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456B1 - 액체주입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액체주입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456B1
KR101970456B1 KR1020170057615A KR20170057615A KR101970456B1 KR 101970456 B1 KR101970456 B1 KR 101970456B1 KR 1020170057615 A KR1020170057615 A KR 1020170057615A KR 20170057615 A KR20170057615 A KR 20170057615A KR 101970456 B1 KR101970456 B1 KR 101970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moving
opening
unit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3406A (ko
Inventor
박진한
홍성수
Original Assignee
홍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수 filed Critical 홍성수
Priority to KR1020170057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456B1/ko
Publication of KR20180123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18Controlling escape of air from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0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grippers engaging opposed walls, e.g. suction-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지의 개구부를 개방하여 액체를 주입하는 액체주입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에 본 발명의 포장의 개구부 쪽의 한쪽 측면을 고정하는 고정부와 포장의 개구부 쪽의 다른 측면을 고정하되, 포장지의 한쪽이 다른 한쪽으로부터 떨어지게 이동하는 이동고정부, 개구부를 통해서 포장 내부로 이동되어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공급부, 개구부를 통해서 포장 내부로 이동되어 포장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배출부 및 고정부와 이동고정부, 액체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체주입 포장장치{package device for Liquid injection}
본 발명은 포장지에 액체를 주입하는 액체주입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포장지의 개구부를 개방하여 액체를 주입하는 액체주입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액체주입 포장장치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3-0070705호(2003.09.02.공개)에 액체상태의 주입물을 저장하는 탱크를 갖추고, 상기 탱크로 부터 상기 주입물을 공급하는 펌프를 구비한 주입물 공급부와 상기 주입물 공급부의 후류측에서 펌프의 토출측에 연결되는 분배 헤더를 갖추고, 상기 헤더로부터 인출된 다수개의 플렉시블 공급관을 각각 개폐시키는 개폐실린더들을 구비한 주입 조절부, 상기 주입 조절부의 후류측에서 각각의 플렉시블 공급관에 연결된 주입노즐을 갖추고, 상기 주입노즐을 수평대상에서 전,후이동시키는 실린더들을 갖는 주입부, 상기 주입부의 후류측에서 비닐 팩의 입구를 누르는 가압실린더들을 구비하고, 상기 가압 실린더에 인접하여 복수의 세라믹 열선들을 구비하여 비닐팩내에 주입물의 충전후 접착 밀봉시키는 가압및 접착부 및 상기 가압 및 접착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다수의 비닐 팩을 내장한 케이싱이 갖춰지고, 상기 케이싱으로 부터 상기 가압 및 접착부에 비닐 팩을 차례로 진공압력을 통하여 인출하여 배치시키는 진공 부착판을 구비한 비닐팩 공급부 등을 구비하여 비닐 팩내에 액상의 주입물을 자동으로 주입하고 접착밀봉하는 식료품 비닐 팩 자동포장기와 이에 사용되는 비닐 팩 고정구를 포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1994-0009006호에는 처방된 한약을 다려 추출시킨 액을 1회용 비닐팩에 정량씩 포장시키도록 하는 액체 한약제의 자동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추(2´)의 자중으로 팩(6)을 이공시키며 흡착구(24)에 의해 팩(6)을 낱개로 공급하는 팩공급장치(2)와, 전기 팩 공급장치(2),의 일측에 설치되며 공급된 팩(6)을 벌려 한약제를 일정량 주입시키는 주입장치(3)와, 전기 주입장치(3)의 일측에서 팩(6)의 상단을 열접착 고정하는 봉입장치(4)와, 전기 팩 공급장치(2)에서 봉입장치(4)에 이르기까지 설치되어 팩(6)을 이동시키며 90˚꺽여 출구(14)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장치(5)를 구성시켜 팩을 낱개로 자동공급하면서 일정량의 한약제를 주입시킨후 입구를 봉입 배출시키는 포장장치를 간단하면서 정확하게 작동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0641호(2009.09.24. 