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001B1 -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1001B1 KR102031001B1 KR1020180134102A KR20180134102A KR102031001B1 KR 102031001 B1 KR102031001 B1 KR 102031001B1 KR 1020180134102 A KR1020180134102 A KR 1020180134102A KR 20180134102 A KR20180134102 A KR 20180134102A KR 102031001 B1 KR102031001 B1 KR 1020310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data
- production
- user
- user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5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835 comparative analysis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169170 Boreogadus sai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83 inciso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46 reduc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물 검수서비스장치는, 사용자가 제작하는 제작물에 대한 감수 비교 대상으로서, 규격화된 기준 대상물의 모델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의 사용자장치로부터 제작물에 대한 검수 요청이 있으면, 제작물의 촬영이미지 데이터 및 저장한 모델링 데이터를 근거로 분석되는 분석결과를 사용자장치로 제공하여 검수 요청에 응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대학의 치기공학과에서 치아를 제작물로서 제작하였을 때 학생들이 각자 제작한 제작물을 편리하게 감수할 수 있는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학교의 일부 수업과목 중에는 특정 제작물(혹은 샘플)을 제작하여 평가를 받는 과목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치기공학과에서는 어금니부터 윗니와 앞니 등 각각의 치아를 제작해보는 수업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수업은 다양한 환자의 구강구조에 따른 적합한 틀니를 제작하기 위한 기초 과정으로서, 제시된 규격에 따라 학생들이 실습을 통해 제작물을 제작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즉, 일정하게 제작된 규격화된 이빨을 기준으로 동일한 형태로 제작해 보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이 제작한 제작물이 규격화된 형태의 이빨과 동일하게 제작되었는지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실제 교수들이 제작물을 하나하나 감수해 주고 있는 상태이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하나의 과정이 완료된 후 다른 과정으로 가기 위해서는 전 과정이 완료되었는지를 교수들이 감수하여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할 뿐만 아니라 교수들도 객관적(수치 등) 기준이 없는 것이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대학의 치기공학과에서 치아를 제작물로서 제작하였을 때 학생들이 각자 제작한 제작물을 편리하게 감수할 수 있는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물 검수서비스장치는, 사용자가 제작하는 제작물에 대한 검수 비교 대상으로서 규격화된 기준 대상물의 모델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장치로부터 상기 제작물에 대한 검수 요청이 있으면, 상기 제작물의 촬영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저장한 모델링 데이터를 근거로 분석되는 분석결과를 상기 사용자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검수 요청에 응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작물의 촬영이미지상에 상기 저장한 모델링 데이터에 기반한 모델이미지가 투명한 상태로 오버랩되어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촬영이미지 및 상기 촬영이미지상에 오버랩되어 표시되는 상기 모델이미지를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3차원으로 비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장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제공되는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장치의 검수 요청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작물에 대한 2D 및 3D 분석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물 검수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작물 검수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제작하는 제작물에 대한 검수 비교 대상으로서 규격화된 기준 대상물의 모델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장치로부터 상기 제작물에 대한 검수 요청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작물의 촬영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저장한 모델링 데이터를 근거로 분석되는 분석결과를 상기 사용자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검수 요청에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작물의 촬영이미지상에 상기 저장한 모델링 데이터에 기반한 모델이미지가 투명한 상태로 오버랩되어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촬영이미지 및 상기 촬영이미지상에 오버랩되어 표시되는 상기 모델이미지를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3차원으로 비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장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제공되는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장치의 검수 요청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작물에 대한 2D 및 3D 분석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가령 학생들 스스로가 기준 모델의 모델링 데이터를 비교 대상으로 하여 자신이 제작하는 제작물이 규격에 맞게 제작되어지고 있는지 혹은 제작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작물에 대한 감수가 객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종래에 교수자들이 학생들의 제작물 감수를 위해 할애하던 시간을 상당 부분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물 감수서비스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도 1의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물 감수서비스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도 1의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물 감수서비스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물 감수서비스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물 감수서비스시스템(90)은 사용자장치(100), 통신망(110) 및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망(110)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사용자장치(100)와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가 다이렉트(예: P2P) 통신을 수행하거나,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통신망(110) 내의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사용자장치(100)는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장치(100)는 대표적으로 도 2에서와 같은 스마트폰(101) 등의 모바일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카메라 등의 촬영장치를 포함하거나 카메라를 연결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떠한 장치이어도 무관하다. 