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050B1 - 폴링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폴링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050B1
KR101964050B1 KR1020170111074A KR20170111074A KR101964050B1 KR 101964050 B1 KR101964050 B1 KR 101964050B1 KR 1020170111074 A KR1020170111074 A KR 1020170111074A KR 20170111074 A KR20170111074 A KR 20170111074A KR 101964050 B1 KR101964050 B1 KR 101964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ling
response
period
polling period
network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264A (ko
Inventor
배민경
김선호
Original Assignee
아토리서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토리서치(주) filed Critical 아토리서치(주)
Priority to KR1020170111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050B1/ko
Publication of KR20190024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04L41/142Network analysis or design using statistical or mathematical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2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링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하는 제어 장치의 폴링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폴링 주기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응답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상기 응답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응답 요청 신호, 상기 응답 신호 및 기 저장된 폴링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제1 폴링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폴링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폴링 주기의 적정성을 검정하는 단계, 상기 검정 결과 상기 폴링 주기가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폴링 주기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응답 시간을 반영하여 자동으로 폴링 주기를 변경할 수 있어 네트워크 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실시간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링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POLLING}
본 발명은 폴링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폴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폴링 주기를 제어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폴링(Polling)은 한 프로그램이나 장치에서 다른 프로그램이나 장치들이 어떤 상태에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체크하는 전송제어 방식으로, 그들이 아직도 접속되어 있는지, 데이터 전송을 원하는지 등을 확인하는 중앙 제어기의 순차적 또는 주기적 점검을 의미한다.
네트워크 통신에 있어서, 폴링 주기는 네트워크 상태를 고려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만약 네트워크가 원활한 상태를 기준으로 폴링 주기를 설정할 경우 네트워크가 원활하지 않을 시 네트워크 응답이 폴링 주기보다 길어져 네트워크 통신이 중첩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 폴링 주기가 너무 긴 경우, 다음 점검까지 대기시간이 너무 길어지게 되므로, 실시간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적절한 폴링 주기 설정은 네트워크 모니터링 및 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모니터링 대상의 상태를 고려하여 폴링 주기를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기술로는 일본공개공보 1997-238153(1997.09.09. 공개)와 같이 감시 데이터의 수치에 의해 긴급도를 다르게 설정하고, 긴급도의 단계에 대응하여 폴링 주기를 설정하는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다만 이러한 방법은 데이터 수치가 일시적으로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 폴링 주기가 급격히 변경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비의 일반적인 상태가 반영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응답 시간을 반영하여 자동으로 폴링 주기를 변경할 수 있는 폴링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누적된 응답 시간과 함께,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에 따른 실시간 응답 시간을 모두 반영하여 폴링 주기를 재설정 또는 유지함으로써, 네트워크 환경의 일반적 특성 및 특수한 이벤트를 모두 고려한 폴링 주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하는 제어 장치의 폴링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폴링 주기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응답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상기 응답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응답 요청 신호, 상기 응답 신호 및 기 저장된 폴링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제1 폴링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폴링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폴링 주기의 적정성을 검정하는 단계, 상기 검정 결과 상기 폴링 주기가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폴링 주기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하는 폴링 제어 장치에 있어서, 기 설정된 폴링 주기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응답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상기 응답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응답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폴링 주기의 적정성을 검정하는 제어부, 상기 응답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폴링 통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답 요청 신호 및 상기 응답 신호를 이용하여 제1 폴링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통계부, 상기 제1 폴링 통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폴링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폴링 주기의 적정성을 검정하는 검정부, 상기 검정 결과 상기 폴링 주기가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폴링 주기를 재설정하는 주기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응답 시간을 반영하여 자동으로 폴링 주기를 변경할 수 있어 네트워크 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실시간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적된 응답 시간과 함께,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에 따른 실시간 응답 시간을 모두 반영하여 폴링 주기를 재설정 또는 유지함으로써, 네트워크 환경의 일반적 특성 및 특수한 이벤트를 모두 고려한 폴링 주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폴링 제어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폴링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폴링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폴링 주기의 적정성 검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되며,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모든 조합은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식으로 규정하지 않는 한, 단수에 대한 언급은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단수 표현에 대한 언급은 또한 복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폴링 제어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폴링 제어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장비(50)를 모니터링, 관리 및 제어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etwork Management System)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일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폴링 제어 장치(100)가 모니터링 및 관리하는 네트워크는 물리 네트워크와 가상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며, 가상 네트워크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oftware Defined Network)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폴링 제어 장치(100)가 관리하는 네트워크 장비는 이동 통신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게이트웨이 장비, 라우터, 스위치 등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종류의 장비를 포함하며, 서버/클라이언트, 스토리지와 같은 네트워크 자원을 포함한다.
