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696B1 - 구독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구독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696B1
KR101967696B1 KR1020170149542A KR20170149542A KR101967696B1 KR 101967696 B1 KR101967696 B1 KR 101967696B1 KR 1020170149542 A KR1020170149542 A KR 1020170149542A KR 20170149542 A KR20170149542 A KR 20170149542A KR 101967696 B1 KR101967696 B1 KR 101967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ubscription service
content container
page
up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식
윤재덕
Original Assignee
장성식
윤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식, 윤재덕 filed Critical 장성식
Priority to KR1020170149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696B1/ko
Priority to PCT/KR2017/013739 priority patent/WO201909356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04L67/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독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a) 웹페이지에 관한 갱신 구독서비스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웹페이지의 RSS (Rich Site Summary) 피드를 컨텐츠로 자동 추출하여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c)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의 검색을 통해 상기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특정 컨텐츠의 구독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컨텐츠의 갱신 여부를 자동 확인하여 상기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에 상기 특정 컨텐츠의 갱신 알림을 푸시 메시지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자동으로 알려줄 수 있다.

Description

구독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SUBSCRIPTION SERVICE}
본 발명은 구독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자동으로 알려줄 수 있는 구독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RSS(Rich Site Summary)는 뉴스나 블로그에서 사용하는 콘텐츠 표현 방식으로 기존에는 정보를 얻기 위해 각각의 사이트를 직접 방문 해야 했으나, RSS 서비스를 이용하면 최신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할 수 있다. 다만, 모든 사이트가 RSS 피드(Feed)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며, RSS 피드를 제공하는 사이트들을 대상으로만 RSS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제약이 존재한다. RSS 피드의 제공 여부와 상관없이 RSS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면, 사용자는 보다 쉽고 편리하게 원하는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85689(2014.04.09)호는 RSS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파일서버 및 문서관리서버 등의 문서 및 컨텐츠 관리 시스템이 그룹웨어, 게시판 및 이메일 시스템 등의 다른 시스템과 연동하는데 있어서 별도의 연동에 대한 개발없이 RSS 이용하여 연동할 수 있고,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RSS주소에 따른 RSS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가 접근을 요청한 디렉토리의 파일과 그 하위 디렉토리를 표시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57385(2008.10.30)호는 위젯 기반의 RS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서버에 관한 것으로, 위젯 서버가 피드(Feed)를 포함한 신규 위젯(Widget) 서비스 정보를 등록하면, RSS 서버가 등록된 신규 위젯 서비스 정보에 따른 서버와의 채널을 설정하며, 피드에 따른 페이지만을 추적한 RSS 컨텐츠를 생성하고, 컨텐츠 푸쉬 서버가 생성된 RSS 컨텐츠를 일정한 주기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서비스인 모바일 위젯을 통해서 RSS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85689(2014.04.09)호 한국등록특허 제10-1257385(2008.10.30)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자동으로 알려줄 수 있는 구독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웹페이지의 RSS (Rich Site Summary) 피드(Feed)를 통해 전달받은 컨텐츠를 사용자 개인의 취향대로 편집하여 공유할 수 있는 구독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특정 컨텐츠의 갱신 여부를 자동 확인하여 해당 컨텐츠의 갱신 알림을 푸시(Push)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는 구독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구독서비스 제공 방법은 (a) 웹페이지에 관한 갱신 구독서비스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웹페이지의 RSS (Rich Site Summary) 피드를 컨텐츠로 자동 추출하여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c)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의 검색을 통해 상기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특정 컨텐츠의 구독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컨텐츠의 갱신 여부를 자동 확인하여 상기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에 상기 특정 컨텐츠의 갱신 알림을 푸시 메시지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구축의 과정에서 구독서비스 제공 단말을 통해 각각이 독립적인 갱신 구독서비스를 설정한 컨텐츠와 연관되고 고유의 갱신 확인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컨테이너를 배치한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2차 컨텐츠로서 상기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구독서비스 제공 단말의 승인에 따라 상기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이 상기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검색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의 구독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컨텐츠 컨테이너의 독립적인 갱신 확인동작을 수신하여 해당 컨텐츠의 갱신 여부를 자동 확인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해당 컨텐츠가 갱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에 상기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의 갱신 알림과 상기 해당 컨텐츠의 갱신 알림을 제1 및 제2 푸시 