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388B1 - 부력체와 공압바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 - Google Patents

부력체와 공압바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388B1
KR101972388B1 KR1020180106355A KR20180106355A KR101972388B1 KR 101972388 B1 KR101972388 B1 KR 101972388B1 KR 1020180106355 A KR1020180106355 A KR 1020180106355A KR 20180106355 A KR20180106355 A KR 20180106355A KR 101972388 B1 KR101972388 B1 KR 101972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extrusion
outside
extruded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주
Original Assignee
세인스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인스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인스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6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3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joining, lining o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4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r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0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 B29K2105/0047Agents changing thermal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2Tubes or pipes, i.e.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병합 발전소 또는 쓰레기 소각장 등에서 발생되는 열을 지역난방시스템을 통하여 아파트 단지나 상업용 건물을 포함한 대단위 지역에 열을 공급하는 용도의, '부력체와 공압바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기술의 시트 상의 열 수축시트로 구성된 이중보온관 케이싱을, 압출기에서 원통형 압출관으로 압출된 압출물인 압출케이싱으로 구성 및,
압출케이싱을 원하는 칫수로 부력체와 공압바, 지그를 이용하여 확관하여,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이 제조되는 '부력체와 공압바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력체와 공압바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extruded casing for double insulation pipe use for buoyant force structure, pneumatic bar and extruded casing for double insulation pipe thereof}
본 발명은, 열병합 발전소 또는 쓰레기 소각장 등에서 발생되는 열을 지역난방시스템을 통하여 아파트 단지나 상업용 건물을 포함한 대단위 지역에 열을 공급하거나 또는 상수도용 온수를 공급하는 용도의, '부력체와 공압바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래기술의 시트 상의 열 수축시트로 구성된 이중보온관 케이싱을, 압출기에서 원통형 압출관으로 압출된 압출물인 압출케이싱으로 구성 및 압출케이싱을 원하는 칫수로 부력체와 공압바, 지그를 이용하여 확관하여, 본 발명 구성의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이 제조되는 '부력체와 공압바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에 관한 것으로;
종래기술의 시트 상의 열 수축시트로 구성된 이중보온관 케이싱의 접합력 저하로 인한 누수 발생 및 기밀성과 단열성이 저하되고, 설치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 및,
종래기술의 시트 상의 열 수축시트를 원통형 시트인 이중보온관 케이싱으로 형성시에 시트가 원통형으로 감겨 겹치는 끝단부의 접합력 저하로 인한 누수 발생 및 기밀성과 단열성이 저하되고, 설치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특히, 본 발명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이 설치된 이중보온관의 누수가 방지되는 동시에, 내구성능 및 단열성능, 기밀성능과 접합력이 강화되며;
이중보온관의 외관을 압출케이싱으로 사용 가능하고, 압출케이싱이 원하는 칫수로 용이하게 확관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설치작업성이 향상되며, 재료비와 투하공수가 절감되고, 사용이 편이한; 구성의, '부력체와 공압바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병합 발전소, 쓰레기 소각장 등에서 발생되는 열은 지역난방시스템을 통하여 아파트 단지나 상업용 건물을 포함한 대단위 지역에 공급하고 있다.
보통, 열 공급은 물을 가열한 후 그 가열된 온수를 열수송관을 통해 난방 및 급탕이 필요한 건물에 공급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지역난방시스템은 열원으로부터 먼 거리에 온수(열)를 공급하여야 하므로 온수 공급시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온수를 공급하여야 한다. 온수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열수송관은 이중 보온관이 사용된다.
이중 보온관은, 온수(열)가 흐르는 이중보온관의 안쪽에 위치된 강관(steel pipe)인 내관과, 내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폴리에틸렌(HDPE) 재질을 포함한 합성수지로 구성된 외관과, 내관과 외관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로 구성된 보온층으로 구성된다.
단열재로는 주로 폴리우레탄이 사용되며, 지역난방시스템을 구성하는 배관 라인은 다수 개의 이중 보온관들을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이중보온관 외측으로 열 수축시트인 케이싱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c는 2개의 이중보온관의 내관 끝단을 서로 결합시킨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d는 열 수축시트인 케이싱을 2개의 이중보온관의 연결부 측으로 이동시켜 열을 인가하는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이중 보온관(10)의 연결은 두 개의 이중 보온관(10)의 외관(3)을 감싸는 원통 형태의 열 수축시트로 구성된 케이싱(5)과, 케이싱(5)의 내부에 채워져 내관(1)을 단열시키는 우레탄 폼인 단열재 등을 포함한다.
두 개의 이중 보온관을 연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내관(1)의 끝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두 개의 이중 보온관(10)들 중 한 개의 이중 보온관(10)에 케이싱(5)을 삽입하고, 두 개의 이중 보온관(10)의 내관(1)의 끝면을 서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그 두 개의 내관(1)을 서로 연결한다. 그리고 두 개의 이중 보온관(10)의 각 외관(3) 단부에 원형 띠 형상으로 양면 열융착 테잎를 부착시킨 후 케이싱(5)으로 외부로 노출된 내관(1) 부분을 커버한다.
