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350B1 -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 그리고 그 시스템에 적용되는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 및 자력 검출기 - Google Patents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 그리고 그 시스템에 적용되는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 및 자력 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350B1
KR101970350B1 KR1020160098596A KR20160098596A KR101970350B1 KR 101970350 B1 KR101970350 B1 KR 101970350B1 KR 1020160098596 A KR1020160098596 A KR 1020160098596A KR 20160098596 A KR20160098596 A KR 20160098596A KR 101970350 B1 KR101970350 B1 KR 101970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er
magnetic
magnetic substance
livestock
in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5021A (ko
Inventor
이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라이브셀인스트루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라이브셀인스트루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라이브셀인스트루먼트
Priority to KR1020160098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350B1/ko
Publication of KR20180015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7/00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olid, liquid, or gaseous remedies or other materials into or onto the bodies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69Devices for implanting pellets, e.g. markers or solid medica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Dermatology (AREA)
  • Econom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 그리고 그 시스템에 적용되는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 및 자력 검출기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은, 가축이 예방주사를 맞았는지의 여부를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가축의 몸 속에 투입되며, 내부에 자성체가 마련되는 자성체 식별자; 상기 자성체 식별자가 접종 가능하도록 상기 자성체 식별자를 발사하는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 상기 가축의 외부에서 상기 자성체 식별자가 있는지의 여부를 스캔하되 알림부를 구비하는 자력 검출기; 및 상기 자력 검출기의 스캔 작용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 그리고 그 시스템에 적용되는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 및 자력 검출기{Detecting system whether or not the vaccine and injector and scanner therefor}
본 발명은,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전처럼 부착식 식별자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해당 가축이 예방주사를 맞았는지의 여부를 손쉽게 식별할 수 있어 가축 관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 그리고 그 시스템에 적용되는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 및 자력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구제역 등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가축, 특히 돼지나 소 등의 가축은 예방주사를 맞아야만 한다. 이때, 예방주사를 맞은 다음에는 별도의 부착식 식별자를 가축에 부착시켜 예방주사를 맞았는지의 여부를 표시하게 된다.
즉 구제역 등의 가축질병 예방접종 실행 후에는 접종여부를 추후 확인하기 위해 식별표시를 한다. 이때는 가축에 페인트칠 또는 도장을 하거나 화상을 입히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하지만, 페이트칠이나 도장의 방법으로 가축 예방주사의 접종여부를 식별하려 하는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칠이 벗겨져서 추후에 인식이 어려워지는 일이 종종 발생된다.
그리고 화상을 입혀 표시하는 것은 동물 학대에 따른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화상에 의한 감염병 발생 등 또 다른 질병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상부위가 잘 보이지 않아서 인식에 어려움이 제기된다.
만약, 상기의 이유로 인해 가축 예방주사를 접종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식별이 지워지거나 없어져서 접종여부를 증명할 수 없다면 불가피하게 해당 가축을 살처분해야 하는 등 경제적인 손실이 뒤따른다.
