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810B1 -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810B1
KR101973810B1 KR1020190001070A KR20190001070A KR101973810B1 KR 101973810 B1 KR101973810 B1 KR 101973810B1 KR 1020190001070 A KR1020190001070 A KR 1020190001070A KR 20190001070 A KR20190001070 A KR 20190001070A KR 101973810 B1 KR101973810 B1 KR 101973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formula
compound
composition
hair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857A (ko
Inventor
유종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테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테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테인웍스
Priority to KR1020190001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8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03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3/00Artist's machines or apparatus equipped with tools or work holders moving or able to be controlled substantially two- dimensionally for carving, engraving, or guilloching shallow ornamenting or markings
    • B44B3/06Accessories, e.g. tool or work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3/00Artist's machines or apparatus equipped with tools or work holders moving or able to be controlled substantially two- dimensionally for carving, engraving, or guilloching shallow ornamenting or markings
    • B44B3/02Artist's machines or apparatus equipped with tools or work holders moving or able to be controlled substantially two- dimensionally for carving, engraving, or guilloching shallow ornamenting or markings wherein plane surfaces are wor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3/00Artist's machines or apparatus equipped with tools or work holders moving or able to be controlled substantially two- dimensionally for carving, engraving, or guilloching shallow ornamenting or markings
    • B44B3/06Accessories, e.g. tool or work holders
    • B44B3/061Too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3/00Artist's machines or apparatus equipped with tools or work holders moving or able to be controlled substantially two- dimensionally for carving, engraving, or guilloching shallow ornamenting or markings
    • B44B3/06Accessories, e.g. tool or work holders
    • B44B3/065Work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올리브 오일 추출물; 화학식 1 내지 3의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쉽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탈모의 진행을 완화시키고 모발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두피 혹은 피지의 생성이 가속화되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지속적인 발모촉진이 가능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본 발명은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올리브 오일 추출물; 화학식 1 내지 3의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탈모는 불균형한 식생활, 과다한 음주와 흡연, 약물복용, 수면부족, 스트레스, 출산, 갱년기장애, 잦은 파마와 염색, 호르몬 불균형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남성호르몬과 유전에 의해 발생하는 안드로겐 탈모증은 일반적으로 40~50대에 시작되지만 심한 경우는 사춘기 직후에 시작하여 수십 년간 지속되기도 한다. 탈모는 주로 두정부에서 시작하여 점차 머리전체로 진행하게 되는데, 남자의 경우에는 양측 측두부의 머리선의 후퇴와 두정부에서 탈모가 우세하게 나타나고, 여자의 경우에는 얼굴 두피 모발의 경계선은 일반적으로 잘 보존되며, 완전한 탈모반이 형성되는 것은 드물다.
이러한 여러 가지 원인들에 의하여 진행되는 탈모는 정수리와 이마의 머리카락이 가늘어지고 힘이 없어지기 시작하면서 탈모의 숫자가 증가하며, 이러한 현상이 계속되면 육안으로 직접 관찰 가능할 정도로 탈모가 심해진다.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과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10035호는 물에 인삼과 구절초의 한약재를 넣고 가열하여 추출한 한약재 추출액 10∼40중량%, 점도조절제 0.1∼15중량%, 계면활성제 30∼80중량%, 오일 0.1∼15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한약재를 이용한 발모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330889호는 유효성분으로 발프로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0 중량%로 포함하는 경피투여 제형 또는 국소투여 제형의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0846572호는 도두(Canavalia gladiat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약학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탈모의 치료방법으로는 국소도포제, 경구복용제, 건강보조식품, 유전자 이식수술, 모발 이식수술 등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사용범위가 한정되어 있고 지속적인 탈모방지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약물치료의 효과도 일시적이며, 두피 혹은 피지의 