케이싱(5)의 양단부를 각각 토치램프 등의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케이싱(5)의 양단부를 수축시켜 외관(3)에 밀착시키며, 이때, 케이싱(5)과 외관(3) 사이에 위치한 양면 열융착 테잎이 용융되면서 케이싱(5)과 외관(3) 사이를 실링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9205호(이하, 선행기술 1이라고 함)에는 이중 보온관을 연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1에는 열 수축시트(열수축판)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이중 보온관의 단부를 감싸고 열 수축시트의 양단에 각각 경사면을 형성하여 경사면을 서로 부착시켜 열 수축시트로 구성된 케이싱을 만들고 그 케이싱을 내열성 밴드로 감싸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1은 열 수축시트의 양단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제작이 복잡하고, 케이싱에 내열성 밴드를 감싸게 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재료가 많이 소요되며, 케이싱의 내부에 단열재를 충진시 기밀성이 저하되어 단열재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14306호(이하, 선행기술 2라고 함)에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이중 보온관을 열 수축시트로 다수 회 감고, 그 다수 회 감은 열 수축시트를 가열 융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2는 열 수축시트를 다수 회 감게 되므로 층과 층이 밀착되지 않을 경우 내부에 공간(틈새)가 발생되어 실링력이 저하되며, 다수 회 감긴 열 수축시트를 가열 융착하는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게재된 이중보온관의 제조방법과 그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이중보온관은;
도 1c 내지 도 1e에 도시한바와 같이, 열 수축시트 또는 열 수축시트로 구성된 케이싱(5)이 가열 접합시에 외관(3)인 폴리에틸렌 관의 양측면에 일자 배열의 수평면으로 가열 접합 후, 열 수축시트 또는 열 수축시트로 구성된 케이싱(5)과 내관인 강관의 사이에 구비된 공간부에 단열재인 우레탄 폼(4)이 충진된 이중보온관(10)의 연결구조에 의하여;
내관(1)인 강관과 열 수축시트 또는 케이싱(5)의 사이에 단열재인 우레탄 폼(4)이 충진되는 공간부가 발생 됨으로 인하여 열 수축시트 또는 케이싱(5)을 내관(1)인 강관의 외부에 직접 가열, 접합키가 불가 하였으며:
또한, 외관(3)인 폴리에틸렌 관의 양측면에만 열 수축시트 또는 케이싱(5)이 가열 접합 됨에 의하여 접합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열 수축시트 또는 케이싱(5)이 외관(3)인 폴리에틸렌 관의 외부로 이탈되어 사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특히, 시트 상의 열 수축시트로 구성되어 외관(3)인 폴리에틸렌 관의 상,하부에 각기 가열 접합 됨으로서, 설치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열 수축시트의 접합력 저하로 인한 이중보온관(10)의 누수 발생 및 기밀성능과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시트 상의 열 수축시트를 원통형 시트인 케이싱(5)으로 형성시에, 시트가 원통형으로 감겨 시트와 시트의 겹치는 끝단부의 접합력 저하로 인한 이중보온관(10)의 누수 발생 및 기밀성능과 단열성능이 저하되고, 제조와 설치시의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열 수축시트 또는 케이싱(5)을 별도로 제작하여 이중보온관의 외관(3) 외부에 설치 함으로서, 설치작업성이 더욱 저하되며, 재료비와 투하공수가 증가되고,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 구성의 '부력체와 공압바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에 의하여,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및;
특히, 이중보온관 케이싱이 원통형 압출관으로 압출된 압출물인 압출케이싱으로 구성되어, 본 발명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이 설치된 이중보온관의 누수가 방지되는 동시에, 내구성능 및 단열성능, 기밀성능과 접합력이 강화되며;
이중보온관의 외관을 압출케이싱으로 사용 가능하고, 압출케이싱이 원하는 칫수로 용이하게 확관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설치작업성이 향상되며, 재료비와 투하공수가 절감되고, 사용이 더욱 편이한; 구성의, '부력체와 공압바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 및 본 발명이 이루고저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중보온관 케이싱이, 본 발명 구성의 "압출기에서 원통형 압출관으로 압출된 압출물인 압출케이싱으로 구성 및, 압출케이싱이 확관설비인 부력체와 공압바, 지그에 의하여 원하는 칫수로 용이하게 확관되어, 본 발명 구성의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이 제조되는;
S1 단계: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이 압출기에 투입되어,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이 원통형 압출관으로 압출된 압출케이싱이 제조되는 단계; 및,
S2 단계: 압출케이싱의 외부에 방사선이 조사되어, 압출케이싱이 가교되는 되는 단계; 와,
S3 단계: 가교된 압출케이싱이 공압바가 설치된 부력체의 외부에 적층 및 가교된 압출케이싱의 외부에 지그가 장착되는 단계; 와,
S4 단계: 공압바에 가열된 압축공기가 주입되어 부력체가 지그의 내부에서 지그의 내면에 밀착되어 팽창 됨으로서, 부력체의 외부에 적층된 가교된 압출케이싱이 가열 및 연신되어 확관되는 단계; 와,
S5 단계: 압출케이싱 확관 후, 지그가 외부로 탈착 및 압출케이싱이 냉각되어, 완제품인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이 제조되는 단계; 로, 구성된 부력체와 공압바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 에 의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코저 한다.
