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735B1 - 전후 폭의 조절이 가능한 활용 핑거탭 - Google Patents

전후 폭의 조절이 가능한 활용 핑거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735B1
KR101851735B1 KR1020160041712A KR20160041712A KR101851735B1 KR 101851735 B1 KR101851735 B1 KR 101851735B1 KR 1020160041712 A KR1020160041712 A KR 1020160041712A KR 20160041712 A KR20160041712 A KR 20160041712A KR 101851735 B1 KR101851735 B1 KR 101851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thumb
strap
support
finger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4564A (ko
Inventor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이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훈 filed Critical 이창훈
Priority to KR1020160041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735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5/00Bows; Crossbows
    • F41B5/14Details of bows; Accessories for arc shooting
    • F41B5/1442Accessories for arc or bow shoo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5/00Bows; Crossbows
    • F41B5/14Details of bows; Accessories for arc shooting
    • F41B5/1403Details of b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5/00Bows; Crossbows
    • F41B5/14Details of bows; Accessories for arc shooting
    • F41B5/1442Accessories for arc or bow shooting
    • F41B5/1473Archer's finger t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후 폭의 조절이 가능한 활용 핑거탭은 활줄을 당길 때 손가락들이 지지되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의 제1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서로 포개져서 결합되며 후면부가 손바닥에 지지되는 제2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서로 포개져서 결합된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 또는 제2지지 플레이트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공에는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와 제2지지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을 해제한 다음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 또는 제2지지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다음 다시 고정부재로 고정시켜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후 폭의 조절이 가능한 활용 핑거탭{Finger tab to adjust the width in a recurved bow}
본 발명은 활 사용시 화살과 함께 활줄을 당길 때 손에 파지하여 용이하게 활줄을 당기고 풀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활용 핑거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맞도록 전후 폭의 조절이 가능한 활용 핑거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 사용시에는 화살을 활줄에 끼우고 화살과 함께 활줄을 당긴 다음 활줄을 릴리스하여 화살을 발사하게 된다. 특히 양궁에서 활줄을 당길 때 손가락을 보호하고 보다 정확하게 활줄을 당기고 릴리스하기 위해 핑거탭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양궁용 핑거탭(특허 제10-1573851호, 2015.12.2 공고)이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도1에 도시된 양궁용 핑거탭(10)은 지지 플레이트(20)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20)에 결합된 탭(40)을 포함하고, 탭(40)은 이격부(46)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된 제1 탭(42)과 제2 탭(44)을 포함하며, 지지 플레이트(20)는 소지를 위한 소지 홀드부(24)가 지지 플레이트(20)와 일체로 형성되며, 지지 플레이트(20)는 탭(40)이 노출되는 경계부에 탭 경계 단부(22)를 구비한다. 소지 홀드부(24)는 탭 경계 단부(22)의 하측 단부에 홈 형상으로 구비되고, 소지 홀드부(24)의 양측단은 라운드 처리되어 소지 라운드부(24a)를 형성한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20)는 제1,2,3관통부(32a, 32b, 32c)로 구성되는 관통부(32)가 형성되고 탭 경계 단부(22)의 반대측에 손바닥에 의해서 감싸지는 손바닥 지지 단부(21)를 형성하며, 지지 플레이트(20)의 상측 면에는 엄지가 안착되는 엄지 안착홈(26)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엄지 안착홈(26)의 반대측면에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카운터 핀치(미도시)가 형성되는데 엄지 안착홈(26)의 한쪽에 단턱(28a)이 구비된 나사공(28)이 형성되어 이 나사공(28)에 카운터 핀치 고정나사(30)가 삽입된다.(도면부호 39는 스트랩)
도1에 도시된 양궁용 핑거탭(10)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활 사용시 손에 파지하여 활줄을 당김으로써 손가락을 보호하고 용이하게 활줄을 당기고 릴리스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핑거탭의 경우 상대적으로 손 크기가 작은 활 사용자에게 맞는 핑거탭은 손이 큰 활 사용자에게는 사용하기가 부적합하여 손이 큰 활 사용자는 별도로 크기가 큰 핑거탭을 맞춤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손의 크기가 다른 활 사용자의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전후 폭이 조절될 수 있는 활용 핑거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후 폭의 조절이 가능한 활용 핑거탭은 활줄을 당길 때 손가락들이 지지되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의 제1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서로 포개져서 결합되며 후면부가 손바닥에 지지되는 제2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의 후면부는 손바닥의 중앙부에서 손바닥의 상부까지를 포함하여 지지하며,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의 측면에는 엄지가 지지되는 엄지 지지돌기부가 결합되고, 서로 포개져서 결합된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 또는 제2지지 