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679B1 -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679B1
KR101963679B1 KR1020170090265A KR20170090265A KR101963679B1 KR 101963679 B1 KR101963679 B1 KR 101963679B1 KR 1020170090265 A KR1020170090265 A KR 1020170090265A KR 20170090265 A KR20170090265 A KR 20170090265A KR 101963679 B1 KR101963679 B1 KR 101963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all session
virtual number
terminal
session d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9017A (ko
Inventor
전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네이
Priority to KR1020170090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679B1/ko
Publication of KR20190009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86In-session procedures session scope mod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방법은, 웹 상에서 사용자 단말과 일 가맹점 단말의 호 연결을 위해서, 가맹점 단말의 대표 번호를 대신하여 제공됨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가맹점 단말에 대한 호 연결 요청 시 가맹점 단말의 대표 번호와 매칭되어,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선택 입력 시 매칭된 대표 번호로 호 연결을 수행하는 가상 번호를 가맹점 단말마다 호 세션 지속 시간 동안 부여하는 가상 번호 부여 단계; 가상 번호가 부여된 시점으로부터 사용자 단말 및 가맹점 단말이 호 연결된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지연 시간 측정 단계; 및 지연 시간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지연 시간을 데이터베이스에 호 데이터로 저장하고, 기 저장된 호 데이터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하는 호 세션 갱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거래시장에서 고가로 거래되며, 수량이 제한된 가상 번호의 사용 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UPDATING CALL SESSION DURATION OF VIRTUAL NUMBER}
본 발명은 가상 번호의 호 세션 갱신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웹 상에서 사용자 단말과 일 가맹점 단말의 호 연결을 위해서 가맹점 단말의 대표 번호를 대신하여 제공되는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갱신하는 기술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거의 대부분의 가정 및 가맹점 단말에서 유선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또한 대부분의 개인이 이동전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통신 서비스 보편화는 여러 가지 이점이 있는 반면, 전화 번호 노출에 따른 크고 작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배달이 가능한 음식점의 경우, 주문을 접수하기 위하여 음식점의 전화 번호를 노출할 수 밖에 없는데, 이와 같이 노출된 전화번호를 통한 스팸성 전화 또는 장난 전화 및 매일 발신자 등으로 오용되어 사회적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최근 개인의 프라이버시 등의 이유에 따라서 가상 번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 번호 서비스가 등장하였다. 가상 번호 서비스는 통상적으로 자신의 실제 전화번호를 노출하기 꺼려하는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자신의 가상 전화 번호를 알려주고 상대방이 가상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전화를 시도하면 가상 전화번호와 대응하는 실제 전화번호로 호를 연결시켜주는 서비스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841037호(이하 인용발명이라 칭함)에서는 하나의 휴대 단말에 기본적으로 등록된 고정 번호와 가상 번호를 추가적으로 부여하여 하나의 휴대 단말에 2개 이상의 다중 전화번호의 지원이 가능한 다중번호 휴대폰의 멀티 유저 인터페이스 지원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인용발명은 복수개의 휴대 단말을 휴대하지 않기 때문에 휴대 단말 구입 비용 및 유지 비용은 절감할 수 있으나, 시장에서 하나의 가상 번호가 고가로 거래되어 복수의 가상 번호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이 증가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사용 가능한 가상 번호의 수량이 제한되어 있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상술한 인용발명은 가상 번호의 효율적인 사용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은 가상 번호의 호 세션 갱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웹 상에서 사용자 단말과 일 가맹점 단말의 호 연결을 위해서 가맹점 단말의 대표 번호를 대신하여 제공되는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갱신함으로써 가상 번호의 사용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에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 번호를 제공함으로써 가상 번호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타인에게 자신의 전화 번호 대신에 기 설정된 호 세션 시간을 갖는 가상 번호로 호 연결을 수행함으로써 개인 정보 노출 없이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방법은, 웹 상에서 사용자 단말과 일 가맹점 단말의 호 연결을 