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237B1 - 파렛트 - Google Patents

파렛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237B1
KR101967237B1 KR1020180028713A KR20180028713A KR101967237B1 KR 101967237 B1 KR101967237 B1 KR 101967237B1 KR 1020180028713 A KR1020180028713 A KR 1020180028713A KR 20180028713 A KR20180028713 A KR 20180028713A KR 101967237 B1 KR101967237 B1 KR 101967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inforcing
opening
lower plate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광남
공민제
Original Assignee
(주)애니팩
공민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니팩, 공민제 filed Critical (주)애니팩
Priority to KR1020180028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1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63Overall construction of the pallet
    • B65D2519/00268Overall construction of the pallet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398Overall construction reinforcements
    • B65D2519/00402Integral, e.g. ribs
    • B65D2519/00407Integral, e.g. ribs on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935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nesting or stacking
    • B65D2519/00955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nesting or stacking stack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적재물이 수용되는 하판; 상기 하판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상판;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개재되어 내부에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중간판 및 상기 하판 상면에 격자 형상의 프레임 구조로 결합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에 따르면 블로우 몰딩 성형으로 제작하여 가볍고, 재료비가 절감되고, 가격이 저렴하면서 수명이 길고, 친환경적이며, 보강부와, 보강 프레임과 보강 돌출부들을 통하여 큰 하중이나 외부 충격에 보다 안정적으로 견디는 강성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다단 적재가 가능하여 많은 적재물을 운반 및 저장할 수 있으며, 보관이나 이송완료 후, 중간판의 부피를 줄임으로써 파렛트의 보관 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중간판의 일 측면이 개폐되어 내부에 적재물의 인입 및 반출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렛트{Pallet}
본 발명은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서, 지게차의 포크를 통하여 적재물을 운반 또는 이송할 수 있고, 다량의 적재물을 이송수단에 적재하거나 또는 이송된 적재물을 단기 또는 장기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렛트는 식품, 제과, 농수산업, 공업 분야의 원부자재의 보관, 적재 및 이동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나무 또는 플라스틱 성형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
또한 파렛트는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화공약품 사용에도 적합하고, 대형 물류시장에 빠르게 흡수되어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특히 생산자, 상인, 소비자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제품 유통과정 및 수출입 과정에 있어서 다량의 물품을 안전하고 빠르게 적재 및 운반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파렛트는 목재로 제작되는 경우, 오래된 나무를 벌목해야 하기 때문에 환경파괴가 불가피하고, 또한 습기와 충격에 취약하여 그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으며, 부분적으로 파손된 부위를 보수하데 필요한 비용이 상대적으로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른 재질에 비해 목재 파렛트는 강성이 약하고, 못으로 조립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못의 결합력이 급격히 감소되어 파손되거나, 이로 인해 못이 빠지거나 돌출되면서 작업자의 안전사고와 적재물의 손상 등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게다가 다단 적재가 불가능한 구조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플라스틱 재질로 파렛트가 제작되는 경우, 물론 환경 오염에 대한 염려가 있고, 다단으로 적재하는 경우 하중에 취약하여 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적지 않은 무게로 인해 적재물의 운송량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렛트를 플라스틱 블로우 몰딩 공법으로 제작하여 상대적으로 가볍고 견고하며, 다단으로 적재하는 경우에도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파렛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적재물이 수용되는 하판; 상기 하판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상판;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개재되어 내부에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중간판 및 상기 하판 상면에 격자 형상의 프레임 구조로 결합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를 제공한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하판의 상면에서 x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보강부재(제1보강 프레임 대체)와, 상기 하판의 상면에서 상기 x축과 직각 방향인 y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보강부재를 일체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판은 하면에 돌출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하판을 소정 높이로 유지시키고, 수평방향으로 일 측면이 개방된 지지홈이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은 하측으로 돌출된 제1보강 돌출부를 구비하는 외측판과, 상기 제1보강 돌출부와 마주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제2보강 돌출부를 구비하는 내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은 상기 y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외측판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보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판과 내측판 및 보강 프레임은 블로우 몰딩으로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판과 내측판은 상기 제1보강 돌출부와 제2보강 돌출부가 서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교차하는 위치에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상판의 외측판 상면에는 상기 하판의 지지홈에 대응하도록 돌출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과 하판은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중간판의 상측 및 하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도록 돌출된 단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판은 네 측면 중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양 측면의 중심 부분이 내측방향으로 접히는 접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판은 네 측면 중 일 측면이 개폐되도록 접철되는 제1개폐면과, 상기 제1개폐면과 이웃한 다른 측면과 상기 제1개폐면을 탈부착하는 부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판은 상기 제1개폐면과 이웃한 다른 측면이 개폐되도록 접철되는 제2개폐면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제1개폐면과 제2개폐면을 탈부착할 수 있다.
