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3035A - 제작물 평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제작물 평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3035A
KR20220013035A KR1020200091994A KR20200091994A KR20220013035A KR 20220013035 A KR20220013035 A KR 20220013035A KR 1020200091994 A KR1020200091994 A KR 1020200091994A KR 20200091994 A KR20200091994 A KR 20200091994A KR 20220013035 A KR20220013035 A KR 20220013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valuation
modeling data
product
mod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2777B1 (ko
Inventor
신종우
Original Assignee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91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777B1/ko
Publication of KR20220013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06T7/0014Biomedic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76Body hygiene; Dressing; Knot tying
    • G09B19/0084Dental hygie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conom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Multi-Process Working Machines An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작물 평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물 평가장치는, 임의의 자격 시험에서 평가 기준이 되는 입체물에 대한 제1 모델링 데이터를 저장하고, 자격 시험의 응시자가 제작한 제작물을 평가하기 위해 제1 모델링 데이터와 관련한 채점 기준표의 평가 항목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응시자의 제작물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모델링 데이터에 대비되는 제2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며, (기)저장한 평가 항목 데이터를 근거로 제1 모델링 데이터와 제2 모델링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른 채점을 수행하여 제작물을 평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작물 평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of Estimating Workpie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제작물 평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치과기공사 국가자격시험 등에서 실기 시험 응시자들의 치과기공물에 대하여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작물 평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과기공사 자격시험은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으로 구분된다. 통상 실기 시험의 경우 시험 당일에 제시되는 소정 치과기공물을 제작하여 제출하게 되면 복수의 평가 위원들이 각각의 응시자들이 제작한 제작품에 대해 평가 점수를 산정하는 방식으로 치뤄진다.
하지만, 소수의 평가위원이 매년 수백명에 달하는 응시자들의 치과기공물을 일일이 평가하고 점수를 채점하는 것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더욱이 평가 기준이 있다 하더라도 실제 평가 점수는 각각의 평가 위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정해지게 되므로 공정성에 많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시험의 특성상 입체적 형상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 그 기준은 있으나 평가 기준을 적용하는 평가위원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점수 배점이 달라지기 때문에 늘 공정성이 담보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9942호(2004.03.06.)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1839호(2016.02.02.)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치과기공사의 국가자격시험 등에서 실기 시험 응시자들의 치과기공물에 대하여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작물 평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물 평가장치는, 임의의 자격 시험에서 평가 기준이 되는 입체물에 대한 제1 모델링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자격 시험의 응시자가 제작한 제작물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제1 모델링 데이터와 관련한 채점 기준표의 평가 항목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응시자의 제작물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모델링 데이터에 대비되는 제2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저장한 평가 항목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제1 모델링 데이터와 상기 제2 모델링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른 채점을 수행하여 상기 제작물을 평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한 평가 항목 데이터에서 지정하는 복수의 비교 부위에 대한 상기 제1 모델링 데이터와 상기 제2 모델링 데이터를 비교하여 각각의 비교 결과를 근거로 지정 점수를 차감하여 상기 채점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장치와 연동하며, 수신한 상기 촬영 데이터에 오류 발생시 상기 오류 발생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촬영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델링 데이터와 상기 제2 모델링 데이터의 제1 모델 및 제2 모델을 그래픽 처리부에서 서로 오버랩시켜 비교하며, 오버랩되는 상기 제2 모델은 투명 상태로 오버랩시켜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물 평가장치의 구동방법은, 저장부가, 임의의 자격 시험에서 평가 기준이 되는 입체물에 대한 제1 모델링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자격 