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798B1 -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 - Google Patents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798B1
KR101967798B1 KR1020170001288A KR20170001288A KR101967798B1 KR 101967798 B1 KR101967798 B1 KR 101967798B1 KR 1020170001288 A KR1020170001288 A KR 1020170001288A KR 20170001288 A KR20170001288 A KR 20170001288A KR 101967798 B1 KR101967798 B1 KR 101967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ipe
backflow
socket
backflow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1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0503A (ko
Inventor
정민시
Original Assignee
정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시 filed Critical 정민시
Priority to KR1020170001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7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80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9/00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은, 수용 배관에 연결되도록 일측에 제1 배관수용부가 형성되고, 방출 배관에 연결되도록 타측에 제2 배관수용부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 상단에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역류 방지판이 구비되는 역류 차단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상기 역류 차단부의 역류 방지판이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걸림턱;을 포함한다.
이로써, 몸체부의 내주면 상단에 형성된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역류 방지판이 구비되어 유체역류, 악취유입, 유해물질 역류 및 해충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Socket for Piping}
본 발명은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에 연결되도록 양측에 제1,2 배관수용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 상단에 형성된 힌지부를 중심으로 역류 방지판이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역류 차단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역류 방지판이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배관이란 각종 유체가 흐르는 통로를 지칭하는 것으로, 그 목적에 따라 온수배관, 난방배관, 오,배수배관, 소화배관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가정 광범위로 사용되는 오,배수배관은 그 종류에 따라 주철관, 탄소강관, 경질염화 비닐 라이닝강관, 타르에폭시 도장강관, 연관, 경질염화비닐관, 내화2층관, 철관콘크리트관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배관들은 연결소켓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배관의 수리나 관리가 필요한 경우 상기 연결소켓을 중심으로 새로운 배관을 교체하거나 관리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연결소켓은 90°벤드, 45°벤드, Y관, YT관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직선형 배관들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무리하게 새로운 배관을 교체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자원이 낭비되어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배관공사를 한 뒤, 보수공사를 해야할 때, 보수해야할 부분을 절단하여 절단된 각각의 관을 연결해야 하는 경우에도 작업성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으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배관 부속이 많지 않아 관과 관끼리의 결합 부위를 정확히 맞추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기에, 하수관들이 서로 연결될 때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연결소켓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본 출원인의 선등록특허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5764호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2016. 06. 28.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이 있으며,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절단된 두 관을 연결할 때, 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단순히 작업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로서, 해안이나 저지대의 자연재해시 발생될 수 있는 배수관 내부의 유체 역류현상이나, 오수배관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악취나 유해물질, 각종 해충들이 역방향으로 유입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배관용 소켓을 구비하여 각종 배관의 연결과, 수리 보수 작업의 효율성을 확보하면서도, 종래 각종 오,배수배관이 지니는 유체역류, 악취유입, 유해물질 역류 및 해충유입과 같은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소켓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관용 소켓을 이용하여 배관의 연결과 수리 보수 작업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유체역류, 악취유입, 유해물질 역류 및 해충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배관용 소켓 자체의 관리 및 설치가 용이하며, 소켓의 형상을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어 제작 및 설치가 편리하고, 유체역류와 악취유입 차단의 내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유체의 정방향 흐름에도 유체의 량에 대응되는 정도만 개방될 수 있고, 소켓의 단면 형상과 무관하게 개폐될 수 있는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은, 수용 배관(P1)에 연결되도록 일측에 제1 배관수용부(11)가 형성되고, 방출 배관(P2)에 연결되도록 타측에 제2 배관수용부(12)가 형성되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내주면에는 