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682B1 - 핑거 탭 - Google Patents

핑거 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682B1
KR101968682B1 KR1020170009969A KR20170009969A KR101968682B1 KR 101968682 B1 KR101968682 B1 KR 101968682B1 KR 1020170009969 A KR1020170009969 A KR 1020170009969A KR 20170009969 A KR20170009969 A KR 20170009969A KR 101968682 B1 KR101968682 B1 KR 101968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ole
body member
fastening
region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6059A (ko
Inventor
권경철
Original Assignee
(주)파이빅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이빅스 filed Critical (주)파이빅스
Priority to KR1020170009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682B1/ko
Publication of KR20180086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5/00Bows; Crossbows
    • F41B5/14Details of bows; Accessories for arc shooting
    • F41B5/1442Accessories for arc or bow shooting
    • F41B5/1473Archer's finger ta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5/00Bows; Crossbows
    • F41B5/14Details of bows; Accessories for arc shooting
    • F41B5/1403Details of b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기재의 핑거 탭은 몸체 부재,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 부재의 임의의 영역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각도가 선택적으로 조절되어 상기 몸체 부재에 결합될 수 있는 제1 조절 부재 및 상기 제1 조절 부재를 상기 몸체 부재에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핑거 탭{Finger tap}
본 발명은 핑거 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궁시 활을 당기는데 사용될 수 있는 핑거 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궁 경기에서 활을 쏘기 위해서는 시위에 화살을 결합하고, 시위를 손가락으로 당긴다. 이때, 손가락에는 시위의 강한 압력이 작용할 뿐만 아니라 시위를 놓는 순간 마찰이 작용한다. 이러한 손가락에 작용하는 시위의 압력은 집중력을 떨어뜨려 명중률을 낮춘다. 양궁은 올림픽 종목으로써 많은 선수들이 기량 향상을 위해서 하루에도 수백발의 화살을 쏜다. 양궁은 심리적 안정과 육체적 안정을 요구하는 고도의 육체적 정신적 스포츠로서 안정적인 훈련에 필요한 도구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중 하나가 핑거 탭이다.
종래의 핑거 탭은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크기와 구조가 정해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사용자마다 손의 형상이 다를 뿐만 아니라, 활을 쏘는 습관도 다르므로, 사용자에 따라서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본인의 신체에 적합하게 변형할 수 있는 핑거 탭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는 핑거 탭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핑거 탭은 몸체 부재,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 부재의 임의의 영역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각도가 선택적으로 조절되어 상기 몸체 부재에 결합될 수 있는 제1 조절 부재 및 상기 제1 조절 부재를 상기 몸체 부재에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몸체 부재에는 상기 체결 부재가 체결되는 복수의 제1 관통홀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고, 상기 제1 조절 부재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좌측 및 우측을 각각 형성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몸체 부재와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느 하나의 손가락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베이스부의 제1 영역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 부재가 관통하는 제1 가이드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제2 영역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 부재가 관통하는 제2 가이드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가이드홀은 직선 또는 곡선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가이드홀이 곡선인 경우, 상기 제2 가이드홀은 상기 제1 가이드홀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핑거 탭은 제1 조절 부재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체결 부재로 제1 조절 부재에 형성된 제1 가이드홀과 제2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제1 조절 부재를 자유롭게 회전시켜서 몸체 부재의 특정 위치에 체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핑거 탭을 종래의 핑거 탭보다 편리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활을 당길 수 있으므로, 경기력 향상을 기대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핑거 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핑거 탭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사용자가 핑거 탭을 파지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핑거 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핑거 탭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핑거 탭(100)은 몸체 부재(130), 제1 조절 부재(110) 및 체결 부재(150)를 포함한다.
몸체 부재(130)는 사용자의 손바닥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몸체 부재(13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핑거 탭(100)을 파지하면, 몸체 부재(130)는 사용자의 손바닥과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 부재(130)의 소재는 일례로 알루미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몸체 부재(130)에서 후술할 제1 조절 부재(110)가 결합되는 부분의 반대측에는 연성 소재의 커버 부재(140)가 결합될 수 있다.
커버 부재(140)는 사용자의 손바닥, 중지 및 검지에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부재(140)는 핑거 탭(100)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커버 부재(140)의 소재는 일례로 인조 가죽 또는 천연 가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조절 부재(11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핑거 탭(100)을 파지하면, 제1 조절 부재(110)는 사용자의 약지 또는 소지에 접촉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조절 부재(110)의 일측에서 손가락과 접촉되는 부분은 일정 깊이 인입될 수 있다.
제1 조절 부재(110)는 상기 몸체 부재(130)의 임의의 영역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몸체 부재(130)의 임의의 영역을 선택하여 제1 조절 부재(110)를 몸체 부재(13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 조절 부재(110)는 각도가 선택적으로 조절되어 상기 몸체 부재(1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제1 조절 부재(110)의 상세한 구조의 일례는 후술하기로 한다.
체결 부재(150)는 상기 제1 조절 부재(110)를 상기 몸체 부재(130)에 체결할 수 있다. 체결 부재(150)는 일례로 볼트일 수 있다. 이러한 체결 부재(150)는 복수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조절 부재(110)를 체결 부재(150)로 몸체 부재(130)의 특정 위치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핑거 탭(100)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몸체 부재(130)에는 복수의 제1 관통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관통홀(131)은 상기 체결 부재(150)가 체결되며, 상기 몸체 부재(1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보이는 방향을 기준으로 복수의 제1 관통홀(131)은 몸체 부재(130)의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 마다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설계에 따라 복수의 제1 관통홀(131)의 위치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조절 부재(110)는 일례로 베이스부(111), 지지부(112), 제1 가이드홀(113) 및 제2 가이드홀(114)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11)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부(111)는 좌측 및 우측을 각각 형성하는 제1 영역(111a)과 제2 영역(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영역(111a)은 베이스부(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왼쪽 부분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역(111b)은 베이스부(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오른쪽 부분일 수 있다.
지지부(112)는 상기 몸체 부재(130)와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11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느 하나의 손가락을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부(112)는 일례로 베이스부(1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핑거 탭(100)을 파지하면, 사용자의 어느 하나의 손가락이 지지부(112)에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지 손가락이 지지부(112)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홀(113)은 상기 베이스부(111)의 제1 영역(111a)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150)가 제1 가이드홀(113)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가이드홀(114)은 상기 베이스부(111)의 제2 영역(111b)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150)가 제2 가이드홀(114)을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가이드홀(114)은 직선 또는 곡선일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홀(114)이 곡선인 경우, 상기 제2 가이드홀(114)은 상기 제1 가이드홀(113)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가이드홀(114)과 제1 가이드홀(113)의 폭 과 길이는 사용자가 제1 조절 부재(110)를 몸체 부재(130)에 자유롭게 회전 및 이동하여 체결할 수만 있는 정도이면,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체결 부재(150)로 제1 조절 부재(110)에 형성된 제1 가이드홀(113)과 제2 가이드홀(114)을 관통하여 제1 조절 부재(110)를 자유롭게 회전시켜서 몸체 부재(130)의 특정 위치에 체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핑거 탭(100)을 종래의 핑거 탭보다 편리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활을 당길 수 있으므로, 경기력 향상을 기대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로 되돌아가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핑거 탭(100)은 제2 조절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절 부재(120)는 상기 제1 조절 부재(110)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몸체 부재(130)의 임의의 영역을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몸체 부재(130)의 상측에서부터 중간부분까지 복수의 제2 관통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조절 부재(120)는 별도의 볼트 등에 의해 복수의 제2 관통홀(132)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조절 부재(120)에는 볼트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핑거 탭(100)을 파지한 경우, 제2 조절 부재(120)는 사용자의 엄지와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조절 부재(120)는 파지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핑거 탭 110: 제1 조절 부재
111: 베이스부 112: 지지부
113: 제1 가이드홀 114: 제2 가이드홀
130: 몸체 부재 131: 제1 관통홀
150: 체결 부재