시험의 응시자가 제작한 제작물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제1 모델링 데이터와 관련한 채점 기준표의 평가 항목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응시자의 제작물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모델링 데이터에 대비되는 제2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저장한 평가 항목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제1 모델링 데이터와 상기 제2 모델링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른 채점을 수행하여 상기 제작물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한 평가 항목 데이터에서 지정하는 복수의 비교 부위에 대한 상기 제1 모델링 데이터와 상기 제2 모델링 데이터를 비교하여 각각의 비교 결과를 근거로 지정 점수를 차감하여 상기 채점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장치와 연동하며, 수신한 상기 촬영 데이터에 오류 발생시 상기 오류 발생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촬영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모델링 데이터와 상기 제2 모델링 데이터의 제1 모델 및 제2 모델을 그래픽 처리부에서 서로 오버랩시켜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오버랩되는 상기 제2 모델은 투명 상태로 오버랩시켜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평가 위원들의 주관적인 판단 기준을 배제시켜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평가 기준이 되는 실제품을 3D 모델링화하여 제공하므로, 평가에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평가 기준용 3D 모델링과 응시자들이 제작한 입체물과의 3D 모델링을 비교하여 그 점수를 자동 채점하도록 함으로써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물 평가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응시자의 제작물 촬영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제작물 평가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물 평가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물 평가 과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물 평가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응시자의 제작물 촬영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물 평가시스템(90)은 평가위원(혹은 사용자) 단말장치(100), 통신망(110) 및 제작물 평가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촬영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망(110)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평가위원 단말장치(100)와 제작물 평가장치(120)가 다이렉트(예: P2P) 통신을 수행하거나, 제작물 평가장치(1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통신망(110) 내의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평가위원 단말장치(100)는 치과기공사 자격 시험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자격 시험(예: 실기시험)에 참여하는 평가위원, 또는 감독자들이 소지하는 다양한 종류의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대표적으로 도 2에서와 같은 스마트폰(100') 등의 모바일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카메라 등의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100')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응시자들이 실시시험에서 제작한 제작물(99)들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전용 앱을 실행하여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카메라와 같은 전용단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전용단말에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별도의 앱을 설치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과기공사 자격 시험에서 실기시험은 다양한 유형의 제작물에 대한 제작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어금니부터 윗니와 앞니 등 각각의 치아에 대한 제작물이 제작될 수 있다. 이의 경우, 전용 앱은 이러한 제작물에 대한 평가를 수월하게 진행하도록 돕는다. 다시 말해, 평가위원이 자신의 스마트폰(100')에 설치되어 있는 평가 전용앱을 실행시킨 후, 응시자들의 제작물(99)에 대한 촬영을 시작할 때, 응시자들의 수험표, 가령 QR 코드를 인식한 후 촬영을 진행하게 되면 응시자의 사용자 정보 즉 식별정보와 함께 제작물(99)의 촬영 데이터가 매칭되어 제작물 평가장치(120)로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시간 정보도 함께 전송되므로, 평가의 부정에 대한 의심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물론 평가위원 단말장치(100)에서는 전용 앱을 설치하지 않고, 제작물을 촬영하여 촬영물을 메모리에 저장한 후, 제작물 평가장치(120)에 접속하여 기저장한 촬영물을 불러내어 순서대로 전송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은 매우 번거로울 수 있고, 특히 제작물(99)의 촬영 영상물이 임시 저장됨으로써 불필요한 논란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평가시 전용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작물의 촬영 데이터와 함께 응시자의 수험정보, 그리고 데이터가 전송되는 시간 정보 등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전용 앱은 접속이 허가되는 허가권자에게만 서비스가 제한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촬영물을 제작물 평가장치(120)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통신망(110)의 네트워크 상태가 불안정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제작물 평가장치(120)로부터의 요청이나 피드백 정보에 따라 관련 촬영물을 임시 저장한 후 네트워크 상태가 안정될 때 재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다수의 평가위원이나 감독관이 응시자들의 제작물(99)에 대한 