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294B1 - 항목 추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항목 추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294B1
KR101970294B1 KR1020170028543A KR20170028543A KR101970294B1 KR 101970294 B1 KR101970294 B1 KR 101970294B1 KR 1020170028543 A KR1020170028543 A KR 1020170028543A KR 20170028543 A KR20170028543 A KR 20170028543A KR 101970294 B1 KR101970294 B1 KR 101970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ry
terminal
answer
answerer
respon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1949A (ko
Inventor
김도연
강춘식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8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294B1/ko
Publication of KR20180101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5Reformulation based on results of preceding query
    • G06F16/3326Reformulation based on results of preceding query using relevance feedback from the user, e.g. relevance feedback on documents, documents sets, document terms or pass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2Query formulation using system sugges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질의자의 제1 질의에 대한 하나 이상의 추천 항목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상기 질의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질의를 수신하는 단계; 질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질의와 대응되는 제1 질의응답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질의와 대응되는 디렉토리에 속하는 가장 최근에 답변이 부가된 질의응답 세트를 제2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하는 단계; 전문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질의와 대응되는 추천 답변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질의응답 세트, 상기 제2 질의응답 세트 및 상기 추천 답변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질의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질의응답 세트 및 상기 제2 질의응답 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질의와 적어도 하나의 답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목 추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ITEM RECOMMEND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EX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항목 추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질의자의 질의에 대한 하나 이상의 추천 항목을 제공하고, 답변자의 답변에 대한 하나 이상의 추천 항목을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단말들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은 기본적인 음성 통신 기능에서 더 나아가 최근에는 데이터 통신,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음악 또는 동영상 파일 재생, 게임, 방송 시청 등 다양한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말을 통하여 질의를 시스템상에 업로드함으로써 답을 얻고자 하는 사용자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른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답변의 의무가 없는 불특정인에게 질의가 노출됨으로써 질의자는 자신의 질의에 대해 명확한 답변을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또한 이와 같이 명확한 답변이 없는 질의는 답변의 부재로 정보로써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낮으며, 심지어 다른 질의자의 답변 검색을 방해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질의자에게 유사한 질의를 포함하는 질의응답 세트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질의자에게 제공되는 질의응답 세트의 제공 범위의 광협을 달리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질의자에게 적절한 답변자를 추천하여, 보다 전문적이고 정확한 답변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질의에 대한 답변을 완성하는 경우를 증가시킴으로써, 답변 공백률을 줄이고, 이로써 유의미한 정보의 수가 증가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답변자에게 적절한 질의 및 적절한 질의자를 제공하여 답변하게 함으로써, 보다 의미 있는 질의응답 세트를 축적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의자의 제1 질의에 대한 하나 이상의 추천 항목을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질의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질의를 수신하는 단계; 질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질의와 대응되는 제1 질의응답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질의와 대응되는 디렉토리에 속하는 가장 최근에 답변이 부가된 질의응답 세트를 제2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하는 단계; 전문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질의와 대응되는 추천 답변자 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질의응답 세트, 상기 제2 질의응답 세트 및 상기 추천 답변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질의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질의응답 세트 및 상기 제2 질의응답 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질의와 적어도 하나의 답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답변자의 제1 답변에 대한 하나 이상의 추천 항목을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답변자의 단말에 제1 질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답변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질의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 질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질의와 대응되는 제3 질의응답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질의와 대응되는 디렉토리에 속하는 가장 최근에 생성된 질의응답 세트를 제4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질의응답 세트 및 상기 제4 질의응답 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답변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질의응답 세트 및 상기 제4 질의응답 세트는 답변자에 의한 답변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의자의 제1 질의에 대한 하나 이상의 추천 항목을 제공하는 장치는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질의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질의를 수신하고, 질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질의와 대응되는 제1 질의응답 세트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질의와 대응되는 디렉토리에 속하는 가장 최근에 답변이 부가된 질의응답 세트를 제2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하고, 전문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질의와 대응되는 추천 답변자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질의응답 세트, 상기 제2 질의응답 세트 및 상기 추천 답변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질의자의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제1 질의응답 세트 및 상기 제2 질의응답 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질의와 적어도 하나의 답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답변자의 제1 답변에 대한 하나 이상의 추천 항목을 제공하는 장치는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답변자의 단말에 제1 질의를 제공하고, 상기 답변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질의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답변을 수신하고, 질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질의와 대응되는 제3 질의응답 세트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질의와 대응되는 디렉토리에 속하는 가장 최근에 생성된 질의응답 세트를 제4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하고, 상기 제3 질의응답 세트 및 상기 제4 질의응답 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답변자의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제3 질의응답 세트 및 상기 제4 질의응답 세트는 답변자에 의한 답변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질의자에게 유사한 질의를 포함하는 수 개의 질의응답 세트를 제공하고, 질의자가 제공된 질의응답 세트 중 가장 적합한 질의응답 세트를 선택하게 하여, 질의자로 하여금 타인의 도움 없이도 보다 정확하고 빠른 답변을 획득하게 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질의자가 관심 분야의 다양한 질의응답을 보다 폭넓게 검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최신의 질의응답을 검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좁은범위에서 질의자의 질의 사항에 대해 보다 정확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넓은범위에서 질의자의 질의 사항과 관련 있는 질의 및 답변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장 최신의 답변을 제공함으로써 시시 각각 변하는 대중의 관심을 반영할 수 있고, 이로써 질의자의 추가적인 질의 없이도 궁금증을 근본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질의에 대한 답변을 완성하는 경우를 증가시킴으로써, 답변 공백률을 줄이고, 이로써 유의미한 정보의 수가 증가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답변자에게 적절한 질의 및 적절한 질의자를 제공하여 답변하게 함으로써, 보다 의미 있는 질의응답 세트를 축적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의자에 대한 항목 추천 장치가 추천 항목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답변자에 대한 항목 추천 장치가 추천 항목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질의자가 질의자 단말에 질의를 입력하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 6은 제어부에 의해 제공된 제1 질의응답 세트가 질의자 단말에 표시된 화면의 예시이다.
도 7은 제어부에 의해 제공된 제2 질의응답 세트가 질의자 단말에 표시된 화면의 예시이다.
도 8은 제어부에 의해 제공된 추천 답변자가 질의자 단말에 표시된 화면의 예시이다.
도 9는 제어부에 의해 제공된 제3 질의응답 세트가 답변자 단말에 표시된 화면의 예시이다.
도 10은 제어부에 의해 제공된 제4 질의응답 세트가 답변자 단말에 표시된 화면의 예시이다.
