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039B1 - 재가열수단이 구비되는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재가열수단이 구비되는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039B1
KR101967039B1 KR1020170017057A KR20170017057A KR101967039B1 KR 101967039 B1 KR101967039 B1 KR 101967039B1 KR 1020170017057 A KR1020170017057 A KR 1020170017057A KR 20170017057 A KR20170017057 A KR 20170017057A KR 101967039 B1 KR101967039 B1 KR 101967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ndenser
evaporator
passing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1613A (ko
Inventor
진정홍
Original Assignee
진정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정홍 filed Critical 진정홍
Priority to KR1020170017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039B1/ko
Priority to PCT/KR2017/006375 priority patent/WO2018143521A1/ko
Publication of KR20180091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01K23/06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01K23/08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working fluid of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5/00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K25/02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fluid remaining in the liquid ph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1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cycle used, e.g. Stirling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기(2)가 축으로 연결되며 재가열수단이 구비되는 엔진, 제1응축기, 제2응축기, 순환펌프, 제1증발기 및 제1외부열교환기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배관으로 연결되어 제1냉매가 순환하는 유기랭킨사이클부와; 구동모터가 축으로 연결된 압축기, 제3응축기, 제2증발기 및 제2외부열교환기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배관으로 연결되어 제2냉매가 순환하는 역유기랭킨사이클부와; 상기 제2응축기와 상기 제2증발기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제2캐스케이드콘덴서와; 상기 제1응축기와 상기 제1증발기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제1캐스케이드콘덴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3응축기를 이용한 난방과 제3증발기 및 제1외부열교환기를 이용한 냉방기능이 추가되는 재가열수단이 구비되는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가열수단이 구비되는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 Organic Rankine Cycle Power Plant Provided With Reheating Means }
본 발명은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기존의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에 있어서, 발전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재가열 기능이 부가된 열기관을 제공하여 발전을 수행하고, 부수적으로 생성되는 냉열 또는 온열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냉, 난방 시스템이 구비되는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동기 설명을 위해 비교될 수 있는 사례를 예를 들면, 도1에서 제시되는 도면은 대한민국 공개등록 10-2015-0105162호의 ORC 발전시스템과 동일한 방식의 발전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105162호의 방식은 정/역으로 이원화된 유기랭킨사이클에서 역랭킨사이클의 압축기의 가동으로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냉열로 랭킨사이클을 순환하는 작동 유체를 액화시키고, 다시 외부의 재생에너지와 상기 압축기의 가동으로 응축기에서 생성되는 온열에너지를 열원으로 하여 발전용 터빈을 돌려 동력을 획득하는 방식으로서, 터빈 내부에서 작동 유체의 급격한 팽창에 따른 온도저하로 인한 발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이원화된 유기랭킨사이클에서 생성되어 폐기되는 냉열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삭제
일반적인 ORC발전 방식은 작동 유체가 증발기를 거치면서 기화되고 외부의 재생에너지와 응축기에서 생성된 열에너지를 전달받는 과정을 거치면서 비교적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로 발전용 터빈에 유입되어 동력을 발생시키고 저온 저압의 기체상태로 유출된다.
하지만 보다 높은 동력을 획득하기 위해서 작동유체가 약간의 습증기 상태로 유입되어 터빈 내부에서 완전 기화되고 팽창되면 더욱 높은 효율의 동력을 획득할 수 있겠지만,
그 반작용으로 완전 기화에 따른 기화열의 흡수로 인해 터빈 내부 온도의 급격한 저하로 작동유체의 팽창압력을 상쇄시켜 기대만큼의 높은 효율의 발전은 달성하지 못한다.
또한 습증기 상태의 작동유체가 터빈 내부로의 유입은 블레이드 등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기에 일반적으로 터빈의 유입구에 액분리기를 설치하여 액체상태의 작동유체를 분리 제거하고 기체상태의 작동유체만 터빈에 유입시켜 동력을 획득하고 있다.
더욱 물을 작동유체로 사용하는 랭킨사이클에서는 터빈이 가동되는 중간에 추기하여 재열과정을 거치면 온도와 압력의 상승으로 터빈의 발전효율을 높이는데 효과적이었으나, 냉매를 작동유체로 사용하고 신재생에너지를 열원으로 하는 저온용 유기랭킨사이클에서는 중간에 추기하여 재열한다 해도 온도 상승폭이 작아 그 효과가 미미해 이런 방식은 배제되고 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ORC 발전에서는, 설비의 제공과 함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인력확보 등의 비용지출이 있기에, 이에 상응하여 경제성을 담보할 수 있는 규모의 설비가 필요하고, 또 그 설치에 따른 장소가 요구되고 더욱 주변의 입지조건 등이 적합해야 하는 제약이 있다.
삭제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성이 더욱 확보된 발전시스템을 제공하고, 부수적으로 상기 유기랭킨사이클과 역유기랭킨사이클의 열교환 과정에서 생성되는 냉, 온열을 냉/난방에 활용함으로써, 실생활에 꼭 필요하여 기왕에 제공되는 장소와 인력과 함께 설치되는 냉/난방기에 유기랭킨 발전설비를 추가로 설치하여 필요한 전기를 타지에서 생산하여 공급하는 방식보다 경제성 및 효율성이 더욱 바람직한 냉/난방을 겸한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기랭킨사이클부에서 사용되는 발전용 엔진의 케이싱에 재가열수단을 제공하여 가동되는 엔진에 지속적으로 열에너지를 보충함으로서 발전효율을 향상시키다.
또한, 상기 발전용 엔진을 일반적인 터빈에 국한하지 않고 스크류 압축기를 개조한 터빈, 원반형 터빈, 왕복동 엔진 등 기타 엔진의 사용으로 확대한다.
