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967B1 -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 - Google Patents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967B1
KR101968967B1 KR1020170170349A KR20170170349A KR101968967B1 KR 101968967 B1 KR101968967 B1 KR 101968967B1 KR 1020170170349 A KR1020170170349 A KR 1020170170349A KR 20170170349 A KR20170170349 A KR 20170170349A KR 101968967 B1 KR101968967 B1 KR 101968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printing bed
molding
water tank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종
Original Assignee
에이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0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9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24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45Platform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조에 프린팅베드가 접촉되었을때 완전밀착하여 프린팅베드의 초기 위치를 수평으로 정렬함으로서, 제조되는 성형물의 품질의 향상시킬 수 있도록;
3D 프린터를 구성하며 성형물을 지지하는 프린팅베드의 지지면을 광경화성수지를 수용하는 용기형 구조를 가지는 수조의 바닥면에 초기 밀착시에 수평적으로 정렬하여 완전밀착시키도록 된 정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렬수단은, 상기 수조를 가지는 프린트본체에 구비되는 이동수단에 결합되어 승강하도록 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고관절(股關節:COXA)' 구조를 형성하면서 체결되며 하부에 상기 프린팅배드가 고정된 고정체와; 상기 몸체와 상기 고정체를 결속 및 해제하도록 된 결속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Molding platform device for 3D printer}
본 발명은, SLA 방식, DLP 방식 등의 3D 프린터에서 광경화수지를 저장하는 수조의 내부에서 성형물을 지지하는 프린팅베드를 가지는 성형플랫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수조에 상기 프린팅베드가 접촉되었을때 완전밀착하여 프린팅베드의 초기 위치를 수평으로 정렬함으로서, 제조되는 성형물의 품질의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에 관한 것이다.
21세기 첨단기술의 총아로 손꼽히는 3D 프린터는, 컴퓨터 설계 프로그램으로 만든 3차원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물의 입체 모양 그대로 성형품을 제작할 수 있는 프린터이다.
이러한 3D 프린터는 열에 녹는 고체 플라스틱 소재를 실타래처럼 뽑아 이것을 조금씩 녹여가며 쌓는 FDM(FusedDeposition Modeling) 방식을 비롯하여, 광경화수지에 레이저 광을 주사하여 주사된 부분이 경화되는 원리를 이용한 SLA(StereoLithography Apparatus) 방식, SLA 방식에서 광경화수지 대신에 기능성 고분자 또는 금속분말을 사용하며 레이저 광선을 주사하여 고결시켜 성형하는 원리를 이용한 SLS(Slective Laser Sintering) 방식, 광경화수지가 저장된 저장조의 하부로 광을 조사하여 부분적으로 경화되는 원리를 이용한 DLP(Digital LightProcessing) 방식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3D 프린터는 압출헤드에 의해 지지되는 노즐을 통해 생성재료(통상, ABS 수지)를 프린팅베드에 출력하여 적층함으로써 입체물을 생성한다.
상기에서 프린팅베드는 압출헤드에 대해 직교좌표계에서 X, Y, Z의 세 축 방향 또는 일부 방향으로 (압출헤드가 움직이는 제품도 있음) 이동하며 생성재료가 베드 상의 정해진위치에 적층되게 한다.
이러한 프린팅베드의 이동은 프린팅베드와 연결된 스크류 등에 의해 각 축 방향의 이동이 정확히 제어됨으로써 생성재료가 정확한 위치에 적층된다.