동일 회선을 공유하는 멀티드롭 또는 멀티 포인트 통신에서 폴링 제어 장치(100)는 네트워크 장비(50A, 50B, 50C, …)가 전송 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순차적 또는 주기적으로 각 네트워크 장비(50)에 응답 요청 신호(request)를 전송하고, 네트워크 장비(50)로부터 응답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response)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폴링 제어 장치(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30), 저장부(1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통계부(133), 검정부(135), 주기 설정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네트워크 장비(50)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 기 설정된 폴링 주기에 따라 네트워크 장비에 응답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응답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폴링 주기는 폴링 제어 장치(100)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 장비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임의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하여 폴링 주기가 20,000ms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여 폴링 주기를 제어하는 일 실시 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제어부(130)는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응답 신호를 이용하여 폴링 주기의 적정성을 검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계부(133)는 상기 응답 요청 신호, 상기 응답 신호 및 기 저장된 폴링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제1 폴링 통계 정보를 생성한다. 폴링 통계 정보는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요청-응답 시간의 평균, 표준 편차, 검정통계량, 및 기 설정된 유의수준과 자유도에 대응되는 기각역을 포함한다. 요청-응답 시간은 응답 요청 신호를 전송한 시각과 응답 신호를 수신한 시각의 차이를 의미한다. 기 설정된 폴링 주기에 따라 응답 요청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더라도,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서 응답 신호의 수신 시각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 표 1과 같이 요청-응답 시간이 측정되었다고 가정하자.
응답 순서 요청-응답 시간
1 13253ms
2 18235ms
3 10206ms
4 13144ms
5 18708ms
6 15001ms
7 8709ms
8 29616ms
9 30614ms
10 24623ms
11 18209ms
12 13264ms
13 13163ms
14 19417ms
15 15065ms
16 13444ms
17 18715ms
통계부(133)는 각 응답 신호가 수신될 때 마다, 요청-응답 시간의 평균, 표준 편차, 검정통계량, 기각역을 포함하는 폴링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표준편차는 요청-응답 시간의 분산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평균과 편차를 제곱하여 산술 평균한 값의 제곱근이다. 표준 편차가 작으면 평균 주위의 분산 정도가 작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검정통계량은 통계적 가설을 검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표본 통계량으로, 표본평균, 표본분산, t값, z값, F 값을 포함한다. 기각역(Rejection Region)은 모집단의 통계적 특성 모형을 채택, 기각할지를 판단하는 검정(testing)(검정의 대상으로 삼는 가설(귀무가설, Null Hypothesis)의 진위를 일부 표본을 추출하여 얻은 표본 통계량(검정통계량)에 입각하여 검정하는 통계적 추론)에 있어서 검정 판단의 기준이 되는 영역이다. 즉, 검정통계량이 유의수준 이하의 확률로 일어나서 귀무가설을 기각시킬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기 설정된 폴링 주기가 귀무가설이므로, 기각역은 기 설정된 폴링 주기의 적정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이해될 수 있다.
통계부(133)는 응답 신호의 수신 시각과 응답 요청 신호의 전송 시각의 차이를 이용하여 요청-응답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요청-응답 시간과 기 저장된 요청-응답 시간을 이용하여 요청-응답 시간의 평균, 표준 편차, 검정통계량, 및 기 설정된 유의수준과 자유도에 대응되는 기각역을 산출함으로써, 폴링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초기 응답 신호 수집 단계에서는 표본의 수가 많지 않아 신뢰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예측 범위가 넓은 t-분포를 사용할 수 있다. 표본의 수가 많아지면 t-분포가 정규분포에 근접하게 되므로, 통계부(133)는 기 설정된 개수 이상으로 응답 신호가 수집되면 그때부터는 정규 분포를 사용하여 폴링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초기 응답 신호 수집 단계에서 통계부(133)는 검정통계량으로 t 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검정부(135)는 t 분포를 따르는 통계량을 이용하여 t 검정을 수행할 수 있다.