촬영을 진행할 때,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한명의 평가위원이 다수의 응시자들이 제작한 어금니만을 촬영한다면, 다른 평가위원은 다수의 응시자들이 제작한 윗니만을 촬영하여 촬영영상이나 촬영이미지를 제작물 평가장치(12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평가위원 단말장치(100)에서 제작물(99)의 데이터 유형을 분류하여 촬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그만큼 제작물 평가장치(120)에서 데이터 분류되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어 데이터 처리가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실시시험에 응시한 응시자들이 시험 종류 후에 시험 감독관의 지휘하에 자신들의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자신들이 제작한 제작물에 대한 촬영을 각자 수행하고, 가령 앱의 실행을 통해 촬영하고 제작물 평가장치(120)로 촬영물을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의 경우, 다수의 응시자들이 동시에 촬영물을 전송하는 경우 제작물 평가장치(120)의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감독관의 지휘하에 그룹을 나누어 촬영물을 전송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과부하 문제를 해결하고,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서 응시자의 식별정보를 입력하거나 QR코드 등의 인식을 통해 응시자들을 구별할 수 있고, 시간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부정 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평가위원 단말장치(100)는 평가위원이나 감독관이 응시자들의 제작물(99)에 대한 촬영을 진행할 때, 제작물 평가장치(12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피드백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응시자의 제작물(99)에 대하여 특정 부위의 촬영을 더 필요로 하는 경우, 다시 말해 제작물(99)에 대한 정면, 우측면, 좌측면 및 평면을 촬영해야 할 때, 평면 촬영이 생략되었다면 이에 대한 메시지를 평가위원 단말장치(100)로 전송하여 평면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평가위원 단말장치(100)는 앱의 실행에 따라 자신이 촬영하여 전송하는 응시자의 제작물(99)과 관련하여 실시간으로 피드백 메시지를 제공받으면서 이에 따라 3D 모델링 데이터의 생성을 위한 완벽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평가위원 단말장치(100)가 특정 부위를 구분하여 촬영을 진행할 때, 해당 부위를 지시하는 부가 정보(예: 텍스트나 음성명령)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해 제작물 평가장치(120)에서는 수신되는 데이터의 분류를 수월하게 진행할 수도 있다.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1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 통신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10) 내의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10)은 액세스포인트(AP)를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평가위원 단말장치(10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평가위원 단말장치(10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제작물 평가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가령 치과기공사 등의 자격시험에 응시하는 응시자들이 실기시험에서 제작한 치과기공물에 대한 평가를 진행한다. 여기서, 치과기공물은 응시자들이 실시시험에서 제작한 제작물이 되는 것이다. 물론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치과기공사 시험 이외에도 입체물을 활용하는 다양한 국가시험에 적용될 수 있다. 다수 응시자들의 제작물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각 치과기공물과 관련하여 평가위원들이 제시한 입체물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혹은 제1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여 DB(120a)에 저장할 수 있다. 평가위원은 개별적으로 시험 당일에 제시될 입체물을 3D 프린터 등을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작물 평가장치(120)가 3D 프린터 등의 외부장치와 연계하여 동작하는 경우에는 3D 프린터에 평가위원이 입력한 데이터를 근거로 평가 기준용 입체물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평가위원들이 입체물을 제작한 후, 자신의 스마트폰 등의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촬영물을 제공하면,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수신된 촬영물을 분석하여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여 DB(120a)에 저장시킬 수 있다. 즉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실기시험 응시자들의 제작물과 관련하여 평가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규격화된 대상물 가령 평가위원이 제작한 입체물을 모델링한다. 이를 위해 특정 입체물에 대하여 3D 촬영이 이루어지면 이를 통해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모델링이란 모델을 제작하는 과정 또는 작업을 의미하는 것이며, 현실 세계를 단순화하여 표현하는 기법이다. 또는 모델링은 촬영된 촬영물에서 정면, 우측면, 좌측면 및 평면 등의 영상을 추출하고 이의 결합을 통해 현실과 동일한 3D 형태의 가상의 입체물을 형성한 모델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의 내용에 기초해 볼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교대상으로서 기준이 될 수 있는 규격화된 가상공간상의 모델을 제작한다. 이의 과정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준이 되는 모델 즉 평가위원의 입체물을 분석하여 모델의 특징을 규정지을 수 있다. 가령 비교가 이루어져야 하는 특정 부위에서 평가위원이 지정한 깊이(depth)가 3mm였다면, 해당 부위에 대한 정보와 함께 기준 수치에 대한 값을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평가위원들이 제시한 채점 기준표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평가위원의 입체물에 대한 기준 모델을 분석하여, 깊이 등을 계산하여 평가위원에게 제시한 후 확인을 받는 등의 과정을 진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의 경우, 평가위원은 채점이 이루어지는 부위에 대한 항목만 채점 기준표에 제시하면 된다. 