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963B1 - 터치패널, 터치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및 터치패널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터치패널, 터치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및 터치패널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963B1
KR101971963B1 KR1020110125260A KR20110125260A KR101971963B1 KR 101971963 B1 KR101971963 B1 KR 101971963B1 KR 1020110125260 A KR1020110125260 A KR 1020110125260A KR 20110125260 A KR20110125260 A KR 20110125260A KR 101971963 B1 KR101971963 B1 KR 101971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indow
touch sensor
adhesiv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9118A (ko
Inventor
한정훈
강권진
백명철
신승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5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963B1/ko
Publication of KR20130059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상면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터치센서층; 상기 터치센서층의 상면에 결합하고, 불투명하며 부분적으로 개구부가 형성 윈도우 인쇄층; 상기 윈도우 인쇄층의 상면에 결합하는 광투광성 소재의 글래스 기판; 상기 윈도우 인쇄층과 상기 터치센서층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윈도우 인쇄층과 상기 터치센서층을 부착시키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과 상기 윈도우 글래스 사이에서 상기 개구부를 메워 상기 윈도우 인쇄층의 표면과 같거나 돌출되되며, 광투광성 물질로 구성된 보강인쇄층을 포함하는 터치패널과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는, 글래스 기판과 터치센서층 사이에서 상기 윈도우 인쇄층의 개구부에 의해 생기는 단차를 유동성 점착제를 이용하여 보상함으로써, 상기 단차로 인해 기포 등이 발생하는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패널, 터치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및 터치패널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TOUCH PANEL, METHODE FOR MAKING TOUCH PANEL AND MOBILE TERMINAL HAVING TOUCHPANEL}
본 발명은 윈도우 글래스과 터치센서층이 접착층으로 합지되어 있는 터치패널 구조에 있어서, 윈도우 인쇄층의 인쇄 단차에 의해 기포가 발생하는 불량을 개선한 터치패널 구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등장한 새로운 단말기의 형태로서 출력과 입력이 모두 가능한 터치패널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가 있다. 터치패널은 사용자가 터치한 곳을 인식하여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터치센서 위에 불투명한 윈도우 스크린을 구비하여 화면을 분할한다.
본 발명은 윈도우 글래스과 터치센서층이 접착층으로 합지되어 있는 터치패널 구조에 있어서, 윈도우 인쇄층의 단차에 의해 기포가 발생하는 불량을 개선하기 위해 단차를 보상하는 보상인쇄층을 구비한 터치패널 구조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패널은 상면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터치센서층; 상기 터치센서층의 상면에 결합하고, 불투명하며 부분적으로 개구부가 형성 윈도우 인쇄층; 상기 윈도우 인쇄층의 상면에 결합하는 광투광성 소재의 글래스 기판; 상기 윈도우 인쇄층과 상기 터치센서층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윈도우 인쇄층과 상기 터치센서층을 부착시키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과 상기 윈도우 글래스 사이에서 상기 개구부를 메워 상기 윈도우 인쇄층의 표면과 같거나 돌출되되며, 광투광성 물질로 구성된 보강인쇄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터치패널 제조방법은 글래스 기판의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윈도우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윈도우 인쇄층의 높이와 같거나 돌출되도록 상기 개구부에 광투광성 물질로된 유동성 점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윈도우 인쇄층의 상면에 접착층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층의 상면에 터치센서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복수개의 픽셀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위에 적층되며, 상면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터치센서층; 상기 터치센서층의 상면에 결합하고, 불투명하며 부분적으로 개구부가 형성 윈도우 인쇄층; 상기 윈도우 인쇄층의 상면에 결합하는 광투광성 소재의 글래스 기판; 상기 윈도우 인쇄층과 상기 터치센서층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윈도우 인쇄층과 상기 터치센서층을 부착시키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과 상기 윈도우 글래스 사이에서 상기 개구부를 메워 상기 윈도우 인쇄층의 표면과 같거나 돌출되되며, 광투광성 물질로 구성된 보강인쇄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터치패널과 이동 단말기는, 글래스 기판과 터치센서층 사이에서 상기 윈도우 인쇄층의 개구부에 의해 생기는 단차를 유동성 점착제를 이용하여 보상함으로써, 상기 단차로 인해 기포 등이 발생하는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기포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기포를 제거하기위해 압력을 가하는 오토클래브(Auto Clave)와 같은 별도의 기포제거 공정 없이도 깨끗한 터치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포제거공정을 생략함으로써 공정시간이 짧아지고, 기포 제거 공정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부품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바,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터치패널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터치패널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터치패널 단면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터치패널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도.