분자생물학적으로 접종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나 이는 비용과 시간이 크게 소요되어 실질적인 적용이 불가능한 상황이라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러한 사항들을 손쉽게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7-001551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9-005859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12113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9-002053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전처럼 부착식 식별자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해당 가축이 예방주사를 맞았는지의 여부를 손쉽게 식별할 수 있어 가축 관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 그리고 그 시스템에 적용되는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 및 자력 검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가축이 예방주사를 맞았는지의 여부를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가축의 몸 속에 투입되며, 내부에 자성체가 마련되는 자성체 식별자; 상기 자성체 식별자가 접종 가능하도록 상기 자성체 식별자를 발사하는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 상기 가축의 외부에서 상기 자성체 식별자가 있는지의 여부를 스캔하되 알림부를 구비하는 자력 검출기; 및 상기 자력 검출기의 스캔 작용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자성체 식별자는, 상기 자성체가 탑재되는 식별자 몸체; 상기 식별자 몸체의 전단부에 뾰족하게 형성되는 첨예부; 및 상기 식별자 몸체의 후단부 영역에 배치되되 상기 식별자 몸체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다수의 이탈 방지용 날개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는, 상호간 조립 또는 분리되는 제1 및 제2 커버를 구비하며, 내부에 부품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인젝터 바디; 상기 인젝터 바디의 전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자성체 식별자를 발사시키는 식별자 발사용 샤프트; 상기 식별자 발사용 샤프트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가 위치되는 상기 식별자 발사용 샤프트에 결합되는 샤프트 플레이트; 상기 자성체 식별자를 발사시키는 방아쇠; 및 일단부는 상기 샤프트 플레이트에 선택적으로 걸리며, 상기 방아쇠에 의해 동작되는 회전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는, 상기 회전레버가 원위치 복귀되도록 상기 회전레버에 결합되는 레버 스프링; 및 상기 식별자 발사용 샤프트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식별자 발사용 샤프트를 원위치 복귀시키는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자 발사용 샤프트의 단부에는 상기 자성체 식별자가 탑재되는 주사바늘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자력 검출기는, 아크 부분과 직선 부분을 구비하는 검출기 본체; 상기 검출기 본체의 아크 부분의 단부에 마련되는 고감도 자력센서 어레이; 및 상기 검출기 본체의 직선 부분에 마련되며, 자력 검출을 확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레퍼런스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내부에 자성체가 마련되며, 가축이 예방주사를 맞았는지의 여부를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가축의 몸 속에 투입되되 예방접종 주사액과 섞여 배치되는 자성체 식별용 비드; 상기 가축의 외부에서 상기 자성체 식별용 비드가 있는지의 여부를 스캔하되 알림부를 구비하는 자력 검출기; 및 상기 자력 검출기의 스캔 작용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처럼 부착식 식별자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해당 가축이 예방주사를 맞았는지의 여부를 손쉽게 식별할 수 있어 가축 관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에 적용되는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성체 식별자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내 내부 구조도이다.
도 4는 자력 검출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에 적용되는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자성체 식별자 영역의 확대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에 적용되는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성체 식별자 영역의 확대도, 도 3은 도 1내 내부 구조도, 도 4는 자력 검출기의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도 1의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은 종전처럼 부착식 식별자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해당 가축이 예방주사를 맞았는지의 여부를 손쉽게 식별할 수 있어 가축 관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은 자성체 식별자(110),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130), 자력 검출기(150), 그리고 이들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자성체 식별자(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총알 형상으로 제작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자성체 식별자(110)는 가축이 예방주사를 맞았는지의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표식으로서,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130)의 작용으로 가축의 몸 속에 투입될 수 있다. 즉 예방주사를 맞은 가축에게 예방주사를 맞았다는 표시를 하기 위해 자성체 식별자(110)가 사용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자성체 식별자(110)는 자성체(111)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식별의 신뢰도가 높아질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자성체 식별자(110)는 자력 검출기(150)의 스캔 시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성체(111)와, 자성체(111)가 탑재되는 식별자 몸체(112)와, 식별자 몸체(112)의 전단부에 뾰족하게 형성되는 첨예부(113)와, 식별자 몸체(112)의 후단부 영역에 배치되되 식별자 몸체(112)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다수의 이탈 방지용 날개플랜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자 몸체(112)는 자성체(111)를 지지한다. 이때, 식별자 몸체(112)는 자성체(111)에 녹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주변조직과의 반응을 차단하기 위한 생체적합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탈 방지용 날개플랜지(114)들은 단면이 삼각형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자성체 식별자(110)는 첨예부(113)의 뾰족한 구조로 인해 자성체 식별자(110)가 가축의 몸 속으로는 용이하게 들어가지만 이탈 방지용 날개플랜지(114)들로 인해 반대방향으로는 쉽게 빠지지 않는다.
다음으로,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130)는 자성체 식별자(110)가 가축의 몸 속으로 접종 가능하도록 자성체 식별자(110)를 발사하는 역할을 한다.
