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105B1 -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과 케이싱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과 케이싱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105B1
KR101936105B1 KR1020170094821A KR20170094821A KR101936105B1 KR 101936105 B1 KR101936105 B1 KR 101936105B1 KR 1020170094821 A KR1020170094821 A KR 1020170094821A KR 20170094821 A KR20170094821 A KR 20170094821A KR 101936105 B1 KR101936105 B1 KR 101936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inkable sheet
heat
heat shrinkable
casing
shee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선화
Original Assignee
세인스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인스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인스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4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1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581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sheets or strips consisting principally of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29C61/02Thermal shrinking
    • B29C61/025Thermal shrinking for the production of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6Producing casings, e.g. accumulator c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J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7/00Adhesives based on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 F16L59/18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adapted for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2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29K2995/0015Insul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병합 발전소 또는 쓰레기 소각장 등에서 발생되는 열을 지역난방시스템을 통하여 아파트 단지나 상업용 건물들 등의 대단위 지역에 열을 공급하는 용도의,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과 케이싱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과 케이싱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asing for double insulation pipe, casing and method for establishment double insulation pipe use of improved airtightness and keep warm}
본 발명은, 열병합 발전소 또는 쓰레기 소각장 등에서 발생되는 열을 지역난방시스템을 통하여 아파트 단지나 상업용 건물들 등의 대단위 지역에 열을 공급하거나 또는 상수도용 온수를 공급하는 용도의,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과 케이싱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과 케이싱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에 의하여:
특히, 종래기술의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에 비하여, 케이싱의 열수축 시트가 이중보온관의 외관의 외부에 가열 접합되는 시간이 현저히 단축되고, 완제품인 이중보온관의 접합력이 더욱 강화되는 동시에 완제품인 이중보온관의 외관을 크게 키우지 않아도 단열재의 충진공간이 확대되며, 제조가 용이하고, 기밀성 기능과 보온 기능, 누수방지 기능이 강화되며;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시간이 현저히 단축되어 작업성이 대폭 향상된 기술구성의: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과 케이싱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병합 발전소, 쓰레기 소각장 등에서 발생되는 열은 지역난방시스템을 통하여 아파트 단지나 상업용 건물들 등의 대단위 지역에 공급하고 있다.
보통, 열 공급은 물을 가열한 후 그 가열된 온수를 열수송관을 통해 난방 및 급탕이 필요한 건물에 공급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지역난방시스템은 열원으로부터 먼 거리에 온수(열)를 공급하여야 하므로 온수 공급시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온수를 공급하여야 한다. 온수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열수송관은 이중 보온관이 사용된다.
이중 보온관은, 온수(열)가 흐르는 강관(steel pipe)인 내관과, 내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외관과, 내관과 외관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로 구성된 보온층으로 구성된다.
단열재로는 주로 폴리우레탄이 사용되며, 지역난방시스템을 구성하는 배관 라인은 다수 개의 이중 보온관들을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외관과 보온층을 이중 보온관이라고도 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이중보온관 외측으로 열수축 케이싱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c는 2개의 이중보온관의 내관 끝단을 서로 결합시킨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d는 열수축 케이싱을 2개의 이중보온관의 연결부 측으로 이동시켜 열을 인가하는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이중 보온관(10)의 연결은 두 개의 이중 보온관(10)의 외관(3)을 감싸는 원통 형태의 열수축 케이싱(5)과, 열수축 케이싱(5) 내부에 채워져 내관(1)을 단열시키는 우레탄 폼인 단열재 등을 포함한다.
두 개의 이중 보온관을 연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내관(1)의 끝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두 개의 이중 보온관(10)들 중 한 개의 이중 보온관(10)에 열수축 케이싱(5)을 삽입하고, 두 개의 이중 보온관(10)의 내관(1)의 끝면을 서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그 두 개의 내관(1)을 서로 연결한다. 그리고 두 개의 이중 보온관(10)의 각 외관(3) 단부에 원형 띠 형상으로 양면 열융착 테잎를 부착시킨 후 열수축 케이싱(5)으로 외부로 노출된 내관(1) 부분을 커버한다.