공개)는 원료의 주입, 세척, 밀봉 등 각 공정별 장치의 기구적인 작동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장치의 구동를 참조한 부하를 줄여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여 제품 제작를 참조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파우치 팩 자동 포장기가 개시되어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스파우트가 상부에 접합된 파우치 팩을 일정 타이밍 간격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과 상기 스파우트를 협지한 상태의 상기 파우치 팩을 일정 타이밍 간격으로 회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호퍼로부터 유입되는 원료를 상기 스파우트를 통해 상기 파우치 팩에 주입하기 위한 원료주입부와 상기 원료의 주입 과정에서 상기 파우치 팩의 외면에 묻은 잔여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부와 메인모터의 회전운동을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원료주입부와 세척부를 동시에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캠과; 내부에 구비된 피스톤축의 피스톤 운동을 통해 상기 파우치 팩에 주입되는 원료의 양을 조절하는 원료주입량조절부와 상기 메인모터의 회전운동을 상기 피스톤축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2캠과 상기 스파우트 상단에 안착되는 캡을 공급하기 위한 캡공급부와 상기 스파우트에 안착된 상태의 캡을 적정 회전압력으로 회전시켜 스파우트에 체결 밀봉하는 캡체결부와 상기 메인모터의 회전운동을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캡체결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3캠과 상기 캡이 체결된 파우치 팩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캠과 상기 원료주입량조절부의 피스톤축 사이에는 다수의 링크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크의 지렛대 운동을 통해 상기 피스톤축을 상하로 이동시켜 원료주입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동력전달장치가 더 설치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포장의 일부만을 개방하여 이물질이 포장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기술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포장의 개구부 일 면을 고정하는 고정부와 포장의 개구부의 다른 일 면을 고정하되, 개구부가 벌어지도록 하는 이동고정부, 개구부를 통해서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공급부, 액체공급부에 구성되어 포장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배출부 및 고정부와 이동고정부, 액체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고정부는 포장의 일면을 고정하는 이동거치부와 이동거치부를 개구부의 끝 쪽을 향해서 이동시키는 고정이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고정부는 포장의 한쪽 측면에 고정되는 두 개 이상의 이동거치부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거치부를 다른 이동거치부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고정이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포장의 일 면과 떨어진 상태로 이동거치부 사이에 구성되되,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포장의 일부를 당기는 포장유도부를 포함한다.
상기 포장유도부는 액체공급부에 구성되되, 액체공급부의 이동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포장의 양면이 고정되도록 고정부와 이동고정부를 작동시키는 고정과정과 포장유도부가 포장의 일 면에 위치하도록 액체공급부를 이동시키는 공급부이동과정, 포장의 일 면이 포장유도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포장유도부를 작동시키는 포장유도과정, 포장의 일 면을 다른 일 면으로부터 떨어뜨려 개구부가 개방되도록 이동고정부를 작동시키는 개방과정 및 액체공급부를 개구부를 통과하여 포장 내부로 이동한 후, 액체를 포장 내부에 공급하도록 액체공급부를 작동시키는 공급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포장의 개구부를 이동고정부를 통해서 일부만을 개방할 수 있는바, 액체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의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이 포장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포장유도부를 통해서 포장의 개구부 일부가 정확하게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액체공급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포장유도부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포장지의 개구부를 개방하여 액체를 주입하는 액체주입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체주입 포장장치를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포장(10)의 개구부(11) 일 면을 고정하는 고정부(100)와 포장(10)의 개구부(11)의 다른 일 면을 고정하되, 개구부(11)가 벌어지도록 하는 이동고정부(200), 개구부(11)를 