위해서, 가맹점 단말의 대표 번호를 대신하여 제공됨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가맹점 단말에 대한 호 연결 요청 시 가맹점 단말의 대표 번호와 매칭되어,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선택 입력 시 매칭된 대표 번호로 호 연결을 수행하는 가상 번호를 가맹점 단말마다 호 세션 지속 시간 동안 부여하는 가상 번호 부여 단계; 가상 번호가 부여된 시점으로부터 사용자 단말 및 가맹점 단말이 호 연결된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지연 시간 측정 단계; 및 지연 시간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지연 시간을 데이터베이스에 호 데이터로 저장하고, 기 저장된 호 데이터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하는 호 세션 갱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하는 호 세션 갱신 장치는, 웹 상에서 사용자 단말과 일 가맹점 단말의 호 연결을 위해서, 가맹점 단말의 대표 번호를 대신하여 제공됨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가맹점 단말에 대한 호 연결 요청 시 가맹점 단말의 대표 번호와 매칭되어,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선택 입력 시 매칭된 대표 번호로 호 연결을 수행하는 가상 번호를 가맹점 단말마다 호 세션 지속 시간 동안 부여하는 가상 번호 부여부; 가상 번호가 부여된 시점으로부터 사용자 단말 및 가맹점 단말이 호 연결된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지연 시간 측정부; 및 지연 시간 측정부에서 측정된 지연 시간을 데이터베이스에 호 데이터로 저장하고, 기 저장된 호 데이터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하는 호 세션 갱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웹 상에서 사용자의 단말과 일 가맹점 단말의 호 연결을 위한 가상 번호가 부여된 시점으로부터 사용자 단말 및 가맹점 단말이 호 연결된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여 가맹점 단말의 타입을 분류하고, 상술한 측정 시간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함으로써 가상 번호 거래 시장에서 고가로 거래되며, 수량이 제한된 가상 번호 사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가맹점 단말의 기본 전화번호인 대표 번호가 노출되지 않으며, 가맹점 단말의 단말 자체에 투 넘버 기능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다수의 가상 전화번호를 이용한 호 처리 기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가상 번호 서비스를 이용함에 따라서, 복수의 전화 번호를 이용 시 복수의 휴대 단말을 구입, 휴대, 관리하지 않고도 단 1대의 휴대 단말로 대체할 수 있게 되어 구입 및 관리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장치의 기능 수행을 나타낸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가상 번호가 부여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호 세션 지속 시간의 갱신 전/후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가맹점 단말의 초기 호 데이터가 미 존재 시 데이터베이스에 분류 저장된 호 데이터의 대표 값을 나타낸 실시 예.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웹 상에서 사용자의 단말과 일 가맹점 단말의 호 연결을 위한 가상 번호가 부여된 시점으로부터 사용자 단말 및 가맹점 단말이 호 연결된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여 가맹점 단말의 타입을 분류하고, 상술한 측정 시간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가상 번호의 지속 시간을 갱신함으로써 가상 번호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웹 상에서 사용자 단말과 일 가맹점 단말의 호 연결을 위해서, 가맹점 단말의 대표 번호를 대신하여 제공됨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가맹점 단말에 대한 호 연결 요청 시, 가맹점 단말의 대표 번호와 매칭되어,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선택 입력이 있을 경우, 매칭된 대표 번호로 호 연결을 수행하는 가상 번호를 가맹점 단말 마다 호 세션 지속 시간 동안 부여하는 가상 번호 부여단계(S10)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S10 단계에서, 가맹점 단말의 대표 번호와 매칭되는 가상 번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즉, 가상 번호 서비스를 이용하는 일 가맹점 단말은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갖는 가상 번호가 매칭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사용자 단말은 적어도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 연결 되어 웹 페이지 등이 설치 및 출력될 수 있고 입력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을 위한 모든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모든 단말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의 가맹점 단말에 대한 호 연결 요청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하이퍼링크를 선택 입력함으로써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상에서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 중 사용자가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선택 입력 시, 상술한 콘텐츠에 삽입된 하이퍼링크에 의하여 기 설정된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갖는 가상 번호와 연결된 가맹점 단말 대표 번호로의 호 연결 요청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한편, 상술한 가맹점 단말은 발신자에게 