메시지들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구독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 컨테이너를 검색하고 상기 컨텐츠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추천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는 웹페이지에 관한 갱신 구독서비스를 설정하는 갱신 구독서비스 설정부, 상기 웹페이지의 RSS (Rich Site Summary) 피드를 컨텐츠로 자동 추출하여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구축부 및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의 검색을 통해 상기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특정 컨텐츠의 구독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컨텐츠의 갱신 여부를 자동 확인하여 상기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에 상기 특정 컨텐츠의 갱신 알림을 푸시 메시지로 제공하는 갱신 알림 제공부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독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는 웹페이지의 RSS (Rich Site Summary) 피드(Feed)를 통해 전달받은 컨텐츠를 사용자 개인의 취향대로 편집하여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독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는 특정 컨텐츠의 갱신 여부를 자동 확인하여 해당 컨텐츠의 갱신 알림을 푸시(Push)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독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구독서비스 제공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구독서비스 제공 단말을 통해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생성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에서 구독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컨텐츠 큐레이션(Contents Curation)은 양질의 컨텐츠를 선별 및 조합하여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고 가치를 재창출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다양한 웹페이지로부터 쏟아지는 수많은 컨텐츠들 중에서 자신의 원하는 컨텐츠만을 선별하고 배치하여 연결하는 행위는 컨텐츠 큐레이션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독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구독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130),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50) 및 구독서비스 제공 단말(17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은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130)에서 제공하는 구독서비스를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은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이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이 구독 서비스를 선택한 컨텐츠에 관한 구독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과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50)와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50)와 독립적으로 구현된 경우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5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50)는 구독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이다. 예를 들어,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50)는 웹페이지와 연관된 RSS 정보,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로부터 수신받은 갱신 구독서비스 설정 정보, 구독서비스 제공 단말(170)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에 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독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50)는 특정 범위에 속하는 정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서브-데이터베이스들로 구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서브-데이터베이스들이 하나로 통합된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서브-데이터베이스들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서브-데이터베이스들은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간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서브-데이터베이스들을 하나로 통합하고 상호 간의 데이터 교환 및 제어 흐름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독서비스 제공 단말(170)은 사용자 개인이 RSS를 통해 관련 정보를 스크랩하고 편집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구독서비스 제공 단말(170)은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구독서비스 제공 단말(170)이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독서비스 제공 단말(170)은 사용자 개인이 가공한 2차 컨텐츠를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130)를 통해 타인에게 공유하거나 타인이 구독하게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독서비스 제공 단말(170)은 2차 콘텐츠 각각에 관해 공유 또는 구독을 온오프(on-off)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구독서비스 제공 단말(170)을 통해 자신이 생성한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에 대해 공유 또는 구독 설정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갱신 구독서비스 설정부(210),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구축부(230), 갱신 알림 제공부(25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갱신 구독서비스 설정부(210)는 웹페이지에 관한 갱신 구독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갱신 구독서비스 설정부(210)는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갱신 구독서비스 설정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특정 웹페이지에 관한 갱신 구독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고, 해당 웹페이지와 연관시켜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갱신 구독서비스 설정부(210)는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 상에서 특정 웹페이지에 대한 갱신 구독서비스 구독 메뉴를 선택한 경우 또는 특정 웹페이지에 대한 도메인(Domain)을 입력한 경우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웹페이지에 대한 갱신 구독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다.