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504B1 -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 - Google Patents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504B1
KR101965504B1 KR1020170133948A KR20170133948A KR101965504B1 KR 101965504 B1 KR101965504 B1 KR 101965504B1 KR 1020170133948 A KR1020170133948 A KR 1020170133948A KR 20170133948 A KR20170133948 A KR 20170133948A KR 101965504 B1 KR101965504 B1 KR 101965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seed film
water supply
scatter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훈
Original Assignee
그린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앤씨(주) filed Critical 그린앤씨(주)
Priority to KR1020170133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504B1/ko
Priority to PCT/KR2018/007015 priority patent/WO201907844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4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drawn by animal or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18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of seed at interv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Abstract

본 발명은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형태로 권취된 씨앗필름(501)이 거치되어 씨앗필름(501)이 권출되는 씨앗필름거치대(500); 물을 수용하는 물통(210)과, 물을 하방으로 이송하는 물공급관(230)과, 물공급관(230) 상에 배치되어 권출된 씨앗필름이 포설되는 농지표면에 물을 분사하는 물공급노즐(240) 및, 상기 물공급관(230)상에 배치되어 물공급관(230)을 통한 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개폐벨브(220)를 구비하는 물공급부(200); 물공급관(230)의 전방에 배치되고 농지표면의 흙을 비산시키는 흙비산유닛(301)과, 흙비산유닛(301)의 전방에 배치되어 비산된 흙이 전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방비산흙막음판(310) 및 흙비산유닛(301)의 후방에 배치되어 비산된 흙이 후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방비산흙막음판(320)을 구비하는 흙비산유도부(300); 전방비산흙막음판(310) 및 후방비산흙막음판(320) 사이의 상방으로 비산된 흙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벨트(420) 및, 이송컨베이어벨트(420)에 의해 이송된 흙을 상기 권출된 씨앗필름(501)의 상부면에 낙하하도록 유도하여 씨앗필름(501)을 농지표면에 고정하는 흙낙하유도부(430)를 구비한 흙이송낙하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APPARATUS FOR DRY FIELD COVERING COMPOSING IRRIGATION SYSTEM }
본 발명은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공급부와 점적테이프거치대를 구비하여 건답에서 지속적인 관수농법이 가능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묘·이앙 농법은 씨앗을 직접 농지에 파종하는 직파에 비하여 일정하고 비교적 높은 소출이 가능하여 벼농사를 포함한 많은 농사에 적용되고 있고 특히 벼농사는 육묘·이앙 방식이 90% 이상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육묘·이앙 작업은 일손이 많이 필요하여 고령화가 심화되는 농촌 현실에서는 점점 어려워 지고 있어 육묘·이앙이 필요 없는 직파에 대한 필요성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멀칭필름(Mulching Film)은 제초, 보온 및 보습 기능을 제공하여 양질의 농산품 생산을 다수확 하려는 농민의 입장에서는 빼 놓을 수 없는 농자재가 되었다.
현재와 같이 노동력 문제가 심화되는 농촌현실에 비추어 육묘·이앙 단계를 직파로 대체하는 동시에 멀칭필름의 포설을 동시에 할 수 있다면 상당한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는 착상에서 멀칭필름에 씨앗을 부착한 씨앗필름(Mulching Film with Seed)의 사용이 점차 늘고 있으며 씨앗필름을 포설하기 위한 장비의 필요성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출원의 발명자는 "승용포설장치, 이앙기, 트랙터, 경운기 또는 관리기와 같은 농기계의 후단에 설치되는 씨앗필름 포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농기계 후단에 구비되는 프레임; 씨앗필름이 권취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단측에 설치되는 씨앗필름거취부; 상기 프레임의 하단측에 구비되며 길이방향이 농지표면의 평면방향과 평행하고, 씨앗필름이 포설될 농지표면을 균평하게 고르는 균평판; 상기 균평판과 특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균평판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씨앗필름거취부의 회전에 의해 농지표면에 펼쳐진 상기 씨앗필름을 가압하는 씨앗필름가압부; 및 상기 씨앗필름가압부와 특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씨앗필름가압부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가압된 상기 씨앗필름의 양측 끝단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바퀴형태의 씨앗필름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균평판은 후방으로 오목하게 만곡된 형성을 갖고, 상기 균평판을 상기 균평판의 길이방향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조절수단, 상기 농지표면의 고저 및 강도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조절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필름 포설장치."