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113B1 - 부유식 구조물 - Google Patents

부유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113B1
KR101973113B1 KR1020170122663A KR20170122663A KR101973113B1 KR 101973113 B1 KR101973113 B1 KR 101973113B1 KR 1020170122663 A KR1020170122663 A KR 1020170122663A KR 20170122663 A KR20170122663 A KR 20170122663A KR 101973113 B1 KR101973113 B1 KR 101973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floating structure
deck
power generation
l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919A (ko
Inventor
전준환
박어진
오환엽
이창우
최정인
한영권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2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113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63B2017/045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4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combustion energy into electric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부유식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은, 부유 및 착저가 가능한 몸체 및 몸체의 둘레에 설치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몸체에 설치되는 펜스를 포함하고, 몸체가 착저 시에 수면보다 높이 펜스를 올려서 방파벽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식 구조물{Flo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설비는 육상에 설치되므로, 가스의 저장설비, 공급설비 및 발전설비를 설치하는 면적을 크게 차지한다. 또한, 발전소 설치에 대한 지역주민의 반대 등의 사회적 문제도 있다.
이에 따라, 해상 또는 해저면에 발전설비를 설치하는 해상 구조물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해상 구조물은 수상에서 부유 시에 조수 또는 파도 등에 영향을 받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2011-010649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수 또는 파도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해상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유 및 착저가 가능한 몸체 및 몸체의 둘레에 설치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몸체에 설치되는 펜스를 포함하고, 몸체가 착저 시에 수면보다 높이 펜스를 올려서 방파벽을 형성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된다.
이 때, 몸체는 흘수를 조절하는 밸러스트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펜스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펜스 승강장치 및 펜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펜스 고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펜스 승강장치는, 펜스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잭업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는 선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에는, 발전장치 및 연료 저장탱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펜스는 상측 단부에서 몸체의 외측으로 연장된 상면을 가지고, 펜스의 상면은 데크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식 구조물을 해저면에 착저 시켜서 안정적인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착저 시에도 바닷물이 구조물이 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설명하는 도면.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에서 펜스 승강장치 및 고정장치를 예시하는 도면.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발전설비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은, 몸체(10) 및 펜스(20)를 포함하고, 몸체(10)가 착저 시에 펜스(20)를 높여서 방파벽을 형성한다.
몸체(10)는, 부유식 구조물에 필요한 장비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물에 부유하거나 수면(1) 아래의 바닥면(2)에 착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0)는 이동이 가능한 선박으로서, 이동 시에는 부유할 수 있고, 설치 시에는 바닥면(2)에 착저, 즉 침강하여 바닥면(2)에 놓일 수 있다. 부유식 구조물은 착저가 용이하도록, 넓고 평평한 바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몸체(10)는 발전장치가 설치된 구조일 수 있다. 발전장치는 액화가스를 연료로 이용하는 가스 발전기일 수 있다. 한편, 발전장치의 종류는 가스 발전기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연료를 사용하는 발전기일 수 있다.
또한, 몸체(10)의 내부에는 연료 저장탱크가 설치되고, 연료 저장탱크에 저장된 연료는 몸체(10)의 발전장치 또는 외부의 발전장치에 공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바닥면(2)에 착저 되는 몸체(10)에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설치됨으로써, 낮은 온도이며 급격한 온도 변화가 없는 해저 환경에서 액화가스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연료 저장탱크는 발전장치에 맞추어 다양한 연료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연료 저장탱크는 내장되는 형태 이외에도 외부에 설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착저를 위하여, 몸체(10)에는 물이 채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흘수를 조절하는 밸러스트(ballast) 장치가 몸체(10)에 설치되어, 착저 시에 물을 채워서 몸체(10)를 침강할 수 있다.
펜스(20)는, 몸체(10)가 착저 시에 방파벽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펜스(20)는 몸체(10)의 주변을 둘러싸게 설치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몸체(10)에서 인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펜스(20)는 몸체(10)에서 인출되는 구조 이외에, 몸체(10)의 외부에 부착되는 형태 또는 접히고 펴지는 형태 등 다양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몸체(10)의 주변을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바깥 쪽으로 굽혀진 "ㄱ"자 단면형상을 가지는 펜스(20)가 몸체(10)를 좌우 가장자리에 인출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몸체(10)가 착저 될 때 펜스(20)가 상승하여 방파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펜스(20)는 몸체(10)의 전후 가장자리에도 설치되어, 전체적으로는 몸체(10)의 둘레를 따라 방파벽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류 및 파도로 인하여 몸체(10)로 물이 밀려 올 때에, 펜스(20)는 몸체(10) 위의 데크로 물이 침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2를 참조하면, 몸체(10)가 바닥면(2)에 착저 하여 수면(1) 위의 몸체(10) 높이가 낮아진 경우에, 펜스(20)는 상승하여 방파벽의 높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펜스 승강장치(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몸체(10)가 바닥면(2)에 착저 하여도 수면(1´)으로부터 몸체 데크까지 여유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펜스(20)의 상면이 데크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 때, 펜스(20)의 위쪽 단부에서 몸체(20)의 외측으로 연장된 상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저 후에도 펜스(20)를 올리지 않고, 바깥 쪽으로 굽혀진 "ㄱ"자 단면형상을 가지는 펜스(20)의 윗면을 몸체의 데크와 연장되어 데크로서 이용할 수 있다.
펜스 승강장치(25)는, 펜스(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부분이다. 펜스 승강장치(25)는 착저 시에는 몸체(10)에 설치된 펜스(20)를 들어올려서, 원하는 방파벽의 높이가 확보될 수 있다. 반대로, 몸체(10)가 다시 상승하여 부유할 때에는, 펜스 승강장치(25)가 펜스(20)를 낮추어 항해가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펜스 승강장치(25)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 펜스(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펜스 고정장치(3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에서 펜스 승강장치 및 펜스 고정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의 A영역을 구체화한 도면이다.
도 4을 참조하면, 펜스 승강장치(25)는 펜스(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잭업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잭업장치는 펜스(20)에 설치된 톱니(26)와 톱니(26)에 맞물리는 기어(27)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어(27)를 회전 시켜서, 기어(27)에 맞물린 톱니(26)를 가지는 펜스(2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펜스 고정장치(30)는 펜스(20)의 톱니(26)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쇠(35)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펜스 고정장치(30)는, 펜스(20)가 상하로 이동할 때에는 톱니(26)에서 후퇴하여 있다가, 펜스(20)의 이동이 완료되면 펜스(20)로 전진하여 톱니(26)에 걸쇠(35)가 걸리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펜스 승강장치(25) 및 펜스 고정장치(30)가 잭업장치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압식 승강 장치 등과 같이 구조물을 상하로 이동시키고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이송구조 및 체결구조가 펜스 승강장치(25) 및 펜스 고정장치(30)로 이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수면 2: 바닥면
10: 몸체 20: 펜스
25: 펜스 승강장치 26: 톱니
27: 기어 30: 펜스 고정장치
35: 걸쇠

