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610B1 -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610B1
KR101968610B1 KR1020170082406A KR20170082406A KR101968610B1 KR 101968610 B1 KR101968610 B1 KR 101968610B1 KR 1020170082406 A KR1020170082406 A KR 1020170082406A KR 20170082406 A KR20170082406 A KR 20170082406A KR 101968610 B1 KR101968610 B1 KR 101968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lyzate
hemocyte
hemoglobin
antimicrobial
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057A (ko
Inventor
한경식
정태환
Original Assignee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82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6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02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5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using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4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bloo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3Blood, e.g. plas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05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from meat-wastes or from other wastes of animal origin, e.g. skins, hair, hoofs, feathers, bloo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8Hydrolysis, degree of hydro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구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 및 적색 혈구 가수분해 잔여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혈구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은 단백질 분해효소를 사용하여 도축 후 대부분 폐기되는 혈액 내에서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과 적색 혈구 가수분해 잔여물을 분리 제조함으로써 식품, 화장품, 사료 또는 비료로 활용 가능한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과 사료 또는 비료 첨가제로 활용 가능한 적색의 혈구 가수분해 잔여물을 분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 및 이의 용도{A METHOD OF MANUFACTURING HEMOGLOBIN HYDROLYSATE REMOVED RED FROM THE SLAUGHTERED LIVESTOCK'S BLOOD, HYDROLYZATE PREPARED THEREBY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축 후 대부분 폐기되는 혈액 내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를 사용하여 적색을 나타내는 헤모글로빈을 가수분해함으로써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국내 도축 혈액은 선지 제조용으로 극소량만 이용되고 나머지는 모두 폐기 처리되어 도축장의 폐수처리비용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폐기되는 혈액은 유용한 성분들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다양한 제품의 원료로 개발이 가능하고 혈액의 주요 성분인 단백질은 사료 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잠재적인 상업적 가치가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재활용 방법 및 위생적 처리 기법이 완전히 정립되지 않아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가축의 혈액 내 존재하는 면역단백질과 각종 펩타이드 그룹 등은 지난 수년 동안 단백질 소재 시장에서 새롭게 부각되는 생리활성 물질이고 훌륭한 아미노산 조성을 갖추어 영양적 가치가 뛰어나며 인체 내 병원성 미생물로부터 질병의 감염을 억제시키는 면역시스템 강화,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등 다양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또한, 혈액 내에 존재하는 헤모글로빈의 펩티드 그룹은 효소 가수 분해 특성에 따라 항균작용을 나타냄으로써 고기 기반 제품의 저장 및 판매시 천연 방부제로 사용될 수 있다.
현재 국내·외적으로 도축 혈액 부산물의 활용 방안들이 제시되며 경쟁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나 그 기작과 기능성이 과학적으로 명확하게 입증되고 소재 생산과정이 표준화 될 때 비로소 산업적으로 경제성이 인정될 수 있다.
따라서 국내 도축 현실과 사료, 비료, 식품 및 화장품의 규격에 맞게 도축 혈액부산물을 분리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과 산업의 필요성에 적합한 신기능성 제품 개발을 위한 실용화 연구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6388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축 후 버려지는 폐혈액 에서 헤모글로빈을 가수분해함으로써 혐오감을 줄 수 있는 적색을 제거하여 식품, 화장품, 사료 또는 비료 첨가제로 활용할 수 있는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의 식품, 화장품, 사료 또는 비료 등의 첨가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혈구와 단백질 분해 효소를 혼합하여 배양하는 제 1 단계;
상기 배양시킨 혼합물의 pH 를 조정하는 제 2 단계;
상기 pH 조정된 혼합물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는 제 3 단계;