를 특허등록 제10-1254462호로 제안한바 있었다. 도 1은 종래 씨앗필름 포설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승용포설장치, 이앙기, 트랙터, 경운기 또는 관리기와 같은 농기계의 후단에 구비되는 프레임과, 생분해 씨앗필름이 권취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단측에 설치되는 씨앗필름거치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단측에 구비되며 길이방향이 농지 바닥의 평면방향과 평행하고 씨앗필름이 포설될 농지 바닥을 균평하게 고르는 균평판과, 상기 균평판과 특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균평판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씨앗필름거치부의 회전에 의해 농지 바닥에 펼쳐진 상기 씨앗필름을 가압하는 씨앗필름가압부와, 상기 씨앗필름가압부와 특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씨앗필름가압부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가압된 상기 씨앗필름의 양측 끝단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바퀴형태의 씨앗필름고정부를 포함하는 씨앗필름 포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이앙기 후단과 일체로 고정시키는 연결프레임; 및 농지 바닥에 펼쳐진 상기 씨앗필름 내부의 씨앗과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농지바닥에 시비를 뿌려 씨앗의 성장과 활착(活着)을 양호하게 돕는 측조시비기를 더 포함하는 개량된 씨앗필름 전용 포설장치." 를 특허등록 제10-1227810호로 제안한바 있었다.
또한, “승용피복기, 이앙기, 트랙터, 경운기 또는 관리기와 같은 농기계의 후단에 설치되는 씨앗필름 포설 장치에 있어서, 상기 농기계 후단에 구비되는 프레임; 씨앗필름이 권취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단측에 설치되는 씨앗필름거취부; 상기 프레임의 하단측에 구비되며 길이 방향이 농지표면의 평면방향과 평행하고, 씨앗필름이 포설될 농지표면을 균평하게 고르는 균평판; 상기 균평판과 특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균 평판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씨앗필름 거치부의 회전에 의해는 농지표면에 펼쳐진 상기 씨앗필름을 가압하는 씨앗필름가압부; 상기 씨앗필름가압부와 특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씨앗필름가압부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가압된 상기 씨앗필름의 양측 끝단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바퀴 형태의 씨앗필름고정부; 상기 씨앗필름고정부와 상기 씨앗필름가압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씨앗필름을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와 상기 씨앗필름가압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농기계의 방향 전환이 필요한 경우, 상기 농기계의 방향 전환 구동의 직전과 직후에 상기 씨앗필름을 집는 집게부; 상기 농기계의 전단의 양쪽에 구비되어, 상기 씨앗필름이 포설될 농지표면을 가압하여 상기 씨앗필름이 포설된 위치를 상기 농지표면에 표시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균평판은 후방으로 오독하게 만곡된 형성을 갖고, 상기 균평판을 상기 균평판의 길이 방향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조절수단, 상기 농지표면의 고저 및 강도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조절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기능을 갖는 씨앗필름포설장치" 를 특허등록 제10-1442965호로 제안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기술들은 물기 있는 논 표면의 표면장력과 습답에 씨앗필름을 매립시 복원력에 의해 씨앗필름을 붙잡아 고정시키는 원리에 의한 것으로 물기가 전혀 없는 건답에서는 표면장력이나 복원력이 미약하여 씨앗필름을 고정시키기 어려워 바람에 의해 씨앗필름이 날려 버려 씨앗필름을 이용한 직파 농법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답직파 재배시, 파종 후 씨앗의 출아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강우가 없으면, 파종직후 2~3회 관수하여야 한다. 그러나 건답에 적절양의 관수를 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가뭄 및 국지적 폭우와 같은 비정상 강우 현상이 빈번한 최근의 일기 상황에서는 건답 직파시 출아를 용이하게 하여 출아일수를 2~5일 정도 단축 시킬수 있는 급수기능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446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781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296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공급부를 구비하여 건답직파시에 씨앗의 출아에 필요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권출되어 포설되는 씨앗필름에 점적 테이프를 결합하여 함께 포설함으로써, 씨앗필름 포설이후에도 지속적인 점적관수가 가능하도록하는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씨앗필름에 관수설비를 구비하여 포설되게 함으로써, 물이 없는 밭 또는 사막에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롤형태로 권취된 씨앗필름(501)이 거치되어 씨앗필름(501)이 권출되는 씨앗필름거치대(500); 물을 수용하는 물통(210)과, 물을 하방으로 이송하는 물공급관(230)과, 물공급관(230) 상에 배치되어 권출된 씨앗필름이 포설되는 농지표면에 물을 분사하는 물공급노즐(240) 및, 