가령, 카메라 기능이 없이 음성통화만 가능한 피쳐폰의 경우에도 카메라를 잭(jack)을 통해 연결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장치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사용자장치(100)는 가령 대학교의 치기공학과나 도예과 등에서, 물론 일반학원과 같은 그 이외의 공간도 가능하겠지만, 실습수업 시간이나 강습 시간에 자신이 만든 제작물, 가령 작품 혹은 작업물에 대하여 온라인상에서 감수를 받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물론 이를 위해 사용자는 사용자장치(100)를 이용하여 자신이 제작한 제작물에 대한 촬영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앞서, 사용자장치(100)는 모바일 기반으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 등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저장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하여 그 장치에 연동하면서 사용자장치(100)를 이용해 특정 방향마다 자신들이 제작한 제작물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최초) 촬영된 촬영이미지는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로 제공되어 1차적으로 기준 모델의 2D 모델과 비교하여 일치여부가 판별될 수 있다. 물론 수신된 해당 촬영이미지를 통해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는 비교하고자 하는 대상 즉 기준 모델을 찾을 수도 있다. 가령, 수신된 촬영이미지의 특징점 정보를 식별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해당 식별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모델링 데이터와 관련한 모델 이미지가 사용자장치(100)로 제공될 수 있다. 제작물 사진 즉 촬영이미지와 2D 모델의 규격(크기)이 일치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카메라 영상화면에 증강현실로 구현된 기준 모델을 워터마크, 가령 투명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이는 모델이미지를 촬영이미지와 오버랩시킴으로써 학생들이 실감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투명하지 않게 주변에 표시해 주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투명한 상태로 표시된 3D 모델 즉 기준된 모델의 모델이미지는 학생들이 자신이 제작한 제작물을 인지하도록 돕는다. 다시 말해, 현재 어느 부분에 대한 감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화면을 통해 학생들에게 인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는 카메라로 촬영된 촬영이미지와 모델이미지의 가령 특징점이 서로 정확히 일치될 때 그 두 개 이미지의 데이터를 서로 비교할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은 자신들이 제작한 제작물을 기준으로 사용자장치(100)의 위치를 변경 즉 상하좌우로 변경하게 되면, 사용자장치(100)는 내부에 탑재되는 가속도센서나 자이로센서 등의 움직임센서를 통해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정보를 근거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화면에 표시된 3D 모델의 이미지를 사용자장치(100)의 위치변경시 함께 변경하고, 이를 통해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가 위의 촬영된 제작물과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학생들은 자신들이 제작한 제작물이 기본 모델과 규격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해 보면, 조각가나 도예과 등의 학생들(이하, 학생으로 설명함)은 도 2에서와 같이 스마트폰(101)을 사용하여 자신들이 제작한 천사 조각상(97)의 감수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학생들은 스마트폰(101)에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상태에서 천사 조각상(97)을 카메라로 비춘다. 이의 경우 스마트폰(101)의 화면에는 촬영되는 천사 조각상(97)의 촬영이미지(101b)와 해당 이미지를 대조하기 위한 기준 모델의 모델이미지가 오버랩 영역부(101a)에 표시될 수 있다. 화면상에서 촬영이미지(101b)에 오버랩되는 모델이미지는 하부의 촬영이미지(101b)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상태일 수 있다. 물론 여기서, 모델이미지는 모델링 데이터의 일부일 수 있으며,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와 연동하는 DB(120a)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로서, 스마트폰(101)은 해당 데이터를 제공받아 화면의 촬영이미지(101b)상에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만약 학생이 스마트폰(101)으로 천사 조각상(97)을 촬영하면서 이동하게 되면, 스마트폰(101)의 내부에 구비되는 움직임센서는 이를 감지하여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로 움직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움직임정보에 따른 모델링 데이터, 더 정확하게는 그에 기반한 모델이미지가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로부터 제공되면 스마트폰(101)은 이를 화면에 다시 표시해 주게 된다. 물론 이러한 모델링 데이터는 스트리밍 즉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101)은 이와 같이 촬영이 이루어질 때, 해당 촬영이미지(101b)의 데이터를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로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더 정확하게는 가령 두 개 이미지의 특징점 정보가 일치될 때에 이에 대한 정보를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에 제공하여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에서는 학생이 제작한 제작물 관련 데이터와 가령 기저장된 모델링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 연산 동작을 통해 수치를 측정하여 측정된 결과값을 스마트장치(101)로 다시 부가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정보는 화면상에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하나만 소개하면 오버랩되는 이미지의 주변에 정보를 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UX/UI에 기반하여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촬영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 스마트폰(101)은 동작을 완료하기 전에 종합적인 비교 결과를 화면에 표시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스마트폰(101)은 3D 촬영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므로 촬영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3D 이미지를 생성해 기저장된 3D 모델링 데이터와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은 