힌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21)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역류 방지판(22)이 구비되는 역류 차단부(20); 및 상기 몸체부(10)의 내주면에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역류 방지판(22)이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걸림턱(30);을 포함하되, 상기 힌지부(21)는 장공형으로 형성된 힌지공(21a)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힌지축(21b)이 삽입되고, 역방향 흐름이 발생되면 상기 힌지축(21b)이 상기 힌지공(21a)을 따라 상기 걸림턱(30)에 밀착되되, 상기 힌지축(21b)은 적어도 일측 단부가 다각형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되어 상기 힌지공(21a)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의 내주면 직경이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점진 확관되되, 상기 걸림턱(30)을 경계로 직경이 축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는 수용몸체(10a)와 방출몸체(10b)로 구성되되, 상기 수용몸체(10a)는 수용 배관(P1)에 연결되도록 일측에 제1 배관수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배관수용부(11)의 타측에는 방출몸체(10b)에 연결되도록 일정한 직경을 지니는 제1 소켓연결부(13a)가 형성되며, 상기 방출몸체(10b)는 일측에 일정한 직경을 지니는 제2 소켓연결부(13b)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소켓연결부(13a)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소켓연결부(13)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소켓연결부(13b)의 타측에는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역류 방지판(22)이 회동되도록 회동공간부(14)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공간부(14)의 일측에는 방출 배관(P2)에 연결되도록 제2 배관수용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몸체(10a)는 제1 배관수용부(11)의 타측에 직각방향으로 걸림턱(3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30)에는 역류 방지판(22)과 맞닿는 면을 향하여 볼록부(31a)가 형성된 탄성체(3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힌지부(21)와 대향되는 위치의 걸림턱(30)이 상대적으로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힌지부(21)는 소켓연결부(13)의 제1 소켓연결부(13a) 또는 제2 소켓연결부(13b)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 형성된 힌지공(21a)에 힌지축(21b)이 삽입되고, 제1 소켓연결부(13a) 또는 제2 소켓연결부(13b) 중 나머지 하나가 상기 힌지공(21a)을 커버하여 상기 힌지축(21b)이 고정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힌지부(21)의 힌지축(21b)이 탄성스프링(21c)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탄성스프링(21c)의 일단이 힌지축(21b)에 결합되고, 타측이 역류 방지판(22)에 결합되어 상기 역류 방지판(22)이 역방향 흐름을 차단하도록 복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역류 방지판(22)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힌지(22a)가 구비되어 적어도 한 쌍의 수평 분할판(22b)이 절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역류 방지판(22)은 적어도 하나의 수직힌지(22d)가 구비되어 적어도 한 쌍의 수직 분할판(22e)이 절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에 따르면, 배관용 소켓의 몸체부를 이용하여 배관의 연결과 수리 보수 작업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몸체부의 내주면 상단에 형성된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역류 방지판이 구비되어 유체역류, 악취유입, 유해물질 역류 및 해충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수용몸체와 방출몸체로 구성되어 배관용 소켓 자체의 관리 및 설치가 용이하며, 소켓의 형상을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어 제작 및 설치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탄성체가 구비되어 역방향 흐름에 의한 가압력에 역류 방지판이 밀착될 수 있어 유체역류와 악취유입 차단의 내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는 탄성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탄성스프링이 상시 역류 방지판이 폐쇄되도록 복원력을 발생시키므로, 악취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힌지축이 구비되는 힌지공은 장공형으로 형성되어 역방향 흐름이 발생되면, 힌지축이 힌지공을 따라 걸림턱에 밀착되어 부재의 훼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차단의 내밀성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역류 방지판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힌지가 구비되어 적어도 한 쌍의 수평 분할판이 절첩되도록 구비되어 유체의 정방향 흐름에도 유체의 량에 대응되는 정도만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역류 방지판은 적어도 하나의 수직힌지가 구비되어 적어도 한 쌍의 수직 분할판이 절첩되도록 구비소켓의 단면 형상과 무관하게 개폐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소켓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사용상태도 및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소켓의 형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소켓의 형상을 도시한 분해 및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차단부의 단면 상세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역류 차단부의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소켓의 형상을 도시한 결합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은 몸체부(10), 역류 차단부(20) 및 걸림턱(30)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0)는 수용 배관(P1)에 연결되도록 일측에 제1 배관수용부(11)가 형성되고, 방출 배관(P2)에 연결되도록 타측에 제2 배관수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의 제1 배관수용부(11)와 제2 배관수용부(12)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수용 