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787B1 - 모바일을 이용한 치아 카빙 실습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을 이용한 치아 카빙 실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787B1
KR101973787B1 KR1020170013498A KR20170013498A KR101973787B1 KR 101973787 B1 KR101973787 B1 KR 101973787B1 KR 1020170013498 A KR1020170013498 A KR 1020170013498A KR 20170013498 A KR20170013498 A KR 20170013498A KR 101973787 B1 KR101973787 B1 KR 101973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image
wax model
mobile device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8997A (ko
Inventor
박종태
박사범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3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787B1/ko
Publication of KR20180088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dentistry or oral 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06F3/1462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with means for detecting differences between the image stored in the host and the images displayed on the remote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ntistry (AREA)
  •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 상에 가상 왁스모형을 디스플레이하고, 실습자는, 가상 왁스모형을, 터치 펜을 이용하여 각 치아별 조각단계에 따른 가상 조각실습을 행하고, 가상 실습 결과물인 가상 치아 왁스모형과 실습설정 치아를 비교, 평가하며, 또한, 실습자가 실제 왁스모형으로 각 치아의 조각단계에 따른 실제 조각실습을 행하고, 실제 실습 결과물인 실제 치아 왁스모형을 모바일 기기로 촬상하며, 모바일 기기는 촬상된 실제 실습 결과물인 실제 치아 왁스모형과 실습설정 치아를 비교, 평가하도록 이루어진,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치아 카빙 실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은,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가상 왁스모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연산처리부는, 가상 왁스모형 영상 상에서 터치펜의 움직임 신호를,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로 부터 수신하고, 터치펜의 움직임 신호를 조각도에 의한 조각신호로 인식하여, 가상 왁스모형을 실습설정 치아의 형태로 가상 조각하도록 하여,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실습자 모바일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바일을 이용한 치아 카빙 실습시스템{Mobile Tutorial system of Tooth Carving}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즉, 개인 단말기)를 이용한 치아 카빙(carving, 조각) 실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모바일 기기 상에 가상 왁스모형을 디스플레이하고, 실습자는, 가상 왁스모형을, 터치 펜을 이용하여 각 치아별 조각단계에 따른 가상 조각실습을 행하고, 가상 실습 결과물인 가상 치아 왁스모형과 실습설정 치아를 비교, 평가하며, 또한, 실습자가 실제 왁스모형으로 각 치아의 조각단계에 따른 실제 조각실습을 행하고, 실제 실습 결과물인 실제 치아 왁스모형을 모바일 기기로 촬상하며, 모바일 기기는 촬상된 실제 실습 결과물인 실제 치아 왁스모형과 실습설정 치아를 비교, 평가하도록 이루어진,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치아 카빙 실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치의학 분야에 입문한 학습자가 치아 형태를 이해하고 임상의 기반 기술을 익히기 위해서는 치아카빙 실습이 필요하며, 특히, 치아카빙 실습은, 단계별 모델을, 필요할 때마다 관찰할 수 있을 때 더 효과적이다.
치아의 종류에 따른 3D모델링된 가상 치아와, 가상 치아 왁스모형과, 가상으로 터치 펜을 이용하여 치아 카빙이 가능하도록 된, 치아 카빙 실습시스템이 요망된다.
또한, 단지 실습생 혼자 실습만 행하는 경우는, 제대로 실습을 행하고 있는지 알수 가 없어, 본인이 가상 실습하거나 실제 실습한 결과물의 평가가 요망된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성장하면서 어릴 때 사용하던 치아를 성인기 치아로 교체하는 것이 보통이며 이에 따라 젖니(유치)와 간니(영구치)로 나눌 수 있다. 젖니는 출생 후 6~7개월에 나기 시작하여 상하 각각 10개씩 모두 20개의 치아로 이루어지며, 간니(영구치)는 만 6세 무렵부터 유치가 탈락된 자리에 나오며 유치에는 없었던 어금니들이 유치열 뒤쪽에 새로 나와 영구치열이 완성되며, 사랑니를 포함해서 상하 각각 16개씩 32개의 치아가 있다.
또한, 치아는 다시 치관, 치경, 치근 및 치근점으로 나눠지는 데, 임상상의 구분으로는 치관부, 치경부, 치근부 및 근첨부가 있다. 치아는 그 중심부에 있는 치수강 내용물을 제외하고는 딱딱하다. 치아의 대부분은 상아질(象牙質 : dentin)로 구성되며, 매우 굳은 무기질인 법랑질(琺瑯質)은 보통 치은연보다 위로 치관부를 덮는다. 얇은 백악질(白堊質)은 악골내에 박혀 있는 치근부를 덮으며, 여기서, 백악질(crusta petrosa)은 진짜 골을 말한다. 치수강(齒髓腔)은 수실(髓室)과 수관(髓管)의 두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수실은 대부분 치관내에 존재하며, 수관은 치근 내부를 관통하여 치근첨에 도달하고 있다. 치아가 두 개 이상의 뿌리(根)를 갖는 경우에도 각 뿌리에 적어도 한 개의 수관(髓管) 혹은 근관이 존재한다. 치수강에는 치수가 존재하나, 이것은 결합조직, 혈관, 신경을 포함한 연조직이다.
간니(영구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중절치(central incisor)(1), 측절치(lateral incisor)(2), 견치(송곳니, canine)(3), 제1 소구치(first premolar)(4), 제2 소구치(second premoalr)(5), 제1대구치(first molar)(6), 제2대구치(second molar)(7), 3대구치(third molar)(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중절치(1), 측절치(2), 견치(3)를 전치부라 하고, 제1 소구치(4), 제2 소구치(5), 제1대구치(6), 제2대구치(7), 3대구치(8)를 구치부라 한다.
전치(앞니)는 중앙에서 좌우 견치(송곳니)까지 6개를 말하며, 이중 정중앙 양쪽 앞니는 중절치(1)라 하고, 그 바로 옆의 앞니를 측절치(2)라 하고, 측절치의 옆의 치아를 견치(3)이라 한다.
소구치(4, 5)는 좌우 견치(3) 뒤로 2개씩 나오며, 순서대로 제1소구치(4), 제2소구치(5)라 한다.
대구치(6, 7, 8)는 큰어금니를 말하며, 좌우 제2소구치(5) 뒤로 3개씩 나오며, 순서대로 제1대구치(6), 제2대구치(7), 제3대구치(사랑니)(8)라 한다.
또한, 치아는 4개 또는 5개의 면을 가지고 있는 데, 각 치면(치아의 면)의 이름은 그 치면이 향하고 있는 방향에 따라 달리 불린다.
도 2는 치아의 각면의 명칭 및 방향표시를 설명하는 모식도로, 도 2의 (a)는 전치부의 치면을 설명하는 모식도이고, 도 2의 (b)는 구치부의 치면을 설명하는 모식도이고, 도 2의 (c)는 치면이 향하고 있는 방향에 대한 용어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전치부의 치면에 있어서, 순면(labial surface)(11)은 입술 쪽으로 향한 면이고, 설면(lingual surface)(13)은 혀 쪽을 향한 면이며, 근심면(mesial surface)(14)은 정중선을 중심으로 가까운 쪽의 인접면이고, 원심면(distal surface)(12)은 정중선을 중심으로 멀리 있는 쪽의 인접면이다.
구치부의 치면에 있어서, 협면(buccal surface)(15)은 볼 쪽을 향한 면이고, 설면(lingual surface)(13)은 혀 쪽을 향한 면이고, 근심면(mesial surface)(14)은 정중선을 중심으로 가까운 쪽의 인접면이고, 원심면(distal surface)(12)은 정중선을 중심으로 멀리 있는 쪽의 인접면이고, 교합면(occlusal surface)(20)은 상하악 치아가 교합하는 동안 접촉되는 면이다.
치면이 향하고 있는 방향과 관련된 용어에 있어서, 치아의 각 방향은 치아 장축을 기준으로 치관측, 치근측으로 구분하고 치관부 기준으로 절단측(24), 교합측(20), 치경측(23), 치은측으로 구분하며, 치아 혹은 치열을 기준으로 하면 근심측(21), 원심측(22)으로 구분할 수 있다.