상기 중간판은 상기 제1개폐면 또는 제2개폐면의 회전축에 인접하여 상기 단턱과 부분적으로 간섭되지 않도록 절단된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에 따르면,
첫째, 블로우 몰딩 성형으로 제작하여 가볍고, 재료비가 절감되고,
둘째, 가격이 저렴하면서 수명이 길고, 친환경적이며,
셋째, 보강부와, 보강 프레임과 보강 돌출부들을 통하여 큰 하중이나 외부 충격에 보다 안정적으로 견디는 강성을 제공할 수 있고,
넷째, 이를 토대로 다단 적재가 가능하여 많은 적재물을 운반 및 저장할 수 있으며,
다섯째, 보관이나 이송완료 후, 중간판의 부피를 줄임으로써 파렛트의 보관 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여섯째, 중간판의 일 측면이 개폐되어 내부에 적재물의 인입 및 반출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파렛트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나타낸 파렛트의 상판을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2에 나타낸 파렛트의 상판을 하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파렛트의 하판을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나타낸 파렛트의 접철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참고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2에 나타낸 파렛트의 중간판이 개폐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파렛트의 중간판이 하판 상에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파렛트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2에 나타낸 파렛트의 상판을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2에 나타낸 파렛트의 상판을 하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파렛트의 하판을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나타낸 파렛트의 접철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참고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100)는 상부 또는 내부에 적재물을 적재 또는 수용하여 운송, 다단 적재, 보관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파렛트(100)는 상판(110)과, 하판(120)과, 중간판(130) 및 보강부를 포함하고, 각 구성들을 조립하여 하나의 박스 형태의 파렛트(100)를 나타낸다. 물론 상판(110)과 중간판(130)을 생략하고 하판(120) 상에 적재물을 적재 또는 보관하도록 수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적재물의 중량에 따라서 하판(120)에 구비되는 보강부(140)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먼저 상판(110)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판(111)과 내측판(112)을 포함한다. 도 3a는 상판(110)의 상면인 외측판(111)을 나타내고, 도 3b는 상판(110)의 하면인 내측판(112)을 나타낸다.
외측판(111)과 내측판(112)은 일체로 블로우 몰딩(Blow Molding) 공법으로 합성 수지재로 제작되며, 외측판(111)의 내측에는 보강 프레임(113)이 장착된다. 여기서 보강 프레임(113)은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평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복수개 배치될 수 있으며,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보강 프레임(113)은 상판(110)의 외곽에 배치되는 외측판(111)의 강성을 보강하여 보다 견고하게 상판을 지지할 수 있다. 이는 수직방향으로 다단 적재되는 경우에 큰 힘을 발휘하게 된다.
