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551B1 - 코어기둥을 사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코어기둥을 사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551B1
KR101963551B1 KR1020190020170A KR20190020170A KR101963551B1 KR 101963551 B1 KR101963551 B1 KR 101963551B1 KR 1020190020170 A KR1020190020170 A KR 1020190020170A KR 20190020170 A KR20190020170 A KR 20190020170A KR 101963551 B1 KR101963551 B1 KR 101963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anufacturing
core column
sofa
sofa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용
이창신
김희정
Original Assignee
정품건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품건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품건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0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5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각도를 가지거나 만곡된 기둥형상의 중심부(20)와 상기 중심부(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장되는 다리부(10)를 포함하는 복수의 코어기둥을 사용하여 소파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저면거푸집(410)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저면거푸집(410)의 위에 상기 복수의 코어기둥(100)을 거치하되, 상기 코어기둥(100)의 다리부(10)와 인접하는 코어기둥(100)의 다리부(10) 사이에 이격공간(13)이 형성되도록 거치하는 단계; c) 상기 중심부(20)를 감싸도록 측면거푸집(420)을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저면거푸집(410)과 상기 측면거푸집(420)의 내부공간으로 결속재를 타설하여 몸체부(20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어기둥을 사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코어기둥을 사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Wave dissipation block manufacturing method using core column}
본 발명은, 소파블록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파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코어기둥과 이러한 코어기둥을 사용하는 소파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파블록은 방파제의 유실과 월파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조물로서, 파도의 힘을 소멸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 등으로 설치된다.
소파블록 중에서 주로 사용되는 테트라포드(Tetrapod)는 1949년 프랑스의 Neyrpic사에서 개발한 콘크리트 이형블록이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테트라포드는 4개의 뿔 모양의 다리를 가지며, 소파(消波)를 위한 방파제 및 호안에 사용되어 파랑 에너지를 약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테트라포드는, 무근 콘크리트로 제작되고 표면이 곡면으로 되어 있어 파압, 파의 처오름 및 반사파를 감소시킬 수 있고, 블록끼리 서로 맞물려 급경사나 비탈면에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단면을 얻을 수 있고, 블록의 중심위치가 낮고 안정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는 등, 소파 기능에 대해 검증된 효과를 가지고 있어, 현재 대부분의 방파제 공사에 테트라포드가 이용되고 있다.
소파블록이, 파력의 감쇠와 반사파 제거 효과를 높이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태풍이나 쓰나미에도 흔들리거나 이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테트라포드의 중량을 최대한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재 제작되는 테트라포드는 80톤 이상의 고중량체를 제작하지 못하고 있다.
시멘트, 골재, 물, 혼화재, 혼화제 등으로 제조되는 콘크리트는 수화반응을 통해 양생되면서 강도를 발현하게 되는데, 수화반응시 발생되는 수화열로 인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와 표면에 온도차가 생기고, 이러한 온도차에 의한 열응력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80톤이 넘는 테트라포드를 제작하는 경우,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양이 많아 수화열이 커지게 되고, 그 결과 균열이 증가하기 때문에 80톤이 넘는 테트라포드는 제작이 곤란하다.