상기 물공급관(230)상에 배치되어 물공급관(230)을 통한 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개폐벨브(220)를 구비하는 물공급부(200); 물공급관(230)의 전방에 배치되고 농지표면의 흙을 비산시키는 흙비산유닛(301)과, 흙비산유닛(301)의 전방에 배치되어 비산된 흙이 전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방비산흙막음판(310) 및 흙비산유닛(301)의 후방에 배치되어 비산된 흙이 후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방비산흙막음판(320)을 구비하는 흙비산유도부(300); 후방비산흙막음판(320) 상방으로 비산된 흙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벨트(420) 및, 이송컨베이어벨트(420)에 의해 이송된 흙을 상기 권출된 씨앗필름(501)의 상부면에 낙하하도록 유도하여 씨앗필름(501)을 농지표면에 고정하는 흙낙하유도부(430)를 구비한 흙이송낙하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를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후방비산흙막음판(320)의 하측 끝단에 흙평탄판(321)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흙비산유닛(301)의 전방에 배치되어 농지표면을 평탄하게 하는 앞롤러(600) 및, 흙낙하유도부(430) 후방에 배치되고, 흙낙하유도부(430)에서 낙하한 흙으로 농지표면에 고정된 씨앗필름(501)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뒷롤러(70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가 가능하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점적테이프거치대(900)를 더 구비하여, 롤형태로 권취된 점적 테이프를 거치하고, 상기 씨앗필름(501)이 권출될 때, 상기 점적 테이프도 함께 권출되어 씨앗 필름(501)의 하면에 함께 포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르면, 물공급부를 구비하여 건답직파시에 씨앗의 출아에 필요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르면, 권출되어 포설되는 씨앗필름에 점적 테이프를 결합하여 함께 포설함으로써, 씨앗필름 포설이후에도 지속적인 점적관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씨앗필름에 관수설비를 구비하여 포설되게 함으로써, 물이 없는 밭 또는 사막에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가 농기계 후단에 설치되는 상황을 설명하는 후방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 따른 씨앗필름 건답피복기의 물공급부(200) 구성을 설명하는 측단면도.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 따른 씨앗필름 건답피복기의 흙비산유도부(300) 구성을 설명하는 측단면도.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 따른 씨앗필름 건답피복기의 흙이송낙하부(400) 구성을 설명하는 측단면도.
도 2d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 따른 씨앗필름 건답피복기의 권출포설 장치 구성을 설명하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의 물공급 노즐의 구성 및 형상을 설명하는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서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를 이용한 씨앗필름 포설방법의 흐름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제 1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가 농기계 후단에 설치되는 상황을 설명하는 후방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10)는, 승용피복기, 이앙기, 트랙터, 경운기 또는 관리기와 같은 농기계(1)의 후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농기계(1)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롤 형태로 권취된 씨앗필름(501)을 거치하여, 후방으로 권출하여 포설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1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2a 내지 도 2d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의 측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 따른 씨앗필름 건답피복기의 물공급부(200)의 구성을 설명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 따른 씨앗필름 건답피복기의 흙비산유도부(300)의 구성을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 따른 씨앗필름 건답피복기의 흙이송낙하부(400)의 구성을 설명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2d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 따른 씨앗필름 건답피복기의 권출포설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우선,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의 물공급부(200)는, 물통(210)과, 물공급관(230)과, 물공급노즐(240) 및, 개폐벨브(220)를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통(210)은 씨앗필름(501)에 부착되어 파종되는 씨앗의 출아에 필요한 물을 저장한다. 물은 씨앗의 생육 과정에서 요구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씨앗의 출아와 양질의 농장물 재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물공급관(230)은, 상측에 배치되는 물통(210)으로의 하측에 연결되고, 하방으로 배치되어 물통(210)에 수용된 물을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물통(210)이 상측에 배치되므로써, 별도의 동력없이 물통(210)의 물은 하측으로 낙하하여 물공급노즐(240)까지 이송될 수 있다.