상기 분리한 상등액의 pH 를 조정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pH 조정된 상등액을 분무 건조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혈구 가수분해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한 혈구 가수분해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는 알칼레이즈(alcalase), 뉴트라제(neutrase), 플라보자임(flavourzyme), 프로타멕스(protamex), 및 파파인(papain)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혈구 가수분해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혈구와 단백질 분해 효소를 혼합하여 배양하는 제 1 단계에서는 상기 혈구 100 중량부당 단백질 분해 효소 5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혈구 가수분해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혈구와 단백질 분해 효소를 혼합하여 배양하는 제 1 단계는 40 ℃ 내지 70 ℃의 온도에서 5 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혈구 가수분해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양시킨 혼합물의 pH 를 조정하는 제 2 단계에서는 상기 배양시킨 혼합물의 pH 를 3.5 내지 4.5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혈구 가수분해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한 상등액의 pH 를 조정하는 제 4 단계에서는 상기 분리한 상등액의 pH 를 6 내지 8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혈구 가수분해물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이 식품, 화장품, 사료 또는 비료의 첨가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pH 조정된 혼합물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는 제 3 단계 이후 상기 분리한 침전물의 pH 를 조정하는 제 4-1 단계; 및 상기 pH 조정된 침전물을 분무 건조하는 제 5-1 단계;를 포함하는 혈구 가수분해 잔여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혈구 가수분해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한 침전물의 pH 를 조정하는 제 4-1 단계 에서는 상기 분리한 상등액의 pH 를 6 내지 8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혈구 가수분해물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적색의 혈구 가수분해 잔여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적색의 혈구 가수분해 잔여물의 사료 또는 비료의 첨가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의 제조 방법은 종래 버려지는 도축후 발생하는 폐혈액으로부터 사용하기에 혐오감을 주는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여 이를 식품, 화장품, 비료 및 사료 첨가제로 활용함으로써, 도축 혈액으로부터 고부가가치 소재의 개발 및 가축 사육비의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색이 제거된 헤모글로빈의 활용을 통해 종래 버려지는 도축 폐혈액으로부터 유발되는 환경 오염 문제, 폐수 처리에 따른 비용문제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혈구 가수분해물을 제조하기 위한 분리 및 정제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분리 및 정제 과정을 거쳐 제조된 혈구 가수분해물을 나타내는 것으로써, 도 2의 A는 분리 및 정제된 혈구 분말, B는 혈구 가수분해 잔여물의 분말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혈구 가수분해물 처리에 따른 병원성 균주의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혈구 가수분해물의 병원성 균주 종류별 항원 부착 능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혈구 가수분해물의 농도에 따른 항독소 능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의 A 내지 D는 사용된 병원성 균주의 종류 및 농도 조건이다. (A: E.coli LPS 0.1 ug, B: E.coli LPS 10 ug, C: S.typhimurium LPS 0.1 ug, D: S.typhimurium LPS 10 u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혈구 가수분해물 내 함량된 단백질 농도에 따른 측정을 통한 항독소 능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의 A 내지 B는 사용된 병원성 균주의 종류이다. (A: E. coli LPS, B: S. typhimurium LPS)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 도축 혈액의 준비
도축 혈액을 상온에서 10,000 rpm으로 2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인 혈장과 침전물인 혈구로 분리하여 준비하였다.
< 실시예 1> 단백질 분해 효소의 적색 제거 능력 실험
상업용 단백질 분해 효소로 alcalase, neutrase, flavourzyme, protamex, papain를 사용하여, 단백질 분해 효소의 적색 제거 능력을 분석하였다.
첨가 농도 및 배양 시간의 조건을 달리하여 분석한 결과, 적색이 제거된 양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 가운데 알칼레이즈(alcalase)가 가장 뛰어난 적색 제거 능력을 나타냈다.
<실시예2>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의 제조
먼저, 상기 분리시킨 혈구에 증류수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며 혈구를 용혈시키고, 혈구 100 중량부당 알칼레이즈(alcalase)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60 ℃ 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어서, 4N HCl 용액을 첨가하여 pH 가 4가 되도록 조정한 후, 원심 분리하여 적색이 제거된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상기 회수한 상등액을 4N NaOH를 사용하여 다시 pH 가 7이 되도록 조정하였고, 이를 분무 건조하여 혈구 가수분해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을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A는 혈구 가수분해 잔여물 분말, 도 2B는 상기 제조된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 분말을 나타낸다.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칼레이즈(alcalase) 처리를 통해 제조된 혈구 가수분해물 분말의 경우, 적색이 완전히 제거되어 황색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제조된 적색 혈구 가수분해물을 도 2B 에 도시하였다. 도 2B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칼레이즈(alcalase) 처리를 통해 제조된 혈구 가수분해물 분말의 경우, 적색이 완전히 제거되어 황색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삭제
<실시예 3> 적색 혈구 가수분해 잔여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혈구를 분리시키고, 혈구 100 중량부당 알칼레이즈(alcalase)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배양 후 이어서, 4N HCl 용액을 첨가하여 pH 가 4가 되도록 조정한 후, 원심 분리하여 적색의 침전물을 회수하였다.