고중량의 소파블록을 제작하기 위해, 다리가 6개인 구조의 소파블록이 개발되었으나(도 3, 4 참조), 도 3, 4에 도시된 소파블록들은 테트라포드 구조가 아니어서, 운반과 설치가 어렵고, 설치시 블록간의 맞물림이 좋지 못하여 안정적인 구조가 되지 않으며, 테트라포드만큼의 소파기능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0001은, 방파제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의 티(T)자형 삽입가이드홈; 수직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티자형상의 삽입돌출부가 형성되어 삽입돌출부가 삽입가이드홈에 삽설됨으로써 방파제의 측면에 설치되는 메인몸체; 에이치빔의 상단에는 기억자형상을 갖는 제1로드의 일측단이 수직하게 착설되고, 제1로드의 타측단은 에이치빔에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며, 에이치빔의 하단에는 제2로드의 일측단이 착설되며, 제1로드의 절곡부에는 제2로드의 타측단이 일체로 착설되고, 제1로드의 절곡부에는 메인몸체의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상호 배향하게 일정 길이를 갖는 두 개의 제3로드가 착설되며, 제1로드와 제2로드에는 끝단을 제외한 모든 외주면에 철근과 함께 일정 두께로 콘크리트가 형성되는 테트라포드; 그리고 수평플레이트가 콘크리트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일정 길이를 갖는 볼트형상의 결합고정체로 이루어지는 방파제의 테트라포드설치구조에 관한 것인데, 특허문헌 0001 역시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여, 테트라포드의 구조를 가지면서 100~200톤 이상의 고중량체이고, 제작이 용이하며, 소파기능을 증대시킨 소파블록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657213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작이 쉬우면서 초고중량의 소파블록 제작이 가능한 소파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파력의 감쇠와 반사파 제거 효과를 높이고, 태풍이나 쓰나미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환경친화적인 소파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테트라포드의 구조를 가지면서 100톤 이상, 크게는 200톤 이상의 초고중량 소파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정각도를 가지거나 만곡된 기둥형상의 중심부(20)와 상기 중심부(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장되는 다리부(10)를 포함하는 복수의 코어기둥을 사용하여 소파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저면거푸집(410)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저면거푸집(410)의 위에 상기 복수의 코어기둥(100)을 거치하되, 상기 각각의 코어기둥(100)의 다리부(10)는 상기 저면거푸집(410)에서 노출되고, 상기 각각의 코어기둥(100)의 중심부(20) 외면은 상기 저면거푸집(410)에 이격되도록 거치하는 단계; c) 상기 저면거푸집(410)에 거치되는 상기 복수의 코어기둥(100)의 중심부(20)를 감싸도록 측면거푸집(420)을 설치하되, 상기 각각의 코어기둥(100)의 다리부(10)는 상기 측면거푸집(420)에서 노출되고, 상기 각각의 코어기둥(100)의 중심부(20) 외면은 상기 측면거푸집(420)에 이격되도록 거치하는 단계; d) 상기 저면거푸집(410)과 상기 측면거푸집(420)의 내부공간으로 결속재를 타설하여 몸체부(20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어기둥을 사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중심부(20)에 일체로 구비되는 접합부(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30)에는 복수의 접합면(31)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접합면(31)이 서로 접하도록 코어기둥(100)을 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기둥(100)은 6개이고,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코어기둥(100) 중 3개는 누운 형태로 거치되고, 상기 코어기둥(100) 중 나머지 3개는 상기 복수의 접합면(31)에 의해 자립한 형태로 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기둥(100)은 8개이고,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코어기둥(100) 중 4개는 누운 형태로 거치되고, 상기 코어기둥(100) 중 나머지 4개는 상기 복수의 접합면(31)에 의해 자립한 형태로 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접합면(31)이 만나는 말단에는 헌치부(3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b)단계에서 복수의 코어기둥(100)을 거치하면, 복수의 헌치부(34)가 만나는 곳에 관통홀(3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코어기둥(100)의 다리부(10)와 인접하는 코어기둥(100)의 다리부(10) 사이에는 이격공간(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심부(20)의 단면적이 상기 다리부(10)의 단면적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리부(10)는 확대지지부(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결속재는 콘크리트, 모르타르, 합성수지, 폴리머, 금속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수개의 소파블록을 원하는 장소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공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수개의 소파블록을 원하는 장소에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복수개의 소파블록의 이격공간(13)을 통해 복수개의 소파블록들을 결속끈으로 결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공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코어기둥을 사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소파블록이 하나의 덩어리로 제작되지 않고, 코어기둥과 코어기둥을 둘러싸도록 타설되는 몸체부로 따로 제작되므로, 하나의 덩어리로 제작되는 것에 비해 수화열이 대폭 감소되고, 그 결과 200톤 이상의 초고중량 소파블록을 제작할 수 있다.
둘째, 복수개의 코어기둥을 먼저 제작하고, 복수개의 코어기둥들이 몸체부를 통해 일체화되어 소파블록이 되므로, 소파블록의 제작이 분업화되고,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이 높아지고, 제작작업이 쉬워진다.
셋째, 코어기둥의 형상과 다리부의 사잇각을 다양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지형과 현장 여건에 최적화된 다양한 형태의 소파블록과 수공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다.