상판(110)의 외측판(111)은 상면에서 하면 방향으로 제1보강 돌출부(114)가 구비된다. 제1보강 돌출부(114)는 상판(110)의 중심 방향으로 빗살무늬 형상으로 형성되어 보강 프레임(113)과 더불어 외측판(111)의 강성을 보강한다. 여기서 제1보강 돌출부(114)의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외측판(111)의 상면에는 각 모서리 부분에 인접하여 지지돌기(115)가 구비된다. 지지돌기(115)는 후기할 하판(120)과 간섭되어 다단 적재 시 상판(110)과 하판(120)이 서로 수평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측판(112)은 외측판(111)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제1보강 돌출부(114)와 마주하도록 돌출되는 제2보강 돌출부(116)를 포함한다. 이때 제2보강 돌출부(116)는 제1보강 돌출부(114)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보강 돌출부(114)와 제2보강 돌출부(116)는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서 접촉하여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1보강 돌출부(114)와 제2보강 돌출부(116)는 제2보강 프레임(113)의 보강과 더불어 각각의 외측판(111)과 내측판(112)의 강성을 보강하고, 제1보강 돌출부(114)와 제2보강 돌출부(116)가 교차 부분에서 지지하면서 다시 한 번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이에 상판(110)은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뿐만 아니라, 국부적으로 하중이나 외력에 의해 뒤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다단 적재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판(110)은 외측판(111)과 내측판(112) 및 제2보강 프레임(113)을 블로우 몰딩 공법으로 성형하기 때문에 가볍고도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블로우 몰딩 성형은 중공성형 또는 취입성형이라고도 하며, 분할금형 내에 가열을 통해 연화하여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파리손 또는 시트를 공기압 등을 이용하여 부풀게 하고, 금형에 밀착시키면서 동시에 냉각하여 공중체를 얻는 방법이다. 통상 가열 용용한 열가소성 플라스틱 성형재료를 압출 또는 사출하여 튜브상으로 예비 성형한 파리손 또는 2장의 맞댄 시트를 금형 내에 삽입하여 가열 연화한 뒤 내부에 공기를 취입하여 중공제품을 성형한다. 대표적인 예로 인젝션 블로성형, 압출 블로성형, 시트 블로성형(시트 파리손법), 다이렉트 블로성형, 주사침식 블로성형 등에 적용된다.
그리고 하판(120)은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선택적으로 하판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보강부(121)가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보강부(121)가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하판(120)의 상면에는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122)이 형성된다. 또한 하면(120)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바닥면으로부터 하판(120)을 소정 높이로 유지시키는 지지부재(123)를 포함한다.
보강부(121)는 일 단면이 대략 'ㄷ', 'H' 또는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홈(122) 상에 결합된다. 보강부(121)는 x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보강부재(121a)와, y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보강부재(121b)를 포함한다. 이때 제1보강부재(121a)와 제2보강부재(121b)는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로 직각 방향으로 격자 패턴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조립 과정이 용이하고, 하판(120)의 강성을 충분히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보강부(121)는 하판(120)의 모든 영역에서 균일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격자 패턴을 통하여 하판(120) 상에 적재물을 올리고 운송 또는 이동하기 위해서 x축 또는 y축 방향 중 어떠한 방향으로 지게차의 포크를 삽입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적재물의 하중을 버틸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부(121) 역시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재물의 하중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삭제하거나 장착할 수 있다. 보강부(121)는 결합홈(122) 상에 패스너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으며, 보강부(121)의 탄성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보강부(121)와 보강 프레임(113)은 서로 제1보강부재(121a)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보강부재(121b)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는 평면상의 x축과 y축 방향으로 각각 강성을 보강하여 휘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지지부재(123)는 하판(120)의 다리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지지부재(123)와 인접한 다른 지지부재 사이에 지게차의 포크(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지지부재(123)의 저면에는 지지홈(124)이 형성된다. 지지홈(124)은 지지돌기(123)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일 측면이 개방되어 다단 적재 시 작업자 또는 지게차 운전자가 외부에서 지지돌기(123)와 지지홈(124)의 결합위치를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하판(120)에는 상판(110)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패턴의 제3보강 돌출부(125)가 구비된다.
더불어 상판(110)과 하판(120)의 모서리 부분에는 중간판(130)의 상측 및 하측 단부와 결합되는 단턱(127)이 구비된다.
단턱(127)은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서 중간판(130)이 펼쳐지거나 접히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중간판(130)은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서 내부에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의 하중을 지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5 및 도 6을 살펴보면, 중간판(130)의 네 측면 중 마주하는 양 측면에는 접철부(131)가 구비된다.