열수축 케이싱(5)의 양단부를 각각 토치램프 등의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열수축 케이싱(5)의 양단부를 수축시켜 외관(3)에 밀착시키며, 이때, 열수축 케이싱(5)과 외관(3) 사이에 위치한 양면 열융착 테잎이 용융되면서 열수축 케이싱(5)과 외관(3) 사이를 실링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9205호(이하, 선행기술 1이라고 함)에는 이중 보온관을 연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1에는 열수축시트(열수축판)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이중 보온관의 단부를 감싸고 열수축시트의 양단에 각각 경사면을 형성하여 경사면을 서로 부착시켜 열수축 케이싱을 만들고 그 열수축 케이싱을 내열성 밴드로 감싸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1은 열수축시트의 양단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제작이 복잡하고, 열수축 케이싱에 내열성 밴드를 감싸게 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재료가 많이 소요되며, 열수축 케이싱의 내부에 단열재를 충진시 기밀성이 저하되어 단열재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14306호(이하, 선행기술 2라고 함)에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이중 보온관을 열수축 시트로 다수 회 감고, 그 다수 회 감은 열수축시트를 가열 융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2는 열수축 시트를 다수 회 감게 되므로 층과 층이 밀착되지 않을 경우 내부에 공간(틈새)가 발생되어 실링력이 저하되며, 다수 회 감긴 열수축시트를 가열 융착하는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과 하기 선행기술문헌에 게재된 이중보온관의 제조방법과 그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이중보온관은;
도 1c 내지 도 1e에 도시한바와 같이, 열수축 시트 또는 열수축 시트로 구성된 열수축 케이싱(5)이 가열 접합시에 외관(3)인 폴리에틸렌 관의 양측면에 일자 배열의 수평면으로 가열 접합 후, 열수축 시트 또는 열수축 시트로 구성된 열수축 케이싱(5)와 내관인 강관의 사이에 구비된 공간부에 단열재인 우레탄 폼(4)이 충진된 이중보온관(10)의 연결구조에 의하여;
특히. 내관(1)인 강관과 열수축 시트 또는 열수축 케이싱(5)의 사이에 단열재인 우레탄 폼(4)이 충진되는 공간부가 발생 됨으로 인하여 열수축 시트 또는 열수축 케이싱(5)을 내관(1)인 강관의 외부에 직접 가열, 접합키가 불가 하였으며:
또한, 외관(3)인 폴리에틸렌 관의 양측면에만 열수축 시트 또는 열수축 케이싱(5)이 가열 접합 됨에 의하여 접합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열수축 시트 또는 열수축 케이싱(5)이 외관(3)인 폴리에틸렌 관의 외부로 이탈되어 사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를 개선키 위하여는, 외관(3)인 폴리에틸렌 관의 양측면에 열수축 시트 또는 열수축 케이싱(5)이 보다 긴 길이로 길게 가열 접합 됨에 의하여 가열 접합하는 시간이 장기간 소요되며, 단열재인 우레탄 폼(4)의 상부에 적층된 열수축 케이싱(5)의 해당부위가 분리되어 사용이 곤란한 문제점과;
열수축 케이싱(5) 하부의 공간부에 단열재인 우레탄 폼(4)의 충진을 위하여, 내,외관(1,3)의 상부에 적층되는 열수축 시트 또는 열수축 케이싱(5)의 외관을 더욱 크게 제조하여야 하는 문제점과;
열수축 케이싱(5)을 제조키 위하여 열풍기에서 외관의 외부에 다수 회가 감긴 열수축시트를 가열 융착키가 곤란하여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며, 시공 후 실제로 사용시에 열수축 케이싱(5)을 구성하는 다수회 감긴 열수축 시트의 층과 층이 분리되어 공간(틈새)이 발생되어 실링력이 저하되어 기밀성 기능과 보온 기능, 누수방지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또한, 내관(1)과 내관(1)을 연결구(fitting)로 연결 사용시에 열수축 시트 또는 열수축 케이싱(5)이 외관(3)인 폴리에틸렌 관의 외부 양측면에 각기 가열되어 접합 됨으로 인한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3920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2589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4750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8241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108093호 일본 공개특허 특개 2013-204789호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 11-230487호
본 발명 구성의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과 케이싱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에 의하여,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및;
종래기술의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에 비하여, 특히 케이싱의 열수축 시트가 이중보온관의 외관의 외부에 가열 접합되는 시간이 현저히 단축되고, 완제품인 이중보온관의 접합력이 강화되는 동시에 완제품인 이중보온관의 외관을 크게 키우지 않아도 단열재의 충진공간이 확대되며, 제조가 용이하고, 기밀성 기능과 보온 기능, 누수방지 기능이 강화되며;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시간이 현저히 단축되어 작업성이 대폭 향상된 기술구성의: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과 케이싱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 및 본 발명이 이루고저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S1 단계와 S3 단계, S5 단계로 제조되는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 구성의 S2 단계와 S4 단계로 구성된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 및;
상기 S2 단계와 S4 단계에 의하여 제조된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양측면에 10 내지 45°경사각의 열수축 시트로 구성된 테이퍼경사면이 생성 및 상기 테이퍼경사면과 연장된 수평면으로 이중보온관의 외관의 외부에 가열 접합되는 가열접합부가 구비된 이중보온관의 케이싱과;
상기 이중보온관의 케이싱을 이용한 S11 내지 S14 단계 또는 S21 내지 S24 단계로 구성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에 의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코저 한다.
