결부(13)를 간격조절구(30)의 제1간격조절연결부(31)에 슬라이딩 끼움 연결하여 조립함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간격조절구(40)를 더 구비하여 제3단자대(50)를 더 연결 조립하여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여건 및 사용조건에 따라 복수개의 단자대를 복수개의 간격조절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제1단자대 11 : 제1전원접속부
12 : 제1단자대 전면 13 : 제1단자대연결부
13a : 제1돌부 13b : 제2돌부
20 : 제2단자대 21 : 제2전원접속부
22 : 제2단자대 후면 23 : 제2단자대연결부
30 : 간격조절구 31 : 제1간격조절연결부
32 : 제2간격조절연결부 40 : 제2간격조절구
50 : 제3단자대

Claims (4)

  1.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에 복수개 제1전원접속부(11)가 구비되는 제1단자대(10)와;
    상기 제1단자대(10)의 제1전원접속부(11)와 단차지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에 복수개 제2전원접속부(21)가 구비되는 제2단자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단자대(10)의 전면(12)에는 제1단자대연결부(13)가 구비되고,
    상기 제2단자대(20)의 후면(22)에는 제2단자대연결부(23)가 구비되며,
    상기 제1단자대연결부(13)와 대응되는 제1간격조절연결부(31)와 상기 제2단자대연결부(23)와 대응되는 제2간격조절연결부(32)가 구비되는 간격조절구(30)가 구비되어 상기 간격조절구(30)의 두께만큼 상기 제1단자대(10)의 제1전원접속부(11)와 상기 제2단자대(20)의 제2전원접속부(21)의 간격이 이격되어 조립되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조절 조립구조를 갖는 단자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대(10)의 제1전원접속부(11)와 상기 제2단자대(20)의 제2전원접속부(21)는,
    상기 간격조절구(30)에 의해 서로에 대해 간섭되지 않도록 엇갈리게 위치되도록 연결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조절 조립구조를 갖는 단자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대(10)의 제1단자대연결부(13)는, 상기 제1단자대(10)의 전면(12) 상부에서 하부측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홈 또는 돌기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자대(20)의 제2단자대연결부(23)는, 상기 제2단자대(20)의 후면(22) 상부에서 하부측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홈 또는 돌기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간격조절구(30)의 제1간격조절연결부(31)는,
    상기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제1단자대연결부(13)와 대응되게 끼워지도록 상기 간격조절구(30)의 상부에서 하부측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돌기 또는 홈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간격조절구(30)의 제2간격조절연결부(32)는,
    상기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제2단자대연결부(23)와 대응되게 끼워지도록 상기 간격조절구(30)의 상부에서 하부측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돌기 또는 홈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조절 조립구조를 갖는 단자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대(10)의 제1단자대연결부(13)는
    상기 제1단자대(10)상부에서 하부측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돌부(13a)와 이 제1돌부(13a) 하부측에 구비되는 제2돌부(13b)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조절 조립구조를 갖는 단자대.
KR1020170172960A 2017-12-15 2017-12-15 간격조절 조립구조를 갖는 단자대 KR101974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960A KR101974286B1 (ko) 2017-12-15 2017-12-15 간격조절 조립구조를 갖는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960A KR101974286B1 (ko) 2017-12-15 2017-12-15 간격조절 조립구조를 갖는 단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286B1 true KR101974286B1 (ko) 2019-04-30

Family

ID=66285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960A KR101974286B1 (ko) 2017-12-15 2017-12-15 간격조절 조립구조를 갖는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2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1111A (ja) * 1991-10-28 1993-05-18 Fujikon Kk 組立端子盤
KR200296752Y1 (ko) 2002-08-28 2002-12-05 제일중전기산업 주식회사 전력 단자대의 구조
JP3123167U (ja) * 2006-04-24 2006-07-06 株式会社ミスミ 端子台
KR200464029Y1 (ko) 2012-07-31 2012-12-06 주식회사 세니온 단자간 간섭방지를 갖는 단자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1111A (ja) * 1991-10-28 1993-05-18 Fujikon Kk 組立端子盤
KR200296752Y1 (ko) 2002-08-28 2002-12-05 제일중전기산업 주식회사 전력 단자대의 구조
JP3123167U (ja) * 2006-04-24 2006-07-06 株式会社ミスミ 端子台
KR200464029Y1 (ko) 2012-07-31 2012-12-06 주식회사 세니온 단자간 간섭방지를 갖는 단자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23167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01791B (zh) 母线联接装置组件
CN102334389B (zh) 连接单元
TW201826629A (zh) 電連接器
WO2015094267A1 (en) Hybrid plug-on/pigtail neutral bar
US10062633B2 (en) Substrate unit
KR101974286B1 (ko) 간격조절 조립구조를 갖는 단자대
JP4770584B2 (ja) インバータ装置
US20060211300A1 (en) Junction block
KR101466324B1 (ko)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EP3226358A1 (en) Time relay socket
JP2003051235A (ja) ブレーカの端子装置
CN206585454U (zh) 叠层母排及变频器
JP7494831B2 (ja) 分割形端子台
KR20210113000A (ko)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409877A (zh) 接线板及空调器
CN102244371B (zh) 多层布线的母线盒及装有该母线盒的电路分配转接器
KR101270117B1 (ko) 전기제어를 위한 공동주택용 전기 컨트롤러
JP4983640B2 (ja) 低圧配電設備
TWI811112B (zh) 雙向插座構造
CN209298357U (zh) 一种升降式多用途接线端子
JP6040425B2 (ja) 銅バー支持部材
WO2021217561A1 (en) Capacitor assembly and dry-type capacitor
JP7121503B2 (ja) 圧着端子及び圧着端子の接続構造
CN102426997A (zh) 抽屉式断路器插入式接线端子
JP4989535B2 (ja) 分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