도 11은 제어부에 의해 제공된 추천 질문자가 답변자 단말에 표시된 화면의 예시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질의자 단말에 각 항목이 메신저의 형태로 표시된 화면의 예시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시스템은 서버(100), 질의자 단말(200), 답변자 단말(400) 및 이들을 연결하는 통신망(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시스템의 서버(100)는 질의자 단말(200)로부터 질의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질의자 단말(200)에 질의응답 세트 및 추천 답변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답변자 단말(400)로부터 답변을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답변자 단말(400)에 질의응답 세트 및 추천 질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에서 제1 질의와 같은 질의(質疑)는 질의자 단말(200)의 사용자인 질의자가 항목 추천 시스템상에 질문을 하여 답변을 얻고자 하는 사항일 수 있다. 이 때 질의는 통신망(300)을 통해 전자적으로 송수신 될 수 있는 정보로 문자, 부호, 음성, 음향,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질의는 질의자가 답변을 얻고자 하는 사항을 문자 및 이미지로 표현한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질의응답 세트(Set)는 적어도 하나의 질의 및/또는 답변을 포함하는 데이터 세트를 의미할 수 있다. 가령 질의자 단말(200)에 제공되는 질의응답 세트는 질의자의 질의, 질의자가 기 완성된 질의응답 세트로부터 선택한 답변 및 답변자의 해당 질의에 대한 답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답변자 단말(400)에 제공되는 질의응답 세트는 질의만 포함하거나 또는 질의와 질의자가 기 완성된 질의응답 세트로부터 선택한 답변만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제1 질의응답 세트 내지 제4 질의응답는 모두 전술한 질의응답 세트를 용도 및/또는 역할에 따라 구분되도록 명명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질의자 단말(200) 및 답변자 단말(400)과 같은 '단말'은 전술한 질의 및/또는 답변을 서버(100)와 송수신 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퍼스널 컴퓨터(201, 401)일 수도 있고 또는 휴대용 단말(202, 402)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휴대용 단말(202, 402)이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단말은 질의 및/또는 답변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 및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질의응답 세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입력수단 및 표시수단은 질의의 형태에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가령 입력수단은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마이크, 버튼, 터치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통신망(300)은 서버(100), 질의자 단말(200) 및 답변자 단말(400)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망(300)은 질의자 단말(200)이 서버(100)에 접속한 후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통신망(3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서버(100)는 질의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질의에 대응되는 질의응답 세트 및/또는 추천 답변자를 질의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답변자가 답변한 질의에 대응되는 질의응답 세트 및/또는 추천 질의자를 답변자 단말(4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버(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통신부(111), 제어부(112) 및 메모리(1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입/출력부, 프로그램 저장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1)는 항목 추천 장치(110)가 질의자 단말(200) 및/또는 답변자 단말(400)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제어부(112)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113)는 항목 추천 장치(11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항목 추천 장치(110)가 서버(100)에 구비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지만, 역할배분에 따라 항목 추천 장치(110)는 서버(100)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항목 추천 장치(110)와 질의자 단말(200)간의 동작을 설명할 때에는 항목 추천 장치(110)를 '질의자에 대한 항목 추천 장치'로, 항목 추천 장치(110)와 답변자 단말(400)간의 동작을 설명할 때에는 항목 추천 장치(110)를 '답변자에 대한 항목 추천 장치'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질의자에 대한 항목 추천 장치 및 답변자에 대한 항목 추천 장치는 동일한 것으로, 전술한 항목 추천 장치(110)를 그 역할에 따라 달리 명명한 것에 불과할 수 있다.
< 질의자에 대한 항목 추천 장치의 동작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질의자 단말(200)로부터 제1 질의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1 질의는 질의자 단말(200)의 사용자인 질의자의 질문 사항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질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질의자가 답변을 얻고자 하는 사항을 문자, 부호, 음성, 음향,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로 표현한 것일 수 있다. 가령 질의는 "현재 근로소득자이며 월세집에 거주하고 있는데 집주인 동의없이 월세공제가 가능하나요?"와 같이 문자로 질의자가 답변을 얻고자 하는 사항을 포함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질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답변을 얻고자 하는 사항 외에, 질의에 대한 부가적인 사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질의는 "연말정산 질문입니다"와 같은 질의의 제목 및/또는 주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질의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제1 질의를 복수의 디렉토리 중 적어도 하나의 디렉토리인 제1 디렉토리와 대응시킬 수 있다. 이 때 디렉토리(Directory)는 복수의 질의를 질의 간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수 개의 단위체로 구분한 것으로, 기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렉토리는 기 생성되어 메모리(113)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제1 질의의 내용에 기초하여 제1 질의를 제1 디렉토리와 대응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질의는 질의자 단말(200)의 사용자인 질의자의 질문 사항 외에 질의의 제목과 같은 질의에 대한 부가적인 사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제1 질의에 포함된 질의의 제목과 같은 질의에 대한 부가적인 사항 및/또는 질의자의 질문 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제1 질의를 제1 디렉토리와 대응시킬 수 있다.
한편 어떤 디렉토리는 디렉토리의 광협에 따라 하나 이상의 하위 디렉토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가령 '경제'디렉토리는 그 하위 디렉토리로 '세금, 세무'디렉토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와 유사하게 '세금, 세무'디렉토리는 그 하위 디렉토리로 '연말정산'디렉토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경제'디렉토리와 더불어, '건강', '생활' 및 '쇼핑'등의 디렉토리가 존재할 수 있다.
제어부(112)는 제1 질의를 상위 디렉토리 및 해당 상위 디렉토리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디렉토리에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2)는 제1 질의와 대응되는 디렉토리를 질의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가령 질의자가 "현재 근로소득자이며 월세집에 거주하고 있는데 집주인 동의없이 월세공제가 가능하나요?"와 같은 제목의 질의를 하였다고 가정해보자. 이러한 경우 제어부(112)는 질의와 경제 디렉토리, 경제의 하위 디렉토리인 세금.세무 디렉토리, 세금.세무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인 연말정산 디렉토리를 각각 대응시키고, 이러한 디렉토리를 질의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질의자는 제공된 디렉토리를 확인함으로써, 현재 자신이 입력한 질의가 정확한 분류에 따라 처리될 것인지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다.