쉽고 빠른 작업이 가능하도록 본 실시예에서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130)는 권총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130)는 인젝터 바디(131), 식별자 발사용 샤프트(132), 탄성부재(133), 샤프트 플레이트(134), 방아쇠(135), 회전레버(136), 그리고 핸들(137)을 포함할 수 있다.
인젝터 바디(131)는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130)의 외관을 이룬다. 이러한 인젝터 바디(131)는 상호간 조립 또는 분리되는 제1 및 제2 커버(131a,131b)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커버(131a,131b) 사이에서 부품수용공간(S)이 형성될 수 있으며, 부품수용공간(S) 내에 다수의 부품들의 위치별로 탑재될 수 있다.
식별자 발사용 샤프트(132)는 인젝터 바디(131)의 전단부에 마련되며, 자성체 식별자(110)를 발사시키는 발사대 역할을 한다.
자성체 식별자(110)에 자성체(111)가 마련되기 때문에 자성체 식별자(110)가 금속 재질의 식별자 발사용 샤프트(132)에 자기적으로 일시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탄성부재(133)는 식별자 발사용 샤프트(132)에 탄성을 제공함으로써 탄성력에 의해 자성체 식별자(110)가 발사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133)는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133)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깊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샤프트 플레이트(134)는 탄성부재(133)가 위치되는 식별자 발사용 샤프트(132)에 결합되는 원반 형상의 구조물이다. 샤프트 플레이트(134)는 인젝터 바디(131)의 벽체(131a)까지 운동될 수 있다.
방아쇠(135)는 자성체 식별자(110)를 발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인젝터 바디(131)의 몸체(131c)를 손으로 파지한 후, 어느 한 손가락을 방아쇠(135)에 걸어 방아쇠(135)를 동작시킬 수 있다.
방아쇠(135)를 당기면 회전축(135a)에 의해 방아쇠(135)가 회전되면서 회전레버(136)를 도 3의 실선에서 점선으로 하강시킬 수 있는데, 이때 회전레버(136)에 의해 샤프트 플레이트(134)의 걸림이 해제되기 때문에 탄성부재(133)가 탄성팽창되면서 식별자 발사용 샤프트(132)를 통해 샤프트 플레이트(134)와 식별자 발사용 샤프트(132)를 전진시켜 자성체 식별자(110)가 발사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레버(136)는 일단부는 샤프트 플레이트(134)에 선택적으로 걸리며, 방아쇠(135)에 의해 동작되는 구조물이다. 회전레버(136)가 원위치 복귀되도록 회전레버(136)에는 레버 스프링(136a)이 연결될 수 있다.
핸들(137)은 식별자 발사용 샤프트(132)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식별자 발사용 샤프트(132)를 원위치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핸들(137)과 식별자 발사용 샤프트(132)에는 식별자 발사용 샤프트(132)를 전후진시키는 전후진부(138)가 연결된다.
다음으로, 자력 검출기(150)는 가축의 외부에서 자성체 식별자(110)가 있는지의 여부를 스캔하는 역할을 한다.
즉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130)의 작용으로 자성체 식별자(110)가 가축의 몸 속에 투여, 즉 접종된 이후, 자력 검출기(150)를 통해 스캔작업을 진행하면 해당 가축이 예방주사를 맞았는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자력 검출기(150)는 아크 부분(151a)과 직선 부분(151b)을 구비하는 검출기 본체(151)와, 검출기 본체(151)의 아크 부분(151a)의 단부에 마련되는 고감도 자력센서 어레이(152)와, 검출기 본체(151)의 직선 부분(151b)에 마련되는 레퍼런스 자석(153)과, 알림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감도 자력센서 어레이(152)는 다수의 자력센서로 적용됨으로써, 자성체 식별자(110)의 자성체(111)가 용이하게 검출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고감도 자력센서 어레이(152)는 검출기 본체(151)의 아크 부분(151a)에 배치됨으로써 동물의 목과 등을 쉽게 스캔할 수 있게끔 한다.