제조된 적색 혈구 가수분해 잔여물을 도 2A에 도시하였다. 도 2A는 혈구 분말, 도 2B는 상기 제조된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 잔여물 분말을 나타낸다.
< 실험예 1> 항균 능력 분석
상기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혈구 가수분해물의 항균 능력 및 항원 부착 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병원성 균주들을 사용하였다.
No. Bacterium
Gram positive
1 Clostridium perfringens ATCC13124
2 Clostridium termitidis ATCC 51846
3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4 Staphylococcus epidermidis ATCC 1228
Gram negative
5 Escherichia coli ATCC 9637
6 Escherichia coli ATCC 12055
7 Salmonella enterica KCTC 11862
8 Salmonella typhimurium KCTC 40253
9 Shigella flexneri ATCC12022
10 Shigella sonnei ATCC 9290
11 Vibrio parahaemolyticus ATCC 33844
12 Vibrio vulnificus ATCC 27562
상기 표 1의 병원성 균주들은 tryptic soy broth, nutrient broth, marine broth, reinforced clostridial medium 등을 이용하여 37 ℃에서 18시간씩 3회 이상 계대 배양하여 사용하였고, Clostridium 및 Escherichia coli 병원성 균주를 대상으로 항균 능력을 분석하였다.
상기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혈구 가수분해물과 buffered peptone water(BPW)가 혼합된 용액을 103 내지 104 cfu/ml의 병원성 균주들과 혼합한 후 37 ℃에서 3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tryptic soy agar 및 reinforced clostridial agar을 사용하여 37 ℃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콜로니(colony) 수를 측정하였다.
Positive control로서 Bovine serum albumin(BSA)을 사용하여 처리하였고, 대조구는 BPW로 처리하였으며 향균 능력은 하기의 식과 같이 계산하였다.
Figure 112017062416618-pat00001
N0: 병원성 균주의 초기 접종 균수
Nc: 혈구 가수분해물 소재 대신 BPW를 처리한 대조구의 균수
Nm: 혈구 가수분해물 소재를 처리한 후 3시간 배양한 처리구의 균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혈구 가수분해물 처리에 따른 병원성 균주의 성장 억제 효과 분석 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혈구 가수분해물 소재는 C. perfringenes 및 E. coli 등을 포함한 병원성 균주들의 성장을 유의적으로 억제시키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BSA 처리에 따라 병원성 균주들의 성장이 억제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혈구 가수분해물 소재가 항균 능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2> 항원 부착 능력 분석
상기 표 1의 병원성 균주들은 tryptic soy broth, nutrient broth, marine broth, reinforced clostridial medium 등을 이용하여 37 ℃에서 18시간씩 3회 이상 계대 배양하여 사용하였고, Clostridium 및 E.coli 등을 포함한 다양한 병원성 균주를 대상으로 항원 부착 능력을 분석하였다.
상기 배양시킨 병원성 균주를 4,000 rpm 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뒤 상등액을 제거하고 PBS를 이용하여 3회 세척하였다. 이어서 610 nm 에서 흡광도가 1.0 이 되도록 조정한 뒤 4 ℃에서 overnight 하여 96 well plate에 부착시켰다. PBST(phosphate buffered saline containing 0.05% tween 20)로 세척하고 BSA가 포함된 PBS를 이용하여 37 ℃에서 1시간 동안 blocking한 후 PBST로 다시 세척하여 혈구 가수분해물 소재(10 mg/ml)를 분주하였다.
상기 분주한 혈구 가수분해물을 37 ℃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고 PBST로 세척한 뒤, detection antibody를 각 well에 분주한 다음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종료되면 PBST로 각 well을 세척하고 substrate solution을 분주한 뒤 암소에서 10분간 배양하고 0.18 M 황산을 처리하여 반응을 종료시킨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초기 단계에서 병원성 균주 대신 각 소재들의 용액을 부착시켜 진행하였다.
항원 부착 능력은 하기의 식과 같이 계산하였다.