또한, 상기 유기랭킨사이클부과 역유기랭킨사이클부의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냉열과 역유기랭킨사이클부의 응축기에서 생성되는 온열을 이용하여 냉/난방 또는 냉동장치 등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가열수단이 구비되는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유기랭킨사이클에서 사용되는 발전용 엔진의 외부 케이싱에 재가열수단을 제공하여, 가동되는 엔진에 지속적으로 열에너지를 보충함으로써, 종래의 ORC 발전시스템보다 발전효율, 에너지 전환 효율이 높은 발전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가열수단이 구비되는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에 의하면, 발전과 더불어, 상기 유기랭킨사이클과 역유기랭킨사이클의 증발기 혹은 외부열교환기에서 생성되는 냉열과 역유기랭킨사이클의 응축기에서 생성되는 온열을 이용하여 냉/난방 또는 냉동장치 등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에 의하면, 냉/난방설비를 제조함에 있어서, 기왕 설치되어야 할 히트펌프 등 냉동 설비에 간단하게 발전설비가 추가로 제공되어 전기에너지를 자체조달, 내지는 절전할 수 있는 냉/난방장치가 제공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가열수단이 구비되는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에 의하면, 발전설비를 제조함에 있어서, 사용엔진을 일반적인 충동식 또는 반동식 터빈에만 국한하지 않고 원반형 터빈 및 왕복동 엔진 등 기타 다양한 열기관에 확대 적용할 수 있으며, 고장 등 하자발생이 적은 발전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의 정/역 분리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재가열수단이 구비된 정/역 분리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의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재가열수단이 구비된 정/역 분리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냉/난방설비의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재가열수단이 구비된 정/역 복합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의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재가열수단이 구비된 정/역 복합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냉방설비의 구성도
삭제
다음의 각 실시 예에서 설명되는 모든 증발기들은 모두 액체 냉매의 기화를 위한 팽창변 및 분사노즐이 구비되어 제공되는 것으로 이후 설명에서는 그 부품의 언급을 생략한다.
이하 나머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본 [제1 실시예]는 공기열, 해수열 등 외부에서 생성된 재생에너지를 공급받아 발전을 수행하는 정/역으로 이원화된 유기랭킨사이클에서 바람직하게 재가열수단(5)이 구비된 엔진(1)을 제공하여 발전을 수행하는 정/역 분리 유기랭킨 발전장치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으로 해수이용발전, 태양열/공기열 복합열원이용 발전 등, 대용량의 동력생산설비에 그 사용이 적합한 케이스이다.
제시되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크게 유기랭킨사이클부와 역유기랭킨사이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기랭킨사이클부를 순환하는 제1냉매와 역유기랭킨사이클부를 순환하는 제2냉매는 제2캐스케이드콘덴서를 통하여 열전달이 이루어진다.
상기 유기랭킨사이클부는 발전기(2)가 동력전달 축으로 연결된 엔진(1), 제1응축기(12), 제2응축기(22), 순환펌프(25), 제1증발기(11) 및 제1외부열교환기(35)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배관으로 서로 연결되어 폐루프를 형성하고, 작동유체인 제1냉매가 상기 유기랭킨사이클부를 순환한다.
삭제
상기 역유기랭킨사이클부는 구동모터(4)가 동력전달 축으로 연결된 압축기(3), 제3응축기(31), 제2증발기(21) 및 제2외부열교환기(36)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배관으로 서로 연결되어 폐루프를 형성하고, 작동유체인 제2냉매가 상기 역유기랭킨사이클부를 순환한다.
이때, 상기 유기랭킨사이클부의 제2응축기(22)와 상기 역유기랭킨사이클부의 제2증발기(21)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상기 제2캐스케이드콘덴서(20)를 설치하여, 상기 제2캐스케이드콘덴서(20)에서 상기 제2응축기(22)를 통과하면서 응축되는 제1냉매의 응축잠열을 상기 제2증발기(21)를 통과하여 기화하는 제2냉매에 전달한다. 즉, 상기 제2캐스케이드콘덴서(20)에서 상기 유기랭킨사이클부와 상기 역유기랭킨사이클부 사이에 열전달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기랭킨사이클부의 상기 제1응축기(12)와 상기 제1증발기(11)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제1캐스케이드콘덴서(10)를 설치하여, 상기 제1응축기(12)를 통과하면서 응축되는 제1냉매의 응축잠열을 상기 제1증발기(11)를 통과하여 기화하는 상기 제1냉매에 전달한다. 즉, 상기 제1응축기(12)에서 버려질 수 있는 상기 제1냉매의 응축잠열을 상기 제1증발기(11)에서 팽창하여 기화되는 상기 제1냉매에 열전달하여, 동일 폐회로를 순환하는 상기 제1냉매끼리 열교환하여 상기 제1냉매의 응축잠열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기랭킨사이클부의 상기 제1외부열교환기(35)과 상기 엔진(1) 사이에 응축열흡수기(32)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유기랭킨사이클부의 상기 응축열흡수기(32)와 상기 역유기랭킨사이클부의 제3응축기(31)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응축열교환기(30)를 설치하여, 상기 제3응축기(31)를 통과하면서 응축되는 상기 제2냉매의 응축잠열을 상기 응축열흡수기(32)를 통과하는 상기 제1냉매에 전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응축열교환기(30)에서 상기 유기랭킨사이클부와 상기 역유기랭킨사이클부 사이에 열교환이 한번 더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엔진(1)에는 재가열수단(5)이 설치되어, 상기 엔진(1)에 열을 공급하여 상기 엔진(1)으로 유입되어 팽창되는 상기 제1냉매의 온도가 급격히 낮아져서 팽창압력이 급격히 하락하지 않도록 상기 엔진(1)에서 제1냉매를 추가적으로 가열한다.