통해서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공급부(300), 액체공급부(300)에 구성되어 포장(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배출부(400) 및 고정부(100)와 이동고정부(200), 액체공급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고정부(200)는 포장(10)의 일면을 고정하는 이동거치부(210)와 이동거치부(210)를 개구부(11)의 끝 쪽을 향해서 이동시키는 고정이동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고정부(200)는 포장(10)의 한쪽 측면에 고정되는 두 개 이상의 이동거치부(210)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거치부(210)를 다른 이동거치부(210)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고정이동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포장(10)의 일 면과 떨어진 상태로 이동거치부(210) 사이에 구성되되,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포장(10)의 일부를 당기는 포장유도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포장유도부(600)는 액체공급부(300)에 구성되되, 액체공급부(300)의 이동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포장(10)의 양 면이 고정되도록 고정부(100)와 이동고정부(200)를 작동시키는 고정과정(S100)과 포장유도부(600)가 포장(10)의 일 면에 위치하도록 액체공급부(300)를 이동시키는 공급부이동과정(S400), 포장(10)의 일 면이 포장유도부(60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포장유도부(600)를 작동시키는 포장유도과정(S500), 포장(10)의 일 면을 다른 일 면으로부터 떨어뜨려 개구부(11)가 개방되도록 이동고정부(200)를 작동시키는 개방과정(S200) 및 액체공급부(300)를 개구부(11)를 통과하여 포장(10) 내부로 이동한 후, 액체를 포장(10) 내부에 공급하도록 액체공급부(300)를 작동시키는 공급과정(S300)을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포장유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포장(10)은 두 장 이상의 면이 서로 마주하고, 적어도 어느 한쪽 면을 제외한 면을 서로 접착한 것이 실시된다. 면은 통상의 비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정부(100)는 포장(10)의 개구부(11) 쪽의 한쪽 측면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개시된 일 실시 예를 참조한 고정부(100)는 하나 이상의 흡입구멍(111)이 형성된 거치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펌핑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110)의 후면에 형성된 흡입구멍(111)에 펌핑부(120)가 연결되어 결합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고정부(100)는 거치부(110)의 전면으로 포장(10)의 한쪽 면의 개구부(11) 쪽이 펌핑부(120)에 의해서 흡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한편, 거치부(110)와 펑핑부(120) 사이에는 유연성이 있는 튜브(미 도시)를 더 포함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할 수 있고, 펌핑부(120)를 대체하여 포장(10)의 일면을 흡착할 수 있는 정전기를 생성하는 자기장발생기(미 도시) 등을 실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거치부(210)는 탄성을 가지는 패드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동고정부(200)는 포장(10)의 개구부(11) 쪽의 다른 측면을 고정하되, 포장지(10)의 한쪽이 다른 한쪽으로부터 떨어지게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이동고정부(200)는 포장(10)의 개구부(11)를 최소한으로 벌려서 이물질이 포장(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한다.
도 1에 개시된 일 실시 예를 참조한 이동고정부(200)는 하나 이상의 이동흡입구멍(211)이 형성된 이동거치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이동펌핑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거치부(210)의 후면에 형성된 이동흡입구멍(211)에 이동펌핑부(22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동거치부(210)는 상기 설명된 거치부(110)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실린더로 구성된 고정이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이동부(230)는 이동거치부(210)의 하부 면에 결합되어 이동거치부(2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완성된 이동고정부(200)는 이동거치부(210)의 전면으로 포장(10)의 한쪽 면의 개구부(11) 쪽이 이동펌핑부(220)에 의해서 흡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동거치부(210)는 고정이동부(230)에 의해서 상기 설명된 고정부(100)에 흡착된 포장(10)의 일면과 떨어지도록 이동되어 포장(10)의 개구부(11)가 벌어진다.