Figure 112017062416618-pat00002
표 1에 제시된 병원성 균주들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혈구 가수분해물의 항원 부착 능력을 분석한 결과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혈구 가수분해물 소재는 사용된 병원성 균주에 따른 차이가 있지만 항원 부착 능력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3> 항독소 능력(독소 부착 능력) 분석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혈구 가수분해물을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ca serotype typhimurium, lymphoblast K-562 세포, MTT 기법을 이용한 cell viability를 측정하여 항독소 능력을 분석하였다.
96 well plate에 Escherichia coli 와 Salmonella enterica serotype typhimurium LPS 용액을 분주하고 4 ℃에서 overnight 하였다. 이어서 PBST로 세척하고 BSA가 포함된 PBS를 이용하여 37 ℃에서 1시간 동안 blocking 하였다. 이 후 PBST로 다시 세척하고 혈구 가수분해물 소재를 분주한 후 37 ℃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고 PBST로 세척한 후 detection antibody를 각 well에 분주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종료되면 PBST로 각 well을 세척하고 substrate solution을 분주한 뒤 암소에서 10분간 배양하고 0.18 M 황산을 처리하여 반응을 종료시킨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항독소 능력을 분석하였다.
한국세포주은행에서 분양 받은 lymphoblast K-562 세포를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1×104 cells/100 ul)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다양한 농도로 희석된 혈구 가수분해물 소재와 E. coli 및 S. typhimurium LPS 용액을 1:1로 혼합한 후 37 ℃에서 30분간 배양하였다. 이 용액을 lymphoblast K-562 세포가 24시간 동안 배양된 96 well plate에 분주한 뒤 37 ℃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고 MTT 방법을 이용하여 항독소 능력을 분석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혈구 가수분해물의 농도에 따른 항독소 능력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혈구 가수분해물의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병원성 균주 E.coli 및 S.typhimurium LPS에 대한 부착능력은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혈구 가수분해물 소재의 항독소 능력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4> 항독소 능력(독소 부착 능력) 분석
Lymphoblast K-562 세포를 이용한 cell viability 측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혈구 가수분해물 내 단백질 농도에 따른 항독소 능력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혈구 가수분해물 처리구에서 단백질의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광도가 상승하였고, 상기 혈구 가수분해물 내 단백질 함량 기준 500 ug/ml로 처리할 경우, 가장 우수한 항독소 능력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독소 부착 능력과 cell viability 조사를 통해 혈구 가수분해물 소재가 E. coli 및 S. typhimurium LPS 등의 독소 성분에 대한 항독소 능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5)

  1.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구 가수분해물은 알칼레이즈(alcalase), 뉴트라제(neutrase), 플라보자임(flavourzyme), 프로타멕스(protamex), 및 파파인(papain)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해 분해되는 것인,
    항균용 식품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구 가수분해물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
    혈구와 단백질 분해 효소를 혼합하여 배양하는 제 1 단계;
    상기 배양시킨 혼합물의 pH 를 조정하는 제 2 단계;
    상기 pH 조정된 혼합물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는 제 3 단계;
    상기 분리한 상등액의 pH 를 조정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pH 조정된 상등액을 분무 건조하는 제 5 단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혈구와 단백질 분해 효소를 혼합하여 배양하는 제 1 단계는 40 ℃ 내지 70 ℃의 온도에서 5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는 것인,
    항균용 식품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시킨 혼합물의 pH 를 조정하는 제 2 단계에서는 상기 배양시킨 혼합물의 pH 를 3.5 내지 4.5로 조정하는 것인,
    항균용 식품 조성물.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한 상등액의 pH 를 조정하는 제 4 단계에서는 상기 분리한 상등액의 pH 를 6 내지 8로 조정하는 것인,
    항균용 식품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혈구와 단백질 분해 효소를 혼합하여 배양하는 제 1 단계에서는 상기 혈구 100 중량부당 단백질 분해 효소 5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인,
    항균용 식품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Clostridium perfringens, Clostridium termitidis,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ca,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flexneri, Shigella sonnei, Vibrio parahaemolyticusVibrio vulnificu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
  9.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품 조성물.
  10.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비료 조성물.