본 발명 구성의 "부력체와 공압바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에 의하여;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및,
특히, 본 발명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이 설치된 이중보온관의 누수가 방지되는 동시에, 내구성능 및 단열성능, 기밀성능과 접합력이 강화된 효과와;
이중보온관의 외관을 압출케이싱으로 사용 가능한 효과와;
압출케이싱이 원하는 칫수로 용이하게 확관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설치작업성이 더욱 향상된 효과와;
재료비와 투하공수가 절감되고, 사용이 더욱 편이한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이중보온관 외측으로 열수축 케이싱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c는 종래 2개의 이중보온관의 내관 끝단을 서로 결합시킨 상태의 단면도
이며,
도 1d는 종래 열수축 케이싱을 2개의 이중보온관의 연결부 측으로 이동시켜 열을 인가하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e는 종래 열수축 케이싱이 수축되어 밀폐되고, 내부로 우레탄이 충진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확관을 위한 공압바와 부력체를 도시한 참고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확관을 위한 공압바가 부력체에 장착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확관을 위한 공압바가 장착된 부력체의 외부에 압출케이싱과 지그가 설치된 참고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확관을 위한 공압바가 장착된 부력체가 지그의 내부에서 공압주입 및 압출케이싱이 가열된 참고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이 지그의 내경에 일치되어 확관된 참고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부력체와 공압바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키로 하며; (이하, 편의상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으로 칭하기로 하며, 본 발명에 기재된 '압출케이싱'과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은 이중보온관의 외관의 외부에 가열 접합되는, 압출케이싱의 내경만이 확관된 동일 구성물로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압출케이싱'과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으로 칭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 제조방법 및,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해당 구성물은;
'본 발명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이 설치된 이중보온관의 누수가 방지되는 동시에, 내구성능 및 단열성능, 기밀성능과 접합력이 강화되며;
이중보온관의 외관을 압출케이싱으로 사용 가능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설치작업성이 향상되고, 재료비와 투하공수가 절감되며, 사용이 더욱 편이한; "적정 구성의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 제조방법과 그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 으로 구성 됨을 명확히 하며;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과 그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에 언급된 수치는 단순히 수치로서 한정 기재한 것이 아닌, 상기에서 언급된 진보성이 구비된 것이며;
이하 언급된 실시예는 바람직한 하나의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범주의 기술사상으로 구성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은 본 권리에 포함 됨을 분명히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확관을 위한 공압바와 부력체를 도시한 참고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확관을 위한 공압바가 부력체에 장착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확관을 위한 공압바가 장착된 부력체의 외부에 압출케이싱과 지그가 설치된 참고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확관을 위한 공압바가 장착된 부력체가 지그의 내부에서 공압주입 및 압출케이싱이 가열된 참고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이 지그의 내경에 일치되어 확관된 참고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파트 단지나 상업용 건물을 포함한 대단위 지역에 열을 공급하거나 또는 상수도용 온수를 공급하는,
본 발명의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S1 내지 S5 단계로 구성된다. (확관설비 구성도: 도 3 내지 도 8 참조, 제품 구성도: 도 9 참조)
S1 단계: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이 압출기에 투입되어,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이 원통형 압출관으로 압출된 압출케이싱이 제조되는 단계; 및,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이 압출기에 투입되어, 압출기 압출온도 220 내지 280℃에서 원통형 압출관으로 압출된 압출케이싱이 제조된다.)
S2 단계: 압출케이싱의 외부에 방사선이 조사되어, 압출케이싱이 가교되는 되는 단계; 와,
(S1 단계로 제조된 압출케이싱의 외부에 방사선조사기에서 방사선이 조사되어, 압출케이싱의 확관이 더욱 용이하도록 압출케이싱이 가교된다.)
S3 단계: 가교된 압출케이싱이 공압바가 설치된 부력체의 외부에 적층 및 가교된 압출케이싱의 외부에 지그가 장착되는 단계; 와,
(S2 단계로 가교된 압출케이싱이 확관설비의 공압바가 내부에 설치된 부력체의 외부에 적층되고, 가교된 압출케이싱의 외부에 지그가 장착된다.)