배관(P1) 또는 방출 배관(P2)과 연결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공지의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관수용부(11)와 제2 배관수용부(12)는 단부에 단턱부(11a)(12a)가 형성되어 배관(P1)(P2)의 단부가 상기 단턱부(11a)(12a)에 안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는 원형 단면을 지니도록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배관용 소켓은 몸체부(10)의 내측에 후술할 역류 차단부(20)가 구비되는바,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유지 관리와 시공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부(10)는 수용몸체(10a)와 방출몸체(10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가 수용몸체(10a)와 방출몸체(10b)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몸체부(10)의 단면은 원형 단면으로 국한될 필요가 없어 제작이 용이하고 시공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몸체(10a)는 수용 배관(P1)에 연결되도록 일측에 제1 배관수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배관수용부(11)의 타측에는 방출몸체(10b)에 연결되도록 일정한 직경을 지니는 제1 소켓연결부(13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출몸체(10b)는 일측에 일정한 직경을 지니는 제2 소켓연결부(13b)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소켓연결부(13a)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소켓연결부(13)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연결부(13b)의 일측에는 방출 배관(P2)에 연결되도록 제2 배관수용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켓 연결부(13)를 형성하는 제1 소켓연결부(13a)와 제2 소켓연결부(13b)는 원형 단면 이외의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는바, 상호 접착수단을 바탕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경우라면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소켓연결부(13a)와 제2 소켓연결부(13b)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 단턱부(13a-1)(13b-1)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소켓연결부(13a) 또는 제2 소켓연결부(13b)의 단부가 상기 단턱부(13a-1)(13b-1)에 안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소켓연결부(13b)의 타측에는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역류 방지판(22)이 회동되도록 회동공간부(14)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공간부(14)의 일측에는 방출 배관(P2)에 연결되도록 제2 배관수용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공간부(14)는 양 측의 폭이 일정하게 형성되어 회동공간부(14)에 구비된 역류 방지판(22)이 제약 없이 회전되어 개방 또는 폐쇄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출몸체(10b)는 회동공간부(14)의 일측에 상기 제2 배관수용부(12)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축관되는 축관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는 원형 단면으로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바, 방출 배관(P2)에 연결되는 몸체부(10)에 각종 이물질이 구비되거나 유체의 흐름이 지체될 수 있다.
이에 유체가 정방향으로 안정적으로 흐를 수 있도록 회동공간부(14)의 일측에 축관부(15)가 형성되어 이물질이 구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체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역류 차단부(20)는 상기 몸체부(10)의 내주면 상단에는 힌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21)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역류 방지판(22)이 구비된다.
상기 역류 방지판(22)의 상단에 힌지부(21)가 구비되므로 역방향 흐름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 역류 방지판(22)의 자중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30)은 상기 몸체부(10)의 내주면에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역류 방지판(22)이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역류 방지판(22)과 힌지부(21)는 수용 배관(P1)에 인접하여 형성된 걸림턱(30)의 내측에 구비된다.
한편, 상기 수용몸체(10a)는 제1 배관수용부(11)의 타측에 직각방향으로 걸림턱(3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어 별도로 몸체부(10)의 내측에 걸림턱(30)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는바 제작의 용이성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30)에는 역류 방지판(22)과 맞닿는 면을 향하여 볼록부(31a)가 형성된 탄성체(31)가 구비될 수 있다. 역방향 흐름이 발생되면, 역류 방지판(22)이 가압되는바, 탄성체(31)에 의하여 상기 역류 방지판(22)이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어 유체의 역방향 흐름 차단과 악취유입 차단을 확보함에 있어 보다 내밀성을 기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31)에 형성된 볼록부(31a)는 역방향 흐름의 가압 정도에 무관하게 상기 볼록부(31a)의 형상변형을 바탕으로 안정적으로 압력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힌지부(21)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몸체부(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몸체부(10)의 외주면에는 상부를 나타내도록 마크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힌지부(21)는 소켓연결부(13)의 제1 소켓연결부(13a) 또는 제2 소켓연결부(13b)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힌지공(21a)에 힌지축(21b)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21b) 제1 소켓연결부(13a) 또는 제2 소켓연결부(13b) 중 나머지 하나가 상기 힌지공(21a)을 커버하여 상기 힌지축(21b)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과정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으며, 이를 해체하는 경우에도 단지 