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564B1 -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 - Google Patents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564B1
KR101972564B1 KR1020180091451A KR20180091451A KR101972564B1 KR 101972564 B1 KR101972564 B1 KR 101972564B1 KR 1020180091451 A KR1020180091451 A KR 1020180091451A KR 20180091451 A KR20180091451 A KR 20180091451A KR 101972564 B1 KR101972564 B1 KR 101972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burning
flame
burn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만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1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 F24C3/042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st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가스연료가 연소되어 화염이 형성되는 연소용다공부와 상기 연소용다공부의 외주면에 위치되어, 상기 연소용다공부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함으로써 디자인 문양을 형성하는 문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A radiative gas heater with design function}
본 발명은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로써 더욱 자세하게는, 다공체 재질의 버너표면에 다양한 디자인 형상의 문양층을 추가하여 제품의 미감이 향상될 수 있는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에 관한 것이다.
가스히터의 종류는 다수이나, 대부분의 경우 가스를 주입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할 뿐이다. 즉, 열을 발생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방치하게 되는 것이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1144호는, 열효율을 높이고, 기기의 내구성을 높이는 등의 효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열을 발생시킬 필요가 없는 상황에서는 여전히 방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1144호(2006.08.09.)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품의 미감이 향상될 수 있는 가스히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너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차폐됨으로써, 화염이 인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 가스히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소가 용이한 가스히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에 있어서, 연료가스가 표면연소 형태로 연소되어 화염이 버너 재질표면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연소용다공부와 상기 연소용다공부의 외주면에 위치되어, 상기 연소용다공부의 적어도 일부를 제품의 미감(美感)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디자인형태로 제작된 문양부로 차폐함으로써 문양을 형성하는 디자인문양부(예, 불사조 모양 등)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문양부는, 상기 화염에 의한 빛(光)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문양부는, 상기 연소용다공부의 외주면 전체를 덮는 강화내열유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문양부는, 상기 연소용다공부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제1영역와 상기 제1영역과 다른 색상 또는 투과도를 가지는 제2영역을 포함하여, 디자인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화염의 가스 유량을 가변하는 유량가변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유량가변부에 의해 가스 유량이 가변됨에 따라 상기 화염이 블루 또는 레드 톤으로 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는, 제품의 미감이 향상될 수 있는 가스히터를 제공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너 외주면의 일부를 차폐시키는 문양부가 달구어지면서 새로운 고체복사체 역할을 하게 됨에 따라 복사열전달식인 방사형 가스히터의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소가 용이한 가스히터를 제공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의 연소용다공부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의 연소용다공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의 연소용다공부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의 연소용다공부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의 연소용다공부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연료가 연소되어 화염이 형성되는 연소용다공부(10)와 상기 연소용다공부(10)의 외주면에 위치되어, 상기 연소용다공부(10)의 적어도 일부가 차폐됨으로써 문양을 형성하는 문양부(11)를 포함한다.
