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214B1 - 내부 인공삽입물 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내부 인공삽입물 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214B1
KR101973214B1 KR1020137028905A KR20137028905A KR101973214B1 KR 101973214 B1 KR101973214 B1 KR 101973214B1 KR 1020137028905 A KR1020137028905 A KR 1020137028905A KR 20137028905 A KR20137028905 A KR 20137028905A KR 101973214 B1 KR101973214 B1 KR 101973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th
catheter
prosthesis
delete delete
delivery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4880A (ko
Inventor
브라이언 씨 홀름
쉐인 피 로저스
아니세토 트루질로
Original Assignee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24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4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62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 A61F2/966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wit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outer sleeve and prosthesis, e.g. using a push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62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 A61F2/966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wit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outer sleeve and prosthesis, e.g. using a push rod
    • A61F2002/96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wit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outer sleeve and prosthesis, e.g. using a push rod with additional retai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환자의 맥관 구조에 의료 디바이스를 이송하기 위한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카테터는 카테터의 단부에서 의료 디바이스를 덮는 외피(sock)과 직경이 감소된 유도 삽입관(introducer sheath)을 포함한다. 이러한 직경이 감소된 유도 삽입관은 카테터의 크로싱을 최소화한다.

Description

내부 인공삽입물 이송 시스템{ENDOPROSTHESIS DELIVERY SYSTEM}
관련출원에 대한 교차참조
본 출원은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2011년 4월 8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내부 인공삽입물 이송 시스템(ENDOPROSTHESIS DELIVERY SYSTEM)"인 미국 가출원 제61/473,503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맥관 구조 내의 치료 영역에 내부 인공삽입물을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간 맥관 구조에 의학적 치료를 제공하는 한가지 방법은 카테터의 사용을 포함한다. 많은 경우에, 카테터는 예컨대 스텐트 및 스텐트 이식편(자가 확장식 또는 그외)과, 분기형 스텐트(bifurcated stent) 및 스텐트 이식편과, 약물 방출 스텐트(drug-eluting stent), 그리고 내강내 영상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하대 정맥 필터(inferior vena cava filter)와 같은 혈관 필터와 같은 내부 인공삽입물을 이송하는 데 사용된다.
대개, 카테터는 오리피스 또는 절개부를 통해 신체에 진입한다. 카테터는 통상적으로 고동맥 또는 상완동맥과 같은 대동맥을 통해 삽입된 다음, 맥관 구조를 통해 치료를 필요로 하는 영역으로 조종된다. 일단 카테터의 팁이 처리 영역에 있으면, 의료 디바이스를 전개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의료 디바이스는 자가 확장식 내부 인공삽입물이다. 다른 구성에서, 내부 인공삽입물을 그 작동 크기로 확장시키기 위해 벌룬이 사용될 수 있다.
현재의 내부 인공삽입물 이송 시스템에 관한 한가지 중요한 문제는 시스템을 수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절개부의 크기이다. 이러한 절개부는 카테터의 크로싱으로 칭할 수 있다. 큰 크로싱은 증가된 환자의 불편함, 보다 긴 회복 시간 및 가능한 흉터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적 작은 크로싱을 통해 맥관 구조 내의 치료 영역에 내부 인공삽입물을 안전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내부 인공삽입물 이송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당업자라면, 종래 기술에 대한 상기한 실시예의 다수의 장점, 예컨대 내부 인공삽입물을 이송하는 데 필요한 크로싱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의 내부 인공삽입물 이송 디바이스는 내부 인공삽입물, 카테터 샤프트, 유도 삽입관(introducer sheath), 외피(sock) 및 외피 고정 요소를 더 구비하는 카테터를 포함한다. 유도 삽입관은 압축 형상 및/또는 접힘 형상의 내부 인공삽입물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이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다. 외피는 유도 삽입관의 후미 단부에서부터 선두 단부로 연장되어, 유도 삽입관을 빠져나가며, 내부 인공삽입물에 걸쳐 연속한다.