상기 재가열수단(5)은 상기 역유기랭킨사이클부의 상기 제3응축기(31)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3)에서 압축된 제2냉매의 일부가 통과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압축기(3)와 상기 제3응축기(31) 사이의 배관에서 분기한 배관이 상기 재가열수단(5)으로 연결되고 상기 재가열수단(5)의 냉매출구와 연결된 배관이 상기 제3응축기(31)와 상기 제2증발기(21) 사이의 배관에서 합류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압축기(3)에서 나오는 상기 제2냉매의 일부는 상기 제3응축기(31)로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재가열수단(5)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재가열수단(5)은 재생에너지를 열원으로 하여 외부에서 열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정/역 분리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인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먼저, 상기 역유기랭킨사이클부에서 구동모터(4)의 가동으로 압축기(3)가 가동되면 제2냉매 가스는 압축되며, 상기 압축기(3)의 출구와 연결되는 배관은 두 갈래로 분기되며 분기된 배관을 유동하는 압축된 제2냉매 가스는 상기 응축기(31)와 재가열수단(5)으로 나뉘어 공급되면서 방열하고 액화되어 다시 합류된 후, 상기 제2증발기(21)로 유입되어 기화된 후, 상기 제2외부열교환기(36)로 거치면서 해수열, 공기열, 태양열 등 외부의 열에너지를 흡수하고 압축기(3)로 유입되는 순환을 한다.
다음, 상기 유기랭킨사이클부의 상기 엔진(1)은, 그 외부를 덮는 케이싱에 매설되는 상기 재가열수단(5)을 통과하는 상기 제2냉매에 의해 가열된다.
상기 엔진(1)을 유동하여 나온 저온, 저압의 제1냉매 가스는, 상기 제1캐스케이드콘덴서(10)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1응축기(12)에서, 상기 제1냉매 가스가 보유한 열에너지를 실시간, 동일회로를 선행하여 순환하면서 상기 제1증발기(11)를 통과하는 제1냉매에 전달하여, 습증기 상태로 상 변화하며, 이후 상기 제2캐스케이드콘덴서(20)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2응축기(22)에서 제2증발기(21)를 통과하며 기화하는 제2냉매에 잔여 열을 더욱 전달하여 완전히 액화된 후, 상기 순환펌프(25)의 가동에 의해 상기 제1캐스케이드콘덴서(10) 내부의 상기 제1증발기(11)로 이송된다. 상기 제1증발기(11)를 통과하면서 비교적 적은 체적의 고압의 습증기 상태로 기화하고 상기 제1응축기(12)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상기 제1냉매가 보유한 열에너지를 흡수하면서 1차 가열되고, 상기 제1외부열교환기(35)로 이동하여 해수열, 공기열, 태양열 등 외부 열에너지를 2차로 흡수하며, 상기 응축열교환기(30)의 상기 응축열흡수기(32)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3응축기(31)를 경과하는 제2냉매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3차로 가열된다.
상기 제1외부열교환기(35)를 실내에 설치하여 냉방기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습증기 상태로 상기 엔진(1)에 유입되는 비교적 고온, 고압의 상기 제1냉매는, 상기 엔진(1) 내부에서 팽창하여 동력을 발생시키고 온도와 팽창력 또한 급락하는데, 상기 엔진(1)의 외부를 구성하는 케이싱 내부에 매설된 상기 재가열수단(5)을 통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상기 제2냉매의 응축열을 흡수하면서 완전 기화되고 더욱 팽창하여 동력을 추가하여 발생시키고 상기 엔진(1)의 출구측 배관으로 배출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증발기(11)와 상기 제1외부열교환기(35)를 연결하는 배관과, 상기 제1외부열교환기(35)와 상기 응축열교환기(35)를 연결하는 배관 상에, 각각 고압펌프를 설치하여 제1냉매의 회로내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방법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증발기(11), 상기 제1외부열교환기(35) 및 상기 응축열흡수기(32)를 순차적으로 경과하는 제1냉매 가스가 등압 가열되도록 배관의 직경을 순차적으로 확장시켜, 습증기 상태로 상기 엔진(1)의 유입구로 진입하게 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기 엔진(1)을 일반적으로 터빈을 표시하는 기호로 표시하였으나, 상기 발전용 엔진(1)은 일반적인 충동식, 반동식 터빈에 국한되지 않으며, 스크류 압축기를 개조한 터빈, 원반형 터빈, 왕복동 엔진 등 상기 터빈 이외의 엔진들도 적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실시예는 압축기(3)를 가동할 때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온열을 이용하여 난방에 활용하고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냉열을 이용하여 유기랭킨사이클 작동유체의 액화에 사용하며 외부의 재생 열에너지를 열원으로 발전을 수행하는 절전형 히트펌프와, 냉동기 및 에어컨 등의 압축기를 가동할 때 응축기에서 생성되는 온열을 이용하여 발전을 수행하고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냉열의 일부를 냉동/냉방에 활용하는 냉/난방겸용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에 더욱, 재가열수단이 구비된 엔진을 제공하여 효율이 우수한 전력생산 방법을 제시한다.
본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1실시예와 구조가 유사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 및 그 기능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역시 크게 유기랭킨사이클부와 역유기랭킨사이클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기랭킨사이클부는 발전기(2)가 동력전달 축으로 연결된 엔진(1), 제1응축기(12), 제2응축기(22), 순환펌프(25), 제1증발기(11) 및 제1외부열교환기(35)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배관으로 서로 연결되어 폐루프를 형성하고, 작동유체인 제1냉매가 상기 유기랭킨사이클부를 순환한다.