다만, 이러한 수지 적층을 통한 결과물 생성 과정은 고온에서 이루어지며, 한번의 작업 동안에 프린팅베드는 많은 이동을 수행하거나, 압출헤드에 의해 외력을 받는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84287호(명칭: DLP 방식 3D 프린터/2014.07.07.)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광경화수지가 저장된 수지저장조와; 상기 수지저장조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지저장조로 조형할 성형품의 축방향 단면이미지에 대응되는 광을 조사하는 DLP 프로젝터와; 상기 수지저장조의 바닥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하부에 성형품이 조형되는 조형스테이지와; 상기 DLP 프로젝터가 X축방향과 Y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DLP 프로젝터를 지지하는 프로젝터이송부와; 상기 성형품에 대한 한 개의 단면이미지를 상기 프로젝터이송부에 의해 상기 DLP 프로젝터가 이송되는 복수개의 조형영역에 대응되게 복수개로 분할하여 상기 DLP 프로젝터 프로젝터로 공급하는 이미지처리부와; 상기 이미지처리부로부터 공급받은 복수개의 분할이미지를 상기 DLP 프로젝터가 이동된 조형영역에 맞추어 공급하고, 상기 DLP 프로젝터가 각 조형영역에서 공급받은 분할이미지를 상기 수지저장조로 투사하도록 상기 이미지처리부와 상기 프로젝터이송부 및 상기 조형스테이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3D 프린터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62535호(명칭: 3D 프린터 및 3D 프린터의 입체 형상 조형 방법/2015.05.04.)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3D 입체 형상 조형을 위한 것으로, 광경화성 용액을 수용시킬 수 있도록 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조; 상기 수조 내에 배치되고, 상기 광경화성 용액에 투사되는 빛에 의해 경화된 조형물이 지지되게 하며, 상기 수조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성형 스테이지; 및 상기 광경화성 용액의 경화를 위한 빛을 내는 물체인 광원과 상기 수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입체 형상 조형을 위한 영상이 표시되는 액정표시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3D 프린터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118538호(명칭: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2015.08.24.)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광경화성 수지를 담는 용기형 구조로 이루어진 3D 프린터용 수조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적어도 일부분이 폴리메틸펜텐(TPX) 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조는 그 내부에 성형물을 지지하는 프린팅 베드가 포함되고, 상기 프린팅 베드 중 적어도 일부분은 폴리메틸펜텐(TPX) 수지로 제작된 3D 프린터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7-0132787호(명칭: 컬러 3D 프린터 및 그 제어 방법/2017.10.12.)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복수의 레이어를 적층하여 입체물을 형성하는 3D 프린터로서, 자기장에 의해 조절되는 입자 간격에 따라 그 구조색이 정의되는 광 결정성 입자로 제공되는 컬러 입자 및 상기 컬러 입자를 수용하고 액상으로 제공되는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는 인쇄 매체를 수용하고, 그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일면이 상기 레이어를 형성하기 위한 작업면이 되도록 투명하게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수용된 인쇄 매체의 상부 표면이 작업면이 되도록 상기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되는 탱크; 상기 탱크의 작업면과 마주보는 평판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입체물을 지지하는 모델링 플레이트; 상기 입체물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작업면을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작업면에 위치한 인쇄 매체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전자석; 및 상기 모델링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자기장의 세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작업면상에 위치하는 인쇄 매체에 부여되는 컬러를 조절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3D 프린터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3D 프린터의 작동 후, 고온의 작동 환경에 의한 열과 많은 움직임 그리고 자중이 프린팅베드의 위치와 자세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작업 완료후 프린팅베드가 열변형, 진동, 및 자중 등 초기 위치로 정렬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출헤드를 이용하여 프린팅베드에 구조물을 출력하기 전에 프린팅베드의 초기 위치를 수평으로 정렬할 필요가 있다.