스마트폰(101)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고가이므로 고성능 자원을 보유할 개연성이 높은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에서 특정 부분에 대한 비교만 이루어지도록 지정하였다면, 스마트폰(101)은 해당 부분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지는 시점에 비교 결과를 화면에 표시해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2를 참조해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도 1의 사용자장치(100)는 화면상에 촬영이미지(101b)와 기준 모델이 되는 모델이미지를 오버랩하여 표시하되, 모델이미지를 촬영이미지(101b)상에 투명한 상태로 표시해 줄 수 있으며, 물론 이는 어디까지나 사용자가 현재 감수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인지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지만,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 가령 학생들은 자신이 제작한 제작물에 대하여 어떠한 부분이 잘못되었는지를 스스로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1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 통신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10) 내의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10)은 액세스포인트(AP)를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장치(10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사용자장치(10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는 사용자장치(100)에서의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작물 감수서비스를 제공한다. 물론 이에 앞서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는 학생들이 제작하는 샘플 즉 제작물과 관련하여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규격화된 대상물 가령 제품을 모델링한다. 이를 위해 특정 대상물에 대하여 3D 촬영이 이루어지면 이를 통해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모델링이란 모델을 제작하는 과정 또는 작업을 의미하는 것이며, 현실 세계를 단순화하여 표현하는 기법이다. 이에 기초해 볼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교대상으로서 기준이 될 수 있는 규격화된 가상공간상의 모델을 제작한다. 이의 과정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준이 되는 모델을 분석하여 모델의 특징을 규정지을 수 있다.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는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다양한 작품들과 관련한 기준 모델을 선정하고 그 선정된 기준 모델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3D 촬영을 통해 데이터를 확보하여 이를 이용하는 것이다. 또 확보된 데이터에서 주요 부분만을 선택하여 이에 대하여 학생들이 제작하는 제작물과 비교를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모델링 데이터의 구축이 완료되면,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는 사용자장치(100)에서의 요청에 따라 제작물 감수서비스를 제공한다. 앞서 언급한 대로, 사용자장치(100)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카메라를 통해 취득되는 촬영이미지상에 DB(120a)에 저장해둔 모델링 데이터에 기반한 모델이미지가 오버랩되어 표시되도록 사용자장치(100)를 제어한다. 이는 현재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는데,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는 사용자장치(100)로부터 취득되는 촬영이미지에 관련된 데이터를 확보하여 이를 분석하여 원하는 부위 즉 비교 부위를 감수할 수 있다. 가령, 비교가 이루어져야 하는 특정 부위에서 깊이(depth)가 모델링 데이터에 근거한 기준 수치는 3mm이고, 학생이 제작한 제작물의 깊이는 5mm였다면 이를 사용자장치(100)로 알려주는 것이다. 또는 모양에 있어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등의 사실을 통지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는 사용자가 사용자장치(100)를 이동시키면서 제작물을 촬영하게 될 때, 이에 맞춰 모델링 데이터를 더 정확하게는 모델이미지를 스트리밍으로 서비스할 수 있다. 물론 모델이미지는 촬영이미지에 오버랩시키는 경우에는 투명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가령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는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비교 동작을 먼저 수행하고, 이어 해당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3D 이미지를 제작하여 이를 통해 촬영이미지에 대한 3D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렇게 확보된 촬영이미지의 3D 데이터는 3D 기반의 모델링 데이터와 비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는 모델링 데이터나 사용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촬영이미지의 데이터에서 특징점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특징점정보를 기준으로 두 개 이미지의 데이터가 매칭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매칭이 이루졌다고 판단될 때, 2개의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최종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다. 가령, 깊이라는 것은 두 지점에 위치하는 화소간의 거리가 될 수 있으므로 이를 측정하여 비교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는 사용자장치(100)의 촬영이미지상에 투명 상태의 모델이미지가 오버랩되어 표시되도록 사용자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고, 이때 사용자장치(100)의 움직임정보를 기반으로 그에 적합한 모델이미지를 사용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촬영이미지 및 모델이미지의 특정 부분(예: 특징점)이 서로 일치될 때 두 개의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서로 비교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부가정보로서 사용자장치(100)에 제공해 줄 수 있다. 제공된 부가정보는 서로 오버랩되어 있는, 가령 오버랩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화면상에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제공된 부가정보는 화면상에 일치여부를 퍼센트(%)로 표시해주는 형태도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및 감수서비스처리부(3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감수서비스처리부(310)의 제어 하에 도 1의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사용자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의 과정에서, 변/복조, 코딩/디코딩, 먹싱/디먹싱 및 스케일링(예: 해상도 변환)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사용자장치(100)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사용자장치(1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감수서비스처리부(31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감수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사용자장치(100)에서 최초 촬영될 때의 촬영이미지를 수신하여 감수서비스처리부(3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수서비스처리부(310)는 수신된 촬영이미지를 분석하여 현재 사용자장치(100)가 촬영하고 있는 제작물이 무엇인지 판단해 그에 따른 모델이미지가 제공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이 완료되면,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감수서비스처리부(310)의 제어하에 사용자장치(100)의 이동에 기반하는 모델이미지를 사용자장치(100)로 스트리밍으로 제공할 수 있다.