만약 제어부(112)에 의한 디렉토리의 결정이 잘못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질의자는 디렉토리의 수정 요청을 통해 질의와 대응되는 디렉토리를 수정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질의자 단말(200)로부터 제1 디렉토리의 수정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1 질의와 대응되는 디렉토리를 수정할 수도 있다. 결정된 제1 질의의 디렉토리는 후술하는 질의응답 세트 결정 과정 및 추천 답변자 결정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질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제1 질의와 대응되는 제1 질의응답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12)는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제1 질의응답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하나 이상의 완성된 질의응답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데이터베이스에는 하나 이상의 질의와 각각의 질의에 대한 답변이 부가된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질의응답 세트는 각 질의자의 질의에 대한 답변이 완료될 때 마다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는 전술한 메모리(113)에 구성 및/또는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질의 유사도'는 어떤 두 질의 간의 유사한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가령 질의 유사도는 어떤 두 질의 간의 유사한 정도를 구체적인 수치로 표현한 것일 수 있다. 제어부(112) 이러한 수치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두 질의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제1 질의와 제1 질의응답 세트에 포함된 질의 간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제1 질의와 대응되는 질의응답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12)는 다양한 방식에 기초하여 두 개의 질의, 즉 제1 질의와 제1 질의응답 세트에 포함된 질의의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12)는 각각의 질의에서 키워드(Keyword)만을 추출한 뒤, 이를 비교함으로써 양 질의의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2)는 각각의 질의로부터 특징벡터(Feature Vector)를 생성하고, 생성된 특징벡터를 비교함으로써 양 질의의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2)는 각각의 질의의 디렉토리 및 각각의 질의에 부가된 테그(Tag)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양 질의의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에서, 제어부(112)는 질의에 포함된 키워드, 질의로부터 생성된 특징벡터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질의의 클러스터(Cluster)에 기초하여 질의의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12)는 어떤 두 질의의 클러스터가 일치하는 경우 양 질의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클러스터는 전술한 디렉토리와 구분되는 개념으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질의응답 세트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전술한 예시에서와 같이 제1 질의가 "현재 근로소득자이며 월세집에 거주하고 있는데 집주인 동의없이 월세공제가 가능하나요?"인 경우, 제어부(112)는 "월세 소득공제시 집주인 동의가 필요한가요?", "월세의 소득공제가 가능한가요?"등의 질의와 이에 대한 답변을 포함하는 질의응답 세트를 제1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제1 질의와 이에 대응되는 질의의 유사도가 높은 순서로, 소정의 개수의 질의응답 세트를 제1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12)는 유사도 순으로 상위 3개의 질의응답 세트를 제1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제1 질의응답 세트는 질의자 단말(200)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제1 질의와 대응되는 디렉토리에 속하는 가장 최근에 답변이 부가된 질의응답 세트를 제2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디렉토리'는 상술한 과정에 따라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제1 디렉토리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질의응답 세트로, 최근에 답변이 부가된 질의응답 세트를 제2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할 수 있다.
가령 제1 디렉토리가 '경제 > 세금.세무 > 연말정산'인 경우, 제어부(112)는 '경제 > 세금.세무 > 연말정산' 디렉토리에 속하는 질의를 포함하는 질의응답 세트를 제2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이 때 제어부(1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최근의 답변'이 부가된 질의응답 세트를 제2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질의자가 관심 분야의 다양한 질의응답을 보다 폭넓게 검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최신의 질의응답을 검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은 제1 질의응답 세트의 제공으로, 좁은범위에서 질의자의 질의 사항에 대해 보다 정확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넓은범위에서 질의자의 질의 사항과 관련 있는 질의 및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은 가장 최근의 답변을 제공함으로써 시시 각각 변하는 대중의 관심을 반영할 수 있고, 이로써 질의자가 추가적인 질의 없이도 궁금증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전문도에 기초하여 제1 질의와 대응되는 추천 답변자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전문도'는 제1 질의가 속하는 디렉토리에 대한 답변자의 전문적인 정도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문도는 가령 답변자의 해당 디렉토리 속하는 질의에 대한 과거 응답 수, 답변자의 답변에 대한 질의자의 만족의 정도, 답변자 스스로가 설정한 자신의 답변 분야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전문도는 복수의 디렉토리에 대한 해당 답변자의 전문적인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전문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질의가 속하는 제1 디렉토리에 대한 해당 답변자의 전문적인 정도뿐만 아니라, 제1 디렉토리와 상이한 제2 디렉토리, 제3 디렉토리 등에 대한 해당 답변자의 전문적인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어느 한 명의 답변자는 복수의 디렉토리에 대한 전문도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문도는 답변자 별 및/또는 디렉토리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12)는 질의자에게 하나 이상의 추천 답변자를 제공하고, 질의자 단말(200)로부터 추천 답변자의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선택된 추천 답변자에게 제1 질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질의응답 세트 및 제2 질의응답 세트를 제공함과 동시에 질의 분야의 전문 답변자를 제공하여, 질의자가 보다 전문적이고 정확한 답변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 결정된 제1 질의응답 세트, 제2 질의응답 세트, 추천 답변자 및 제1 디렉토리 중 적어도 하나를 질의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12)는 제1 디렉토리, 제1 질의응답 세트, 제2 질의응답 세트 및 추천 답변자를 순차적으로 질의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도 있고, 제1 질의응답 세트와 추천 답변자 만을 질의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제공 순서 및 항목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어부(112)가 하나 이상의 추천 답변자를 질의자 단말(200)로 제공하는 경우, 제어부(112)는 질의자 단말(200)로부터 질의자의 추천 답변자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12)는 김갑돌, 박을순, 이병정을 추천 답변자로 제공하고, 질의자 단말(200)은 질의자의 김갑돌 선택 정보를 제어부(112)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질의자가 선택한 추천 답변자의 단말에 제1 질의를 제공하고, 추천 답변자의 단말로부터 제1 질의에 대한 답변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2)는 추천 답변자의 답변을 질의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12)가 하나 이상의 제1 질의응답 세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제2 질의응답 세트를 질의자 단말(200)로 제공하는 경우, 제어부(112)는 질의자의 질의응답 세트 선택 정보를 질의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선택 정보는 질의자가 선택한 질의응답 세트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질의자는 제공된 하나 이상의 제1 질의응답 세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제2 질의응답 세트에서 자신이 원하는 질의 및 그에 대한 답변을 선택할 수 있다. 가령 질의자는 자신의 질의와 가장 유사한 질의 및 해당 질의에 대한 답변을 선택할 수 있다. 질의자에 의해 선택된 질의응답 세트는 제1 질의에 대한 답변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질의자가 선택한 질의응답 세트에 포함된 답변을 제1 질의에 대한 답변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2)는 질의자에 의해 선택된 질의응답 세트의 답변을 제1 질의에 대한 답변으로써 포함하는 신규 질의응답 세트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신규 질의응답 세트의 '질의'는 제1 질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2)는 생성된 신규 질의응답 세트를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의자에 대한 항목 추천 장치가 추천 항목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질의자 단말(200)로부터 제1 질의를 수신할 수 있다.(S31) 이 때 제1 질의는 질의자 단말(200)의 사용자인 질의자의 질문 사항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질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답변을 얻고자 하는 사항 외에, 질의에 대한 부가적인 사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질의는 "연말정산 질문입니다"와 같은 질의의 제목 및/또는 주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질의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제1 질의를 복수의 디렉토리 중 적어도 하나의 디렉토리인 제1 디렉토리와 대응시킬 수 있다.(S32)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제1 질의의 내용에 기초하여 제1 질의를 제1 디렉토리와 대응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질의는 질의자 단말(200)의 사용자인 질의자의 질문 사항 외에 질의의 제목과 같은 질의에 대한 부가적인 사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제1 질의에 포함된 질의의 제목과 같은 질의에 대한 부가적인 사항 및/또는 질의자의 질문 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제1 질의를 제1 디렉토리와 대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제1 질의를 상위 디렉토리 및 해당 상위 디렉토리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디렉토리에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항목 추천 장치(110)는 제1 질의와 대응되는 디렉토리를 질의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S33a) 질의자는 제공된 디렉토리를 확인함으로써, 현재 자신이 입력한 질의가 정확한 분류에 따라 처리될 것인지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다.