S4 단계: 공압바에 가열된 압축공기가 주입되어 부력체가 지그의 내부에서 지그의 내면에 밀착되어 팽창 됨으로서, 부력체의 외부에 적층된 가교된 압출케이싱이 가열 및 연신되어 확관되는 단계; 와,
(S3 단계로, 부력체의 내부에 설치된 공압바에 가열온도 85 내지 135℃, 압력 5 내지 20㎏f/㎠로 가열된 압축공기가 외부에서 주입되어, 부력체가 지그의 내부에서 지그의 내면에 밀착되어 팽창 됨으로서, 부력체의 외부에 적층된 가교된 압출케이싱이 85 내지 135℃로 가열 및 연신되어, 압출케이싱의 내경이 확관된다.)
S5 단계: 압출케이싱 확관 후, 지그가 외부로 탈착 및 압출케이싱이 냉각되어,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이 제조되는 단계;
(S4 단계로 가열 및 연신되어 압출케이싱의 내경이 확관된 후, 압출케이싱의 외부에 장착된 지그가 외부로 탈착되고, 확관된 압출케이싱이 상온에서 냉각되어,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이 제조된다.)
상기 S1 단계는;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부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압출케이싱의 열안정화를 위한, 바륨 안정제(Ba stabilizer) 또는 카드늄 안정제(Cd stabilizer)를 포함한 열안정제 1.0 내지 3.5중량부와,
압출케이싱의 자외선차단을 위한 유브이 안정제(UV stabilizer)를 포함한 자외선차단제 1.0 내지 1.5중량부와,
압출케이싱의 착색을 위한 카본블랙(carbon black)을 포함한 착색제 0.1 내지 1.5중량부가, 첨가된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로 구성되어;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이 압출기에 투입되어, 압출기 압출온도 220 내지 280℃에서 압출된 압출물인 원통형 압출관으로 구성된 압출케이싱으로 구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압출케이싱의 1차 가교를 위한 용도의 실란(silane)을 포함한 가교제 1.0 내지 3.5중량부가 참가 될 수도 있다.
상기 S2 단계는;
S1 단계로 제조된 압출케이싱의 외부에 방사선조사기에서 방사선이 조사되어 압출케이싱이 가교화 됨으로서, S3 단계의 확관설비인 공압바와 부력체, 지그에 의하여 압출케이싱 내경의 확관작업이 더욱 용이하도록 압출케이싱에 방사선이 조사되어 압출케이싱이 가교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S3 단계는;
S2 단계로 가교된 압출케이싱이 확관설비(200)의 공압바(20)가 내부에 설치된 부력체(30)의 외부에 적층되고, 가교된 압출케이싱의 외부에 지그(40)가 장착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S4 단계는,
S3 단계로, 부력체(30)의 내부에 설치된 공압바(20)에 가열온도 85 내지 135℃, 압력 5 내지 20㎏f/㎠로 가열된 압축공기가 외부에서 주입되어, 부력체(30)가 지그(40)의 내부에서 지그의 내면(41)에 밀착되어 팽창 됨으로서, 부력체(30)의 외부에 적층된 가교된 압출케이싱이 85 내지 135℃로 가열 및 연신되어, 압출케이싱(100)의 내경이 확관되는 단계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압출케이싱(100)의 내경(110)을 5 내지 30㎜ 범위로 확관 할 경우는,
공압바(20)가 설치된 부력체(30)의 외부에 적층된 가교된 압출케이싱과, 가교된 압출케이싱의 외부에 장착된 지그(jig:40)의 내면(41)과의 설치간격을 5 내지 30㎜ 범위로 유지 함으로서,
부력체(30)의 외부에 적층된 가교된 압출케이싱이 부력체(30)의 팽창에 의하여 지그 내면(41)에 밀착되어 5 내지 30㎜ 범위로 압출케이싱(100)의 내경(110)이 확관되는 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압출케이싱(100)의 내경(110)이 5 내지 30㎜ 범위로 확관되는 것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이중보온관의 케이싱으로 사용되는 압출케이싱(100)의 확관 필요 칫수에 따라서, 부력체(30)의 외부에 적층된 압출케이싱(100)과 지그 내면(41)과의 설치간격의 수치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공압바(20)와 부력체(30), 지그(40)로 구성된 확관설비(200)에 의하여, 압출케이싱(100)이 원하는 칫수 범위로 확관이 가능한 제조방법으로,
부력체(30)의 내부에 설치된 공압바(20)에 가열온도 85 내지 135℃, 압력 5 내지 20㎏f/㎠로 가열된 압축공기가 주입되어, 부력체(30)가 지그(40)의 내면(41)에 밀착되어 팽창 됨에 의하여, 부력체(30)의 외부에 적층된 압출케이싱(100)이 용이하게 확관되고;
공압바(20)가 설치된 부력체(30)의 외부에 적층된 압출케이싱(100)과, 압출케이싱의 외부에 장착된 지그(jig) 내면(41)과의 설치간격을 원하는 확관범위로 유지 함으로서, 압출케이싱(100)의 내경(110)이 원하는 칫수로 용이하게 확관되는 단계로 구성되며;
이중보온관의 바깥쪽에 위치된 외관(3 종래기술 도면 1c, 1d 참조)의 외부에, 본 발명의 확관된 압출케이싱(100)을 가열 접합시에,
본 발명 S4 단계의 제조방법으로 가열 및 연신되어 압출케이싱(100)이 확관 됨에 의하여 압출케이싱의 열수축율이 더욱 향상되어 압출케이싱(100)이 외관(3 종래기술 도면 1c, 1d 참조)의 외부에 수축되어 밀착 접합 됨으로서:
본 발명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100)이 설치된 이중보온관의 누수가 방지되고, 설치가 용이하여 설치작업성이 더욱 향상되며, 사용이 편이한 동시에, 이중보온관의 내구성능 및 단열성능, 기밀성능과 접합력이 강화된 제조방법으로 구성된다.