치관(치아의 머리 부분)의 돌출 부위에 있어서, 교두(cusp)는 구치부 교합면 협측과 설측에 위치한 산 모양 같이 돌출된 법랑질이 융기 부위이고, 첨두(tip of cusp)는 견치의 절단 부위의 뾰족한 부위이고, 절단결절(mamelon)은 절치의 절단에 형성된 돌출 부위이고, 설면결절(cingulum):전치 설면의 치경 13 부위에 형성된 돌출 부위이고, 변연융선(marginal ridge)은 전치의 설면, 구치의 교합면에 근심연과 원심연에 선상의 돌출부위이고, 설면융선(lingual ridge)은 견치 설면첨두에서 치경부를 향해 형성된 융선이고, 교두융선(cusp ridge)은 구치의 각 교두정에서 근심과 원심, 협측과 설측으로 형성된 융선이고, 삼각융선(triangular ridge)은 구치의 교두정에서 교합면의 중심을 향해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융선이고, 횡주융선(transverse ridge)은협측삼각융선과 설측삼각융선이 직선 형태로 마주보고 연결된 연합융선이고, 사주융선(obilique ridge)은 협측삼각융선과 설측삼각융선이 대각선 형태 로 마주보고 연결된 연합융선이다.
치관의 함몰 부위에 있어서, 구(groove)는 엽과 엽, 교두와 교두, 융선과 융선 등의 사이에 나타나는 선상의 함몰 부위이며, 삼각구(triangular groove)는 삼각융선과 변연융선 사이에 형성되는 선상의 함몰 부위이고, 와(fossa)는 치면에 불규칙한 원형이나 삼각형 형태의 넓은 함몰 부위이며, 소와(fit)는 와에서 가장 깊은 점상의 함몰 부위이고, 교두간강(intercuspital space)은 협측교두와 설측교두 사이에 형성되는 넓은 함몰 부위이다.
치근 부위에 있어서, 치근관(root canal)은 치근 내의 치수부위이고, 치근단공(apical foramen)은 치근단에 위치한 구멍으로 신경과 혈관이 들어오는 곳이며, 부근과(accessory canal)은 주로 치근 근첨부의 1/3 부위에 발달한 주근 관의 가지이고, 측지(lateral canal)는 치근 근첨부 이외의 부위에서 나오는 주근관의 가쪽 가지이고, 치근분지부(root furcation)는 다근치의 치근이 갈라지는 부위이다.
도 3은 치아카빙시에 사용되는 왁스모형의 일예이고, 도 4는 치아 카빙 시작시의 왁스모형의 일예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치아형태를 조각하는 데, 형태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각 부위를 3등분으로 구분하며, 밑부분 등에 그 부위마다 명칭을 붙여 사용한다.
선행기술로, 본 발명자에 의한 논문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2)의 '3D모델링 기술을 활용한 모바일 튜토리얼 방식의 치아카빙 실습지원도구 개발' (2016년 2월)과, 본 발명자에 의한 책인, 퍼시픽 북스에서 출판한 '앱을 활용한 치아형태학 실습서'(2016.2.20. 발행)가 있다. 이들은 단지, 모바일 기기상에, 조각하고자 하는 치아를, 조각하는 단계별로 이미지화하여 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를 회전시켜 볼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가상으로 치아카빙 실습을 하거나, 가상 또는 실상으로 실습한 결과물에 대해 평가받을 수 없다.
다른 선행기술로, 국내 공개특허 2002-0030415호 '치아형태학 교육용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이 있다. 이 발명은, 저장매체로 부터 치아의 3차원 이미지 데이터와 이를 실행시키는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을 로딩하는 제 1 단계와, 관찰하려는 특정 치아가 선택되면 상기 단계에서 로딩된 치아의 이미지 데이터중 해당 치아의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2차원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가공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제 2 단계와, 제 2 단계에서 화면으로 출력되는 치아의 입체적 관찰을 위해 시점을 변경하면 치아의 이미지가 회전하도록 시점을 기준으로 해당 치아의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재구성하여 출력하는 제 3 단계를 구비한다. 국내 공개특허 10-2002-0030415호는, 단지, 가상 치아를 3차원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이미지를 회전시켜 볼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치아카빙 실습을 하거나, 그 실습한 결과물에 대해 평가받을 수 없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 국내 공개특허 2003-0086638호 '인공 세라믹 치아 축성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있다. 이 발명은 치아 사진 또는 치아 샘플을 이용하여 치과 기공소에서 도재 분말 색소를 이용하는 것과 같이, 컴퓨터상에서 분말재료를 혼합하는 과정과 똑같은 칼라 혼합과정과 3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제 치아와 똑같이 만들어, 컴퓨터 상의 가상 치아를 출력하는 것이다. 즉, 국내 공개특허 2003-0086638호는 치아를 가상으로 분말재료를 혼합하여 가상으로 치아를 축성하는 것으로, 주로 기공사를 위한 것이다. 국내 공개특허 2003-0086638호는 치아를 조각하는 치아카빙 실습을 하거나, 그 실습한 결과물에 대해 평가받을 수 없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상의 왁스모형을 디스플레이하고, 실습자로 하여금 가상으로 각 치아의 조각단계에 따른 조각실습을 행하고, 가상 실습 결과물인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을 비교, 평가하여 실습자에게 알리도록 이루어진,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치아 카빙 실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모바일 기기상의 설명을 들으면서 실습자가 실제 왁스모형으로 각 치아의 조각단계에 따른 조각실습을 행하고, 실제 실습 결과물인 치아모형을 모바일 기기로 촬상하며, 모바일 기기는 촬상된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을 비교, 평가하도록 이루어진,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치아 카빙 실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실습자의 모바일 기기에서 실습자가 행하여진 실습결과물은, 메인서버를 통해, 교육자 모바일 기기로 전송되고, 교육자의 평가 및 교육자의 의견이 메인서버를 통해 실습자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되도록 이루어진,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치아 카빙 실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은,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가상 왁스모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연산처리부는, 가상 왁스모형 영상 상에서 터치펜의 움직임 신호를,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로 부터 수신하고, 터치펜의 움직임 신호를 조각도에 의한 조각신호로 인식하여, 가상 왁스모형을 치아형태로 가상 조각하도록 하여, 실습결과물 영상인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실습자 모바일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은, 실습자가 선택한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형태에 따라, 가상 조각된 것이다.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연산처리부는,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을 매칭하여, 실습결과물 검토영상인,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차를 표시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연산처리부는,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차와,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을,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메모리부에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은, 실제 왁스모형을 이용하여 실습설정 치아의 형태로 조각된 실제 치아 왁스모형을,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카메라가 촬상하여, 실습결과물 영상인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을 획득하여,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연산처리부로 전송하며,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연산처리부는,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을 매칭하여, 실습결과물 검토영상인,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차를 표시한 영상을,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실습자 모바일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은,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카메라로 촬상시,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되,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된 영상 삽입 공간 내에 삽입된 영상이다.