감수서비스처리부(310)는 사용자장치(100)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특정 사용자장치(100)에서 현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가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고, 또 기저장된 많은 기준 모델 중에서 어떠한 모델에 대한 비교를 수행해야 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 대상이 결정되면 그에 관련되는 모델이미지 즉 촬영이미지에 오버랩하기 위한 투명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이의 과정에서 비교대상이 되는 특정 부위를 찾아 비교 결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감수서비스처리부(31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지만, 감수서비스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앞서 도 1의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를 통해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그 이외에,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와 관련한 내용도 도 1의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를 통해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한다.
도 4는 도 1의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00), 제어부(410), 감수서비스실행부(420) 및 저장부(4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나 저장부(4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가 구성되거나, 감수서비스실행부(4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4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4의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를 도 3의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와 비교해 볼 때, 도 3의 감수서비스처리부(310)가 도 4의 제어부(410)와 감수서비스실행부(420)로 이원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는 데에 그 차이가 있다. 물론 그 구분은 소프트웨어(S/W), 하드웨어(H/W) 또는 그 조합에 의하여 구분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410)는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의 제어동작만을 수행할 수 있고, 감수서비스실행부(420)는 감수를 위한 동작만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제어부(410)는 사용자장치(100)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 감수서비스실행부(420)를 제어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가동시킬 수 있다. 프로그램의 가동에 따라 사용자장치(100)로 스트리밍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의 과정에서 제어부(410)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기준 모델이 도 1의 DB(120a)로부터 검색되면 그 검색된 해당 기준 모델과 관련한 모델링 데이터를 저장부(430)로 일시적으로 가져와 이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모델링 데이터는 모델이미지와 그 이외에 다양한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모델링 데이터는 다양한 비교 수치들, 그리고 비교 수치를 얻기 위한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410)는 감수서비스실행부(420)의 요청시 저장부(43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내어 제공할 수 있다. 가령 감수서비스실행부(420)에서 비교 연산을 위해 특정 부위의 데이터를 요청하면 그 요청에 따라 관련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제어부(410)는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00), 감수서비스실행부(420) 및 저장부(4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감수서비스실행부(4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 1의 사용자장치(100)에 의해 촬영되는 촬영이미지상에 또는 그 주변에 모델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검수서비스가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장치(100)의 촬영 위치변경시에는 이에 상응하여 모델이미지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실감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의 과정에서 감수서비스실행부(420)는 사용자장치(100)로부터 촬영되어 제공되는 촬영이미지를 기저장된 모델링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감수가 필요한 전체 혹은 특정 부위에 대한 검수결과를 사용자장치(100)로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의 동작들은 제어부(410)와 연동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그 이외에 도 4의 감수서비스장치(120')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00), 제어부(410), 감수서비스실행부(420) 및 저장부(430)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도 1의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 및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및 감수서비스처리부(310)에서 충분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의 제어부(410)는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CPU는 제어기능을 담당하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담당하고, 연산부는 비트정보의 연산처리에 관여하며, 명령어해석부는 기계어 해석 동작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비트정보를 해석하여 어떠한 동작을 수행해야 할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레지스트리는 데이터의 일시적인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CPU는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의 초기 구동시 감수서비스실행부(4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로딩하여 저장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물 감수서비스과정의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는 사용자가 제작하는 제작물에 대한 감수 비교 대상으로서 규격화된 기준 대상물 즉 기준 모델의 모델링 데이터를 저장한다(S500).