본 발명 구성의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과 케이싱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에 의하여;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및,
특히, 케이싱의 열수축 시트가 이중보온관의 외관의 외부에 가열 접합되는 시간이 현저히 단축된 효과와;
완제품인 이중보온관의 접합력이 강화된 효광와;
완제품인 이중보온관의 외관을 크게 키우지 않아도 단열재의 충진공간이 확보된 효과와;
이중보온관의 제조가 용이하고, 기밀성 기능과 보온 기능, 누수방지 기능이 강화된 효과와;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시간이 현저히 단축되어 작업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이중보온관 외측으로 열수축 케이싱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1c는 2개의 이중보온관의 내관 끝단을 서로 결합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1d는 열수축 케이싱을 2개의 이중보온관의 연결부 측으로 이동시켜 열을 인가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1e는 열수축 케이싱이 수축되어 밀폐되고, 내부로 우레탄이 충진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FLOW-SHEET,
도 3은 본 발명 이중보온관의 케이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이중보온관의 다른실시상의 케이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이중보온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이중보온관의 다른실시상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FLOW-SHEET,
도 9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과 케이싱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키로 하며;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과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케이싱 및, 본 발명의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의 해당 구성물은;
'본 발명 이중보온관의, 열수축시트로 구성된 케이싱을 외관인 폴리에틸렌 관의 외부에 가열 접합하는 시간이 현저히 단축되고, 완제품인 이중보온관의 외관을 크게 키우지 않아도 단열재의 충진공간이 확대되며, 제조가 용이하고, 기밀성 기능과 보온 기능, 누수방지 기능이 강화되며: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시간이 현저히 단축되어 작업성이 향상'된:
"적정 구성의 제조방법과 그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케이싱 및, 적정 구성의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 으로 구성 됨을 명확히 하며;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과 그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케이싱 및,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에 언급된 수치는 단순히 수치로서 한정 기재한 것이 아닌 상기에서 언급된 진보성이 구비된 것이며;
이하 언급된 실시예는 바람직한 하나의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범주의 기술사상으로 구성된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과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케이싱 및, 본 발명의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은 본 권리에 포함 됨을 분명히 한다.

또한, 이 출원의 케이싱의 일구성인 열수축시트 지지체는 복수개 내관의 이음부의 외부에만 적층된 열수축시트 지지체로서, 내관의 전체 길이가 아닌 내관과 내관이 서로 용접된 복수개 내관의 이음부의 길이에 해당되는 짧은 길이의 열수축시트 지지체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FLOW-SHEET이고,
도 3은 본 발명 이중보온관의 케이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이중보온관의 다른실시상의 케이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이중보온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이중보온관의 다른실시상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FLOW-SHEET이며,
도 9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아파트 단지나 상업용 건물들 등의 대단위 지역에 열을 공급하거나, 또는 상수도용 온수를 공급하는 용도의, 본 발명의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100)의 케이싱(20)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S1 내지 S6 단계로 구성된다. (제품 구성도 및 연결상태도: 도 3 및 도 5 참조)
S1 단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열수축 시트의 준비단계;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수지 또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PP) 수지로 조성된, 열에 의하여 수축되는 열수축 시트(21)를 제조 또는 준비한다.)
S2 단계: 이중보온관의 외관의 외경((외측높이)에 비하여 본체 상,하단의 내경(내측높이)이 0.5 내지 3.5mm 범위의 더욱 높은 연장높이로 각기 구성된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재질의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준비단계; 와,
(이중보온관의 외관의 외경((외측높이)에 비하여,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본체(221) 상,하단의 내경(내측높이)이 0.5 내지 3.5mm 범위의 더욱 높은 연장높이(222)로 각기 구성되고, 복수개 내관(40)의 이음부(41) 외부에만 적층되는 복수개 내관(40)의 이음부(41) 길이에 해당되는 짧은 길이의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재질의 열수축시트 지지체(22)를 제조 또는 준비한다.)
S3 단계: S1 단계의 열수축 시트가 와인더롤에 와인딩되며,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한 지그가 삽입되어,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외부 및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양측면에 연장되어 열수축 시트가 다수 회 권취된 후, 열풍기에서 열풍에 의하여 160 내지 200℃로 가열되어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외부에 열수축 시트의 중앙면이 접합 및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외부에 접합된 중앙면과 동일한 높이로 가열된 열수축 시트의 측부가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양측면에 연장되어 생성되는 단계; 와,
(상기 S1 단계의 열수축 시트(21)가 와인더롤에 와인딩되며, 상기 S2 단계의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한 지그(jig)가 삽입되어, 지그(jig)의 회전에 의한 와인딩롤에 와인딩된 열수축 시트(21)가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본체(221) 외부 및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본체(221) 양측면에 연장되어 열수축 시트(21)가 다수 회 권취된 후, 열풍기에서 열풍에 의하여 160 내지 200℃로 가열되어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본체(221) 외부에 열수축 시트(21)의 중앙면(211)이 접합 및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본체(221) 외부에 접합된 중앙면(211)과 동일한 높이로 가열된 열수축 시트(21)의 측부가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본체(221) 양측면에 연장되어 생성된다.)
S4 단계: S3 단계의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외부에 접합된 열수축 시트의 중앙면과 동일한 높이로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양측면에 연장되어 생성된 열수축 시트의 양측부를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내부에 삽입된 지그의 외부면에 밀착토록 압착 후 상온에서 냉각하여,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양측면에 10 내지 45°경사각의 테이퍼경사면이 생성 및 테이퍼경사면과 연장된 수평면으로 이중보온관의 외관에 가열 접합되는 가열접합부가 구비되는 단계; 와,
(상기 S3 단계의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본체(221) 외부에 접합된 열수축 시트(21)의 중앙면(211)과 동일한 높이로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본체(221) 양측면에 연장되어 생성된 160 내지 200℃로 가열된 열수축 시트(211)의 양측부를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내부에 삽입된 지그(jig)의 외부면에 밀착토록 압착기로 각기 압착 후 상온에서 냉각하여,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본체(221) 양측면에 10 내지 45°경사각의 테이퍼경사면(212)이 생성 및 상기 테이퍼경사면과 연장된 수평면(213)으로 이중보온관의 외관(30)에 가열 접합되는 가열접합부(213)가 구비된 케이싱이 제조된다.)