도 2에 개시된 일 실시 예를 참조한 이동고정부(200)는 개구부(11)의 끝 쪽을 향해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고정부(200)는 하나 이상의 이동흡입구멍(211)이 형성된 이동거치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거치부(210)은 포장(10)의 개구부(11)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이동펌핑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거치부(210)의 후면에 형성된 이동흡입구멍(211)에 이동펌핑부(22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동거치부(210)는 상기 설명된 거치부(110)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실린더로 구성된 고정이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이동부(230)는 이동거치부(210)의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완성된 이동고정부(200)는 이동거치부(210)의 전면으로 포장(10)의 한쪽 면의 개구부(11) 쪽이 이동펌핑부(220)에 의해서 흡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동거치부(210)는 고정이동부(230)에 의해서 개구부(1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개구부(11)의 길이방향의 한쪽 끝 단으로 이동된다. 이때, 이동거치부(210)에 흡착된 포장(10)의 일 면이 포장(10)의 측면으로 밀리면서 개구부(11)의 끝 단이 찌그러지면서 틈이 발생하게 된다. 즉, 거치부(110)에 흡착된 포장(10)의 일면과 이동거치부(210)에 흡착된 포장(10)의 다른 일면이 서로 벌어진 상태가 되는 것이다.
도 3에 개시된 일 실시 예를 참조한 이동고정부(200)는 포장(10)의 한쪽 측면에 고정되는 두 개 이상의 이동거치부(210)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거치부(210)를 다른 이동거치부(210)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고정이동부(230)를 포함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고정부(200)는 하나 이상의 이동흡입구멍(211)이 형성된 이동거치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거치부(210)는 거치부(110)가 위치하는 반대쪽의 포장(10)의 개구부(11)쪽에 위치한다. 그리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이동펌핑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거치부(210)의 후면에 형성된 이동흡입구멍(211)에 이동펌핑부(22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동거치부(210)과 동일하게 구성된 또 다른 이동거치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또 다른 이동거치부(210)에는 또 다른 이동펌핑부(220)를 포함하거나, 기존의 이동펌핑부(220)와 튜브로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이동거치부(210)은 이동거치부(210)와 포장(10)의 개구부(11)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떨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통상의 실린더로 구성된 고정이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이동부(230)는 또 다른 이동거치부(21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완성된 이동고정부(200)는 이동거치부(210)의 전면으로 포장(10)의 한쪽 면의 개구부(11) 쪽이 이동펌핑부(220)에 의해서 흡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또 다른 이동거치부(210)는 고정이동부(230)에 의해서 개구부(1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개구부(11)의 길이방향의 한쪽 끝 단으로 이동된다. 이때, 또 다른 이동거치부(210)에 흡착된 포장(10)의 일 면 중, 일부가 이동거치부(210)로 이동하여, 이동거치부(210)과 또 다른 이동거치부(210) 사이의 포장(10)의 일면이 찌그러지면서 틈이 발생하게 된다. 즉, 이동거치부(210)에 흡착된 포장(10)의 일면이 또 다른 이동거치부(210)에 의해서 찌그러지면서 거치부(110)에 흡착된 포장(10)의 일면과 서로 벌어진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이동거치부(210)와 이동펌핑부(220) 사이에는 유연성이 있는 튜브(미 도시)를 더 포함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할 수 있고, 이동펌핑부(220)를 대체하여 포장(10)의 일면을 흡착할 수 있는 정전기를 생성하는 자기장발생기(미 도시) 등을 실시할 수도 있으며, 고정이동부(230)는 이동거치부(210)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도 족하므로 통상의 서보모터(미 도시)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거치부(210)는 탄성을 가지는 패드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액체공급부(300)는 개구부(11)를 통해서 포장(10) 내부로 이동되어 액체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개시된 액체공급부(300)는 액체가 보관된 용기와 연결된 튜브와 연결된다. 액체공급부(300)는 개구부(11)에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액체공급부(300)는 통상의 실린더 또는 서보모터 등으로 상부와 하부로 이동된다. 액체공급부(300)는 상기 설명된 이동고정부(200)에 의해서 벌려지는 개구부(11)에 대응하는 위치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배출부(400)는 개구부(11)를 통해서 포장(10) 내부로 이동되어 포장(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개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배출부(400)는 액체공급부(3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부(400)는 관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400)의 끝 단은 액체공급부(300)의 끝 단과 일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부(400)는 액체공급부(300)의 이동에 따라서 포장(10)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액체공급부(300)을 통해서 포장(10) 내부로 액체가 공급되면, 포장(10) 내부의 공기가 배출부(400)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즉, 액체공급부(300)가 포장(10) 내부로 위치한 후, 거치부(110) 또는 이동거치부(210)가 압박하는 상태가 된 후에 포장(10)이 밀폐된 상태에서 액체가 주입될 경우, 공급되는 액체와 포장(1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에 의해서 포장(10)이 터지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유도부(600)는 상기 포장(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과 떨어진 상태로 이동거치부(210) 사이에 구성되되,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포장(10)의 일부를 당기도록 구성된다.
