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224B1 - 음향 송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음향 송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224B1
KR101970224B1 KR1020180127495A KR20180127495A KR101970224B1 KR 101970224 B1 KR101970224 B1 KR 101970224B1 KR 1020180127495 A KR1020180127495 A KR 1020180127495A KR 20180127495 A KR20180127495 A KR 20180127495A KR 101970224 B1 KR101970224 B1 KR 101970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oustic
acoustic transceiver
signal
transceive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택환
남종근
박석준
백혁재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7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8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 G10K11/26Sound-focusing or directing, e.g. scanning
    • G10K11/28Sound-focusing or directing, e.g. scanning using reflection, e.g. parabolic refl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004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 송수신기, 상기 음향 송수신기를 이동시키는 이동기; 및
외부 제어 장치에서 송신된 외부 명령을 수신 시, 상기 외부 명령에 따라 상기 음향 송수신기가 특정 지향 각도로 음향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상기 이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음향 송수신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향 송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Sound transceiver apparatus and the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음향 송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향 송수신기의 지향 특성을 가변시켜 음향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용이한 음향 송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향 송수신 장치는 공기 또는 수중에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종래의 음향 송수신 장치는 지향 특성, 즉 음향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특정 지향 각도를 갖도록 제작된다. 이로 인하여, 음향 송수신 장치는 음향 신호를 획득하고자 하는 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에서 잡음 신호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음향 송수신 장치는 지향 특성이 다른 복수 개의 송수신기를 배열하여 빔형성 신호처리기법을 적용하여 특정 지향 각도의 신호만을 추출할 수 있다.
단일 음향 송수신 장치를 적용하는 경우, 설치 운용 시 음향 송수신기의 지향 특성을 변경할 수 없으며, 이런 특성으로 인해 일반적인 음향 송수신기는 특정 지향 각도를 나타내도록 설계하거나, 무지향성 특성을 나타나도록 설계한다.
육상 또는 수중에 설치 운용되는 음향 송수신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신호를 효과적으로 수신하기 위해 측면 또는 후방 각도에서 수신되는 잡음 신호를 차단해야 하며, 잡음 신호의 수신 방향으로 예측하여 차폐 벽을 설치할 수 있으나, 방향을 변경할 수 없다.
최근 들어, 음향 송수신기의 특정 지향 각도를 가변할 수 있으며, 잡음 신호를 차폐하기 용이한 음향 송수신 장치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육상 또는 수중에서 설치 운용되는 음향 송수신기의 지향 특성을 가변시켜 음향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용이한 음향 송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향 신호 외에 잡음 신호가 유입되지 않도록 잡음 신호를 차폐하기 용이한 음향 송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송수신 장치는, 음향 송수신기, 상기 음향 송수신기를 이동시키는 이동기 및 외부 제어 장치에서 송신된 외부 명령을 수신 시, 상기 외부 명령에 따라 상기 음향 송수신기가 특정 지향 각도로 음향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상기 이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기는, 상기 특정 지향 각도 외에 입력되는 잡음 신호를 차폐하는 음향 차폐기, 상기 음향 차폐기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음향 송수신기를 이동시키는 이동 바디 및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동 바디가 슬라이딩 이동되게 회전하는 동력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기는, 상기 동력기의 회전 시, 상기 이동 바디를 이동시키는 동력 전달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기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입력된 회전 신호에 따라 상기 음향 송수신기가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되게 제1 및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외부 명령 수신 시, 상기 특정 지향 각도로 상기 음향 신호가 송신 및 수신되게 회전량 값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회전량 값에 대응하는 회전 신호를 상기 이동기로 전달하여, 상기 이동기를 동작시키는 동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출부는, 상기 음향 송수신기의 이전 지향 각도에서 상기 특정 지향 각도로 변경되게 상기 회전량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외부 명령을 수신하며, 상기 음향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송수신 장치의 동작방법은, 외부 제어 장치로부터 외부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 