실습자 모바일기기는, 교육자 검토 요청신호와 함께, 실습 결과물 영상과 실습 결과물 검토영상을 메인서버를 통해 교육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교육자 단말기로부터 메인서버를 통해 교육자 검토결과를 수신한다.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차를 표시한 영상은,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이 실습설정 치아 영상보다 큰 경우와,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이 실습설정 치아 영상보다 작은 경우는, 서로 다른 색깔로, 표시된다.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차를 표시한 영상은,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이 실습설정 치아 영상보다 큰 경우와,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이 실습설정 치아 영상보다 작은 경우는, 서로 다른 색깔로,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습자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실습을 행하도록 이루어지며, 가상 실습모드와 실제 실습모드를 포함하는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에 있어서, 실습자 모바일기기는, 가상 실습모드에서는,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가상 왁스모형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연산처리부는, 가상 왁스모형 영상 상에서 터치펜의 움직임 신호를,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로 부터 수신하고, 터치펜의 움직임 신호를 조각도에 의한 조각신호로 인식하여, 가상 왁스모형을 치아형태로 가상 조각하도록 하여,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실제 실습모드에서는, 실제 왁스모형을 이용하여 실습설정 치아의 형태로 조각된 실제 치아 왁스모형을,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카메라가 촬상하여,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을 획득하여,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연산처리부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제 실습모드에서,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연산처리부는,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을 매칭하여, 실습결과물 검토영상인,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차를 표시한 영상을,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은, 실습자가 선택한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형태에 따라, 가상 조각된 것이며, 가상 실습모드에서,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연산처리부는,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을 매칭하여, 실습결과물 검토영상인,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차를 표시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실습자 모바일기기는,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가상 왁스모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연산처리부는, 가상 왁스모형 영상 상에서 터치펜의 움직임 신호를,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로 부터 수신하고, 터치펜의 움직임 신호를 조각도에 의한 조각신호로 인식하여, 가상 왁스모형을 치아형태로 가상 조각하도록 하여 획득된, 실습결과물 영상인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가상실습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연산처리부는, 가상실습 단계에서 획득된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을 매칭하여, 실습결과물 검토영상인,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차를 표시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가상실습결과 평가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실습자 모바일기기에서, 실제 왁스모형을 이용하여 실습설정 치아의 형태로 조각된 실제 치아 왁스모형을,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카메라로 촬상하여, 실습결과물 영상인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을 획득하여,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연산처리부로 전송하며,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연산처리부는,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을 매칭하여, 실습결과물 검토영상인,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차를 표시한 영상을,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실제실습 평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실습자 모바일기기가, 교육자 검토 요청신호와 함께, 실습 결과물 영상과 실습 결과물 검토영상을 메인서버를 통해 교육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교육자 단말기로부터 메인서버를 통해 교육자 검토결과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진, 교육자 검토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모바일기기로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모바일기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모바일기기로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치아 카빙 실습시스템은 가상의 왁스모형을 디스플레이하고, 실습자로 하여금 가상으로 각 치아의 조각단계에 따른 조각실습을 행하고, 가상 실습 결과물인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을 비교, 평가하여 실습자에게 알리도록 이루어져, 실습자는 언제, 어디서나, 실습이 가능하며, 또한, 실습한 결과가 제대로된 결과를 얻은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상의 설명을 들으면서 실습자가 실제 왁스모형으로 각 치아의 조각단계에 따른 조각실습을 행하고, 실제 실습 결과물인 치아 왁스모형을 모바일 기기로 촬상하며, 모바일 기기는 촬상된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을 비교, 평가하도록 이루어져, 가상 실습뿐만아니라, 실제 실습을 행하고, 그 실습 결과가 제대로된 결과를 얻은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습자의 모바일 기기에서 실습자가 행하여진 실습결과물을, 메인서버를 통해 실습자에 의해 설정된 교육자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고, 교육자의 평가 및 교육자의 의견이 메인서버를 통해 실습자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되도록 이루어져, 실습자는 언제, 어디서나, 가상 교육뿐만아니라, 교육자의 교육, 의견(자문) 및 평가를 받을 수 있다.
도 1은 치아의 종류와 명칭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는 치아의 각면의 명칭 및 방향표시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치아카빙시에 사용되는 왁스모형의 일예이다.
도 4는 치아 카빙 시작시의 왁스모형의 일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5의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을 이용하여 치아 카빙 실습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1의 실습자 모바일기기 상에서, 가상실습 모드를 위해, 가상 왁스모형을 표시한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의 가상 왁스모형에서, 가상 조각을 행하여 생성된 가상 치아 왁스모형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8의 가상 조각을 행하여 생성된 가상 치아 왁스모형을 실습설정 치아 영상과 비교하여 차를 표시한 경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1단계 조각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2단계 조각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3단계 조각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4단계 조각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5단계 조각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6단계 조각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에서, 실제 치아 왁스모형을 실습자 모바일기기로 촬상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모식도로, 실습자 모바일기기(100), 터치펜(150), 메인서버(200), 교육자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는 실습자의 모바일 기기로, 실습자는 인증을 통해 회원가입을 행하고, 메인서버(200)로 부터 수신된 소정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한다.
여기서, 소정 응용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모바일기기로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모바일기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일 수 있으며, 또한,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모바일기기 또는 컴퓨터로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일 수 있다.
또한,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북, 컴퓨터 중 어느 것이라도 상관없으며, 노트북, 컴퓨터를 사용할 경우, 터치펜(150) 대신에, 마우스, 키패드, 조이스틱 등 어느 것으로도 대치 가능하다.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는 내측에 연산처리부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컴퓨터(예를 들어 원친컴퓨터)를 포함하는 기기이다.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는 메인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치아형태 도해 및 조각 기초사항, 치아형태 기본용어, 치아의 조각방법 등을 설명하는 강의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는, 가상실습이 요청된 경우(즉, 가상실습 모드인 경우)에, 실습자가 선택한 실습할 치아 종류, 즉, 실습설정 치아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또한, 가상의 왁스모형을 디스플레이하고, 실습자는 디스플레이된 실습설정 치아 영상을 참조하면서, 실습자 모바일기기(100) 상에서 터치 펜(150)을 이용하여 각 치아별 조각단계에 따라, 가상 왁스모형을, 실습설정 치아의 형태로, 가상에서 조각을 행하는 실습을 행하며, 이에 따라, 실습자 모바일기기(100)(즉, 실습자 모바일기기(100)의 연산처리부(미도시))는, 가상 실습 결과물인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을 생성한다. 실습자 모바일기기(100)(즉, 실습자 모바일기기(100)의 연산처리부(미도시))는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을 매칭하고, 즉, 영상정합을 행하고,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차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여, 실습자로 하여금 가상 치아카빙이 제대로 되었는지를 평가하게 한다.
즉, 실습자 모바일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60)에 가상 왁스모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실습자 모바일기기(100)의 연산처리부(미도시)는, 가상 왁스모형 영상 상에서 터치펜의 움직임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60)로 부터 수신하여, 터치펜(150)의 움직임 신호를 조각도에 의한 조각신호로 인식하여, 가상 왁스모형을 치아형태로 조각되도록 하여, 실습자 모바일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60)에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실습자가 터치펜(150)을 이용하여, 실습자 모바일기기(100) 상에서 가상 조각시, 실습자는 실습자 모바일기기(100) 에 디스플레이된 가상 조각도 중에 사용하고자 하는 가상 조각도를 선택하고, 선택된 가상 조각도는 기설정된 깊이와 넓이로 조각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가상 조각도 별로, 가상 조각하는 깊이와 넓이가 지정되어 있다.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는 실제실습이 요청된 경우(즉, 실제실습 모드인 경우)에, 실습자가 선택한 실습설정 치아의 영상을 조각단계별로 제시하는 영상을 포함하는 실제 치아카빙 설명자료를 디스플레이하며, 실습자는 상기 영상을 보면서, 실습자는 실제 조각도를 이용하여, 실제 치아카빙 설명자료에서 제시되는 각 치아별 조각단계에 따라, 실제 왁스모형을, 실습설정 치아의 형태로, 조각을 행하는 실습을 행하여, 실제 실습 결과물인 실제 치아 왁스모형을 생성하고, 실제 치아 왁스모형의 실습자 모바일기기(100)의 카메라(미도시)로 촬상하여, 실습자 모바일기기(100) 상에 실제 실습 결과물인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이 획득되게 한다.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는 획득된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을 매칭하고, 즉, 영상정합을 행하고,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차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여, 실습자로 하여금 가상 치아카빙이 제대로 되었는지를 평가하게 한다.
실습자 모바일기기(100) 상에서, 실습초기에 교육자를 지정할 수 있으며, 이때 교육자지정 신청신호는 메인서버(200)를 통해 교육자 단밀기(300)로 전송되며, 교육자가 교육자 단말기(300)에서 승인을 행하면, 교육자 단말기(300)에서 교육자 승인 확인신호가 생성되어, 메인서버(200)를 통해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로 전달되게 된다. 그 다음, 실습자는 필요에 따라 실습자 모바일기기(100) 상에서 결과물 검토요청을 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답변인 검토결과를 교육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메인서버(200)는 인증을 통해 회원 가입, 등록을 행하며, 회원을 관리하고, 필요에 따라, 즉 회원이 저장을 원하는 경우, 회원의 가상실습 결과물 또는 실제실습 결과물을 저장한다. 또한, 메인서버(200)는, 회원이 지정한 실습모드, 즉, 가상실습 또는 실제실습에 따라 필요한 실습자료를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로 전송한다. 또한, 메인서버(200)는, 회원의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를, 회원이 지정한 교육자의 교육자 단말기(300)와 연결하여, 그 실습 결과물 및 그 검토결과를 서로 공유할 수 있게 한다.