상기 역유기랭킨사이클부는 구동모터(4)가 동력전달 축으로 연결된 압축기(3), 제3응축기(31), 제2증발기(21) 및 제2외부열교환기(36)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배관으로 서로 연결되어 폐루프를 형성하고, 작동유체인 제2냉매가 상기 역유기랭킨사이클부를 순환한다.
이때,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유기랭킨사이클부의 제2응축기(22)와 상기 역유기랭킨사이클부의 제2증발기(21)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상기 제2캐스케이드콘덴서(20)를 설치하여, 상기 제1냉매의 응축잠열을 상기 제2냉매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유기랭킨사이클부의 상기 제1응축기(12)와 상기 제1증발기(11)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제1캐스케이드콘덴서(10)를 설치하여, 상기 제1응축기(12)에서 응축되는 상기 제1냉매의 응축잠열을 상기 제1증발기(11)를 통과하면서 기화되는 동일 폐회로상의 상기 제1냉매에 열전달하여, 버려질 수 있는 상기 제1냉매의 응축잠열을 효율적으로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엔진(1)에는 재가열수단(5)이 설치되어, 상기 엔진(1)에 열을 공급하여 상기 엔진(1)으로 유입되어 팽창되는 상기 제1냉매의 온도와 압력이 급격히 하락하지 않도록 상기 제1냉매를 지속적으로 가열한다.
또한, 상기 역유기랭킨사이클부의 제2증발기(21)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3증발기(23)가 더욱 설치된다. 상기 제3증발기(23)는 상기 배관을 연장하여 실내에 설치하여 냉방기나 냉동기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응축기(31)와 상기 제2증발기(21) 사이의 배관에서 분기한 배관이 상기 제3증발기(23)로 연결되고 상기 제3증발기(23)의 냉매출구와 연결되는 배관이 상기 제2증발기(21)와 상기 제2외부열교환기(36) 사이의 배관에서 합류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3응축기(31)에서 나오는 상기 제2냉매의 일부는 상기 제2증발기(21)로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3증발기(23)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냉방기나 냉동기의 동작 특성상 상기 제3증발기(23)가 항상 가동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제3증발기(23)의 작동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제3증발기(23)로 유입되던 제2냉매가 우회할 수 있도록, 상기 제3증발기(23)의 냉매 입구측 배관에 밸브(27)를 구비하여 별도의 바이패스 배관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 배관상에 제4증발기(26)를 설치하여, 상기 제3증발기(23)를 거치지 않는 제2냉매는 상기 제4증발기(26)를 통과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제3응축기(31)와 상기 제2증발기(21) 사이의 배관에서 분기한 배관이 상기 밸브(27)에서 다시 두 갈래로 갈라져서 상기 제3증발기(23)와 상기 제4증발기(26)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3증발기(23)와 상기 제4증발기(26)의 각 냉매 출구에서 연장되어 나오는 배관들이, 상기 제2증발기(21)와 상기 제2외부열교환기(36) 사이의 배관에서 다시 합류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3응축기(31)에서 나오는 상기 제2냉매의 일부는 상기 제2증발기(21)로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3증발기(23) 혹은 제4증발기(26)를 선택하여 통과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제3증발기(23)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3증발기(23)를 통과하던 제2냉매는 상기 밸브(27)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제4증발기(26)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밸브(27)는 냉방기나 냉동기로 이용되는 상기 제3증발기(23)의 작동을 온-오프하기 위한 밸브로서의 기능을 하는데, 상기 제3응축기(31)와 상기 제2증발기(21) 사이에서 분기되어 나온 배관이 상기 제3증발기(23)와 상기 제4증발기(26)로 향하는 두 배관으로 나누어지는 곳에 설치되어, 상기 제2냉매의 흐름을 조절하여 상기 제3증발기(23)의 가동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밸브(27)로서는 삼방밸브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배관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거나 다수의 배관 중 하나를 선택하여 흐르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밸브 또는 밸브들의 조합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3응축기(31)를 실내에 설치하여, 상기 제3응축기(31)에서 상기 제2냉매가 응축될 때 발생되는 열을 난방 등에 활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재가열수단(5)은 재생에너지를 열원으로 외부에서 열이 공급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기랭킨사이클부의 상기 엔진(1)의 외부를 구성하는 케이싱에 매설되는 상기 재가열수단(5)은 해수 및 태양열, 공기열 등 재생에너지를 열원으로 하여 열전달용으로 부동액 및 브라인이 제공되어 순환하는 워터자켓 및 온수 순환배관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응축기(31)를 난방에 사용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언급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가열수단(5)은 상기 제3응축기(31)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3)에서 압축된 제2냉매의 일부가 통과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응축열교환기(30)을 설치하여 상기 제3응축기(31)에서 응축되는 제2냉매의 응축잠열을 상기 응축열교환기(30)에서 응축열흡수기(32)를 통과하는 제1냉매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정/역 분리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에서, 상기 역유기랭킨사이클부의 상기 구동모터(4)의 가동으로 상기 압축기(3)가 가동되면 상기 제2냉매 가스는 압축되며, 상기 압축기(3)의 출구를 통하여 나온 상기 제2냉매 가스는 실내에 설치되는 상기 응축기(31)를 통과하면서 방열하여 난방을 실행하고 액화된 후, 서로 병렬 연결된 상기 제2증발기(21)와 상기 제3증발기(23)로 나뉘어 통과하면서 기화하거나 상기 제2증발기(21)와 상기 제4증발기(26)로 나뉘어 통과하면서 기화한 후, 다시 합류하여 상기 제2외부열교환기(36)를 통과하면서 외부의 재생에너지를 흡수한 후 상기 압축기(3)로 유입되는 순환 구조를 갖는다.