수신자의 전화 번호를 공개하지 않으면서도 일정 시간만 사용 가능한 일회성의 전화번호를 제공하는 가상 번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계약을 체결한 음식점, 피트니스 센터, 여행업 및 미용업 등 다양한 업종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가맹점 단말의 대표 번호는, 예를 들어 가맹점 단말의 유선 전화 번호, 가맹점 단말 대표의 휴대폰 전화 번호 및 인터넷 전화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호 연결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됨으로써 선택 입력된 가상 번호를 이용하여 상술한 가맹점 단말과의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고자 호 접속을 통해 사용자 단말 및 가맹점 단말의 대표 번호로 전화 연결이 이루어진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S10 단계의 수행 이후, 가상 번호가 부여된 시점으로부터 사용자 단말 및 가맹점 단말이 호 연결된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지연 시간 측정 단계(S20)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S20 단계는, 예를 들어 가상 번호가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시간을 k1이라고 할 때, 실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부여된 가상 번호로 가맹점 단말과의 호 접속을 시도하여 상술한 사용자 단말 및 상술한 가맹점 단말이 호 연결 되기까지의 시간을 k2로 설정하여 k2-k1하여 절대값 처리를 함으로써 가상 번호가 부여된 시점으로부터 실제 호 연결된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인 k'을 얻을 수 있다.
또한 S20 단계는 가상 번호가 부여된 시점으로부터 사용자 단말 및 가맹점 단말이 호 연결된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을 측정한 이후, 측정된 지연 시간을 적어도 가맹점 단말별, 가맹점 단말의 업종별 및 사용자 단말의 가맹점 단말에 대한 호 연결 요청 시점별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호 데이터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때, 가맹점 단말별 분류는 가상 번호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맹점 단말 개개로 분류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가상 번호 서비스를 이용하는 A가맹점 단말이 있다고 가정할 때, A가맹점 단말의 호 세션 지속 시간인 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후술할 S30 단계에 의하여 A가맹점 단말에 부여되는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을 주기적으로 갱신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가맹점 단말의 업종별 분류는 가상 번호 서비스를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가맹점 단말들을 업종별로 분류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분류된 업종이 미용업/요식업/교육업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고 할 때, 데이터베이스는 가맹점 단말이 속한 업종별 지연 시간을 호 데이터로 분류 및 저장하여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하거나, 호 데이터가 미존재하는 가맹점 단말의 초기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을 부여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이용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호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의 가맹점 단말에 대한 호 연결 요청 시점별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4시간을 3시간 단위로 나누어 시간대별 호 데이터로서 분류 및 저장함으로써, 가맹점 단말에 부여되는 가상 번호의 시간대별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각각의 실시 예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동시에 하나 이상의 실시 예가 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데이터베이스는 S20 단계에서 측정된 지연 시간을 적어도 가맹점 단말별, 가맹점 단말의 업종별 및 사용자 단말의 가맹점 단말에 대한 호 연결 요청 시점별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로 분류함으로써 후술할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알고리즘에 적용할 데이터로서 저장될 수 있다.
S20 단계 이후, 측정된 지연 시간을 데이터베이스에 호 데이터로 저장하고, 기 저장된 호 데이터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하는 호 세션 갱신 단계(S30)가 수행된다.
이때, 상술한 S30 단계에서 기 설정된 알고리즘은 부여된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및 실제 호 세션 지속 시간의 오차에 가중치를 곱한 값을 이용하여 도출되는 시간으로, 상술한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할 수 있다.
이에 한 실시 예로써, 상술한 기 설정된 알고리즘은 후술할 수학식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가상 번호에 부여되는 가상 번호의 호 데이터(호 세션 지속 시간)를 S라 할 때,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의 갱신 값은
Figure 112017068105338-pat00001
일 수 있다. 이때,
Figure 112017068105338-pat00002
은 가상 번호에 부여되는 호 세션 지속 시간의 시간당 평균값이고,
Figure 112017068105338-pat00003
은 상술한 S20 단계에서 얻은 가상 번호가 부여된 시점으로부터 실제 호 연결된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인 k'의 시간당 평균값일 수 있다.