만약 항목 추천 장치(110)에 의한 디렉토리의 결정이 잘못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질의자는 디렉토리의 수정 요청을 통해 질의와 대응되는 디렉토리를 수정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질의자 단말(200)로부터 제1 디렉토리의 수정 요청을 수신(S33b)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1 질의와 대응되는 디렉토리를 수정할 수도 있다. 결정된 제1 질의의 디렉토리는 후술하는 질의응답 세트 결정 과정 및 추천 답변자 결정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질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제1 질의와 대응되는 제1 질의응답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S34) 이 때 항목 추천 장치(110)는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제1 질의응답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제1 질의와 제1 질의응답 세트에 포함된 질의 간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제1 질의와 대응되는 질의응답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항목 추천 장치(110)는 다양한 방식에 기초하여 두 개의 질의, 즉 제1 질의와 제1 질의응답 세트에 포함된 질의의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가령 항목 추천 장치(110)는 각각의 질의에서 키워드(Keyword)만을 추출한 뒤, 이를 비교함으로써 양 질의의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항목 추천 장치(110)는 각각의 질의로부터 특징벡터(Feature Vector)를 생성하고, 생성된 특징벡터를 비교함으로써 양 질의의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항목 추천 장치(110)는 각각의 질의의 디렉토리 및 각각의 질의에 부가된 테그(Tag) 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양 질의의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에서, 항목 추천 장치(110)는 질의에 포함된 키워드, 질의로부터 생성된 특징벡터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질의의 클러스터(Cluster)에 기초하여 질의의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가령, 항목 추천 장치(110)는 어떤 두 질의의 클러스터가 일치하는 경우 양 질의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클러스터는 전술한 디렉토리와 구분되는 개념으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질의응답 세트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제1 질의와 이에 대응되는 질의의 유사도가 높은 순서로, 소정의 개수의 질의응답 세트를 제1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할 수 있다. 가령 항목 추천 장치(110)는 유사도 순으로 상위 3개의 질의응답 세트를 제1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제1 질의와 대응되는 디렉토리에 속하는 가장 최근에 답변이 부가된 질의응답 세트를 제2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할 수 있다.(S35) 이 때 '디렉토리'는 단계 S32에서 결정된 것일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제1 디렉토리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질의응답 세트로, 최근에 답변이 부가된 질의응답 세트를 제2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질의자가 관심 분야의 다양한 질의응답을 보다 폭넓게 검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최신의 질의응답을 검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은 제1 질의응답 세트의 제공으로, 좁은범위에서 질의자의 질의 사항에 대해 보다 정확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넓은범위에서 질의자의 질의 사항과 관련 있는 질의 및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은 가장 최근의 답변을 제공함으로써 시시 각각 변하는 대중의 관심을 반영할 수 있고, 이로써 질의자의 추가적인 질의 없이도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전문도에 기초하여 제1 질의와 대응되는 추천 답변자를 결정할 수 있다.(S36) 이 때 '전문도'는 제1 질의가 속하는 디렉토리에 대한 답변자의 전문적인 정도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문도는 답변자의 해당 디렉토리 속하는 질의에 대한 과거 응답 수, 답변자의 답변에 대한 질의자의 만족의 정도, 답변자 스스로가 설정한 자신의 답변 분야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제1 질의응답 세트 및 제2 질의응답 세트를 제공함과 동시에 질의 분야의 전문 답변자를 제공하여, 질의자가 보다 전문적인 답변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 결정된 제1 질의응답 세트, 제2 질의응답 세트 및 추천 답변자 중 적어도 하나를 질의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S37) 가령 항목 추천 장치(110)는 제1 질의응답 세트, 제2 질의응답 세트 및 추천 답변자를 순차적으로 질의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도 있고, 제1 질의응답 세트와 추천 답변자 만을 질의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제공 순서 및 항목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항목 추천 장치(110)가 하나 이상의 추천 답변자를 질의자 단말(200)로 제공하는 경우, 항목 추천 장치(110)는 질의자 단말(200)로부터 질의자의 추천 답변자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8) 가령 항목 추천 장치(110)는 김갑돌, 박을순, 이병정을 추천 답변자로 제공하고, 질의자 단말(200)은 질의자의 김갑돌 선택 정보를 항목 추천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질의자가 선택한 추천 답변자의 단말에 제1 질의를 제공하고(S39), 추천 답변자의 단말로부터 제1 질의에 대한 답변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항목 추천 장치(110)는 추천 답변자의 답변을 질의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항목 추천 장치(110)가 하나 이상의 제1 질의응답 세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제2 질의응답 세트를 질의자 단말(200)로 제공하는 경우, 항목 추천 장치(110)는 질의자의 질의응답 세트 선택 정보를 질의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선택 정보는 질의자가 선택한 질의응답 세트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질의자는 제공된 하나 이상의 제1 질의응답 세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제2 질의응답 세트에서 자신이 원하는 질의 및 그에 대한 답변을 선택할 수 있다. 가령 질의자는 자신의 질의와 가장 유사한 질의 및 해당 질의에 대한 답변을 선택할 수 있다. 질의자에 의해 선택된 질의응답 세트는 제1 질의에 대한 답변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질의자가 선택한 질의응답 세트에 포함된 답변을 제1 질의에 대한 답변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항목 추천 장치(110)는 질의자에 의해 선택된 질의응답 세트의 답변을 제1 질의에 대한 답변으로써 포함하는 신규 질의응답 세트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신규 질의응답 세트의 '질의'는 제1 질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항목 추천 장치(110)는 생성된 신규 질의응답 세트를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다.