도 11은 본 발명의 터치패널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10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인쇄층(250)은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서 내부의 IC, 기판 등의 전자장치를 가리면서, 개구부를 형성하여 디스플레이부, 조작유닛등의 영역을 구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윈도우 인쇄층 하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모듈(300, 도11 참조)을 통해 시각정보를 보여주므로 상기 윈도우 인쇄층(25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대응하는 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외의 영역은 불투명한 소재로 인쇄하여 형성한다.
최근에는 터치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부(151)를 채용하는 바, 상기 윈도우 인쇄층(250)의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대응하는 개구부는 화면이 출력되는 영역인 동시에 터치방식으로 입력되는 영역을 구획한다.
상기 윈도우 인쇄층(250)은 검은색 이외에도, 최근에는 흰색, 핑크색 등 다양한 색상의 윈도우 인쇄층(250)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100)가 출시되고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부분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방식으로 입력하는 이동 단말기의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1 조작유닛(133)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의 상기 제1 조작유닛(133)은 도 1의 제1 조작유닛(131)과 달리 별도의 버튼을 구비하지 않고 하부에 LED와 같은 조명공급장치 및 터치센서를 구비하여 입력받는다.
도 3은 종래의 터치패널(201)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터치센서층(290), 윈도우 인쇄층(250), 글래스 기판(210) 그리고, 상기 윈도우 인쇄층(250)과 상기 터치센서층(290)을 부착시키는 접착층(281)으로 구성된 터치패널(201)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윈도우 인쇄층(25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나 제1 조작유닛(133)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240)가 형성되며, 불투명한 잉크를 이용하여 1회 이상 인쇄하는 방법으로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의 투과를 방지하는 광차단층(230)을 제일 아래쪽에 형성하고, 필요한 경우 그 상면에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색상층(2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색상층(220)과 광차단층(230)은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상기 개구부(240)와 상기 윈도우 인쇄층(250)의 표면에 높이 차가 형성된다. 상기 광차단층(230)과 색상(220)층이 여러번 적층될 수록 그 단차는 높아진다.
상기 접착층(281)은 상기 터치센서층(290)과 상기 윈도우 인쇄층(250)을 부착시키기 위해 상기 터치센서층(290)과 상기 윈도우 인쇄층(250) 사이에 개재된다. 일반적으로 접착테이프와 같이 유동성이 없이 고체로 된 접착층(281)이 이용되기 때문에 상기 단차에 의한 기포가 생기게 된다.
기포가 생기면 굴절율이 달라져 빛이 왜곡되어 사출되거나 간섭현상 등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기포를 없애기 위해 오토클레이브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압력을 가하는 기포제거 공정을 수행하는데, 기포제거 공정으로 인해 공정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생산량이 저하되고 IC와 같은 부품의 성능의 저하를 유발할 수 있어 품질이 저하된다.
상기 기포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윈도우 인쇄층(250)의 각층(220, 230)에 형성된 개구부(240)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단차의 경사를 완만하게 할 수 있다. 다만, 경사가 완만할수록 빛이 관통하는 영역(①) 이외에 상기 광차단층(230)에 의해 빛이 차단되지 않는 영역(②)이 커진다. 즉, 빛 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터치패널(20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인쇄층(260)을 더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터치패널(200)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인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보강인쇄층(26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터치패널(200)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터치패널(200)은 터치센서층(290), 접착층(280), 윈도우 인쇄층(250), 글래스 기판(210) 및 보강인쇄층(260)을 포함한다.
