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016B1 - 이중 목적 수분수 수박 - Google Patents

이중 목적 수분수 수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016B1
KR101971016B1 KR1020137016185A KR20137016185A KR101971016B1 KR 101971016 B1 KR101971016 B1 KR 101971016B1 KR 1020137016185 A KR1020137016185 A KR 1020137016185A KR 20137016185 A KR20137016185 A KR 20137016185A KR 101971016 B1 KR101971016 B1 KR 101971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plant
diploid
averag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7822A (ko
Inventor
에릭 드 그루트
엘레나 치아파리노
Original Assignee
넌헴스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넌헴스 비.브이. filed Critical 넌헴스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30117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0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6/34Cucurbitaceae, e.g. bitter melon, cucumber or watermelon 
    • A01H6/342Citrullus lanatus [watermel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05Fruit crops, e.g. strawberries, tomatoes or cucu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6Processes for producing mutations, e.g. treatment with chemicals or with radiation
    • A01H1/08Methods for producing changes in chromosome numb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08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10Se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6/78Rutaceae, e.g. lemons or li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Cell 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식물 육종, 특히 수박 육종 분야에 관한 것이다. 작은 2배체 적색 수박 과실을 생산하는 2배체 수박 식물 (및 이러한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종자)이 제공된다. 또한 평균 중량이 1.8 kg 미만인 작은 2배체 수박 과실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이중 목적 수분수 수박 {DUAL PURPOSE POLLENIZER WATERMELONS}
본 발명은 수박 육종 및 수박 개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매우 작은 2배체 과실을 생산하는, 새로운 2배체 수박 식물 (2n = 2x = 22) 및 이러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종자를 제공한다. 2배체 수박 식물은 바람직하게는 3배체 수박 (2n = 3x = 33) 생산에서의 수분수로서 적합하며, 따라서 수분수는 아래와 같은 이중 목적을 가진다: 3배체 식물의 자성 꽃을 수분시키기에 충분한 생 화분을 제공 (이후 수분된 후 3배체의 씨 없는 수반 과실을 생산함)하고/하거나 수분수 식물 자체에서 작은 ("미니" 또는 1인용 사이즈) 식용 2배체 과실을 제공한다.
씨 없는 수박 (시트룰루스 라나투스 (Citrullus lanatus (Thunb.) Matsum. And Nak.)) 생산에는 2배체 웅성 모본 (parent) 식물로부터의 화분을 사용하여 4배체 (2n = 4x = 44) 자성 모본 식물의 꽃을 수정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2배체 화분으로 4배체 꽃을 수분시키면 3배체인 하이브리드 F1 종자가 만들어진다 (문헌 [Kihara, 1951, Proceedings of Americ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58: 217-230]; 문헌 [Eigsti 1971, Hort Science 6: 1-2]). 상기 F1 종자로부터 성장한 3배체 하이브리드 식물은 염색체 불균형으로 생식력이 없는 화분을 생산하므로 자가-수정불능이다 (페르 (Fehr), 1987). 따라서, 3배체 하이브리드는 수박 과실을 생산하기 위해서 2배체 수분수에 의해 수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3배체 식물은 과실 생산을 위해 수분수 식물과 사이심기 (interplant)한다. 3배체 하이브리드 식물 상에서의 수분 후 생산되는 "씨 없는" 과실에서 종종 엄밀히 씨가 없지는 않으며, 먹을 수 있는 일부 미숙하고 작은 여린 종자를 가질 수 있다.
최적의 씨 없는 수박 과실 세트를 위해, 충분한 생 화분이 필요하다. 식물은 일반적으로, 2-4개의 3배체 식물 마다 1개의 수분수의 비율로 식재된다. 3배체 식물 및 수분수는 별도의 열에 식재되거나 (예, 1열의 수분수, 2-4열의 3배체), 또는 열 내에서 사이심기되거나 (예, 같은 열에서 2 내지 3개의 3배체 식물 사이에 1개의 수분수 식물을 식재함), 3배체의 열 사이에 좁은 열로 사이심기한다 (US 2006/0168701 표 2 참고). 수분수 식물에서 생산되는 과실의 껍질 패턴은 3배체 하이브리드의 과실의 것과 상이하여 쉽게 구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는 일반적으로 전용 수분수 식물에서 생산된 과실은 수확하지 않거나 버리고 씨 없는 3배체 과실만을 판매했다.
지난 몇 년간, 계절 내내 충분한 수술이 있는 꽃 및 충분한 생 화분을 제공하여 3배체 과실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여러 전용 수분수 식물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전용 수분수에는, 예를 들어 품종 폴리맥스 (Polimax) 및 제니 (Jenny) (누넴스 (Nunhems)), 사이드킥 (Sidekick) (해리스 모린 (Harris Morin)), 컴패니언 (Companion) (세미니스 (Seminis)) 및 수퍼-폴리나이저 (Super-Pollenizers) SP-1 및 SP-4 (신젠타 (Syngenta))가 포함된다. 이러한 전용 수분수는 그의 영양 성장 유형을 기준으로 2개의 범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는 표준 덩굴 길이의 것, 예를 들어 제니 및 SP-1 및 SP-4, 또는 '컴팩트' 덩굴 길이의 것, 예를 들어 컴패니언 또는 사이드킥이다.
일부 수분수는 시판가능한 2배체 과실을 생산하는 한편, 어떤 것은 소비 및 시판하기에 부적합한 과실을 생산한다. 디트마 (Dittmar) (2006, 문헌 [MSc Thesis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Horticultural Science, Characterization of diploid watermelon pollenizers and utilization for optimal triploid watermelon production and effects of halosulfuron post and post-dir on watermelon])는 여러 수분수를 과실의 잠재적인 시판가능성에 대해 평가했고, 미키리 (Mickeylee), SF800, 미니풀 (MiniPool), 제니 및 피나클 (Pinnacle)이 잠재적으로 시판할 수 있는 과실 품질을 가진다고 결론 내렸다. 이의 평균 과실 중량은 각각 5.1 kg, 10.7 kg, 3.9 kg, 3.3 kg 및 2.9 kg (디트마 2006, 상동)이었다. 가장 작은 2배체 과실은 사이드킥 (1.0 kg, 치수 12.3 x 11.9 cm 길이 : 너비 디트마 2006, 상동) 및 SP-1 (2.0 kg, 치수 17.5 x 15.4 cm 길이 : 너비 (디트마 2006, 상동)에 의해 생산되었으나, 이들 중 어느 것도 시판가능 과실을 생산하지 않았다. 사이드킥의 과실은 매우 저 품질의 분홍색-과육을 가지며, SP-1의 과실은 흰색-과육을 갖고 매우 낮은 브릭스 값을 가진다. 비-시판가능 과실로 인해, 이러한 수분수는 "비-수확가능 수분수"로 지칭된다.
US2009/0288183 (골드 씨드 컴퍼니 엘엘씨 (Gold Seed Co. LLC))에는 "이중 목적 감소 당 (reduced sugar) 수박"으로 지칭되는, 2형 당뇨병을 위한 감소된 당을 갖는 작은 과실을 생산하는 "에스코트 (Escort)-4"로 불리는 수분수가 기재되어 있다. 이 과실은 4.0lbs (1.8 kg)의 평균 중량 및 길이 5-7인치 (12.7-17.7 cm) x 너비 4-5인치 (10.1-12.7 cm)의 크기를 갖는 것으로 기재된다. 에스코트-4의 과실은 상그리아 (Sangria) (신젠타 인크)와 같은 시판 2배체 품종보다 당 함량이 대략 1/3 적은 것으로 기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2.0 kg 미만, 바람직하게는 1.8 kg 또는 1.7 kg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6, 1.5, 1.4, 1.3, 1.0, 0.9, 0.8, 0.7 kg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0.65 kg 이하, 예컨대 0.6 kg, 0.5 kg, 0.4 kg 또는 0.3 kg 이하의 평균 과실 중량을 갖는 작은 식용 (즉, 시판가능) 2배체 과실을 생산하는 이중 목적 수박 수분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과실은 RHS 등급 39 이상인 바람직하게는 과육이 적색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과육이 암적색이다 (적분홍색 또는 산호 적색 또는 황적색 아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평균 과실 브릭스는 적어도 약 7.5% 이상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0.9 kg 미만, 예컨대 0.8 kg, 0.7 kg, 0.65 kg, 0.6 kg, 0.5 kg, 0.4 kg 또는 0.3 kg 이하 내지 0.25 kg 초과의 평균 과실 중량을 갖는 작은 식용 (즉, 시판가능) 2배체 과실을 생산하는 이중 목적 수박 수분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과실은 RHS 등급 39 이상인 바람직하게는 과육이 적색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과육이 암적색이다 (적분홍색 또는 산호 적색 또는 황적색 아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평균 과실 브릭스는 적어도 약 7.5% 이상이다.