플레이트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공에는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와 제2지지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을 해제한 다음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 또는 제2지지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다음 다시 고정부재로 고정시켜 폭을 조절할 수 있고, 제2지지 플레이트와 함께 엄지 지지돌기부가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공은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 또는 제2지지 플레이트에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하로 배치되고 각 슬라이드공에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 및 제2지지 플레이트가 서로 포개져서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을 향하는 제1지지 플레이트 및 제2지지 플레이트의 측면이 동일 평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가 포개져서 결합되는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의 중첩면은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의 전체 면적의 50%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에 포개져서 결합되는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의 중첩면은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의 후방 테두리부로부터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에 포개져서 결합되는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의 중첩면은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의 전방 테두리부로부터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의 중첩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의 중첩면이 후방 테두리부로부터 내측으로 단차지게 되는 단차 두께는 제1지지 플레이트의 중첩면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의 측면에는 엄지가 지지되는 원통형상의 엄지 지지돌기부가 결합되고, 상기 엄지 지지돌기부는 상기 엄지 지지돌기부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제2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편심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엄지의 지지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지지 플레이트에는 제2지지 플레이트의 후방 테두리부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엄지 지지돌기부의 편심축부재가 다수의 결합공 중 하나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핑거탭에는 중지를 끼워 휴대할 수 있도록 스트랩과, 상기 스트랩을 조일 수 있는 스트랩 조절구가 구비되고, 상기 스트랩이 삽입되는 제2지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두 개의 삽입공 사이에서 상기 스트랩을 제2지지 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핀이 구비되어 상기 스트랩이 두 개의 삽입공 사이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손의 크기가 다른 활 사용자의 경우에도 전후 폭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활용 핑거탭이 제공된다.
도1은 종래 활용 핑거탭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활용 핑거탭의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활용 핑거탭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활용 핑거탭의 정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활용 핑거탭의 후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활용 핑거탭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후 폭의 조절이 가능한 활용 핑거탭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활용 핑거탭의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활용 핑거탭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활용 핑거탭의 정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활용 핑거탭의 후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활용 핑거탭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후 폭의 조절이 가능한 활용 핑거탭은 활줄(50)을 당길 때 손가락들이 지지되고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의 제1지지 플레이트(200)와,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200)의 일측면에 서로 포개져서 결합되고 후면부가 손바닥에 지지되며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200)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 플레이트(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200)는 소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활줄(50)을 당길 때 손가락들이 지지되는 것으로, 제1지지 플레이트(200)의 일측면에는 제2지지 플레이트(300)가 포개져서 결합되고, 제1지지 플레이트(200)의 타측면에는 검지와 중지 사이에 돌출되는 간격돌기(250)가 결합된다. 간격돌기(250)는 제1지지 플레이트(200)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결합공(252)에 볼트(251)로 결합되어 간격돌기(250)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지지 플레이트(200) 일측면에는 제2지지 플레이트(300)가 포개져서 결합되도록 중첩면(202)이 형성되는데, 제1지지 플레이트(200)의 중첩면(202)은 전방 테두리부(201)로부터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중첩면(202)은 제2지지 플레이트(300)의 전면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전방 테두리부(20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일정 두께(1/2)만큼 절삭되어 형성되고 이 중첩면(202)에 제2지지 플레이트(300)의 일측면이 포개져서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2지지 플레이트(300)의 중첩면의 두께(1/2)가 제1지지 플레이트(200)에서 절삭되는 두께(1/2)와 동일하여 동일한 두께의 두 개의 플레이트(200, 300)가 중첩되더라도 하나의 플레이트와 같이 두께가 일정하게 된다. 제1지지 플레이트(200)의 중첩면(202)은 제1지지 플레이트(200)의 전체 면적의 50%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 된다.