글래스 기판(210)은 상기 터치패널(200)의 가장 상면을 커버하는 부재로서, 사용자가 직접 터치하는 부분이 된다. 하부의 터치센서층(290)이나 윈도우 인쇄층(250)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보호성능 향상을 위해 상기 글래스 기판(210)은 강화유리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인쇄층(250)은 상기 글래스 기판(210) 위에 인쇄하여 형성한다. 상기 터치패널(200)의 후면에 부착될 디스플레이 모듈(300, 도 12 참조)로부터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그 이외의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된다. 즉, 부분적으로 빛이 투과되도록 제1 개구부(24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부(240) 이외의 부분은 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불투명한 소재로 1회 이상 적층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 흰색과 같은 밝은 색의 이동 단말기(100)가 유행함에 따라 윈도우 인쇄층(250)도 밝은 색으로 제작하게 된다. 밝은 색은 빛의 차단 효과가 낮기 때문에 적층횟수가 증가하게 된다. 도면상에는 3개 층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의 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층(290)은 정전방식, 적외선방식, 초음파방식 및 감압방식이 있고, 최근에는 감도나 내구성 등을 고려했을 때 정전방식이 많이 이용된다. 정전방식은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교차되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인지함으로써, 터치된 위치를 감지한다.
상기 터치센서층(290)의 하부에는 액정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이 부착되어 상기 터치센서층(290)을 투과하여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센서층(290)은 투명해야하므로,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체로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형성한다.
상기 접착층(280)은 상기 터치센서층(290)과 상기 윈도우 인쇄층(250)을 부착하기 위해 그 사이에 개재된다. 사익 접착층(280)은 투명하면서 점착성이 있어야 하며, 테이프 형상으로 시판되는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이용할 수 있다.
OCA와 같은 접착층(280)은 두께가 얇아 형상이 부분적으로 변화 가능하여 상기 개구부(240)도 메꾸면서 상기 윈도우 글래스와 상기 터치센서층(290)을 부착시킨다. 그러나, 고체이므로 유동성이 없어 않아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부(240)의 모서리 부분에 기포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개구부(240) 부분에 유동성이 점착제를 도포하여 보강인쇄층(260)을 형성한다. 유동성 점착제는 상기 개구부(240)의 모서리 부분까지 채워질 수 있어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다.
유동성 점착제를 상기 개구부(240)의 크기보다 적은 양만 도포하면 여전히 단차가 남아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유동성 점착제는 상기 개구부(240)를 충분히 채울 수 있는 양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240)를 채우고 상기 윈도우 인쇄층(250)의 표면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해도 무방하다. 액체의 표면장력 성질 때문에 완만한 곡선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접착층(280)을 적층하면 상기 유동성 점착제가 편평하게 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성 점착제가 상기 개구부(240)의 크기보다 많은 양이 도포 되더라도 단차는 줄어들게 되어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보강인쇄층(260)은 투명한 유동성 점착제를 사용하여 하부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사출되는 빛이 모두 통과할 수 있는 투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반투명 접착제나, 색이 있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사출되는 빛의 색이나 밝기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특히, 반투명한 경우 하부로부터 빛이 사출되지 않더라도 자체 고유의 반투명성 때문에 상기 윈도우 인쇄층(250)과 시각적으로 구분된다. 반투명한 보강인쇄층(260)은 상기 제1 조작 유닛(133)과 같이 작은 문자나 도형을 표시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터치패널(200) 단면도로서, 상기 보강인쇄층(260)이 2개의 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인쇄층(260)을 전부 반투명 접착제나, 색이 있는 접착제로 형성하는 경우 빛의 투과도가 너무 낮아질 수 있다. 빛의 투과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투명층(262)은 상기 개구부(240)에 얇게 형성하고, 여전히 남아있는 단차를 보상하기 위해 투명층(235)을 형성한다.