상기 유기랭킨사이클부에서는, 상기 엔진(1)을 유동하여 나온 저온, 저압의 상기 제1냉매 가스가, 상기 제1캐스케이드콘덴서(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1응축기(12)에서 보유 열에너지의 일부를 상기 제1증발기(11)를 선행하여 통과하는 제1냉매에 전달하여, 습증기 상태로 상 변화한다. 상기 제1응축기(12)를 거친 상기 제1냉매는, 상기 제2캐스케이드콘덴서(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2응축기(22)에서, 잔여 열을, 상기 제2증발기(21)를 통과하면서 기화하는 제2냉매에 모두 전달하고 완전 액화된 후, 상기 순환펌프(25)의 가동에 의해 상기 제1증발기(11)를 통과하면서, 동시간에 상기 제1응축기(12)를 후행하여 통과하는 제1냉매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다시 비교적 적은 체적의 고압의 습증기 상태로 기화하여 1차 가열되고 가압된 후, 상기 제1외부열교환기(35)로 이동하여 해수열, 공기열, 태양열 등 외부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2차로 가압, 가열된 후, 상기 엔진(1) 내부로 유입되어 완전 기화되면서 팽창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면서 상기 재가열수단(5)의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더욱 팽창하고 동력발생을 증가시킨다.
상기 제1외부열교환기(35)에 연결되는 배관을 연장하여 실내에 설치하여 상기 제1외부열교환기(35)를 냉방기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경우로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증발기(11)와 상기 제1외부열교환기(35)를 연결하는 배관 상에, 고압 펌프를 설치하여 제1냉매의 순환을 강제하는 방안 역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증발기(11), 상기 제1외부열교환기(35)를 순차적으로 경과하는 제1냉매 가스가 등압 가열되도록 배관의 직경을 순차적으로 확장시켜, 습증기 상태로 상기 엔진(1)의 유입구로 진입하게 할 수도 있다.
이렇게 본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히트펌프를 가동하거나 에어컨 등 냉동기를 가동함에 있어 재가열수단이 구비된 유기랭킨 발전시스템을 적용하여 발전과 함께 냉/난방도 실시할 수 있는 경제적인 생활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히트펌프를 가동하거나 에어컨 등 냉동기를 가동함에 있어서, 자가동력 획득을 주목적으로 하여, 발전 능력은 상기에 언급된 재가열수단이 구비된 유기랭킨 발전시스템보다는 다소 미흡하지만, 설비비를 더욱 절감하기 위하여 재가열 수단은 적용하지 않고 냉/난방 설비만 추가하여 구비되는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유기랭킨사이클에서 고온이라 함은 재생에너지가 생성되는 온도에 불과하지만 설명 상, 차별화의 필요에 따라 고온이라 언급한다.
유기랭킨사이클인 발전설비에서 제공되는 작동유체인 제1냉매는 상기 역 유기랭킨사이클인 냉동기설비에서 제공되는 제2냉매보다 증발온도가 다소 높은 냉매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냉매와 상기 제2냉매는 본 건 발명제품의 설계 시, 제공되는 열원의 온도 및 온도 변화에 따른 냉매의 증발압력 변화 등 제시되는 조건에 따라 각각 사용의 선택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나 어느 경우라도 모두 부식성, 안정성, 기계 및 환경과의 친화성, 가격적인 면에서 우수하다면 기 생산된 제품 및 추후 개발될 어떤 제품도 그 사용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모든 방법으로 생산된 동력은 산업체의 동력원, 선박 및 생활기기의 자가소비 동력원으로 먼저 사용하고 잉여동력으로 발전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제3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달리, 소용량의 자가발전 냉동, 공조기에 사용이 적합한 시스템으로서, 정/역 유기랭킨사이클이 단일의 작동유체가 순환하는 폐순환회로 구성되는 복합된 형식의 정/역 복합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을 보여준다. 냉동기를 가동할 때, 생성되는 온열을 이용하여 동력을 획득하면서 생성되는 냉열의 일부를 냉동/냉방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제3 실시예]에서는 먼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크게 발전기(2)가 동력전달 축으로 연결된 엔진(1), 구동모터(4)가 동력전달 축으로 연결된 압축기(3), 제3응축기(31), 순환펌프(25), 제2증발기(21), 제1외부열교환기(35) 및 응축열흡수기(32)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배관으로 서로 연결되어 폐루프를 형성하고, 작동유체인 냉매가 순환한다.
또한, 상기 엔진(1)의 냉매 출구와 상기 압축기(3)의 냉매 입구를 연결하는 배관 상의 어느 한 지점과, 상기 제3응축기(31)의 냉매 출구와 상기 순환펌프(25)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 상의 어느 한 지점을 연결하는 바이패스배관(7)을 설치하고, 상기 바이패스배관(7) 상의 어느 한 지점에 제4응축기(24)가 구비되어, 상기 엔진(1)을 거쳐 나오는 냉매의 일부가 상기 압축기(3)로 이송되지 않고 상기 바이패스배관(7)을 통하여 상기 제4응축기(24)를 통과하여, 상기 제3응축기(31)와 상기 순환펌프(25) 사이의 배관에서, 상기 압축기(3)를 통과한 냉매와 합류한다.