일반적인 정의
"포함하다"라는 동사 및 그의 활용형은 이 단어에 후속되는 항목이 포함되나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항목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의미하는 그의 비-제한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부가적으로, 한 요소의 단수 표현 언급은, 문맥에서 하나 및 오직 하나의 요소인 것이 명백히 요구되지 않는 한, 하나 초과의 요소가 존재할 가능성을 제외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수 표현은 보통 "하나 이상"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식물"은 또한 여러 셀의 식물을 지칭한다. 유사하게, "과실" 또는 "식물"은 또한 복수의 과실들 및 식물들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식물"에는 바람직하게는 수득되는 식물과 동일한 유전적 구성을 갖는 전체 식물 또는 임의의 부분 또는 그의 파생물, 예컨대 전체 식물이 재생될 수 있는 식물 기관 (예, 수확하거나 수확하지 않은 과실, 잎, 등), 식물 세포, 식물 원형질체, 식물 세포- 또는 조직- 배양물,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식물 캘러스, 식물 세포괴, 식물 이식물, 종자 및 식물에 의해 생산된 종자, 묘목, 식물 내 온전한 식물 세포, 식물 복제물 또는 미소대량증식물, 또는 식물의 일부, 예컨대 식물 꺽꽂이물, 배아, 화분, 배주, 과실 (예, 수확한 조직 또는 기관), 꽃, 잎, 복제 증식시킨 식물, 뿌리, 줄기, 근단, 접목물 (자근 및/또는 근경) 등이 포함된다. 또한 임의의 발달 단계, 예컨대 묘목, 발근 전 또는 후 꺽꽂이물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본원에서 수박 식물, 예컨대 3배체 식물 또는 수분수 식물은 접목되지 않은 식물 뿐 아니라 또한 다양한 식물의 근경, 예컨대 박 또는 호박 (squash) 근경, 또 다른 수박 근경, 트랜스제닉 근경 등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종류" 또는 "품종"은, 주어진 유전자형 또는 유전자형의 조합으로부터 초래되는 특징의 표현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알려진 가장 낮은 계층의 단일 식물 분류 내 식물 군을 의미한다.
용어 "대립형질 유전자(들)"는 특정 유전자좌에서 유전자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대안적인 형태를 의미하며, 모든 대립형질 유전자는 특정 유전자좌에서 하나의 특질 또는 특성과 관련이 있다. 유기체의 2배체 세포에서, 주어진 유전자의 대립형질 유전자는 염색체 상의 특정 위치, 또는 유전자좌(들)에 위치한다. 한 대립형질 유전자는 상동 염색체 쌍의 각각의 염색체 상에 존재한다. 2배체 식물 종은 특정 유전자좌에서 다수의 여러 대립형질 유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유전자의 동일한 대립형질 유전자 (동형접합체) 또는 두 상이한 대립형질 유전자 (이형접합체)일 수 있다.
용어 "유전자좌(들)"는, 예를 들어 유전자 또는 유전적 마커가 확인되는 염색체 상의 특정 장소 또는 장소들 또는 부위를 의미한다.
"2배체 식물"은 본원에서 2n으로 표시되는 두 세트의 염색체를 갖는 식물, 생장성 식물 부분(들) 또는 2배체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종자를 지칭한다.
"3배체 식물"은 본원에서 3n으로 표시되는 세 세트의 염색체를 갖는 식물, 생장성 식물 부분(들) 또는 3배체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종자를 지칭한다.
"4배체 식물"은 본원에서 4n으로 표시되는 네 세트의 염색체를 갖는 식물, 생장성 식물 부분(들) 또는 4배체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종자를 지칭한다.
"수분수 식물" 또는 "수분수"는 3배체 식물 상에서 과실을 유도하기 위한 수부분수로서 적합한 (동족교배 또는 하이브리드) 2배체 식물, 또는 그의 일부 (예, 그의 화분 또는 자근)를 지칭한다. 따라서 수분수 식물은, 적절한 낮 시간에 그리고 적절한 시간 동안, 예를 들어 적어도 3배체 자성 식물의 피크 개화 시간 동안 적절한 양의 화분을 생산하여 3배체 식물의 우수한 과실 세트 (및 우수한 3배체 과실 수확량)를 야기할 수 있다. 우수한 3배체 과실 수확량은, 예를 들어 수분수로서 폴리맥스 (누넴스에서 생산함)를 사용했을 때 수득가능한 수확량에 필적하는 수확량이다 (예, 실시예 3 참고).
"이중 목적 수분수"는 수분수 식물 자체 상에서 (자가-수분을 통해) 식용 2배체 과실을 생산하면서 또한 3배체 (씨 없는) 수박 생산에서 수분수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수분수 식물을 지칭한다. 상기 정의는 3배체 과실 생산에서 수분수로서 실제로 사용되는지의 여부와 관련이 없으며, 즉 이는 2배체 과실 생산 자체에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식용"은 사람들의 소비, 특히 과실 과육의 신선한 소비를 위한 시판가능 과실을 지칭한다. 과실은 수확시, 적어도 우수, 바람직하게는 매우 우수한 풍미 특성 (즉, 맛 및 향)을 가진다. 우수한 풍미 특성을 가지기 위해, 과실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7.5% 이상의 총 가용성 고형분의 평균 수준을 가진다. 우수한 과실 과육 색은 또한 사람들의 소비를 위한 시장성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이다. 적색-과육 과실의 경우, 한 실시양태에서 과육 색은 적어도 39 이상의 평균 RHS 등급을 가진다. 적색-과육 과실은 1 (백색)에서 10 (암적색)의 스케일로 측정하고, 과실은 적어도 7 이상의 평균 등급을 가진다.
"하이브리드 3배체 식물"은 웅성 2배체 모본과 자성 4배체 모본을 교차 수정시켜 수득한 하이브리드 3배체 종자로부터 성장한 3배체 식물이다.
"씨 없는 과실"은 성숙한 종자가 없거나 적은 3배체 과실이다. 과실은 하나 이상의 작은 식용 백색 배주를 함유할 수 있다. 씨 없는 과실을 생산하는 식물은 본원에서 "씨 없는"으로 지칭될 수 있다.
"사이심기"는 동일한 필드에 파종 또는 이식한 2종 이상의 종자 및/또는 이식물의 조합을 지칭하며, 특히 3배체 하이브리드 식물과 동일한 필드에 수분수의 파종 및/또는 이식을 지칭한다 (3배체 식물에서의 씨 없는 과실 생산 및 수분수 식물에서의 2배체 과실 생산을 위함). 예를 들어, 수분수는 개별 열에 식재되거나 동일한 열에서 (예, 각 열의 이랑 내에) 3배체 식물과 사이심기될 수 있다. 수분수는 또한 3배체의 열 사이에 식재될 수 있다. 또한 수분수 및 3배체 하이브리드의 종자는 파종 전에 혼합하여 무작위 파종을 할 수 있다. 3배체 하이브리드 식물 및/또는 수분수 식물의 이식물은 또한 상이한 식물의 근경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근경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또한 3배체 하이브리드 식물과 수분수 식물을 하나의 근경에 함께 접목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식재" 또는 "식재된"은 기계 또는 수동으로 필드에 파종 (직접 파종)하거나 묘목 (소식물) 이식하는 것을 지칭한다.
"생장성 증식"은 생장성 조직으로부터의, 예를 들어 시험관내 증식 또는 접목 방법 (자근을 사용)을 통한 식물의 증식을 지칭한다.
"생장성 유형" 또는 "성장 유형" 또는 "덩굴 유형"은 식물 라인 또는 품종의 생장성 부분의 성장 특징, 예컨대 (평균) 절간 길이, 주 덩굴의 (평균) 길이, 최단 및 최장 가지의 (평균) 길이, 1차 가지의 평균 개수 등의 조합을 지칭한다. 세 가지 생장성 유형으로 구별할 수 있다: "보통/표준 덩굴 유형", "컴팩트 덩굴 유형" 및 이 둘 사이의 "중간 덩굴 유형".
"컴팩트 덩굴 유형"은 약 4.0-6.5 cm의 평균 절간 길이, 특히 6.5 또는 6.0 cm 이하, 예를 들어 5.0, 4.5 또는 4.0 cm 이하의 평균 절간 길이 및/또는 약 170 cm 이하, 바람직하게는 160 cm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 cm 또는 145 cm 이하, 바람직하게는 140 또는 130 cm 이하의 평균 최장 가지를 갖는 식물 또는 식물 라인 또는 품종의 생장성 유형을 지칭한다. 컴팩트 덩굴 유형의 예는 컴패니언 및 사이드킥이다 (US 7,314,79).
"표준 덩굴 유형"은 6.5 cm 초과, 바람직하게는 약 7, 8, 9, 10, 11 또는 12 cm 이상의 평균 절간 길이 및/또는 225 cm 이상, 예를 들어 230 cm, 250 cm, 300 cm, 350 cm 이상의 평균 최장 가지를 갖는 식물 또는 식물 라인 또는 품종의 생장성 유형을 지칭한다. 예로는 품종 에이스 (Ace), 제니, SP-1, SP-4가 있다.
"중간 덩굴 유형"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표준 덩굴과 컴팩트 덩굴 유형 사이에 들어가는 식물 또는 식물 라인 또는 품종의 생장성 유형을 지칭한다. 이는 10.5 cm 미만, 예를 들어 10, 9, 8, 7, 6 또는 5 cm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6.0, 6.5, 7.0, 7.5, 8.0, 8.5 또는 9.0 cm 이하의 평균 절간 길이 및/또는 약 220 cm 이하의 평균 최장 가지를 가진다. 최장 가지는 바람직하게는 평균 약 175-220 cm,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약 175, 180, 185, 190, 195, 200, 205, 210, 215 또는 220 cm이다.
본 명세서에 걸쳐, "평균" 및 "평균치"는 상호대체가능하게 사용되고, 산술 평균을 지칭한다.