본 개시의 다른 내부 인공삽입물 이송 디바이스는 후미 단부와 선두 단부, 카테터의 선두 단부에 배치되는 스텐트, 유도 삽입관, 선단 팁, 외피, 외피 유지 세그먼트, 외피 고정 봉합부 및 카테터의 후미 단부에 배치되는 외피 분리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카테터를 포함한다. 유도 삽입관은 접힘 형상 및/또는 압축 형상의 스텐트의 외경보다 작거나 이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다. 외피는 외피 분리 메커니즘으로부터 유도 삽입관을 거처 유도 삽입관의 선두 단부를 넘어 연장되고, 스텐트와 외피 유지 세그먼트에 걸쳐 연속한다. 외피 유지 세그먼트 및 외피 고정 봉합부가 함께 작동하여, 스텐트가 치료 영역으로 이송되기 전에 카테터를 따른 외피의 위치를 유지한다.
내부 인공삽입물을 환자 내부의 치료 영역으로 이송하는 방법은, 내부 인공삽입물 이송 시스템을 환자의 신체 내에 삽입하는 단계로서, 내부 인공삽입물 이송 시스템이 내부 인공 삽입물, 카테터 샤프트, 내부 인공삽입물과 동일하거나 작은 내경을 지닌 유도 삽입관, 유도 삽입관의 선두 단부로부터 내부 인공삽입물에 걸쳐 연장되는 외피 및 외피 위치 설정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단계, 카테터 샤프트의 선두 단부를 치료 대상 영역으로 안내하는 단계, 외피를 후퇴시키는 단계, 내부 인공삽입물을 전개시키는 단계, 및 신체로부터 카테터 샤프트를 후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관한 추가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첨부도면이 포함되며, 이 첨부도면은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개시의 실시예를 예시하며, 설명과 함께 본 개시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카테터의 측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에 따른 카테터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개시에 따른 카테터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카테터의 세그먼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카테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카테터의 단면도이다.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가 의도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개수의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는 점을 수월하게 이해할 것이다. 달리 말하면, 의도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방법 및 시스템이 본 개시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참고하는 첨부도면은 모두 실축척으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를 예시하기 위해 과장될 수 있다는 것에도 또한 주목해야만 하며, 이러한 점에서 첨부도면은 제한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최종적으로, 본 개시는 다양한 원리 및 사고와 연계하여 설명될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론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내부 인공삽입물 이송 시스템은 카테터 샤프트, 유도 삽입관, 내부 인공삽입물 및 외피를 포함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카테터 샤프트는 유도 삽입관 내에 수납되고, 내부 인공삽입물은 유도 삽입관 외측에서 카테터 샤프트의 선두 단부에 놓인다. 유도 삽입관 내에서 카테터 샤프트를 에워싸는 외피는 유도 삽입관의 선두 단부를 빠져나가 내부 인공삽입물을 덮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유도 삽입관의 외경은 접힘 형상 및/또는 압축 형상의 내부 인공삽입물의 외경보다 작거나 이 외경과 동일하다.
본 개시에서, "선두(leading)"라는 용어는 신체 내로 디바이스의 진입 지점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환자의 신체 내부의 위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예컨대, 카테터의 선두 단부는 카테터의 진입 지점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신체의 맥관 구조 내부의 단부를 일컫는다. "후미(trailing)"이라는 용어는 환자의 본체 내로 디바이스의 진입 지점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예컨대, 카테터의 후미 단부는 환자의 신체 외부의 카테터의 부분을 일컫는다.