생성을 오히려 가속화시키는 부작용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탈모를 방지하는 것은 물론 새로운 모발이 생성되고, 가는 모발이 굵어지며, 한번 나온 모발은 정상 헤어 사이클을 갖는 먹고 바르는 제품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10035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30889호 한국등록특허 제10-0846572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쉽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탈모의 진행을 완화시키고 모발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두피 혹은 피지의 생성이 가속화되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지속적인 발모촉진이 가능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올리브 오일 추출물; 화학식 1 내지 3의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01057816-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9001057816-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19001057816-pat0000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올리브 오일 추출물은 올리브 오일을 용매로 가열 추출하고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한 다음 농축액을 동결 건조하여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열 추출은 올리브 오일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500~2,000중량부를 가하고 40~95℃에서 1~1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내지 3의 화합물은 상기 추출물로부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하여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트리리놀레인, 트리리시놀레인, 팔미트산, 올레인산, 아라킨산 및 아라키돈산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올리브 오일 추출물; 화학식 1 내지 3의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올리브 오일 추출물; 화학식 1 내지 3의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쉽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탈모의 진행을 완화시키고 모발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피 혹은 피지의 생성이 가속화되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지속적인 발모촉진이 가능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인간 모유두 세포의 증식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정상 쥐를 제모하고 그 부위에 3주 동안 약물을 도포한 후의 발모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a) 약물이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 (b) 미녹시딜 5%를 도포한 경우, (c) 화학식 1의 화합물 10%를 도포한 경우
도 3은 탈모 유전 쥐의 탈모 부위에 3주 동안 약물을 도포한 후의 발모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a) 약물이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 (b) 화학식 1의 화합물 10%를 도포한 경우
도 4는 탈모 유전 쥐에 3주 동안 약물을 섭취시킨 후의 발모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인체에 처리하였을 때 발모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 등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올리브 오일 추출물; 화학식 1 내지 3의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올리브 오일 추출물; 및 화학식 1 내지 3의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의 화합물은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을 위한 예방 또는 치료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올리브 오일은 올리브 나무의 열매에 함유된 기름으로서 압착법, 추출법 등으로 채유된다. 올리브 오일의 주성분은 올레산이며, 그 밖에 팔미트산 등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올리브 오일 추출물은 올리브 오일을 용매로 가열 추출하고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한 다음 농축액을 동결 건조하여 제조된다.
상기 가열 추출은 올리브 오일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500~2,000중량부를 가하고 40~95℃에서 1~10시간 가열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용매로 1~3시간씩 1~5번 반복해서 추출할 수도 있다.
상기 용매는 주정, 에탄올, 메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가열 추출 후 기공의 직경이 0.2~1㎛인 여과막으로 여과하고, 여과된 여액을 감압 농축기로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모두 제거한 다음 초저온 냉동고(-70℃)에 보관 후 동결 건조하여 추출물을 수득한다.
상기 추출물로부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화학식 1 내지 3의 화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분리한 화합물은 1H NMR, 13C NMR 등의 핵자기공명분석(NMR), 융점, 적외선 분광분석(IR) 등을 이용하여 분자구조를 결정하였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트리팔미톨레인(tripalmitolein)이고, 화학식 2의 화합물은 트리올레인(triolein)이며, 화학식 3의 화합물은 트리팔미틴(tripalmitin)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01057816-pat00004
[화학식 2]
Figure 112019001057816-pat00005
[화학식 3]
Figure 112019001057816-pat00006