넷째, 이웃하는 코어기둥 다리부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유수분리를 통한 파력 감쇠 효과가 매우 뛰어나고, 수심 아래로 설치된 다리부는 어초의 기능을 하게 되어 해양동식물의 생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다섯째, 다리부 사이와 확대지지부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결속끈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운반과 견인이 용이하고, 소파블록을 설치한 후에는 이격공간을 통해 이웃하는 소파블록들 간을 결속함으로써, 설치된 소파블록들이 일체로 거동할 수 있으며, 태풍이나 쓰나미에도 단위 소파블록이 유실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4는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코어기둥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의 코어기둥 6개를 거치한 모습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소파블록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의 코어기둥 6개를 거치한 모습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소파블록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의 코어기둥 사시도이다.
도 11, 12는 다른 실시예의 코어기둥 6개를 거치한 모습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소파블록을 설치한 모습이다.
도 14 내지 19는 본 발명의 소파블록을 제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300)은 복수개의 코어기둥(100)과 상기 코어기둥(100)의 중심부(20)를 덮도록 형성되는 몸체부(200)를 포함한다. 도 6 내지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6개의 코어기둥(100)과 6개의 코어기둥(100)의 중심부(20)를 덮도록 형성되는 몸체부(200)를 예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코어기둥(100)과 몸체부(200)에 대해 설명한 후, 본 발명의 소파블록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소파블록 제조용 코어기둥(100)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코어기둥(100)은 다리부(10)와 중심부(20)를 포함하는데, 상기 중심부(20)는 소파블록의 중심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다리부(10)는 상기 중심부(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다리부(10)와 중심부(20)의 단면 형상은 원형, 다각형 모두 가능하고, 상기 다리부(10)와 중심부(20)는 한번에 제작할 수도 있고, 따로 제작하여 부착할 수도 있는데, 코어기둥 제작 후에는 다리부와 중심부는 일체가 되어야 한다.
상기 다리부(10) 중 상기 중심부(20)와 연결되는 쪽이 아닌 다른 쪽에는 확대지지부(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확대지지부(11)는 다리부에서 단면적을 확대시켜 형성하거나 별도의 부재를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고, 이웃하는 코어기둥의 확대지지부(11)는 서로 접하도록 하여 다리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다리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웃하는 코어기둥의 확대지지부(11) 사이는 경우에 따라 약간 이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중심부에는 몸체부(200)를 이루게 되는 결속재를 타설하게 되는데, 결속재 타설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코어기둥과 몸체부의 접합을 견고하게 하여 소파블록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중심부(20)의 단면적은 상기 다리부(10)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결속재는 모르타르, 콘크리트, 합성수지, 폴리머, 금속과 같은 결속력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다리부(10)의 선단, 확대지지부(11)의 표면으로는 볼록부(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의 표면에는 돌기를 형성하여 파의 소산을 돕고, 사람들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중심부의 표면에는 돌기 및/또는 홈을 형성하여 타설되는 결속재와의 부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다리부에는 관통공(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는데, 관통공을 형성하면 다리부가 수심 아래에 있을 경우에는 어초를 제공할 수 있고, 소파블록의 운반에 결속끈을 연결할 수도 있으며, 소파블록 설치 후에는 이웃하는 소파블록간을 결속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심부의 선형은, 도면에는 곡선으로 구부러진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이러한 곡선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두 개의 직선이 일정 각도로 만나는 형태 또는 하나의 직선 형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코어기둥은 접합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합부(30)는 상기 중심부(20)에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접합부(30)는, 복수의 코어기둥을 설치하여 소파블록을 제작할 때, 복수의 코어기둥들이 서로 접하게 되는 구성이다.
서로 접하는 코어기둥들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밀착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접합부에는 복수개의 접합면(31)을 형성한다.
도 5에 도시된 코어기둥에는 총 4개의 접합면을 가진 것이 예시되어 있는데, 하나의 코어기둥은 4개의 접합면에 의해 4개의 코어기둥과 서로 접합하게 된다.