명령에 따라 회전량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음향 송수신기가 특정 지향 각도로 음향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상기 회전량 값에 대응하는 회전 신호를 동력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량 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음향 송수신기의 이전 지향 각도와 상기 특정 지향 각도가 동일한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이전 지향 각도와 상기 특정 지향 각도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이전 지향 각도에서 상기 특정 지향 각도로 변경되게 상기 회전량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회전량 값에 대응하여 상기 음향 송수신기가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되게 상기 동력기가 제1 및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기 회전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송수신 장치의 동작방법은, 상기 음향 송수신기가 상기 음향 신호를 수신하면, 외부 제어 장치로 상기 음향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송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은, 음향 송수신기의 지향 각도를 가변할 수 있음으로써, 운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음향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송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은, 육상 및 수중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음향 송수신기의 교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송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은, 음향 차폐기를 통하여 측면 및 후방에서 유입되는 잡음 신호를 차폐할 수 있으며, 음향 송수신기를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송수신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송수신 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송수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송수신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송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송수신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향 송수신 장치(100)는 음향 송수신기(110), 이동기(130) 및 제어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송수신기(110)는 음향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음향 송수신기(110)는 무지향 특성을 가지는 송수신 센서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음향 송수신기(110)는 전방, 측방 및 전 방향으로 상기 음향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동기(130)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 음향 송수신기(110)는 상기 음향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지향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이동기(130)는 음향 차폐기(132), 이동 바디(134), 동력기(136) 및 동력 전달기(138)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송수신기(110)에서 상기 음향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경우, 음향 차폐기(132)는 음향 송수신기(110)의 지향 각도 외에 입력되는 잡음 신호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차폐기(132)는 이동 바디(134) 및 동력 전달기(138)가 삽입되게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바디(134)는 음향 송수신기(110) 및 제어기(15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바디(134)는 음향 송수신기(110) 및 제어기(150)에 대응하는 전자 부품이 내장될 수 있다.
이동 바디(134)는 음향 차폐기(132)의 내면에서 접촉 이동하는 반원 형상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이동 바디(134)는 슬라이딩 홈(14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 홈(142)은 동력 전달기(138)와 결합될 수 있다.
동력 전달기(138)에 의해, 이동 바디(134)는 음향 송수신기(110) 및 제어기(15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기(150)로부터 입력된 회전 신호에 의해, 동력기(136)는 제1 및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동력기(136)는 서보 모터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동력기(136)는 제1 및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동력 전달기(138)를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동력 전달기(138)는 동력기(136)의 회전력에 대응되게 이동 바디(134)를 제1 및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기(150)는 외부 제어 장치(미도시)에서 송신된 외부 명령을 수신 시, 상기 외부 명령에 따라 음향 송수신기(110)가 특정 지향 각도로 상기 음향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이동기(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50)는 음향 송수신기(110)가 수신한 음향 신호를 상기 외부 제어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송수신 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음향 송수신기 장치(100)는 음향 송수신기(110), 이동기(130) 및 제어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송수신기(110)은 