자성체 식별자(110)의 자성체(111) 검출 시 자력 검출을 확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레퍼런스 자석(153)을 이용한 보정이 가능하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검출기 본체(151)의 직선 부분(151b)에는 고감도 자력센서 어레이(152)로의 전력 공급을 위해 건전지가 마련될 수 있다. 건전지는 충전식일 수 있다.
알림부(155)는 소리 방식으로 식별을 알린다. 즉 자성체 식별자(110)가 들어 있다고 식별되면 그에 맞는 일정한 소리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소리만으로도 해당 가축이 예방주사를 맞았다고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 알림부(155)는 스피커 형태로 되어 있으나 스피커 대신에 램프 등으로 알림을 구현할 수도 있다. 예컨대, 파란색 램프가 켜지면 예방주사를 맞은 것으로, 빨간색 램프가 켜지면 예방주사를 맞지 않은 것으로 식별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컨트롤러(170)는 자력 검출기(150)의 감도 자력센서 어레이(152)에 의한 스캔 작용에 기초하여 알림부(155)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즉 감도 자력센서 어레이(152)에 의해 자성체 식별자(110)의 자성체(111)가 검출되면 알림부(155)를 통해 일정한 소리가 발생되도록 하여 해당 가축이 예방주사를 맞았다는 것을 소리로 확인시켜 줄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70)는 중앙처리장치(171, CPU), 메모리(17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71)는 본 실시예에서 자력 검출기(150)의 감도 자력센서 어레이(152)에 의한 스캔 작용에 기초하여 알림부(155)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7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71)과 연결된다. 메모리(17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7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73)은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70)는 자력 검출기(150)의 감도 자력센서 어레이(152)에 의한 스캔 작용에 기초하여 알림부(155)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170)가 자력 검출기(150)의 감도 자력센서 어레이(152)에 의한 스캔 작용에 기초하여 알림부(155)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가축이 예방주사를 맞은 후에는 가축 예방주사와는 별개로 스캔 식별 가능한 식별자인 자성체 식별자(110)를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130)를 통해 해당 가축의 몸 속으로 투여한다.
그런 다음, 관리소 등에서 자력 검출기(150)의 스캔작업을 통해 자성체 식별자(110)가 있는지를 체크함으로써, 해당 가축이 예방주사를 맞았는지를 손쉽게 식별할 수 있다. 이대는 자성에 의해 스캔 식별이 가능하기 때문에 식별의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때, A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예방주사는 다리 부분에, B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예방주사는 등 부분에 맞는 등 그 접종 부위를 나누어 진행하게 되면 추후 식별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을 것임에 틀림이 없다.
한편, 가축의 도축 시 접종부위를 절개하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에 정확한 접종부위 확인이 매우 중요한데, 본 실시예처럼 자성체 식별자(110)의 자성체(111)를 이용하면 오차없이 정확히 식별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처럼 부착식 식별자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해당 가축이 예방주사를 맞았는지의 여부를 손쉽게 식별할 수 있어 가축 관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에 적용되는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자성체 식별자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에도 자성체 식별자(210)를 가축의 몸 속으로 투입시키기 위한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230)를 포함한다.