도 4에 개시된 일 실시 예를 참조한 포장유도부(600)는 하나 이상의 구멍으로 구성된 유도흡입구멍(미 도시)을 포함한다. 포장유도부(600)는 상기 설명한 액체공급부(30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포장유도부(600)는 액체공급부(300)의 전면으로 서로 떨어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포장유도부(600)의 끝 단은 액체공급부(300)의 끝 단보다 더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도흡입구멍(미 도시)에는 통상의 펌핑장치로 구성된 유도펑핑부(미 도시)을 포함한다. 포장유도부(600)의 끝 단은 이동거치부(210)와 또 다른 이동거치부(2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포장유도부(600)는 이동거치부(210)와 또 다른 이동거치부(210)에 의해서 찌그러지는 포장(10)의 일 면 중 일부가 흡입되면서, 거치부(110)에 흡착된 포장(10)의 일 면과 찌그러지는 포장(10)의 다른 일면이 서로 떨어져서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한다.
제어부(500)는 고정부(100)와 이동고정부(200), 액체공급부(3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포장유도부(600)를 포함하여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2에 개시된 일 실시 예를 참조한 제어부(500)는 포장(10)의 측면이 고정되도록 고정부(100)와 이동고정부(200)를 작동시키는 고정과정(S100)과 포장(10)의 일 면을 다른 일 면으로부터 떨어뜨려 개구부(11)가 개방되도록 이동고정부(200)를 작동시키는 개방과정(S200), 액체공급부(300)를 개구부(11)를 통과하여 포장(10) 내부로 이동한 후, 액체를 포장(10) 내부에 공급하도록 액체공급부(300)를 작동시키는 공급과정(S30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과정(S100)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포장(10)의 일 면이 거치부(110)에 위치하면, 펌핑부(120)를 작동시켜 포장(10)의 일 면이 거치부(110)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포장(10)의 다른 일 면으로 이동고정부(200)의 이동거치부(210)를 전진시켜 포장(10)의 다른 일 면이 접하도록 한다. 그 후, 이동펌핑부(220)를 작동시켜 포장(10)의 다른 일면이 이동거치부(210)에 흡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과정(S100)은 포장(10)의 양 면이 거치부(110)와 이동거치부(210)에 각각 흡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개방과정(S200) 이동고정부(200)의 고정이동부(230)을 작동시켜, 이동거치부(210)에 흡착된 포장(10)의 일면이, 고정부(100)의 거치부(110)에 흡착된 포장(10)의 다른 일 면으로부터 떨어지게 한다. 즉, 포장(10)의 개구부(11)가 개방된다.
상기 공급과정(S300)은 액체공급부(300)를 작동시켜, 개구부(11)를 통과하여 포장(10) 내부로 이동한 후, 액체를 포장(10) 내부에 공급하도록 작동시킨다.
한편, 상기 개방과정(S200)을 거친 후, 액체공급부(300)이 포장(10) 내부에 위치할 때에, 이동고정부(200)를 작동시켜 개방된 개구부(11)를 원위치 시킬 수 있다. 개구부(11)가 원위치 되면, 포장(10)이 밀폐되는데, 이 때, 액체가 공급되는 만큼 포장(1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배출부(400)를 통해서 포장(10) 외부로 배출된다.