제어기(150)로부터 전달된 제1 음향 신호(sc_s)를 송신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제2 음향 신호(ss)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2 음향 신호(ss)를 수신하는 경우, 음향 송수신기(110)는 외부 제어 장치(190)로 송신되게 제어기(15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기(150)로부터 전달된 회전 신호(pm)에 의해, 이동기(130)는 음향 송수신기(1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 신호(pm)는 제1 및 제2 회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 및 회전량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어, 회전 신호(pm)는 제1 회전 방향으로 결정하는 값 및 회전량 값에 대응하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신호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기(130)는 동력기(136)가 회전 신호(pm)에 의해 회전하여 동력 전달기(138)가 이동 바디(132)를 이동시켜 음향 송수신기(1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기(150)는 통신부(152), 산출부(154) 및 동작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2)는 외부 제어 장치(190)로부터 송신된 외부 명령(sc)을 수신하며, 외부 제어 장치(190)로 음향 송수신기(110)가 수신한 제2 음향 신호(ss)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152)가 수신한 외부 명령(sc)이 입력되면, 산출부(154)는 외부 명령(sc)에서 음향 송수신기(110)에 대한 특정 지향 각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산출부(154)는 상기 특정 지향 각도 정보에 따라 특정 지향 각도로 제1 음향 신호(sc_s)를 송신하거나, 또는 제2 음향 신호(ss)를 수신할 수 있도록, 이동기(130)의 이동에 대한 회전량 값(mw)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지향 각도 정보에는 제1 음향 신호(sc_s)를 송신하거나 또는 제2 음향 신호(ss)를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범위를 포함하며, 산출부(154)는 상기 송수신 범위에 따라 설정된 전방 모드, 전방 및 측방 모드 및 전 방향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드에 따라 회전량 값(mw)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회전량 값(mv)를 산출하기 이전에, 산출부(154)는 음향 송수신기(110)의 이전 지향 각도, 즉 현재 지향 각도가 상기 특정 지향 각도와 동일한지 비교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특정 지향 각도와 상기 이전 지향 각도가 동일하지 않으면, 산출부(154)는 상기 이전 지향 각도가 상기 특정 지향 각도로 변경되게 회전량 값(mv)을 산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특정 지향 각도와 상기 이전 지향 각도가 동일하면, 산출부(154)는 상기 이전 지향 각도를 유지하는 유지 신호를 동작부(156)로 전달할 수 있다.
산출부(154)에서 산출된 회전량 값(mv)이 입력되면, 동작부(156)는 이동기(130)가 제1 및 제2 회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량 값(mv)에 따라 회전되게 회전 신호(pm)를 이동기(130)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동작부(156)는 회전 신호(pm)에 대응되게 이동기(130)가 음향 송수신기(1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작부(156)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6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송수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음향 송수신 장치(100)가 제1 음향 신호(sc_s)를 송신하거나, 제2 음향 신호(ss)를 수신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음향 송수신 장치(100)는 음향 송수신기(110)가 음향 차폐기(132) 내부에 삽입되어 음향 송수신기(110)를 외부의 충격에 의해 보호할 수 있다.
즉, 도 3는 제어기(150)가 동력기(136)를 제어하여, 음향 송수신기(110)가 음향 차폐기(132) 내부로 이동됨을 나타낸다. 다시말하면, 도 3은 음향 송수신 장치(100)에서 제1 음향 신호(sc_s)를 송신하지 않고, 제2 음향 신호(ss)를 수신하지 않는 상태로 이동 중인 상태인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음향 송수신 장치(100)는 음향 송수신기(110)가 전방으로 제1 음향 신호(sc_s)를 송신하거나, 또는 제2 음향 신호(ss)를 수신할 수 있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어기(150)에 포함된 산출부(154)는 통신부(152)에서 수신한 외부 명령(sc)에서 특정 지향 각도 정보를 추출한다.
이후, 산출부(154)는 상기 특정 지향 각도 정보에 포함된 제1 음향 신호(sc_s)를 송신하거나 또는 제2 음향 신호(ss)를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범위에 따라 설정된 전방 모드, 전방 및 측방 모드 및 전 방향 모드 중 전방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전방 모드에 대해 설정된 회전량 값(mw)을 산출할 수 있다.
산출부(154)에서 회전량 값(mw)가 입력되면, 동작부(156)는 이동기(130)가 제1 및 제2 회전 방향 중 제1 방향으로 회전량 값(mv)에 따라 회전되게 회전 신호(pm)를 이동기(13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방향은 도 3과 같이 음향 송수신기(110)가 음향 차폐기(132)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음향 송수신기(110)는 전방 모드에 따라 일부분이 음향 차폐기(132)에서 노출되며, 전방으로 제1 음향 신호(sc_s)를 송신하고, 제2 음향 신호(ss)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음향 송수신 장치(100)는 음향 송수신기(110)가 전방 및 측방으로 제1 음향 신호(sc_s)를 송신하거나, 또는 제2 음향 신호(ss)를 수신할 수 있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어기(150)에 포함된 산출부(154)는 통신부(152)에서 수신한 외부 명령(sc)에서 특정 지향 각도 정보를 추출한다.