이제 상기한 실시예로 돌아가면, 그리고 도 1을 참고하면, 카테터(100)는 내부 인공삽입물 이송 시스템이다. 카테터(100)는 유도 삽입관(104), 내부 인공삽입물(101) 및 선두 팁(103)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내부 인공삽입물(101)은 유도 삽입관(104)과 선두 팁(103)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내부 인공삽입물(101)은 확장식 스텐트 또는 스텐트 이식편일 수 있다. 이들 실시예의 양태에서, 내부 인공삽입물(101)은 자가 확장식 스텐트 또는 스텐트 이식편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카테터(100)가 환자의 신체 내에 삽입되기 전에, 내부 인공삽입물(101)은 접힘 상태 및/또는 압축 상태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유도 삽입관(104)의 내경은 접힘 상태 및/또는 압축 상태의 내부 인공삽입물(101)의 외경보다 작거나 이 외경과 동일하다. 이들 실시예에서, 내부 인공삽입물(101)의 외경은 유도 삽입관(104)의 내경보다 크기 때문에, 내부 인공삽입물(101)이 유도 삽입관(104) 내에서 전개되기란 불가능하다. 이들 실시예의 양태에서, 유도 삽입관(104)의 외경도 또한 접힘 상태 또는 압축 상태의 내부 인공삽입물(101)의 외경보다 작거나 이 외경과 동일할 수 있다. 유도 삽입관(104)의 외경이 내부 인공삽입물(101)의 외경과 동일한 실시예에서, 유도 삽입관(104)과 내부 인공삽입물(101)은 유도 삽입관(104)의 진입 지점에서부터 내부 인공삽입물(101)의 선두 단부까지 일정한 직경을 갖는 일체형 튜브를 형성한다.
도 2a를 참고하면, 카테터(200)는 내부 인공삽입물 이송 디바이스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카테터(200)는 카테터 샤프트(202), 유도 삽입관(204) 및 외피(205)를 포함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유도 삽입관(202)은 맥관 구조 내로 삽입된다. 카테터 샤프트(202) 및 외피(205)는 유도 삽입관(204)을 통과하여 맥관 구조 내의 치료 영역을 향해 조종된다.
도 2b를 참고하면, 카테터(200)는 내부 인공삽입물(201)을 더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내부 인공삽입물(201)은 카테터 샤프트(202)의 선두 단부에 놓인다. 내부 인공삽입물(201)은, 예컨대 스텐트를 포함한다. 이들 실시예의 양태에서, 내부 인공삽입물은 압축 형상 및/또는 접힘 형상의 자가 확장식 스텐트 또는 스텐트 이식편을 포함한다. 그러나, 카테터에 의해 치료 영역으로 이송 가능한 임의의 내부 인공삽입물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속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카테터(200)는 외피(205)를 더 포함한다. 이들 구성에서, 외피(205)는 카테터 샤프트(202)보다 크거나 이와 동일하고, 유도 삽입관(204)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다. 외피(205)는 카테터 샤프트(202)를 에워싸고, 유도 삽입관(204)을 통과하며, 유도 삽입관(204)의 선두 단부로부터 외향 연장된다. 그 후, 외피(205)는 내부 인공삽입물(201)의 외면을 둘러싼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외피(205)는 내부 인공삽입물(201)의 내경보다 크거나 이와 동일하고 유도 삽입관(204)의 내경보다 크거나 이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외피(205)는 디바이스가 치료 영역으로 이송될 때 내부 인공삽입물(201)을 보호한다. 예컨대, 외피(205)는 카테터(200)가 치료 영역으로 조종될 때에 내부 인공삽입물(201)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외피(205)는 내부 인공삽입물(201)과 전개 시스(deploy sheath)(도시하지 않음) 모두를 덮는다. 이들 구성에서, 전개 시스는 내부 인공삽입물(201)을 둘러싸, 내부 인공삽입물을 접힘 형상 및/또는 압축 형상으로 유지한다. 전개 시스를 사용하지 않는 실시예에서, 외피(205)는 오염에 대한 보호 및 접힘 상태 및/또는 압축 상태로의 내부 인공삽입물(201)의 유지를 제공할 수 있다.