물공급노즐(240)은 물공급관(230) 상에 배치되어 물공급관(230)을 통하여 이송된 물을 농지표면에 분사한다. 물공급노즐(240)은 분할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개폐벨브(220)는 물공급관(230)을 통한 물의 이동과 유량을 제어한다. 개폐벨브(220)는 물공급노즐(240)에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또는 물통(210)과 물공급관(230)의 연결부위에 배치됨으로써 그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물공급노즐(240)은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물공급노즐(240)이 씨앗필름(501)에 부착된 씨앗 부착 위치와 동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답직파 농법에서 파종 직후, 씨앗의 출아에 필요한 정도의 물이 필요하다. 그러나 수분이 과도하면 종자가 부패하여 발아력을 상실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씨앗이 파종되는 위치에 적절한 양의 물이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공급노즐(240)의 위치를 씨앗필름(501)씨앗의 부착 위치에 동기시켜서, 싸앗의 파종 위치에 적정량의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씨앗의 출아에 필요한 적정량의 물 분사 제어가 용이하며, 최소한의 물로 넓은 경작지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첨가제를 물에 혼합하여 분사할 경우에는 첨가제 사용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의 흙비산유도부(200)는, 흙비산유닛(301)과 전방비산흙막음판(310) 및 후방비산흙막음판(320)을 포함한다.
흙비산유닛(301)은 물공급관(230)의 전방에 배치되고 농지표면의 흙을 비산시킨다. 비산된 흙(11)은 전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방비산흙막음판(310)에 의해서 전방의 농기계(1)측으로 비산되지 않는다. 또한, 흙비산유닛(301)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비산흙막음판(320)에 의해서, 후방으로 비산되지 않는다.
전방비산흙막음판(310)과 후방비산흙막음판(320)은 흙비산유닛(301)에 의해 비산된 흙(11)을 상방으로 비산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비산된 흙(11)으로 인해 농기계 및 건답피복기의 기계적 손상을 최소화하고, 흙먼지 침착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후방비산흙막음판(320)의 하측 끝단에 흙평탄판(321)을 더 구비할 수있다. 흙평탄판(321)은 비산된 흙(11) 및 그 과정에서 자갈이나 돌의 파편으로부터 농지표면에 인접한 물공급노즐(240)을 보호한다. 또한, 비산되는 흙에 의해서 물공급노즐(240)의 물 분사 기능이 저하되거나 분사 방향이 변경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 재질을 사용하면 가능한 농지표면에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기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의 흙이송낙하부(400)는, 이송컨베이어벨트(420) 및 흙낙하유도부(430)을 포함한다.
흙이송낙하부(400)는 전방비산흙막음판(310) 및 후방비산흙막음판(320) 사이 상방으로 비산된 흙(11)을 후방으로 이송한다. 흙낙하유도부(430)는 이송컨베이어벨트(420)로에 의해 이송된 흙(11)이 권출된 씨앗필름(501)의 상부면에 낙하하도록 유도한다. 씨앗필름(501) 상문에 낙하한 흙(11)은 농지표면에 고정됨으로써, 파종후에 별도의 복토 작업이 불필요하다.
또한, 흙이송낙하부(400)는 동력전달부(410) 및 여흙제거판(4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420)는 농기계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송컨베이어벨트로 전달한다. 여흙제거판(421)은 이송컨베이어벨트(420)에 의해 이송되는 흙(11)의 양을 제어하거나 평탄화하여 흙낙하유도부(430)에서 횡방향으로 균일한 양의 흙이 낙하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흙낙하유도부(430)는 분할된 복수개의 깔대기 형상의 흙배출구를 횡방향으로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흙배출구는 권출되어 포설되는 씨앗필름(501) 상면중에 씨앗이 배치되는 위치에 정렬된다. 씨앗이 배치되는 위치에 복토된 흙은, 파종되는 씨앗의 출아에 필요한 습도와 온도를 유지시킨다.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의 권출포설장치는 앞롤러(600)와 뒷롤러(700)와 펼침롤러(800) 및 점적테이프거치대(900)를 포함한다.