이후,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는 사용자의 사용자장치(100)로부터 제작물에 대한 검수 요청이 있으면, 제작물의 촬영이미지 데이터 및 저장한 모델링 데이터를 근거로 분석되는 분석 결과를 사용자장치(100)로 제공하여 검수 요청에 대해 응답한다(S510).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는 많은 기준 모델 중 특정 모델을 선택하고, 또 선택된 모델에 대하여 투명 상태의 모델이미지를 제공하며, 나아가 움직임정보를 기반으로 변경되는 모델이미지를 오버랩하여 보여 주도록 하면서, 동시에 특정 시점에서 두 개 이미지와 관련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로서 부가정보를 제공하여 감수 서비스를 스트리밍으로 제공하는 것을 이미 설명한 바 있다. 물론 이외에도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12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앞서의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사용자장치 101: 스마트폰
101a: 오버랩 영역부 101b: 촬영이미지
110: 통신망 120, 120':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
300, 4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감수서비스처리부
410: 제어부 420: 감수서비스실행부
101a: 오버랩 영역부 101b: 촬영이미지
110: 통신망 120, 120':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
300, 4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감수서비스처리부
410: 제어부 420: 감수서비스실행부
Claims (6)
- 사용자가 제작하는 제작물에 대한 검수 비교 대상으로서 규격화된 기준 대상물의 모델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장치로부터 상기 제작물에 대한 검수 요청이 있으면, 상기 제작물의 촬영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저장한 모델링 데이터를 근거로 분석되는 분석결과를 상기 사용자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검수 요청에 응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작물의 촬영이미지상에 상기 저장한 모델링 데이터에 기반한 모델이미지가 투명한 상태로 오버랩되어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장치의 센서에 의해 취득되는 상기 사용자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촬영이미지 및 상기 촬영이미지상에 오버랩되어 표시되는 상기 모델이미지를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3차원으로 비교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기준 대상물과 관련한 2D 모델링 데이터 및 3D 모델링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수 요청시 상기 사용자장치에서 제공되는 최초 촬영이미지 및 상기 저장한 2D 모델링 데이터를 근거로 검수 비교 대상으로서의 기준 모델을 찾아 상기 기준 모델과 관련되는 상기 저장한 3D 모델링 데이터에 기반한 모델이미지가 상기 촬영이미지상에 오버랩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델이미지 및 상기 촬영이미지의 데이터에서 특징점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특징점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촬영이미지 및 상기 모델이미지의 데이터가 매칭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될 때, 상기 모델이미지 및 상기 촬영이미지의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제작물 검수서비스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장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제공되는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장치의 검수 요청을 인식하는 제작물 검수서비스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작물에 대한 2D 및 3D 분석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제작물 검수서비스장치. -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작물 검수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제작하는 제작물에 대한 검수 비교 대상으로서 규격화된 기준 대상물의 모델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장치로부터 상기 제작물에 대한 검수 요청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작물의 촬영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저장한 모델링 데이터를 근거로 분석되는 분석결과를 상기 사용자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검수 요청에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작물의 촬영이미지상에 상기 저장한 모델링 데이터에 기반한 모델이미지가 투명한 상태로 오버랩되어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장치의 센서에 의해 취득되는 상기 사용자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촬영이미지 및 상기 촬영이미지상에 오버랩되어 표시되는 상기 모델이미지를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3차원으로 비교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기준 대상물과 관련한 2D 모델링 데이터 및 3D 모델링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수 요청시 상기 사용자장치에서 제공되는 최초 촬영이미지 및 상기 저장한 2D 모델링 데이터를 근거로 검수 비교 대상으로서의 기준 모델을 찾아 상기 기준 모델과 관련되는 상기 저장한 3D 모델링 데이터에 기반한 모델이미지가 상기 촬영이미지상에 오버랩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델이미지 및 상기 촬영이미지의 데이터에서 특징점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특징점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촬영이미지 및 상기 모델이미지의 데이터가 매칭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될 때, 상기 모델이미지 및 상기 촬영이미지의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제작물 검수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4102A KR102031001B1 (ko) | 2018-11-05 | 2018-11-05 |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4102A KR102031001B1 (ko) | 2018-11-05 | 2018-11-05 |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31001B1 true KR102031001B1 (ko) | 2019-10-11 |