상기 연소용다공부(10)는 표면복사버너 재질로서 메탈화이버와 같은 다공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문양부(11)는 상기 표면복사화염에 의해 밝게 발광하는 연소빛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연소용다공부(10)에서 발생한 빛이 상기 문양부(11)에 의해 차단되는 부분과 차단되지 않는 부분의 밝기와 색깔이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디자인된 문양 형상이 표면연소로 버너표면에 부착된 화염과의 대비를 통해 다양한 실시 예들의 형체로 나타남으로서 제품의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화염의 가스 유량을 가변하는 유량가변부(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량가변부(110)에 의해 가스 유량이 가변됨에 따라 상기 연소용다공부(10)에서 발생한 화염이 블루 또는 레드 톤으로 변화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상기 유량가변부(110)를 조절하여 발생하는 화염의 색깔과 밝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연소용다공부(10)의 일측에는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부(도면 미도시)가 마련된다. 상기 광원부(도면 미도시)는 탈부착가능하여, 상기 광원부(도면 미도시)는 열을 발생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 상기 연소용다공부(10)의 일측에 부착하여 빛을 발생시킴으로써 미감을 향상시킨 조명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열이 필요할 경우에는 상기 광원부(도면 미도시)를 제거하여 보관하다가 열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상기 광원부(도면 미도시)를 부착하여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가스히터는 상기 가스히터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몸체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하기 발열부(200)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부(도면 미도시)는 평시에는 상기 가스를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시에 상기 가스를 상기 연소용다공부(1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스부(도면 미도시)에 저장된 상기 가스는 일반적으로 연소가 가능한 모든 종류의 가스연료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가스부(도면 미도시)와 상기 연소용다공부(10)를 연결하는 배관부(도면 미도시)와 상기 연소용다공부(10)를 승강시키는 길이조절부(1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가스부(도면 미도시)에서 공급된 상기 가스는 상기 배관부(도면 미도시)를 통해 상기 연소용다공부(10)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길이조절부(120)는 상기 몸체부(100)의 상단에 수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부(120)의 단부는 상기 연소용다공부(10)와 고정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길이조절부(120)의 양 끝단에 상기 몸체부(100)와 연소용다공부(10)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길이조절부(120)는 상기 몸체부(100)와 고정된 부분을 기준으로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승강된다. 상기 길이조절부(120)가 승강됨에 따라 상기 연소용다공부(10)가 승강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연소용다공부(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길이조절부(120)에는 상기 길이조절부(120)가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모터(도면 미도시), 풀리(도면 미도시)등과 같은 구동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200)가 마련된다. 상기 발열부(200)는 상기 연소용다공부(10)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부(도면 미도시)와 연통되어 상기 가스가 혼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혼합부(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혼합부(도면 미도시)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배관부(도면 미도시)에서 유입된 상기 가스와 연소용 공기가 혼합된다. 상기 연소용 공기는 상기 연소용다공부(10)의 하부 일측에 마련된 홀을 통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혼합부(도면 미도시)의 일측에는 점화장치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발열부(200)에서 발생한 열을 반사시켜 사용자에게 열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열반사부(3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열반사부(300)는 상기 발열부(200)보다 너비가 넓게 형성되며, 도 3과 같이 삿갓 모양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열반사부(300)는 상기 발열부(200)에서 발생한 열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열이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표면복사연소형태로 연소용다공부(10)에서 연소가 일어나면서 발생한 빛이 상기 문양부(11)로 인하여 다양한 디자인형태로 발산되어 버너표면에 부착된 문양을 표현할 수 있어 제품의 미감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소용다공부(10)에서 생성된 화염에 의해 달구어진 상기 문양부(11)가 새로운 고체복사체 역할을 하게 됨에 따라 복사열전달의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비교하여, 문양부(21)에 관통홀(22)이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문양부(21)에는 관통홀(22)을 구비된다. 상기 관통홀(22)은 다양한 직경을 가진다. 즉,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관통홀(22)의 직경을 달리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관통홀(22)의 크기가 작은 부분은 방출되는 화염의 세기가 작고, 방출되는 빛의 세기 또한 작은 것이다. 반대로, 상기 관통홀(22)의 크기가 큰 부분은 발생하는 방출되는 화염의 세기가 크고, 방출되는 빛의 세기 또한 큰 것이다. 