1.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84287호(명칭: DLP 방식 3D 프린터/2014.07.07.) 2.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62535호(명칭: 3D 프린터 및 3D 프린터의 입체 형상 조형 방법/2015.05.04.) 3.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118538호(명칭: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2015.08.24.) 4.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7-0132787호(명칭: 컬러 3D 프린터 및 그 제어 방법/2017.10.12.)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3D 프린터에서는, 프린팅베드에 구조물을 출력하기 전에 프린팅베드의 초기 위치를 수평으로 정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작업품질이 향상되지 못하여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SLA 방식, DLP 방식 등의 3D 프린터에서 광경화수지를 저장하는 수조에 성형물을 지지하는 프린팅베드가 접촉되었을때 완전밀착하여 프린팅베드의 초기 위치를 수평으로 정렬함으로서, 제조되는 성형물의 품질의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는, 3D 프린터를 구성하며 성형물을 지지하는 프린팅베드의 지지면을 광경화성수지를 수용하는 용기형 구조를 가지는 수조의 바닥면에 초기 밀착시에 수평적으로 정렬하여 완전밀착시키도록 된 정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렬수단은, 상기 수조를 가지는 프린트본체에 구비되는 이동수단에 결합되어 승강하도록 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고관절(股關節:COXA)' 구조를 형성하면서 체결되며 하부에 상기 프린팅베드가 고정된 고정체와; 상기 몸체와 상기 고정체를 결속 및 해제하도록 된 결속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는, SLA 방식, DLP 방식 등의 3D 프린터에서 광경화수지를 저장하는 수조에 성형물을 지지하는 프린팅베드가 접촉되었을때 정렬수단을 통해 완전밀착하도록 하여 프린팅베드의 초기 위치를 수조와 수평으로 정렬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에 따라, 연속으로 제조되는 성형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가 적용된 3D 프린터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를 통해 프린팅베드를 정렬하는 과정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가 적용된 3D 프린터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1)는, 3D 프린터(5)를 구성하며 성형물(51)을 지지하는 프린팅베드(21)의 지지면을 광경화성수지(52)를 수용하는 용기형 구조를 가지는 수조(22)의 바닥면에 초기 밀착시에 수평적으로 정렬하여 완전밀착시키도록 된 정렬수단(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SLA 방식, DLP 방식 등의 상기 3D프린터(5)에서 광경화성수지(52)를 저장하는 상기 수조(22)에 성형물(51)을 지지하는 상기 프린팅베드(21)가 접촉되었을때 상기 정렬수단(3)을 통해 완전밀착하도록 하여 상기 프린팅베드(21)의 초기 위치를 상기 수조와 수평으로 정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속으로 제조되는 성형물(51)의 품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1)에서, 상기 정렬수단(3)은, 상기 수조(22)를 가지는 프린트본체(2)에 구비되는 이동수단(4)에 결합되어 승강하도록 된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고관절(股關節:COXA)' 구조를 형성하면서 체결되며 하부에 상기 프린팅베드(21)가 고정된 고정체(32)와; 상기 몸체(31)와 상기 고정체(32)를 결속 및 해제하도록 된 결속부재(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몸체(31)가 상기 이동수단(4)을 통해 상기 수조(22)에 대하여 근접 및 이격되는 승강운동하여 상기 프린팅베드(21)가 상기 수조(22)의 바닥면에 접촉할 때, 상기 고정체(32)가 상기 몸체(31)에 대하여 회동하여 수조(22)의 바닥면에 완전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체(32)가 상기 수조(22)의 바닥면에 완전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부재(33)를 통해 상기 고정체(32)와 상기 몸체(31)를 결속하면, 상기 고정체(32)가 상기 몸체(31)에 대하여 유동하지 않고 수평정렬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이동수단(4)은, 상기 프린트본체(2)에서 상기 수조(2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미 도시된 정역모터을 통해 정역회전하도록 나사봉(41)과; 상기 나사봉(41)에 나사결합하는 너트관(42)과, 상기 너트관(42)의 외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종단에 상기 몸체(31)의 상단이 끼움결합하는 결속홈(43)이 형성된 이동편을 가지는 승강체(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승강체(44)의 승강에 따라 상기 몸체(31)가 상기 프린트본체(2) 상에서 승강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수조(22)의 내부에서 성형물(51)이 성형되는 중에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린팅베드(21)를 상승시켜 성형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31)의 상부에는, 상기 몸체(31)의 상단이 상기 결속홈(43)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무단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결속볼트(45)가 나사결합하는 결속너트홈(3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1)에서, 상기 정렬수단(3)을 구성하는 상기 몸체(31)의 끝단에는, '고관절(股關節:COXA)' 구조를 구성하는 '구(救;ball)' 형상의 헤드(312)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32)는, 하부에 상기 프린팅베드(21)가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헤드(312)의 하부에 수용되는 수용요홈(322)이 형성된 베이스(321)와; 상기 베이스(321)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앙에 상기 몸체(31)의 하부가 관통되면서 끼움결합하는 관통공(341)이 형성되되 저면에 상기 관통공(341)과 연결되며 상기 헤드(312)의 상부가 걸림되어 지지되는 지지요부(342)가 형성된 지지캡(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베이스(321)와 상기 지지캡(34)의 결합에 의한 상기 수용요홈(322)과 상기 지지요부(342)의 연결을 통해 생성되는 공간에 상기 몸체(31)의 헤드(312)가 삽입수용되어 고관절구조를 형성하면서 결합된다.