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구축부(230)는 특정 웹페이지의 RSS (Rich Site Summary) 피드(Feed)를 컨텐츠로 자동 추출하여 큐레이션(Curation)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구축부(230)는 특정 웹페이지가 RSS 피드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해당 RSS 피드를 기초로 컨텐츠를 추출하고, RSS 피드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해당 웹페이지로부터 RSS 피드를 추출한 후 추출된 RSS 피드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구축부(230)는 구축의 과정에서 구독서비스 제공 단말(170)을 통해 각각이 독립적인 갱신 구독서비스를 설정한 컨텐츠와 연관되고 고유의 갱신 확인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컨테이너를 배치한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Contents Container )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컨테이너를 배치하여 구성된 페이지 레이아웃(Page Layout)에 해당한다. 사용자는 구독서비스 제공 단말(170)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로 구성된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컨테이너는 웹 컨테이너(Web Container)에 해당할 수 있고, 각각이 독립적인 갱신 구독서비스를 설정한 컨텐츠와 연관되며, 고유의 갱신 확인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컨테이너는 갱신 구독서비스를 설정한 특정 컨텐츠와 연결되고 해당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페이지로부터 해당 컨텐츠의 내용이 갱신되었는지를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컨테이너는 각각이 연결된 컨텐츠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고, 구독서비스 제공 단말(170)을 통해 설정된 컨텐츠의 표시 방식 및 구성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구축부(230)는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2차 컨텐츠로서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구축부(230)는 구독서비스 제공 단말(170)을 통해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대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컨테이너를 구성 및 배치한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와 연관시켜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갱신 알림 제공부(250)는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의 검색을 통해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50)에 있는 특정 컨텐츠의 구독 서비스가 선택되면 특정 컨텐츠의 갱신 여부를 자동 확인하여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에 특정 컨텐츠의 갱신 알림을 푸시(Push)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갱신 알림 제공부(250)는 구독서비스 제공 단말(170)의 승인에 따라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이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검색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독서비스 제공 단말(170)은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 각각에 관해 공유 또는 구독을 온오프(on-off)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갱신 알림 제공부(250)는 구독서비스 제공 단말(170)을 통해 특정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에 관해 공유 가능하도록 설정된 경우 해당 정보를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은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50)에서 검색이 허용된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들을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갱신 알림 제공부(250)는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의 구독 서비스가 선택되면 컨텐츠 컨테이너의 독립적인 갱신 확인동작을 수신하여 해당 컨텐츠의 갱신 여부를 자동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갱신 알림 제공부(250)는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을 통해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에 대한 구독서비스가 선택된 경우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70)에서 해당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에 포함된 각각의 컨텐츠 컨테이너로부터 갱신 여부를 수신받아 해당 컨텐츠의 갱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갱신 알림 제공부(250)는 해당 컨텐츠가 갱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에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의 갱신 알림과 해당 컨텐츠의 갱신 알림을 제1 및 제2 푸시(Push) 메시지들로 제공할 수 있다.
갱신 알림 제공부(250)는 특정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츠 컨테이너가 독립적으로 연관된 컨텐츠의 갱신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수신받아 컨텐츠 갱신이 확인된 경우 해당 컨텐츠의 갱신을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에 푸시(Push)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갱신 알림 제공부(250)는 갱신이 확인된 해당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 컨테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된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의 갱신을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에 푸시(Push)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갱신 알림 제공부(250)는 해당 컨텐츠가 갱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 컨테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된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들을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검색할 수 있고, 각각의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들에 대하여 갱신 구독서비스를 설정해 놓은 적어도 하나의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에게 해당 컨텐츠의 갱신을 푸시(Push)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갱신 알림 제공부(250)는 특정 컨텐츠의 구독 서비스가 선택되면 특정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 컨테이너를 검색하고 컨텐츠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추천할 수 있다.