또한, 제1지지 플레이트(200)의 타측면 전방부에는 활줄(50)을 당길 때 손가락을 보호하기 위한 탭부재(210)가 결합된다. 탭부재(210)는 두 겹의 가죽재질로 이루어지고 검지가 접촉되는 제1탭부재(211)와, 제1탭부재(211)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중지와 약지가 접촉되는 제2탭부재(212)로 구성되어 핑거탭(100)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화살(60)과 함께 활줄(50)을 당기기 위해 손가락을 구부릴 때 손가락을 따라 함께 구부려져 활줄(50)이 손가락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탭부재(210)에 접촉되어 손가락을 보호하게 된다(도6 참조).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300)는 제1지지 플레이트(200)와 마찬가지로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지지 플레이트(200) 이상의 높이(손바닥의 세로방향)를 가지며 아울러 손바닥의 세로부분 전체가 지지될 수 있는 높이를 가지고 후면부가 손바닥에 지지되며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200)의 일측면에 서로 포개져서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제2지지 플레이트(300)에는 세 개의 수평방향의 슬라이드공(310)이 상 하 소정 위치에 형성되고 각 슬라이드공(310)에는 고정부재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로서 볼트(320)가 사용되고 따라서, 볼트(320)가 슬라이드공(310)에 삽입된 후 제1지지 플레이트(200)의 결합공(220)에 나사결합되어 제1지지 플레이트(200)와 제2지지 플레이트(300)를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제2지지 플레이트(300)에는 제1지지 플레이트(200)와 마찬가지로 제1지지 플레이트(200)에 포개져서 결합되는 중첩면(302)이 형성되는데, 제2지지 플레이트(300)의 중첩면(302)은 후방 테두리부(301)로부터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2지지 플레이트(300)의 중첩면(302)은 제1지지 플레이트(200)의 후면부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후방 테두리부(30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일정 두께만큼(1/2) 절삭되어 형성되고 이 중첩면(302)에 제1지지 플레이트(200)의 중첩면(202)이 포개져서 결합된다. 제2지지 플레이트(300)의 중첩면(302)은 제2지지 플레이트(300)의 전체 면적의 50%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 된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지지 플레이트(300)에서 절삭되는 단차 두께(1/2)가 제1지지 플레이트(200)의 중첩면(202)의 두께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도5에서 서로 포개져서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을 향하는 제2지지 플레이트(300)의 후방 테두리부(301)의 측면과 제1지지 플레이트(200)의 타측면이 동일 평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2지지 플레이트(300)의 후방 테두리부(301)의 측면과 제1지지 플레이트(200)의 타측면이 동일 평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2지지 플레이트(200,300)가 슬라이드 이동전 및 이동후에 하나의 플레이트와 같이 사용자가 이질감을 느끼지 않고 안정적으로 손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지지 플레이트(300)에는 우측 상단에 엄지 지지돌기부(350)가 결합된다. 엄지 지지돌기부(350)는 사용자의 엄지가 지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원통형상의 엄지 지지돌기부(350)가 제2지지 플레이트(300)에 편심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엄지 지지돌기부(350)는 원통의 중심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편심공(352)이 형성되고, 제2지지 플레이트(300)에 결합되는 편심축부재(351)(볼트)가 제2지지 플레이트(300)의 후면에서 결합공(353)에 삽입된 후 편심공(352)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엄지 지지돌기부(350)는 제2지지 플레이트(300)의 우측 상단에 결합되는 편심축부재(351)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편심축부재(351)를 중심으로 편심회전시킴으로 엄지가 지지되는 위치를 사용자에 맞도록 세부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편심축부재(351)가 삽입결합되는 결합공(35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 플레이트(3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세 개가 형성되어 사용자에 따라 엄지 지지돌기부(350)의 결합위치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지지 플레이트(300)의 하부 전방에는 활줄(50)을 당길 때 사용자의 소지(새끼 손가락)가 지지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소지 지지부(330)가 일체로 형성되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활용 핑거탭(100)에는 중지를 삽입하여 핑거탭(100)을 힘을 들이지 않고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스트랩(400)이 구비된다.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 플레이트(200) 및 제2지지 플레이트(300)에는 각각 스트랩(400)이 삽입되는 두 개의 삽입공(240, 340)이 형성되고, 스트랩(400)이 삽입공(240, 340)에 삽입된 후 제1지지 플레이트(200)의 타측면으로 노출되는 스트랩(400) 부분에는 스트랩 조절구(410)가 결합된다. 스트랩 조절구(410)의 내부에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스트랩 조절구(4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데, 스트랩 조절구(410)를 눌러 핑거탭(100)으로부터 스트랩 조절구(410)를 멀리 이동시켜 중지를 삽입한 후 다시 스트랩 조절구(410)를 조이게 된다. 스트랩(400)이 삽입되는 삽입공(240, 340)은 제1지지 플레이트(200) 및 제2지지 플레이트(300)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때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또한, 스트랩(400)의 위치를 제2지지 플레이트(300)에 형성되는 두 개의 삽입공(340) 사이에서 돌거나 이동되지 않도록 결합핀(420)이 결합된다. 