또한,
Figure 112017068105338-pat00004
는 가중치로서, 0 <
Figure 112017068105338-pat00005
< 1의 값일 수 있으며,
Figure 112017068105338-pat00006
는 부여된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및 실제 호 세션 지속 시간의 오차에 따라 비례하도록 설정되는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부여된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및 실제 호 세션 지속 시간의 오차가 클수록 1에 가까운 값의 가중치가 부여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서, 가맹점 단말의 호 세션 지속 시간인 S값의 초기 호 데이터가 미존재 시, 호 세션 지속 시간의 초기 값
Figure 112017068105338-pat00007
얻기 위한 다양한 실시 예가 있을 수 있다.
(제1 실시 예)
한 실시 예로써, 가맹점 단말의 초기 호 데이터가 미존재 시, 상술한 가맹점 단말이 속한 업종별 호 데이터의 대표 값을 이용하여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할 수 있다.
이 때, 대표 값은 적어도 가맹점 단말이 속한 업종별 호 데이터의 평균값, 중앙값, 최댓값 및 최빈값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호 세션을 지속 시간을 갱신하기 위한 알고리즘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X미용실에 호 데이터 값이 미존재 시, 상술한 XX미용실이 속한 업종인 미용업의 호 데이터의 대표 값을 초기 호 데이터 값으로 하여 XX미용실에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갖는 가상 번호를 상술한 가맹점 단말에 부여할 수 있다.
즉, 한 실시 예로써, 미용업의 호 데이터 대표 값이 10분일 때, 10분을 초기 호 데이터 값을 설정하여 XX미용실에 10분의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갖는 가상 번호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후, 가상 번호가 부여된 시점으로부터 사용자 단말 및 가맹점 단말이 호 연결된 시점까지의 실제 지연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호 데이터를 생성하여
Figure 112017068105338-pat00008
를 이용하여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할 수 있는 것이다.
(제2 실시 예)
한 실시 예로써, 가맹점 단말의 초기 호 데이터가 미존재 시, 상술한 가맹점 단말에 대한 호 연결 요청 시점별 호 데이터의 대표 값을 이용하여 상기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할 수 있다.
이 때, 대표 값은 적어도 가맹점 단말에 대한 호 연결 요청 시점별 호 데이터의 평균값, 중앙값, 최댓값 및 최빈값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호 세션을 지속 시간을 갱신하기 위한 알고리즘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카페에 호 데이터 값이 미존재할 경우, 데이터베이스는 기 저장된 호 데이터를 호 요청 시점별로 분류하여 가상 번호의 시간별 호 세션 지속 시간의 대표 값을 B카페에 설정할 수 있다.
한편, B카페에 시간별 호 세션 지속 시간의 대표 값을 설정한 이후, B카페로 사용자 단말에서의 호 연결 요청에 따라 가상 번호가 부여된 시점으로부터 사용자 단말 및 가맹점 단말이 호 연결된 시점까지의 실제 지연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B카페의 호 데이터를 생성하여
Figure 112017068105338-pat00009
를 이용하여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하여 호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예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동시에 하나 이상의 실시 예가 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예에서 평균값은 측정된 n개의 값을 모두 합산하여 n으로 나눔으로써 얻어진 값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중앙값은 데이터를 크기 순서로 나열할 때 가장 중앙에 위치하는 데이터 값으로, 최대값은 데이터 중 가장 큰 값, 최빈값은 데이터 중 가장 많이 나타나는 값을 의미한다.