< 답변자에 대한 항목 추천 장치의 동작 >
이하에서는 항목 추천 장치(110)가 답변자에 대한 항목 추천 장치임을 전제로 설명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답변자 단말(400)에 제1 질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제1 질의는 질의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답변자 단말(400)의 요청에 대응하여 제1 질의를 답변자 단말(400)로 제공할 수 있다. 가령, 답변자가 시스템에 접속하여 제1 질의를 조회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2)는 질의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제1 질의를 답변자 단말(4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가령 도 3의 단계 S38 내지 S39에 따라 질의자가 답변자를 구체적으로 지정하여 질의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답변자 단말(400)로부터 제1 질의에 대한 답변자의 답변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12)는 신규 질의응답 세트에 답변자의 답변을 추가할 수 있다. 신규 질의응답 세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질의자에 의해 선택된 제1 질의응답 세트 및/또는 제2 질의응답 세트의 답변을 제1 질의에 대한 답변으로써 포함하는 질의응답 세트를 의미할 수 있다.
가령 신규 질의응답 세트가 질의로 "현재 근로소득자이며 월세집에 거주하고 있는데 집주인 동의없이 월세공제가 가능하나요?"를, 질의자의 선택 답변으로써 "네 가능합니다. 집주인의 동의 또는 확정일자를 받지 않아도 공제가 가능하며, 주거용 오피스텔의 경우도 공제가 가능합니다."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이 때 답변자가 "월세의 소득공제에 있어서 집주인의 동의는 요건이 아닙니다. 따라서 가능할 것 같아요."라고 답변을 한 경우, 신규 질의응답 세트는 전술한 질의 및 선택 답변과 더불어 답변자의 답변을 포함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신규 질의응답 세트는 한 개의 질의와 두 개의 답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질의자의 선택에 의한 답변과 답변자의 답변은 구분되도록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신규 질의응답 세트에 질의자에 의해 선택된 답변이 포함되어있지 않은 경우에도, 답변자의 답변을 신규 질의응답 세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가령, 질의자가 자신의 질의사항과 대응되는 질의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 질의응답 세트에 질의자에 의해 선택된 답변이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여전히 질의자의 질의에 대한 답변의 필요가 있으므로, 제어부(112)는 이러한 미완성 질의응답 세트에 대해서도 답변자 단말(400)로부터 답변을 수신하고, 수신된 답변을 질의응답 세트에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제1 질의를 복수의 디렉토리 중 적어도 하나의 디렉토리인 제1 디렉토리와 대응시킬 수 있으며, '질의자에 대한 항목 추천 장치의 동작'에서 설명한 바와 사실상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1 질의를 포함하는 질의응답 세트가 이미 제1 질의와 대응되는 디렉토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12)는 제1 질의를 제1 디렉토리와 대응시키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질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제1 질의와 대응되는 제3 질의응답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에도 제어부(112)는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제3 질의응답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3 질의응답 세트는 답변자에 의한 답변을 포함하지 않는 질의응답 세트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3 질의응답 세트는 질의자의 선택에 의한 답변만이 포함된 질의응답 세트이거나 또는 질의만을 포함하는 질의응답 세트일 수 있다. 물론 선택에 따라 제3 질의응답 세트는 답변자에 의한 답변을 소정의 개수 이하로 포함하는 질의응답 세트일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제1 질의와 제3 질의응답 세트에 포함된 질의 간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제1 질의와 대응되는 질의응답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12)는 전술한 다양한 방식에 기초하여 두 개의 질의, 즉 제1 질의와 제3 질의응답 세트에 포함된 질의의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제1 질의와 이에 대응되는 질의의 유사도가 높은 순서로, 소정의 개수의 질의응답 세트를 제3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12)는 유사도 순으로 상위 3개의 질의응답 세트를 제3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제3 질의응답 세트는 답변자 단말(400)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제1 질의와 대응되는 디렉토리에 속하는 가장 최근에 생성된 질의응답 세트를 제4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제1 디렉토리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질의응답 세트로, 최근에 생성된 질의응답 세트를 제4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질의자에 대한 항목 추천 장치의 경우, 제어부(112)는 '최근의 답변이 부가된' 질의응답 세트를 제2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하였으나, 답변자에 대한 항목 추천 장치의 경우 제어부(112)는 '최근에 생성된' 질의응답 세트를 제4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한다.