본 발명은 시트룰루스 라나투스 종의 식물 (및 이러한 식물이 성장되는 종자)을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3배체 수박 생산에서 수분수로서 적합하며 이는 2배체이고, 수확시 (즉, 성숙시) 2.0 kg 미만, 바람직하게는 1.8 kg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7, 1.6, 1.5, 1.4, 1.3, 1.2, 1.0 kg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9, 0.8, 0.7, 0.65 kg 이하, 예컨대 0.6, 0.5, 0.4, 0.35, 0.3 또는 0.25 kg 이하의 평균 중량을 갖는 시판가능 2배체 과실을 생산한다.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평균 과실 크기는 약 0.9 kg 이하 (예컨대 0.8, 0.7, 0.65, 0.6, 0.5, 0.4 kg) 내지 0.25 kg 초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라인 또는 하이브리드의 평균 과실 특징, 예컨대 평균 과실 중량을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라인 또는 하이브리드의 식물을 한 위치에서 성장시키고, 3, 4, 5개 이상의 과실을 동일한 라인의 2, 3 또는 그 이상의 식물로부터 수확하고, 예를 들어 칭량한다. 비교예로서 참조 식물 라인 (예컨대 공지된 수분수)을 동일한 위치에서 (예, 동일한 실험에서 또는 동일한 환경 조건하에서) 성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평균 과실 중량은 한 실시양태에서, 바람직하게는 0.65 kg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약 0.6, 0.5, 0.4, 0.3 또는 0.25 kg 이하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평균 과실 크기는 0.65 kg 미만 내지 0.25 kg 초과이다.
과실 직경은 가변적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평균 과실 길이는 12 cm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약 11.5 또는 11 cm 이하, 예컨대 10.5, 10.0, 9.5, 9.0, 8.5 또는 8.0 cm 이하인 한편, 평균 과실 너비는 바람직하게는 11, 10.5 또는 10 cm 미만, 예컨대 9.5, 9.0, 8.5, 8.0 cm 이하이다. 따라서, 평균 과실 치수 범위는 8.0-12.0 cm 평균 길이 x 8.0-11 cm 평균 너비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과실 길이는 평균 12 cm 미만, 바람직하게는 11.5 cm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약 11 cm 이하이다 . 바람직하게는, 과실의 길이 및 너비 둘 다 평균 약 11 cm 이하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평균 길이 x 너비는 10 x 11 cm 이하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길이 및 너비 둘 다에 대한 평균 과실 치수는 10.5 cm 이하이다. 이러한 치수는 평균 0.65 kg 미만의 2배체 과실 중량에 특히 포함된다. 보다 무거운 2배체 과실 (예, 1.8 kg 미만 내지 0.65 kg 초과)에 있어서는 또한 본원에서 보다 큰 치수, 예컨대 17 cm 이하 (예컨대 16, 15, 14, 13, 12 cm)의 평균 길이 및 15 cm 이하 (예컨대 14, 13, 12 cm)의 평균 너비가 포함된다.
수분수 식물에서 생산되는 과실, 즉, 과실 과육은 성숙되면 먹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2배체 식물의 성숙 과실의 과육 색은 한 실시양태에서, 39 이상, 특히 39 내지 41의 RHS 미니 색 차트 (영국원예학회 미니 색 차트) 값을 갖는 적색이다. 또한, 성숙시 과실의 평균 백분율 총 가용성 고형분 (% TTS; 본원에서 또한 도 브릭스 또는 °브릭스로 지칭됨)은 약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8% 또는 8.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약 9% 또는 9.5%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 10.5%, 11%, 11.5%, 12%, 12.5%, 13% 이상이다. 평균 TSS는, 예를 들어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굴절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분수 식물에 의해 생산되는 2배체 과실의 평균 백분율 TSS는 전통적 육종 기법에 의해, 예를 들어 본원에서 제공되는 식물과 높은 TSS를 포함하는 수박 식물을 교차교배시키고 자손 (예, 하나 이상의 자가수정 및/또는 역교배 집단에 의해 수득가능함)을 선별하여 작은 과실 크기를 유지하면서 보다 높은 TSS 값을 갖는 과실을 생산하여 증가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배체 과실은 식용이며, 즉 이는 사람들의 소비를 위해 시판가능하게 하는 과실 품질 특징을 가진다. 이는 우수한 풍미 특성 (이취 등이 없음)을 갖는 과실을 의미한다. 과실이 적어도 우수한 풍미 특성을 가지기 위해서, 약 7.5도°의 최소 평균 브릭스가 요구된다. 풍미 특성은 과실의 감각 특성을 평가하는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훈련받은 시험-패널이 측정하고 점수매길 수 있다 (예, 불량, 우수, 매우 우수) (문헌 [Karen L. Bett, Ch 13, Fresh-Cut Fruits and Vegetables, Science, Technology, and Market; Edited by Olusola Lamikanra, CRC Press 2002, Print ISBN: 978-1-58716-030-1]). 우수한 풍미의 선별은 쓴맛 및 다른 좋지 않은 풍미, 예컨대 캐러멜 풍미를 선별해내는 시험 패널을 포함한다. 우수한 풍미 특성을 갖는 품종의 수박 체크 (예, 올스위트 (Allsweet), 크림슨 스위트 (Crimson Sweet))가 시험에 포함된다.
또한 과실은 "과실 균열"로 공지된 균열에 취약하지 않아야 하고/하거나 바람직하게는 SP-1에 존재하는 취성 유전자를 함유하지 않아야 한다. 수퍼 폴리나이저, 예컨대 SP-1 (WO03/075641에 기재된 바와 같음)은 신선한 농산물로서 과실을 시판불가능하게 하는 (특정 과실 과육에서) 취성 과실을 생산한다 (그러나, 과실 안에 함유된 종자를 수확하여 판매할 수는 있음). 균열은 바람직하지 않은 과실 품질 특징이므로 균열-저항성은 일반적으로 육종하는 동안 (예, 필드 관찰에서 및/또는 예를 들어 압력 시험 또는 다른 시험을 이용하여) 선별된다. 또한 문헌 [Haikun et al. 2010, Acta Hort. (ISHS) 871:223-230)]을 참고한다.
다른 과실 특징을 전통적 육종 방법으로 도입 (아래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은 식용 2배체 과실을 생산하는 수분수와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증가되거나 감소된 껍질 두께, 증가되거나 감소된 껍질 취성, 다양한 스킨/껍질 색 (예, 연두색; 암녹색, 좁은, 중간 또는 넓은 녹색 줄무늬); 회색 유형; 점의 유무; 황금색) 및 껍질 표면 (예, 주름지거나 매끈한 표면), 과육 구조 / 과육 단단함, 다양한 과실 모양 (긴형, 타원형, 블록형, 구형 또는 둥근형), 보다 높은 브릭스 함량, 보다 높은 라이코펜 및/또는 비타민 함량, 다양한 당:산 비율, 매우 우수한 과실 풍미 등을 갖는 작은 식용 과실을 생산하는 식물을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적색 이외의 또 다른 과육 색을 갖는 작은 식용 과실의 조합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황색 과육 또는 오렌지색 과육 또는 백색 과육에 대한 유전적 결정요인을, 예를 들어 또 다른 색-유형의 역교배 육종을 통해 도입할 수 있다. 문헌 [Guner and Wehner 2004, Hort Science 39(6): 1175-1182]에서, 특히 과실 특징에 대한 유전자를 설명하는 1180-1181 페이지를 참고한다. 일반적으로 중요한 육종 목적은 빠른 성숙, 높은 과실 수확량, 높은 내부 과실 품질 (우수한 균일한 색, 높은 당, 적절한 당:산 비율, 우수한 풍미, 높은 비타민 및 라이코펜 함량, 단단한 과육 텍스처, 비-섬유성 과육 텍스처, 결함 부재, 예컨대 공동 병, 껍질 괴사, 배꼽썩음병 또는 크로스 스티치의 부재 및 우수한 껍질 특징 및 균열-저항성)이다.
껍질 두께 (너무 얇거나 너무 취성인 껍질)는 취급 및 수송 동안 파손에 영향을 주는 특징이나, 얇은 껍질은 소비자들에게는 바람직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과실은 얇은 껍질, 예컨대 약 0.2 cm, 0.3 cm, 0.4 cm 이상 내지 0.5 cm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4 cm 이하의 평균 껍질 두께 (사이드에서 측정함)를 가진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껍질은 SP-4 과실의 껍질보다 두꺼우나, 폴리맥스의 껍질보다는 얇고, 임의로 사이드킥 과실의 껍질보다 얇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보다 두꺼운 껍질이 요구될 수 있고, 0.5 cm 이상, 예컨대 0.6 및 0.7 cm의 껍질을 갖는 작은 과실이 또한 본원에 포함된다. 얇은 껍질 및 두꺼운 껍질을 갖는 과실모두에서 과실의 껍질은 바람직하게는 쉽게 균열되지 않는다 (즉, 균열-저항성임).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과실은 바람직하게는 WO03/075641의 13 및 14 페이지에 기재된 바와 같이 취성 껍질 및/또는 터지기 쉬운 (explosive) 껍질을 가지지 않으며, 즉, 과실이 90 내지 140 g/mm2 범위의 압력하에서 부서지지 않는다.