즉, 상술한 수학식들 및 측정된 호 세션 지속 시간의 특징이나 경향을 나타내는 수치들을 알고리즘에 적용함으로써 가상 번호에 부여되는 호 세션 지속 시간을 주기적으로 갱신함에 따라 효율적으로 가상 번호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가상 번호 거래 시장에서 고가로 거래되며, 수량이 제한된 가상 번호 사용의 사용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가맹점 단말의 기본 전화번호인 대표 번호가 노출되지 않으며, 가맹점 단말의 단말 자체에 투 넘버 기능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다수의 가상 전화번호를 이용한 호 처리 기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가맹점 단말의 기본 전화번호인 대표 번호가 노출되지 않으며, 가맹점 단말의 단말 자체에 투 넘버 기능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다수의 가상 전화번호를 이용한 호 처리 기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가상 번호 서비스를 이용함에 따라서, 복수의 전화 번호를 이용 시 복수의 휴대 단말을 구입, 휴대, 관리하지 않고도 단 1대의 휴대 단말로 대체할 수 있게 되어 구입 및 관리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10), 가맹점 단말(10) 및 서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서버는, 예를 들어, 가상 번호 부여부(31), 지연 시간 측정부(32) 및 호 세션 갱신부(33)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 및 가맹점 단말(20)은 본 발명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통신 가능하며, 적어도 유/무선 전화기(wire/wireless telephone),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서버(30)는 웹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WAS), 데이터베이스 서버, 네트워크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버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윈도우 계열 운영체제나 MacOS, 자바, 유닉스 또는 리눅스를 포함하거나, 이에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운영체제 하에서 운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버(30)는 가맹점 단말(20)의 대표 번호를 대신하여 제공됨으로써 사용자 단말(10)의 가맹점 단말(20)에 대한 호 연결 요청 시 가맹점 단말(20)의 대표 번호와 매칭되어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선택 입력 시 매칭된 대표 번호로 호 연결을 수행하는 가상 번호를 가맹점 단말마다 호 세션 지속시간 동안 부여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과 가맹점 단말(20)을 각각 호 연결하며, 상술한 사용자 단말(10) 및 가맹점 단말(20)을 상호 간 호 접속 시킴에 따라서 전화 연결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한편 서버(30)는 가상 번호 부여부(31), 지연 시간 측정부(32) 및 호 세션 지속시간 갱신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상 번호 부여부(31)는, 웹 상에서 사용자 단말(10)과 일 가맹점 단말의 호 연결을 위해서 가맹점 단말(20)의 대표 번호를 대신하여 제공되는 기 설정된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갖는 가상 번호를 상술한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선택 입력 시 매칭된 대표 번호로 호 연결을 수행하는 가상 번호를 가맹점 단말마다 기 설정된 호 세션 지속 시간 동안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기 설정된 호 세션 지속 시간은 상술하였듯이,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얻어진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술한 가상 번호 부여부(31)는 상술한 도 1에서 언급한 S1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지연 시간 측정부(32)는, 상술한 가맹점 단말에 가상 번호가 부여된 시점으로부터 사용자 단말(10) 및 가맹점 단말(20)이 호 연결된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즉, 지연 시간 측정부(32)에 의해 측정된 시간들은 후술하겠지만, 호 세션 갱신부(33)에 의하여 데이터베이스(40)에 호 데이터로서 저장되며, 상술한 호 데이터는 호 세션 갱신부(33)에 의하여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하는 데이터 값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결국, 상술한 지연 시간 측정부(32)는 상술한 도 1에서 언급한 S2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호 세션 갱신부(33)는, 지연 시간 측정부(32)에서 측정된 지연 시간을 데이터베이스(40)에 호 데이터로 저장하고, 기 저장된 호 데이터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술한 호 세션 갱신부(33)는 상술한 도 1에서 언급한 S3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보다 쉬운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장치의 기능 수행을 나타낸 흐름도를 도시하였다.
도 3을 참고하면, 서버(30)는 사용자 단말(10)과 일 가맹점 단말(20)의 호 연결을 위해, 가맹점 단말(20)의 대표 번호를 대신하여 제공되는 가상 번호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은 서버(30)로부터 제공 받은 가상 번호를 선택 입력함에 따라 가상 번호와 매칭된 가맹점 단말로의 호 연결 요청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사용자 단말(10)과 가맹점 단말(20)의 호 연결이 유효하게 연결되면, 서버(30)는 사용자 단말(10)에 가상 번호가 부여된 시간으로부터 가맹점 단말(20)로 호 연결된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게 되며, 측정된 지연 시간을 데이터베이스에 호 데이터로 저장하게 된다.