S5 단계: S4 단계의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내부에 삽입된 지그가 외부로 탈거, 해체되는 단계;
(상기 S4 단계의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내부에 삽입된 지그(jig)가 외부로 탈거, 해체되어 본 발명의 완제품인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100)의 케이싱(110)이 제조된다.)
또한, 상기 S1 단계와, S3 단계, S5 단계는;
본 출원인이 2016. 10. 17. 선출원하여 특허등록 제 10-1737346호로 2017. 05. 12. 자로 선등록 받은 내용에 포함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100)의 케이싱(110) 제조방법의 요부가 아니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S1 단계와 S3 단계, S5 단계로 제조되는 케이싱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의 후속공정으로,
'상기 S2 단계의, 이중보온관의 외관(30)의 외경(외측높이)에 비하여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본체(221) 상,하단의 내경(내측높이)이 0.5 내지 3.5mm 범위의 더욱 높은 연장높이(222)로 각기 구성된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재질의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준비단계'; 와,
상기 S3 단계의 후속공정으로,
'상기 S4 단계의,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외부에 접합된 열수축 시트의 중앙면과 동일한 높이로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양측면에 연장되어 생성된 열수축 시트의 양측부를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내부에 삽입된 지그(jig)의 외부면에 밀착토록 압착 후 상온에서 냉각하여,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양측면에 10 내지 45°경사각의 테이퍼경사면이 생성 및 테이퍼경사면과 연장된 수평면으로 이중보온관의 바깥쪽에 위치된 이중보온관의 외관의 외부에 가열 접합되는 가열접합부가 구비되는 단계'; 로, 제조 됨을 본 발명의 요부로 한다.
또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100)의 케이싱(110)은;
1)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재질의 본체(221)와,
상기 본체(221)의 상,하단에, 이중보온관의 외관(30)의 외경(외측높이)에 비하여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본체(221) 상,하단의 내경(내측높이)이 0.5 내지 3.5mm 범위의 더욱 높은 연장높이(222)로 각기 구성된 열수축시트 지지체(22)와;
2) 상기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본체(221) 외부에 중앙면(211)이 가열 접합 및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본체(221) 양측면에 10 내지 45°경사각의 테이퍼경사면(212)과, 상기 테이퍼경사면(212)과 연장된 수평면으로 이중보온관의 바깥쪽에 위치된 이중보온관의 외관(30)의 외부에 가열 접합되는 가열접합부(213)가 구비된 열 수축시트(21)로 구성된다.
따라서, 특히 이중보온관의 외관(30)의 외경(외측높이)에 비하여 이중보온관의 바깥쪽에 위치하되 복수개 내관(40)의 이음부(41)의 외부에만 적층된 열수축시트 지지체(22)로서, 내관(40)의 전체 길이가 아닌 내관과 내관이 서로 용접된 복수개 내관(40)의 이음부(41)의 길이에 해당되는 짧은 길이의 열수축시트 지지체 본체(221)와, 본체(221) 상,하단의 내경(내측높이)이 0.5 내지 3.5mm 범위의 더욱 높은 연장높이(222)로 각기 구성된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제조방법 및 제품구성으로;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본체(221) 외부에 열수축 시트(21)의 중앙면(211)이 가열 접합 및, 열수축 시트의 중앙면(211)과 동일한 높이로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본체(221) 양측면에 연장되어 생성된 열수축 시트(21)의 양측부가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내부에 삽입된 지그(jig)의 외부면에 밀착되어 압착 됨으로서,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본체(221) 양측면에 10 내지 45°경사각의 테이퍼경사면(212)이 생성되고, 상기 테이퍼경사면(212)과 연장된 수평면(213)으로 이중보온관의 외관(30)의 외부에 가열 접합되는 가열접합부(213)가 구비되어,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본체(221) 외부에 열수축 시트(21)의 중앙면(211)이 가열 접합 및 이중보온관의 외관(30)의 외부에 가열접합부(213)가 접합 가능한 구성의;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100)의 케이싱(20)의 제조방법과,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케이싱(20)으로 구성된다.

또한,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외부에 열수축 시트(21)의 중앙면이 접합 및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측면에 열수축 시트(21)의 테이퍼경사면(212)과 수평면인 가열접합부(213)가 구비되어,
이중보온관의 외관(30)의 외부에,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측면에 구비된 열수축 시트(21)의 테이퍼경사면(212)과 수평면으로 구성된 가열접합부(213)가 가열 접합된다.