상기 S5 단계는;
S4 단계로 가열 및 연신되어 압출케이싱이 확관된 후, 압출케이싱(100)의 외부에 장착된 지그(40)가 외부로 탈착되고, 확관된 압출케이싱(100)이 상온에서 냉각되어,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100)이 제조되는 제조방법으로 구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이;
상기 S2 단계가 제외된 미가교된 압출케이싱으로 구성된, 하기 S1 단계, S31 단계, S41 단계, S5 단계의,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100)의 제조방법으로 구성 될 수도 있다.
S1 단계: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이 압출기에 투입되어,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이 원통형 압출관으로 압출된 압출케이싱이 제조되는 단계; 및,
S31 단계: 압출케이싱이 공압바가 설치된 부력체의 외부에 적층 및 압출케이싱의 외부에 지그가 장착되는 단계; 와,
S41 단계: 공압바에 가열된 압축공기가 주입되어 부력체가 지그의 내부에서 지그의 내면에 밀착되어 팽창 됨으로서, 부력체의 외부에 적층된 압출케이싱이 가열 및 연신되어 확관되는 단계; 와,
S5 단계: 압출케이싱 확관 후, 지그가 외부로 탈착 및 압출케이싱이 냉각되어,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이 제조되는 단계;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의 확관설비(200)는;(제조방법: 도 2 참조, 제품구성도: 도 9 참조)
부력체(30)의 내부에 설치된 공압바(20)에 가열된 압축공기가 주입되어, 부력체(30)가 지그(40)의 내면(41)에 밀착되어 팽창 됨에 의하여, 부력체(30)의 외부에 적층된 압출케이싱(100)이 용이하게 확관이 가능하고,
공압바(20)가 설치된 부력체(30)의 외부에 적층된 압출케이싱(100)과, 압출케이싱의 외부에 장착된 지그(jig) 내면(41)과의 설치간격을 원하는 확관범위로 유지하여, 압출케이싱(100)을 원하는 칫수로 확관이 가능한, 공압바(20)와 부력체(30), 지그(40)로 구성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100)의 확관을 위한 확관설비(200)로 구성되며;
1) 부력체(30)의 팽창을 위한 부력체(30)의 내부에 설치된, 가열된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금속재질의 공압바(20)와;
2) 공압바(20)에서 주입된 가열된 압축공기에 의하여 압출케이싱(100)이 지그(40)의 내면(41)에 밀착토록 팽창되는 상기 공압바(20)의 외부에 구비된, 불소수지 또는 에폭시수지를 포함한 내열성 수지로 구성되거나,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한 금속판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실리콘 고무로 구성된 부력체(30)와;
3) 상기 부력체(30)의 외부에 적층된 압출케이싱(100)이 확관시에 확관범위가 제한되는 압출케이싱(100)의 외부에 장착된, 금속재질의 지그(jig:40)로 구성된다.
또한 부대설비로서 가열된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히터가 구비된 압축공기주입기와 상기 압축공기주입기와 공압바에 연결된 압축공기 연결호스로 구성되며;
상기 부대설비인 압축공기주입기와 압축공기 연결호스는 본 발명 확관설비의 공압바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부가 아니며;
본 발명은, 압축공기주입기에서 가열온도 85 내지 135℃, 압력 5 내지 20㎏f/㎠로 가열된 압축공기가 공압바(20)에 유입되어 공압바의 외부에 구비된 부력체(30)가 가열, 팽창 됨으로서 부력체의 외부에 적층된 압출케이싱(100)이 가열, 연신되는 구성과;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 구성의 '공압바(20) 및 부력체(30)와, 지그(40)로 구성된 확관설비(200)'를, 본 발명의 요부로 한다.
상기 공압바(20)는;
부력체의 팽창을 위한 부력체(30)의 내부에 설치된, 가열된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금속재질의 공압바 본체(21) 및,
상기 공압바 본체(21)의 양 측부에 구비된, 압축공기주입기에서 유입되는 가열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 유입구(22)와,
공압바 본체(21)의 외부에 구비된, 압축공기 유입구(22)로 유입된 가열된 압축공기가 부력체(30)의 내부로 배출되는 다수개의 압축공기 배출구(23)로 구성되며;
가열온도 85 내지 135℃, 압력 5 내지 20㎏f/㎠로 가열된 압축공기가 압축공기 유입구(22)로 유입되어, 다수개의 압축공기 배출구(23)로 배출 됨으로서, 부력체(30)가 온도 85 내지 135℃로 가열되어 팽창되는 공압바(20)로 구성된다.