유의수준은 미리 설정되는 값으로, 폴링 제어 장치(100)는 유의수준의 초기값을 설정할 수 있으며, 유의수준은 사용자에 의해 언제든지 설정 및 변경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유의수준을 하위 10%로 설정한 경우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표 1의 예시에서 첫 번째 응답 신호 수신시에는 폴링 통계 정보를 산출하기 어려우므로, 통계부(133)는 두 번째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부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폴링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응답 순서 요청-응답 시간 평균 표준 편차 주기 t값 t분포표값 새로운 주기
1 13253ms
2 18235ms 15744ms 3522.806 20000ms -1.70855 -6.314
표 2를 참조하면, 두 번째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통계부(133)는 요청-응답 시간의 평균(15744ms), 표준편차(3522.806), t값 -1.70855을 구할 수 있다. t값(검정통계량)은 다음 수식을 통해 산출될 수 있으며, t분포표값은 표 3을 이용하여 유의수준과 자유도에 대응되는 값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17084670760-pat00001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17084670760-pat00002
는 표본 평균,
Figure 112017084670760-pat00003
는 모평균,
Figure 112017084670760-pat00004
는 표본 표준편차
Figure 112017084670760-pat00005
은 표본의 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검정부(135)는 t값이 기각역을 벗어나면, 가설이되는 폴링 주기가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Figure 112017084670760-pat00006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유의수준(
Figure 112017084670760-pat00007
)은 10%로 설정하였는바, 양측 검정(two-tailed test)의 경우 유의수준을 2로 나눈 값이
Figure 112017084670760-pat00008
가 되므로,
Figure 112017084670760-pat00009
=0.05이다. 표 3에서 v는 자유도를 의미하는데, 자유도는 표본의 수에서 1을 뺀 값이므로, 표본이 2개인 위 실시 예에서 v=1이다.
따라서
Figure 112017084670760-pat00010
=0.05, v=1인 경우의 t분포표값은 6.314이므로, 기각역은
Figure 112017084670760-pat00011
6.314인 것으로 확인된다.
위 실시 예에서 수집된 응답 신호가 2개뿐이므로, 폴링 통계 정보의 생성은 첫 번째 응답 신호와 두 번째 응답 신호만을 이용하여 이루어졌으나, 수신되는 응답 신호의 숫자가 늘어나면 수신될 때마다 생성되는 폴링 통계 정보는 저장부(150)에 저장되며, 이렇게 저장된 폴링 통계 정보는 새로운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새로운 폴링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표본(응답 신호)의 개수 및 각 요청-응답 시간의 값은 새로운 평균, 표준편차, 검정통계량, 기각역 산출에 모두 사용되기 때문이다.
검정부(135)는 제1 폴링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폴링 주기의 적정성을 검정한다. 먼저, 검정부(135)는 검정통계량이 음수인지 양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위 예시에서, t값은 -1.70855이므로 양수가 아니다. t값이 음수라는 것은 기 설정된 폴링 주기가 실제로 수집된 요청-응답 시간의 값들에 비해 길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 검정부(135)는 그 수준이 적정 범위 내인지, 적정 범위를 벗어날 정도로 긴 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검정부(135)는 검정통계량이 양수이면 폴링 주기가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폴링 주기가 짧게 설정되면 네트워크에 불필요한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위 판단 결과 검정통계량이 음수이면 검정부(135)는 검정통계량이 기각역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현재 폴링 주기가 적정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검정통계량이 기각역보다 작다는 것은 적정 수준을 판단하는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검정부(135)는 폴링 주기를 재설정(교체)한다. 만약, 검정부(135)의 확인 결과 검정통계량이 기각역보다 크면, 현재의 폴링 주기가 적정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검정부(135)는 폴링 주기가 적정하다고 판단한다.