이후, 산출부(154)는 상기 특정 지향 각도 정보에 포함된 제1 음향 신호(sc_s)를 송신하거나 또는 제2 음향 신호(ss)를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범위에 따라 설정된 전방 모드, 전방 및 측방 모드 및 전 방향 모드 중 전방 및 측방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전방 및 측방 모드에 대해 설정된 회전량 값(mw)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서 나타낸 전방 모드를 기준으로, 산출부(154)는 상기 전방 모드 시 음향 송수신기(110)의 이전 지향 각도, 즉 현재 지향 각도가 상기 특정 지향 각도와 동일한지 비교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특정 지향 각도와 상기 이전 지향 각도가 동일하지 않으면, 산출부(154)는 상기 이전 지향 각도가 상기 특정 지향 각도로 변경되게 회전량 값(mv)을 산출할 수 있다.
산출부(154)에서 회전량 값(mw)가 입력되면, 동작부(156)는 이동기(130)가 제1 및 제2 회전 방향 중 제1 방향으로 회전량 값(mv)에 따라 회전되게 회전 신호(pm)를 이동기(13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방향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향 송수신기(110)가 음향 차폐기(132)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음향 송수신기(110)는 상기 전방 및 측방 모드에 따라 도 4와 비교하여 반원형으로 음향 차폐기(132)에서 노출되며, 전방 및 측방으로 제1 음향 신호(sc_s)를 송신하고, 제2 음향 신호(ss)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음향 송수신 장치(100)는 음향 송수신기(110)가 전방향으로 제1 음향 신호(sc_s)를 송신하거나, 또는 제2 음향 신호(ss)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음향 송수신기(110)는 도 5와 비교하여 완전하게 원형으로 노출될 수 있어, 전방향으로 제1 음향 신호(sc_s)를 송신하고, 제2 음향 신호(ss)를 수신할 수 있도록 동력기(136)가 회전동작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도 4 및 도 5와 같은 원리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송수신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음향 송수신 장치(100)의 제어기(150)는 외부 제어 장치(190)로부터 송신된 외부 명령(sc)를 수신할 수 있다(S210).
이때, 제어기(150)는 외부 명령(sc)에서 음향 송수신기(110)에 대한 특정 지향 각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특정 지향 각도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지향 각도가 음향 송수신기(110)의 이전 지향 각도와 동일한지 비교할 수 있다(S220).
제어기(150)는 이전 지향 각도와 특정 지향 각도가 동일하지 않으면, 이전 지향 각도가 특정 지향 각도로 변경되게 회전량 값(mv)을 산출할 수 있다(S230).
제어기(150)는 이동기(130)가 제1 및 제2 회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량 값(mv)에 따라 회전되게 회전 신호(pm)를 출력할 수 있다(S240).
또한, 제어기(150)는 음향 송수신기(110)를 제어하여 제1 음향 신호(sc_s)를 송신하거나, 또는 음향 송수신기(110)가 수신한 제2 음향 신호(ss)를 수신할 수 있다(S250).
제어기(150)는 제2 음향 신호(ss)를 수신하면, 제2 음향 신호(ss)를 외부 제어 장치(190)로 송신할 수 있다(S260)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음향 송수신 장치 110: 음향 송수신기
130: 이동기 150: 제어기

Claims (11)

  1. 음향 송수신기;
    상기 음향 송수신기를 이동시키는 이동기; 및
    외부 제어 장치에서 송신된 외부 명령을 수신 시, 상기 외부 명령에 따라 상기 음향 송수신기가 특정 지향 각도로 음향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상기 이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기는,
    상기 특정 지향 각도 외에 입력되는 잡음 신호를 차폐하는 음향 차폐기;
    상기 음향 차폐기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음향 송수신기를 이동시키는 이동 바디; 및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동 바디가 슬라이딩 이동되게 회전하는 동력기를 포함하는,
    음향 송수신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는,
    상기 동력기의 회전 시, 상기 이동 바디를 이동시키는 동력 전달기를 더 포함하는,
    음향 송수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기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입력된 회전 신호에 따라 상기 음향 송수신기가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되게 제1 및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음향 송수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외부 명령 수신 시, 상기 특정 지향 각도로 상기 음향 신호가 송신 및 수신되게 회전량 값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회전량 값에 대응하는 회전 신호를 상기 이동기로 전달하여, 상기 이동기를 동작시키는 동작부를 포함하는,
    음향 송수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음향 송수신기의 이전 지향 각도에서 상기 특정 지향 각도로 변경되게 상기 회전량 값을 산출하는,
    음향 송수신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외부 명령을 수신하며, 상기 음향 신호를 상기 외부 제어 장치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음향 송수신 장치.