도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접합면(31)들은 서로 일정 각도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웃하는 2개의 코어기둥의 접합면 사이에 어느 하나의 코어기둥의 접합면이 삽입되는 구조가 될 수 있어, 도 6, 8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별다른 지지장치 없이도 6개의 코어기둥이 자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접합면(31)이 만나는 접합부(30)의 말단에는 헌치부(34)를 형성할 수 있는데, 헌치부(34)를 형성하게 되면, 6개의 코어기둥을 설치할 경우 도 11, 12에 도시한 것과 같은 관통홀(35)이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콘크리트가 상기 관통홀(35)을 관통하여 타설되므로 몸체부와 코어기둥의 부착이 더욱더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도 10 내지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체부와 코어기둥의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접합부(30)에는 제1전단키(32)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중심부(20)에는 제2전단키(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단키(32)와 제2전단키(33)는 각각 상기 접합부(30)와 상기 중심부(20)에 홈을 형성하여 만들 수 있는데, 관통공이나 돌기 형태로도 가능하다.
도 7에는 완성된 소파블록(300)이 도시되어 있는데, 인접하는 다리부 사이로 이격공간(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이격공간(13)으로 파가 진입하면서 유수분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격공간(13)을 통해 결속끈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운반과 견인을 위한 별다른 장치 없이도 운반과 견인 작업을 쉽게 할 수 있고, 소파블록을 설치한 후에는 이격공간을 통해 이웃하는 소파블록들을 서로 결속함으로써, 설치된 소파블록들이 일체로 거동할 수 있게 되고, 소파블록의 이동이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결속끈은 소파블록을 운반하거나 결속할 수 있는 형태이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테트라포드의 다리(pod) 역할을 하는 부분에는 3개의 다리부(10)가 인접하고 있는데, 상기 다리부(10)들은 서로 평행하도록 제작할 수도 있고,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다리부의 끝이 벌어지도록 제작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다리부의 끝이 모이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다리부들의 형태는, 다리부와 다리부의 연장선의 사잇각을 조절하거나, 중심부(20)의 곡률을 조절하거나, 접합부(30)의 접합면(31)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소파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소파블록의 몸체부(200)를 형성하기 위한 저면거푸집(410)과 거치대(430)가 설치되어 있고, 도 15에는 상기 저면거푸집(410)과 거치대(430) 위에 3개의 코어기둥(100)이 누운 상태로 거치되어 있다.
상기 저면거푸집(410)은 몸체부(200)의 저면의 형상을 만들기 위한 것이고, 상기 거치대(430)는 코어기둥의 다리부를 받쳐주기 위한 것인데, 본 발명의 코어기둥은 도 6,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립이 가능한 형태이므로, 상기 거치대 없이도 소파블록 제조가 가능할 것이다.
3개의 코어기둥을 누운 상태로 거치 한 후에는, 도 16,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3개의 코어기둥을 자립한 형태로 거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어기둥에는 복수의 접합면(31)이 구비되어 있는 접합부(30)가 있으므로, 6개의 코어기둥이 접합면이 접한 상태로 거치되게 된다.
하나의 코어기둥의 접합부는 4개의 다른 코어기둥의 접합부와 접하게 된다. 그리고 누워 있는 2개의 코어기둥의 접합면 사이로 자립하는 코어기둥의 접합부가 삽입되어, 접합면이 맞물리는 형태가 됨으로써 누워 있는 3개의 코어기둥 사이로 3개의 코어기둥이 자립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 코어기둥을 8개 사용하는 경우, 코어기둥 중 4개는 누운 형태로 거치되고, 코어기둥 중 나머지 4개는 누운 코어기둥 4개 위에 자립한 형태로 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코어기둥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 없이도 최종적인 모양으로 자립이 가능하므로 제조가 쉽고, 제조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하는 소파블록의 모양으로 코어기둥을 자립시킨 후에는,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측면거푸집(420)을 설치한다.
도 18, 19와 같이 코어기둥 6개를 사용하는 테트라포드 형태의 소파블록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측면거푸집은 3개가 필요하게 된다.
측면거푸집과 저면거푸집의 사이, 다리부와 중심부 경계부에서 굳지 않은 결속재가 새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측면거푸집의 설치가 완료되면 결속재를 타설하여 몸체부(200)를 형성하게 되고, 일정한 양생기간을 거치게 되면 본 발명의 소파블록의 제조가 완료되게 된다.