지연 시간 측정 후, 서버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는, 저장된 호 데이터를 적어도 가맹점 단말별, 가맹점 단말의 업종별 및 사용자 단말(10)의 가맹점 단말(20)에 대한 호 연결 요청 시점별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여 호 데이터로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서버는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상술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측정된 호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가맹점 단말(20)에 부여되는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가상 번호가 부여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100, 110 및 120을 참고하면, 100은 웹 상에서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에서 100에 도시된 전화 아이콘을 선택 입력함으로써 1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맹점 단말에 부여된 가상 번호와 호 연결 요청 수행에 대한 선택입력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호 연결 요청에 승인하는 선택 입력이 있을 시, 1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번호를 통해 가맹점 단말의 대표 번호와 호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상술한 기능 수행에 따라서, 본 발명은 가맹점 단말의 기본 전화번호인 대표 번호가 노출되지 않으며, 가맹점 단말의 단말 자체에 투 넘버 기능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다수의 가상 전화번호를 이용한 호 처리 기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웹 상에서 사용자의 단말과 일 가맹점 단말의 호 연결을 위한 가상 번호가 부여된 시점으로부터 사용자 단말 및 가맹점 단말이 호 연결된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여 가맹점 단말의 타입을 분류하고, 상술한 측정 시간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가상 번호의 지속 시간을 갱신함으로써 가상 번호 거래 시장에서 고가로 거래되며, 수량이 제한된 가상 번호 사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 역시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호 세션 지속 시간의 갱신 전/후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200은 일 가맹점 단말에 부여되는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전의 화면을 도시한 것이고, 210은 일 가맹점 단말에 부여되는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후를 도시한 실시 예이다.
한편,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은 상술한 기 설정된 알고리즘으로서, 부여된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및 실제 호 세션 지속 시간의 오차에 가중치를 곱한 값을 이용하여 도출되는 시간으로 갱신될 수 있다.
즉, 도 5의 200 및 210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맹점 단말 SA의 경우, 호 세션 지속 시간에 있어서 200에서는 5.1분의 호 세션 지속 시간이 설정되어 있으나, 한 시간 후인 210의 화면에서는 5.5분의 호 세션 지속 시간으로 호 세션 지속 시간이 갱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맹점 단말에 부여되는 가상 번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유형별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따라서, 가상 번호 거래 시장에서 고가로 거래되며, 수량이 제한된 가상 번호 사용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가맹점 단말의 초기 호 데이터가 미 존재 시 데이터베이스에 분류 저장된 호 데이터의 대표 값을 나타낸 실시 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맹점 단말의 초기 호 데이터가 미 존재 시,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을 위하여 상술한 가맹점 단말이 속한 업종별 호 데이터의 대표 값을 이용하거나 사용자 단말의 가맹점 단말에 대한 호 연결 요청 시점별 대표 값을 이용하여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할 수 있다.
도 6의 300 내지 330에서는 가맹점 단말이 속한 업종별 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표 값을 얻는 실시 예로서, 300에서는 평균값을, 310은 중앙값을, 320은 최댓값을, 330은 최빈값을 대표 값으로 하는 화면을 도시하였다.
한 실시 예로써, XX운전면허학원에 호 데이터 값이 미존재 시, 상술한 XX운전면허학원이 속한 업종인 교육업의 호 데이터 대표 값, 예를 들어 평균값이 기준일 경우, A분을 초기 호 데이터 값으로 설정하여 XX운전면허학원에 A분의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갖는 가상 번호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후, 가상 번호가 부여된 시점으로부터 사용자 단말 및 XX운전면허학원이 호 연결된 시점까지의 실제 지연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호 데이터를 생성하여
Figure 112017068105338-pat00010
를 이용하여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상 번호의 실제 호 세션 지속 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을 주기적으로 갱신함으로써 가상 번호 거래 시장에서 고가로 거래되며, 수량이 제한된 가상 번호 사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가상 번호 서비스를 이용함에 따라서, 복수의 전화 번호를 이용 시 복수의 휴대 단말을 구입, 휴대, 관리하지 않고도 단 1대의 휴대 단말로 대체할 수 있게 되어 구입 및 관리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7의 400 내지 430에서는 사용자 단말의 가맹점 단말에 대한 호 연결 요청 시점별 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표 값을 얻는 실시 예로서, 400에서는 평균값을, 410은 중앙값을, 420은 최댓값을, 430은 최빈값을 대표 값으로 하는 화면을 도시하였다.