교육자 단말기(300)는,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로부터, 메인서버(200)을 통해, 교육자지정 신청신호를 수신하고, 교육자는 교육자 단말기(300) 상에서 교육자지정 승인을 행하면, 교육자 단말기(300)는 교육자 승인 확인신호를 생성하여, 메인서버(200)을 통해,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로 전송한다. 그후, 실습자는 필요에 따라 실습자 모바일기기(100) 상에서 교육자 검토요청을 행하면, 교육자 단말기(300)는,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로부터 메인서버(200)를 통해, 교육자 검토 요청신호와 함께, 실습 결과물인 실제 또는 가상의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 결과물인 실제 또는 가상의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차를 수신하고, 교육자는 교육자 단말기(300)을 통해 이들을 검토하고, 검토결과(또는 검토의견, 이는 메시지 또는 영상형태일 수 있음)을 메인서버(200)를 통해,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로 전송한다.
도 6은 도 5의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을 이용하여 치아 카빙 실습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회원 등록단계로,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는 회원가입신청 신호를 메인서버(120)로 전송하고(S120)), 메인서버(200)는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로부터 회원가입신청 신호가 수신되면, 인증을 통해 회원을 등록하며, 등록된 회원의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로 회원가입 승인 신호와 함께, 소정 응용프로그램을 전송하여, 실습자 모바일기기(100)에 설치하게 한다.
응용프로그램 실행단계로, 회원 등록된 실습자가 실습자 모바일기기(100)에서 소정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한다(S150).
교육자 지정단계로, 실습자가 실습자 모바일기기(100)에서 소정 교육자를 지정하면,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는 교육자지정 신청신호를 메인서버(200)로 전송하고(S160), 메인서버(200)는 해당 교육자의 교육자 단말기(300)로 교육자지정 신청신호를 전송하게 되며(S170), 해당 교육자의 교육자 단말기(300)에서 교육자는 실습자의 교육을 담당할 것 인지를 결정하게 되는 데, 이때, 실습자의 교육을 담당할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교육자는 교육자 단말기(300)에서 실습자 교육 담당을 승인하게 되고(S180), 이에 따라, 교육자 단말기(300)로부터 메인서버(200)로 교육자승인 확인신호를 전송되고(S190), 메인서버(200)는 수신된 교육자승인 확인신호를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로 전송하게 된다(S200).
강의 단계로, 실습자가 실습자 모바일기기(100)에서 강의 신청을 행하면, 실습자 모바일기기(100)에서 강의 요청신호가 메인서버(200)로 전송되고(S210), 메인서버(200)에서 강의 자료를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로 전송되고,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는 메인서버(200)로부터 수신된 강의 자료를 디스플레이하여, 실습자로 하여금 강의를 받게 한다(S220). 상기 강의 자료에는 치아 카빙의 기초사항(즉, 조각도 사용법, 조각하는 자세, 치아형태 조각시 사용되는 등분선과, 각 부위의 명칭, 치아형태 기본용어 등등), 치아 종류별 설명(즉, 치아의 종류별 형태와 그 기능 등등), 치아 종류별 영상, 치아의 조각방법 설명, 치아 조각 단계별로 치아 조각(카빙) 영상 등을 포함한다. 특히, 치아 종류별 영상 및 치아 조각 단계별로 치아 조각(카빙) 영상은, 치아의 입체적 관찰을 위해, 실습자의 설정에 따라, 시점(視點)을 변경하면서 치아의 3차원 이미지를 회전하여 실습자가 볼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가상실습 단계로, 실습자가 실습자 모바일기기(100)에서 특정 치아의 가상 실습(즉, 가상 치아카빙 실습)을 신청을 행하면, 실습자 모바일기기(100)에서 가상실습 요청신호가 메인서버(200)로 전송되고(S250), 메인서버(200)에서, 가상 왁스모형을 포함하는 가상 실습 자료(즉, 가상 치아카빙 실습 자료)를,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로 전송하고(S260),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는, 메인서버(200)로부터 수신된 가상 치아카빙 자료를 디스플레이하며, 실습자는 실습할 치아 종류를 선택하면, 선택된 치아, 즉, 실습설정 치아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며, 디스플레이된 실습설정 치아 영상을 참조하면서, 실습자는 실습자 모바일기기(100) 상에서 터치 펜(150)을 이용하여 각 치아별 조각단계에 따라, 가상 왁스모형을, 실습설정 치아의 형태로, 가상에서 조각을 행하는 실습을 행하며, 이에 따라, 가상 실습 결과물인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이 생성된다(S270). 여기서, 가상 치아카빙 자료는 가상 왁스모형, 특정 치아 영상, 특정 치아의 조각방법에 대한 설명 등을 포함한다. 또한, 실습자는 가상 왁스모형에서 가상으로 치아를 조각하면서, 조각된 치아의 입체적 관찰을 위해, 실습자의 설정에 따라, 시점을 변경하면서 치아의 3차원 이미지가 회전하여 실습자가 볼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실습자는 특정 치아 영상을 관찰하면서, 특정 치아의 조각을 행하며, 특정 치아의 조각방법에 대해서도 디스플레이되도록 이루어져 있어, 실습자는 필요에 따라 이를 참고할 수 있다.
가상실습결과 평가단계로,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는 가상실습 단계에서 생성된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가상실습 단계 초기에 설정된 실습설정 치아 영상을 매칭하고, 즉, 영상정합을 행하고,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차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되,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즉,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의 화소값)이 실습설정 치아 영상(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화소값)보다 큰 경우와,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이 실습설정 치아 영상보다 작은 경우,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이 실습설정 치아 영상과 같은 경우를 각각 다른 색깔로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한다(S280).
가상실습 결과물 저장단계로, 가상실습 단계에서 생성된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가상실습결과 평가단계에서 출력된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차(즉, 가상 치아 왁스모형과 실습설정 치아의 차를 나타내는 영상)를 실습자 모바일기기(100)(즉, 실습자 모바일기기(100)의 메모리부(미도시)) 또는 메인서버(200)에 저장한다(S290).
실제실습 단계로, 실습자가 실습자 모바일기기(100)에서 실제 실습(즉, 실제 치아 카빙 실습)을 신청을 행하면, 실습자 모바일기기(100)에서 실제 실습 요청신호가 메인서버(200)로 전송되고(S300), 메인서버(200)에서, 실제 실습 자료, 즉, 실제 치아카빙 설명자료를,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로 전송하고(S310),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는, 메인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실제 치아카빙 설명자료를 디스플레이하며, 실습자가 실습할 치아 종류를 선택하면, 선택된 치아, 즉, 실습설정 치아가 디스플레이되며, 실습자는 실제 조각도를 이용하여, 실제 치아카빙 설명자료에서 제시되는 각 치아별 조각단계에 따라, 실제 왁스모형을, 실습설정 치아의 형태로, 조각을 행하는 실습을 행하여, 실제 실습 결과물인 실제 치아 왁스모형을 생성하고, 실제 치아 왁스모형의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로 촬상하여, 실습자 모바일기기(100) 상에 실제 실습 결과물인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이 생성된다(S320). 여기서, 실제 치아카빙 설명자료는 특정 치아 영상, 특정 치아의 조각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자료 등을 포함한다. 또한, 실습자는, 조각단계에 따른 실습설정 치아 영상을, 시점을 변경하면서 치아의 3차원 이미지가 회전하면서 실습자가 볼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때, 실제 치아 왁스모형의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로 촬상 시에는, 실습자 모바일기기(100)의 디스플레이 상에 촬상된 영상이 들어가는 영상 삽입 공간이 제시되고, 실습자는, 실제 치아 왁스모형의 영상이, 상기 영상 삽입 공간에 가득차도록, 촬상한다.
실제실습결과 평가단계로,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는 실제실습 단계에서 생성된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제실습 단계 초기에 설정된 실습설정 치아 영상을 매칭하고, 즉, 영상정합을 행하고,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차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되,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즉,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의 화소값)이 실습설정 치아 영상(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화소값)보다 큰 경우와,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이 실습설정 치아 영상보다 작은 경우,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이 실습설정 치아 영상과 같은 경우를 각각 다른 색깔로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한다(S330).
실제실습 결과물 저장단계로, 실제실습 단계에서 생성된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제실습결과 평가단계에서 출력된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차(즉, 실제 치아 왁스모형과 실습설정 치아의 차를 나타내는 영상)를 실습자 모바일기기(100) 또는 메인서버(200)에 저장한다(S350).