물론 선택적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2)는 제1 디렉토리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질의응답 세트로, 오래전에 생성된 질의응답 세트를 제4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4 질의응답 세트는 전술한 제3 질의응답 세트와 마찬가지로 답변자에 의한 답변을 포함하지 않는 질의응답 세트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4 질의응답 세트는 질의자의 선택에 의한 답변만이 포함된 질의응답 세트이거나 또는 질의만을 포함하는 질의응답 세트일 수 있다. 물론 선택에 따라 제4 질의응답 세트는 답변자에 의한 답변을 소정의 개수 이하로 포함하는 질의응답 세트일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로써 본 발명은 답변자가 답변한 질의(제1 질의)가 속하는 분야의 추가적인 질의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많은 질의자가 답변자에 의한 전문적인 답변을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제1 질의와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추천 질의자를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질의자는 유사항 사항에 대해 복수의 질의를 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제어부(112)는 제1 질의와 대응되는 디렉토리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질의을 하는 질의자를 답변자에게 추천함으로써 질의에 대한 포괄적인 답변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2)는 답변자에게 하나 이상의 추천 질의자를 제공하고, 답변자 단말(400)로부터 추천 질의자의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선택된 추천 질의자의 하나 이상의 질의를 답변자 단말(4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 결정된 제3 질의응답 세트, 제4 질의응답 세트, 추천 질의자 및 제1 디렉토리 중 적어도 하나를 답변자 단말(4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2)가 하나 이상의 제3 질의응답 세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제4 질의응답 세트를 답변자 단말(400)로 제공하는 경우, 제어부(112)는 답변자의 해당 질의에 대한 답변을 답변자 단말(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2)는 답변자의 답변을 해당 질의를 포함하는 질의응답 세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답변자에 대한 항목 추천 장치가 추천 항목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답변자 단말(400)에 제1 질의를 제공할 수 있다.(S41) 이 때 제1 질의는 단계 S40에 따라 질의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답변자 단말(400)의 요청에 대응하여 제1 질의를 답변자 단말(400)로 제공할 수 있다. 가령, 답변자가 시스템에 접속하여 제1 질의를 조회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항목 추천 장치(110)는 질의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제1 질의를 답변자 단말(4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가령 도 3의 단계 S38 내지 S39에 따라 질의자가 해당 답변자를 구체적으로 지정하여 질의하는 경우에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답변자 단말(400)로부터 제공된 제1 질의에 대한 답변자의 답변을 수신할 수 있다.(S42) 이 때 항목 추천 장치(110)는 신규 질의응답 세트에 답변자의 답변을 추가할 수 있다. 신규 질의응답 세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질의자에 의해 선택된 제1 질의응답 세트 및/또는 제2 질의응답 세트의 답변을 제1 질의에 대한 답변으로써 포함하는 질의응답 세트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신규 질의응답 세트에 질의자에 의해 선택된 답변이 포함되어있지 않은 경우에도, 답변자의 답변을 신규 질의응답 세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질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제1 질의와 대응되는 제3 질의응답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S43) 이 때에도 항목 추천 장치(110)는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제3 질의응답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3 질의응답 세트는 답변자에 의한 답변을 포함하지 않는 질의응답 세트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3 질의응답 세트는 질의자의 선택에 의한 답변만이포함된 질의응답 세트이거나 또는 질의만을 포함하는 질의응답 세트일 수 있다. 물론 선택에 따라 제3 질의응답 세트는 답변자에 의한 답변을 소정의 개수 이하로 포함하는 질의응답 세트일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제1 질의와 제3 질의응답 세트에 포함된 질의 간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제1 질의와 대응되는 질의응답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항목 추천 장치(110)는 전술한 다양한 방식에 기초하여 두 개의 질의, 즉 제1 질의와 제3 질의응답 세트에 포함된 질의의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제1 질의와 이에 대응되는 질의의 유사도가 높은 순서로, 소정의 개수의 질의응답 세트를 제3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할 수 있다. 가령 항목 추천 장치(110)는 유사도 순으로 상위 3개의 질의응답 세트를 제3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제1 질의와 대응되는 디렉토리에 속하는 가장 최근의 질의응답 세트를 제4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할 수 있다.(S44)
가령,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제1 디렉토리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질의응답 세트로, 최근에 생성된 질의응답 세트를 제4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할 수 있다. 질의자에 대한 항목 추천 장치의 경우, 항목 추천 장치(110)는 '최근의 답변이 부가된' 질의응답 세트를 제2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하였으나, 답변자에 대한 항목 추천 장치의 경우 항목 추천 장치(110)는 '최근에 생성된' 질의응답 세트를 제4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한다.
물론 선택적 실시예에 따라 항목 추천 장치(110)는 제1 디렉토리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질의응답 세트로, 오래전에 생성된 질의응답 세트를 제4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4 질의응답 세트는 전술한 제3 질의응답 세트와 마찬가지로 답변자에 의한 답변을 포함하지 않는 질의응답 세트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4 질의응답 세트는 질의자의 선택에 의한 답변만이포함된 질의응답 세트이거나 또는 질의만을 포함하는 질의응답 세트일 수 있다. 물론 선택에 따라 제4 질의응답 세트는 답변자에 의한 답변을 소정의 개수 이하로 포함하는 질의응답 세트일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로써 본 발명은 답변자가 답변한 질의(제1 질의)가 속하는 분야의 추가적인 질의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많은 질의자가 답변자에 의한 전문적인 답변을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제1 질의와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추천 질의자를 결정할 수 있다.(S45) 일반적으로 질의자는 유사한 사항에 대해 복수의 질의를 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항목 추천 장치(110)는 제1 질의와 대응되는 디렉토리에 속하는 복수의 질의을 하는 질의자를 답변자에게 추천함으로써 질의에 대한 포괄적인 답변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항목 추천 장치(110)는 답변자에게 하나 이상의 추천 질의자를 제공하고, 답변자 단말(400)로부터 추천 질의자의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선택된 추천 질의자의 하나 이상의 질의를 답변자 단말(4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 결정된 제3 질의응답 세트, 제4 질의응답 세트, 추천 질의자 및 제1 디렉토리 중 적어도 하나를 답변자 단말(400)로 제공할 수 있다.(S46)
항목 추천 장치(110)가 하나 이상의 제3 질의응답 세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제4 질의응답 세트를 답변자 단말(400)로 제공하는 경우, 항목 추천 장치(110)는 답변자의 해당 질의에 대한 답변을 답변자 단말(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장치(110)는 답변자의 답변을 해당 질의를 포함하는 질의응답 세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의자 단말(200)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 5는 질의자가 질의자 단말(200)에 질의를 입력하는 화면(510)의 예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면(510)은 질의의 제목을 입력하는 영역(511), 질의의 내용을 입력하는 영역(512), 질의의 디렉토리가 표시되는 영역(513) 및 질의자의 키워드 입력 영역(514)을 포함할 수 있다.
질의자는 질의의 내용을 입력하는 영역(512)에 질의의 내용을 입력하고, 이와 더불어 질의의 제목을 입력하는 영역(511)에 질의의 제목을, 키워드 입력 영역(514)에 질의와 관련된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질의의 제목을 입력하는 영역(511)에 대한 질의자의 제목의 입력 및 키워드 입력 영역(514)에 대한 키워드의 입력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다만 입력된 제목 및 키워드는 제어부(112)가 질의와 대응되는 질의응답 세트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질의의 디렉토리가 표시되는 영역(513)에는 각 영역(511, 512, 514)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부(112)가 판단한 질의의 디렉토리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되는 질의의 분야를 참조하여, 자신이 입력한 항목들(가령 질의 내용)의 적정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화면(510)의 '보내기' 버튼에 대한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제1 질의를 제어부(112)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제어부(112)에 의해 제공된 제1 질의응답 세트가 질의자 단말(200)에 표시된 화면(610)의 예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화면(610)은 제1 질의응답 세트가 표시되는 레이어(620), 제1 질의응답 세트의 질의가 표시되는 영역(621), 제1 질의응답 세트의 답변이 표시되는 영역(622), 제1 질의응답 세트의 답변을 자신의 질의에 대한 답변으로 선택하는 버튼(623) 및 제1 질의응답 세트 탐색 인터페이스(624a, 624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레이어'는 화면(610)과 중첩하여 표시되는 팝업(Pop-up)창을 의미할 수 있다.
