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087B1 - 엔진블럭 회전 지그 - Google Patents

엔진블럭 회전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087B1
KR101963087B1 KR1020180123261A KR20180123261A KR101963087B1 KR 101963087 B1 KR101963087 B1 KR 101963087B1 KR 1020180123261 A KR1020180123261 A KR 1020180123261A KR 20180123261 A KR20180123261 A KR 20180123261A KR 101963087 B1 KR101963087 B1 KR 101963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block
hole
locking rod
elongated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성환
Original Assignee
진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환 filed Critical 진성환
Priority to KR1020180123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0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07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for engines, motor-vehicles or b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holders for tool or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는 엔진블럭 회전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대(110)가 설치된 대차부(100)와; 지지대(110)에 탑재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회전시키는 핸들(210) 및 그 핸들(210)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반(220)을 가지는 기어박스(200)와; 회전반(2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공(300)과; 체결공(300)에 의하여 회전반(220)에 위치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엔진블럭(10)을 지지하는 지지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엔진블럭 회전 지그{Engine block rotation jig}
본 발명은 엔진블럭을 핸들링하는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엔진의 조립과 분해 과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엔진블럭 회전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엔진에는 다수의 부품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을 조립하고 분해하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엔진을 조립하거나 분해할 때에는 엔진블럭의 한 쪽 면에서만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하좌우 모든 방향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가 임의의 방향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럼에도, 기존에는 엔진블럭을 작업대 위에 올려놓고 조립과 분해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에, 예컨대 바닥면 쪽에 대해 작업을 하려면 무거운 엔진블럭을 매번 들어서 뒤집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었다. 이렇게 되면, 작업 속도도 느려질 뿐 아니라, 중량물을 너무 빈번하게 작업자가 옮겨야 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엔진블럭의 조립이나 분해를 위한 핸들링 시 작업자의 부담을 줄여서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해줄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특허공개번호 10-2002-076814호에 엔진고정용 지그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습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엔진블럭 조립 시 중량체의 핸들링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엔진블럭 회전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을 위한 경보 기능도 겸비한 엔진블럭 회전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엔진블럭 회전 지그는,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대(110)가 설치된 대차부(100)와, 상기 지지대(110)에 탑재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회전시키는 핸들(210) 및 그 핸들(210)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반(220)을 가지는 기어박스(200)와, 상기 회전반(2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공(300)와, 상기 체결공(300)에 의하여 회전반(220)에 위치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엔진블럭(10)을 지지하는 지지부(400)를 포함하는 엔진블럭 회전 지그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100)는, 상기 지지대(110)가 후방측에 위치되고 전방측에 상기 엔진블럭(10)이 안착되는 공간이 형성된 적치대(120)와, 상기 적치대(120)를 이동시키는 이동바퀴(130)와, 상기 적치대(120)를 위치고정하기 위한 스토퍼(140)와, 상기 적치대(120)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이동을 위하여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15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회전반(220)의 체결공(300)에 결합되는 체결볼트(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내측에 제1장공(411)이 형성된 3 개의 제1장공부재(410)와; 내측에 제2장공(421)이 형성된 3개의 제2장공부재(420)와; 각각의 상기 제2장공부재(420)를 제1장공부재(410)를 따라 전후 이동되게 함과 동시에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장공(411)과 제2장공(421)을 관통하여 상기 제1,2장공부재(410)(420)를 축결합시키는 축부재(430)와; 상기 제2장공부재(420)의 단부에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고정되는 록킹로드(440)와; 상기 록킹로드(440)를 관통하여 상기 엔진블럭(10)에 체결되는 록킹볼트(450);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로드(440)는, 내측 전방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1내직경(D1)을 가지는 나사공(441)과, 상기 나사공(441)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내직경(D1) 보다 큰 제2내직경(D2)을 가지는 비나사공(442)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반(2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록킹로드(440)가 엔진블럭(10)을 체결시켜 들어올린 상태에서만 엔진블럭(10)을 감지하는 센서(510)와, 상기 센서(510)에 연동되어 상기 엔진블럭(10)을 감지하였을 때 발광되는 경광등(5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중량체인 엔진블럭의 조립 및 분해 작업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고, 회전반이 360도 회전 가능하므로 엔진블럭의 조립 및 분해 작업을 어느 각도에서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3 개의 제1,2장공부재 및 3개의 록킹로드에 의해 최소한의 부재로 엔진블럭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각각의 제1,2장공부재에 형성된 제1,2장공에 의하여 록킹로드의 위치 조정의 자유도를 최대한으로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엔진블럭을 감지하는 센서 및 센서에 연동되어 발광되는 경광등을 포함함으로서, 해당 작업자 뿐 아니라 주변에 있는 다른 작업자들에게도 주의 신호를 보낼 수 있게 되어, 작업의 집중력을 높여서 오조작이나 충돌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블럭 회전 지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엔진블럭 회전 지그로 엔진블럭을 지지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기어박스, 체결공 및 지지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지지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록킹로드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엔진블럭 회전 지그에 엔진블럭을 감지 및 알리기 위한 센서 및 경광등이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블럭 회전 지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엔진블럭 회전 지그로 엔진블럭을 지지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기어박스, 체결공 및 지지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엔진블럭 회전 지그는,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대(110)가 설치된 대차부(100)와; 지지대(110)에 탑재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회전시키는 핸들(210) 및 그 핸들(210)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반(220)을 가지는 기어박스(200)와; 회전반(2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공(300)과; 체결공(300)에 의하여 회전반(220)에 위치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엔진블럭(10)을 지지하는 지지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차부(100)는, 지지대(110)가 후방측에 위치되고 전방측에 상기 엔진블럭(10)이 안착되는 공간이 형성된 적치대(120)와, 적치대(120)를 이동시키는 이동바퀴(130)와, 적치대(120)를 위치고정하기 위한 스토퍼(140)와, 적치대(120)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이동을 위하여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150)를 포함한다.