2배체 과실의 과육 단단함은 바람직하게는 약 0.8 이상 (실시예 1에서와 같이 kg으로 나타낸 평균 단단함), 더 바람직하게는 약 0.9, 1.0 이상이다. 과육 단단함은, 예를 들어 보다 단단한 과실 과육을 갖는 수박과 교차교배하고 과실 크기는 증가하지 않은 보다 단단한 과육을 선별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매우-단단한 과육을 갖는 과실을 생산하는 식물은, 예를 들어 US2006/0005284에 기재되어 있다.
본원에 제공된 2배체 식물은 수분수로서 적합하며, 이는 낮에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시간 동안 충분한 화분을 생산하여 3배체 하이브리드인 과실 세트를 유도하고, 화분매개자로서 예를 들어 폴리맥스를 사용했을 때 수득되는 것에 적어도 필적하는 (평균) 3배체 과실 수확량을 야기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은 3배체 과실 생산을 위한 수분수로서 판매 또는 시판될 필요는 없으며, 3배체 과실 생산에서 수분수로서 사용될 필요가 없다. 이는 또한 그 자체로 시판되고/되거나 2배체 과실 생산을 위해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수분수 식물은 바람직하게는 3배체 하이브리드의 개화 동안 적절한 시간에 다수의 웅성 꽃, 개화 제1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제15일에 약 35개 이상의 개화된 웅성 꽃 및/또는 제22일에 약 30개 이상의 개화된 웅성 꽃을 생산하나, 충분한 화분이 유효 웅성 꽃에서 생산되어 우수한 3배체 과실 세트를 야기할 수 있는 한 웅성 꽃의 개수는 3배체 과실 세트의 결정에서 결정적이지 않다. 수분수 식물이 또한 2배체 과실 생산을 위해 사용되므로, 또한 충분한 자성 꽃이 수분수에 의해 생산되어 그의 이중 목적을 보장해야 한다.
실시예 표 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다수의 개화된 웅성 및 자성 꽃은 날짜를 센 3주 넘게 존재했다. 개화일에 (플롯에서 50% 초과의 식물이 웅성/자성 꽃을 갖는 날) 11개의 수분수 라인이 평균 12.6개의 개화된 웅성 및 3.9개의 개환된 자성 꽃을 가졌다. 각각의 라인은 일반적으로 SP-4 및 폴리맥스 보다 유의하게 많은 개화된 웅성 꽃을 가졌다. 개화 제1일로부터 제15일 및 제22일에 모든 라인은 사이드킥, SP-4 및 폴리맥스보다 유의하게 많은 개화된 웅성 꽃을 생산했으며, 모두 제15일에 35개 이상의 개화된 웅성 꽃 및 제22일에는 30개 이상의 개화된 웅성 꽃을 가졌다. 그러나, 폴리맥스는, 실시예에 제공되는 하이브리드에서보다 유의하게 적은 개수의 웅성 꽃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3배체 하이브리드를 위한 매우 우수한 수분수이다. 폴리맥스는 제15일 및 제20일에 단지 약 18개의 개화된 웅성 꽃을 가졌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분수는 따라서, 표 3 내 실시예에서보다 적은 웅성 꽃 개수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맥스와 거의 동일한 개화된 웅성 꽃을 갖는 식물이 본원에 포함되며, 즉 개화 제1일로부터 제15일 및/또는 제22일에 적어도 약 15, 18, 20, 25, 30개 이상의 개화된 웅성 꽃을 갖는 수분수가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이다.
개화된 자성 꽃의 개수 또한 우수했으며, 이는 수분수가 이중-목적 (즉, 3배체 하이브리드의 수분 및 과실 생산 및/또는 2배체 식물 자체에서의 과실 (수분수 식물의 자가-수분으로 생산된 과실) 생산)을 위해 확실히 적합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수분수 식물은 이중 목적 수분수 식물이다. 특히, 제22일에 개화된 웅성 꽃의 평균 개수는 적어도 15, 18, 20, 25 또는 30개 이상이었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분수 식물은 하이브리드 2배체이며 (F1 2배체), 자연 수분되지 않는다 (OP).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이중 목적 수분수 식물은, 예를 들어 품종 산 후안 (San Juan) (네이티브 시즈 (Native Seeds))에서 생산되는 것과 같은 "식용 종자 수박" 또는 "과자류" 유형의 것이 아니다. 이러한 유형의 수박은, 소비 및 종자 오일 생산을 위한 종자를 수확하기 위해 생산되며, 과실은 크고 검은 또는 부드러운 종자 피복을 갖는 적색의 식용 종자를 생산한다 (예를 들어 문헌 [Zhang 1996, Cucurbit Genetics Cooperative Report 19:66-67 (article 24)] 및 문헌 [Zhang and Wang, 1990, Cucurbit Genetics Cooperative Report 13:43-44 (article 16)] 참고).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2배체 과실에서 생산되는 종자는 작고 (바람직하게는 토마토 종자 크기 내지 중간 종자 크기, 크지는 않음), 종자 수확 및 종자 소비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2배체 과실의 종자는 길이가 평균 5 mm 이하이고, 예를 들어 길이가 4 mm, 3.5 mm, 3 mm, 2.5 mm, 2 mm, 1.5 mm 또는 1 mm 이하이다.
이중 목적 수분수 식물은 매우 작은 식용 과실을 생산할 뿐만 아니라, 또한 많은 시판가능 과실을 생산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은 성숙시 식물 당 평균 적어도 약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개 이상의 과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개의 과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27, 28, 29, 30, 35개 이상의 과실을 생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분수 식물은 통상의 육종 기법을 이용하여 상이한 덩굴 유형, 예컨대 컴팩트 덩굴 유형, 표준 덩굴 유형 또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중간" 덩굴 유형과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수분수를 표준 덩굴 유형과 교차교배하고 중간 덩굴 유형을 갖는 자손을 선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본원에 기재된 수분수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종자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수분수 식물의 묘목, 자근 및 근경 및 또한 세포 및 조직이 본원에 포함된다. 이러한 식물 부분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목적 수분수 식물을 생산하는 유전적 결정요인을 포함한다. 따라서 수분수 식물의 묘목, 자근 및 근경 및 또한 세포 및 조직으로부터 수득되는 전체 식물은, 동일한 환경적 조건하에서 성장시켰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수분수 식물의 모든 생리학적 및 형태학적 특징을 보유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수 식물에서 수득가능한 복수개의 2배체 수박 과실 및/또는 이러한 과실 안에 존재하는 종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수확한 2배체 과실, 예컨대 포장된 전체 과실 또는 과실 부분 및/또는 가공된 과실 또는 과실 부분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의 자손, 예컨대 본원에 기재된 수분수 식물과 또 다른 수박 식물과 교차교배하여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을 자가교배하여 F1 종자 (및 이러한 종자로부터 성장한 F1 식물, 및 또한 F1 식물이 자가-수분되어 생산되는 과실)를 생산함으로써 수득가능한 종자 또한 본원에서 제공된다.
또한 식물 세포, 세포 배양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의 조직 배양물 및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또는 그의 자손의 근경, 자근, 이식물 및 생장성 증식물이 제공된다.
한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의 종자의 대표적 샘플은 수탁 번호 ....... (WH9306), 또는 수탁 번호 NCIMB 41773 (WH9307), 또는 수탁 번호 ....... (WH9308), 또는 수탁 번호 ....... (WH9309), 또는 수탁 번호 ....... (WH9311), 또는 수탁 번호 ....... (WH9313), 또는 수탁 번호 ....... (WH9317), 또는 수탁 번호 ....... (WH9318), 또는 수탁 번호 ....... (WH9319), 또는 수탁 번호 ....... (WH9320), 또는 수탁 번호 ....... (WH9321)로 기탁되었다.
작은 식용 과실을 생산하는 유전적 결정요인을 갖는 식물은, 따라서 기탁된 종자로부터 수득가능하다. 작은 식용 과실을 생산하는 유전적 결정요인 (즉, 유전자의 조합)은, 예를 들어 이러한 표현형을 갖는 다른 2배체 수분수 또는 다른 2배체 (자연 수분 또는 동족교배 라인, 또는 하이브리드 2배체)를 생성하기 위해 다른 수박 식물에 전달할 수 있다. 이는 육종 방법에서 모본 라인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수분수를, 즉 또 다른 수박 식물과의 교차교배에서 웅성 또는 자성 모본으로서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공지된 육종 방법,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순환 (recurrent) 선별, 계통 육종, 역교배 육종, 동족교배 발생, 하이브리드 시험, 표식을 이용한 육종 등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이용할 수 있다. 2배체는, 예를 들어 콜키친 처리를 이용하여 4배체 발생에 사용할 수 있다. 그 후, 모두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작은 과실 치수 및 과실 중량, 7.5% 이상의 브릭스 및 이중 목적 수분수 특징을 보유하는 자손을 선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은 식용 과실을 제조하는 이중 목적 수분수 식물을 발생시키기 위해 출발점으로서 다른 수박 식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은 과실을 맺는 품종 또는 라인을, 예컨대 사이드킥 (US 7,314,979) 및/또는 SP-1 (WO 03/075641) 및/또는 문헌 [Guner and Wehner (2004, HortScience 39(6):1175-1182)]에 기재된 "토마토 종자" 돌연변이 (유전자 ts)를 갖고 큐커빗 제네틱스 코오퍼레이티브 (Cucurbit Genetics Cooperative)의 유전자 큐레이터로부터 수득가능한 수박 식물을 출발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고, 2배체 과실에서의 과실 품질 특징 (예, 높은 브릭스, 우수한 풍미), 작은 과실 크기 (예, 작은 과실 치수, 예를 들어 0.9 kg 미만의 중량) 및 작은 종자 크기 및 또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수분수 특징 (예, 많은 웅성 꽃)을 선별할 수 있다.