또한 본 발명은 올리브 오일 이외에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고 있는 다양한 오일(채종유, 해바라기유, 포도씨유, 면실유, 팜유, 미강유, 호도유 등)로부터 화학식 1 내지 3의 화합물을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 내지 3의 화합물을 합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 근원에 대해서는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트리리놀레인(trilinolein), 트리리시놀레인(triricinolein), 팔미트산(palmitic acid), 올레인산(oleic acid), 아라킨산(arachic acid, arachidic acid) 및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로 포함되는 화합물은 올리브 오일 또는 다양한 오일로부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텍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롤로즈, 메틸 셀롤로즈, 미정질 셀롤로즈, 폴리비닐 피톨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예를 들면, 경구, 정맥, 근육 또는 피하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국소로 투여 또는 적용될 수 있다. 국소투여 또는 국소적용은 피부 또는 모발에 대한 조성물의 직접적인 적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국소용 조성물은 용액, 로숀, 납고, 크림, 연고, 리포좀, 스프레이, 젤, 폼(foam), 롤러스틱(roller stick) 또는 피부과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그 밖의 모든 제형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탈모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탈모증은 원형 탈모증(Alopecia Areata), 유전성 안드로겐 탈모증(Androgenetic Alopecia), 휴지기 탈모증(Telogen Effluvium), 외상성 탈모증, 발모벽(Trichotillomania), 압박성 탈모증(Pressure Alopecia), 생장기 탈모증, 비강성 탈모증, 매독성 탈모증(Alopecia syphlltiac), 지루 탈모증(Alopecia seborrhecia), 증후성 탈모증, 반흔성 탈모증, 선천성 탈모증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올리브 오일 추출물; 화학식 1 내지 3의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트리리놀레인(trilinolein), 트리리시놀레인(triricinolein), 팔미트산(palmitic acid), 올레인산(oleic acid), 아라킨산(arachic acid, arachidic acid) 및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식품은 각종 식품류, 캔디,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의 형태일 수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음료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올리브 오일 추출물; 화학식 1 내지 3의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트리리놀레인(trilinolein), 트리리시놀레인(triricinolein), 팔미트산(palmitic acid), 올레인산(oleic acid), 아라킨산(arachic acid, arachidic acid) 및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화장료 제조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향장 제품, 샴푸,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 젤, 헤어토닉, 샴푸, 린스, 비누, 화장수, 에센스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클렌징액, 수렴액 및 보습액으로 희석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또는 화장품용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용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정제수, 오일,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흡습제, 증점제, 점도 안정화제, 킬레이팅제, 완충제, 방부제, 저급 알코올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보습제, 항염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 비타민, 자외선 차단제, 항생제, 향수, 염료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예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추출물 제조
올리브 오일 250g에 에탄올 2,500g를 혼합한 후 50℃에서 2시간 추출하였다. 추출 후 ADVANTEC NO.2 페이퍼 필터로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모두 제거하였다.
농축액을 -70℃의 초저온 냉동고에 보관 후 동결 건조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화학식 1 내지 3의 화합물의 분리
실시예 1의 추출물로부터 활성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였으며, 이로부터 화학식 1 내지 3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화합물은 1H NMR, 13C NMR 등의 핵자기공명분석(NMR), 융점, 적외선 분광분석(IR) 등을 이용하여 분자구조를 결정하였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트리팔미톨레인(tripalmitolein)이고, 화학식 2의 화합물은 트리올레인(triolein)이며, 화학식 3의 화합물은 트리팔미틴(tripalmitin)이다.
(실시예 3) 인간 모유두 세포의 증식 효과
세포 배양을 위해 PromoCell Growth Medium을 사용하였고, 세포는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모유두 세포는 일주일에 2회 배지를 교환해 주었고, 6~7일 만에 Hepes BSS 용액으로 세척한 후 Trypsin/EDTA 용액으로 부착된 세포를 분리하여 원심분리 한 후 계대배양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모유두 세포는 96 well plate에 1×104 cells/well이 되도록 200㎕씩 분주하고 18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며 세포가 부착되도록 하였다. 18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가 부착되어 있는 well에 시료 200㎕를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3-(4,5-dimethylthiazol)-2,5-diphenyltetrazoliumbromide(MTT) 용액 100㎕를 배양된 세포에 첨가하여 동일한 배양 조건에서 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이때 생성된 formazan 결정을 DMSO에 녹여서 ELISA reader로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OD range 0.00~3.50 내의 측정값을 실험 결과에 사용하였다. 시료의 농도는 0.01, 0.05, 0.1 및 0.2%로 조절하여 사용하였다.