갱신 알림 제공부(250)는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을 통해 특정 컨텐츠의 구독 서비스가 선택된 경우 해당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 컨테이너를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 갱신 알림 제공부(250)는 검색된 컨텐츠 컨테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된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에 제공함으로써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갱신 알림 제공부(250)는 특정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 컨테이너를 검색하고 컨텐츠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특정 기준에 따라 순서대로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에 제공함으로써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갱신 알림 제공부(250)는 컨텐츠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에 대한 구독수, 추천수 및 평점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순서에 따라 상위 n개(n은 자연수)의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구독수는 해당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구독하는 구독자의 수를 나타내고, 추천수는 해당 컨테이너 페이지에 대한 구독서비스를 제공받은 사용자들이 추천 기능을 통해 추천한 수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 또는 구독서비스 제공 단말(130)을 통해 특정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에 대해 추천하거나 평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추천 또는 평가 결과를 해당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와 연관시켜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갱신 알림 제공부(250)는 특정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 컨테이너를 검색하고 컨텐츠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다음 수학식에 따라 산출된 추천 점수를 기초로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에 제공함으로써 추천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112017111766183-pat00001
여기에서, R은 특정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에 대한 추천 점수를, S는 구독 수를, L은 추천 수를, E는 평가 점수를 나타낸다. W0, W1 및 W2는 가중치를 나타낸다.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에 대한 구독 수 및 추천 수가 많을수록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에 대한 추천 점수는 높아지고, 해당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에 대한 구독자들의 평가 점수가 높을수록 추천 점수도 높아질 수 있다. 갱신 알림 제공부(250)는 각 고려요소에 대한 가중치를 조절함으로써,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에 대한 추천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갱신 구독서비스 설정부(210),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구축부(230) 및 갱신 알림 제공부(250) 간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제어 흐름 및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구독서비스 제공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갱신 구독서비스 설정부(210)를 통해 웹페이지에 관한 갱신 구독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다(단계 S310).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구축부(230)를 통해 웹페이지의 RSS 피드(Feed)를 컨텐츠로 자동 추출하여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50)를 구축할 수 있다(단계 S330).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갱신 알림 제공(250)를 통해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의 검색을 통해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50)에 있는 특정 컨텐츠의 구독서비스가 선택되면 특정 컨텐츠의 갱신 여부를 자동 확인하여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에 특정 컨텐츠의 갱신 알림을 푸시(Push)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단계 S350).
일 실시예에서,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을 통해 자신이 생성한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타인에게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자신이 생성한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타인에게 판매하거나 타인이 생성한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구매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로부터 특정 컨텐츠 컨테이너 또는 특정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에 관한 구독 및 구매와 관련된 통계자료를 수집할 수 있고, 그 결과를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 또는 구독서비스 제공 단말(170)에게 구독 및 구매와 관련된 통계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50)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구독서비스 제공 단말(170)을 통해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생성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독서비스 제공 단말(170) 상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춰 컨텐츠 컨테이너들(411 내지 414)을 배치하여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430)를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컨테이너들(411 내지 414)은 연관된 특정 웹페이지 또는 특정 컨텐츠로부터 추출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컨텐츠 컨테이너(411) 및 제2 컨텐츠 컨테이너(412)는 진돗개와 관련된 컨텐츠 내용을 포함하고 있고, 제3 컨텐츠 컨테이너(413) 및 제4 컨텐츠 컨테이너(414)는 코스피200과 관련된 웹페이지로부터 추출된 '삼성전자(005930)'와 관련된 뉴스 기사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170)에서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170)는 생성된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에 대해 공개/비공개 기능(530)을 온오프(on-off)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no.407'에 해당하는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550)의 경우 공개/비공개 기능(530)이 '비공개'로 설정되어 있어,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에서 해당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550)를 검색할 수 없다. 만약, 해당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550)에 대한 검색이 가능하도록 변경하기 위해서는 '수정' 메뉴(570)를 선택하여 수정페이지에서 공개/비공개 기능(530)을 '공개'로 변경하여야 한다.
또한, 사용자는 특정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에 대해 RSS 피드(Feed) 제공 기능(510)을 온오프(on-off)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no.407'에 해당하는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550)의 경우 RSS 피드 제공 기능(510)이 'OFF'로 설정되어 있어, 다른 기기들에게 RSS 피드를 제공하지 않는다.