접철부(131)는 중간판(130)을 접어서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접힌 중간판(130)은 도 6과 같이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 위치하여 파렛트(100) 전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운반이나 적재 과정에서 파렛트(100)가 필요 없는 경우 보다 효율적인 적재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접철부(131)는 네 측면 중에서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양 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중간판(130)은 네 측면 중에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일 측면의 일부가 이웃한 다른 측면의 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제1개폐면(132)과, 네 측면 중에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일 측면의 나머지부분이 이웃한 다른 측면의 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제2개폐면(133)과, 제1개폐면(132)과 제2개폐면(133)이 일부 중첩되어 이들을 부착시키는 부착수단(134)을 포함한다. 물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네 측면 중에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일 측면 전체가 제1개폐면이되고, 이웃한 다른 측면에 부착수단이 구비되면서 일 측면만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 측면이 반으로 나뉘어 각각 제1개폐면(132)과 제2개폐면(133)으로 구성되고,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2에 나타낸 파렛트의 중간판이 개폐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참고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파렛트의 중간판이 하판 상에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파렛트(100)는 상판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중간판(130)은 하판(120) 상에서 폐쇄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도 8과 같이 제1개폐면(132)이 일부 회전하면 중간판(130)의 내부가 일부 개방된다. 이때 부착수단(134)은 서로 이격되면서 떨어진다. 부착수단(134)은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자성체나, 벨크로 테이프, 양면 테이프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개폐면(132)의 내측에 암벨크로 테이프(134a)가 구비되고, 제2개폐면(133)의 외측에 암벨크로 테이프(134b)에 대응하도록 수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된다.
도 9에서는 제1개폐면(132)과 제2개폐면(133)이 각각 90° 각도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렇게 제1개폐면(132)과 제2개폐면(133) 모두 개방되면 하면(120) 상에 적재물을 출입하기가 수월해지고, 적재가 완료된 파렛트(100)의 포장도 간편해진다. 도 9의 상태에서 적재물의 적재가 완료되면, 제1개폐면(132)과 제2개폐면(133)을 다시 폐쇄하고 부착수단(134)을 서로 결합 또는 부착하며, 중간판(130) 상부에 상판을 결합함으로써 포장이 완료된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폐면(132)과 제2개폐면(133)은 하판(120)의 단턱(127)과 부분적으로 간섭되지 않는 고정홈(135)이 형성된다. 고정홈(135)은 제1개폐면(132)과 제2개폐면(133)의 회전축에 인접한 부분에 위치하고, 제1개폐면(132)과 제2개폐면(133)이 각각 90°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서 각각 제1개폐면(132)과 제2개폐면(133)의 하단부가 단턱(127)에 간섭되기 때문에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적재물을 인입 또는 반출하는 과정에서 제1개폐면(132)과 제2개폐면(133)이 바람에 의해 더 열리거나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제1개폐면(132)과 제2개폐면(133)의 개방 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제1개폐면(132)과 제2개폐면(133)의 하단에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의 고정홈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파렛트(100)는 일반 사출 방식으로 생산되는 플라스틱 파렛트 또는 목재 파렛트에 비해 무게가 가볍고, 재료비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불연성 합성수지로 재작되어 가격이 저렴하고,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게다가 불로우 몰딩 공법으로 일체로 제작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강하고, 수명이 긴 장점이 있다.