또한, 상기 제4응축기(24)와 제2증발기(21)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상기 제3캐스케이드콘덴서(40)를 설치하여, 상기 제3캐스케이드콘덴서(40)에서 상기 제4응축기(24)를 통과하면서 응축되는 냉매의 응축잠열을 상기 제2증발기(21)를 통과하는 냉매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열흡수기(32)와 제3응축기(31)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응축열교환기(30)를 설치하여, 상기 제3응축기(31)를 통과하면서 응축되는 상기 냉매의 응축잠열을 상기 응축열흡수기(32)를 통과하는 상기 냉매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엔진(1)에는 재가열수단(5)이 설치되어, 상기 엔진(1)에 열을 공급하여 상기 엔진(1)으로 유입되어 팽창되는 상기 냉매의 온도가 낮아지지 않도록 상기 냉매를 지속적으로 가열한다.
상기 재가열수단(5)은 상기 제3응축기(31)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3)에서 압축된 냉매의 일부가 통과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압축기(3)와 상기 제3응축기(31) 사이의 배관에서 분기한 배관이 상기 재가열수단(5)의 냉매 유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재가열수단(5)의 냉매 유출구와 연결된 배관이 상기 제3응축기(31)와 상기 순환펌프(25) 사이의 배관에서 합류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압축기(3)에서 나오는 상기 냉매의 일부는 상기 제3응축기(31)로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재가열수단(5)으로 유입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경우로서 역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외부열교환기(35)의 냉매유입구와, 상기 응축열교환기(35)의 냉매유입구에, 각각 고압펌프를 설치하여 제1냉매의 회로내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방안도 바람직한다.
또한, 상기 제2증발기(21), 상기 제1외부열교환기(35) 및 상기 응축열흡수기(32)를 순차적으로 유동하는 제1냉매 가스가 등압 가열되도록 배관의 직경을 순차적으로 확장시켜, 습증기 상태로 상기 엔진(1)의 유입구로 진입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ORC 발전시스템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응축열교환기(30) 내부에 제1예열기(33)가 구비되며, 상기 엔진(1)에도 제2예열기(34)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4)를 가동하기 전에 상기 제1예열기(33)와 제2예열기(34)를 먼저 가동시켜 상기 응축열교환기(30) 내부와 상기 엔진(1) 내부의 온도를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시킨 후 상기 압축기(3)와 상기 순환펌프(25)를 가동시켜 발전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증발기(21)와 병렬로 연결되어 실내에 설치되어 냉동/냉방 작용을 수행하는 제3증발기(23)가 더욱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순환펌프(25)와 상기 제2증발기(21) 사이의 배관에서 분기한 배관이 상기 제3증발기(23)의 냉매 입구로 연결되어 상기 순환펌프(25)를 거친 냉매의 일부는 상기 제2증발기(21)로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3증발기(23)로 유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증발기(21)를 통과하는 냉매의 양은 항상 일정하나, 냉방기나 냉동기의 동작 특성상 상기 제3증발기(23)가 항상 가동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제3증발기(23)의 작동이 중단되어 상기 제3증발기(23)로 냉매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증발기(23)로 유입되던 냉매가 우회할 수 있도록, 별도의 바이패스배관을 설치하고 상기 바이패스배관 상에 제4증발기(26)를 설치한다.
상기 냉매가 상기 제3증발기(23)와 상기 제4증발기(26) 중 하나를 선택하여 흐를수 있도록 하는 밸브(27)가 설치됨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밸브(27)는 삼방밸브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증발기(23)와 상기 제4증발기(26)의 냉매 출구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각각의 배관이, 상기 제2증발기(21)와 상기 제1외부열교환기(35) 사이의 배관에서 합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3증발기(23), 상기 제4증발기(26) 및 상기 밸브(27)의 설치, 구조 및 작동방식은 상기 제2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것으로서 제3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엔진(1)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원하는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냉매의 온도를 낮춰주기 위하여, 상기 엔진(1)의 냉매 출구와 상기 압축기(3)의 냉매 입구를 연결하는 배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배관을 통과하는 냉매를 식혀주는 냉각기(6)가 더욱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역 복합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엔진(1)의 냉매 출구를 통하여 배출된 냉매 가스의 일부는 압축기(3)로 유입된다.
상기 압축기(3)를 거처 나온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는, 상기 압축기(3)의 냉매 출구 측에서 분기된 배관을 따라 상기 제3응축기(31)와 상기 재가열수단(5)으로 나뉘어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으로 액화된다.
상기 엔진(1)에서 배출되어 나온 냉매 가스 중 상기 압축기(3)로 유입되지 않은 냉매 가스는 상기 바이패스도관(7)을 통하여 상기 제3캐스케이드콘덴서(40)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4응축기(24)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3캐스케이드콘덴서(40) 내부에 설치된 제2증발기(21)에서 기화하는 냉매에 열을 전달하고 액화되어서, 상기의 응축기(31)와 상기 재가열수단(5)를 경과하여 액화된 냉매와 합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류된 액체 냉매는 상기 순환펌프(25)의 작동으로 실내에 구비되는 상기 제3증발기(23)와 상기 제3캐스케이드콘덴서(40) 내부에 구비되는 제2증발기(21)로 나뉘어 이송되면서 상기 제3증발기(23)에서 생성되는 냉열로 냉동/냉방의 실행과 동시에 제2증발기(21)에서 생성되는 냉열은 상기 제3캐스케이드콘덴서(40)에 내장되는 상기 제4응축기(24)를 통과하는 냉매 가스를 액화시킨다.