도 3 내지 도 4에 개시된 일 실시 예를 참조한 제어부(500)는 포장(10)의 양 면이 고정되도록 고정부(100)와 이동고정부(200)를 작동시키는 고정과정(S100)과 포장유도부(600)가 포장(10)의 일 면에 위치하도록 액체공급부(300)를 이동시키는 공급부이동과정(S400), 포장(10)의 일 면이 포장유도부(60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포장유도부(600)를 작동시키는 포장유도과정(S500), 포장(10)의 일 면을 다른 일 면으로부터 떨어뜨려 개구부(11)가 개방되도록 이동고정부(200)를 작동시키는 개방과정(S200), 액체공급부(300)를 개구부(11)를 통과하여 포장(10) 내부로 이동한 후, 액체를 포장(10) 내부에 공급하도록 액체공급부(300)를 작동시키는 공급과정(S300)을 포함하는 액체주입 포장장치.
상기 고정과정(S100)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포장(10)의 일 면이 거치부(110)에 위치하면, 펌핑부(120)를 작동시켜 포장(10)의 일 면이 거치부(110)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포장(10)의 다른 일 면으로 이동고정부(200)의 이동거치부(210)와 또 다른 이동거치부(210)를 전진시켜 포장(10)의 다른 일 면이 접하도록 한다. 그 후, 이동펌핑부(220)를 작동시켜 포장(10)의 다른 일면이 이동거치부(210)와 또 다른 이동거치부(210)에 흡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과정(S100)은 포장(10)의 일 면이 거치부(110)에 고정되고, 또 다른 일 면의 양 끝 단 쪽의 일부가 이동거치부(210)와 또 다른 이동거치부(210)에 각각 흡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공급부이동과정(S400)은 액체공급부(300)를 하부로 이동시켜, 포장유도부(600)의 끝 단이 이동거치부(210)와 또 다른 이동거치부(21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의 포장유도부(600)의 끝 단은 포장(10)의 일 면과 떨어진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포장유도과정(S500)은 포장유도부(600) 를 작동시켜, 포장(10) 방향 쪽의 공기를 흡입하여, 이하 설명될 개방과정(S200)에서 찌그러지는 포장(10)의 일부를 포장유도부(600)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개방과정(S200) 이동고정부(200)의 고정이동부(230)을 작동시켜, 또 다른 이동거치부(210)에 흡착된 포장(10)의 일면의 일부를 이동거치부(210)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이렇게 이동되는 포장(10)의 일 면은 이동거치부(210)와 또 다른 이동거치부(210)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면서 포장(10)의 일 면의 일부가 찌그러진다. 즉, 포장(10)의 일면이 거치부(110)에 의해서 펼쳐진 상태로 고정되고, 이동거치부(210)에 의해서 찌그러지는 포장(10)의 다른 일 면은 거치부(110)에 고정된 일 면과 서로 떨어진 상태가 된다. 더욱이, 포장유도과정(S500)에 의해서 찌그러진 포장(10)의 일 면의 일부가 용이하게 벌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공급과정(S300)은 액체공급부(300)를 한 번 더 작동시켜, 개구부(11)를 통과하여 포장(10) 내부로 이동한 후, 액체를 포장(10) 내부에 공급하도록 작동시킨다.