앞롤러는 흙비산유닛(301)의 전방에 배치되어 농지표면을 평탄하게 하며, 뒷롤러는 흙낙하유도부(430) 후방에 배치되어 흙낙하유도부(430)에서 낙하한 흙으로 농지표면에 고정된 씨앗필름(501)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앞롤러(600)는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100mm 이상이다.
펼침롤러(800)는 씨앗필름(501)의 전방에 배치되어 권출되는 씨앗필름(501)에 텐션을 인가하여, 권출된 씨앗필름(501)이 늘어지지 않게 펼치며, 동시에 후술하는 점적 테이프와 씨앗필름(501)이 함께 포설되도록 한다.
점적 테이프거치대(900)는 점적관계(drip-watering)에 사용되는 관계호스로서, 소량의 물을 원하는 위치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답직파 농법에서는 식물 생율에 필요한 만큼의 물이 필요하다. 물공급(200)를 이용하여 씨앗의 출아에 필요한 물을 분사하지만, 필요한 만큼의 강우가 없을 경우에는 점적 테이프를 이용하여 물을 공급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 필름 건답피복기는, 씨앗필름(501)을 포설하는 단계에서 씨앗 파종 위치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씨앗 필름 포설 이후 필요한 관수 방법으로서 점적 관수가 가능하도록 점적 테이프를 씨앗 필름과 함께 포설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 필름 건답피복기는, 흙비산유닛(301)과 동력전달부(410)와 이송컨베이어벨트(420)와 필름거치대(500)와 앞롤러(600)와 뒷롤러(700) 및 펼침롤러(800)가 프레임(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동작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설명하는 배면 사시도이다.
물공급노즐(240)은 씨앗이 배열되는 라인의 전방에서 물을 분사함으로써, 필요한 위치에만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앞롤러(600)는 흙비산유닛(301)의 전방에서 농지표면을 고르게 평탄화 함으로써, 흙비산유닛(301)의 흙비산 기능을 균일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서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를 이용한 씨앗필름 포설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농기계(1)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씨앗필플(501)이 포설되는 농지표면을 앞롤러(600)가 평탄화한다(S1). 농지표면을 평탄화하면, 흙비산유닛(301)이 농지표면의 흙을 퍼 올려서 비산시킬때, 횡방향으로 균일하게 흙을 퍼올릴 수 있다. 또한, 씨앗 필름이 포설되는 곳의 평탄도를 개선해서, 관수시에 특정방향으로 물흐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평탄화된 농지표면에 흙비산 유닛(301)이 흙을 비산시키고, 흙비산유닛(301)이 파해친 농지표면에 물공급노즐(240)에서 물을 분사한다(S2). 특히, 흙비산유닛(301)이 파해친 농지표면은 부드러운 토양이 표면에 노출된 상태이므로, 분사된 물이 분사즉시 스며들기 용이하다.
그리고 펼침롤러(800)가 권출되는 씨앗필름(501)을 펼치며(S3), 점적테이프와 결합한다(S4). 다음으로 S2단계에서 비산된 흙은, 흙이송낙하부(400)의 흙낙하유도부(430)를 통하여, 권출되어 펼쳐진 씨앗필름 상면에 낙하한다(S5).
점적테이프와 결합하고 상면에 흙이 얹어진 상태의 씨앗필름(501)은 뒷롤라가 하면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 농기계
1. 흙
100. 프레임
200. 물공급부
210. 물통
220. 개폐벨브
230. 물공급관
240. 물공급노즐
300. 흙비산유도부
301. 흙비산유닛
310. 전방비산흙막음판
320. 후방비산흙막음판
321. 흙평탄판
400. 흙이송낙하부
410. 이송컨베이어벨트
420. 흙낙하유도부
500. 씨앗필름거치대
501. 씨앗필름.
600. 앞롤러
700. 뒷롤러
800. 펼침롤러.