주기 설정부(137)는 검정부(135)에서 폴링 주기가 적정하지 않다는 검정 결과를 도출하면 폴링 주기를 재설정한다. 주기 설정부(137)는 제1 폴링 통계 정보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기각역을 이용하여 모평균을 계산하고, 모평균을 새로운 폴링 주기로 설정할 수 있다.
표 4는 폴링 주기의 재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이다.
응답 순서 요청-응답 시간 평균 표준 편차 주기 t값 t분포표값 새로운 주기
1 13253ms
2 18235ms 15744ms 3522.806 20000ms -1.7085507 -6.314
3 10206ms 13898ms 4053.175 20000ms -2.6075788 -2.92
4 13144ms 13709ms 3330.807 20000ms -3.7771616 -2.353 17628ms
표 4를 참조하면, 네 번째 응답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통계부(133)는 폴링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누적된 데이터(폴링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부(133)는 네 번째 요청-응답 시간을 반영한 평균, 표준편차, t값 및 t분포표값을 산출한다. 산출된 ㅅ값은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7771616으로 음수이며, 따라서 검정부(135)는 t값과 t분포표값을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t 분포표값보다 t값이 작으므로, 검정부(135)는 현재의 폴링 주기(20,000ms)는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주기 설정부(137)는 이에 따라 폴링 주기를 재설정할 수 있는데, 먼저, 수학식 2를 이용하여 모평균을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7084670760-pat00012
수학식 2는 기각역을 이용하여 모평균을 계산하는 식으로, 수학식 2의 t에는 t값이 아닌 t분포표값(기각역)을 대입한다. 이를 계산하면 모평균
Figure 112017084670760-pat00013
가 계산되며, 따라서, 주기 설정부(137)는 폴링 주기를 17627ms로 재설정 할 수 있다.
표 5는 t값이 양수인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이다.
응답 순서 요청-응답 시간 평균 표준 편차 주기 t값 t분포표값 새로운 주기
1 13253ms
2 18235ms 15744ms 3522.806 20000ms -1.7085507 -6.314
3 10206ms 13898ms 4053.175 20000ms -2.6075788 -2.92
4 13144ms 13709.5ms 3330.807 20000ms -3.7771616 -2.353 17628ms
5 18708ms 17628ms
6 15001ms 16854.5ms 2621.244 17628ms -0.4173185 -6.314
7 8709ms 14139.3ms 5054.884 17628ms -1.195388 -2.92
8 29616ms 18008.5ms 8770.197 17628ms 0.0867711 -2.353 28443ms
표 5를 참조하면, 8번째 응답 신호 수신 시, t값은 양수로 나타난다. 전술한 바와 같이 t값이 양수이면 폴링 주기가 실제 네트워크 환경에 따른 요청-응답 시간 대비 짧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폴링 주기를 재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수학식 2에서 t에 t분포표 값인 -2.353을 대입하여 새로운 폴링 주기를 연산하면, 새로운 폴링 주기는 28443ms로 도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폴링 제어 장치의 주기 재설정에 의하면, 표 1의 사례는 표 6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응답 순서 요청-응답 시간 평균 표준 편차 주기 t값 t분포표값 새로운 주기
1 13253ms
2 18235ms 15744ms 3522.806 20000ms -1.7085507 -6.314
3 10206ms 13898ms 4053.175 20000ms -2.6075788 -2.92
4 13144ms 13709.5ms 3330.807 20000ms -3.7771616 -2.353 17628ms
5 18708ms 17628ms
6 15001ms 16854.5ms 2621.244 17628ms -0.4173185 -6.314
7 8709ms 14139.3ms 5054.884 17628ms -1.195388 -2.92
8 29616ms 18008.5ms 8770.197 17628ms 0.0867711 -2.353 28443ms
9 30614ms 28443ms
10 24623ms 27618.5ms 4236.276 28443ms -0.2361876 -6.314
11 18209ms 24482ms 6203.701 28443ms -1.0732309 -2.92
12 13264ms 21677.5ms 7557.655 28443ms -1.759408 -2.353
13 13163ms 19974.6ms 7572.183 28443ms -2.466170 -2.132 27194ms
14 19417ms 27194ms
15 15065ms 17241ms 3077.328 27194ms -4.57398 -6.314
16 13444ms 15975.3ms 3088.88 27194ms -6.29088 -2.92 21182ms
17 18715ms 21182ms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 1과 같이 요청-응답 시간이 측정된 경우, 총 네 번의 주기 재설정이 일어나고, 새롭게 설정되는 주기는 위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시간 네트워크 상황이 폴링 주기에 적정 수준으로 반영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특수한 상황에서 요청-응답시간이 크게 짧아지거나(7), 길어지는 경우라도(9) 해당 상황이 그대로 폴링 주기에 반영되는 것이 아니라, 누적된 요청-응답 시간이 전체적으로 폴링 주기 설정에 고려되는 바, 폴링 제어에 있어서 최적의 폴링 주기를 적용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응답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폴링 통계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폴링 통계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이전에 측정되었던 요청-응답 시간이 모두 활용되는 바, 저장부(150)는 이러한 데이터들을 저장해두었다가 제어부(130)가 폴링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폴링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링 제어 방법에 의하면, 먼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하는 제어 장치가 기 설정된 폴링 주기에 따라 네트워크 장비에 응답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S100),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응답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S200), 응답 요청 신호, 응답 신호 및 기 저장된 폴링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제1 폴링 통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300). 