교육자 검토 단계로, 실습자가 실습자 모바일기기(100)에서 교육자 검토 요청을 행하면,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는 교육자 검토 요청신호와 함께, 실제실습 단계에서 생성된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제실습결과 평가단계에서 출력된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차(즉, 실제 치아 왁스모형과 실습설정 치아의 차를 나타내는 영상)를 메인서버(200)로 전송하고(S360), 메인서버(200)는 이를 교육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며(S370), 교육자는 교육자 단말기(300)을 통해 이들을 검토하고(S380), 검토결과(또는 검토의견)을 메인서버(200)로 전송하고(S410), 메인서버(200)는 검토결과(또는 검토의견)을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로 전송한다(S420).
도 7은 도 5의 실습자 모바일기기(100) 상에서, 가상실습 모드를 위해, 가상 왁스모형을 표시한 경우를 나타내며, 도 8은 도 7의 가상 왁스모형에서, 가상 조각을 행하여 생성된 가상 치아 왁스모형의 일예를 나타내며, 도 9는 도 8의 가상 조각을 행하여 생성된 가상 치아 왁스모형을 실습설정 치아 영상과 비교하여 차를 표시한 경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에서와 같이, 가상 왁스모형(110)이 제시되며, 조각도 대신에 터치 펜(150)을 이용하여, 각 치아별 조각단계에 따라, 가상 왁스모형(110)을, 실습설정 치아의 형태로, 가상에서 조각을 행하는 실습을 행한다. 그 결과, 도 8에서와 같은, 가상 치아 왁스모형(120)이 생성되게 된다.
치아 카빙(즉, 치아 조각)을 행하는 단계는 일반적으로, 6개의 단계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도 7 및 도 8에서도 1단계 조각 스위치(STEP 1) 내지 6단계 조각 스위치(STEP 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그리드 표시/숨김 스위치(Gride hide)(161)를 이용하여 그리드를 표시하거나 숨길 수 있으며, 왁스모형의 색깔을 달리하고 싶을 경우는 왁스 칼라 스위치(Wax color)(162)를 이용하여 왁스모형의 색깔을 지정할 수 있으며, 각 조각단계에서 조각방법에 대한 설명을 보고 싶으면, 교육 스위치(Tutorial)(163)을 지정하여 실습에 대한 설명을 보거나 들을 수 있다.
좌회전 스위치(L) 또는 우회전 스위치(R)을 이용하여, 가상 왁스모형(110) 영상 또는 가상 치아 왁스모형(120) 영상 또는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 등을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시킬 수 있으며, 1회에 회전하는 각도는 제품출하시 정하여져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좌회전 스위치(L) 또는 우회전 스위치(R)를 클릭함에 따라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15도씩 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순면/협면 스위치(Labial/Buccal)은 가상 왁스모형(110) 영상 또는 가상 치아 왁스모형(120) 영상 또는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 등의 순면 또는 협면을 표시하게 하는 스위치이다. 실습설정 치아가 전치부일 경우는 순면이 존재하고, 실습설정 치아가 구치부일 경우는 협면이 존재한다.
근심면 스위치(Mesial)는 가상 왁스모형(110) 영상 또는 가상 치아 왁스모형(120) 영상 또는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 등의 근심면을 표시하게 하는 스위치이다. 원심면 스위치(Distal)은 가상 왁스모형(110) 영상 또는 가상 치아 왁스모형(120) 영상 또는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 등의 원심면을 표시하게 하는 스위치이다. 설면 스위치(Lingual)은 가상 왁스모형(110) 영상 또는 가상 치아 왁스모형(120) 영상 또는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 등의 설면을 표시하게 하는 스위치이다.
교합면/절단면 스위치(Occlusal/Incisal)는 가상 왁스모형(110) 영상 또는 가상 치아 왁스모형(120) 영상 또는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 등의 교합면 또는 절단면을 표시하게 하는 스위치이다. 여기서, 절단면(incisal)과 교합면(Occlusal)은 치관부의 상면을 표시하는 것으로, 즉, 실습설정 치아가 전치부일 경우는 절단(면)이 존재하고, 실습설정 치아가 구치부일 경우는 교합면이 존재한다.
뷰어 스위치(165)로 가상 왁스모형(110) 영상 또는 가상 치아 왁스모형(120) 영상 또는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 등을 3D로 나타내거나 또는 2D로 나타낸다.
도 9에서는, 실습자 모바일기기(100) 상에.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을 영상정합을 행하고,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차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한 것으로,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이 실습설정 치아 영상보다 큰 경우(111)는 빨강색으로 나타내고,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이 실습설정 치아 영상보다 작은 경우(112)는 파랑색으로 나타낸다.
도 10은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1단계 조각을 설명하는 모식도이고, 도 11은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2단계 조각을 설명하는 모식도이고, 도 12는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3단계 조각을 설명하는 모식도이고, 도 13은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4단계 조각을 설명하는 모식도이고, 도 14는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5단계 조각를 설명하는 모식도이고, 도 15는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6단계 조각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의 (a)는 치관부의 순면 도해를 나타내며, 도 10의 (b)는 치관부의 설면 도해를 나타내며, 도 10의 (c)는 치관부의 근심면 도해를 나타내며, 도 10의 (d)는 치관부의 원심면 도해를 나타내며, 도 10의 (e)는 치관부의 절단측(절단면) 도해를 나타낸다.
즉, 1단계 조각은, 좌우측이 바뀌지 않도록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에서 근심면(M)과 원심면(D)을 표시해 주고, 치관부의 각 면을 9등분하여 표시하며, 치관부 각 면에 도 10의 (a) 내지도 10의 (e)에서와 같이, 터치펜(150) 또는 연필 등을 이용하여,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에서, 실습설정 치아인 상악 우측 중절치의 치관부의 순면, 설면, 근심면, 원심면, 절단측의 도해선(도 10의 점선 부분)을 그린다.
경우에 따라서는, 가상 실습시에, 가상 왁스모형에, 근심면(M)과 원심면(D)이 표시되어 있으며, 치관부의 높이, 즉, 치관부 영역을 설정하면, 가상 왁스모형에서, 설정된 치관부 영역에 자동으로 각 면을 9등분하여 표시하여 주며, 사용자는 터치펜(150)으로 각 면에, 주어진 실습설정 치아(예로, 상악 우측 중절치)의 각 면의 형태를 그린다.
도 11의 (a)는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2단계 조각에서, 도 10의 (a)의 치관부의 순면 도해에서 도해선까지 삭제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도 10의 (b)는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2단계 조각에서, 도 10의 (b)의 치관부의 설면 도해에서 도해선까지 삭제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1의 (a)와 같이, 치관부의 순면(Labial surface)을 터치펜(150) 또는 조각도를 이용하여,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에서, 근심연과 원심연의 도해선까지 삭제하고, 절단측은 근심 절단 우각보다 원심 절단 우각이 더 큰 각이 되도록 절단연 부분을 삭제하고, 최대 풍융부위(근심측:절단 1/3, 원심측:절단 1/3과 중앙 1/3의 경계)를 제외하여 절단측과 치경측으로 삭제한다.
일반적으로, 상악 (우측) 중절치에서 최대 풍융부위는 치경 1/3부위이며, 접촉부위는 근심:절단 1/3부위이며, 원심:절단 1/3과 중앙 1/3의 경계이다.
도 11의 (b)와 같이, 치관부의 설면(Lingual surface)을 터치펜(150) 또는 조각도를 이용하여,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에서, 근심연과 원심연의 도해선까지 삭제하되, 근심연과 원심연의 최대풍융부위를 제외하여 삭제한다.
즉, 2단계의 조각은 치관부의 순면과 설면을 터치펜(150) 또는 조각도를 이용하여,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에서, 근심연과 원심연의 도해선까지 삭제하되, 최대 풍융부위를 제외하여 삭제한다.
도 12의 (a)는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3단계 조각에서, 도 10의 (c)의 치관부의 근심면 도해에서 도해선까지 삭제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도 12의 (b)는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3단계 조각에서, 도 10의 (d)는 치관부의 원심면 도해에서 도해선까지 삭제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도 12의 (c)는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3단계 조각에서, 도 10의 (e)의 치관부의 절단면 도해에서 도해선까지 삭제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악 (우측) 중절치의 치관부의 근심면(Mesial surface)에 있어서, 도 12의 (a)에서와 같이,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에서, 터치펜(150) 또는 조각도를 이용하여 조각을 행하되, 순측 외형선을 위하여 순면을 삭제하고, 순면이 약간 볼록한 면이 되도록 하며, 또한, 설측 외형선을 위하여 설면을 삭제하고, 설면이 약간 오목한 면이 되도록 하고, 또한, 근심면은 원심면에 비하여 넓고 평탄한 편이되게 하며, 절단은 순설경의 중앙에서 약간 순측에 위치하도록 주변을 삭제한다. 순측연의 최대 풍융부위는 치경 1/3 부위이고, 설측연의 최대풍융부위도 치경 1/3 부위이다.