이와 같이 평가위원의 입체물과 채점 기준표를 활용하여 평가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채점 기준표의 평가 항목 데이터를 근거로 평가위원이 제시한 입체물의 제1 모델과 응시자들이 제시한 제2 모델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채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각 평가위원이 제작한 평가 기준용 입체물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의 구축을 완료한 후, 자격 시험의 각 실시시험장으로부터, 더 정확하게는 해당 장소에서 응시자들의 제작물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수신하여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수신되는 촬영 데이터를 분류하여 DB(120a)에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동작을 선행할 수 있다. 이후, 각 응시자의 제작물에 대한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의 원활한 처리를 위하여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평가위원 단말장치(100)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위한 앱을 제공하여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기저장한 촬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앞서 평가위원들이 제공한 평가 기준용 입체물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 가령 3D 모델링 데이터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모델링 데이터(혹은 제2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각 평가위원이 제공한 입체물 평가 채점 기준표와 관련한 평가 항목 데이터를 근거로 제1 모델링 데이터와 제2 모델링 데이터의 비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 채점 기준표상에 평가위원이 제작한 입체물과 응시자들이 제작한 제작물의 특정 부위에 대한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이를 인식하여 해당 부위를 검출하고 검출 부위와 관련되는 제1 모델링 데이터와 제2 모델링 데이터를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에 따라 비교 결과로서 오차값을 산출할 수 있다. 가령, 앞서 언급한 대로 평가위원이 지정한 기준 수치가 3mm이지만, 응시자는 5mm로 제작하였다면 2mm의 오차값이 산출되는 것이다. 평가 채점 기준표상에는 오차값의 범위를 기준으로 차감(혹은 감점)이 이루어지도록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전체 100점을 기준으로 응시자의 점수를 차감하여 최종적으로 각 응시자의 평가 결과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실기 시험에서 각 평가위원이 평가를 위해 제시한 평가 기준용 입체물이 총 5개인 경우, 각 평가위원이 제시한 채점 기준표에 따라 채점을 위에서와 같은 방식을 통해 채점을 수행하고, 채점을 합산하여 평균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산출한 평균값을 근거로 응시자들의 순서를 정렬할 수도 있다. 가령, 실기시험에서 만점 기준으로 60% 이상을 득점해야 하므로, 이를 기준으로 과락을 분류하고, 60% 이상의 득점자들을 다시 점수에 따라 분류하여 순위를 설정하여 정렬해 줄 수도 있다.
물론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매 시험마다 평가위원이 바뀌므로, 각 평가위원이 제시한 입체물과 해당 입체물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 해당 평가위원들이 제기하는 채점 기준표를 기준으로 평가 항목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한 후 각 응시자들의 제작물에 대한 평가를 진행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실기시험에 대한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되며, 시험에 대한 평가결과를 산출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을 소요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기생성된 제1 모델링 데이터를 근거로 응시자들의 제작물에 대한 평가를 진행할 때, 평가 항목 데이터의 순서대로(예: 순서가 지정될 수 있음) 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대로 정면, 우측면, 좌측면 및 평면의 순서대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설정되었다면 이를 근거로 평가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평가위원이 자신이 제작한 입체물에 대한 지정 부위에 대하여 평가를 요청할 때, 해당 부위에 대한 특성, 가령 특징점을 근거로 지정 부위를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좌표값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금니인 경우 어금니의 외형이 일치하는지를 먼저 비교한다. 이를 통해 어금니인지 아닌지를 인식하는 것이며, 해당 어금니의 음영을 분석하여 깊이를 계산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비교 부위의 특징점을 산출하여 이를 근거로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작물 평가장치(120)에서 이루어지는 비교 동작은 여러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델링 데이터와 제2 모델링 데이터에서 비교를 위한 특정 부위의 데이터가 검출되면 2개의 데이터, 가령 화소값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거나 오차값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그래픽 처리부 등에서 제1 모델링 데이터를 제1 레이어(layer)상에 구현하고, 제2 모델링 데이터를 제2 레이어상에 구현한 후 오버랩(overlap)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2 레이어상의 제2 모델링 데이터는 일종의 마스킹 데이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제1 레이어상에 투명한 제2 레이어를 오버랩한 후 외곽선 등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나 오차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비교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도 1의 평가위원 단말장치(100)에서 평가를 위해 응시자의 제작물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질 때,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기시험의 