상기 접착층(280)은 상기 윈도우 인쇄층(250)에 적층하며, 상기 윈도우 인쇄층(250)에 형성된 개구부(240)의 단차는 상기 보강인쇄층(260)에 의해 보상되어, 높이 차가 많이 나지 않으므로 기포 없이 상기 접착층(280)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보강인쇄층(260)이 더 돌출되어 단차가 생기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그 경사 완만하고 상기 접착층(280)이 적층될 때 눌려 편평하게 되므로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다. 설사 기포가 생기더라도 상기 개구부(240) 이외에 상기 윈도우 인쇄층(250)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에 생기게 되어 상술한 외관상의 문제는 해소된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터치패널(200)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 기판(210)의 상면에 개구부(240)가 형성된 윈도우 인쇄층(250)을 형성한다(S100). 상기 글래스 기판(210)은 사용자가 직접 터치하는 부분이 되며, 하부의 터치센서층(280)이나 윈도우 인쇄층(250)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보호성능 향상을 위해 상기 글래스 기판(210)은 강화유리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글래스 기판(210) 위에 개구부(240)가 형성된 윈도우 인쇄층(250)을 적층한다. 상기 적층방법은 인쇄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스크린 인쇄 방식나 잉크젯 인쇄방식 모두 가능하다. 상기 윈도우 인쇄층(250)이 형성된 부분은 빛이 투과되지 않아야 하므로, 빛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도록 1회 이상 인쇄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윈도우 인쇄층(250)층에 형성된 개별 개구부(240)의 크기가 같게 형성할 수 있으나, 위치의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전체 개구부(240)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중에 인쇄하는 윈도우 인쇄층(250)층의 개구부(240)를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개구부(240)의 크기에 변화를 주면 전체 개구부(240)의 단차가 완만해 지는 효과가 있어 기포가 발생할 확률이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다만, 단차가 완만해지면 빛 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의 경사를 크게 하더라도 본원 발명과 같이 유동성 점착제를 이용하여 형성한 보강인쇄층(260)을 구비하면 기포가 발생하지 않아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윈도우 인쇄층(250)의 높이와 같거나 돌출되도록 상기 개구부(240)에 광투광성 물질로 된 유동성 점착제를 도포한다(S200). 상기 광투광성 물질로된 유동성 점착제는 액체상태로 유동성이 있어 개구부(240)의 모서리와 같이 좁은 틈도 메꿔질 수 있다.
그 도포량은 상기 개구부(240)를 충분히 메꿀 수 있어야 하며 그보다 많아 도면과 같이 조금 돌출되어도 무방하다. 이후 접착층(280)을 적층할 때, 적층 압력에 의해 상기 돌출된 유동성 점착제의 돌출된 부분은 일정수준 이상 편평하게 될 수 있다. 다만, 너무 많은 양을 도포하면 옆으로 흘러나오게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개구부(240)를 채울 수 있을 정도의 적정량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윈도우 인쇄층(250) 및 글래스 기판(210)의 부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유동성 점착제의 투명도는 전투명할 수도 있고, 반투명할 수 있고, 파란색, 초록색 빨간색과 같은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성 점착제는 소정시간이 지나면 유동성이 줄어들고 경화되어 전술한 보강인쇄층(260)을 형성한다. 별도의 경화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경화단계는 후술할 접착층(280)을 적층한 이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접착층(280)을 적층하기 이전에 반경화 할 수도 있다. 상기 유동성 점착제는 경화되더라도 너무 딱딱하지 않고 연성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터치한 부분만 상기 터치센서층(290)에 자극을 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동성 점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투명한 제1 유동성 점착제를 상기 개구부(240)에 의해 노출된 상기 글래스 기판(210)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S210) 및 상기 제1 유동성 점착제 위에 투명한 제2 유동성 점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윈도우 인쇄층(250)과의 높이 차를 보상하는 단계(S220)로 나누어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보강인쇄층(260)을 2개의 층으로 형성하지 않고 도 6에서와 같이 하나의 층으로만 형성하는 경우에는 바로 상기 개구부(240)에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유동성 점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윈도우 인쇄층(250)과의 높이 차를 보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윈도우 인쇄층(250)의 상면에 접착층(280)을 적층한다(S300). 상기 접착층(280)은 OCA와 같이 테이프 형태의 유동성이 없는 소재가 이용되며, 상기 개구부(240)에 상기 유동성 점착체가 채워져 상기 개구부(240)와 상기 윈도우 인쇄층(250)의 높이 차가 보상되었는 바, 기포가 생기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접착층(280) 위에 터치센서층(290)을 적층한다(S400). 상기 터치센서층(290)은 상기 글래스 기판(210)을 사용자가 터치했을 때 신호를 생성하며, ITO와 같은 투명 도전체로 구성된다. 상기 터치센서층(290)의 구체적인 특징은 상기 터치패널(200)의 설명에서 상술하였는 바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복수개의 픽셀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300) 위에 적층된 상술한 터치패널(20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터치패널을 수용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0)의 상면에 상기 터치센서층(290)이 면하도록 상기 터치패널(200)이 결합 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부를 형성한다. 상기 터치패널(2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터치패널(200)의 내용으로 갈음한다.