900. 점적테이프거치대

Claims (4)

  1. 농기계 후단에 설치되는 건답피복기에 있어서,
    롤형태로 권취된 씨앗필름(501)이 거치되어 상기 씨앗필름(501)이 권출되는 씨앗필름거치대(500);
    농지표면의 흙을 비산시키는 흙비산유닛(301)과, 상기 흙비산유닛(301)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비산된 흙이 후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방비산흙막음판(320)을 구비하는 흙비산유도부(300); 및
    상기 후방비산흙막음판(320) 상방으로 비산된 상기 흙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벨트(420);
    물을 수용하는 물통(210)과, 상기 물을 하방으로 이송하는 물공급관(230)과, 상기 물공급관(230) 상에 배치되어 권출된 상기 씨앗필름이 포설되는 농지표면에 상기 물을 분사하는 물공급노즐(240) 및, 상기 물공급관(230)상에 배치되어 상기 물공급관(230)을 통한 상기 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개폐벨브(220)를 구비하며 상기 흙비산유도부(300)는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물공급노즐(240)은 상기 씨앗필름(501)의 씨앗의 부착위치에 대응된 위치로 복수로 나열되어 구성되는 물공급부(200);
    농지표면을 평탄하게 하는 앞롤러(600);
    상기 흙비산유닛(301)의 전방에 배치되어 비산된 상기 흙이 전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방비산흙막음판(310);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420)에 의해 이송된 상기 흙을 상기 권출된 씨앗필름(501)의 상부면에 낙하하도록 유도하며 포설되는 씨앗필름(501) 상면중에 씨앗이 배치되는 위치에 흙배출구 횡방향으로 복수로 나열배치되어 상기 씨앗필름(501)을 상기 농지표면에 고정하는 흙낙하유도부(430) 및 농기계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42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한 흙이송낙하부(400); 및
    씨앗필름(501)의 전방에 배치되어 권출되는 씨앗필름(501)에 텐션을 인가하여, 권출된 씨앗필름(501)이 늘어지지 않게 펼치며, 점적 테이프와 씨앗필름(501)이 함께 동시에 포설하는 펼침롤러(800);를 포함하여,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420)에 의해 이송된 상기 흙을 상기 권출된 씨앗필름(501)의 상부면에 낙하하도록 하고,
    점적테이프거치대(900)를 구비하여, 롤형태로 권취된 점적 테이프를 거치하고, 상기 씨앗필름(501)이 권출될 때, 상기 점적 테이프도 함께 권출되어 씨앗 필름(501) 하면에 함께 포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필름 건답피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비산흙막음판(320)의 하측 끝단에 흙평탄판(3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필름 건답피복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앞롤러(600)은 상기 흙비산유닛(301)의 전방에 배치되어 농지표면을 평탄하게 하고,
    상기 흙낙하유도부(430)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흙낙하유도부(430)에서 낙하한 상기 흙으로 상기 농지표면에 고정된 상기 씨앗필름(501)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뒷롤러(70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필름 건답피복기.

  4. 삭제
KR1020170133948A 2017-10-16 2017-10-16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 KR101965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948A KR101965504B1 (ko) 2017-10-16 2017-10-16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
PCT/KR2018/007015 WO2019078445A1 (ko) 2017-10-16 2018-06-21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948A KR101965504B1 (ko) 2017-10-16 2017-10-16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504B1 true KR101965504B1 (ko) 2019-04-03

Family

ID=66165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948A KR101965504B1 (ko) 2017-10-16 2017-10-16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5504B1 (ko)
WO (1) WO20190784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62788A (zh) * 2021-09-29 2022-11-22 黑龙江绿迹现代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粘种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15371B (zh) * 2019-11-07 2021-08-03 云南归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生态循环农业种植系统
CN113099793A (zh) * 2021-04-13 2021-07-13 山东农业大学 一种覆土铺管大姜播种机及使用方法