응시자가 총 100명인데, 수신된 촬영 데이터를 근거로 특정 응시자가 누락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통지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응시자의 제작물에 대한 촬영 과정에서도 특정 부위에 대한 촬영이 더 필요한 경우에도 관련 내용을 통지하여 촬영이 더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용 앱 등을 통해 평가위원 단말장치(10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근거로 해당 평가위원 단말장치(100)로 피드백을 주어 정확한 데이터 취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시험장에 설치되는 카메라 등의 촬영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부정행위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부정 행위 유형은 이와 관련되는 다양한 학습 데이터를 확보하여 DB(120a)에 저장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부정 행위의 적발은 실기시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부정행위가 의심될 때 평가위원 단말장치(100)로 통지하여 부정 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특정 응시자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특정 행위 즉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는 기저장된 행위 패턴 데이터를 근거로 판단될 수 있다. 가령, 응시자의 머리가 책상의 아래쪽을 향하거나, 머리를 좌우의 지정 각도 이상 회전하였을 때 해당 응시자의 이미지를 집중 분석하여 즉 이미지 추적을 통해 최종적으로 부정 행위가 발생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시험장에 IP 카메라 등의 촬영장치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이를 등록함으로써 영상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제작물 평가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자동평가 수행부(320) 및 저장부(3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3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자동평가 수행부(3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3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도 1의 평가위원 단말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나아가,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평가위원이 제작한 평가 기준용 입체물을 제공하는 3D 프린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치과기공사 자격 시험의 실기시험은 복수의 평가위원이 참여할 수 있다. 각각의 평가위원은 응시자들의 실시시험에 평가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한 입체물을 제작하거나, 제시할 수 있다. 이때, 입체물은 3D 프린터에 의해 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3D 프린터는 입체물의 제작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3D 프린터가 아니라 하더라도, 평가위원은 자신의 스마트폰 등의 평가위원 단말장치(100)를 통해 자신이 자격시험의 실기시험을 위한 직접 제작한 입체물을 촬영하여 촬영 데이터(예: 동영상이나 촬영 이미지 등)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과정도 앱을 통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필기 또는 시험장에 설치되는 CCTV로부터 촬영영상을 수신하여 제어부(31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촬영영상은 응시자의 부정행위를 탐지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310)는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자동평가 수행부(320) 및 저장부(3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대표적으로 제어부(3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로부터 각 평가위원이 제공하는 평가 기준용 입체물에 대한 촬영영상 등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자동평가 수행부(3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제어부(310)는 저장부(330)에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불러내어 자동평가 수행부(3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실기시험에 참여한 응시자들이 제작한 제작물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평가위원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하여 자동평가 수행부(32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촬영 데이터는 실기 시험장의 평가위원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자동평가 수행부(320)의 요청에 따라 각 응시자들의 제작물에 대한 촬영 데이터 및 분석 결과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DB(120a)에 저장시킨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3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자동평가 수행부(320)는 각종 자격 시험의 실기 시험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평가기준 대상물, 가령 치과기공사 자격시험에서 평가위원으로 선정된 각 평가위원이 제작 혹은 제출한 입체물에 대한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모델링 데이터는 실기시험 장소에서 치과기공물을 제작하는 응시자들의 제작물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이 된다. 따라서, 자동평가 수행부(320)는 가령 평가위원들이 자신의 스마트폰 등을 통해 제공하는 촬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준이 되는 모델을 생성하여 그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가령, 동영상 촬영물이 제공되는 경우 해당 촬영물을 분석하여 360°의 방향에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모델을 생성하고, 그에 따른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한다.