한편 위 과정 이후에, 상기 다리부의 표면과 몸체부의 표면에 폴리우레아가 도포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폴리우레아를 도포함으로써 표면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다리부를 강재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해수에 의한 부식을 예방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에 대해서는 염해로 인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저면거푸집(410)과 측면거푸집(420)의 형상은 원하는 몸체부의 형상에 맞도록 제작할 수 있고, 몸체부의 표면에 돌기 또는 홈을 형성하고자 할 때에는, 저면거푸집(410)과 측면거푸집(420)의 내면에 홈 또는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압력에 거푸집이 변형되지 않아야 하므로, 저면거푸집(410)과 측면거푸집(420)에는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강도보강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테트라포드는 콘크리트 수화열로 인해 80톤 이상의 고중량체 제작이 곤란하였으나,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긴 형태인 코어기둥을 먼저 제작하고, 이들 코어기둥을 몸체부에 의해 일체로 만들게 되므로, 몸체부를 이루는 콘크리트의 양이 적어 수화열이 대폭적으로 줄어들 수 있으므로, 200톤 이상의 초고중량 테트라포드의 제작도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코어기둥의 수와 형상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테트라포드 뿐만 아니라 다리 3개, 6개 형태의 소파블록 등 다양한 형태로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콘크리트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콘크리트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금속, 합성수지 또는 폴리머가 사용될 수도 있고, 상기 코어기둥은 콘크리트로 제조될 수 있고, 강봉 또는 강관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코어기둥을 강관으로 제작하는 경우, 그 내부에 바텀애쉬, 건설폐기물, 제강슬래그 또는 콘크리트 등의 중량재를 채워 넣어 무게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코어기둥
10. 다리부
11. 확대지지부 12. 볼록부
13. 이격공간
20. 중심부
30. 접합부
31. 접합면 32. 제1전단키
33. 제2전단키 34. 헌치부
35. 관통홀
200. 몸체부
300. 소파블록
410. 저면거푸집 420. 측면거푸집
430. 거치대

Claims (11)

  1. 일정각도를 가지거나 만곡된 기둥형상의 중심부(20)와 상기 중심부(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장되는 다리부(10)를 포함하는 복수의 코어기둥을 사용하여 소파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저면거푸집(410)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저면거푸집(410)의 위에 상기 복수의 코어기둥(100)을 거치하되, 상기 각각의 코어기둥(100)의 다리부(10)는 상기 저면거푸집(410)에서 노출되고, 상기 각각의 코어기둥(100)의 중심부(20) 외면은 상기 저면거푸집(410)에 이격되도록 거치하는 단계;
    c) 상기 저면거푸집(410)에 거치되는 상기 복수의 코어기둥(100)의 중심부(20)를 감싸도록 측면거푸집(420)을 설치하되, 상기 각각의 코어기둥(100)의 다리부(10)는 상기 측면거푸집(420)에서 노출되고, 상기 각각의 코어기둥(100)의 중심부(20) 외면은 상기 측면거푸집(420)에 이격되도록 거치하는 단계;
    d) 상기 저면거푸집(410)과 상기 측면거푸집(420)의 내부공간으로 결속재를 타설하여 몸체부(20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어기둥을 사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20)에 일체로 구비되는 접합부(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30)에는 복수의 접합면(31)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접합면(31)이 서로 접하도록 코어기둥(100)을 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기둥을 사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기둥(100)은 6개이고,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코어기둥(100) 중 3개는 누운 형태로 거치되고, 상기 코어기둥(100) 중 나머지 3개는 상기 복수의 접합면(31)에 의해 자립한 형태로 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기둥을 사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기둥(100)은 8개이고,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코어기둥(100) 중 4개는 누운 형태로 거치되고, 상기 코어기둥(100) 중 나머지 4개는 상기 복수의 접합면(31)에 의해 자립한 형태로 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기둥을 사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합면(31)이 만나는 말단에는 헌치부(3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b)단계에서 복수의 코어기둥(100)을 거치하면, 복수의 헌치부(34)가 만나는 곳에 관통홀(3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기둥을 사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코어기둥(100)의 다리부(10)와 인접하는 코어기둥(100)의 다리부(10) 사이에는 이격공간(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기둥을 사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20)의 단면적이 상기 다리부(10)의 단면적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기둥을 사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10)는 확대지지부(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기둥을 사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결속재는 콘크리트, 모르타르, 합성수지, 폴리머, 금속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기둥을 사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수개의 소파블록을 원하는 장소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공구조물 시공방법.