도 6은 도 1에 있는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에서 구독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을 통해 자신이 구독하고 싶은 컨텐츠에 대해 '구독' 메뉴(610)를 선택할 수 있다.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에 해당 단말이 구독하고 있는 컨텐츠의 갱신을 푸시(Push) 메시지(63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110)을 통해 푸시(Push) 메시지(630)를 드래그(drag)한 후 자신의 구독 컨텐츠 목록(650)에서 보고싶은 컨텐츠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컨텐츠에 관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구독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 130: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
150: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170: 구독서비스 제공 단말
411: 제1 컨텐츠 컨테이너 412: 제2 컨텐츠 컨테이너
413: 제3 컨텐츠 컨테이너 414: 제4 컨텐츠 컨테이너
430: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
510: RSS 피드 제공 기능 530: 공개/비공개 기능
550: 'no407'에 해당하는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
570: '수정' 메뉴 610: '구독' 메뉴
630: 푸시 메시지 650: 구독 컨텐츠 목록

Claims (8)

  1.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구독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웹페이지에 관한 갱신 구독서비스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웹페이지의 RSS (Rich Site Summary) 피드(Feed)를 컨텐츠로 자동 추출하여 큐레이션(Curation)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구축의 과정에서 구독서비스 제공 단말을 통해 각각이 독립적인 갱신 구독서비스를 설정한 컨텐츠와 연관되고 고유의 갱신 확인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컨테이너를 배치한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의 검색을 통해 상기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특정 컨텐츠 및 특정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의 구독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컨텐츠 컨테이너의 독립적인 갱신 확인 동작을 수신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의 갱신 여부를 자동 확인하고 상기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에 상기 특정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의 갱신 알림과 상기 특정 컨텐츠의 갱신 알림을 상기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의 화면 상단에 노출되어 드래그 후 선택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는 제1 및 제2 푸시(Push) 메시지들로 제공하며, 상기 특정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에 관한 상기 제1 푸시 메시지들은 상기 특정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에 대한 구독수, 추천수 및 평점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정렬된 순서에 따라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독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2차 컨텐츠로서 상기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독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구독서비스 제공 단말의 승인에 따라 상기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이 상기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검색하도록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독서비스 제공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구독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 컨테이너를 검색하고 상기 컨텐츠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독서비스 제공 방법.
  8. 웹페이지에 관한 갱신 구독서비스를 설정하는 갱신 구독서비스 설정부;
    상기 웹페이지의 RSS (Rich Site Summary) 피드를 컨텐츠로 자동 추출하여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구축의 과정에서 구독서비스 제공 단말을 통해 각각이 독립적인 갱신 구독서비스를 설정한 컨텐츠와 연관되고 고유의 갱신 확인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컨테이너를 배치한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를 생성하는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구축부; 및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의 검색을 통해 상기 큐레이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특정 컨텐츠 및 특정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의 구독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컨텐츠 컨테이너의 독립적인 갱신 확인 동작을 수신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의 갱신 여부를 자동 확인하여 상기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에 상기 특정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의 갱신 알림과 상기 특정 컨텐츠의 갱신 알림을 상기 구독서비스 신청 단말의 화면 상단에 노출되어 드래그 후 선택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는 제1 및 제2 푸시(Push) 메시지들로 제공하는 갱신 알림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특정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에 관한 상기 제1 푸시 메시지들은 상기 특정 컨텐츠 컨테이너 페이지에 대한 구독수, 추천수 및 평점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정렬된 순서에 따라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독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170149542A 2017-11-10 2017-11-10 구독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67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542A KR101967696B1 (ko) 2017-11-10 2017-11-10 구독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CT/KR2017/013739 WO2019093569A1 (ko) 2017-11-10 2017-11-29 구독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542A KR101967696B1 (ko) 2017-11-10 2017-11-10 구독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7696B1 true KR101967696B1 (ko) 2019-04-10

Family

ID=66163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542A KR101967696B1 (ko) 2017-11-10 2017-11-10 구독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7696B1 (ko)