이때, 자성체 식별자(210)는 자성체(211)를 구비하되 전술한 형태와는 약간 상이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의 자성체 식별자(210)가 사용될 때는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230)의 식별자 발사용 샤프트(232)의 단부에 자성체 식별자(210)가 탑재되는 주사바늘(220)이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주사바늘(220)로 인해 자성체 식별자(210)가 잘 접종될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특히, 주사바늘(220)이 가축의 두꺼운 가죽을 뚫게 한 후, 그 곳에 자성체 식별자(210)가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전처럼 부착식 식별자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해당 가축이 예방주사를 맞았는지의 여부를 손쉽게 식별할 수 있어 가축 관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2 및 도 7의 자성체 식별자(110,210)를 사용하지 않고, 자성체 식별용 비드(미도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의 자성체 식별용 비드는 알갱이 형태의 구성으로서 그 내부에도 자성체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작은 비드형태의 자성체를 테플론 등의 생체 적합물질로 코팅하여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자성체 식별용 비드는 예방접종 주사액과 섞여 배치됨으로써 예방접종 주사액을 맞을 때, 가축의 몸 속에 같이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혈관 등을 따라 이동하지 않도록 충분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축 예방주사 접종 시 약액에 자성체 식별용 비드를 섞어 약액과 함께 가축의 몸 속에 투여되도록 하고, 이후에 자력 검출기(150)의 스캔작업을 통해 자성체 식별자(110)가 있는지를 체크함으로써, 해당 가축이 예방주사를 맞았는지를 손쉽게 식별할 수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자성체 식별자 111 : 자성체
112 : 식별자 몸체 113 : 첨예부
114 : 이탈 방지용 날개플랜지 130 :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
131 : 인젝터 바디 131a : 제1 커버
131b : 제2 커버 132 : 식별자 발사용 샤프트
133 : 탄성부재 134 : 샤프트 플레이트
135 : 방아쇠 136 : 회전레버
137 : 핸들 150 : 자력 검출기
151 : 검출기 본체 151a : 아크 부분
151b : 직선 부분 152 : 고감도 자력센서 어레이
153 : 레퍼런스 자석 155 : 알림부
170 : 컨트롤러

Claims (7)

  1. 가축이 예방주사를 맞았는지의 여부를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가축의 몸 속에 투입되며, 내부에 자성체가 마련되는 자성체 식별자;
    상기 자성체 식별자가 접종 가능하도록 상기 자성체 식별자를 발사하는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
    상기 가축의 외부에서 상기 자성체 식별자가 있는지의 여부를 스캔하되 알림부를 구비하는 자력 검출기; 및
    상기 자력 검출기의 스캔 작용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식별자는,
    상기 자성체가 탑재되는 식별자 몸체;
    상기 식별자 몸체의 전단부에 뾰족하게 형성되는 첨예부; 및
    상기 식별자 몸체의 후단부 영역에 배치되되 상기 식별자 몸체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다수의 이탈 방지용 날개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는,
    상호간 조립 또는 분리되는 제1 및 제2 커버를 구비하며, 내부에 부품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인젝터 바디;
    상기 인젝터 바디의 전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자성체 식별자를 발사시키는 식별자 발사용 샤프트;
    상기 식별자 발사용 샤프트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가 위치되는 상기 식별자 발사용 샤프트에 결합되는 샤프트 플레이트;
    상기 자성체 식별자를 발사시키는 방아쇠; 및
    일단부는 상기 샤프트 플레이트에 선택적으로 걸리며, 상기 방아쇠에 의해 동작되는 회전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는,
    상기 회전레버가 원위치 복귀되도록 상기 회전레버에 결합되는 레버 스프링; 및
    상기 식별자 발사용 샤프트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식별자 발사용 샤프트를 원위치 복귀시키는 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발사용 샤프트의 단부에는 상기 자성체 식별자가 탑재되는 주사바늘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검출기는,
    아크 부분과 직선 부분을 구비하는 검출기 본체;
    상기 검출기 본체의 아크 부분의 단부에 마련되는 고감도 자력센서 어레이; 및
    상기 검출기 본체의 직선 부분에 마련되며, 자력 검출을 확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레퍼런스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
  7. 내부에 자성체가 마련되며, 가축이 예방주사를 맞았는지의 여부를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가축의 몸 속에 투입되되 예방접종 주사액과 섞여 배치되는 자성체 식별용 비드;
    상기 가축의 외부에서 상기 자성체 식별용 비드가 있는지의 여부를 스캔하되 알림부를 구비하는 자력 검출기; 및
    상기 자력 검출기의 스캔 작용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