  11. A) 제6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수개의 소파블록을 원하는 장소에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복수개의 소파블록의 이격공간(13)을 통해 복수개의 소파블록들을 결속끈으로 결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공구조물 시공방법.









KR1020190020170A 2019-02-21 2019-02-21 코어기둥을 사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 KR101963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170A KR101963551B1 (ko) 2019-02-21 2019-02-21 코어기둥을 사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170A KR101963551B1 (ko) 2019-02-21 2019-02-21 코어기둥을 사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551B1 true KR101963551B1 (ko) 2019-03-28

Family

ID=65908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170A KR101963551B1 (ko) 2019-02-21 2019-02-21 코어기둥을 사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5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37719A (zh) * 2020-01-17 2020-04-21 中交上海航道局有限公司 一种便于脱模的鱼巢排模具及其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0145A (ja) * 1998-10-07 2000-04-18 Free Kogyo Kk 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57213B1 (ko) 2006-05-12 2006-12-15 주식회사 세일종합기술공사 방파제의 테트라포드 설치구조
JP2007136922A (ja) * 2005-11-21 2007-06-07 Furutochi Kensetsu:Kk テトラポッドの製造方法
KR101786811B1 (ko) * 2017-07-28 2017-10-19 주식회사 세정건설 인공어초겸용 테트라포드 거푸집
KR101957688B1 (ko) * 2018-12-11 2019-03-13 정품건설산업 주식회사 사면체형 소파블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0145A (ja) * 1998-10-07 2000-04-18 Free Kogyo Kk 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36922A (ja) * 2005-11-21 2007-06-07 Furutochi Kensetsu:Kk テトラポッドの製造方法
KR100657213B1 (ko) 2006-05-12 2006-12-15 주식회사 세일종합기술공사 방파제의 테트라포드 설치구조
KR101786811B1 (ko) * 2017-07-28 2017-10-19 주식회사 세정건설 인공어초겸용 테트라포드 거푸집
KR101957688B1 (ko) * 2018-12-11 2019-03-13 정품건설산업 주식회사 사면체형 소파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37719A (zh) * 2020-01-17 2020-04-21 中交上海航道局有限公司 一种便于脱模的鱼巢排模具及其使用方法
CN111037719B (zh) * 2020-01-17 2021-11-16 中交上海航道局有限公司 一种便于脱模的鱼巢排模具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270B1 (ko) 장경간 고하중 건물에 적합한 피씨 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JP5023219B2 (ja) プレキャスト仮設構造体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533576B1 (ko) 반채움 pc 트러스보강재 합성보
KR101890860B1 (ko) 이중 피씨벽패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 벽체 시공 방법
KR100693872B1 (ko) 모서리부에 단차부가 형성된 합성바닥판 및 교량용 거더의시공방법 및 그 연결구조
KR101963551B1 (ko) 코어기둥을 사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
US8087373B2 (en) Interconnection system for floating modules
KR20100065245A (ko) 중공 슬래브 시공용 2방향 경량체
KR101050718B1 (ko) 아치 구조물
KR200404657Y1 (ko) 응력 저감형 옹벽
KR101604726B1 (ko) 전단접합판을 이용하여 연결된 암거 및 그 시공방법
KR101963099B1 (ko) 소파블록 제조용 코어기둥 및 이를 사용한 소파블록
KR20140125754A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KR101709209B1 (ko) 돌출형 케이블과 트러스구조로 변단면 구조를 보강하여 강성을 증대시킨 저형고 pc콘크리트빔 구조
US9505468B2 (en) Floating platform
KR101707942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83671B1 (ko)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강재정착구와 상하 플랜지에보강재를 설치하여 제작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2614942B1 (ko) 흙막이벽의 프리캐스트 외장 패널 시공 방법
JP6817589B1 (ja) 杭支持構造物の構築方法
KR100934980B1 (ko) 케이슨 상치 콘크리트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케이슨 상치 콘크리트 시공방법
KR102304567B1 (ko) 측방연결수단을 이용한 파이형 프리캐스트 슬래브 시공방법
KR101627658B1 (ko) 전단키 일체형 파일빔 및 이를 이용한 복합형 교량 시공방법
KR101094099B1 (ko) 주름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CN210947345U (zh) 一种用于超长建筑结构的温度应力释放结构
KR100417487B1 (ko) 쇄석 채움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