WO (1) WO2019093569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640B1 (ko) 2019-09-23 2021-03-08 주식회사 한국복권데이터 클라우드 기반 개인화 콘텐츠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28107A (ko) 2021-08-19 2023-02-28 주식회사 씨와이 신용카드의 선납 연회비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KR20230064529A (ko) 2021-11-03 2023-05-10 최준혁 구독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533193B1 (ko) 2022-12-01 2023-05-17 박인상 판매를 위한 콘텐츠의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930234B2 (en) 2021-07-30 2024-03-12 Kakao Corp Method for providing subscription service, system, user device, and application implementing the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7638A (zh) * 2021-12-23 2022-03-29 思必驰科技股份有限公司 信息管理器、信息传递管理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6100A (ja) * 2005-08-31 2007-03-15 Yoshihide Kinokawa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ビス提供サーバ
KR101257385B1 (ko) 2008-10-30 2013-04-2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젯 기반의 rs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서버
KR20130050396A (ko) * 2010-11-17 2013-05-16 한국과학기술원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를 이용하여 rss 컨텐츠의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85689B1 (ko) 2011-10-31 2014-04-22 (주)나무소프트 Rss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50011057A (ko) * 2013-07-22 2015-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개인 매거진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525795B1 (ko) * 2014-12-02 2015-06-10 (주)프리코어 통합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2881A (ko) * 2005-01-13 2005-02-02 (주)씽크비즈 웹 브라우저 기반 알에스에스/에이티오엠 규격 문서실시간 구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47756A (ko) * 2007-11-08 2009-05-13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 맞춤형 rss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방법
JP5596518B2 (ja) * 2010-11-26 2014-09-24 株式会社Nttドコモ データ先読みシステムとその装置と方法とプログラム
KR20160010416A (ko) * 2013-03-11 2016-01-27 크레오포인트, 인크. 맞춤형 실시간 지능 채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6100A (ja) * 2005-08-31 2007-03-15 Yoshihide Kinokawa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ビス提供サーバ
KR101257385B1 (ko) 2008-10-30 2013-04-2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젯 기반의 rs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서버
KR20130050396A (ko) * 2010-11-17 2013-05-16 한국과학기술원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를 이용하여 rss 컨텐츠의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85689B1 (ko) 2011-10-31 2014-04-22 (주)나무소프트 Rss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50011057A (ko) * 2013-07-22 2015-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개인 매거진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525795B1 (ko) * 2014-12-02 2015-06-10 (주)프리코어 통합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inhyeok Jung."안드로이드 Notification 다양한 UI로 노출하기",[online],2013.08.25.,[2019.04.02.검색],<URL: https://www.holaxprogramming.com/2013/08/25/android-big-view-styles/>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640B1 (ko) 2019-09-23 2021-03-08 주식회사 한국복권데이터 클라우드 기반 개인화 콘텐츠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930234B2 (en) 2021-07-30 2024-03-12 Kakao Corp Method for providing subscription service, system, user device, and application implementing the method
KR20230028107A (ko) 2021-08-19 2023-02-28 주식회사 씨와이 신용카드의 선납 연회비를 이용한 구독서비스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KR20230064529A (ko) 2021-11-03 2023-05-10 최준혁 구독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533193B1 (ko) 2022-12-01 2023-05-17 박인상 판매를 위한 콘텐츠의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93569A1 (ko)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7696B1 (ko) 구독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7332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scalable collaborative, real-time, graphical life-management interface
US10223465B2 (en) Customizable, real time intelligence channel
JP6084123B2 (ja) サーバ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05287A (ja) 検索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検索サービス提供方法
AU2014337467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ontact information
CN103930920A (zh) 在社交网络服务中将内容共享到发现的内容流
CN105359125A (zh) 用户历史播放列表和预订
JP4492945B2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提供方法
CN105933365A (zh) 一种拦截呼叫显示预定义菜单的方法
JP2012118624A (ja) コンテンツ提示装置、外部推薦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提示システム
CN103078782A (zh) 一种好友备注的推荐备注实现方法及系统
KR102007504B1 (ko) 사용자별 맞춤형 콘텐츠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8463819B (zh) 使用智能终端的基于数字串的实时信息分发系统以及信息分发方法
KR20160053413A (ko) 대화창 입력 컨텐츠에 대응하는 정보제공장치 및 방법
KR101483554B1 (ko)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연관 콘텐츠 추천 방법 및 장치
KR20160120255A (ko) 여행정보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여행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
JP6486302B2 (ja) 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管理装置
KR102039527B1 (ko)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06318179A (ja) ポータルサイト提供システム
JP202017350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451965B1 (ko) 장소 검색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551547B1 (ko) 카테고리 관리를 통한 사용자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60301637A1 (en) Recipient-centric, list-base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mart messaging
KR101760835B1 (ko) 모바일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구축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