몸체부(10)의 수용몸체(10a)와 방출몸체(10b)를 분리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힌지부(21b)를 분리하는 기술적 효과를 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소켓연결부(13a)와 제2 소켓연결부(13b)는 상호 내,외측이 변경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내측에 구비된 소켓연결부에 힌지공(2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공(21a)은 장공형으로 형성되어 역방향 흐름이 발생되면, 상기 힌지축(21b)이 힌지공(21a)을 따라 걸림턱(30)에 밀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21b)는 힌지공(21a)의 형상을 따라 전후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역방향 흐름이 발생되면 상기 힌지축(21b)도 함께 이동하여 역류 방지판(22)이 가압되는바, 탄성체(31)에 의하여 상기 역류 방지판(22)이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어 유체의 역방향 흐름 차단과 악취유입 차단을 확보함에 있어 보다 내밀성을 기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힌지축(21b)이 힌지공(21a)을 따라 걸림턱(30)에 밀착되어 부재의 훼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확보되는 추가적인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21)의 힌지축(21b)이 탄성스프링(21c)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탄성스프링(21c)의 일단이 힌지축(21b)에 결합되고, 타측이 역류 방지판(22)에 결합되어 상기 역류 방지판(22)이 역방향 흐름을 차단하도록 복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축(21b)는 역류 방지판(22)과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일측 단부가 다각형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되어 상술한 장공형 힌지공(21a)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되, 회전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스프링(21c)는 상시 역류 방지판(22)이 폐쇄되도록 복원력을 발생시키므로, 악취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21)에 별도의 탄성스프링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자중에 의하여 역류 방지판(22)이 폐쇄되며, 효과적인 차단을 위하여 힌지부(21)과 대향되는 위치의 걸림턱(30)이 상대적으로 일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걸림턱(30)에 형성되는 탄성체(31)도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는 중력에 의하여 자중으로 역류 방지판(22)이 폐쇄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배관용 소켓의 내부가 유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의 부력에 의하여 역류 방지판(22)이 부유하여 회동함으로써 폐쇄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힌지부(21)는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역류 방지판(22)은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로 형성되며, 유체의 흐름이 없는 경우에는 부력에 의하여 폐쇄되고, 유체의 정방향 흐름이 발생되면 개방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역류 방지판(22)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힌지(22a)가 구비되어 적어도 한 쌍의 수평 분할판(22b)이 절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유체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정방향 흐름만 발생되는 경우에도 유체의 량에 대응되는 정도만 개방될 수 있어 악취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힌지(22a)는 적어도 두 개의 상,하부 수평힌지(22a-1)(22a-2)가 구비되어 적어도 세 개의 수평 분할판(22b-1)(22b-2)(22b-3)이 절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하부 수평힌지(22a-1)(22a-2)에는 각각 상,하부 탄성스프링(22c-1)(22c-2)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탄성스프링(22c-1)이 하부 탄성스프링(22c-2) 보다 강한 복원력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유량과 압력에 따라 하부 수평힌지(22a-2)에 종속된 수평 분할판(22b-3)부터 순차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역류 방지판(22)은 적어도 하나의 수직힌지(22d)가 구비되어 적어도 한 쌍의 수직 분할판(22e)이 절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힌지(22d)에 의하여 몸체부(10)의 단면 형상과 무관하게 하기 수직 분할판(22e)이 몸체부(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몸체부 10a:수용몸체
10b:방출몸체 11:제1 배관수용부
12:제2 배관수용부 11a,12a:단턱부
13:소켓 연결부 13a,13b:제1,2 소켓연결부
14:회동공간부 15:축관부
20:역류 차단부 21:힌지부
21a:힌지공 21b:힌지축
21c:탄성스프링 22:역류 방지판
22a:수평힌지 22a-1,22a-2:상,하부 수평힌지
22b:수평 분할판 22b-1,22b-2,22b-3:수평 분할판
22c-1,22c-2:상,하부 탄성스프링
22d:수직힌지 22e:수직 분할판
30:걸림턱 31:탄성체
31a:볼록부

Claims (11)

  1. 수용 배관(P1)에 연결되도록 일측에 제1 배관수용부(11)가 형성되고, 방출 배관(P2)에 연결되도록 타측에 제2 배관수용부(12)가 형성되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내주면에는 힌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21)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역류 방지판(22)이 구비되는 역류 차단부(20); 및
    상기 몸체부(10) 내주면에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역류 방지판(22)이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걸림턱(30);을 포함하되,