Family
ID=68210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4102A KR102031001B1 (ko) | 2018-11-05 | 2018-11-05 |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100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13035A (ko) * | 2020-07-24 | 2022-02-04 |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 제작물 평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KR102469244B1 (ko) * | 2022-01-27 | 2022-12-07 | 주식회사 미스터그룹 | 이미지 프로세싱에 기반하여 오프라인 광고 성과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19942A (ko) | 2002-08-28 | 2004-03-06 |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 입체물 생성 시스템 |
KR20160011839A (ko) | 2014-07-23 | 2016-02-02 | 주식회사 쓰리디아이템즈 | 3차원 객체 생성 방법 및 장치 |
KR20180003193A (ko) * | 2016-06-30 | 2018-01-09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 및 방법 |
JP2018048968A (ja) * | 2016-09-23 | 2018-03-29 |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 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
KR20180088997A (ko) * | 2017-01-31 | 2018-08-08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 모바일을 이용한 치아 카빙 실습시스템 |
-
2018
- 2018-11-05 KR KR1020180134102A patent/KR10203100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19942A (ko) | 2002-08-28 | 2004-03-06 |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 입체물 생성 시스템 |
KR20160011839A (ko) | 2014-07-23 | 2016-02-02 | 주식회사 쓰리디아이템즈 | 3차원 객체 생성 방법 및 장치 |
KR20180003193A (ko) * | 2016-06-30 | 2018-01-09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 및 방법 |
JP2018048968A (ja) * | 2016-09-23 | 2018-03-29 |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 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
KR20180088997A (ko) * | 2017-01-31 | 2018-08-08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 모바일을 이용한 치아 카빙 실습시스템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13035A (ko) * | 2020-07-24 | 2022-02-04 |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 제작물 평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KR102442777B1 (ko) * | 2020-07-24 | 2022-09-13 |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 제작물 평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KR102469244B1 (ko) * | 2022-01-27 | 2022-12-07 | 주식회사 미스터그룹 | 이미지 프로세싱에 기반하여 오프라인 광고 성과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280822A (zh) | 屏幕划痕的检测方法及装置 | |
CN109816745B (zh) | 人体热力图展示方法及相关产品 | |
EP3190581B1 (en) | Interior map establishment device and method using cloud point | |
CN108594999B (zh) | 用于全景图像展示系统的控制方法和装置 | |
JP6607261B2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 |
KR102204016B1 (ko) |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 |
KR102031001B1 (ko) |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
EP357635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machine-readable codes for testing a communication network | |
CN102150116B (zh) | 远程控制指示器、远程控制指示方法及设备 | |
US20160098032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inspection ranges | |
CN115496759A (zh) | 灰尘检测方法和装置、存储介质 | |
CN112417687B (zh) | 智能审图方法及相关装置 | |
CN109658360B (zh) | 图像处理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 |
JP7287408B2 (ja) | 表示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KR20110136028A (ko) | 가상 점을 통해 객체를 인식하는 증강현실 장치 | |
KR20210130922A (ko) | 모션 기반의 학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
CN110865911B (zh) | 图像测试方法、装置、存储介质、图像采集卡及上位机 | |
CN109684948B (zh) | 检测物体网孔异常的方法、装置及系统 | |
CN107818584A (zh) | 用户手指位置信息的确定方法及装置、投影仪、投影系统 | |
KR102442777B1 (ko) | 제작물 평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
JP2020024763A (ja) | 反射検知システム | |
CN104748863A (zh) | 红外分析区域设置装置和红外分析区域设置方法 | |
JP5997718B2 (ja) | 照明空間評価方法、照明空間評価プログラム、および照明空間評価装置 | |
WO2023103884A1 (zh) | 对象模型建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CN115205707B (zh) | 样本图像生成方法、存储介质以及电子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