상악 (우측) 중절치의 치관부의 원심면(Distal surface)에 있어서, 도 12의 (b)에서와 같이,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에서, 터치펜(150) 또는 조각도를 이용하여 조각을 행하되, 근심면에 비하여 약간 좁고 접촉부위를 중심으로 둥근 편으로 조각을 행하며, 절단은 순설경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주변을 삭제한다.
상악 (우측) 중절치의 치관부의 절단면(Incisal edge)에 있어서, 도 12의 (c)에서와 같이,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에서, 터치펜(150) 또는 조각도를 이용하여 조각을 행하되, 설측과 순측은 패이고(즉, 홈을 형성하고), 중앙부분은 돌출되게 되며, 절단(즉, 절단면)이 중간부에 위치되도록 조각한다.
즉, 2단계의 조각은 치관부의 순면과 설면을 터치펜(150) 또는 조각도를 이용하여,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의 근심면 및 원심면에 있어서, 순측 외형선을 위하여 순면을 삭제하고, 설측 외형선을 위하여 설면을 삭제하고, 절단을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조각한다.
도 13의 (a)는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4단계 조각에서, 순면에 융선이 나타나도록 조각하는 경우이고, 도 13의 (b)는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4단계 조각에서, 설면에 융선이 나타나도록 조각하는 경우이고, 도 13의 (c)는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4단계 조각에서, 근심면에서 순측과 설측 부위의 경사를 나타내도록 조각하는 경우이고, 도 13의 (d)는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4단계 조각에서, 원심면에서 순측과 설측 부위의 경사를 나타내도록 조각하는 경우이고, 도 13의 (e)는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4단계 조각에서, 절단면에서 경사, 돌출등을 고려하여 조각하는 경우이다.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3단계 조각을 행한,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의 상악 우측 중절치의 치관부의 순면에서, 도 13의 (a)와 같이, 중앙순면융선이 나타날 수 있도록 근심측과 원심측을 경사지게 조각한다.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3단계 조각을 행한,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의 상악 우측 중절치의 치관부의 설면에서, 도 13의 (b)와 같이, 치경 1/3 부위는 근원심폭이 순면보다 약간 좁도록 조각하며, 근심변연융선과 원심변연융선의 가운데 부분은 오목한 설면와가 존재하도록 조각하며, 치경 1/3 부위에는 설면결절이 나타날 수 있도록 주변을 삭제하고, 설면결절의 위치가 원심으로 약간 치우치도록 조각한다.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3단계 조각을 행한,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의 상악 우측 중절치의 치관부의 근심면에서, 도 13의 (c)와 같이, 순측과 설측부위를 경사지게 삭제한다.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3단계 조각을 행한,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의 상악 우측 중절치의 치관부의 원심면에서, 도 13의 (d)와 같이, 순측(La)과 설측(Li)부위를 경사지게 삭제한다.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3단계 조각을 행한,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의 상악 우측 중절치의 치관부의 절단측에서, 도 13의 (e)와 같이, 설측(Li)은 설면결절을 향해 좁아지도록 조각하며, 설면결절이 약간 원심측으로 치우치도록 삭제하고, 근심반부가 원심반부보다 풍융할 수 있도록 조각한다.
도 14의 (a)는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5단계 조각으로, 순면을 곡선으로 다듬어 주는 경우이고, 도 14의 (b)는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5단계 조각으로, 설면을 곡선으로 다듬어 주는 경우이고, 도 14의 (c)는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5단계 조각으로, 근심면을 곡선으로 다듬어 주는 경우이고, 도 14의 (d)는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5단계 조각으로, 원심면을 곡선으로 다듬어 주는 경우이다.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4단계 조각을 행한,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의 상악 우측 중절치의 치관부의 순면에서, 도 14의 (a)와 같이, 근심 순면 능각부위와 원심 순면 능각 부위를 조각도로 가볍게 돌려가면서 둥글게 다듬어 주는데 절단 1/3 부위에서는 각이 남아 있고, 치경측으로 갈수록 더 둥글게 다듬는다.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4단계 조각을 행한,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의 상악 우측 중절치의 치관부의 설면에서, 도 14의 (b)와 같이, 변연융선이 나타날 수 있도록 가운데 설면와를 오목하게 형성하게 하며, 근심변연융선과 원심변영융선을 V자 형태로 다듬으며, 설면이 곡선이 되도록 다듬는다.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4단계 조각을 행한,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의 상악 우측 중절치의 치관부의 근심면에서, 도 14의 (c)와 같이, 제1단계 조각에서 그렸던 치경연을 다시 도해하고 곡선이 되도록 다듬는다.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4단계 조각을 행한,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의 상악 우측 중절치의 치관부의 원심면에서, 도 14의 (d)와 같이, 제1단계에서 그렸던 치경연을 다시 도해하고 곡선이 되도록 다듬는다.
도 15의 (a)는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6단계 조각으로, 순면에서 가장자리, 융선 등을 확인하고 다듬는 경우이고, 도 15의 (b)는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6단계 조각으로, 설면에서 융선, 와, 결절 등이 잘 표현되도록 다듬는 경우이고, 도 15의 (c)는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6단계 조각으로, 근심면에서 만곡도가 잘 표현되도록 다듬는 경우이고, 도 15의 (d)는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6단계 조각으로, 원심면에서 만곡도가 잘표현되도록 다듬는 경우이고, 도 15의 (e)는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6단계 조각으로, 절단측에서 돌출된 부분과 결절이 잘 표현되도록 다듬는 경우이다.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5단계 조각을 행한,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의 상악 우측 중절치의 치관부의 순면에서, 도 15의 (a)와 같이, 근심연, 원심연, 치경연, 절단연을 확인하고, 근심순면융선, 중앙순면융선, 원심순면융선을 확인하며, 근심순면구, 원심순면구를 확인하여, 보완되어야할 부분을 다듬는다.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5단계 조각을 행한,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에서, 상악 우측 중절치의 치관부의 설면에서, 도 15의 (b)와 같이, 변영융선, 설면와, 설면결절이 보다 잘 표현되도록 다듬는다.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5단계 조각을 행한,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에서, 상악 우측 중절치의 치관부의 근심면을, 도 15의 (c)와 같이, 원심면보다 치경선의 만곡도가 크도록 다듬는다.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5단계 조각을 행한,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에서, 상악 우측 중절치의 치관부의 원심면을, 도 15의 (d)와 같이, 근심면보다 치경선의 만곡도가 작도록 다듬는다.
상악 우측 중절치의 제5단계 조각을 행한,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에서, 상악 우측 중절치의 치관부의 절단측에서, 도 15의 (e)와 같이, 순측연은 중앙순면융선을 중심으로 근심반부가 약간 돌출되도록 하고, 설측연은 설면결절의 위치가 원심으로 약간 치우치도록 형성한다.
다시 정리하면. 가상 실습 모드와 실제 실습 모드에서 치아 카빙(조각)은 6단계로 나누어 진행하며, 실습설정 치아가 전치부의 치아인 경우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친다.
제1단계 조각은, 좌우측이 바뀌지 않도록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에서 근심면(M)과 원심면(D)을 표시해 주고, 치관부의 각 면(즉, 치관부가 조각될 각면)을 9등분하여 표시하며, 치관부 각 면에 터치펜(150) 또는 연필 등을 이용하여, 실습설정 치아의 치관부의 순면, 설면, 근심면, 원심면, 절단측의 도해선을 그린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단계 조각은, 가상 실습시에, 가상 왁스모형에, 근심면(M)과 원심면(D)이 표시되어 있으며, 치관부의 높이, 즉, 치관부 영역을 설정하면, 가상 왁스모형에서, 설정된 치관부 영역에 자동으로 각 면을 9등분하여 표시하여 주며, 사용자는 터치펜(150)으로 각 면에, 주어진 실습설정 치아의 각 면의 형태를 그린다.
제2단계 조각은, 치관부의 순면과 설면을 터치펜(150) 또는 조각도를 이용하여,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에서, 제1단계 조각에서 그려진 도해선을 따라 개략적으로(즉, 가장 바깥부분을 깎는다) 조각을 행하며, 이때, 근심연과 원심연의 도해선까지 삭제하되, 최대 풍융부위를 제외하여 삭제한다.