외피(205)는, 예컨대 폴리머와 같은 생체 적합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의 양태에서, 외피(205)는 ePTFE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외피(205)과 내부 인공삽입물(201)이 생물학적 악영향을 유발하는 일 없이 맥관 구조를 횡단하도록 하는 임의의 재료, 예컨대 나일론,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우레탄, 폴리실록산 및 다른 생체 적합성 재료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속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유도 삽입관(204)의 내경은 접힘 상태 및/또는 압축 상태의 내부 인공삽입물(201)의 외경보다 작거나 이와 동일하다. 이들 실시예의 양태에서, 유도 삽입관(204)의 외경은 내부 인공삽입물(201)의 직경보다 작거나 이와 동일하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카테터(200)의 카테터 샤프트(202)는 가이드 와이어(guidewire)를 포함한다. 그러나, 카테터(200)를 지지하는 가요성 샤프트도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속한다. "가요성 샤프트"라는 용어는 관통 루멘이 있거나 없는 임의의 종방향 연장 구조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가요성 샤프트는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루멘을 지닌 튜브, 중실형 로드, 중공형 또는 중실형 와이어(예컨대, 가이드 와이어), 중공형 또는 중실형 스타일릿(stylet), 금속 튜브(예컨대, 하이포튜브), 폴리머 튜브, 인장 코드 또는 테더(tether), 섬유, 필라멘트, 전도체, 방사선 불투과성 요소, 방사성 요소 및 방사선 투과 요소를 포함한다. 가요성 샤프트는 임의의 재료의 것일 수 있고,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원형, 타원형, 삼각형, 정사각형, 다각형 형상 또는 임의의 형상의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유도 삽입관(204)이 맥관 구조에 접근하도록 이송되는 의료 디바이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유도 삽입관(204)이 생체 적합성 재료인 재료를 포함한다는 점은 중요하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유도 삽입관(204)은 폴리머, 예컨대 Pebax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유도 삽입관이 생물학적 악영향을 유발하는 일 없이 맥관 구조를 횡단하도록 하는 임의의 재료, 예컨대 ePTFE, 나일론,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우레탄, 폴리실록산 및 다른 생체 적합성 재료 등이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속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카테터(200)는 도 2a 및 도 2b의 내부 인공삽입물 이송 시스템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카테터(200)는 선두 팁(203)을 포함한다. 선두 팁(203)은 카테터 샤프트(202)의 선두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선두 팁(203)은 혈전을 천공할 수 있는 팁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선두 팁(203)은 방사선 불투과성인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마커(marker)를 포함한다. 선두 팁(203)은 예컨대 폴리머와 같은 생체 적합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선두 팁이 생물학적 악영향을 유발하는 일 없이 맥관 구조에서 조종되도록 하는 임의의 재료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속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내부 인공삽입물(201)은 유도 삽입관(204)의 선두 단부와 선두 팁(203)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은 선두 팁(203)이 맥관 구조 내의 가능한 장애물 또는 혈전을 제거하거나 횡단 가능하게 하고, 내부 인공삽입물(201)에 의한 치료 영역에의 접근을 제공한다.
우선 도 3c를 참고하면, 카테터(200)는 선두 팁(203)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선두 팁(203)은 공동을 포함한다. 이들 실시예의 양태에서, 외피(205)의 선두 단부가 진입하여, 선두 팁(203)의 원추형 공동 내에서 유지된다.