작은 종자 크기를 위한 선별은, 8mm 이하, 바람직하게는 7mm, 6 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0mm 이하, 바람직하게는 4.5mm 이하, 예를 들어 약 4.0mm, 3.5mm, 3.0mm, 2.5 mm 또는 1.5 mm 또는 1.0 mm 이하의 평균 종자 길이를 선별하는 것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a) 2배체 수박 식물의 육종 집단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모두 본 출원에 걸쳐 기재된 바와 같은) 작은 과실 크기, 작은 종자 크기, 높은 브릭스, 우수한 과육 색 및 수분수 특징에 대해 자손을 선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2배체 이중 목적 수분수를 생산하기 위한 육종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으로 수득가능한 식물이 본원에 포함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육종 집단은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작은-과실을 맺는 모본을 사용하고 이를 교차교배하여 F1 및 계속된 자손 세대 (F2 등)를 생성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제공되는 식물 중 하나 (예, WH9307)를 단계 a)에 사용하고, 이를 또 다른 수박 식물과 교차교배시킨다. 자손 세대는 그 후 적어도 b)에 기재된 특징에 대해 선별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분수 식물과 또 다른 수박 식물을 교차교배하고, 상기 교차교배의 F1 종자를 수확하여 수득되는 하나 이상의 하이브리드 식물이 제공된다. F1 종자는 그 후 F1 식물로 성장하고, 자가 수분 또는 형매-수분되어 F2 종자를 생산할 수 있다. 초기 교차교배에 사용되는 모본이 하나 이상의 특징 (예, 질병 저항성 및 과실 크기)에서 상이하다면, F2 집단이 이러한 특성(들)에 있어서 분리되어 재배자가 현 및/또는 추가적인 자손 세대 (F3, F4 등)에서 요구되는 특성 (예, 작은 과실 크기 및 질병 저항성)이 조합된 식물을 선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F1은 순환 모본 (예, 특성이 도입될 본 발명에 따른 수분수)에 역교배할 수 있거나, F1은 자가수분하여 관심 특성이 분리된 F2 집단을 생산하며 관심 특성을 갖는 선별된 F2 식물을 순환 모본에 역교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은 2배체 과실에 대한 유전적 결정요인을 유지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수분수 식물에 존재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특성을 본 발명에 따른 수분수 식물에 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다른 과실 특징 (예, 보다 어두운 적색인 과육 색, 보다 큰 브릭스, 보다 단단한 과육, 상이한 과육 색, 등)을 도입할 수 있거나, 높은 수확량, 질병 저항성 유전자, 스트레스 내성 유전자 (예, 물 스트레스 내성)등에 대한 하나 이상의 QTL과 같은 임의의 다른 특성을 도입할 수 있으며, 진균성-, 박테리아성-, 바이러스성- 질병, 뿌리혹선충 및/또는 곤충 해충에 대한 저항성도 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들음병 (Fusarium oxysporum fsp. niveum 레이스 0, 레이스 1 및/또는 레이스 2, 및/또는 레이스 3, 및/또는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신규한 레이스), 탄저병 (Colletotrichum lagenarium 레이스 1-7, 또는 다른 신규한 레이스), 덩굴마름병, 흰가루병, 청고병, 박테리아성 과실 반점, 파파야 둥근무늬 바이러스 (PRSV), 수박 모자이크 바이러스 (WMV) 또는 주키니 옐로우 모자이크 바이러스 (ZYMV)에 대한 저항성도 도입할 수 있다.
시들음병 레이스 0 및 1에 대한 저항성은 다수의 상업적 품종에 존재할 수 있고, 또한 레이스 2에 대한 저항성이 PI296341 및 PI271769에서 확인되었고, 또한 SP-4 (US 7,550,652)에서도 존재한다. 레이스 1에 대한 탄저병 저항성은 예를 들어 SP-4에서 존재하고, 레이스 2에 대한 저항성은 AU-스위트 스칼렛 (Sweet Scarlet) (AW-82-50CS) (재배자: 앨러배마 애그리컬쳐 엑스퍼트 스테이션 (Alabama Agric. Expt. Station), 어번 대학 (Auburn University))에 존재한다. 크림슨 스위트는 탄저병 레이스 1 및 3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하는 Ar-1 유전자를 가진다. 덩굴마름병 저항성 또한 플랜트 인트로덕션 (Plant Introduction) 라인에서 확인된다.
또한,
(a) 한 필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2배체 수분수 식물 및 3배체 하이브리드 식물을 사이심기하는 단계,
(b) 3배체 하이브리드 식물의 꽃을 2배체 수분수 식물의 화분과 수분시키고, 2배체 수분수 식물의 꽃을 2배체 수분수 식물의 화분과 수분시키는 단계,
(c) 3배체 하이브리드 식물에서 생산된 과실을 수확하고, 임의로 2배체 수분수 식물에서 생산된 과실을 수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한 필드에서 2배체 및 3배체 수박 과실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2배체 과실 및/또는 3배체 과실은 식용이고, 적색-과육, 백색-과육, 오렌지색-과육 또는 황색-과육을 가진다.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2배체 과실의 껍질은 황색 또는 금색이 아니다 (열성 유전자 go에 의해 제어됨)(문헌 [Barham 1965, Proc Ameri Soc Hort Sci 67: 487-489]).
한 필드에서의 사이심기는 수분수 및 3배체의 파종 또는 이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사이심기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다양한 비율의 수분수:3배체 하이브리드를 이용할 수 있다. 수분수 식물의 한 열은 3배체의 적어도 2열 마다, 적어도 3열 마다 또는 적어도 4열마다 존재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의 사이심기 또한 이용할 수 있다.
임의의 3배체 하이브리드, 예컨대 공지된 3배체 하이브리드 품종을 사용할 수 있다.
수분은 통상적으로 벌에 의해 이루어지고, 충분한 야생벌이 자연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한 벌통을 필트에 제공할 수 있다. 수분은 또한 수작업으로 또는 기계적 수단으로 수행할 수 있다. 성숙시 수확은 수작업 또는 기계로 수행할 수 있다.
2배체 과실의 보다 작은 과실 크기 및/또는 대안적으로 상이한 껍질 패턴을 기준으로 2배체 과실을 3배체 과실과 구별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2배체 과실의 껍질은 황색 또는 금색이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수확한 2배체 및 3배체 과실은 다른 용기에 넣는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작은 2배체 과실 만을 담는 용기를 제공한다. 임의 유형의 용기, 예컨대 종이상자, 박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1.8 kg, 1.7 kg, 1.0 kg, 0.9 kg, 0.8 kg, 0.7 kg 미만, 바람직하게는 0.65 kg 이하 (그러나 한 실시양태에서 0.25 kg 초과)의 평균 중량을 갖는 작은 2배체 식용 수박 과실을 생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a)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즉 본원에 기재되는 수분수를 성장시키는 단계,
(b) 상기 식물의 자성 꽃을 상기 식물의 화분과 수분시키는 단계,
(c) 상기 식물에서 생산되는 과실을 수확하는 단계.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2배체 식물의 자가-수분으로 작은 식용 2배체 과실이 생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분수는 다른 수박 식물 없이 필드에서 성장할 수 있고, 작은 2배체 과실을 수확하고 수송을 위한 용기에 넣을 수 있다. 단계 (b)는 곤충 수분 또는 수분의 임의의 다른 수단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1.8 kg, 1.7 kg, 1.0 kg, 0.9 kg, 0.8 kg, 0.7 kg 미만, 또는 0.65 kg 이하 (그러나 한 실시양태에서 0.25 kg 초과)의 평균 중량을 갖는 작은 식용 2배체 과실을 생산할 수 있는 2배체 수분수 식물 (또는 상기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종자)이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작은 과실을 생산하는 유전적 요소를 함유하는 종자의 대표적 샘플은 수탁 번호 ....... (WH9306), 또는 수탁 번호 NCIMB 41773 (WH9307), 또는 수탁 번호 ....... (WH9308), 또는 수탁 번호 ....... (WH9309), 또는 수탁 번호 ....... (WH9311), 또는 수탁 번호 ....... (WH9313), 또는 수탁 번호 ....... (WH9317), 또는 수탁 번호 ....... (WH9318), 또는 수탁 번호 ....... (WH9319), 또는 수탁 번호 ....... (WH9320), 또는 수탁 번호 ....... (WH9321)로 기탁되어 있다.