CN114830877B (zh) * 2022-05-19 2023-04-07 塔里木大学 一种可自动切断埋压滴灌带和地膜的新型棉花播种机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586A (ja) * 1991-07-26 1993-02-09 Furukawa Alum Co Ltd 鋼板の抵抗溶接法
JPH0531586U (ja) * 1991-10-07 1993-04-27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マルチ土壌消毒作業機
JPH07115805A (ja) * 1993-10-22 1995-05-09 Iseki & Co Ltd 播種シート敷設装置
KR20120045311A (ko) * 2010-10-29 2012-05-09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박 및 박과류 채소 모종 식재용 밭만들기 복합기
KR101227810B1 (ko) 2012-05-18 2013-01-29 권옥 블로킹 방지 기능을 갖는 생분해 멀칭필름에 씨앗 부착 자동화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씨앗 부착방법
KR101254462B1 (ko) 2012-05-18 2013-04-12 권옥 씨앗필름 포설장치 및 그 포설장치를 이용한 씨앗필름 포설방법
KR101442965B1 (ko) 2013-03-15 2014-09-22 권옥 자동화 기능을 갖는 씨앗필름 포설장치 및 그 포설장치를 이용한 씨앗필름 포설방법
KR101609202B1 (ko) * 2015-01-06 2016-04-06 농업회사법인 (주) 바이오필드 건답용 피복 직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481A (ko) * 2014-09-16 2016-03-24 그린앤씨(주) 개량된 씨앗필름 포설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586A (ja) * 1991-07-26 1993-02-09 Furukawa Alum Co Ltd 鋼板の抵抗溶接法
JPH0531586U (ja) * 1991-10-07 1993-04-27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マルチ土壌消毒作業機
JPH07115805A (ja) * 1993-10-22 1995-05-09 Iseki & Co Ltd 播種シート敷設装置
KR20120045311A (ko) * 2010-10-29 2012-05-09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박 및 박과류 채소 모종 식재용 밭만들기 복합기
KR101227810B1 (ko) 2012-05-18 2013-01-29 권옥 블로킹 방지 기능을 갖는 생분해 멀칭필름에 씨앗 부착 자동화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씨앗 부착방법
KR101254462B1 (ko) 2012-05-18 2013-04-12 권옥 씨앗필름 포설장치 및 그 포설장치를 이용한 씨앗필름 포설방법
KR101442965B1 (ko) 2013-03-15 2014-09-22 권옥 자동화 기능을 갖는 씨앗필름 포설장치 및 그 포설장치를 이용한 씨앗필름 포설방법
KR101609202B1 (ko) * 2015-01-06 2016-04-06 농업회사법인 (주) 바이오필드 건답용 피복 직파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62788A (zh) * 2021-09-29 2022-11-22 黑龙江绿迹现代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粘种器
CN115362788B (zh) * 2021-09-29 2024-04-19 黑龙江绿迹现代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粘种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78445A1 (ko)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504B1 (ko) 관수설비를 구비한 씨앗필름 건답피복기
KR101875618B1 (ko) 볏짚분말 살포, 액비 분사 및 멀칭필름 피복 다기능 직파장치
KR101963194B1 (ko) 조파식 마늘 파종기
KR101442965B1 (ko) 자동화 기능을 갖는 씨앗필름 포설장치 및 그 포설장치를 이용한 씨앗필름 포설방법
US10292325B2 (en) Apparatus for planting and treating seedlings of an agricultural plant
JP2010213584A (ja) 施肥できる農作業機
KR101570744B1 (ko) 흙비산부를 갖는 씨앗필름 포설장치 및 그 포설장치를 이용한 씨앗필름 포설방법
KR101438467B1 (ko) 개량된 볍씨필름 전용 피복기
US4066490A (en) Method for producing a lawn nursery strip
US11963484B2 (en) Covering soil mulching apparatus having soil clogging prevention function
US20150230395A1 (en) Biodegrading mulching film seed attachment automating device having cutting open and adhesive coating means, and seed attachment method using said device
CN110892849B (zh) 艾草种植方法
KR102146153B1 (ko) 씨앗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18139516A (ja) 育苗方法
KR102095964B1 (ko) 씨앗필름 피복장치
KR102117835B1 (ko) 멀칭필름에 씨앗의 성장영역 형성이 가능한 멀칭기
CA1097148A (en) Tractor-drawn seeding apparatus
CN105453763B (zh) 玉米多功能一体机
CN108496784A (zh) 一种设施蔬菜栽培装置及栽培方法
CN205510783U (zh) 玉米多功能一体机
KR101674911B1 (ko) 잡초 발생 방지용 씨드 네트
KR101958765B1 (ko) 파종기
JP5866928B2 (ja) 施用部材
CN105453776A (zh) 马铃薯多功能一体机
JP3586677B2 (ja) 畝立て局所散布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