  8. 외부 제어 장치로부터 외부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 명령에 따라 회전량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음향 송수신기가 특정 지향 각도로 음향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상기 회전량 값에 대응하는 회전 신호를 동력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량 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음향 송수신기의 이전 지향 각도와 상기 특정 지향 각도가 동일한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이전 지향 각도와 상기 특정 지향 각도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이전 지향 각도에서 상기 특정 지향 각도로 변경되게 상기 회전량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향 송수신 장치의 동작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회전량 값에 대응하여 상기 음향 송수신기가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되게 상기 동력기가 제1 및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기 회전 신호를 전달하는,
    음향 송수신 장치의 동작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송수신기가 상기 음향 신호를 수신하면, 외부 제어 장치로 상기 음향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향 송수신 장치의 동작방법.
KR1020180127495A 2018-10-24 2018-10-24 음향 송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970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495A KR101970224B1 (ko) 2018-10-24 2018-10-24 음향 송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495A KR101970224B1 (ko) 2018-10-24 2018-10-24 음향 송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224B1 true KR101970224B1 (ko) 2019-04-18

Family

ID=66284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495A KR101970224B1 (ko) 2018-10-24 2018-10-24 음향 송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2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8983A (ja) * 1998-01-14 2002-03-26 ピエール ファーブル ダーモ−コスメチッ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超音波検査プローブ及び付属部品
JP2009206829A (ja) * 2008-02-27 2009-09-10 Kyocera Corp 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8983A (ja) * 1998-01-14 2002-03-26 ピエール ファーブル ダーモ−コスメチッ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超音波検査プローブ及び付属部品
JP2009206829A (ja) * 2008-02-27 2009-09-10 Kyocera Corp 電子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49947B (zh) 一种音频设备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100831655B1 (ko) 적응적 간섭 제거기의 적응 제어 조정 방법
US5719583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ich performs antenna gain control
CN105532017A (zh) 用于波束形成以获得语音和噪声信号的装置和方法
KR101970224B1 (ko) 음향 송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2003174368A5 (ko)
WO2022062714A1 (zh) 抗干扰控制装置及其方法、终端设备、可读存储介质
CN112866871B (zh) 车辆用装置、车辆、车辆用装置的动作方法以及存储介质
CN114829966A (zh) 通信装置以及位置确定方法
US20200398839A1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Preceding Vehicle Following System
KR101653929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자동차 제어 방법
KR100574881B1 (ko) 이동체 탑재용 안테나 제어장치 및 방법
CN112152689B (zh) 波束发送控制方法、装置及发送端
US20220235783A1 (en) User-tracking system
KR101773481B1 (ko) 위상배열 안테나 시스템
JP2002100917A (ja) 屋内アンテナシステム
KR101514666B1 (ko) 자이로 및 칼만필터를 이용한 위성지향 안테나의 안정화 시스템 및 위성지향 안테나의 안정화 제어방법
JP2943854B2 (ja) アンテナ追尾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702580B1 (ko) 전방탐지용 소나 시스템
JP2022040462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CN114261398B (zh) 自动驾驶方法、车载装置、移动装置和车载电子设备
JP2000258531A (ja) レーダ装置および制御方法
WO2024004045A1 (ja) 送電装置、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および無線電力伝送方法
CN110249638B (zh) 超声波输出装置
RU2531042C1 (ru) Гидроакуст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