특히, 수분수 하이브리드 WH9307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작은 식용 과실을 생산하는 유전적 요소를 포함하고, 종자의 대표적 샘플은 수탁 번호 NCIMB 41773으로 기탁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분수의 종자 기탁물을 언급할 때, 이러한 수분수는 본 발명에 따른 대표적 식물로서 지칭되나, 다른 하이브리드 또는 라인의 종자 또한 적합하고, WH9307 또는 이의 자손 (또는 이의 임의의 부분)을 언급할 때, 본원에 언급된 다른 하이브리드 또는 라인이 동일하게 내포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웅성 또는 자성 모본 (바람직하게는 웅성 모본으로서)으로서 1.8 kg, 1.7 kg, 1.0 kg, 0.9 kg, 0.8 kg, 0.7 kg 미만, 또는 0.65 kg 이하 (그러나 한 실시양태에서 0.25 kg 초과)의 평균 중량을 갖는 작은 식용 2배체 과실을 생산할 수 있는 2배체 수분수 식물을 갖는 하이브리드 수박 종자가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작은 2배체 과실을 생산하는 유전적 요소를 함유하는 종자의 대표적 샘플은 수탁 번호 ....... (WH9306), 또는 수탁 번호 NCIMB 41773 (WH9307), 또는 수탁 번호 ....... (WH9308), 또는 수탁 번호 ....... (WH9309), 또는 수탁 번호 ....... (WH9311), 또는 수탁 번호 ....... (WH9313), 또는 수탁 번호 ....... (WH9317), 또는 수탁 번호 ....... (WH9318), 또는 수탁 번호 ....... (WH9319), 또는 수탁 번호 ....... (WH9320), 또는 수탁 번호 ....... (WH9321)로 기탁되어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1.8 kg, 1.7 kg, 1.0 kg, 0.9 kg, 0.8 kg, 0.7 kg 미만, 또는 0.65 kg 이하 (그러나 한 실시양태에서 0.25 kg 초과)의 평균 중량을 갖는 작은 2배체 과실을 생산할 수 있는 화분 공여자로서 2배체 수분수 식물 사이의 교차-수분의 과실이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작은 과실을 생산하는 유전적 요소를 함유하는 종자의 대표적 샘플은 수탁 번호 ........ (WH9306), 또는 수탁 번호 NCIMB 41773 (WH9307), 또는 수탁 번호 ....... (WH9308), 또는 수탁 번호 ....... (WH9309), 또는 수탁 번호 ....... (WH9311), 또는 수탁 번호 ....... (WH9313), 또는 수탁 번호 ....... (WH9317), 또는 수탁 번호 ....... (WH9318), 또는 수탁 번호 ....... (WH9319), 또는 수탁 번호 ....... (WH9320), 또는 수탁 번호 ....... (WH9321)로 기탁되어 있고, 또 다른 수박 식물의 암술 꽃이 제공된다. 다른 수박 식물은 바람직하게는 3배체 하이브리드이고, 과실은 3배체이고 바람직하게는 씨가 없다.
한 실시양태에서, 1.8 kg, 1.7 kg, 1.0 kg, 0.9 kg, 0.8 kg, 0.7 kg 미만, 또는 0.65 kg 이하 (그러나 한 실시양태에서 0.25 kg 초과)의 평균 중량을 갖는 작은 식용 2배체 과실을 생산할 수 있는 2배체 수분수 식물을 자가 수분하여 생산되는 2배체 과실 및/또는 동족교배 2배체 종자가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작은 2배체 과실을 생산하는 유전적 요소를 함유하는 종자의 대표적 샘플은 수탁 번호 ....... (WH9306), 또는 수탁 번호 NCIMB 41773 (WH9307), 또는 수탁 번호 ....... (WH9308), 또는 수탁 번호 ....... (WH9309), 또는 수탁 번호 ....... (WH9311), 또는 수탁 번호 ....... (WH9313), 또는 수탁 번호 ....... (WH9317), 또는 수탁 번호 ....... (WH9318), 또는 수탁 번호 ....... (WH9319), 또는 수탁 번호 ....... (WH9320), 또는 수탁 번호 ....... (WH9321)로 기탁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및 본 발명에 따른 과실은 WH9306, WH9307, WH9308, WH9309, WH9322, WH9313, WH9317, WH9318, WH9319, WH9320, WH9321, 또는 이들 중 임의의 것의 자손으로부터 수득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예, 기탁된 종자로부터의 식물)로부터 수득 (유도)되는 식물, 또는 수득 (유도)가능한 식물에는 따라서, 자가수정, 교차교배, 역교배, 순환 선별, 이중 반수체 생산, 표식을 이용한 선별, 무성 증식, 형질변환물 등과 같은 육종 방법으로 수득가능한 식물이 포함되며, 이로부터 유도되는 식물은 본 발명에 따른 작은 식용 과실을 생산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WH9306, WH9307, WH9308, WH9309, WH9322, WH9313, WH9317, WH9318, WH9319, WH9320, WH9321, 또는 이들 중 임의의 것의 자손의 본질적으로 모든 형태학적 및/또는 생리학적 특징을 갖는 식물이 제공된다. 생리학적 및 형태학적 특징의 대표적 예는 표 1-5에 제공된다.
WH9306, WH9307, WH9308, WH9309, WH9322, WH9313, WH9317, WH9318, WH9319, WH9320 또는 WH9321의 식물과의 추가의 육종으로 수득되는 상기의 자손 식물이 또한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자손 식물은 상기 식물의 본질적으로 모든 생리학적 및 형태학적 특징을 갖는다.
본원에서 본질적으로 모든 생리학적 및 형태학적 특징에는 명세서 및 실시예에 걸쳐 기재된 바와 같은 적어도 작은 식용 과실 및 이중 목적 수분수 특징이 포함된다.
또한, 전체 식물로 재생되거나 성장했을 때, WH9306, WH9307, WH9308, WH9309, WH9322, WH9313, WH9317, WH9318, WH9319, WH9320 또는 WH9321의 본질적으로 모든 형태학적 및/또는 생리학적 특징을 갖는 식물 부분 (예, 과실, 조직, 세포, 세포 배양물, 생장성 증식, 화분 등)이 제공된다.
또한, WH 식물과의 추가의 육종 및/또는 WH9306, WH9307, WH9308, WH9309, WH9322, WH9313, WH9317, WH9318, WH9319, WH9320 또는 WH9321로 지정된 식물의 집단으로부터 자연적 또는 유도된 돌연변이, 또는 체세포영양계 변이를 선별함으로써 수득가능한, WH9306, WH9307, WH9308, WH9309, WH9322, WH9313, WH9317, WH9318, WH9319, WH9320 또는 WH9321 중 임의의 것, 나열된 WH 식물과 상이한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 및/또는 형태학적 특징을 갖는 것, 달리 WH9306, WH9307, WH9308, WH9309, WH9322, WH9313, WH9317, WH9318, WH9319, WH9320 또는 WH932로 지정된 식물의 본질적으로 모든 생리학적 및 형태학적 특징을 갖는 것으로부터 유도되는 식물이 제공된다.
기탁 정보
본 출원인(들)은 실시예에 언급된 하이브리드 수분수 및 모본 동족교배 라인의 2500개 이상의 종자의 기탁물을 누넴스 비.브이에 유지하고 있다. 본 출원인은 하이브리드 WH9307을 NCIMB에 2010년 11월 12일에 수탁 번호 NCIMB 41773으로 기탁했다. 본 출원이 계류되는 동안 특허청장에 의해 자격이 주어진 사람이 요청시 상기 기탁물에 대한 접근이 가능할 것이다.
37 C.F.R. §1.808(b)에 따라, 기탁자에 의해 부여되는 하나 이상의 기탁물의 대중의 이용가능성에 대한 모든 제한사항은 특허의 결정시 2500개 이상의 종자의 기탁물에 대한 접근을 제공함으로써 미국 종균 협회 (ATCC, 미국 버지니아주 20110 마나사스 유니버시티 블러바드 10801 소재) 또는 국립 산업 식품 해양 박테리아 수집소 (NCIMB, 영국 에이비24 3알와이 스코틀랜드 아버딘 세인트 마샤 드라이브 23 소재)에서 확정 철회될 것이다. 기탁물은 30년 동안, 또는 가장 최근의 요청 후 5년 동안 또는 본 특허의 유효 기간 동안 중 더 긴 기간 동안 유지될 것이며, 만일 이 기간 동안에 생존하지 않는 경우에 대체될 것이다. 본 출원인은 본 특허하에서 또는 식물 품종 보호법 (7 USC 2321 이하 참조)하에서 부여된 어떠한 권리도 포기하지 않는다.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예에는 2배체 수분수 및 본 발명에 따른 작은 식용 2배체 과실의 생산이 기재된다. 실시예에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문헌 [Maynard 2001, Watermelons-Characteristics, Production and Marketing, ASHS Press]; 문헌 [Mohr H.C. Watermelon Breeding in Mark J. Bassett (editor) 1986 Breeding Vegetable Crops, AVI Publishing Company]에 기재된 바와 같은 통상적 수박 육종 방법이 이용된다.
실시예
실시예 1 - 육종 히스토리
하이브리드의 육종은 1985년 인-하우스 육종 라인 및 이와 품종 올스위트의 교차교배로 거슬러 올라간다. 선별된 자가 수분은 토마토 종자 OP (슈거 베이비 (Sugar Baby) 돌연변이; ts 유전자)와 역교배하고, 적색 과육 및 작은 종자를 선별했다. 추가의 자가 수분으로 적색 과육, 작은 종자 및 일반적 재배 특성을 선별했다. 선별된 것을 많은 웅성 꽃을 갖는 라인과 교차교배한 후, 여러차례 자가 수분하고, 많은 웅성 꽃 및 작은 적색 과실의 생산을 선별했다.