여기서 폴링 통계 정보는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요청-응답 시간의 평균, 표준 편차, 검정통계량, 및 기 설정된 유의수준과 자유도에 대응되는 기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 300에서 제어 장치는 응답 신호의 수신 시각과 응답 요청 신호의 전송 시각의 차이를 이용하여 요청-응답 시간을 산출하고, 요청-응답 시간과 기 저장된 요청-응답 시간을 이용하여 요청-응답 시간의 평균, 표준 편차, 검정통계량, 및 기 설정된 유의수준과 자유도에 대응되는 기각역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는 제1 폴링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폴링 주기의 적정성을 검정할 수 있으며(S400), 폴링 주기의 적정성을 판단하여(S500),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폴링 주기를 재설정하고(S600), 적정한 것으로 판단되면 폴링 주기를 원래의 설정대로 유지할 수 있다. 단계 600에서 제어 장치는 제1 폴링 통계 정보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기각역을 이용하여 모평균을 계산하고, 계산된 모평균을 새로운 폴링 주기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단계 4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단계400에서 제어 장치는 검정통계량이 음수인지 양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410), 음수이면 검정통계량이 기각역보다 작은지 판단하고(S430), 검정통계량이 양수이면 폴링 주기가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폴링 주기를 재설정할 수 있다(S600).
만약 단계 410에서의 판단 결과 검정통계량이 기각역보다 작으면 폴링 주기가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폴링 주기를 재설정하고(S600), 검정 통계량이 기각역보다 크면 폴링 주기가 적정한 것으로 판단하여 폴링 주기를 유지할 수 있다(S650).
전술한 폴링 제어 방법은 각 실시 예 중 어느 하나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폴링 제어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생략된 일부 실시 예는 그 실시 주체가 유사한 경우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50: 네트워크 장비
100: 폴링제어장치

Claims (9)

  1.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하는 제어 장치의 폴링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폴링 주기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응답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상기 응답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 시각과 상기 응답 요청 신호의 전송 시각의 차이를 이용하여 요청-응답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요청-응답 시간을 이용하여 요청-응답 시간의 평균, 표준 편차, 검정통계량, 및 기 설정된 유의수준과 자유도에 대응되는 기각역을 포함하는 기 저장된 폴링 통계 정보를 산출하여 제1 폴링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폴링 통계 정보의 상기 검정통계량이 음수이고 상기 기각역보다 크면 상기 폴링 주기가 적정하다고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적정하지 않다고 판단함으로써 상기 폴링 주기의 적정성을 검정하는 단계;
    상기 검정 결과 상기 폴링 주기가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폴링 주기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링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링 통계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요청-응답 시간의 평균, 표준 편차, 검정통계량, 및 기 설정된 유의수준과 자유도에 대응되는 기각역을 포함하는 폴링 제어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링 주기의 적정성 검정 단계는
    상기 검정통계량이 음수이면 상기 검정통계량이 상기 기각역보다 작은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검정통계량이 상기 기각역보다 작으면 상기 폴링 주기가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링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링 주기의 적정성 검정 단계는
    상기 검정통계량이 양수이면, 상기 폴링 주기가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링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링 주기를 재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폴링 통계 정보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기각역을 이용하여 모평균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모평균을 새로운 폴링 주기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링 제어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수신한 응답 신호의 개수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검정통계량 및 상기 기각역은 t 분포에 의해 산출되며, 상기 응답 신호의 개수가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검정통계량 및 상기 기각역은 정규 분포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링 제어 방법.