질의자는 탐색 인터페이스(624a, 624b)에 대한 입력을 수행하여 각 영역(621, 622)에 표시되는 복수의 제1 질의응답 세트 각각을 검토할 수 있다. 가령 질의자는 다음 질문을 검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624a)에 대한 입력을 수행하고, 이로써 각 영역(621, 622)에 새로운 제1 질의응답 세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질의자는 최종적으로 버튼(623)에 대한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자신의 질의에 대한 답변을 결정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질의자는 버튼(623)에 대한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답변이 표시되는 영역(622)에 표시된 답변을 자신의 질의에 대한 답변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제어부(112)에 의해 제공된 제2 질의응답 세트가 질의자 단말(200)에 표시된 화면(710)의 예시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화면(710)은 제2 질의응답 세트가 표시되는 레이어(720), 제2 질의응답의 디렉토리가 표시되는 영역(721) 및 각 질의응답 세트에 답변이 부가된 시점이 표시되는 영역(722)을 포함할 수 있다.
질의자는 표시된 디렉토리와 각 질의응답 세트의 답변이 부가된 시점을 참조하여 어느 하나의 제2 질의응답 세트를 선택하여 열람함으로써 자신의 질의와 동일한 분야의 질의를 폭넓게 검토할 수 있다.
도 8은 제어부(112)에 의해 제공된 추천 답변자가 질의자 단말(200)에 표시된 화면(810)의 예시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화면(810)은 추천 답변자가 표시되는 레이어(820) 및 각 추천 답변자에게 질의를 송신하기 위한 버튼(821)을 포함할 수 있다.
질의자는 표시된 답변자의 상세 정보를 참조하여 어느 하나의 답변자에게 질의를 전송함으로써 자신의 질의에 대한 보다 전문적인 답변을 획득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답변자 단말(400)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 9는 제어부(112)에 의해 제공된 제3 질의응답 세트가 답변자 단말(400)에 표시된 화면(910)의 예시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화면(910)은 제3 질의응답 세트가 표시되는 레이어(920), 제3 질의응답 세트의 질의가 표시되는 영역(921), 질의에 대한 답변을 작성하기 위한 버튼(922) 및 제3 질의응답 세트 탐색 인터페이스(923a, 923b)을 포함할 수 있다.
질의자는 탐색 인터페이스(923a, 923b)에 대한 입력을 수행하여 질의가 표시되는 영역(921)에 표시되는 복수의 제3 질의응답 세트 각각을 검토하고, 최종적으로 버튼(922)에 대한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표시된 질의에 대한 답변을 입력할 수 있다.
도 10은 제어부(112)에 의해 제공된 제4 질의응답 세트가 답변자 단말(400)에 표시된 화면(1010)의 예시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화면(1010)은 제4 질의응답 세트가 표시되는 레이어(1020), 제4 질의응답의 디렉토리가 표시되는 영역(1021) 및 각 질의응답 세트의 생성 시점이 표시되는 영역(1022)을 포함할 수 있다.
답변자는 표시된 디렉토리와 각 질의응답 세트의 생성 시점을 참조하여 어느 하나의 제4 질의응답 세트를 선택하여 답변을 작성할 수 있다.
도 11은 제어부(112)에 의해 제공된 추천 질문자가 답변자 단말(400)에 표시된 화면(1110)의 예시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화면(1110)은 추천 질문자가 표시되는 레이어(1120) 및 각 추천 질문자의 질의를 열람하기 위한 버튼(1121)을 포함할 수 있다.
답변자는 표시된 질문자의 상세 정보를 참조하여 어느 하나의 질문자의 질의을 열람하고, 질의에 대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도 5 내지 도 1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방법에 따른 각 항목이 웹 페이지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천 방법에 따른 각 항목은 메신저의 형태로 질의자 및 답변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고 이와 같은 시각의 형태 외에 음향, 진동과 같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질의자 단말(200)에 각 항목이 메신저의 형태로 표시된 화면(1210, 1220, 1230)의 예시이다.
먼저 첫 번째 화면(1210)을 참조하면, 화면(1210)은 질의자가 질의를 입력하는 영역(1211) 및 대화이력이 표시되는 영역(1212)을 포함할 수 있다.
질의자는 질의를 입력하는 영역(1211)에 대화 형식으로 자신의 질의사항을 입력함으로써 제어부(112) 에 질의사항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2)는 질의자의 질의 입력 여부 및/또는 질의 사항과 관계 없이 대화이력이 표시되는 영역(1212)에 다른 질의자의 질의가 표시되는 영역(1213)을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12)는 가장 조회수가 높은 질의를 이러한 영역(1213)에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2)는 질의자 단말(200)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질의를 전술한 영역(1213)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 때 소정의 정보는 질의자의 다른 질의 조회 이력 및/또는 검색 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두 번째 화면(1220)을 참조하면, 화면(1220)은 대화이력이 표시되는 영역(12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대화이력이 표시되는 영역(1221)은 제어부(112)에 의해 결정된 제1 질의응답 세트가 표시되는 영역(1222)을 포함할 수 있다.
질의자는 제1 질의응답 세트가 표시되는 영역(1222)에 표시된 질의응답 세트 중 어느 하나의 선택 버튼(1223)에 대한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질의응답 세트를 열람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화면(1230)을 참조하면, 화면(1230)은 대화이력이 표시되는 영역(12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대화이력이 표시되는 영역(1231)은 질의자의 질의가 표시되는 영역(미도시)과 제어부(112)에 의해 결정된 제1 질의응답 세트가 표시되는 영역(미도시)은 물론, 추천 답변자가 표시되는 영역(1232)을 포함할 수 있다.