실시예 2 - 수분수 특징
2.1 - 재료 및 방법
이탈리아 (볼로냐 산타아가타-BO)에서 필드 시험을 수행했다. 2010년 4월 7일에 종자를 파종하고, 2010년 5월 21일에 필드에 이식했다 (열 내 간격 100 cm 이내, 열 간격 250 cm). 플롯에는 라인 당 10개의 식물이 포함되었다. 평가를 위해 과실을 2010년 7월 26/27일에 수확했다.
2.1.1 개화
개화된 웅성 및 자성 꽃의 수는 개화일 (제1일 = 2010년 6월 24일) 및 개화 후 제8일, 제15일 및 제22일 (제8일 = 2010년 7월 2일; 제15일 = 2010년 7월 9일; 제22일 = 2010년 7월 16일)에 라인 당 3개의 식물에서 계수했다. 라인 당 3개의 식물의 평균 개수를 계산했다.
2.1.2 과실
1) 평균 과실 개수: 성숙시 (7월 26/27일) 2개의 식물로부터 수확한 과실의 전체 개수를 계수하고 평균 과실 개수를 결정했다.
2) 평균 과실 중량: 성숙시 2개의 식물로부터 무작위 수확된 라인 당 3개의 과실의 중량의 평균이다.
3) 브릭스: 값은 3개의 과실 당 3번의 판독의 평균이며, 과실의 중심과 껍질 사이에서 수집했고; K71901 휴대용 굴절계 Mod. RLC ATC 0-18% (오프텍 (OPTECH))을 사용하여 브릭스 도(°)로 표현했다.
4) 과육 구조 (과육 단단함): 값은 3개의 과실의 판독의 평균이고; 과실 압력 테스터 FT 011 (씨엔텍 인스트루먼토스 (Cientec Instrumentos))를 사용하여 kg으로 표현했다.
5) 과육 색: 영국원예학회 미니 색 차트 (http://www.rhs.org.uk/Plants/RHS-Publications/RHS-colour-charts)를 사용하여 평가했다.
2.1.3 기타 과실 특징
3개의 과실에서 측정했다:
1) 과실 길이 (cm), FRT-cm_L로 나타냄
2) 중간부에서의 과실 직경 (cm), FRT-cm_D로 나타냄
3) 과실 껍질 두께 (cm), 꽃 말단, RND-cm_BE로 나타냄
4) 과실 껍질 두께 (cm), 과실 측, RND-cm_S로 나타냄.
껍질 두께는 과실의 외부 가장자리에서부터 백색 중과피와 착색된 내과피 사이의 경계까지 측정한다.
2.2 - 결과
2.2.1 - 과실 특징
표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수가 매우 작은 적색의 식용 과실을 생산한 것으로 나타난다.
Figure 112013055511410-pct00001
표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배체 수분수는 매우 작은 과육이 적색인 식용 과실을 생산했다. 표 1에서 과실 중량은 시판 수분수, 예컨대 사이드킥, SP-4 및 폴리맥스보다 유의하게 작다.
Figure 112013055511410-pct00002
표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수가 시판 수분수보다 평균적으로 작은 과실 치수를 가지는 것이 보여진다. 과실 길이는 평균 11.33 cm 이하인 반면, 사이드킥에서 평균 과실 길이는 12 cm이다. 직경 또한, 사이드킥에서 11.33 cm인 것과 비교하여 단지 10.17 cm 이하로 보다 작다. 따라서, 11.33 x 10.17 cm 이하 (예, 심지어 9.67 x 8.67 cm 정도로 작음)의 과실 치수는 사이드킥에서의 12.00 x 11.33 cm보다 유의하게 작다
표 3에는 과실의 두 점에서 측정한 라인당 평균 껍질 두께가 보여진다. 얇은 껍질이 소비를 위해서는 유리하다.
Figure 112013055511410-pct00003
본 발명에 따른 수분수는 우수한 그러면서 얇은 0.30 내지 0.47 cm의 껍질 두께를 가진다. 껍질은 또한 균열에 취약하지 않아 과실에 우수한 취급 특성을 제공한다. 과실은 또한 취성 또는 터지기 쉬운 껍질을 가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수분수의 과실의 껍질 패턴은 크림슨 스위트 유형 껍질 패턴이나 (중간-줄 또는 그물형), 표준 육종 방법을 이용하여 작은 과실 크기를 또한 다른 껍질 색과 조합할 수 있다.
2.2.2 - 개화 특징
Figure 112013055511410-pct00004
2.2.3 -생장성 유형
하이브리드는, (평균/ 수분수 라인의) 최장 가지가 113.5 내지 180.0 cm 길이이고 최단 가지가 57.0 내지 80.0 cm 길이인 비교적 컴팩트한 성장 유형을 가진다. 수분수 라인 당 1차 가지의 평균 개수는 3 내지 3.5이었다. 수분수 라인 당 30 cm 및 90 cm에서의 2차 가지의 평균 개수는 56.0 내지 88.5 (30 cm에서) 및 77.5 내지 144.0 cm이었다. 절간 길이의 범위는, 라인에 따라 평균 4.3 내지 5.3 cm이었다. 잎 길이 및 너비 또한, 잎 너비 7.1 내지 9.4 cm 및 길이 7.8 내지 9.1 cm로 비교적 컴팩트했다.
실시예 3 - 본 발명에 따른 수분수의 이용
3.1 - 실험 설치
3배체 하이브리드 품종 '패션 (Fashion)'에서의 3배체 과실 생산을 위해 수분수 WH9317x, WH9318x, WH9320x 및 WH9321x를 사용하여 스페인에서 3회의 실험을 수행했다.
실험 1:
위치: 온실
실험 면적: 3600 m2
이식 일자: 2010년 3월 19일
수확 일자: 2010년 6월 16일
계획: 수분수 및 3배체를 별도의 열에, 3배체 한 열, 수분수 한 열로 교대로 심었다. 열 사이의 간격은 3 m이었고, 열 내에서 식물 사이의 간격은 1 m이었다.
실험 2:
위치: 노지
실험 면적: 2500 m2
이식 일자: 2010년 3월 24일
수확 일자: 2010년 7월 6일
계획: 수분수 및 3배체를 동일한 열 내에 사이심기 했고, 수분수가 총 식물의 25%를 차지했다. 열 사이의 간격은 3 m이었고, 열 내에서 식물 사이의 간격은 1 m이었다.
실험 3:
위치: 노지
실험 면적: 1500 m2
이식 일자: 2010년 3월 20일
수확 일자: 2010년 7월 2일
계획: 수분수 및 3배체를 동일한 열 내에 사이심기 했고, 수분수가 총 식물의 25%를 차지했다. 열 사이의 간격은 2 m이었고, 열 내에서 식물 사이의 간격은 1.8 m이었다.
3.2 - 실험 결과
Figure 112013055511410-pct00005
Figure 112013055511410-pct00006
NCIMB Ltd. NCIMB41773 20101112

Claims (29)

  1. 2배체이고, 성숙시 평균 중량이 0.9 kg 미만인 식용 2배체 과실을 생산하며, 상기 작은 과실을 생산하는 유전적 요소가 수탁 번호 NCIMB 41773으로 기탁된 종자로부터 수득가능한 것인, 종 시트룰루스 라나투스 (Citrullus lanatus)의 식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실의 성숙시 평균 과실 중량이 0.65 kg 이하인 식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과실의 총 가용성 고형분 (TSS)의 평균 백분율이 8% 이상, 또는 9% 이상, 또는 10% 이상인 식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과실 과육이 적색인 식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개화 제22일에 30개 이상의 웅성 꽃을 생산하는 식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식물 당 평균 개수 10개 이상의 과실을 생산하는 식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과실의 성숙시 상기 과실의 평균 과실 길이가 11.5 cm 미만이고 평균 과실 너비가 11 cm 미만인 식물.
  8. 성숙시 과실 중량이 0.9 kg 미만인,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식물로부터 수득가능한 2배체 수박 과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과실의 성숙시 상기 과실의 평균 과실 중량이 0.65 kg 이하인 2배체 수박 과실.
  10. 복수개의 제8항에 따른 과실을 포함하는 용기.
  11. 웅성 또는 자성 모본 (parent)으로서 제1항에 따른 식물을 갖는 수박 종자.
  12. 제1항에 따른 식물의 이식물.
  13. 제1항에 따른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종자.
  14. 삭제
  15. (a) 한 필드에서 제1항에 따른 2배체 수분수 식물 및 3배체 하이브리드 수박 식물을 사이심기하는 단계,
    (b) 3배체 하이브리드 식물의 꽃을 2배체 수분수 식물의 화분과 수분시키고, 2배체 수분수 식물의 꽃을 2배체 수분수 식물의 화분과 수분시키는 단계,
    (c) 3배체 하이브리드 식물에서 생산된 과실을 수확하고, 임의로 2배체 수분수 식물에서 생산된 과실을 수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한 필드에서 2배체 및 3배체 수박 과실을 생산하는 방법.
  16. (a) 제1항에 따른 식물을 성장시키는 단계,
    (b) 상기 식물의 자성 꽃을 상기 식물의 화분과 수분시키는 단계,
    (c) 상기 식물에서 생산되는 과실을 수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평균 중량이 0.9 kg 미만인 식용 2배체 수박 과실을 생산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평균 중량이 0.9 kg 미만인 작은 과실을 생산하는 유전적 요소가 수탁 번호 NCIMB 41773으로 기탁된 종자로부터 수득가능한 것인 방법.