상기 터치패널(200)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100)는 윈도우 인쇄층(250)의 개구부에 상기 접착층(280)이 적층되지 않아 종래에 문제되었던 기포가 생기지 않는다. 즉, 윈도우 인쇄층(250)의 개구부(24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이 깨끗하게 보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완성도가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터치패널(200)과 이동 단말기는, 글래스 기판(210)과 터치센서층 사이에서 상기 윈도우 인쇄층의 개구부(240)에 의해 생기는 단차를 유동성 점착제를 이용하여 보상함으로써, 상기 단차로 인해 기포 등이 발생하는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기포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압력을 가하는 오토클래브(Auto Clave)와 같은 별도의 기포제거 공정 없이도 깨끗한 터치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포제거공정을 생략함으로써 공정시간이 짧아지고, 기포 제거 공정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부품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바,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터치패널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이동 단말기 101, 102: 케이스
131, 133: 사용자 입력부 151: 디스플레이부
200: 터치패널 210: 글래스 기판
240: 개구부 250: 윈도우 인쇄층
260: 보강인쇄층 280: 접착층
290: 터치센서층 300: 디스플레이 모듈

Claims (14)

  1. 상면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터치센서층;
    상기 터치센서층의 상면에 결합하고, 불투명하며 부분적으로 개구부가 형성 윈도우 인쇄층;
    상기 윈도우 인쇄층의 상면에 결합하는 광투광성 소재의 글래스 기판;
    상기 윈도우 인쇄층과 상기 터치센서층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윈도우 인쇄층과 상기 터치센서층을 부착시키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과 상기 윈도우 인쇄층 사이에서 상기 개구부를 메워 상기 윈도우 인쇄층의 표면과 같거나 돌출되되며, 광투광성 물질로 구성된 보강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인쇄층은,
    상기 개구부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글래스 기판에 형성된 반투명층; 및
    상기 반투명층과 상기 접착층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투명층을 포함하는 터치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인쇄층은,
    전투명(全透明)하거나 반투명(半透明)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문자 또는 도형에 상응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터치센서층의 입력센서를 생성하는 부분에 상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기판은 강화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인쇄층은,
    연성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인쇄층은,
    점착성이 있는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광투광성 점착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글래스 기판의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윈도우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윈도우 인쇄층의 높이와 같거나 돌출되도록 상기 개구부에 광투광성 물질로된 유동성 점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윈도우 인쇄층의 상면에 접착층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층의 상면에 터치센서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성 점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는,
    반투명하거나 색상을 포함하는 제1 유동성 점착제를 상기 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상기 글래스 기판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유동성 점착제 위에 투명한 제2 유동성 점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윈도우 인쇄층과의 높이 차를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제조방법.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점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는,
    마스크를 이용하는 스크린 인쇄 방법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제조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점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유동성 점착제를 경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제조방법.