또한 보강 프레임들과 보강 돌출부들로 인해 하중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휘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견고한 강성을 토대로 다단 적재가 가능하여 많은 적재물을 운반 및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파렛트
110 : 상판 111 : 외측판
112 : 내측판 113 : 보강 프레임
114 : 제1보강 돌출부 115 : 지지돌기
116 : 제2보강 돌출부 120 : 하판
121 : 보강부 122 : 결합홈
123 : 지지부재 124 : 지지홈
125 : 제3보강 돌출부 127 : 단턱
130 : 중간판 131 : 접철부
132 : 제1개폐면 133 : 제2개폐면
134 : 부착수단 135 : 고정홈

Claims (13)

  1. 상부에 적재물이 수용되는 하판;
    상기 하판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상판;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개재되어 내부에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중간판 및
    상기 하판 상면에 격자 형상의 프레임 구조로 결합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과 하판은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중간판의 상측 및 하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도록 돌출된 단턱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판은 네 측면 중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양 측면의 중심 부분이 내측방향으로 접히는 접철부와, 상기 네 측면 중 일 측면이 개폐되도록 접철되는 제1개폐면과, 상기 제1개폐면과 이웃한 다른 측면과 상기 제1개폐면을 탈부착하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하판의 상면에서 x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보강부재와, 상기 하판의 상면에서 상기 x축과 직각 방향인 y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보강부재를 일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하면에 돌출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하판을 소정 높이로 유지시키고, 수평방향으로 일 측면이 개방된 지지홈이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하측으로 돌출된 제1보강 돌출부를 구비하는 외측판과,
    상기 제1보강 돌출부와 마주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제2보강 돌출부를 구비하는 내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y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외측판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외측판과 내측판 및 보강 프레임은 블로우 몰딩으로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측판과 내측판은,
    상기 제1보강 돌출부와 제2보강 돌출부가 서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교차하는 위치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외측판 상면에는 상기 하판의 지지홈에 대응하도록 돌출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은,
    상기 제1개폐면과 이웃한 다른 측면이 개폐되도록 접철되는 제2개폐면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제1개폐면과 제2개폐면을 탈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은,
    상기 제1개폐면 또는 제2개폐면의 회전축에 인접하여 상기 단턱과 부분적으로 간섭되지 않도록 절단된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KR1020180028713A 2018-03-12 2018-03-12 파렛트 KR101967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713A KR101967237B1 (ko) 2018-03-12 2018-03-12 파렛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713A KR101967237B1 (ko) 2018-03-12 2018-03-12 파렛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7237B1 true KR101967237B1 (ko) 2019-04-09

Family

ID=66167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713A KR101967237B1 (ko) 2018-03-12 2018-03-12 파렛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2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657B1 (ko) * 2019-10-17 2021-04-21 대한민국 평파렛트 보조적재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0190U (ko) * 1985-12-27 1987-07-14
KR20160001058A (ko) * 2014-06-26 2016-01-06 (주)시스펙 운반용 조립 박스
JP3204887U (ja) * 2016-04-10 2016-06-23 貝里斯商上品開發有限公司 パレット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0190U (ko) * 1985-12-27 1987-07-14
KR20160001058A (ko) * 2014-06-26 2016-01-06 (주)시스펙 운반용 조립 박스
JP3204887U (ja) * 2016-04-10 2016-06-23 貝里斯商上品開發有限公司 パレット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657B1 (ko) * 2019-10-17 2021-04-21 대한민국 평파렛트 보조적재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1911B1 (en) Fragility package
KR101591857B1 (ko) 운반용 조립 박스
CA2537563C (en) Article accommodating case
US5592885A (en) Collapsible pallet
US7905183B2 (en) Structural cardboard runner, pallet, shipping article
US20130032507A1 (en) Pallets for the handling of goods,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allets and methods of using pallets in the handling of goods
US6327984B1 (en) Nestable shipping pallet with adjustable deck
PT2132102E (pt) Palete
KR101967237B1 (ko) 파렛트
JP2005538909A (ja) 載置用レッジ
US20110011312A1 (en) Pallet for containing and transporting objects
SK500142018U1 (sk) Kombi box na prepravu a skladovanie tovaru
KR101840709B1 (ko) 파렛트
KR101836046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친환경 조립식 팔레트 킷
JP7086593B2 (ja) パレット
JPH10324332A (ja) 折り畳み式コンテナー
HUT73882A (en) Small box made of plastic material
KR200480791Y1 (ko) 고강도 종이 팔레트
AU2013271340A1 (en) Recyclable mail tray
WO2020076149A1 (en) Stackable thermoplastic egg tray and egg packaging carton
KR200341593Y1 (ko) 골판지 팔레트
KR200339413Y1 (ko) 상품 운반용 파레트
KR102274266B1 (ko) 접이식 케이스
WO2009070840A1 (en) Packaging system
WO1999006290A1 (en) Transport pal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