  18. 평균 중량이 0.9 kg 미만인 작은 식용 과실을 생산하며, 상기 작은 과실을 생산하는 유전적 요소를 함유하는 종자의 대표적 샘플이 수탁 번호 NCIMB 41773으로 기탁되어 있는, 2배체 수박 수분수 식물.
  19. 대표적 샘플이 수탁 번호 NCIMB 41773으로 기탁되어 있는, 자가-수분시 0.9 kg 미만의 식용 과실을 생산할 수 있는 2배체 수박 라인의 종자.
  20. 제1항에 따른 식물의 식물 세포.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이브리드인 식물.
  2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배체 과실이, 평균 종자 길이가 5 mm 이하인 종자를 함유하는 것인 식물.
  23. 제11항에 따른 종자로부터 성장한 수박 식물.
  24. 제1항에 따른 식물의 생장성 증식물.
  25. 제1항에 따른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이식물.
  26. 제1항에 따른 식물의 배주.
  27. 제1항에 따른 식물의 화분.
  28. 제1항에 따른 식물의 근경.
  29. 제1항에 따른 식물의 자근.
KR1020137016185A 2010-11-24 2011-11-23 이중 목적 수분수 수박 KR1019710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1690810P 2010-11-24 2010-11-24
US61/416,908 2010-11-24
PCT/EP2011/070817 WO2012069539A1 (en) 2010-11-24 2011-11-23 Dual purpose pollenizer watermel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822A KR20130117822A (ko) 2013-10-28
KR101971016B1 true KR101971016B1 (ko) 2019-04-23

Family

ID=45044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185A KR101971016B1 (ko) 2010-11-24 2011-11-23 이중 목적 수분수 수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20130232636A1 (ko)
EP (1) EP2642845A1 (ko)
JP (1) JP6140079B2 (ko)
KR (1) KR101971016B1 (ko)
CN (1) CN103260394B (ko)
AU (1) AU2011333808B2 (ko)
IL (1) IL226496B (ko)
MX (1) MX2013005856A (ko)
WO (1) WO20120695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63399B2 (en) 2010-11-24 2017-09-19 Nunhems B.V. Dual purpose pollenizer watermelons
EP2814316B1 (en) * 2012-02-13 2021-04-07 Nunhems B.V. Triploid watermelon plants with a bush growth habit
EP2880187A4 (en) 2012-08-06 2016-03-09 Seminis Vegetable Seeds Inc METHOD AND COMPOSITIONS FOR PREPARING WATERMELON PLANTS WITH SEEDS OF SELECTED SIZE
US10314253B2 (en) * 2012-12-04 2019-06-11 Seminis Vegetable Seed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watermelon sex expression
EP3089576B1 (en) * 2013-12-31 2019-04-17 Syngenta Participations AG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oduction of watermelon fruit
CN103798130A (zh) * 2014-02-11 2014-05-21 湖南生物机电职业技术学院 西瓜杂交制种方法
US10694696B2 (en) 2015-01-15 2020-06-30 Nunhems B.V. Citrullus lanatus producing fruits with high texture fruit flesh
CN105123498A (zh) * 2015-07-24 2015-12-09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园艺研究所 一种无籽西瓜授粉方法
WO2017060350A1 (en) 2015-10-06 2017-04-13 Nunhems B.V. Watermelon plants with cucumber vein yellowing virus (cvyv) resistance
US10582683B2 (en) 2015-12-02 2020-03-10 Nunhems B.V. Triploid watermelon plants with a bush growth habit
WO2017202715A1 (en) 2016-05-26 2017-11-30 Nunhems B.V. Seedless fruit producing plants
CN106047921B (zh) * 2016-06-02 2019-11-26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一种二倍体草莓的转基因培养基及其转基因方法
UA128012C2 (uk) 2016-09-30 2024-03-13 Нунемс Б.В. Партенокарпічна кавунова рослина
MX2019007238A (es) * 2016-12-21 2019-09-06 Syngenta Participations Ag Sandia de floracion prolifica.
US11800834B2 (en) * 2017-09-25 2023-10-31 Roy Ekl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 phytoimmune system to manage diseases in fruit trees
US11291176B2 (en) 2018-06-15 2022-04-05 Nunhems B.V. Seedless watermelon plants comprising modifications in an ABC transporter gene
US20190307094A1 (en) * 2018-06-22 2019-10-10 Nunhems B.V. Watermelon variety nun 11602 wmw
US11632926B2 (en) 2018-06-22 2023-04-25 Nunhems B.V. Watermelon variety NUN 11602 WMW
WO2020239496A1 (en) 2019-05-24 2020-12-03 Nunhems B.V. Downy mildew resistance in cucurbitaceae plants
JP2023514461A (ja) * 2020-02-18 2023-04-05 ヌンヘムス ビー.ブイ. スイカの種子サイズを選択し、トマト種子サイズ遺伝子に改変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
AU2021359680A1 (en) 2020-10-12 2023-06-15 Nunhems B.V. Parthenocarpic watermelon plants
JP2023547548A (ja) 2020-11-09 2023-11-10 ヌンヘムス ビー.ブイ. 単為結果性スイカ植物体
US20240164270A1 (en) 2021-03-25 2024-05-23 Nunhems B.V. Watermelon gene conferring a high number of male flowers
WO2023275048A1 (en) 2021-06-30 2023-01-05 Nunhems B.V. Methods for selecting watermelon plants and plant parts comprising a modified dwarf14 ge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0933A1 (en) 1999-05-26 2000-11-30 Sunseeds, Inc. Pollenizer plants for use in the production of seedless watermel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479A (en) 1902-08-22 1903-06-23 Edwards R Push-botton.
GB9610044D0 (en) * 1996-05-14 1996-07-17 Sandoz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WO2003051103A2 (en) 2001-12-18 2003-06-26 Seminis Vegetable Seeds, Inc. Seedless watermelon having small fruit
US6759576B2 (en) * 2002-03-05 2004-07-06 Syngenta Participations Ag Enhanced pollenizer and method for increasing seedless watermelon yield
BR0308228A (pt) * 2002-03-05 2005-06-28 Syngenta Participations Ag Polinizador aperfeiçoado e método para aumentar a produção de melancias sem sementes
US9173356B2 (en) 2004-07-02 2015-11-03 Seminis Vegetable Seeds, Inc. Watermelon with improved processing qualities
KR101216516B1 (ko) * 2004-07-02 2012-12-31 세미니스 베저터블 시즈 인코포레이티드 개량된 가공품질을 가진 수박
US7314979B2 (en) 2004-11-30 2008-01-01 Harris Moran Seed Company Multibranching watermelon plant and method of producing
US7550652B2 (en) * 2006-12-04 2009-06-23 Syngenta Participations Ag Watermelon pollenizer SP-4
US8119862B2 (en) * 2007-09-17 2012-02-21 Seminis Vegetable Seeds, Inc. Watermelon line WNV142-1115
US7820884B2 (en) * 2008-05-15 2010-10-26 Gold Seed Co. Llc Dual purpose watermelon: reduced sugar watermelon for type 2 diabetics, and pollenizer for seedless watermel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0933A1 (en) 1999-05-26 2000-11-30 Sunseeds, Inc. Pollenizer plants for use in the production of seedless watermel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32636A1 (en) 2013-09-05
EP2642845A1 (en) 2013-10-02
AU2011333808A1 (en) 2013-06-06
JP6140079B2 (ja) 2017-05-31
WO2012069539A1 (en) 2012-05-31
JP2013544518A (ja) 2013-12-19
IL226496B (en) 2019-09-26
KR20130117822A (ko) 2013-10-28
CN103260394B (zh) 2016-08-24
AU2011333808B2 (en) 2016-09-08
US20130152223A1 (en) 2013-06-13
US20200093086A1 (en) 2020-03-26
IL226496A0 (en) 2013-07-31
CN103260394A (zh) 2013-08-21
US10517249B2 (en) 2019-12-31
MX2013005856A (es) 201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016B1 (ko) 이중 목적 수분수 수박
US9408354B2 (en) Watermelon variety NUN 01009 WMW
US9955638B2 (en) Watermelon variety NUN 31208 WMW
US9572312B2 (en) Watermelon variety NUN 7201 WMW
US20120295012A1 (en) Melon variety nun 02002
KR102091494B1 (ko) 부쉬 성장 습성을 갖는 삼배체 수박 식물
US20150245573A1 (en) Watermelon Variety NUN 05508 WMW
US9763399B2 (en) Dual purpose pollenizer watermelons
US20140020127A1 (en) Dual purpose pollenizer watermelons
US20130160167A1 (en) Watermelon variety nun 01007 wmw
US9516826B2 (en) Melon variety NUN 35007 MEM
US9516827B2 (en) Melon variety NUN 21267 MEM
US9516828B2 (en) Melon variety NUN 26357 MEM
US9185859B2 (en) Melon variety NUN 26191 MEM
US8859861B2 (en) Melon variety NUN 02602 ME
US20130232638A1 (en) Watermelon variety nun 01006 wmw
US20150245572A1 (en) Watermelon variety nun 05506 wmw
US20150245574A1 (en) Watermelon Variety NUN 31311 WMW
US9867342B2 (en) Melon variety NUN 16121 MEM
US9844194B2 (en) Melon variety NUN 26147 MEM
US8742209B2 (en) Melon variety NUN 1101
US9185858B2 (en) Melon variety NUN 26171 MEM
US20150156979A1 (en) Melon variety nun 89000 m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