카테터(200)는 외피 유지 세그먼트(207)를 더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외피 유지 세그먼트(207)는 내부 인공삽입물(201)과 선두 팁(203)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 외피 유지 세그먼트(207)는 예컨대, 외피(205)의 선두 단부가 진입하는 공동을 포함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외피 유지 세그먼트(207)는 카테터(200)가 맥관 구조를 횡단할 때에 외피(205)이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외피(205)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외피(205)는 유도 삽입관(204)의 선두 단부로부터 내부 인공삽입물(201)을 거쳐, 외피 유지 세그먼트(207)를 거쳐 연장되고, 최종적으로 외피 유지 세그먼트(207)의 공동 및/또는 선두 팁(203)에 진입한다. 선두 팁(203)은 예컨대 만입형 립(indented lip)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만입형 립은 외피 유지 세그먼트(207)가 선두 팁(203)과 인터페이싱하여, 외피(205)의 단부와 선두 팁(203)의 표면 사이의 매끄러운 전이부를 형성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카테터(400)는 내부 인공삽입물 이송 시스템이다. 카테터(400)의 다양한 실시예는 외피(405)과 외피 고정 요소(406)를 포함한다. 외피 고정 요소(406)는 예컨대 외피 유지 세그먼트(207)의 감소된 직경에 비해 또는 공동 내에서 외피의 선두 단부에서 또는 선두 단부 근처에서 외피(405)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봉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디바이스가 환자에게 삽입되어 맥관 구조를 통해 조종될 때에 외피(405)이 소망하는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카테터(400)는 인장 스트링(410)을 더 포함한다. 인장 스트링(410)은 외피 고정 요소(406)에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인장 스트링(410)은 예컨대 인장 스트링(410)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인장 스트링(410)이 활성화될 때, 외피 고정 요소(406)가 외피(405)으로부터 해제된다. 이들 실시예의 양태에서, 외피 고정 요소(406)는 외피(405)을 그 초기 내경으로 해제하거나 복원하는 봉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외피(405)이 카테터(400)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카테터(400)는 외피 분리 메커니즘(409)을 더 포함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외피 분리 메커니즘(409)은 외피(405)에 연결될 수 있다. 외피 분리 메커니즘(409)이 활성화될 때, 외피(405)는 카테터(400)로부터 분리된다. 외피(405)은 유도 삽입관(도시하지 않음)의 내부로부터 연장되어 내부 인공삽입물(도시하지 않음)을 덮을 수 있다. 외피(405)가 분리될 때, 내부 인공삽입물은 노출되게 되고 치료 영역에서 전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외피 분리 메커니즘(409)은 외피(405)와 인장 스트링(410) 모두에 연결된다. 이들 실시예에서, 인장 스트링(410)은 추가 길이 섹션을 더 포함하고, 이에 따라 인장 스트링(410)이 인장되지 않는다. 외피(405)도 또한 추가 길이 섹션을 더 포함한다. 인장 스트링(410)의 추가 길이 섹션은, 예컨대 외피(405)의 추가 길이 섹션보다 짧을 수 있다. 이들 구성에서, 인장력이 외피 분리 메커니즘(409)에 인가될 때, 인장 스트링(410)은 외피(405) 이전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것은 인장 스트링(410)이 외피 고정 요소(406)를 해제하도록 하여 외피(405)의 직경을 확장하고, 그 후에 외피(405)가 신체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내부 인공삽입물은 자가 확장식 스텐트 또는 스텐트 이식편이며, 외피 분리 메커니즘(409)의 활성화는 내부 인공삽입물이 치료 영역으로 확장 및 전개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피 분리 메커니즘(409)의 활성화는 맥관 구조 내에의 인공삽입물의 최종적 배치를 허용하며, 내부 인공삽입물을 전개하기 위해 다른 수단, 예컨대 팽창 벌룬이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카테터(500)가 내부 인공삽입물 이송 디바이스이다. 카테터(500)는 핸들(512)을 포함하는데, 핸들을 통해서 카테터 샤프트(502)가 제어된다. 카테터 샤프트(502)는 밸브(51)를 통과하여 유도 삽입관(504) 내로 안내된다. 외피(505)은 유도 삽입관(504)을 통과하고 카테터 샤프트(502)를 둘러싼다. 외피(505)은 그 선두 단부에서 유도 삽입관(504)을 빠져나간다.