한 실시 예로써, XX베이커리에 호 데이터 값이 미존재 시, 데이터베이스에 호 데이터가 24시간을 3시간 단위로 나누어 시간대별 호 데이터로서 분류 및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 XX베이커리에 시간대별 대표 값을 이용하여 XX베이커리의 초기 호 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시간별 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상 번호의 시간별 호 세션 지속 시간이 설정된 XX베이커리는 이후, 사용자 단말에서의 호 연결 요청에 따라 가상 번호가 부여된 시점으로부터 사용자 단말 및 XX베이커리의 호 연결된 시점까지의 실제 지연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XX베이커리의 호 데이터를 생성하여
Figure 112017068105338-pat00011
를 이용하여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상 번호의 실제 호 세션 지속 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을 주기적으로 갱신함으로써 가상 번호 거래 시장에서 고가로 거래되며, 수량이 제한된 가상 번호 사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가상 번호 서비스를 이용함에 따라서, 복수의 전화 번호를 이용 시 복수의 휴대 단말을 구입, 휴대, 관리하지 않고도 단 1대의 휴대 단말로 대체할 수 있게 되어 구입 및 관리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1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1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단말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8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8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8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를 포함하는 가상 번호의 호 세션 갱신 방법에 있어서,
    웹 상에서 사용자 단말과 일 가맹점 단말과의 호 연결을 위해서, 가맹점 단말의 대표 번호를 대신하여 제공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가맹점 단말에 대한 호 연결 요청 시 상기 가맹점 단말의 대표 번호와 매칭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선택 입력 시 매칭된 대표 번호로 호 연결을 수행하는 가상 번호를 상기 가맹점 단말마다 호 세션 지속 시간 동안 부여하는 가상 번호 부여 단계;
    상기 가상 번호가 부여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가맹점 단말이 호 연결된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지연 시간 측정 단계; 및
    상기 지연 시간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지연 시간을 데이터베이스에 호 데이터로 저장하고, 기 저장된 호 데이터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가상 번호의 상기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하는 호 세션 갱신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호 세션 갱신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알고리즘으로서, 부여된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및 실제 호 세션 지속 시간의 오차에 가중치를 곱한 값을 이용하여 도출되는 시간으로 상기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상기 부여된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및 실제 호 세션 지속 시간의 오차에 따라 비례하도록 설정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 측정 단계 후,
    측정된 지연 시간을 적어도 가맹점 단말별, 가맹점 단말의 업종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가맹점 단말에 대한 호 연결 요청 시점별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호 데이터로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단말의 호 데이터가 미존재 시,
    상기 가맹점 단말이 속한 업종별 호 데이터의 대표 값을 이용하여 상기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값은,
    적어도 상기 가맹점 단말이 속한 업종별 호 데이터의 평균값, 중앙값, 최댓값 및 최빈값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단말의 호 데이터가 미존재 시,
    상기 가맹점 단말에 대한 호 연결 요청 시점별 호 데이터의 대표 값을 이용하여 상기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값은,
    적어도 가맹점 단말에 대한 호 연결 요청 시점별 호 데이터의 평균값, 중앙값, 최댓값 및 최빈값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연결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하이퍼링크를 선택 입력함으로써 발생하는 호 연결 요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번호 부여 단계는,
    상기 가맹점 단말의 대표 번호와 매칭되는 가상 번호가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방법.