상기 부력체(30)는;
공압바(20)의 외부에 구비된, 공압바에서 주입된 가열된 압축공기에 의하여 압출케이싱(100)이 지그(40)의 내면(41)에 밀착토록 팽창되는, 불소수지 또는 에폭시수지를 포함한 내열성 수지로 구성되거나,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한 금속판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실리콘 고무로 구성된 부력체 본체(31) 및,
상기 부력체 본체(31)의 양측부에 구비된, 공압바(20)의 압축공기 유입구(22)가 삽입, 설치되는 압축공기 유입구 삽입홀(32)이 구비된, 부력체(30)로 구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압축공기 유입구 삽입홀(32)의 외부에 밀폐실링면(33)이 연장되어 구비 및 공압바(20)의 압축공기 유입구(22)의 외부에 밀폐실링면(33)이 접합되어, 공압바(20)의 압축공기 유입구(22)와 압축공기 배출부(23)에서 유입 및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외부 누출이 더욱 차단되어 밀폐되는 부력체(30)로 구성 될 수도 있다.
상기 지그(jig:40)는;
부력체(30)의 외부에 적층된 압출케이싱(100)의 외부에 구비된, 부력체(30)의 팽창에 의하여 압출케이싱(100)이 확관시에 확관범위가 내면(41)에 밀착되어 제한되는 금속재질의 지그(jig)로 구성된다.
또한, 공압바(20)에서 가열온도 85 내지 135℃, 압력 5 내지 20㎏f/㎠로 가열된 압축공기가 부력체(30)의 내부로 배출 됨으로서, 부력체(30)가 온도 85 내지 135℃로 가열 팽창되어 부력체(30)의 외부에 적층된 압출케이싱(100)이 가열온도 85 내지 135℃로 가열, 연신되어, 압출케이싱(100)의 확관이 더욱 용이한 구성의 확관설비(200)로 구성되며;
또한, 부력체(30)의 외부에 적층된 압출케이싱(100)과, 압출케이싱(100)의 외부에 장착된 지그(jig:40)의 내면(41)과의 설치간격을 원하는 확관범위로 유지하여, 압출케이싱(100)을 원하는 칫수로 확관이 가능한, 공압바(20)와 부력체(30), 지그(40)로 구성된, 압출케이싱(100)의 확관을 위한 확관설비(200)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S1 내지 S5 단계로 구성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100)의 제조방법은;
이중보온관의 바깥쪽에 위치된 외관의 상, 하부에 가열 접합되는
종래기술의 시트 상의 열 수축시트로 구성되어 외관(3: 종래기술 도면 1c, 1d 참조)인 폴리에틸렌 관의 상,하부에 각기 가열 접합 됨으로서, 설치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열 수축시트의 접합력 저하로 인한 이중보온관의 누수 발생 및 기밀성능과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해결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100)의 제조방법과;
시트 상의 열 수축시트를 원통형 시트인 이중보온관 케이싱으로 형성시에, 시트가 원통형으로 감겨 시트와 시트의 겹치는 끝단부의 접합력 저하로 인한 이중보온관의 누수 발생 및 기밀성능과 단열성능이 저하되고, 제조와 설치시의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해결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100)의 제조방법과;
특히, 이중보온관의 바깥쪽에 위치된 외관의 외부에 적층되어 가열 접합되는 케이싱의 별도 제조가 필요 없이,
이중보온관의 외관(3: 종래기술 도면 1c, 1d 참조)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외관관(3: 종래기술 도면 1c, 1d 참조)을 케이싱의 크기에 일치되도록 절단만을 하여, 본 발명 제조방법으로 이중보온관 외관의 외경에 비하여 더욱 큰 내경(110)으로 확관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100)으로 용이하게 제조하여, 이중보온관의 바깥쪽에 위치된 외관관(3: 종래기술 도면 1c, 1d 참조)의 외부에 적층되어 가열 접합이 가능하고, 또한 케이싱의 별도 제조가 필요 없어 재료비가 대폭 절감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100)의 제조방법과;
이중보온관 케이싱이 원통형 압출관으로 압출된 압출물인 압출케이싱(100)으로 구성되어, 이중보온관의 바깥쪽에 위치된 외관(3: 종래기술 도면 1c, 1d 참조)에 본 발명의 확관된 압출케이싱(100)을 가열 접합시에,
본 발명 S4 단계의 제조방법으로 가열 및 연신되어 압출케이싱이 확관 됨에 의하여 압출케이싱의 열수축율이 더욱 향상되어 압출케이싱(100)이 외관(3: 종래기술 도면 1c, 1d 참조)의 외부에 수축되어 밀착, 접합 됨으로서:
본 발명 압출케이싱(100)이 설치된 이중보온관의 누수가 방지되고, 이중보온관의 내구성능 및 단열성능, 기밀성능과 접합력이 강화된 제조방법과;