내부 인공삽입물(501)은 카테터(500)의 신체 내로의 삽입 이전에 유도 삽입관(504)의 선두 단부에서 카테터 샤프트(502) 상에 위치 설정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피(505)는 유도 삽입관(504)을 빠져나온 후에 내부 인공삽입물(501)을 둘러싼다. 외피 유지 세그먼트(507)는 내부 인공삽입물(501)에 인접하게 위치 설정된다. 선두 팁(503)은 카테터 샤프트(502)의 선두 단부에서 외피 유지 세그먼트(507)에 인접한다. 외피 분리 메커니즘(509)이 외피(505)에 연결되고 핸들(512) 상에 놓인다.
우선 도 6을 참고하면, 카테터(500)의 단면도가 제시된다. 카테터(500)는 슬리팅 블레이드(513)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외피 분리 메커니즘(509)이 활성화될 때에 슬리팅 블레이드(513; slitting blade)가 외피(505)를 절단하여, 외피가 카테터 샤프트(502)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피(205)는 슬리팅 블레이드(513)를 사용하지 않고, 예컨대 천공 필름, 종방향 배향 필름 및/또는 두께가 변하는 필름을 사용하는 것 등에 의해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피(205)는 특정 위치에서 비교적 쉽게 닳거나 해체될 수 있다. 그러나, 카테터 샤프트(502)로부터의 외피(505)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수단이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속한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내부 인공삽입물 이송 시스템은 내부 인공삽입물을 맥관 구조에 이송할 수 있는 효과적인 크로싱이 적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본 개시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개시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또는 그 등가물 내에 속하는 한 본 개시의 수정 및 변형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마찬가지로, 선행하는 설명에서는 상기 디바이스 및/또는 방법의 구조 및 기능의 세부사항과 함께 다양한 변형예를 포함하는 다수의 특징 및 장점을 설명하였다. 본 개시는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본 개시의 원리 내에서의 조합을 포함하여 특히 부품의 구조, 재료, 요소, 구성요소, 형상, 크기 및 배열 면에서,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술한 용어의 광의의 일반적인 의미로 나타내는 최대한으로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들 다양한 수정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16)

  1. 내부 인공삽입물(endoprosthesis) 이송 시스템으로서,
    내부 인공삽입물;
    선두 팁을 구비하는 카테터 샤프트;
    선두 단부와 내부 인공삽입물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유도 삽입관(introducer sheath);
    유도 삽입관의 선두 단부로부터 내부 인공삽입물에 걸쳐 연장되고, 초기 직경을 제공하는 외피(sock);
    테이퍼진(tapered) 외피 유지 세그먼트로서, 상기 외피가 테이퍼진 외피 유지 세그먼트에 걸쳐 그리고 선두 팁과 외피 유지 세그먼트 사이의 공동 내로 연장되고, 상기 외피는 상기 내부 인공삽입물을 치료 영역으로 이송하는 동안 카테터가 맥관 구조를 횡단할 때 외피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공동 내에 유지되며, 상기 공동은 외피 유지 세그먼트의 선두 표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선두 표면은 선두 팁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선두 팁을 향하는 것인 테이퍼진 외피 유지 세그먼트; 및
    외피 고정 요소로서, 상기 외피 고정 요소는 내부 인공삽입물의 말단의 외피를 구속하여 내부 인공삽입물의 말단의 상기 초기 직경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봉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 고정 요소는 인장 스트링의 활성화에 따라 갑피를 해제하여 감소된 직경을 초기 직경으로 복귀시키고 초기 직경의 외피의 말단부가 내부 인공삽입물에 걸쳐 후퇴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외피 고정 요소
    를 포함하는 내부 인공삽입물 이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외피 분리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내부 인공삽입물 이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분리 메커니즘은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내부 인공삽입물 이송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분리 메커니즘은 전개 링을 더 포함하는 것인 내부 인공삽입물 이송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샤프트는 가이드와이어 루멘(guidewire lumen)을 포함하는 것인 내부 인공삽입물 이송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인공삽입물은 스텐트를 포함하는 것인 내부 인공삽입물 이송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인공삽입물은 자가 확장형 스텐트를 포함하는 것인 내부 인공삽입물 이송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37028905A 2011-04-08 2012-04-05 내부 인공삽입물 이송 시스템 KR1019732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73503P 2011-04-08 2011-04-08