상기 구성의, 이중보온관(100)의 케이싱(20)의 제조방법과,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케이싱(20)에 의하여,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및;
종래기술의 이중보온관의 열수축 케이싱 제조방법과 열수축 케이싱에 비하여,
열수축 시트(21)의 전체 부위가 접합되는 방식이 아닌 열수축 시트의 중앙면(211)이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본체(221) 외부에 가열 접합 및 테이퍼경사면(212)과 연장된 수평면으로 이중보온관의 외관(30)의 외부에 가열 접합되는 가열접합부(213)가 이중보온관의 외관(30)의 외부에 가열 접합 됨으로서,
이중보온관의 외관(30)의 외부에 가열 접합되는 시간이 현저히 단축된 제조방법과, 그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케이싱(20)의 기술구성과;
케이싱(20)이 이중보온관의 외관(30)의 외부에 가열 접합 됨으로서, 완제품인 이중보온관(100)의 접합력이 더욱 강화되는 동시에,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본체(221) 양측면에 구비된 10 내지 45°경사각의 테이퍼경사면(212)에 의하여 완제품인 이중보온관(100)의 외관을 크게 키우지 않아도 단열재의 충진공간이 확대된 제조방법과, 그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케이싱(20)의 기술구성과;
케이싱(20)의 제조가 용이하고, 내관(40)의 이음부(41) 외부에 본 발명 구성의 케이싱(20)이 구비 됨으로서 외부공기의 유입이 차단되어 기밀성 기능과 보온 기능이 강화되고, 누수방지 기능 또한 강화된 제조방법과, 그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케이싱(20)의 기술구성으로; 구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S4 단계가, 하기의 S41 단계로 대체된 구성의:
S41 단계;
S3 단계의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외부에 접합된 열수축 시트의 중앙면과 동일한 높이로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양측면에 연장되어 생성된 가열된 열수축 시트의 일측부를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내부에 삽입된 지그(jig)의 외부면에 밀착토록 압착 후 상온에서 냉각하여,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일측면에 10 내지 45°경사각의 테이퍼경사면이 생성 및 테이퍼경사면과 연장된 수평면으로 이중보온관의 바깥쪽에 위치된 이중보온관의 외관(30) 외부에 가열 접합되는 가열접합부가 구비되는 단계; 로, 대체된 케이싱의 제조방법과, 제품구성으로;(제품 구성도 및 연결상태도: 도 4 및 도 6 참조)
대구경인 강관인 내관의 단부를 용접방식이 아닌 사이즈가 큰 대구경의 이음구(fitting)로 연결시에 작업성을 향상키 위하여;
1차로 내관(40)인 하나의 강관 외부에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본체(221) 일측면에만 테이퍼경사면(212)과 가열접합부(213)가 구비되고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타측면에는 테이퍼경사면이 미구비되고 가열접합부(213)가 구비되어 개방된 구성의 케이싱(20)을 삽입하여, 2차로 열수축시트 지지체(22) 타측면이 개방된 구성의 여유공간에 의하여 복수개의 내관(40)인 강관과 강관을 이음구(60)로 용이하게 연결 후, 케이싱(20)을 관 이음부로 이동하여 케이싱(20)의 양측면 가열접합부(213)를 가열하여 케이싱(20)이 이중보온관의 외관(30)의 양측면에 접합 됨에 의한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 구성의 케이싱(20)의 제조방법과, 제품구성으로 구성 될 수도 있으며;(제품 구성도 및 연결상태도: 도 4 및 도 6 참조)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S3 단계 또는 S4 단계 또는 S41 단계의 열수축 시트의 해당 구성인,
'열수축 시트가 다수 회 권취된 후, 열풍기에서 열풍에 의하여 160 내지 200℃로 가열되어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외부에 중앙면이 접합되거나, 또는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양측면에 열수축 시트의 가열접합부가 구비'된 제조방법이:
카렌더 또는 성형기 또는 라미네이터에서 소정두께(예를 들어, 두께 0.1㎜의 열수축 시트가 3회 권취된 경우는 두께 0.3㎜)로 일체로 카렌더링 또는 성형 또는 압연된 열수축 시트의 중앙면이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외부에 접합되거나, 또는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양측면에 소정두께로 일체로 카렌더링 또는 성형 또는 압연된 열수축 시트의 가열접합부가 구비된 케이싱의 제조방법과 케이싱의 제품구성으로 구성 될 수도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S3 단계 또는 S4 단계 또는 S41 단계의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외부 또는 열수축 시트의 외부에, 접합력이 더욱 강화되는 용도의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계열의 접착제 또는 폴리아마이드 접착제 또는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된 케이싱의 제조방법과 케이싱의 제품구성으로 구성 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키로 한다.
도 7에 도시된바와 같이;
아파트 단지나 상업용 건물들 등의 대단위 지역에 열을 공급하거나, 또는 상수도용 온수를 공급하는 용도의, 본 발명의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은, 다음과 같은 S11 내지 S14 단계로 구성된다.(제품 구성도 및 설치상태도: 도 3 및, 도 9a 내지 도 9c 참조)
S11 단계: 복수개의 내관 중 어느 하나의 내관 외부에, 이중보온관의 외관의 외경에 비하여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상,하단의 내경(내측높이)이 0.5 내지 3.5mm 범위의 더욱 높은 연장높이로 각기 구성 및 상기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외부에 열수축 시트의 중앙면이 가열 접합되고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양측면에 테이퍼경사면과 가열접합부가 구비된 케이싱의 장착단계; 및,
(이중보온관(10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내관(40) 중 어느 하나의 내관 외부에, 이중보온관의 외관(30)의 외경에 비하여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본체(221) 상,하단의 내경(내측높이)이 0.5 내지 3.5mm 범위의 더욱 높은 연장높이로 각기 구성 및 상기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외부에 열수축 시트(21)의 중앙면(211)이 가열 접합되고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양측면에 테이퍼경사면(212)과 가열접합부(213)가 구비된 본 발명 구성의 케이싱(20)이 장착된다.)