도 1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인간 모유두 세포의 증식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모유두 세포의 성장이 촉진되며, 특히 농도가 0.05% 이상인 경우 모유두 세포의 성장률은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에 비해 20% 이상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현재 시판되고 있는 미녹시딜 5%를 포함하는 제품(MXD)은 대조군에 비해 모유두 세포의 성장률이 미미하다(2.9%).
또한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사용하거나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화학식 2의 화합물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등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사용한 경우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낸다(표 1).
따라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을 위해서는 상기 화합물이 0.05~15%의 농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발모촉진 효과가 미미하거나 두피 혹은 피지의 생성을 오히려 가속화시키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화학식 2의 화합물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각 화합물의 중량비는 30~70:70~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 내지 화학식 3의 화합물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각 화합물의 중량비는 1:0.7~1.3:0.7~1.3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의 화합물 내지 화학식 3의 화합물 이외에 트리리놀레인, 트리리시놀레인, 팔미트산(palmitic acid), 올레인산, 아라킨산 및 아라키돈산을 추가하는 경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추가되는 화합물의 중량비는 1:0.2~1.2인 것이 바람직하다.
농도(%)
0 5 0.01 0.05 0.1 0.2
Control 100 - - - - -
MXD - 102.9 - - - -
화학식 1의 화합물 - - 105.8 120.7 129.6 124.0
화학식 2의 화합물 - - 104.9 121.1 128.5 123.9
화학식 1의 화합물 + 화학식 2의 화합물
(중량비는 1:1)
- - 103.7 120.4 128.1 124.6
화학식 1의 화합물 + 화학식 2의 화합물 + 화학식 3의 화합물
(중량비는 1:1:1)
- - 105.2 123.2 127.9 124.2
화학식 1의 화합물 + 화학식 2의 화합물 + 화학식 3의 화합물 +
트리리놀레인 + 트리리시놀레인 + 팔미트산 + 올레인산 + 아라킨산 + 아라키돈산
(각 성분의 중량은 동일)
- - 104.8 121.9 128.6 123.7
올리브 오일 추출물 - - 103.8 118.4 125.4 121.1
(실시예 4) 조성물을 마우스에 처리하였을 때 발모 효과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마우스에 처리한 경우에 있어서, 제모 3주 후의 발모 효과는 도 2 내지 4에 제시된다.
도 2는 정상 쥐를 제모하고 그 부위에 3주 동안 약물을 도포한 후의 발모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약물이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2(a))에 비해 미녹시딜 5%를 도포한 경우(2(b)) 및 화학식 1의 화합물 10%를 도포한 경우(2(c)) 높은 발모촉진 효과를 나타낸다.
도 3은 탈모 유전 쥐의 탈모 부위에 3주 동안 약물을 도포한 후의 발모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약물이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3(a))에 비해 화학식 1의 화합물 10%를 도포한 경우(3(b)) 높은 발모촉진 효과를 나타낸다.
도 4는 탈모 유전 쥐에 3주 동안 약물을 섭취시킨 후의 발모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약물을 섭취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매일 1㎖씩 3주 동안 섭취한 경우 높은 발모촉진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5) 조성물을 인체에 처리하였을 때 발모 효과
화학식 1의 화합물을 10% 포함하는 헤어에센스를 제조하여, 1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16주 동안 시험한 후, 모발 직경, 주관적 평가 등을 수행하였다.
각 피험자는 매일 1회씩 정수리 및 앞머리 부위에 상기 헤어에센스를 도포하였다.
모발 밀도는 1제곱센티미터 당 모발 개수로 계산하였으며, 모발 직경은 측정 영역 내에서 1~5번째 굵은 모발들의 평균직경으로 계산하였다.
모발 밀도에 있어서, 시험 전의 모발 개수는 54.4개이고, 시험 16주 후의 모발 개수는 55.7개로서 약 2.4%의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모발 직경에 있어서, 시험 전의 모발 직경은 0.162㎛이고, 시험 8주 후의 모발 직경은 0.170㎛이며, 시험 16주 후의 모발 직경은 0.175㎛로서, 본 발명의 헤어에센스를 사용함으로써 약 7.8%의 모발 직경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발의 밀도 및 직경을 개선함으로써 탈모의 진행을 완화시키고 모발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표 2).