제3단계 조각은, 치관부의 근심면과 원심면과 절단측을 터치펜(150) 또는 조각도를 이용하여,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에서, 제1단계 조각에서 그려진 도해선에 따라 개략적으로(즉, 가장 바깥부분을 깎는다) 조각을 행하되, 근심면은, 순측 외형선을 위하여 순면을 삭제하고, 설측 외형선을 위하여 설면을 삭제하고, 절단이 위치된 주변을 삭제하고, 원심면도, 근심면과 유사하게, 조각을 행하고, 절단측은 패인 부분과 돌출된 부분을 고려하여 조각을 행한다.
제4단계 조각은, 제3단계 조각이 행하여진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에서, 융선, 경사, 와, 결절 부분을 고려하여 조각을 행하되, 설면와를 파내듯 깍는다. 즉, 순면은 중앙순면융선이 나타날 수 있도록 근심측과 원심측을 경사지게 조각하며, 설면은 변연융선, 설면와, 설면결절 등을 고려하여 조각을 행하고, 근심면과 원심면은 경사를 고려하여 조각을 행하고, 절단측은 설면결절의 위치, 풍융부분(또는 돌출부분)을 고려하여 조각한다.
제5단계 조각은, 제4단계 조각이 행하여진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에서, 곡선부분이 제대로 표현되도록 다듬는 단계로, 즉, 각진형태에서 모서리 부위를 잘게 깍아가며 치아형태로 다듬는다. 제5단계 조각에서. 순면에서, 근심 순면 능각부위와 원심 순면 능각 부위를 둥글게 다듬어 주며, 변연융선이 나타날 수 있도록 가운데 설면와를 형성하게 하며, 근심면 및 원심면은 제1단계 조각에서 그렸던 치경연을 다시 도해하고 곡선이 되도록 다듬는다.
제6단계 조각은, 제5단계 조각이 행하여진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에서, 가장자리, 융선, 와, 결절, 만곡도 등이 잘 표현되도록, 최종적으로 다듬는 단계로, 즉, 치경선, 융선, 결절 등 각치아별 특징을 표현하도록 다듬는다. 순면에서 근심연, 원심연, 치경연, 절단연, 근심순면융선, 중앙순면융선, 원심순면융선, 근심순면구, 원심순면구를 확인하여 다듬으며, 설면에서 변연융선, 설면와, 설면결절 등이 잘 표현되도록 다듬고, 근심면 및 원심면에서는 만곡도가 잘 표현되도록 다듬고, 절단측에서는, 돌출된 위치와 경사를 다듬는다.
가상 실습 모드와 실제 실습 모드에서, 실습설정 치아가 구치부의 치아인 경우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친다.
제1단계 조각은, 좌우측이 바뀌지 않도록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에서 근심면(M)과 원심면(D)을 표시해 주고, 치관부의 각 면(즉, 치관부가 조각될 각면)을 9등분하여 표시하며, 치관부 각 면에 터치펜(150) 또는 연필 등을 이용하여, 실습설정 치아의 치관부의 협면(Buccal surface, Bu), 설면(Lingual surface, Li), 근심면(Mesial surface, M), 원심면(Distal surface, D), 교합면(Occlusal surface)의 도해선을 그린다.
제2단계 조각은, 치관부의 협면과 설면을 터치펜(150) 또는 조각도를 이용하여,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에서, 제1단계 조각에서 그려진 도해선을 따라 개략적으로(즉, 가장 바깥부분을 깎는다) 조각을 행하되, 협면은 최대 풍융부위를 제외하여 삭제한다.
제3단계 조각은, 치관부의 근심면과 원심면과 절단측을 터치펜(150) 또는 조각도를 이용하여,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에서, 제1단계 조각에서 그려진 도해선에 따라 개략적으로(즉, 가장 바깥부분을 깎는다) 조각을 행한다. 소구치의 경우, 근심면은, 협측반부와 설측반부가 소정의 비율이 되도록 삭제하며, 협측 외형선과 설측 외형선의 최대풍융부을 고려하여 조각을 행하며, 원심면은 근심면과 유사하게, 조각을 행하고, 교합면은협측반부와 설측반부가 소정의 비율이 되도록 조각한다. 대구치의 경우, 근심면은 치경연이 넓고 교합연이 넓은 사다리꼴의 형태가 되도록 하며, 협측 외형선과 설측 외형선의 최대풍융부을 고려하여 조각을 행하며, 원심면은 근심면과 유사하게, 조각을 행하고, 교합면은 근심설측교두와 원심설측교두의 크기가 소정 비율이 되도록 조각한다.
제4단계 조각은, 제3단계 조각이 행하여진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에서, 융선, 경사, 와, 결절 부분을 고려하여 조각을 행하되, 교두의 수를 고려하여 다듬어 깍는다. 즉, 협면은 중앙순면융선이 나타날 수 있도록 근심측과 원심측을 경사지게 조각하며, 설면은 근심측과 원심측을 그림과 같이 경사지게 조각하고, 근심면은 근심변연융선이 될 선을 경사면 위에 표시하고, 근심면을 설측으로 조금씩 좁아지도록 삭제하며, 원심면은 원심변영융선이 될 선을 경사면 위에 표시하고, 원심면을 설측으로 조금씩 좁아지도록 삭제해 주며, 교합면은, 협면, 근심면, 설면, 원심면을 다듬어줌으로써 교합면의 외형을 형성한다.
제5단계 조각은, 제4단계 조각이 행하여진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에서, 곡선부분이 제대로 표현되도록 다듬는 단계로, 즉, 각진형태에서 모서리 부위를 잘게 깍아가며 치아형태로 다듬는다. 이때, 협면은, 협면융선을 중심으로 근심측과 원심측을 둥글게 조각하고, 근심면 및 원심면은 제1단계 조각에서 그렸던 치경연을 다시 도해하고 곡선이 되도록 다듬으며, 교합면은 근심 변연융선에서 근심 소와까지 경사지게 조각한다.
제6단계 조각은, 제5단계 조각이 행하여진 가상 왁스모형 또는 실제 왁스모형에서, 가장자리, 융선, 와, 결절, 만곡도 등이 잘 표현되도록, 최종적으로 다듬는 단계로, 즉, 치경선, 융선, 결절 등 각치아별 특징을 표현하도록 다듬는다. 협면에서 근심연, 원심연, 치경연, 근심협측연, 원심협측연, 근심협면융선, 중앙협면융선, 원심협면융선을 확인하여 다듬으며, 설면에서 근심연, 원심연, 치경연, 근심설측연, 원심설측연을 확인하여 다듬고, 근심면은 협측연, 설측연, 교합연, 치경연을 확인하여 원심면보다 치경선의 만곡도가 크도록 다듬고, 원심면은 협측연, 설측연, 교합연, 치경연을 확인하며, 근심면보다 치경선의 만곡도가 크도록 다듬는다. 교합면은 근심변연융선과 원심변연융선, 근심와, 원심와, 근심소와, 원심소와 등을 확인하고, 자연스럽게 부구를 완성한다.