S12 단계: 복수개 내관의 이음부를 용접하여 연결 후, 어느 하나의 내관 외부에 장착된 케이싱이 복수개 내관의 용접된 이음부의 외부로 이동, 설치되는 단계; 와,
(상기 S11 단계의 복수개 내관(40)의 이음부(41)를 용접하여 연결 후, S11 단계의 어느 하나의 내관 외부에 장착된 케이싱(20)이 복수개 내관의 용접된 이음부(41)의 외부로 이동 설치된다.)
S13 단계: 복수개 내관의 용접된 이음부의 외부로 이동된 케이싱의, 열수축시트 지지체 양측면에 구비된 가열접합부를 가열하여 이중보온관의 외관 외부에 케이싱이 접합, 설치되는 단계; 와,
(상기 S12 단계의 복수개 내관(40)의 용접된 이음부(41)의 외부로 이동된 케이싱(20)의, 열수축시트 지지체(22) 양측면에 구비된 가열접합부(213)를 가열하여 이중보온관의 외관(30)) 외부에 케이싱(20)이 접합, 설치된다)
S14 단계: 이중보온관의 외관의 외부에 접합, 설치된 케이싱과 내관 사이의 공간부에, 케이싱의 외부에 구비된 단열재 충진홀로 단열재가 충진 후, 단열재 충진홀에 밀폐구가 밀봉되어, 이중보온관의 설치가 완료되는 단계;
(상기 S13 단계의 이중보온관의 외관(30))의 외부에 접합, 설치된 케이싱(20)과 내관(40) 사이의 공간부(70)에, 케이싱(20)의 외부에 구비된 단열재 충진홀로 단열재가 충진 후, 상기 단열재 충진홀에 단열재 충진홀이 밀폐되는 밀폐구가 장착 밀봉되어, 본 발명 이중보온관(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S11 내지 S14 단계로 구성된, 본 발명의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케이싱(20)을 이용한 이중보온관(100)의 설치방법"에 의하여;
종래기술의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에 비하여,
특히, 케이싱(20)을 구성하는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양측면에 구비된 열수축 시트(21)의 가열접합부(213)가 이중보온관의 외관(30)의 외부에 용이하게 가열 접합 됨으로서, 케이싱(20)이 이중보온관의 외관(30))의 외부에 각기 가열 접합되는 시간이 현저히 단축된 설치방법과;
케이싱(20)이 이중보온관의 외관(30)의 외부에 각기 가열 접합 됨으로서, 완제품인 이중보온관(100)의 접합력이 더욱 강화된 설치방법과;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본체(221) 양측면에 구비된 10 내지 45°경사각의 테이퍼경사면(212)에 의하여 본 발명의 완제품인 이중보온관(100)의 외관(30)을 크게 키우지 않아도 단열재의 충진공간이 확대된 설치방법과;
케이싱(20)의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시간이 현저히 단축되어 작업성이 향상된 동시에, 내관(40)의 이음부(41) 외부에 케이싱(20)이 설치 됨으로서 외부공기의 유입이 차단되어 기밀성 기능과 보온 기능이 강화되고, 누수방지 기능 또한 강화된 설치방법의;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케이싱(20)을 이용한 이중보온관(100)의 설치방법"으로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바와 같이;
또한, 대구경인 강관인 복수개 내관(40)의 이음부(41)를 용접방식이 아닌 사이즈가 큰 대구경의 이음구(60: fitting)로 연결, 설치시에 작업성을 향상키 위하여;(제품 구성도 및 설치상태도: 도 5 및, 도 10a 내지 도 10c 참조)
S21 단계: 복수개의 내관 중 어느 하나의 내관 외부에, 이중보온관의 외관의 외경(외측높이)에 비하여 본체 상,하단의 내경(내측높이)이 0.5 내지 3.5mm 범위의 더욱 높은 연장높이로 각기 구성된 열수축시트 지지체 및 상기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외부에 열수축 시트의 중앙면이 가열 접합되며,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일측면에만 테이퍼경사면과 가열접합부가 구비되고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타측면에 가열접합부가 구비된 케이싱의 장착단계; 및,
(이중보온관(10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내관(40) 중 어느 하나의 내관 외부에, 이중보온관의 외관(30)의 외경((외측높이)에 비하여 본체(221) 상,하단의 내경(내측높이)이 0.5 내지 3.5mm 범위의 더욱 높은 연장높이(222)로 각기 구성된 이중보온관의 바깥쪽에 위치하되 복수개 내관(40)의 이음부(41) 외부에만 적층되는 복수개 내관(40)의 이음부(41) 길이에 해당되는 짧은 길이의 열수축시트 지지체(22) 및 상기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외부에 열수축 시트(21)의 중앙면(211)이 가열 접합되며,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일측면에만 테이퍼경사면(212)과 가열접합부(213)가 구비되고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타측면에는 테이퍼경사면이 미구비되고 가열접합부(213)가 구비된, 본 발명 구성의 케이싱(20)이 장착된다.)