Claims (4)

  1. 몸체 부재;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 부재의 임의의 영역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각도가 선택적으로 조절되어 상기 몸체 부재에 결합될 수 있는 제1 조절 부재; 및 상기 제1 조절 부재를 상기 몸체 부재에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 부재에는 상기 체결 부재가 체결되는 복수의 제1 관통홀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고,
    상기 제1 조절 부재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좌측 및 우측을 각각 형성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몸체 부재와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느 하나의 손가락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베이스부의 제1 영역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 부재가 관통하는 제1 가이드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제2 영역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 부재가 관통하는 제2 가이드홀;를 포함하는 핑거 탭.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홀은 직선 또는 곡선인 핑거 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홀이 곡선인 경우, 상기 제2 가이드홀은 상기 제1 가이드홀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핑거 탭.
KR1020170009969A 2017-01-20 2017-01-20 핑거 탭 KR101968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969A KR101968682B1 (ko) 2017-01-20 2017-01-20 핑거 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969A KR101968682B1 (ko) 2017-01-20 2017-01-20 핑거 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059A KR20180086059A (ko) 2018-07-30
KR101968682B1 true KR101968682B1 (ko) 2019-04-12

Family

ID=63048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969A KR101968682B1 (ko) 2017-01-20 2017-01-20 핑거 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6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411B1 (ko) * 2019-10-21 2020-12-07 (주)파이빅스 양궁용 핑거탭
KR102187412B1 (ko) * 2019-10-21 2020-12-07 (주)파이빅스 양궁용 핑거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059A (ko) 201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7814A (en) Nonslip guitar pick
KR101968682B1 (ko) 핑거 탭
KR101968681B1 (ko) 핑거 탭
US9566496B1 (en) Racquet grip teaching device
US7147526B1 (en) Swim paddle
US4150601A (en) Positive grip instrument pick
KR101636678B1 (ko) 양궁용 핑거 탭
KR20140061743A (ko) 핑커탭
KR20150102779A (ko) 손에 착용되는 라켓
US9754564B2 (en) Stringed instrument pick
US6692387B2 (en) Racquet string alignment tool
KR101885541B1 (ko) 양궁용 핑거탭
JP2017207725A (ja) 弦楽器練習器
KR101573851B1 (ko) 양궁용 핑거탭
US9489930B1 (en) Wrist alignment devic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8829317B1 (en) Wrist alignment devic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CN112755497B (zh) 射箭用指套
KR101851735B1 (ko) 전후 폭의 조절이 가능한 활용 핑거탭
CN205055330U (zh) 一种舞蹈教学的软开度训练装置
KR20200064763A (ko) 수영 보조 기구
JP6133469B1 (ja) 持ち方矯正具及び練習用三味線撥並びにこれらに用いられる持ち方矯正構造
KR101851725B1 (ko) 활용 핑거탭
CN112755496B (zh) 射箭用指套
US11002506B2 (en) Archery finger tab
JP3215059U (ja) 水泳練習用パド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