물론 자동평가 수행부(320)는 생성한 모델의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각 평가위원이 제시한 채점 평가 기준표의 정보를 근거로 특정 부위를 검색하여 해당 부위에 대한 특징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특징 데이터는 모델의 외곽 라인이나,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까지의 거리나 깊이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과기공물이 어금니인 경우 평가 기준이 되는 입체물이 길이, 높이, 너비 및 평면도에서 볼 때 깊이 등이 특정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평가 기준 데이터의 구축이 완료되면, 자동평가 수행부(320)는 응시자들의 제작물에 대한 평가를 진행한다. 실기시험에서 제작되는 응시자들의 촬영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를 분석하여 제작물마다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응시자들의 제작물에 대한 평가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 기준이 되는 모델을 외부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 내부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므로, 촬영 데이터가 수신될 때 수신한 촬영 데이터를 분석하여 별도의 모델을 제작하지 않고 분석 결과로서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어떠한 방식으로 기준이 되는 모델링 데이터가 생성되느냐에 따라 응시자들의 촬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은 상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비교를 위해서는 동일한 형태(예: 포맷)로 데이터 생성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자동평가 수행부(320)는 그래픽 처리부에서 평가 기준용 모델과 응시자들의 제작물에 대한 모델을 서로 다른 레이어에 형성하고 오버랩하여 일치여부나 오차를 판단할 수 있다. 이의 경우 중첩되는 응시자들의 제작물에 대한 모델은 투명한 형태로 제작되어 평가 기준용 모델상에 오버랩될 수 있다. 이는 오버랩되는 응시자들의 제작물에 대한 모델은 마스킹(masking) 이미지로서 사용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이미지를 오버랩한 후 캡쳐하여 캡쳐 이미지를 분석하게 되면 일치 여부나 오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오차 발생시에는 해당 부위의 화소에 대한 화소값을 근거로 오차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화소(pixel)가 1mm인 경우 2개의 화소 간격이 되었다면 2mm의 오차가 발생한 것이다.
자동평가 수행부(320)는 이와 같이 평가위원의 평가 기준 모델과 응시자들의 평가 대상 모델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기저장한 평가 채점 기준표의 데이터를 근거로 각 응시자의 점수를 계산한다. 가령, 실기시험 총 100점 만점에 기준표의 데이터를 근거로 일정 점수를 차감하는 형태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어금니 20점, 송곳니 20점이 각각 배점된 경우라면 각 치과기공물의 평가위원이 제시한 평가 채점 기준표의 설정 데이터를 근거로 각 항목마다 감점 처리하고, 총 점수를 합산한 후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 후에도 자동평가 수행부(320)는 과락 대상자를 선별하거나, 60% 이상이 되는 대상자에 대하여 점수를 근거로 순위를 매겨 정렬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정렬 데이터를 생성하고, 평가위원들이 요청시 관련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자격시험의 평가기관 담당자가 컴퓨터를 통해 도 1의 제작물 평가장치(120)에 접속하여 평가 결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DB(120a)에 저장되어 있는 관련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각 응시자들에게 결과를 통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작물 평가장치(120)와 연동되는 메일 서버나 문자서비스 서버 등과 연동하여 결과를 통지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자동평가 수행부(320)는 각 시험장에서 제공되는 CCTV 등의 촬영 데이터를 분석하여 부정행위 여부를 더 판단할 수도 있으며, 이는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저장부(330)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는 영상 데이터의 경우 부가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데이터는 화소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지만, 실무적으로 혼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그러한 용어의 개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의 제어부(310)는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CPU는 제어기능을 담당하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담당하고, 연산부는 비트정보의 연산처리에 관여하며, 명령어해석부는 기계어 해석 동작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비트정보를 해석하여 어떠한 동작을 수행해야 할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레지스트리는 데이터의 일시적인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CPU는 제작물 평가장치(120)의 초기 구동시 자동평가 수행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로딩하여 저장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물 평가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임의의 자격 시험에서 평가 기준이 되는 입체물의 제1 모델링 데이터를 저장하고, 자격 시험의 응시자가 제작한 제작물을 평가하기 위해 제1 모델링 데이터와 관련한 채점 기준표에 대한 평가 항목 데이터를 저장한다(S400).
여기서, 채점 기준표는 자격 시험의 평가 위원이 제시하는 가령 입체물이나 응시자가 제작한 제작물의 비교 부위 및 그에 할당된 배점 등이 될 수 있으며, 평가 항목 데이터는 항목에 해당하는 각 비교 부위와 배점을 2진 비트 정보의 형태로 나타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각 비교 부위에 대하여 얼마의 배점이 할당되어 있는지를 확인한 후 그에 따라 점수를 차감하는 방식으로 채점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응시자의 제작물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모델링 데이터에 대비(혹은 대응)하는 제2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며, 저장한 평가 항목 데이터를 근거로 제1 모델링 데이터와 제2 모델링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른 채점을 수행해 (응시자의) 제작물의 평가를 수행한다(S410).