압출케이싱(100)이 원하는 칫수로 확관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이중보온관의 바깥쪽에 위치된 외관(3: 종래기술 도면 1c, 1d 참조)의 외부에 설치가 용이하여 설치작업성이 더욱 향상되며, 투하공수가 절감되고, 사용이 더욱 편이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100)의 제조방법으로;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100)'은;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부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압출케이싱의 열안정화를 위한, 바륨 안정제(Ba stabilizer) 또는 카드늄 안정제(Cd stabilizer)를 포함한 열안정제 1.0 내지 3.5중량부와,
압출케이싱의 자외선차단을 위한 유브이 안정제(UV stabilizer)를 포함한 자외선차단제 1.0 내지 1.5중량부와,
압출케이싱의 착색을 위한 카본블랙(carbon black)을 포함한 착색제 0.1 내지 1.5중량부가, 첨가된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이 압출된 압출물인 원통형 압출관으로 구성된 압출케이싱(100)으로서,
상기 압출케이싱의 외부에 방사선이 조사 가교되고, 상기 조사 가교된 압출케이싱이 가열, 연신되어 5 내지 30㎜ 범위로 내경이 확관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100)으로 구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에, 압출케이싱의 1차 가교를 위한 용도의 실란(silane)을 포함한 가교제 1.0 내지 3.5중량부가 참가 된 구성의,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100)으로 구성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100)'은;
이중보온관의 바깥쪽에 위치된 외관(3: 종래기술 도면 1c, 1d 참조)의 외부에 접합, 사용되는 케이싱이,
원통형 압출관으로 압출된 압출물인 압출케이싱(100)으로 구성되어, 본 발명 압출케이싱이 설치된 이중보온관의 누수가 방지되는 동시에, 내구성능 및 단열성능, 기밀성능과 접합력이 강화된 구성과;
이중보온관의 케이싱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이, 이중보온관의 외관(3: 종래기술 도면 1c, 1d 참조)을 케이싱의 크기에 맞추어 절단만을 하여 내경(110)을 확관 시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100)으로 사용이 가능한 동시에,
압출케이싱(100)이 이중보온관의 바깥쪽에 위치된 외관(3: 종래기술 도면 1c, 1d 참조)의 외부에 적층되어 가열 접합이 가능하여, 이중보온관 케이싱의 설치작업성이 더욱 향상되며, 재료비와 투하공수가 절감되고, 사용이 더욱 편이한 구성의;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100)으로 구성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 본 발명 압출케이싱('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
110: 내경
200: 확관설비
20: 공압바
21: 공압바 본체 22: 압축공기 유입구
23: 압축공기 배출구
30: 부력체
31: 부력체 본체 32: 압축공기 유입구 삽입홀
33: 밀폐실링면
40: 지그
41: 내면
10 종래기술 이중보온관
1: 내관 2: 보호층
3: 외관 4: 우레탄폼
5: 케이싱

Claims (9)

  1. 아파트 단지나 상업용 건물을 포함한 대단위 지역에 열을 공급하거나 또는 상수도용 온수를 공급하는, S1 단계: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이 압출기에 투입되어,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이 원통형 압출관으로 압출된 압출케이싱이 제조되는 단계; 및, S2 단계: 압출케이싱의 외부에 방사선이 조사되어, 압출케이싱이 가교되는 되는 단계; 와, S5 단계: 압출케이싱 확관 후, 지그가 외부로 탈착 및 압출케이싱이 냉각되어,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이 제조되는 단계; 로, 제조되는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의 이후 단계와, 상기 S5 단계의 이전 단계로:
    S3 단계: 가교된 압출케이싱이 공압바가 설치된 부력체의 외부에 적층 및 가교된 압출케이싱의 외부에 지그가 장착되는 단계; 와,
    S4 단계: 공압바에 가열온도 85 내지 135℃, 압력 5 내지 20㎏f/㎠로 가열된 압축공기가 외부에서 주입되어, 부력체가 지그의 내부에서 지그의 내면에 밀착되어 팽창 됨으로서, 부력체의 외부에 적층된 가교된 압출케이싱이 85 내지 135℃로 가열 및 연신되어, 압출케이싱의 내경이 확관되는 단계; 로, 제조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와 공압바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100)의 제조방법.