  1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를 포함하는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장치에 있어서,
    웹 상에서 사용자 단말과 일 가맹점 단말의 호 연결을 위해서, 가맹점 단말의 대표 번호를 대신하여 제공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가맹점 단말에 대한 호 연결 요청 시 상기 가맹점 단말의 대표 번호와 매칭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선택 입력 시 매칭된 대표 번호로 호 연결을 수행하는 가상 번호를 상기 가맹점 단말마다 호 세션 지속 시간 동안 부여하는 가상 번호 부여부;
    상기 가상 번호가 부여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가맹점 단말이 호 연결된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지연 시간 측정부; 및
    상기 지연 시간 측정부에서 측정된 지연 시간을 데이터베이스에 호 데이터로 저장하고, 기 저장된 호 데이터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가상 번호의 상기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하는 호 세션 갱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호 세션 갱신부는,
    상기 기 설정된 알고리즘으로서, 부여된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및 실제 호 세션 지속 시간의 오차에 가중치를 곱한 값을 이용하여 도출되는 시간으로 상기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장치.
  12.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웹 상에서 사용자 단말과 일 가맹점 단말과의 호 연결을 위해서, 가맹점 단말의 대표 번호를 대신하여 제공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가맹점 단말에 대한 호 연결 요청 시 상기 가맹점 단말의 대표 번호와 매칭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선택 입력 시 매칭된 대표 번호로 호 연결을 수행하는 가상 번호를 상기 가맹점 단말마다 호 세션 지속 시간 동안 부여하는 가상 번호 부여 단계;
    상기 가상 번호가 부여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가맹점 단말이 호 연결된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지연 시간 측정 단계; 및
    상기 지연 시간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지연 시간을 데이터베이스에 호 데이터로 저장하고, 기 저장된 호 데이터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가상 번호의 상기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하는 호 세션 갱신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호 세션 갱신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알고리즘으로서, 부여된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및 실제 호 세션 지속 시간의 오차에 가중치를 곱한 값을 이용하여 도출되는 시간으로 상기 호 세션 지속 시간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70090265A 2017-07-17 2017-07-17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KR101963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265A KR101963679B1 (ko) 2017-07-17 2017-07-17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265A KR101963679B1 (ko) 2017-07-17 2017-07-17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017A KR20190009017A (ko) 2019-01-28
KR101963679B1 true KR101963679B1 (ko) 2019-04-16

Family

ID=65269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265A KR101963679B1 (ko) 2017-07-17 2017-07-17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6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0713A (ja) * 2001-04-03 2005-01-06 ポリキューブ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仮想電話番号のサービス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5539B2 (en) * 2006-12-29 2012-08-28 Amadeus Sas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sessions
KR20150009673A (ko) * 2013-07-16 2015-01-27 알까뗄 루슨트 임시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0713A (ja) * 2001-04-03 2005-01-06 ポリキューブ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仮想電話番号のサービス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017A (ko) 2019-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2181B2 (en) Provision of 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intent, emotion and context
US10628222B2 (en) Allocating compute offload resources
US8180289B1 (en) Public kiosk provi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services
EP3654268B1 (en) Card registration method for payment service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US10853786B2 (en) Multi-factor identity authentication
EP3232391A1 (en) Electronic device and payment method using the same
US20140156408A1 (en) Member registration system, member registration apparatus, and member registration method
US11010749B2 (en) Payment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1514501B2 (en) Navig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based on user specification
US11282061B2 (en) Electronic device and payment method using same
US20130138498A1 (en) Flash sale
CN108027923B (zh) 动态便携式通信系统
KR20200091127A (ko) 사용자의 조건 정보에 매칭되는 부동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N111612135B (zh) 用于信息交互的方法和装置
JP690474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963679B1 (ko) 가상 번호의 호 세션 지속 시간 갱신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EP3437054A1 (en) Merchant loyalty account enrollment through payment checkout platform services
CN111539777A (zh) 一种业务功能实现的方法、服务器及终端
US20160078469A1 (en) Application Purchasing Method, And Terminal
KR102351885B1 (ko) 비즈니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0348989A (zh) 基于app的信贷额度调整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0175879A (zh) 实行于计算设备的方法
KR102233559B1 (ko) 에스크로 방식의 회원권 거래를 중개하는 전자 장치
CN110544099A (zh) 基于区块链的支付方法、支付处理系统及支付受理终端
US2020009011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delivery information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