    상기 힌지부(21)는 장공형으로 형성된 힌지공(21a)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힌지축(21b)이 삽입되고, 역방향 흐름이 발생되면 상기 힌지축(21b)이 상기 힌지공(21a)을 따라 상기 걸림턱(30)에 밀착되되, 상기 힌지축(21b)은 적어도 일측 단부가 다각형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되어 상기 힌지공(21a)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의 내주면 직경이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점진 확관되되, 상기 걸림턱(30)을 경계로 직경이 축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는 수용몸체(10a)와 방출몸체(10b)로 구성되되, 상기 수용몸체(10a)는 수용 배관(P1)에 연결되도록 일측에 제1 배관수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배관수용부(11)의 타측에는 방출몸체(10b)에 연결되도록 일정한 직경을 지니는 제1 소켓연결부(13a)가 형성되며, 상기 방출몸체(10b)는 일측에 일정한 직경을 지니는 제2 소켓연결부(13b)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소켓연결부(13a)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소켓연결부(13)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소켓연결부(13b)의 타측에는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역류 방지판(22)이 회동되도록 회동공간부(14)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공간부(14)의 일측에는 방출 배관(P2)에 연결되도록 제2 배관수용부(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몸체(10a)는 제1 배관수용부(11)의 타측에 직각방향으로 걸림턱(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30)에는 역류 방지판(22)과 맞닿는 면을 향하여 볼록부(31a)가 형성된 탄성체(3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
  5. 제3항에 있어서,
    힌지부(21)와 대향되는 위치의 걸림턱(30)이 상대적으로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힌지부(21)는 소켓연결부(13)의 제1 소켓연결부(13a) 또는 제2 소켓연결부(13b)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형성된 힌지공(21a)에 힌지축(21b)이 삽입되고, 제1 소켓연결부(13a) 또는 제2 소켓연결부(13b) 중 나머지 하나가 상기 힌지공(21a)을 커버하여 상기 힌지축(21b)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21)의 힌지축(21b)이 탄성스프링(21c)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탄성스프링(21c)의 일단이 힌지축(21b)에 결합되고, 타측이 역류 방지판(22)에 결합되어 상기 역류 방지판(22)이 역방향 흐름을 차단하도록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역류 방지판(22)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힌지(22a)가 구비되어 적어도 한 쌍의 수평 분할판(22b)이 절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역류 방지판(22)은 적어도 하나의 수직힌지(22d)가 구비되어 적어도 한 쌍의 수직 분할판(22e)이 절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
  11. 삭제
KR1020170001288A 2017-01-04 2017-01-04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 KR101967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288A KR101967798B1 (ko) 2017-01-04 2017-01-04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288A KR101967798B1 (ko) 2017-01-04 2017-01-04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503A KR20180080503A (ko) 2018-07-12
KR101967798B1 true KR101967798B1 (ko) 2019-04-10

Family

ID=62919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288A KR101967798B1 (ko) 2017-01-04 2017-01-04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7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716Y1 (ko) * 2004-10-04 2004-12-16 박종수 수도관용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체크밸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5475A (ja) * 1983-12-09 1985-07-04 Kitazawa Valve:Kk 逆止め弁
US5713389A (en) * 1995-08-24 1998-02-03 Fmc Corporation Check valve and check valve seat
KR20020057894A (ko) * 2002-05-21 2002-07-12 이한욱 하수관로용 우수 유입 자동차단기
KR20090030396A (ko) * 2007-09-20 2009-03-25 (주)일산금속 악취 역류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716Y1 (ko) * 2004-10-04 2004-12-16 박종수 수도관용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체크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503A (ko)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9823B2 (en) Non-return valve
US20160186912A1 (en) Device for partially repairing pipe using hose band
NO20141497A1 (no) Tetningsarrangement for en slagkopling, samt en metallpakning og et mottaksparti for bruk i nevnte tetningsarrangement
KR101967798B1 (ko)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
US8439078B2 (en) Odour trap
WO2012161634A1 (en) Device for achieving single-direction flow in channels, pipes, etc
US586618A (en) Safety-trap
US10641398B2 (en) Ball valve with integrated fitting
JP6118956B2 (ja) 配管装置
KR200482592Y1 (ko) 수도꼭지의 pb 파이프 연결 소켓장치
KR101378120B1 (ko) 관내 부착형 역지밸브
KR200438690Y1 (ko) 유니온 타입 역류방지용 연결밸브
JP2017133589A (ja) 補修用継手
KR101580286B1 (ko) 유량 조절 밸브
KR200475998Y1 (ko) 버터플라이 밸브
JP6744662B2 (ja) 手動式ポンプ
JPWO2019151490A1 (ja) 流路構造
KR100834943B1 (ko) 상수도용 밸브
JP2008190700A (ja) 縮径継手部を有するバルブ
KR20130114362A (ko) 버터플라이 밸브용 시트 일체형 라이닝
KR101705484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US207492A (en) Improvement in stench-traps
US11953121B2 (en) External plumbing valve device
JP2012007471A (ja) 地下灌漑システム
KR101206969B1 (ko) 하수관용 편심 원추 역지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