S22 단계: 복수개 내관의 이음부를 이음구로 연결 후, 어느 하나의 내관 외부에 장착된 케이싱이 복수개 내관의 연결된 이음구의 외부로 이동, 설치되는 단계; 와,
(상기 S21 단계의 복수개 내관(40)의 이음부(41)를 이음구(60)로 연결 후, S21 단계의 어느 하나의 내관(40) 외부에 장착된 케이싱(20)이 복수개 내관의 연결된 이음구(60)의 외부로 이동 설치된다.)
S23 단계: 복수개 내관의 연결된 이음구의 외부로 이동된 케이싱의, 열수축시트 지지체 일측면에 구비된 가열접합부 및 열수축시트 지지체 타측면에 구비된 가열접합부를 각기 가열하여 이중보온관의 외관 외부에 케이싱이 접합, 설치되는 단계; 와,
(상기 S22 단계의 복수개 내관의 연결된 이음구(60)의 외부로 이동된 케이싱(20)의,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일측면에 구비된 가열접합부(213) 및 열수축시트 지지체(213)의 타측면에 구비된 가열접합부(213)를 각기 가열하여 이중보온관의 외관(30) 외부에 케이싱(20)이 접합, 설치된다.)
S24 단계: 이중보온관의 외관의 외부에 접합, 설치된 케이싱과 내관 사이의 공간부에, 케이싱의 외부에 구비된 단열재 충진홀로 단열재가 충진 후, 단열재 충진홀에 밀폐구가 밀봉되어, 이중보온관의 설치가 완료되는 단계
(상기 S23 단계의 이중보온관의 외관(30)의 외부에 접합, 설치된 케이싱(20)과 내관(40) 사이의 공간부(70)에, 케이싱(20)의 외부에 구비된 단열재 충진홀로 단열재가 충진 후, 상기 단열재 충진홀에 단열재 충진홀이 밀폐되는 밀폐구가 장착 밀봉되어, 본 발명 이중보온관(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 구성의 S21 내지 S24 단계의 설치방법에 의하여;
1차로 내관(40)인 하나의 강관 외부에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본체(221) 일측면에만 테이퍼경사면(212)과 가열접합부(213)가 구비되고,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본체(221) 타측면은 테이퍼경사면이 미구비되고 수평면인 가열접합부(213)가 구비되어 본체(221)의 타측면이 개방된 구성의 케이싱(20)이 적층 설치되고,
2차로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본체(221) 타측면이 개방된 구성의 여유공간에 의하여 복수개의 내관(40)의 이음부(41)가 이음구(60)로 더욱 용이하게 연결 설치되는 설치방법과;
케이싱(20)을 내관(40)의 이음부(41) 외부로 이동하여 케이싱(20)의 열수축시트 지지체(22)의 일측면에 구비된 가열접합부(213)와 타측면에 구비된 가열접합부(213)를 각기 가열하여 케이싱(20)이 이중보온관의 외관(30)의 외부에 접합 됨에 의한 작업성이 향상된 구성의;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케이싱(20)을 이용한 이중보온관(100)의 설치방법"으로 구성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 본 발명 이중보온관(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
20: 케이싱
21: 열수축 시트
211: 중앙면 212: 테이퍼경사면
213: 가열접합부(수평면)
22: 열수축시트 지지체
221: 본체 222: 연장높이
30: 외관
40: 내관
41: 이음부
60: 이음구(fitting)
70: 공간부
10 종래기술 이중보온관
1: 내관
2: 보호층
3: 외관
4: 우레탄폼
5: 열수축 케이싱

Claims (8)

  1. 아파트 단지나 상업용 건물들 등의 대단위 지역에 열을 공급하거나 또는 상수도용 온수를 공급하는,
    S1 단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열수축 시트의 준비단계; 및, S2 단계: 이중보온관의 외관의 외경(외측높이)에 비하여 본체 상,하단의 내경(내측높이)이 0.5 내지 3.5mm 범위의 더욱 높은 연장높이로 각기 구성된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재질의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준비단계; 와, S3 단계: S1 단계의 열수축 시트가 와인더롤에 와인딩되며,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한 지그가 삽입되어,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외부 및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양측면에 연장되어 열수축 시트가 다수 회 권취된 후, 열풍기에서 열풍에 의하여 160 내지 200℃로 가열되어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외부에 열수축 시트의 중앙면이 접합 및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외부에 접합된 중앙면과 동일한 높이로 가열된 열수축 시트의 측부가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양측면에 연장되어 생성되는 단계; 와, S4 단계: S3 단계의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외부에 접합된 열수축 시트의 중앙면과 동일한 높이로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양측면에 연장되어 생성된 열수축 시트의 양측부를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내부에 삽입된 지그의 외부면에 밀착토록 압착 후 상온에서 냉각하여,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양측면에 10 내지 45°경사각의 테이퍼경사면이 생성 및 테이퍼경사면과 연장된 수평면으로 이중보온관의 외관에 가열 접합되는 가열접합부가 구비되는 단계; 와, S5 단계: S4 단계의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내부에 삽입된 지그가 외부로 탈거, 해체되는 단계;로, 제조되는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가 하기의 S41 단계로 대체된 제조방법의:

    S41 단계; S3 단계의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외부에 접합된 열수축 시트의 중앙면과 동일한 높이로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양측면에 연장되어 생성된 가열된 열수축 시트의 일측부를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내부에 삽입된 지그의 외부면에 밀착토록 압착 후 상온에서 냉각하여,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본체 일측면에 10 내지 45°경사각의 테이퍼경사면이 생성 및 테이퍼경사면과 연장된 수평면으로 이중보온관의 바깥쪽에 위치된 이중보온관의 외관 외부에 가열 접합되는 가열접합부가 구비되는 단계; 로, 제조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100)의 케이싱(20)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아파트 단지나 상업용 건물들 등의 대단위 지역에 열을 공급하거나 또는 상수도용 온수를 공급하는,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케이싱(20)을 이용한 이중보온관(100)의 설치방법이;