모발 개수(개) 모발 직경(㎛)
시험 전 54.4 0.162
시험 8주 후 52.9 0.170
시험 16주 후 55.7 0.175
또한 시험자의 육안 평가 및 피험자의 모발의 풍성함, 탈락 모발 수, 모발의 두께, 모발 성장 속도는 매우 좋아짐(3), 좋아짐(2), 조금 좋아짐(1), 변화 없음(0), 조금 나빠짐(-1), 나빠짐(-2), 매우 나빠짐(-3)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표 3).
육안 평가 모발의 풍성함 탈락
모발 수
모발의 두께 모발
성장 속도
시험 전 0 0 0 0 0
시험 8주 후 0.4 0.7 0.6 0.6 0.7
시험 16주 후 1.0 1.1 1.2 1.0 1.0
평가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전체적인 외관이나 발모 효과 등에 상당한 정도의 개선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10% 포함하는 헤어에센스를 도포한 후의 발모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사용한 경우(a), 화학식 1 내지 3의 화합물을 사용한 경우(b) 및 올리브 오일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c) 모두 높은 발모촉진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4)

  1.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화학식 2의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0.05~1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502452844-pat00018


    [화학식 2]
    Figure 112019502452844-pat00019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트리리놀레인, 트리리시놀레인, 팔미트산, 올레인산, 아라킨산 및 아라키돈산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약학 조성물.
  3.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화학식 2의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0.05~1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502452844-pat00020


    [화학식 2]
    Figure 112019502452844-pat00021

  4.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화학식 2의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0.05~1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502452844-pat00022


    [화학식 2]
    Figure 112019502452844-pat00023


KR1020190001070A 2019-01-04 2019-01-04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973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070A KR101973810B1 (ko) 2019-01-04 2019-01-04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070A KR101973810B1 (ko) 2019-01-04 2019-01-04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565A Division KR101941259B1 (ko) 2017-03-28 2017-03-28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857A KR20190003857A (ko) 2019-01-09
KR101973810B1 true KR101973810B1 (ko) 2019-09-02

Family

ID=65017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070A KR101973810B1 (ko) 2019-01-04 2019-01-04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8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5597A (en) 1988-12-06 1992-03-17 Shaikh Ghaleb Mohammad Yassin Alhamad Method of making an expanded metal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192B1 (ko) 2004-07-27 2008-02-11 이병수 한약재를 이용한 발모제 조성물
KR100846572B1 (ko) 2008-02-14 2008-07-15 동아제약주식회사 도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약학조성물
CN102421428B (zh) 2009-05-12 2014-01-29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用于防止脱发或促进毛发生长的组合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5597A (en) 1988-12-06 1992-03-17 Shaikh Ghaleb Mohammad Yassin Alhamad Method of making an expanded metal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857A (ko)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0310A (ko) 청호, 님잎,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20170025375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360881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6709783B2 (ja) アルパインワームウッド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KR102179610B1 (ko) 월견자 및 의이인 정유 혼합물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70025367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541470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973810B1 (ko)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200058730A (ko)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CN116249514A (zh) 包含奶蓟花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防止脱发或促进生发的组合物
EP3925603A1 (en) Composition for allergy prevention, atopic dermatitis alleviation or skin regeneration,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undecane or undecanal
KR101438332B1 (ko) 포시티아사이드-에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995367B1 (ko)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721666B1 (ko) 선복화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41259B1 (ko)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047461B1 (ko)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607526B1 (ko) 클로렐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약학 조성물
KR20170025352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90130543A (ko)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384239B1 (ko) 오미자, 산수유, 박하 및 월견자 정유 혼합물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232216B1 (ko) 의이인 유래 정유를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384238B1 (ko) 오미자, 산수유, 및 익모초 정유 혼합물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80041108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315709B1 (ko) 로베티올린을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276483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