이때, 상기 제2증발기(21)를 통과하는 냉매의 양은 항상 일정하나, 냉동/냉방의 실시는 그 실행이 온/오프가 되므로 상기 제3증발기(23)의 작동이 중단되어 냉매가 통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증발기(21)를 경유하지 않는 잉여 냉매는 상기 밸브(27)의 작동으로 상기 제4증발기(26)를 통과하여 ORC 발전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증발기(21)와 상기 제3증발기(23) 또는 상기 제4증발기(26)를 통과하여 나온 냉매 가스도 역시 완전 기화되기 직전 단계인 습증기 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증발기(21)와 상기 제3증발기(23) 또는 상기 제4증발기(26)를 경과하면서 기화한 습증기 상태의 냉매 가스는 합류되어 상기 제1외부열교환기(35)을 통과하면서 외부의 재생에너지와 추가적으로 열교환하여 2차 가열되며, 다시 상기 응축열교환기(30) 내부에 설치된 상기 응축열흡수기(32)로 이송되어, 상기 응축열교환기(30) 내부에 함께 설치되는 상기 제3응축기(31)를 통과하는 냉매 가스와 3차 열교환하여 더욱 고온의 습증기 상태의 냉매가스로 되어 상기 엔진(1)으로 유입되고 팽창되어 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엔진(1) 내부로 유입되는 습증기 냉매 가스는 상기 엔진(1)의 냉매 유입구와 상기 제4응축기(24)의 냉매 유입구 사이의 압력차로 인해 동력을 발생시키나, 상기 엔진(1)의 내부에서 냉매의 완전한 기화와 급격한 팽창으로 인해 상기 엔진(1) 내부의 온도 하강에 따른 팽창압력 저하로 인하여 동력발생이 상쇄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엔진(1)에 상기 재가열수단(5)이 제공되며, 상기 엔진(1)에 지속적으로 열을 공급하여 상기 냉매 가스의 팽창력의 급격한 하강을 보완하여 우수한 효율의 발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구동모터(4)의 가동 시작 시에, 본 발명 ORC 발전시스템이 원활히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열교환기(30) 내부에 상기 제3응축기(31)와 함께 상기 제1예열기(33)를 설치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엔진(1)에도 상기 재가열수단(5)과 함께 상기 제2예열기(34)를 설치한다. 상기 구동모터(4)의 가동 전에 상기 제1예열기(33)와 상기 제2예열기(34)를 먼저 작동시켜 상기 응축열교환기(30) 내부와 상기 엔진(1)의 내부의 온도를 사용자의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압축기(3)와 상기 순환펌프(25)의 가동과 동시에 원활한 발전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은 전제조건으로 상기 엔진(1)은 상기 압축기(3)의 소모동력을 제외하고도 추가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압축기(3)보다 용량이 충분히 커야할 필요가 있다.
상기 모든 실시예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엔진(1)의 가동 열원으로 사용될 외부의 재생에너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상기 제1외부열교환기(35)와 상기 제2외부열교환기(36)를 각각 실내에 배치하여 냉방기(에어컨)의 역할을 수행하게 함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터빈 2: 발전기
3: 압축기 4: 기동모터
5: 재가열수단 6: 냉각기
7: 바이패스도관 10: 제1캐스케이드콘덴서
11: 제1증발기 12: 제1응축기
20: 제2캐스케이드콘덴서 21: 제2증발기
22: 제2응축기 23: 제3증발기
25: 순환펌프 26: 제4증발기
27: 밸브 30: 응축열교환기
31: 제3응축기 32: 응축열흡수기
33: 제1예열기 34: 제2예열기
35: 제1외부열교환기 36: 제2외부열교환기
40: 제3캐스케이드콘덴서

Claims (13)

  1. 발전기가 동력전달 축으로 연결되며 제1냉매를 이용하여 가동되는 엔진과, 상기 엔진을 거친 상기 제1냉매가 통과하면서 응축되는 제1응축기 및 제2응축기와, 상기 제1냉매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와, 팽창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제1냉매가 팽창하여 기화되는 제1증발기와, 상기 제1냉매가 통과하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제1외부열교환기를 포함하여, 서로 배관으로 연결되는 폐루프를 형성하여, 상기 제1냉매가 순환하는 유기랭킨사이클부와;
    구동모터가 동력전달 축으로 연결되며 제2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를 거친 제2냉매가 통과하면서 응축되는 제3응축기와, 팽창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제2냉매가 팽창하여 기화되는 제2증발기와, 상기 제2냉매가 통과하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제2외부열교환기를 포함하여, 서로 배관으로 연결되는 폐루프를 형성하여, 상기 제2냉매가 순환하는 역유기랭킨사이클부와;
    상기 제3응축기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엔진내부에 구비되는 재가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응축기와 상기 제2증발기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제2캐스케이드콘덴서가 설치되어, 상기 제2캐스케이드콘덴서에서 상기 제2응축기를 통과하는 제1냉매의 열이 상기 제2증발기를 통과하는 제2냉매로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제1응축기와 상기 제1증발기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제1캐스케이드콘덴서가 설치되어 상기 제1캐스케이드콘덴서에서 상기 제1응축기를 통과하는 제1냉매의 열이 상기 제1증발기를 통과하는 제1냉매로 전달되게 하고,
    상기 엔진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재가열수단으로 상기 압축기를 경과한 상기 제2냉매의 일부가 통과하면서 상기 제2냉매의 응축열을 엔진내부에서 팽창되는 상기 제1냉매에 열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가열수단이 구비되는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
  2. 발전기가 동력전달 축으로 연결되며 냉매를 이용하여 가동되는 엔진과;
    구동모터가 동력전달 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엔진을 거친 상기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를 거친 냉매가 통과하면서 응축되는 제3응축기와;
    상기 제3응축기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엔진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를 거친 상기 냉매의 일부가 통과하면서 상기 냉매의 응축열을 상기 엔진으로 열전달하는 재가열수단과;
    상기 엔진과 상기 압축기를 연결하는 배관 상의 어느 한 지점과, 상기 제3응축기의 냉매출구와 상기 재가열수단의 냉매출구가 각각 연결된 배관이 합류되어 연장된 배관 상의 어느 한 지점을 연결하는 바이패스배관과;
    상기 바이패스배관 상에 설치되며, 상기 엔진을 거친 상기 냉매의 일부가 통과하면서 응축되는 제4응축기와;
    팽창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냉매가 팽창하여 기화되는 제2증발기와;