US61/473,503 2011-04-08
US13/439,773 US10058442B2 (en) 2011-04-08 2012-04-04 Endoprosthesis delivery system
US13/439,773 2012-04-04
PCT/US2012/032358 WO2012138884A1 (en) 2011-04-08 2012-04-05 Endoprosthesis delivery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880A KR20140024880A (ko) 2014-03-03
KR101973214B1 true KR101973214B1 (ko) 2019-04-29

Family

ID=45955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905A KR101973214B1 (ko) 2011-04-08 2012-04-05 내부 인공삽입물 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058442B2 (ko)
EP (1) EP2693991B1 (ko)
JP (1) JP2014517728A (ko)
KR (1) KR101973214B1 (ko)
CN (1) CN103458833B (ko)
AU (1) AU2012240161B2 (ko)
BR (1) BR112013025890A2 (ko)
CA (1) CA2830668C (ko)
ES (1) ES2673303T3 (ko)
RU (1) RU2013149847A (ko)
WO (1) WO20121388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03632A1 (de) 2005-01-20 2006-08-1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Katheter für die transvaskuläre Implantation von Herzklappenprothesen
US7896915B2 (en) 2007-04-13 2011-03-01 Jenavalve Technology, Inc. Medical device for treating a heart valve insufficiency
BR112012021347A2 (pt) 2008-02-26 2019-09-24 Jenavalve Tecnology Inc stent para posicionamento e ancoragem de uma prótese valvular em um local de implantação no coração de um paciente
US9044318B2 (en) 2008-02-26 2015-06-02 Jenavalve Technology Gmbh Stent for the positioning and anchoring of a valvular prosthesis
US10856978B2 (en) * 2010-05-20 2020-12-08 Jenavalve Technology, Inc. Catheter system
US11278406B2 (en) 2010-05-20 2022-03-22 Jenavalve Technology, Inc. Catheter system for introducing an expandable heart valve stent into the body of a patient, insertion system with a catheter system and medical device for treatment of a heart valve defect
CA2799459A1 (en) 2010-05-25 2011-12-01 Jenavalve Technology Inc. Prosthetic heart valve and transcatheter delivered endoprosthesis comprising a prosthetic heart valve and a stent
CN105491978A (zh) 2013-08-30 2016-04-13 耶拿阀门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假体瓣膜的径向可折叠框架及其制造方法
CN104042373B (zh) * 2014-06-13 2016-01-27 祖茂衡 一种可回收式下腔静脉支架
CN104042372B (zh) * 2014-06-13 2016-01-27 祖茂衡 一种可回收式肝静脉支架
CN107530168B (zh) 2015-05-01 2020-06-09 耶拿阀门科技股份有限公司 在心脏瓣膜替换中具有降低的起搏器比例的装置和方法
EP3349703A4 (en) * 2015-09-17 2019-07-31 Tymcure Ltd APPLICATOR FOR TYMPANOPLASTIC PLASTER
CN109475419B (zh) 2016-05-13 2021-11-09 耶拿阀门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通过引导鞘和装载系统来递送心脏瓣膜假体的心脏瓣膜假体递送系统和方法
US11197754B2 (en) 2017-01-27 2021-12-14 Jenavalve Technology, Inc. Heart valve mimicry
CN107485472B (zh) * 2017-08-07 2020-07-14 王清红 鼻窦道内生物降解支架导入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54443A1 (en) * 2004-01-09 2005-07-14 Rubicon Medical, Inc. Stent delivery device
US20060259124A1 (en) * 2005-03-28 2006-11-16 Terumo Kabushiki Kaisha Stent delivery device
US20090259298A1 (en) 2008-04-11 2009-10-15 Kevin Mayberry Bifurcated graft deployment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4041A (en) * 1994-06-08 1998-10-20 Medtronic,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placement and repositioning of intraluminal prostheses
US5647857A (en) 1995-03-16 1997-07-15 Endotex Interventional Systems, Inc. Protective intraluminal sheath