  13. 삭제
  14.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복수개의 픽셀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위에 적층되며, 상면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터치센서층;
    상기 터치센서층의 상면에 결합하고, 불투명하며 부분적으로 개구부가 형성 윈도우 인쇄층;
    상기 윈도우 인쇄층의 상면에 결합하는 광투광성 소재의 글래스 기판;
    상기 윈도우 인쇄층과 상기 터치센서층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윈도우 인쇄층과 상기 터치센서층을 부착시키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과 상기 윈도우 인쇄층 사이에서 상기 개구부를 메워 상기 윈도우 인쇄층의 표면과 같거나 돌출되되며, 광투광성 물질로 구성된 보강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인쇄층은,
    상기 개구부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글래스 기판에 형성된 반투명층; 및
    상기 반투명층과 상기 접착층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투명층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10125260A 2011-11-28 2011-11-28 터치패널, 터치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및 터치패널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101971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260A KR101971963B1 (ko) 2011-11-28 2011-11-28 터치패널, 터치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및 터치패널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260A KR101971963B1 (ko) 2011-11-28 2011-11-28 터치패널, 터치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및 터치패널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118A KR20130059118A (ko) 2013-06-05
KR101971963B1 true KR101971963B1 (ko) 2019-04-24

Family

ID=48858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260A KR101971963B1 (ko) 2011-11-28 2011-11-28 터치패널, 터치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및 터치패널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9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923B1 (ko) * 2013-08-14 2020-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78982B1 (ko) * 2013-10-11 2021-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37956B1 (ko) 2014-01-28 2021-04-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KR102383915B1 (ko) * 2017-05-22 2022-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4799A (ja) * 2010-03-23 2011-10-06 Toppan Printing Co Ltd ベゼル加飾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4799A (ja) * 2010-03-23 2011-10-06 Toppan Printing Co Ltd ベゼル加飾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118A (ko)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198B1 (ko) 입력 장치 및 입력 장치의 제조 방법
EP3664148B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140076245A (ko) 디스플레이용 커버 시트
KR102435439B1 (ko) 표시 장치
US11335740B2 (en) Display assembly,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display assembly
US9046708B2 (en) Display device
JP2012226688A (ja) 加飾カバーガラス一体型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
KR20130058622A (ko) 가장자리에 색차가 없는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971963B1 (ko) 터치패널, 터치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및 터치패널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CN106226947A (zh) 一体色显示屏
CN105468188A (zh) 触控装置
EP3582064B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TW201328502A (zh) 電子面板及其製造方法與電子裝置
TWM493062U (zh) 觸控顯示部件
WO2021031806A1 (zh) 指纹传感器、显示组件装置和电子设备
KR102383915B1 (ko) 표시 장치
KR101952677B1 (ko) 터치패널, 터치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및 터치패널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JP6019613B2 (ja) 可視情報付き表示装置用前面保護板、及び表示装置
US20190346956A1 (en) Touch display
JP2015209349A (ja) フィルム一体ガラス、フィルム材、及びフィルム材の製造方法
TW201416927A (zh) 單片式電容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
US9819815B1 (en) Surface display assembly having proximate active elements
JP2012098973A (ja) ガラス複合体及びそのガラス複合体を用いた入力装置
CN220509252U (zh) 电子墨水屏和电子墨水屏设备
CN209606957U (zh) 触控显示屏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