    상기 제3응축기, 상기 재가열수단 및 상기 제4응축기의 냉매유출구와 연결되는 각각의 배관들이 합류된 지점과 상기 제2증발기의 냉매 유입구를 연결하는 배관 상의 한 지점에 설치되는 순환펌프와;
    상기 제2증발기를 거친 상기 냉매가 통과하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제1외부열교환기와;
    상기 제1외부열교환기를 거친 상기 냉매가 열을 흡수하는 응축열흡수기와;
    를 포함하여, 서로 배관으로 연결되는 폐루프를 형성하여, 상기 냉매가 순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4응축기와 상기 제2증발기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제3캐스케이드콘덴서를 설치하여, 상기 제4응축기를 통과하는 냉매의 응축열이 상기 제2증발기를 통과하는 냉매로 열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제3응축기와 상기 응축열흡수기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응축열교환기를 설치하여, 상기 제3응축기를 통과하는 냉매의 응축열이 상기 응축열 흡수기를 통과하는 냉매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가열수단이 구비되는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의 냉매 출구와 상기 제2증발기의 냉매 입구를 연결하는 배관 상의 어느 한 지점에서 분기되어져 실내 또는 냉동실로 연장되는 배관 상에, 상기 제2증발기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3증발기를; 더욱 구비하여, 상기 제3증발기의 냉열을 냉방이나 냉동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가열수단이 구비되는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외부열교환기는,
    실내에 설치되어 냉방기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가열수단이 구비되는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70017057A 2017-02-06 2017-02-06 재가열수단이 구비되는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 KR101967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057A KR101967039B1 (ko) 2017-02-06 2017-02-06 재가열수단이 구비되는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
PCT/KR2017/006375 WO2018143521A1 (ko) 2017-02-06 2017-06-19 재가열수단이 구비되는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057A KR101967039B1 (ko) 2017-02-06 2017-02-06 재가열수단이 구비되는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613A KR20180091613A (ko) 2018-08-16
KR101967039B1 true KR101967039B1 (ko) 2019-04-08

Family

ID=63040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057A KR101967039B1 (ko) 2017-02-06 2017-02-06 재가열수단이 구비되는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7039B1 (ko)
WO (1) WO20181435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65750B (zh) * 2020-03-27 2021-05-28 晟源高科(北京)科技有限公司 基于三级梯级供热系统的整体运行寻优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8807A (ja) * 2006-08-08 2008-02-21 Hitachi Ltd ガスタービン及びトランジションピース
JP2012112369A (ja) * 2010-11-19 2012-06-14 Atsuo Morikawa ヒートポンプ発電装置
JP2016118365A (ja) * 2014-12-24 2016-06-30 久司 藤田 熱システム及び熱システムの運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616654A2 (pt) * 2005-10-04 2011-06-28 Ac Sun Aps aparelho de refrigeração e aplicação do mesmo
KR20150105162A (ko) * 2014-03-08 2015-09-16 김영선 Orc 발전시스템
KR20160096310A (ko) * 2015-02-05 2016-08-16 에스에이치 에너지 주식회사 증발 장치를 포함하는 고효율 저온 발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8807A (ja) * 2006-08-08 2008-02-21 Hitachi Ltd ガスタービン及びトランジションピース
JP2012112369A (ja) * 2010-11-19 2012-06-14 Atsuo Morikawa ヒートポンプ発電装置
JP2016118365A (ja) * 2014-12-24 2016-06-30 久司 藤田 熱システム及び熱システムの運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43521A1 (ko) 2018-08-09
KR20180091613A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65499B (zh) 余热空调系统
US9927157B2 (en) Integrated power, cooling, and hea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AU619339B2 (en) Dual cooling/heating system energy recovery
US4813242A (en) Efficient heater and air conditioner
US5548957A (en) Recovery of power from low level heat sources
CN109798159B (zh) 分布式换能方法和系统
JP2005527730A (ja) 冷熱発生用原動所
US20140125060A1 (en) Solar cooling, heating and power system
JP2005257127A (ja) 自然冷媒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JP2012247081A (ja) 発電兼ヒートポンプ複合システム
CN103229005A (zh) 用于空气调节或产生水的装置
JP2008127017A (ja) 車両室内を空調するための冷却回路とランキン回路との組み合わせ
KR101967039B1 (ko) 재가열수단이 구비되는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시스템
JP3719581B2 (ja) 複合空調装置
KR20100042969A (ko) 발전시스템
JP2022513231A (ja) ヒートポンプ装置およびヒートポンプ装置を備える地域熱供給網
KR100814615B1 (ko) 흡수식 및 압축식 사이클을 이용한 열 병합발전시스템
KR20210092106A (ko) 산업체 스팀, 온수, 냉수 겸용 에너지절감 및 탄소배출 감소의 친환경 고효율 히트펌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770806B1 (ko) 냉.온 축열 시스템
KR101343120B1 (ko) 하이브리드형 공기열 히트펌프 시스템
JP2000018757A (ja) 冷房装置
RU2776000C9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энергии
JP4265714B2 (ja) 排熱吸収冷凍機
JPH0365032A (ja)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US4420941A (en) Cool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