이를 통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방출되는 열 및 빛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비교하여, 문양부(31)가 연소용다공부(30)의 외주면 전체를 덮는 강화유리 재질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문양부(31)는, 상기 연소용다공부(30)의 외주면 전체를 덮는 강화유리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문양부(31)로 인하여 상기 연소용다공부(30)에서 발생한 화염이 인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양부(31)를 청소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문양부(31)의 내부에는 상기 연소용다공부(30)에서 방출된 빛이 상기 문양부(31)를 통과할 때, 선택적으로 상기 빛을 차폐함으로써 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내부부재(도면 미도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비교하여, 문양부(41)는 연소용다공부(40)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제1영역(42)과 상기 제1영역(42)과 다른 색상 또는 투과도를 가지는 제2영역(43)을 포함하여 문양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문양부(41)는, 상기 연소용다공부(40)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제1영역(42)과 상기 제1영역(42)과 다른 색상 또는 투과도를 가지는 제2영역(43)을 포함하여, 문양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연소용다공부(40)에서 발생한 빛이 방출될 때, 상기 제1영역(42)과 제2영역(43)에서 상기 빛의 색깔이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영역(42)과 제2영역(43)은 서로 다른 색깔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필요에 따라 제품의 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연소용다공부
11 : 문양부
20 : 연소용다공부
21 : 문양부
22 : 관통홀
30 : 연소용다공부
31 : 문양부
40 : 연소용다공부
41 : 문양부
42 : 제1영역
43 : 제2영역
100 : 몸체부
110 : 유량가변부
120 : 길이조절부
200 : 발열부
300 : 열반사부

Claims (5)

  1. 가스가 연소되어 화염이 형성되는 연소용다공부;
    상기 연소용다공부의 외주면에 위치되어, 상기 연소용다공부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함으로써 디자인 문양을 형성하는 문양부;
    상기 문양부의 일측에 다수개로 선택적으로 직경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관통홀;
    상기 연소용다공부의 내부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상기 연소용다공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소용다공부를 승강시키는 길이조절부; 및
    상기 연소용다공부의 화염으로 인해 발생한 열을 반사시키는 열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부는,
    상기 화염에 의한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부는,
    상기 연소용다공부의 외주면 전체를 덮는 강화유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부는,
    상기 연소용다공부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다른 색상 또는 투과도를 가지는 제2영역;을 포함하여, 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의 가스 유량을 가변하는 유량가변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유량가변부에 의해 가스 유량이 가변됨에 따라 상기 화염이 블루 또는 레드 톤으로 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
KR1020180091451A 2018-08-06 2018-08-06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 KR101972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451A KR101972564B1 (ko) 2018-08-06 2018-08-06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451A KR101972564B1 (ko) 2018-08-06 2018-08-06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564B1 true KR101972564B1 (ko) 2019-04-25

Family

ID=66281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451A KR101972564B1 (ko) 2018-08-06 2018-08-06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5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649Y2 (ja) * 1980-12-26 1985-07-24 新明和工業株式会社 ダンプカ−の荷箱傾動装置
JPH0624650Y2 (ja) * 1987-07-08 1994-06-29 シャープ株式会社 石油ストーブのガラスバーナ
US20040011346A1 (en) * 2002-07-19 2004-01-22 Edward Sakai Decorative palm patio heater
JP3115630U (ja) * 2005-08-10 2005-11-10 雅昭 長谷川 ガラス製工芸品及びガラス製ランプ
KR100611144B1 (ko) 2004-12-27 2006-08-09 한국가스공사 진공가열식 가스히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649Y2 (ja) * 1980-12-26 1985-07-24 新明和工業株式会社 ダンプカ−の荷箱傾動装置
JPH0624650Y2 (ja) * 1987-07-08 1994-06-29 シャープ株式会社 石油ストーブのガラスバーナ
US20040011346A1 (en) * 2002-07-19 2004-01-22 Edward Sakai Decorative palm patio heater
KR100611144B1 (ko) 2004-12-27 2006-08-09 한국가스공사 진공가열식 가스히터
JP3115630U (ja) * 2005-08-10 2005-11-10 雅昭 長谷川 ガラス製工芸品及びガラス製ラン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6963B1 (ko) 적외선 가스 브로일러를 구비한 전기 조리 오븐
KR101972564B1 (ko) 디자인 기능을 겸한 방사형 가스히터
EP0072616B1 (en) Combustion cylinder construction for oil space heater of the radiant type
CA1195914A (en) Heating apparatus
FR2691527A3 (fr) Plaque de cuisson à grand rendement et à combustion améliorée.
KR100383115B1 (ko) 열 집약형 세라믹버너
KR100343985B1 (ko) 가스오븐용그릴의리플렉터
JPS5888507A (ja) 燃焼筒
JP2546023B2 (ja) 石油燃焼器の燃焼筒
US419600A (en) beimel
JP4753343B2 (ja) 熱線暖房を併用する暖房機
CN2485555Y (zh) 燃气灶内侧火孔燃烧器
JPH04116308A (ja) スターリング機関の燃焼器
US636387A (en) Lamp.
US2289684A (en) Oil burning device
JPS6146328Y2 (ko)
JPS5986810A (ja) 燃焼筒
KR850001311Y1 (ko) 버너용 분화망
US573578A (en) Gerhard ditmar
JPS622656B2 (ko)
KR20020056273A (ko) 가스복사 조리기의 버너 구조
JPS622657B2 (ko)
JPS622654B2 (ko)
KR20060032359A (ko) 가스 복사 조리기기
JPH01139908A (ja) 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