상기에서 관통공(341)은, 상기 몸체(31)의 외경보다는 크고 상기 헤드(312)의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31)의 헤드(312)가 상기 고정체(32)에서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으면서 모서리부위가 상하좌우로 회동할 때, 안정적으로 회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결속부재(33)는, 상기 고정체(32)의 외부에서 상기 수용요홈(322)과 상기 지지요부(342)의 연결을 통해 생성되는 공간을 연결하면서 관통형성되는 너트공에 나사결합하며 종단이 상기 헤드(312)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관통하는 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1)에서, 상기 수용요홈(322)과 상기 지지요부(342)의 연결을 통해 생성되는 공간은. 상기 몸체의 헤드(312)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요홈(322)의 바닥면과 상기 헤드(312)의 하단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되어 상기 헤드(312)가 상기 수용요홈(322)과 상기 지지요부(342)의 연결을 통해 생성되는 공간상에서 수직운동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몸체(31)가 상기 이동수단(4)을 통해 상기 수조(22)에 대하여 근접 및 이격되는 승강운동하여 상기 프린팅베드(21)가 상기 수조(22)의 바닥면에 접촉할 때, 상기 고정체(32)가 상기 몸체(31)상에서 상하운동하고 모서리부위가 상하좌우로 회동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완전밀착상태를 형성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1)가 적용된 3D프린터(5)를 통해 성형물(51)을 프린트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수단(4)을 통해 상기 몸체(31)를 상기 수조(22)측 방향으로 이동시키어 상기 프린팅베드(21)가 상기 수조(22)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배치시킨다.
이때, 상기 결속부재(33)는 상기 몸체(31)와 상기 고정체(32)의 결속을 해제하는 상태를 가진다.
이와 같이 상기 프린팅베드(21)가 상기 수조(22)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운동하면,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31)의 헤드(312)에 대하여 상기 고정체(32)가 고관절운동하여 상하운동하면서 모서리부위가 상하좌우로 회동하여 완전밀착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프린팅베드(21)가 상기 수조(22)의 바닥면에 완전밀착되면 상기 결속부재(33)를 통해 상기 고정체(32)와 상기 몸체(31)를 결속하여 상기 고정체(32)가 상기 몸체(31)에 대하여 유동하지 않고 수평정렬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면 초기정렬상태를 구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프린팅베드(21)가 상기 수조(22)의 바닥면에 완전밀착된 상태를 고정한 후,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22)에 광경화수지(52)를 채우고, 상기 수조(22)의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판(53)과 빔프로젝터(54)를 구동을 통해 발생된 빔을 공급받아 원하는 형상의 성형물(51)을 형성하면서 프린트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성형물(51)이 프린트작업되는 과정에서, 상기 성형물(51)이 수직상으로 점차프린트되는 중에 상기 이동수단(4)이 연동하여 상기 몸체(31)를 상부로 상승되어 상기 프린팅베드(21)가 상기 성형물(51)의 상부로의 확장되는 중에 연동하여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성형물(51)의 프린트가 완료되는 상기 결속부재(33)를 조작하여 상기 몸체(31)와 상기 고정체(32)의 결속을 해제하고, 상술한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또 다른 성형물(51)을 프린트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1)에서, 상기 몸체(31)의 헤드(312)와 상기 수용요홈(322)의 바닥면의 사이에는,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된 탄성스프링(S)이 배치되어 상기 고정체(32)가 상기 몸체(31)에 대하여 상하좌우로 회동하면서 상기 수조(22)의 바닥면에 상기 프린팅베드(21)가 밀착할 때,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더욱 원활하게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몸체(31)를 구성하는 헤드(312)의 저면에는, 상기 수용요홈(322)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된 상기 탄성스프링(S)의 상부가 수용되어 지지되어 무단으로 그 위치를 이탈하지 않으면서 상기 몸체(31)의 헤드(312)와 상기 수용요홈(322)의 바닥면의 사이에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되는 고정홈(35)이 형성되는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성형플랫폼장치 2 : 프린팅본체