    S21 단계: 복수개의 내관 중 어느 하나의 내관 외부에, 이중보온관의 외관의 외경(외측높이)에 비하여 본체 상,하단의 내경(내측높이)이 0.5 내지 3.5mm 범위의 더욱 높은 연장높이로 각기 구성된 열수축시트 지지체 및 상기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외부에 열수축 시트의 중앙면이 가열 접합되며,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일측면에만 테이퍼경사면과 가열접합부가 구비되고 열수축시트 지지체의 타측면에 가열접합부가 구비된 케이싱의 장착단계; 및,
    S22 단계: 복수개 내관의 이음부를 이음구로 연결 후, 어느 하나의 내관 외부에 장착된 케이싱이 복수개 내관의 연결된 이음구의 외부로 이동, 설치되는 단계; 와,
    S23 단계: 복수개 내관의 연결된 이음구의 외부로 이동된 케이싱의, 열수축시트 지지체 일측면에 구비된 가열접합부 및 열수축시트 지지체 타측면에 구비된 가열접합부를 각기 가열하여 이중보온관의 외관 외부에 케이싱이 접합, 설치되는 단계; 와,
    S24 단계: 이중보온관의 외관의 외부에 접합, 설치된 케이싱과 내관 사이의 공간부에, 케이싱의 외부에 구비된 단열재 충진홀로 단열재가 충진 후, 단열재 충진홀에 밀폐구가 밀봉되어, 이중보온관의 설치가 완료되는 단계; 로, 설치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케이싱(20)을 이용한 이중보온관(100)의 설치방법.
KR1020170094821A 2017-07-26 2017-07-26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과 케이싱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 KR101936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821A KR101936105B1 (ko) 2017-07-26 2017-07-26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과 케이싱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821A KR101936105B1 (ko) 2017-07-26 2017-07-26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과 케이싱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105B1 true KR101936105B1 (ko) 2019-01-08

Family

ID=65021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821A KR101936105B1 (ko) 2017-07-26 2017-07-26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과 케이싱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1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426B1 (ko) * 2015-10-21 2016-07-01 양선화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 연결방법
KR101737346B1 (ko) * 2016-10-17 2017-05-29 신이피엔씨 주식회사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 그 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 연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426B1 (ko) * 2015-10-21 2016-07-01 양선화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 연결방법
KR101737346B1 (ko) * 2016-10-17 2017-05-29 신이피엔씨 주식회사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 그 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 연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912B1 (ko)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 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케이싱
KR101737346B1 (ko)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 그 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 연결방법
KR101935027B1 (ko) 이중보온관의 웰딩 플러그 및 그의 설치방법
SA517390362B1 (ar) توصيل مقاطع أنبوبية مبطَّنة
KR100839205B1 (ko) 열배관망의 이중보온관 이음부 연결 시공방법
KR100912857B1 (ko) 이중보온관 열 수축 포밍홀의 웰딩 플러그
KR101878233B1 (ko) 열선이 내장된 열수축케이싱, 열수축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6134061B2 (ja) 配管系の設置及び修理の方法及び装置
KR102404567B1 (ko) 이중 보온관용 열수축 케이싱, 이중 보온관용 열수축 케이싱 제조 방법 및 이중 보온관용 열수축 케이싱 시공 방법
KR101635426B1 (ko)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 연결방법
KR101382415B1 (ko) 관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1936105B1 (ko)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과 케이싱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
NO840899L (no) Gjenisolering av roerskjoeter
KR101655315B1 (ko) 이중보온관용 열수축관 우레탄 폼 발포 홈 마개, 그 홈 마개의 제조방법, 및 그 발포 홈 마개의 설치방법
KR100829532B1 (ko) 전기융착을 이용한 다중배관 접속구조 및 시공방법
KR101955560B1 (ko) 확관기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
KR101404011B1 (ko) 보온관과 그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배관의 시공방법과 보수방법 및 단열 시공방법, 이중 보온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10075647A (ko)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CN107795795A (zh) 一种预制保温直管与异形管件的现场保温结构及施工方法
KR20170031876A (ko) 외부자켓을 이용한 이중 보온관 이음부 보수 시공방법
WO2015143289A1 (en) Piping system
KR101972388B1 (ko) 부력체와 공압바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압출케이싱
KR20220071596A (ko) 열손실을 최소화한 보온 케이싱 제조 방법 및 연결방법
KR101044931B1 (ko) 수밀용 열수추관 연결방법
JP4575481B2 (ja) 管体連結部封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