예를 들어, 어금니와 같은 특정 제작물에 대한 평가가 완료되면, 이어 동일 응시자의 송곳니와 같은 다른 제작물에 대한 평가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과정으로 총 제작물에 대한 평가를 진행해 총 100점에서 할당된 배점을 차감하는 방식으로 채점하여 60점 이상이 되는지를 판단해 과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물 평가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치과 기공사와 같은 자격 시험의 평가 위원은 개별적으로 시험 당일에 제시될 입체물을 제작한다(S500).
그리고, 각 평가위원이 제작한 평가 기준용 입체물을 3D 모델링하여 도 1의 제작물 평가장치(120)와 같은 시험 서버에 입력한다(S510). 여기서, 시험 서버는 도 1의 제작물 평가장치(120)가 될 수 있다.
또한, 각 평가위원은 입체물 평가 채점 기준표를 시험 서버에 입력한다(S520). 이는 다시 말하면, 시험 서버인 제작물 평가장치(120)가 입체물 평가 채점 기준표를 저장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응시자는 시험 당일 평가를 위한 입체물 혹은 제작물을 제작한다(S530).
또한 응시자가 제작한 입체물의 3D 모델링 데이터는 시험 서버로 입력된다(S540).
그러면, 시험 서버와 같은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응시자가 제작한 입체물에 대한 3D 모델링과 평가 기준용 3D 모델링을 오버랩하는 방식으로 비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550). 물론 이러한 비교 동작은 특정 부위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정 부위에 대한 진행은 기저장된 평가 채점 기준표에 근거할 수 있다.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각 평가 위원이 입력한 입체물 평가 채점 기준표에 따라 채점을 진행한다(S560).
예를 들어, 총 5개의 제작물이 제작되는 실기시험의 경우, 각 제작물마다 평가 위원이 제시한 평가 채점 기준표에 따라 점수가 계산되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 평가위원의 채점 기준에 따른 점수를 환산한다(S570). 가령, 5개의 제작물에 대하여 25점이 배점된 경우, 이에 대한 합산 및 평균값 도출 과정이 진행된다.
또한, 제작물 평가장치(120)는 각 평가위원에게, 더 정확하게는 평가위원의 컴퓨터, 태블릿PC 또는 스마트폰 등으로 시험서버에서 채점된 점수 환산표를 제공할 수 있다(S580).
이에 따라 각 평가 위원은 해당 채점 점수를 확인할 수 있고(S590), 각 평가 위원의 점수 평균으로 응시자 점수를 확인할 수도 있다(S595). 이는 제작물 평가장치(120)에서 점수를 채점하고, 평균값 계산 동작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평가위원 단말장치 110: 통신망
110': 스마트폰 120: 제작물 평가장치
3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제어부
320: 자동평가 수행부 330: 저장부

Claims (8)

  1. 임의의 자격 시험에서 평가 기준이 되는 입체물에 대한 제1 모델링 데이터를저장하고, 상기 자격 시험의 응시자가 제작한 제작물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제1 모델링 데이터와 관련한 채점 기준표의 평가 항목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응시자의 제작물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모델링 데이터에 대비되는 제2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저장한 평가 항목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제1 모델링 데이터와 상기 제2 모델링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른 채점을 수행하여 상기 제작물을 평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작물 평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한 평가 항목 데이터에서 지정하는 복수의 비교 부위에 대한 상기 제1 모델링 데이터와 상기 제2 모델링 데이터를 비교하여 각각의 비교 결과를 근거로 지정 점수를 차감하여 상기 채점을 수행하는 제작물 평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장치와 연동하며, 수신한 상기 촬영 데이터에 오류 발생시 상기 오류 발생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촬영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작물 평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델링 데이터와 상기 제2 모델링 데이터의 제1 모델 및 제2 모델을 그래픽 처리부에서 서로 오버랩시켜 비교하며, 오버랩되는 상기 제2 모델은 투명 상태로 오버랩시켜 비교하는 제작물 평가장치.