21 : 프린팅베드 22 : 수조
3 : 정렬수단 31 : 몸체
311 : 결속너트홈 312 : 헤드
32 : 고정체 321 : 베이스
322 : 수용요홈 33 : 결속부재
34 : 지지캡 341 : 관통공
342 : 지지요부 35 : 고정홈
4 : 이동수단 41 : 나사봉
42 : 너트관 43 : 결속홈
44 : 승강체 45 : 결속볼트
5 : 3D프린터 51 : 성형물
52 : 광경화성수지 53 : 반사판
54 : 빔프로젝터 S : 탄성스프링

Claims (1)

  1. 3D 프린터(5)를 구성하며 성형물(51)을 지지하는 프린팅베드(21)의 지지면을 광경화성수지(52)를 수용하는 용기형 구조를 가지는 수조(22)의 바닥면에 초기 밀착시에 수평적으로 정렬하여 완전밀착시키도록 된 정렬수단(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정렬수단(3)은, 상기 수조(22)를 가지는 프린트본체에 구비되는 이동수단(4)에 결합되어 승강하도록 된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고관절(股關節:COXA)' 구조를 형성하면서 체결되며 하부에 상기 프린팅베드(21)가 고정된 고정체(32)와, 상기 몸체(31)와 상기 고정체(32)를 결속 및 해제하도록 된 결속부재(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1)에 있어서;
    상기 몸체(31)의 끝단에는,
    '고관절(股關節:COXA)' 구조를 구성하는 '구(救;ball)' 형상의 헤드(312)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32)는,
    하부에 상기 프린팅베드(21)가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헤드(312)의 하부에 수용되는 수용요홈(322)이 형성된 베이스(321)와, 상기 베이스(321)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앙에 상기 몸체(31)의 하부가 관통되면서 끼움결합하는 관통공(341)이 형성되되 저면에 상기 관통공(341)과 연결되며 상기 헤드(312)의 상부가 걸림되어 지지되는 지지요부(342)가 형성된 지지캡(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요홈(322)과 상기 지지요부(342)의 연결을 통해 생성되는 공간은,
    상기 몸체의 헤드(312)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요홈(322)의 바닥면과 상기 헤드(312)의 하단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
KR1020170170349A 2017-12-12 2017-12-12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 KR101968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349A KR101968967B1 (ko) 2017-12-12 2017-12-12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349A KR101968967B1 (ko) 2017-12-12 2017-12-12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967B1 true KR101968967B1 (ko) 2019-08-21

Family

ID=67808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349A KR101968967B1 (ko) 2017-12-12 2017-12-12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96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053B1 (ko) * 2021-03-11 2021-11-02 주식회사 휴비츠 3d 프린터의 레벨링 프리 구조
KR20220001436A (ko) * 2020-06-29 2022-01-05 에이온 주식회사 3d 프린터용 성형 플랫폼 장치
KR20220001434A (ko) * 2020-06-29 2022-01-05 에이온 주식회사 3d 프린팅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색상 집합을 결정하기 방법 및 장치
KR102418444B1 (ko) * 2021-07-21 2022-07-08 헵시바주식회사 빌드 플레이트 교정 디바이스 및 빌드 플레이트 교정 방법
KR102423729B1 (ko) * 2022-04-25 2022-07-21 쓰리디업앤다운 주식회사 틀니 제작용 3d프린터
WO2023182546A1 (ko) * 2022-03-24 2023-09-28 주식회사 클리셀 인공 생체조직 성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생체조직 성형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4853A (en) * 1993-07-22 1996-10-15 Dana Corporation Ball and socket joint assembly
KR20140084287A (ko) 2011-11-01 2014-07-04 실리콘 스토리지 테크놀로지 인크 저전압, 저전력 밴드갭 회로