결합핀(420)은 두 개의 삽입공(340) 사이에서 스트랩(400)에 결합되고 제2지지 플레이트(300)의 결합공(430)에 결합되는데 결합공(4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핀(420)의 단부는 결합공(43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지지 플레이트(200)의 중첩면(202)에는 결합핀(420)의 단부가 위치하는 삽입홈(230)이 형성되고, 삽입홈(230)은 삽입공(240)과 마찬가지로 플레이트 슬라이드 이동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스트랩(400)이 두 개의 삽입공(340) 사이에서 돌거나 이동되면 중지가 삽입되는 공간이 좁아져서 사용이 불편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결합핀(420)에 의해 이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제1,2지지 플레이트(200, 300)가 서로 포개져서 결합된 상태에서 제2지지 플레이트(300)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폭을 가지도록 핑거탭(100)을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지지 플레이트(300)에서 중첩면(302)을 형성하기 위한 절삭두께가 제1지지 플레이트(200)의 중첩면(201)의 두께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사용자의 손을 향하는 제2지지 플레이트(300)의 후방 테두리부(301)의 측면과 제1지지 플레이트(200)의 타측면이 동일 평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제1,2지지 플레이트(200, 300)가 슬라이드 이동 전후로 하나의 플레이트와 같이 사용자가 이질감을 느끼지 않고 안정적으로 손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활용 핑거탭(100)에서 엄지를 지지하는 엄지 지지돌기부(350)가 제2지지 플레이트(300)에 결합되는 편심축부재(351)를 중심으로 편심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에 맞도록 엄지가 지지되는 위치를 세부 조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모든 조립식 활에 적용가능하며,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 : 제1지지 플레이트 201 : 전방 테두리부
202 : 중첩면 210 : 탭부재
300 : 제2지지 플레이트 301 : 후방 테두리부
302 : 중첩면 330 : 소지 걸이부
350 : 엄지 지지돌기부 351 : 편심축부재
400 : 스트랩 410 : 스트랩 조절구
420 : 결합핀

Claims (10)

  1. 활 사용시 활줄을 당기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활용 핑거탭에 있어서,
    활줄을 당길 때 손가락들이 지지되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의 제1지지 플레이트(200)와,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200)의 일측면에 서로 포개져서 결합되며 후면부에 손바닥이 지지되는 제2지지 플레이트(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300)의 후면부는 손바닥의 중앙부에서 손바닥의 상부까지를 포함하여 지지하며,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300)의 측면에는 엄지가 지지되는 엄지 지지돌기부(350)가 결합되고,
    서로 포개져서 결합된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200) 또는 제2지지 플레이트(300)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공에는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200)와 제2지지 플레이트(30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300)가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200)의 일측면에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을 해제한 다음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200) 또는 제2지지 플레이트(300)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다음 다시 고정부재로 고정시켜 폭을 조절할 수 있고, 제2지지 플레이트(300)와 함께 엄지 지지돌기부(350)가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폭의 조절이 가능한 활용 핑거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공은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200) 또는 제2지지 플레이트(300)에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하로 배치되고 각 슬라이드공에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폭의 조절이 가능한 활용 핑거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200) 및 제2지지 플레이트(300)가 서로 포개져서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을 향하는 제1지지 플레이트(200) 및 제2지지 플레이트(300)의 측면이 동일 평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폭의 조절이 가능한 활용 핑거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300)가 포개져서 결합되는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200)의 중첩면은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200)의 전체 면적의 50%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폭의 조절이 가능한 활용 핑거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200)에 포개져서 결합되는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300)의 중첩면은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300)의 후방 테두리부로부터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의 중첩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폭의 조절이 가능한 활용 핑거탭.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300)의 중첩면이 후방 테두리부로부터 내측으로 단차지게 되는 단차 두께는 제1지지 플레이트(200)의 중첩면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폭의 조절이 가능한 활용 핑거탭.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300)에 포개져서 결합되는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200)의 중첩면은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200)의 전방 테두리부로부터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300)의 중첩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폭의 조절이 가능한 활용 핑거탭.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 지지돌기부(35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엄지 지지돌기부(350)는 상기 엄지 지지돌기부(350)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제2지지 플레이트(300)에 결합되는 편심축부재(351)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엄지의 지지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폭의 조절이 가능한 활용 핑거탭.