  5. 저장부가, 임의의 자격 시험에서 평가 기준이 되는 입체물에 대한 제1 모델링 데이터를저장하고, 상기 자격 시험의 응시자가 제작한 제작물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제1 모델링 데이터와 관련한 채점 기준표의 평가 항목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응시자의 제작물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모델링 데이터에 대비되는 제2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저장한 평가 항목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제1 모델링 데이터와 상기 제2 모델링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른 채점을 수행하여 상기 제작물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작물 평가장치의 구동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한 평가 항목 데이터에서 지정하는 복수의 비교 부위에 대한 상기 제1 모델링 데이터와 상기 제2 모델링 데이터를 비교하여 각각의 비교 결과를 근거로 지정 점수를 차감하여 상기 채점을 수행하는 제작물 평가장치의 구동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장치와 연동하며,
    수신한 상기 촬영 데이터에 오류 발생시 상기 오류 발생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촬영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작물 평가장치의 구동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모델링 데이터와 상기 제2 모델링 데이터의 제1 모델 및 제2 모델을 그래픽 처리부에서 서로 오버랩시켜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오버랩되는 상기 제2 모델은 투명 상태로 오버랩시켜 비교하는 제작물 평가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00091994A 2020-07-24 2020-07-24 제작물 평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442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994A KR102442777B1 (ko) 2020-07-24 2020-07-24 제작물 평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994A KR102442777B1 (ko) 2020-07-24 2020-07-24 제작물 평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035A true KR20220013035A (ko) 2022-02-04
KR102442777B1 KR102442777B1 (ko) 2022-09-13

Family

ID=80268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994A KR102442777B1 (ko) 2020-07-24 2020-07-24 제작물 평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77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682A (ko) * 2001-11-15 2003-05-23 김대원 인터넷을 이용한 응용프로그램 실기 평가 서비스 장치 및방법
KR20040019942A (ko) 2002-08-28 2004-03-06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입체물 생성 시스템
JP2010136221A (ja) * 2008-12-05 2010-06-17 Bankutekku Japan Kk イメージ処理システム及びイメージ処理方法
KR20160011839A (ko) 2014-07-23 2016-02-02 주식회사 쓰리디아이템즈 3차원 객체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31001B1 (ko) * 2018-11-05 2019-10-11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682A (ko) * 2001-11-15 2003-05-23 김대원 인터넷을 이용한 응용프로그램 실기 평가 서비스 장치 및방법
KR20040019942A (ko) 2002-08-28 2004-03-06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입체물 생성 시스템
JP2010136221A (ja) * 2008-12-05 2010-06-17 Bankutekku Japan Kk イメージ処理システム及びイメージ処理方法
KR20160011839A (ko) 2014-07-23 2016-02-02 주식회사 쓰리디아이템즈 3차원 객체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31001B1 (ko) * 2018-11-05 2019-10-11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777B1 (ko)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02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re-photographed images
US98986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identifying and tracking objects and events over time
CN106203242B (zh) 一种相似图像识别方法及设备
WO2020000912A1 (zh) 一种行为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2487928B (zh) 基于特征模型的课堂学情实时监测方法与系统
CN104011738A (zh) 用于使用交互式化身进行通信的系统和方法
US20230041573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0493595A (zh) 摄像头的检测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1814587A (zh) 人体行为检测方法、教师行为检测方法及相关系统和装置
US1169448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attendance state management method
CN113436735A (zh) 基于人脸结构度量的体重指数预测方法、设备和存储介质
CN111353439A (zh) 一种教学行为的分析方法、装置、系统及设备
KR102442777B1 (ko) 제작물 평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130109777A (ko) 얼굴 인식 기반의 근태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8647613B (zh) 一种应用于考场的考生查验方法
KR102031001B1 (ko)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12734966B (zh) 一种融合WiFi数据与人脸识别的课堂点名方法
KR20170099266A (ko) 딥러닝 기반 단일 실물 사진 인증 시스템
CN108334869A (zh) 人脸部件的选择、人脸识别方法和装置,以及电子设备
Azhaguraj et al. Smart attendance marking system using face recognition
CN112087590A (zh) 图像处理方法、装置、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
KR102442783B1 (ko) 모션 기반의 학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10438066B2 (en) Evaluation of models generated from objects in video
KR102505705B1 (ko) 이미지 분석 서버, 이미지 분석 서버를 이용한 객체 카운팅 방법 및 객체 카운팅 시스템
JP6324284B2 (ja) グループ学習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