KR20150062535A (ko) 2013-11-29 2015-06-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18538A (ko) 2014-04-14 2015-10-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클로로에틸렌계 나노복합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58770A (ko) * 2013-08-27 2016-05-25 카오-치 사오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KR20170132787A (ko) 2015-03-15 2017-12-04 발트너 아게 계량용 환기 작업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4853A (en) * 1993-07-22 1996-10-15 Dana Corporation Ball and socket joint assembly
KR20140084287A (ko) 2011-11-01 2014-07-04 실리콘 스토리지 테크놀로지 인크 저전압, 저전력 밴드갭 회로
KR20160058770A (ko) * 2013-08-27 2016-05-25 카오-치 사오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KR20150062535A (ko) 2013-11-29 2015-06-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18538A (ko) 2014-04-14 2015-10-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클로로에틸렌계 나노복합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2787A (ko) 2015-03-15 2017-12-04 발트너 아게 계량용 환기 작업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436A (ko) * 2020-06-29 2022-01-05 에이온 주식회사 3d 프린터용 성형 플랫폼 장치
KR20220001434A (ko) * 2020-06-29 2022-01-05 에이온 주식회사 3d 프린팅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색상 집합을 결정하기 방법 및 장치
KR102539487B1 (ko) * 2020-06-29 2023-06-05 에이온 주식회사 3d 프린터용 성형 플랫폼 장치
KR102539485B1 (ko) 2020-06-29 2023-06-05 에이온 주식회사 3d 프린팅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색상 집합을 결정하기 방법 및 장치
KR102321053B1 (ko) * 2021-03-11 2021-11-02 주식회사 휴비츠 3d 프린터의 레벨링 프리 구조
KR102418444B1 (ko) * 2021-07-21 2022-07-08 헵시바주식회사 빌드 플레이트 교정 디바이스 및 빌드 플레이트 교정 방법
WO2023182546A1 (ko) * 2022-03-24 2023-09-28 주식회사 클리셀 인공 생체조직 성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생체조직 성형 방법
KR102423729B1 (ko) * 2022-04-25 2022-07-21 쓰리디업앤다운 주식회사 틀니 제작용 3d프린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8967B1 (ko) 3d 프린터용 성형플랫폼장치
KR102244986B1 (ko) 나선형 쌓아 올리기를 이용한 입체 인쇄
KR101533374B1 (ko) Dlp 방식 3d 프린터
US201803339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ereoscopic shape using laser and powder
US11584077B2 (en) Resin reservoir for photocuring for use in 3D printer and 3D printer
US20150165695A1 (en) Three 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CN107521093B (zh) 用于热塑料选择性激光烧结的行式激光成像器
US20140210137A1 (en) Fixed Printhead Fused Filament Fabrication Printer and Method
US9908290B1 (en) Configurable printers
US9914292B2 (en) Additive manufacturing device
JP2019514722A (ja) Lcd方式3dプリンター
JP2018518400A (ja) 高解像度バックグラウンドを有する物体の立体造形方法及び装置
JP6411785B2 (ja) 三次元造形装置
KR20160109866A (ko) 3d 프린팅 장치 및 방법
US20180304538A1 (en) Additive manufacturing with array of energy sources
KR20170002855A (ko) 분말재료 적층장치를 포함하는 3차원 조형물 제조장치 및 방법
JP2010089364A (ja) 三次元造形装置
KR20170107647A (ko) 3차원 프린터에 의한 조형 장치 및 방법
KR20170002860A (ko) 3차원 조형물 제작을 위한 밀폐형(챔버) 온도제어방법 및 온도제어장치
KR102067538B1 (ko) 세척 모듈을 포함하는 3d 프린팅 장치 및 3d 프린팅 방법
KR101801457B1 (ko) 3d 프린터 장치
KR101548220B1 (ko) 삼차원 프린터
US2023012242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shaped object,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rticle
JP6535115B2 (ja) ステレオリソグラフィ装置
KR20190140136A (ko) 3d프린터용 블레이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