  11.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사료 조성물.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70082406A 2017-06-29 2017-06-29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 및 이의 용도 KR101968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406A KR101968610B1 (ko) 2017-06-29 2017-06-29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406A KR101968610B1 (ko) 2017-06-29 2017-06-29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057A KR20190002057A (ko) 2019-01-08
KR101968610B1 true KR101968610B1 (ko) 2019-04-12

Family

ID=65021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406A KR101968610B1 (ko) 2017-06-29 2017-06-29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6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382B1 (ko) * 2021-05-20 2022-12-20 정승진 전혈에서 혈장과 혈구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아미노산 제조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595B1 (ko) 2009-04-01 2010-09-06 오진열 가축의 혈액을 이용한 아미노산 액상비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아미노산 액상비료
JP7024553B2 (ja) * 2018-03-28 2022-02-24 日本製鉄株式会社 腐食環境測定装置のプローブ及び腐食環境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553B2 (ja) * 1987-05-20 1995-03-22 群栄化学工業株式会社 血球の酵素加水分解物添加ペットフ−ド
KR20060005770A (ko) * 2004-07-14 2006-01-18 주식회사 에이.비.아이 동물의 전혈 또는 응고혈로부터 수용성 헴철-폴리펩타이드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1663882B1 (ko) 2015-01-27 2016-10-07 이창호 도축 폐혈액을 사료 또는 비료로 활용할 있는 혈분제품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595B1 (ko) 2009-04-01 2010-09-06 오진열 가축의 혈액을 이용한 아미노산 액상비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아미노산 액상비료
JP7024553B2 (ja) * 2018-03-28 2022-02-24 日本製鉄株式会社 腐食環境測定装置のプローブ及び腐食環境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057A (ko) 201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ntos et al. Keratinolytic activity of Aspergillus fumigatus Fresenius
CA2912012C (en) Production of beta-glucans and mannans
Pleissner et al. Utilization of protein-rich residues in biotechnological processes
KR840008589A (ko) 약리적기능을 갖는 어개추출물(漁介抽出物)의 제조
Murado et al. Characterization of microbial biomasses and amylolytic preparations obtained from mussel processing waste treatment
Lazzi et al. Growth promotion of B ifidobacterium and L actobacillus species by proteinaceous hydrolysates derived from poultry processing leftovers
CN101104637A (zh) 一种新的杀菌肽及其产生菌株和用途
López et al. Peptidase from Aspergillus niger NRRL 3: Optimization of its production by solid-state fermenta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KR101968610B1 (ko)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적색이 제거된 혈구 가수분해물 및 이의 용도
WO2003066664A3 (en) Complex technologies using enzymatic protein hydrolysate
Tremacoldi et al. Production of extracellular acid proteases by Aspergillus clavatus
Lu et al. Highly efficient shrimp shell recovery by solid-state fermentation with Streptomyces sp. SCUT-3
Tuysuz et al. Bioconversion of waste sheep wool to microbial peptone by Bacillus licheniformis EY2
US5192677A (en) Alkali and heat stable protease from thermomonospora fusca
Thillaimaharani et al. Studies on the intestinal bacterial flora of tilapia Oreochromis mossambicus (Peters, 1852) and optimization of alkaline protease by Virgibacillus pantothenticus
Ghorbel-Bellaaj et al. Shrimp processing by-products protein hydrolysates: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application in biomass and proteases production
Geethanjali et al.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protease from Labeo rohita viscera
Wang et al. Preparation of peptone from chicken bone residue by using natural pancreas as catalyst
Jain et al. Isolation, production and partial purification of protease from an endophytic Acremonium sp
Wang et al. Biodegradation of feather wastes and the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concomitant keratinase from Paecilomyces lilacinus
CN1703518A (zh) 提纯硫醚抗生素的方法
Larasati et al. Keratinase from newly isolated strain of thermophilic Bacillus for chicken feed modification
CN105543123A (zh) 一株生产抗氧化肽的苏云金芽孢杆菌及其筛选方法
Baurin et al. Sunflower Protein Enzymatic Hydrolysates as a Medium for Vitamin B2 and B12 Biosynthesis.
de Barros Soares et al. Influence of some commercial proteases and enzymatic associations on the hydrolytic solubilization of deboned poultry meat proteins Influencia de algunas proteasas comerciales y preparados enzimáticos en la solubilización hidrolitica de las proteínas de la carne de pollo separada mecánicame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