질의자는 추천 답변자가 표시되는 영역(1232)에 표시된 추천 답변자 중 어느 하나의 추천 답변자를 선택 함으로써, 자신의 질의를 해당 답변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서버
110: 항목 추천 장치
111: 통신부
112: 제어부
113: 메모리
200: 이용자 단말
300: 통신망
400: 답변자 단말

Claims (19)

  1. 질의자의 제1 질의에 대한 하나 이상의 추천 항목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질의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질의를 수신하는 단계;
    질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질의와 대응되는 제1 질의응답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질의와 대응되는 디렉토리에 속하는 가장 최근에 답변이 부가된 질의응답 세트를 제2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하는 단계;
    전문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질의와 대응되는 추천 답변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질의응답 세트, 상기 제2 질의응답 세트 및 상기 추천 답변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질의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질의응답 세트 및 상기 제2 질의응답 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질의와 적어도 하나의 답변을 포함하는, 질의자에 대한 항목 추천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질의응답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질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질의와 대응되는 질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질의응답 세트를 상기 제1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하는, 질의자에 대한 항목 추천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질의를 복수의 디렉토리(Directory) 중 적어도 하나의 디렉토리인 제1 디렉토리와 대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는
    복수의 질의를 질의 간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수 개의 단위체로 구분한 것인, 질의자에 대한 항목 추천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렉토리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질의응답 세트로, 최근에 답변이 부가된 질의응답 세트를 제2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하는, 질의자에 대한 항목 추천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질의의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질의를 상기 제1 디렉토리와 대응시키는, 질의자에 대한 항목 추천 방법.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질의응답 세트, 상기 제2 질의응답 세트 및 상기 추천 답변자 중 적어도 하나 외에 상기 제1 디렉토리를 상기 질의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질의자에 대한 항목 추천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 답변자를 상기 질의자의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질의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질의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추천 답변자에 대한 상기 질의자의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질의자에 대한 항목 추천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질의자의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질의자가 선택한 추천 답변자의 단말에 상기 제1 질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추천 답변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질의에 대한 상기 추천 답변자의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답변자의 답변을 상기 질의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질의자에 대한 항목 추천 방법.
  9. 답변자의 제1 답변에 대한 하나 이상의 추천 항목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답변자의 단말에 제1 질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답변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질의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
    질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질의와 대응되는 제3 질의응답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질의와 대응되는 디렉토리에 속하는 가장 최근에 생성된 질의응답 세트를 제4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질의응답 세트 및 상기 제4 질의응답 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답변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질의응답 세트 및 상기 제4 질의응답 세트는 답변자에 의한 답변을 포함하지 않는, 답변자에 대한 항목 추천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질의응답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질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질의와 대응되는 질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질의응답 세트를 상기 제3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하는, 답변자에 대한 항목 추천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질의를 복수의 디렉토리 중 적어도 하나의 디렉토리인 제1 디렉토리와 대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는
    복수의 질의를 질의 간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수 개의 단위체로 구분한 것인, 답변자에 대한 항목 추천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렉토리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질의응답 세트로, 최근에 생성된 질의응답 세트를 제4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하는, 답변자에 대한 항목 추천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질의의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질의를 상기 제1 디렉토리와 대응시키는, 답변자에 대한 항목 추천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답변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질의응답 세트 및 상기 제4 질의응답 세트 중 적어도 하나 외에 상기 제1 디렉토리를 상기 답변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답변자에 대한 항목 추천 방법.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질의와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추천 질의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답변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 질의자를 상기 답변자의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답변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답변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추천 질의자에 대한 상기 답변자의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답변자에 대한 항목 추천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답변자의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답변자가 선택한 추천 질의자의 하나 이상의 질의를 상기 답변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답변자에 대한 항목 추천 방법.
  17.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8. 질의자의 제1 질의에 대한 하나 이상의 추천 항목을 제공하는 장치로, 상기 장치는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질의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질의를 수신하고,
    질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질의와 대응되는 제1 질의응답 세트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질의와 대응되는 디렉토리에 속하는 가장 최근에 답변이 부가된 질의응답 세트를 제2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하고,
    전문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질의와 대응되는 추천 답변자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질의응답 세트, 상기 제2 질의응답 세트 및 상기 추천 답변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질의자의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제1 질의응답 세트 및 상기 제2 질의응답 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질의와 적어도 하나의 답변을 포함하는, 질의자에 대한 항목 추천 장치.
  19. 답변자의 제1 답변에 대한 하나 이상의 추천 항목을 제공하는 장치로, 상기 장치는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답변자의 단말에 제1 질의를 제공하고,
    상기 답변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질의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답변을 수신하고,
    질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질의와 대응되는 제3 질의응답 세트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질의와 대응되는 디렉토리에 속하는 가장 최근에 생성된 질의응답 세트를 제4 질의응답 세트로 결정하고,
    상기 제3 질의응답 세트 및 상기 제4 질의응답 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답변자의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제3 질의응답 세트 및 상기 제4 질의응답 세트는 답변자에 의한 답변을 포함하지 않는, 답변자에 대한 항목 추천 장치.
KR1020170028543A 2017-03-06 2017-03-06 항목 추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70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543A KR101970294B1 (ko) 2017-03-06 2017-03-06 항목 추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543A KR101970294B1 (ko) 2017-03-06 2017-03-06 항목 추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949A KR20180101949A (ko) 2018-09-14
KR101970294B1 true KR101970294B1 (ko) 2019-04-18

Family

ID=63599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543A KR101970294B1 (ko) 2017-03-06 2017-03-06 항목 추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2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6422A (zh) * 2018-12-29 2019-05-17 上海智臻智能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存储介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92644C (zh) * 2002-05-28 2008-06-04 弗拉迪米尔·叶夫根尼耶维奇·涅博利辛 综合从搜索系统中使用的文档中抽取知识的自学习系统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949A (ko) 2018-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2299B1 (en) Conversational understanding
CN100389588C (zh) 通过电话使用话音以便在互联网上访问、处理和执行交易的系统和方法
US20170199943A1 (en) User interface for multivariate searching
CN109033149B (zh) 信息推荐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US201200960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social compatibility
JP2019028647A (ja) 研修情報提供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284307A1 (en) String Searching Systems and Methods Thereof
US20130268513A1 (en) Annotations based on hierarchical categories and groups
CN105046600A (zh) 一种酒店用电视的个性化信息推荐方法及系统
KR20150079739A (ko) 이벤트 리뷰들을 획득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9545076A (ja) 情報検索システムにおけるポッドキャスティング及びビデオトレーニングの為の方法、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込可能ストレージ
EP38931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tching location-based content
JP2010009315A (ja) 推薦店舗提示システム
JP2022191336A (ja) 記憶の協調的回想の適応提示のためのキュー・データ・モデルの実装
US20210043105A1 (en) Interactive service platfor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4503975A (zh) 推荐卡片的定制方法及装置
KR20160133304A (ko) 사용자 리뷰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70293B1 (ko) 답변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US10114897B1 (en) Search and notification procedures based on user history information
KR102007504B1 (ko) 사용자별 맞춤형 콘텐츠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33976A (ko) 콘텐츠 큐레이션 방법 및 장치
CN110235121B (zh) 用于增强型在线调研的系统和方法
KR20140138379A (ko) 관계성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970294B1 (ko) 항목 추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248728B1 (en) Search and notification procedures based on user history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