  9. 제8항에 있어서,
    제2지지 플레이트(300)에는 제2지지 플레이트(300)의 후방 테두리부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결합공(353)이 형성되고, 상기 엄지 지지돌기부(350)의 편심축부재(351)가 다수의 결합공(353) 중 하나의 결합공(353)에 결합되는 전후 폭의 조절이 가능한 활용 핑거탭.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탭에는 중지를 끼워 휴대할 수 있도록 스트랩(400)과, 상기 스트랩을 조일 수 있는 스트랩 조절구(410)가 구비되고,
    상기 스트랩(400)은 제1지지 플레이트(200) 및 제2지지 플레이트(300)에 삽입되고 플레이트 슬라이드 이동시 간섭되지 않도록 스트랩(400)이 삽입되는 제1지지 플레이트(200)의 삽입공(240)은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폭의 조절이 가능한 활용 핑거탭.
KR1020160041712A 2016-04-05 2016-04-05 전후 폭의 조절이 가능한 활용 핑거탭 KR101851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712A KR101851735B1 (ko) 2016-04-05 2016-04-05 전후 폭의 조절이 가능한 활용 핑거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712A KR101851735B1 (ko) 2016-04-05 2016-04-05 전후 폭의 조절이 가능한 활용 핑거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564A KR20170114564A (ko) 2017-10-16
KR101851735B1 true KR101851735B1 (ko) 2018-04-24

Family

ID=60295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712A KR101851735B1 (ko) 2016-04-05 2016-04-05 전후 폭의 조절이 가능한 활용 핑거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7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411B1 (ko) * 2019-10-21 2020-12-07 (주)파이빅스 양궁용 핑거탭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875Y1 (ko) * 2003-06-23 2003-09-26 백종대 핑거텝
KR101551624B1 (ko) * 2014-11-03 2015-09-08 윈엔윈(주) 양궁용 핑거 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875Y1 (ko) * 2003-06-23 2003-09-26 백종대 핑거텝
KR101551624B1 (ko) * 2014-11-03 2015-09-08 윈엔윈(주) 양궁용 핑거 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411B1 (ko) * 2019-10-21 2020-12-07 (주)파이빅스 양궁용 핑거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564A (ko) 201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20972S1 (en) Wart freezing device
USD842298S1 (en) Electronic device
USD971209S1 (en) Display device
USD965589S1 (en) Electronic device
USD811702S1 (en) Shoe
USD893409S1 (en) Battery device
US9757853B2 (en) Magnetic tool holder
USD903662S1 (en) Ring-style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D855466S1 (en) Container
USD864170S1 (en) Spike for a loudspeaker
USD810613S1 (en) Multiple facet gemstone
USD907484S1 (en) Absorbent article package
USD921099S1 (en) Spectacles
USD933558S1 (en) Pair of tailpipes
USD858206S1 (en) Breakfast tray
USD885561S1 (en) Injection device
USD908299S1 (en) Mop holder
USD939910S1 (en) Ratchet buckle
KR20170053820A (ko) 탈착형 스마트링
KR101851735B1 (ko) 전후 폭의 조절이 가능한 활용 핑거탭
USD817853S1 (en) Surfboard holder for vehicle
KR101851725B1 (ko) 활용 핑거탭
USD959278S1 (en) Bottle
USD932180S1 (en) Backpack
US20080210721A1 (en) Apparatus for folding and storing articles of clot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