이와 같은, 제1단계 조각 내지 제6단계 조각의 설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습자 모바일기기(100)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에서, 실제 치아 왁스모형을 실습자 모바일기기로 촬상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치아모형 촬영을 선택하면, 실습자 모바일기기(100)는, 실습자에 의해 실제 실습된 실제 치아 왁스모형을 촬상모드로 전환되며, 실습자 모바일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60) 상에 영상 삽입 공간(170)이 제시되고, 영상 삽입 공간(170)내에 촬상된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130)이 들어가게 촬영한다. 이때 가능한한 영상 삽입 공간(170)에 가득차도록 촬상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을 매칭(즉, 영상정합)을 행기가 수월하다. 즉, 영상정합시, 관심영역 등을 설정할 필요가 없으며, 연산도 보다 간편하여 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중절치 2: 측절치
3: 견치(송곳니) 4: 제1 소구치
5: 제2 소구치 6: 제1대구치
7: 제2대구치 8: 제3대구치
11: 순면 12: 원심면
13: 설면 14: 근심
15: 협면 20: 교합측
21: 근심측 22: 원심측
23: 치경측 24: 절단측
100: 실습자 모바일기기 110: 가상 왁스모형
120: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 130: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
150: 터치펜 160: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
161: 그리드 표시/숨김 스위치 162: 왁스 칼라 스위치
163: 교육 스위치 170: 영상 삽입 공간
200: 메인서버 300: 교육자 단말기

Claims (21)

  1.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가상 왁스모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연산처리부는, 가상 왁스모형 영상 상에서 터치펜의 움직임 신호를,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로 부터 수신하고, 터치펜의 움직임 신호를 조각도에 의한 조각신호로 인식하여, 가상 왁스모형을 치아형태로 가상 조각하도록 하여, 실습결과물 영상인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실습자 모바일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에 있어서,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은, 실습자가 선택한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형태에 따라, 가상 조각된 것이며,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연산처리부는,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을 매칭하여, 실습결과물 검토영상인,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차를 표시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연산처리부는,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차와,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을,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실습자 모바일기기는, 교육자 검토 요청신호와 함께, 실습 결과물 영상과 실습 결과물 검토영상을 메인서버를 통해 교육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교육자 단말기로부터 메인서버를 통해 교육자 검토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
  8. 실습자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실습을 행하도록 이루어지며, 가상 실습모드와 실제 실습모드를 포함하는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에 있어서,
    실습자 모바일기기는,
    가상 실습모드에서는,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가상 왁스모형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연산처리부는, 가상 왁스모형 영상 상에서 터치펜의 움직임 신호를,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로 부터 수신하고, 터치펜의 움직임 신호를 조각도에 의한 조각신호로 인식하여, 가상 왁스모형을 치아형태로 가상 조각하도록 하여,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실제 실습모드에서는, 실제 왁스모형을 이용하여 실습설정 치아의 형태로 조각된 실제 치아 왁스모형을,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카메라가 촬상하여,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을 획득하여,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연산처리부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실제 실습모드에서,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연산처리부는,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을 매칭하여, 실습결과물 검토영상인,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차를 표시한 영상을,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은, 실습자가 선택한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형태에 따라, 가상 조각된 것이며,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연산처리부는,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을 매칭하여, 실습결과물 검토영상인,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차를 표시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
  11. 제1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차를 표시한 영상은,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이 실습설정 치아 영상보다 큰 경우와,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이 실습설정 치아 영상보다 작은 경우는, 서로 다른 색깔로,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차를 표시한 영상은,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이 실습설정 치아 영상보다 큰 경우와,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이 실습설정 치아 영상보다 작은 경우는, 서로 다른 색깔로,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
  13. 실습자 모바일기기는,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가상 왁스모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연산처리부는, 가상 왁스모형 영상 상에서 터치펜의 움직임 신호를,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로 부터 수신하고, 터치펜의 움직임 신호를 조각도에 의한 조각신호로 인식하여, 가상 왁스모형을 치아형태로 가상 조각하도록 하여 획득된, 실습결과물 영상인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가상실습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은, 실습자가 선택한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형태에 따라, 가상 조각된 것이며,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연산처리부가, 가상실습 단계에서 획득된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을 매칭하여, 실습결과물 검토영상인, 가상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차를 표시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가상실습결과 평가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의 구동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실습자 모바일기기에서, 실제 왁스모형을 이용하여 실습설정 치아의 형태로 조각된 실제 치아 왁스모형을,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카메라로 촬상하여, 실습결과물 영상인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을 획득하여,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연산처리부로 전송하며,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연산처리부는,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을 매칭하여, 실습결과물 검토영상인,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차를 표시한 영상을,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실제실습 평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은,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카메라로 촬상시,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되,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된 영상 삽입 공간 내에 삽입된 영상이며,
    실습자 모바일기기에서, 실제 왁스모형을 이용하여 실습설정 치아의 형태로 조각된 실제 치아 왁스모형을,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카메라로 촬상하여, 실습결과물 영상인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을 획득하여,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연산처리부로 전송하며,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연산처리부는,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을 매칭하여, 실습결과물 검토영상인, 실제 치아 왁스모형 영상과 실습설정 치아 영상의 차를 표시한 영상을, 실습자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실제실습 평가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의 구동방법.
  17. 제13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습자 모바일기기는, 교육자 검토 요청신호와 함께, 실습 결과물 영상과 실습 결과물 검토영상을 메인서버를 통해 교육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교육자 단말기로부터 메인서버를 통해 교육자 검토결과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진, 교육자 검토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의 구동방법.
  18. 제17항에 기재된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모바일기기로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모바일기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9. 제17항에 기재된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모바일기기로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20. 제13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모바일기기로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모바일기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21. 제13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치아 카빙 실습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모바일기기로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70013498A 2017-01-31 2017-01-31 모바일을 이용한 치아 카빙 실습시스템 KR101973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498A KR101973787B1 (ko) 2017-01-31 2017-01-31 모바일을 이용한 치아 카빙 실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498A KR101973787B1 (ko) 2017-01-31 2017-01-31 모바일을 이용한 치아 카빙 실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997A KR20180088997A (ko) 2018-08-08
KR101973787B1 true KR101973787B1 (ko) 2019-05-03

Family

ID=63230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498A KR101973787B1 (ko) 2017-01-31 2017-01-31 모바일을 이용한 치아 카빙 실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7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665A (ko) 2019-09-24 2021-04-01 경복대학교 산학협력단 Ict를 활용한 치과재료학 자율실습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001B1 (ko) * 2018-11-05 2019-10-11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327521B1 (ko) 2020-02-04 2021-11-16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현실 기반의 치아 감별 학습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298684B (zh) * 2021-06-18 2023-09-29 北京联袂义齿技术有限公司 一种牙体形态教学系统
KR102481893B1 (ko) * 2022-02-17 2022-12-27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반의 치아 형태학 실습 시스템과,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치아 형태학 실습방법
KR102652952B1 (ko) * 2022-03-08 2024-04-01 이종기 치과의 모의 시술 훈련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9055A (ja) * 2004-05-20 2005-12-02 Shiyoufuu:Kk 歯科実習用評価プログラム及び評価体とその評価装置
CN102428506A (zh) 2009-04-09 2012-04-25 达尔豪西大学 测量在仿真牙齿修复期间所输送的固化能量的方法和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9055A (ja) * 2004-05-20 2005-12-02 Shiyoufuu:Kk 歯科実習用評価プログラム及び評価体とその評価装置
CN102428506A (zh) 2009-04-09 2012-04-25 达尔豪西大学 测量在仿真牙齿修复期间所输送的固化能量的方法和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665A (ko) 2019-09-24 2021-04-01 경복대학교 산학협력단 Ict를 활용한 치과재료학 자율실습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997A (ko) 201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787B1 (ko) 모바일을 이용한 치아 카빙 실습시스템
CN111655189B (zh) 可视修复和正畸治疗计划
EP3685797B1 (en) Method for using a dynamic virtual articulator for simulating occlusion when designing a dental prosthesis for a patient, and data carrier
US11534275B2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restoration
RU2593741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расположения двухмерных изображений
US8706672B2 (en) Computer-assisted creation of a custom tooth set-up using facial analysis
JP5859986B2 (ja) 動的仮想咬合器
JP6869586B2 (ja) 増強現実を用いた歯磨きガイド情報の提供方法および装置
EP1539019A2 (en) A method for defining a finish line of a dental prosthesis
ES2845936T5 (es) Generación de modelos para simulación dental
KR20200070706A (ko) 인접치 및 대합치와의 관계를 반영하여 크라운 위치를 결정하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US20230404710A1 (en) Method for analysing a dental situation
KR102651198B1 (ko) 보조 기구 및 보조 기구를 이용한 3차원 화상 데이터 작성 방법
US20210186658A1 (en) Method for analysing a dental situation
Garg et al. Textbook of preclinical conservative dentistry
KR102532524B1 (ko) 가상환경의 가상 치아 발치 실습 시스템 및 방법
CN113298684B (zh) 一种牙体形态教学系统
WO2018227094A1 (en) Tooth or tooth replica holding sleeve for use with an paex locator
Show et al. Haptics: The virtual reality in periodontics
CN116597704A (zh) 基于虚拟仿真技术的口腔医学技能教研考培系统
Shivappa An illustrated atlas of tooth carving and wax-up techniques
AKTAŞ et al. USE OF 3D PRINTED MODELS IN DENTAL EDUCTIONS
KR100381325B1 (ko) 치아형태학 교육용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RU2153305C2 (ru) Способ моделирования зубов (варианты)
Mahoney et al. Facial reconstruction: new approac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