  8.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하는 폴링 제어 장치에 있어서,
    기 설정된 폴링 주기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응답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상기 응답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응답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폴링 주기의 적정성을 검정하는 제어부;
    상기 응답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폴링 통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 시각과 상기 응답 요청 신호의 전송 시각의 차이를 이용하여 요청-응답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요청-응답 시간을 이용하여 요청-응답 시간의 평균, 표준 편차, 검정통계량, 및 기 설정된 유의수준과 자유도에 대응되는 기각역을 포함하는 기 저장된 폴링 통계 정보를 산출하여 제1 폴링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통계부;
    상기 제1 폴링 통계 정보의 상기 검정통계량이 음수이고 상기 기각역보다 크면 상기 폴링 주기가 적정하다고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적정하지 않다고 판단함으로써 상기 폴링 주기의 적정성을 검정하는 검정부;
    상기 검정 결과 상기 폴링 주기가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폴링 주기를 재설정하는 주기 설정부를 포함하는 폴링 제어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7 항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폴링 제어 응용 프로그램.



KR1020170111074A 2017-08-31 2017-08-31 폴링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64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074A KR101964050B1 (ko) 2017-08-31 2017-08-31 폴링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074A KR101964050B1 (ko) 2017-08-31 2017-08-31 폴링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264A KR20190024264A (ko) 2019-03-08
KR101964050B1 true KR101964050B1 (ko) 2019-04-01

Family

ID=65801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074A KR101964050B1 (ko) 2017-08-31 2017-08-31 폴링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0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81906A1 (en) * 2010-11-22 2015-03-19 Seven Networks, Inc. Optimization of resource polling intervals to satisfy mobile device request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9743B1 (ko) * 1998-05-02 2001-02-01 정선종 검정통계량을 이용한 화소값 변화 검출방법
KR20050080947A (ko) * 2004-02-11 2005-08-18 주식회사 마이엔진 웹 인스턴트 메신저 시스템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81906A1 (en) * 2010-11-22 2015-03-19 Seven Networks, Inc. Optimization of resource polling intervals to satisfy mobile device reques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264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22264B (zh) 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US8331237B2 (en) Supervisory control method and supervisory control device
CN109818863B (zh) 链路优先级设置方法及装置
CN112073991B (zh) 一种接入网的业务处理方法及设备
CN109474463B (zh) IoT边缘设备信任评估方法、装置、系统及代理服务器
EP3133878A1 (en) Power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CN109920192A (zh) 火灾报警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499818B1 (en) Method and device for load processing
KR20170012540A (ko) 사용자 서비스 품질 기반 실시간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8069236B2 (en) Flow control of events based on threshold, grace period, and event signature
CN109617750A (zh) 一种服务预警方法及网关
WO2020093502A1 (zh) 一种调整额定带宽的方法和装置
KR101964050B1 (ko) 폴링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8029871A1 (ja) 電力需要制御システム、電力需要制御方法、アグリゲータシステム、需要家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450180B1 (ko) 홈 기지국의 출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8632104B (zh) 一种网络质量评估工具的指标权重验证方法及装置
KR101639929B1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20190048191A (ko) 빌딩 통합제어 및 3d 구현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WO2021056435A1 (zh) 用于异常检测的方法和装置
CN115299100A (zh) 基于ng-ran的主动性能计算
KR101389646B1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CN105337979B (zh) 确定重鉴权时间间隔的方法和系统、重鉴权的方法和系统
CN112702751A (zh) 无线通信模型的训练和升级方法、网络设备及存储介质
CN104717034A (zh) 通信控制装置
CN110324881A (zh) 基于物联网的安全防护信息传输方法、安全防护系统及计算机可读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