  2. 아파트 단지나 상업용 건물을 포함한 대단위 지역에 열을 공급하거나 또는 상수도용 온수를 공급하는, S1 단계: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이 압출기에 투입되어,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이 원통형 압출관으로 압출된 압출케이싱이 제조되는 단계; 및, S5 단계: 압출케이싱 확관 후, 지그가 외부로 탈착 및 압출케이싱이 냉각되어,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이 제조되는 단계;로, 제조되는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의 이후 단계와, 상기 S5 단계의 이전 단계로:
    S31 단계: 압출케이싱이 공압바가 설치된 부력체의 외부에 적층 및 압출케이싱의 외부에 지그가 장착되는 단계; 와,
    S41 단계: 공압바에 가열온도 85 내지 135℃, 압력 5 내지 20㎏f/㎠로 가열된 압축공기가 외부에서 주입되어, 부력체가 지그의 내부에서 지그의 내면에 밀착되어 팽창 됨으로서, 부력체의 외부에 적층된 압출케이싱이 85 내지 135℃로 가열 및 연신되어, 압출케이싱의 내경이 확관되는 단계; 로, 제조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와 공압바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100)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 또는 S31 단계가;
    부력체의 팽창을 위한 부력체의 내부에 설치된, 가열된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공압바와;
    공압바에서 주입된 가열된 압축공기에 의하여 압출케이싱이 지그의 내면에 밀착토록 팽창되는 상기 공압바의 외부에 구비된, 불소수지 또는 에폭시수지를 포함한 내열성 수지로 구성되거나,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한 금속판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실리콘 고무로 구성된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의 외부에 적층된 압출케이싱이 확관시에 확관범위가 제한되는 압출케이싱의 외부에 장착된, 지그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와 공압바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100)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바가, 부력체의 내부에 설치된 공압바 본체 및 공압바 본체의 양 측부에 구비된 압축공기 유입구와, 공압바 본체의 외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압축공기 배출구로 구성되고;
    상기 부력체가, 공압바의 외부에 구비된 부력체 본체 및 부력체 본체의 양측부에 구비된 압축공기 유입구 삽입홀로 구성되며;
    상기 지그가, 압출케이싱의 확관시에 지그 내면에 압출케이싱이 밀착되어 확관이 제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와 공압바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100)의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180106355A 2018-09-06 2018-09-06 부력체와 공압바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 KR101972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355A KR101972388B1 (ko) 2018-09-06 2018-09-06 부력체와 공압바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355A KR101972388B1 (ko) 2018-09-06 2018-09-06 부력체와 공압바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388B1 true KR101972388B1 (ko) 2019-04-25

Family

ID=66281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355A KR101972388B1 (ko) 2018-09-06 2018-09-06 부력체와 공압바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3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6386A (ja) * 2000-09-21 2002-04-02 Sekisui Chem Co Ltd ポリエチレン管の製造方法
KR100626316B1 (ko) * 2005-06-09 2006-09-20 정태화 부식방지 상수관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887912B1 (ko) * 2017-11-28 2018-08-13 세인스틸 주식회사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 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케이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6386A (ja) * 2000-09-21 2002-04-02 Sekisui Chem Co Ltd ポリエチレン管の製造方法
KR100626316B1 (ko) * 2005-06-09 2006-09-20 정태화 부식방지 상수관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887912B1 (ko) * 2017-11-28 2018-08-13 세인스틸 주식회사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 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케이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7411A (en) Liner pipe for repair of a host pipe
US6355318B1 (en) Heat shrinkable member
KR100442180B1 (ko) 열회복성물품
KR101887912B1 (ko)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 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케이싱
CN104582938A (zh) 用于将可热收缩壳体施加到预绝缘的管道接头上的设备
KR101737346B1 (ko)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 그 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 연결방법
KR100912857B1 (ko) 이중보온관 열 수축 포밍홀의 웰딩 플러그
US3554999A (en) Method of making a shrink device
KR101935027B1 (ko) 이중보온관의 웰딩 플러그 및 그의 설치방법
KR101972388B1 (ko) 부력체와 공압바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
KR102404567B1 (ko) 이중 보온관용 열수축 케이싱, 이중 보온관용 열수축 케이싱 제조 방법 및 이중 보온관용 열수축 케이싱 시공 방법
KR100625895B1 (ko) 열수축성관
KR101955560B1 (ko) 확관기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
KR101382415B1 (ko) 관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1878233B1 (ko) 열선이 내장된 열수축케이싱, 열수축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15003470A (ja) 管ライニング工法及び管ライニング管
KR101457110B1 (ko) 롤러 회전판을 갖는 확관기, 그 확관기를 이용한 확관방법 및 그 확관방법에 의해 확관된 연결구를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연결방법
EP1379375B1 (en) Method of joining prefabricated thermal insulated conduits, the junction itself and a length of conduit comprising said junction
KR101635426B1 (ko)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 연결방법
EP2580511B1 (en) Shrink sleeve for joining insulated pipes
KR100763040B1 (ko) 케이스에 있는 개구를 폐쇄시키는 설비를 갖춘 케이스
CN107795795A (zh) 一种预制保温直管与异形管件的现场保温结构及施工方法
KR100821650B1 (ko)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 그 제조방법, 제조장치및 이중보온관
KR20170031876A (ko) 외부자켓을 이용한 이중 보온관 이음부 보수 시공방법
KR101936105B1 (ko)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과 케이싱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