Claims (7)

  1. 부유 및 착저가 가능한 몸체;
    상기 몸체 위의 데크로 물이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펜스;
    상기 펜스에 설치된 톱니와 상기 톱니에 맞물리는 기어로 구성된 잭업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펜스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펜스 승강장치; 및
    상기 톱니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쇠를 구비하여, 상기 펜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펜스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가 착저 시에, 수면보다 높이 상기 펜스를 올려서 방파벽을 형성하는 부유식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흘수를 조절하는 밸러스트 장치를 구비하는 부유식 구조물.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선박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발전장치 및 연료 저장탱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되는 부유식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는, 상측 단부에서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연장된 상면을 가지고,
    상기 펜스의 상면은 데크로 이용되는 부유식 구조물.
KR1020170122663A 2017-09-22 2017-09-22 부유식 구조물 KR101973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663A KR101973113B1 (ko) 2017-09-22 2017-09-22 부유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663A KR101973113B1 (ko) 2017-09-22 2017-09-22 부유식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919A KR20190033919A (ko) 2019-04-01
KR101973113B1 true KR101973113B1 (ko) 2019-04-26

Family

ID=66104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663A KR101973113B1 (ko) 2017-09-22 2017-09-22 부유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113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9580A (ja) * 1996-11-05 1998-05-19 Mitsuo Fukui 中空浮嚢で支える半潜水海洋構造物
JP4829335B2 (ja) 2009-11-04 2011-12-07 株式会社東芝 搬送コンベアの診断装置及びその診断システム
KR102037740B1 (ko) * 2013-11-08 2019-10-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비상탈출용 구조대의 리트랙터블 플래폼을 구비한 잭업 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919A (ko) 201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9828A (en) Off-shore-complex
JP5838439B2 (ja) 浮体式洋上風力発電装置の設置工法および撤去工法とその構造
US20150272018A1 (en) Offshore aquaculture installation
JPH067773B2 (ja) 魚の養殖装置
CN104943827B (zh) 一种海上漂浮平台
ES2785674T3 (es) Estructura base de lecho marino y método para la instalación de la misma
KR20110047472A (ko) 자동 부침 가두리 양식 시스템
MY189354A (en) Sea bed terminal for offshore activities
KR20120126219A (ko) 관리인 체류형 고정식 심해 가두리 시설
MXPA04008784A (es) Boya marina para soporte mar adentro.
US20180265173A1 (en) Adaptive observation platform device for sea surface
JP2012097688A (ja) 水流発電設備
TW201910207A (zh) 半潛式支撐平台及其定位方法
KR101973113B1 (ko) 부유식 구조물
US2960833A (en) Marine foundation structure
NO135700B (ko)
KR20150096570A (ko) 조수부력 중력발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방법
US4136997A (en) Floating wall oil container
US4158516A (en) Platforms resting on an underwater structure
WO2011058595A2 (en) Floating platform for panels
NO343634B1 (no) Merdsystem med bølgekompensering
CN107207077B (zh) 提供稳定的工作平台的方法及其船只
SU882421A3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морской стационарной платформы на дно мор
NO344247B1 (no) Merdsystem med ramme for en innhegning
WO2013048915A1 (en) Anchoring apparatus for wave energy conver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