WO1998020812A1 (en) 1996-11-15 1998-05-22 Cook Incorporated Splittable sleeve, stent deployment device
US5735859A (en) * 1997-02-14 1998-04-07 Cathco, Inc. Distally attachable and releasable sheath for a stent delivery system
GB0123633D0 (en) * 2001-10-02 2001-11-21 Angiomed Ag Stent delivery system
US6984242B2 (en) 2002-12-20 2006-01-10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 assembly
DE10346200A1 (de) * 2003-09-30 2005-05-04 Jotec Gmbh Einführsystem mit einem selbstexpandierenden Stent
CA2542368A1 (en) 2003-10-15 2005-04-28 Kabushikikaisha Igaki Iryo Sekkei Device for delivery of stent for vessel
US20070043420A1 (en) 2005-08-17 2007-02-22 Medtronic Vascular,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tent-graft release using a cap
IL170698A (en) 2005-09-06 2011-11-30 Allium Ltd A system for transporting a medical device to a site in the body
US8066756B2 (en) * 2006-11-30 2011-11-29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Containment sleeve and deployment device
US20080262590A1 (en) 2007-04-19 2008-10-23 Medtronic Vascular, Inc. Delivery System for Stent-Graft
US20110034987A1 (en) 2009-08-04 2011-02-10 Kennedy Kenneth C Roll sleeve mechanism for proximal release st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54443A1 (en) * 2004-01-09 2005-07-14 Rubicon Medical, Inc. Stent delivery device
US20060259124A1 (en) * 2005-03-28 2006-11-16 Terumo Kabushiki Kaisha Stent delivery device
US20090259298A1 (en) 2008-04-11 2009-10-15 Kevin Mayberry Bifurcated graft deployment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880A (ko) 2014-03-03
US10058442B2 (en) 2018-08-28
AU2012240161A1 (en) 2013-10-10
US20120316637A1 (en) 2012-12-13
CA2830668A1 (en) 2012-10-11
BR112013025890A2 (pt) 2016-12-20
JP2014517728A (ja) 2014-07-24
EP2693991A1 (en) 2014-02-12
CN103458833A (zh) 2013-12-18
ES2673303T3 (es) 2018-06-21
RU2013149847A (ru) 2015-05-20
CN103458833B (zh) 2017-02-22
AU2012240161B2 (en) 2015-07-30
WO2012138884A1 (en) 2012-10-11
CA2830668C (en) 2016-10-04
EP2693991B1 (en)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214B1 (ko) 내부 인공삽입물 이송 시스템
US10660737B2 (en) Double ended intravascular medical device
US10537418B2 (en) Rapid exchange catheters and embolic protection devices
JP4351536B2 (ja) 分岐した脈管において使用される自己拡張型ステントの搬送システム
US9254213B2 (en) Stent delivery device
EP3020377B1 (en) Apparatus for delivering endoluminal prosthesis
US20040267281A1 (en) Delivery system for self-expandable diverter
US20150246210A1 (en)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deployment of self-expandable vascular device
ES2635552T3 (es) Sistema de entrega de estent
CA2910763A1 (en) Apparatus and procedure for trapping embolic debris
US20140074148A1 (en) Embolic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an aortic arch
JP6431183B2 (ja) 改善された格納を伴う体内プロテーゼ送達システム
CN110234295B (zh) 栓子过滤系统
US9456913B2 (en) Implant introducer with helical trigger wire
EP3064176B1 (en) Prosthesis delivery device
KR20220002129A (ko) 가요성 편조 섹션을 구비한 이식가능 의료 장치 탈착 시스템
US20220313418A1 (en) Branched endoprosthesis with tail for controlled branch deployment
WO2013126618A1 (en) Embolic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an aortic arch
JP2024508362A (ja) 大動脈弓内に塞栓用フィルタを設置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