10 : 포장
11 : 개구부
100 : 고정부
110 : 거치부
111 : 흡입구멍
120 : 펌핑부
200 : 이동고정부
210 : 이동거치부
211 : 이동흡입구멍
220 : 이동펌핑부
230 : 고정이동부
300 : 액체공급부
400 : 배출부(400)
500 : 제어부
S100 : 고정과정
S200 : 개방과정
S300 : 공급과정
S400 : 공급부이동과정
S500 : 포장유도과정
600 : 포장유도부

Claims (6)

  1. 액체주입 포장장치에 있어서,
    포장(10)의 개구부(11) 일 면을 고정하는 고정부(100);
    포장(10)의 개구부(11)의 다른 일 면을 고정하되, 개구부(11)가 벌어지도록 하는 이동고정부(200);
    개구부(11)를 통해서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공급부(300);
    액체공급부(300)에 구성되어 포장(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배출부(400); 및
    고정부(100)와 이동고정부(200), 액체공급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되,
    이동고정부(200)는 포장(10)의 한쪽 측면에 고정되는 두 개 이상의 이동거치부(210)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거치부(210)를 다른 이동거치부(210)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고정이동부(230)를 포함하는 액체주입 포장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포장(10)의 일 면과 떨어진 상태로 이동거치부(210) 사이에 구성되되,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포장(10)의 일부를 당기는 포장유도부(600)를 포함하는 액체주입 포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포장유도부(600)는
    액체공급부(300)에 구성되되, 액체공급부(300)의 이동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포함하는 액체주입 포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어부(500)는
    포장(10)의 양 면이 고정되도록 고정부(100)와 이동고정부(200)를 작동시키는 고정과정(S100);
    포장유도부(600)가 포장(10)의 일 면에 위치하도록 액체공급부(300)를 이동시키는 공급부이동과정(S400);
    포장(10)의 일 면이 포장유도부(60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포장유도부(600)를 작동시키는 포장유도과정(S500);
    포장(10)의 일 면을 다른 일 면으로부터 떨어뜨려 개구부(11)가 개방되도록 이동고정부(200)를 작동시키는 개방과정(S200); 및
    액체공급부(300)를 개구부(11)를 통과하여 포장(10) 내부로 이동한 후, 액체를 포장(10) 내부에 공급하도록 액체공급부(300)를 작동시키는 공급과정(S300)을 포함하는 액체주입 포장장치.
KR1020170057615A 2017-05-08 2017-05-08 액체주입 포장장치 KR101970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615A KR101970456B1 (ko) 2017-05-08 2017-05-08 액체주입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615A KR101970456B1 (ko) 2017-05-08 2017-05-08 액체주입 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406A KR20180123406A (ko) 2018-11-16
KR101970456B1 true KR101970456B1 (ko) 2019-04-18

Family

ID=64565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615A KR101970456B1 (ko) 2017-05-08 2017-05-08 액체주입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4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607B1 (ko) * 2020-01-21 2020-06-26 김경립 정육 공급가이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938B1 (ko) * 1998-12-24 2003-06-02 소형렬 프린터용카트리지의잉크충진장치
KR101157400B1 (ko) * 2009-11-10 2012-06-25 이종열 비료 자동 충전장치
KR101561350B1 (ko) * 2013-12-16 2015-10-19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고형물과 액상을 분리 포장하는 로터리 타입 백 포장기 및 그 포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406A (ko) 201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235B1 (ko) 주입구를 가진 자루들에 액체를 채우기 위한 방법 및 장치
TW426800B (en) Controllable liquid dispensing device
JP4858966B2 (ja) 電子部品の圧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WO2015174841A1 (en) Filling device
JP2010503438A (ja) 人工授精用ストローへの精液充填装置
KR101970456B1 (ko) 액체주입 포장장치
CN205634848U (zh) 液体灌装机
US201601213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lling a hot melt adhesive tank
KR101901061B1 (ko)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
KR20100081032A (ko) 수직포장기
CN106428790A (zh) 一种全自动棒袋灌装封口机
CN202016719U (zh) 全自动自立袋封管机送管嘴机构
JP6710681B2 (ja) 事前形成された開封デバイスを包装材料のウェブに取り付けるためのユニットおよび方法
CN105173147A (zh) 预填充注射器灌装机
KR20210009807A (ko) 파우치 성형기의 용액 주입장치
CN103303507B (zh) 一种灌装结构
CN202968085U (zh) 灭菌灌装机
KR200464881Y1 (ko) 화장품 용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CN213895179U (zh) 一种用于二氯乙腈自动灌装装置
KR101721434B1 (ko) 화장재 충진장치
KR100306614B1 (ko) 화장품액 자동 충전장치
CN210457410U (zh) 多路微量流体高精度灌装系统
CN104475304B (zh) 用于带内衬薄膜包装袋的四喷头口部粘合装置
KR101339298B1 (ko) 밴드 실링장치
CN208828147U (zh) 一种灌装封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