KR1020160098596A 2016-08-02 2016-08-02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 그리고 그 시스템에 적용되는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 및 자력 검출기 KR101970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596A KR101970350B1 (ko) 2016-08-02 2016-08-02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 그리고 그 시스템에 적용되는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 및 자력 검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596A KR101970350B1 (ko) 2016-08-02 2016-08-02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 그리고 그 시스템에 적용되는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 및 자력 검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021A KR20180015021A (ko) 2018-02-12
KR101970350B1 true KR101970350B1 (ko) 2019-05-03

Family

ID=6122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596A KR101970350B1 (ko) 2016-08-02 2016-08-02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 그리고 그 시스템에 적용되는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 및 자력 검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3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6992A (ja) 2002-11-25 2006-03-02 ルミタグ エス エル 電子識別デバイス(トランスポンダ)使用型動物識別監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4035A (en) * 1994-10-26 1996-02-27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Method for detecting presence of ferromagnetic objects in a medical patient
KR970015519A (ko) 1997-01-27 1997-04-28 육상구 폐기물을 이용한 경량 건축자재용 조성물
KR200254186Y1 (ko) 1997-11-26 2002-01-17 이구택 슬라브의 측면덧살제거를 위한 고압수 분사노즐의 위치자동조정장치
KR19990058599A (ko) 1997-12-30 1999-07-15 손경식 이중 캡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21133A (ko) 2010-04-30 2011-11-07 주식회사 비씨엠코리아 레이저 발현부가 구비된 손목착용구
KR20120071235A (ko) * 2010-12-22 2012-07-02 주식회사 노아바이오텍 마그네틱 비드를 이용한 정자 성 분리방법
KR20140067195A (ko) * 2012-11-24 2014-06-05 주식회사 엠앤지파트너스 가축의 경구투여용 생체정보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KR101409849B1 (ko) * 2012-11-26 2014-07-07 전자부품연구원 생체 삽입형 센서 태그 기반 가축 이력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6992A (ja) 2002-11-25 2006-03-02 ルミタグ エス エル 電子識別デバイス(トランスポンダ)使用型動物識別監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021A (ko) 2018-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34373B (zh) 在线实时大规模疫苗接种和数据采集系统
US6401071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cording animal injection information
CN102823571A (zh) 杀昆虫装置及方法
US8922373B2 (en) Self anchoring implantable identification microchip for use in animals
US9605927B2 (en) Disruptor device simulation system
JP2019510230A (ja) 試料採取装置及び方法
US20220079733A1 (en) Integrated Fluid Administration System
KR101970350B1 (ko) 가축 예방주사 접종여부 식별시스템, 그리고 그 시스템에 적용되는 자성체 식별자 접종용 인젝터 및 자력 검출기
US20180142994A1 (en) Disruptor device simulation system
JP7268040B2 (ja) 空洞からのアイテムの取出し、及び、それらの交換を検出するための複数の空洞キャリア装置
CA2470509A1 (en) Insect holder
CN101905048A (zh) 注射泵、注射器、注射系统以及识别方法
CN110913928A (zh) 用于数字监控自动注射器的使用情况以改善依从性、远程患者监控以及坚持性的设备附件
TW200602662A (en) A device and method for digitizing gamma ray energy and characterizing peak time and decay time constant without the use of adc
EP3131491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 fast moving surgical device
US20170128182A1 (en) Injection system using needleless syringe
US20210090466A1 (en) Medicament training device and system
WO2024015308A1 (en) Removable treatment management apparatus and treatment management system
TW202114518A (zh) 自動鳥類偵測及驅離的方法
KR101686050B1 (ko) 가축 예방접종용 카트리지
CN211454625U (zh) 一种不文明行为识别警示装置
Reddacliff Home-made projectile syringes
CN213465156U (zh) 一种具有提示效果的弧形切割吻合器
PT1225842E (pt) Aparelho para a inoculacao de medicacao em animais
Lian et al. Inhibition of Viremia in Swine Vaccinated with an Inactivated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