적치대(120)는 엔진블럭(10)과 같은 중량체를 얹어놓는다. 스토퍼(140)는 특정 장소까지 이동된 적치대가 움직이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하며, 손잡이(150)는 적치대(120)를 다른 장소로 이송시킨다.
기어박스(200)는, 지지대(110)에 탑재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회전시키는 핸들(210) 및 그 핸들(210)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반(220)을 포함한다. 기어박스(200) 안에는 회전구동을 위한 일반적인 기어와 베어링 및 축 요소들이 배치되어 있고, 핸들(210)의 회전에 의하여 작은 힘에 의하여 후술할 엔진블럭(10)을 지지하는 회전반(2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체결공(300)은 회전반(220)에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후술할 지지부(400)를 지지하기 위한 체결볼트(310)가 체결된다. 이러한 체결공(300)은 회전반(220)의 주위에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지부(400)의 체결위치를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엔진블럭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지지부(400)의 체결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지지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록킹로드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400)는, 회전반(220)의 체결공(300)에 체결볼트(31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내측에 제1장공(411)이 형성된 제1장공부재(410)와; 내측에 제2장공(421)이 형성된 제2장공부재(420)와; 제1장공(411)과 제2장공(421)을 관통하여 제1,2장공부재(410)(420)를 축결합시키는 축부재(430)와; 제2장공부재(420)의 단부에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고정되는 록킹로드(440)와; 록킹로드(440)를 관통하여 상기 엔진블럭(10)에 체결되는 록킹볼트(450);를 포함한다.
제1장공부재(410)는 회전반(220)의 체결공(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장공(411)이 형성되어 있다.
축부재(430)는 제1,2장공(411)(421)을 관통하여 제1,2장공부재(410)(420)를 축결합함으로서, 제2장공부재(420)는 제1장공부재(410)를 따라 전후 이동됨과 동시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한다.
록킹로드(440)는 제2장공부재(420)의 단부에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입체적인 형태의 엔진블럭(10)의 내측까지 진입할 수 있다.
록킹볼트(450)는 엔진블럭(10)을 관통한 후 록킹로드(440)에 체결됨으로써, 엔진블럭(10)을 록킹로드(440)에 위치 고정시킨다.
여기서, 록킹로드(440)에 나사공이 형성될 경우, 록킹볼트(450)는 엔진블럭(10)의 체결홀을 관통한 후 록킹로드(440)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엔진블럭(10)을 록킹볼트(450)에 위치 고정시킨다.
그리고 록킹로드(440)에 비나사공이 형성될 경우, 록킹볼트(450)가 엔진블럭(10)의 체결홀(미도시) 및 비나사공을 관통하고, 이후 록킹로드(440)의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볼트단에 너트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엔진블럭(10)을 록킹볼트(450)에 위치 고정시킨다.
한편 록킹로드(440)의 내측 전방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내직경(D1)을 가지는 나사공(441)과, 나사공(441)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내직경(D1) 보다 큰 제2내직경(D2)을 가지는 비나사공(442), 즉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나사공(442)이 형성된다. 이 경우, 록킹볼트(450)는 록킹로드(440) 후방측으로부터 비나사공(442) 내측으로 일단 삽입된 후 나사공(441) 및 엔진블럭(10)에 형성되는 체결홀(미도시)에 직접 체결될 수 있다. 이때 록킹볼트(450)는 비나사공(442)에서는 단순히 삽입되기 때문에 나사공(4410) 체결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엔진블럭(10)을 폭킹로드(440)에 위치 고정시키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400)의 구조에 의하여, 록킹로드(440)는 제1,2장공(411)(421)의 교차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특정한 크기 및 형태의 엔진블럭(10)을 범용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엔진블럭(10)의 종류에 따라 체결홀의 위치가 저마다 다를 수 있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반(230)에 제1장공부재(410)를 고정시키는 위치와, 제1,2장공부재(410)(420)에 의하여 록킹로드(440)의 고정 위치를 모두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록킹로드(440)의 위치 조정의 자유도가 높아서 어떤 규격(다양한 크기 및 체결홈의 다양한 위치)의 엔진블럭(10) 이라도 록킹로드(440)를 무난하게 매칭시켜 체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도 1의 엔진블럭 회전 지그에 엔진블럭을 감지 및 알리기 위한 센서 및 경광등이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블럭 회전 지그는 엔진블럭(10)을 감지하는 센서(510)와, 상기 센서(510)에 연동되어 발광되는 경광등(5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510)는 록킹로드(440)에 설치되는 회전반(220)에 설치되어, 록킹로드(440)가 엔진블럭(10)을 체결시켜 들어올린 상태에서만 엔진블럭(10)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해당 작업자 뿐 아니라 주변에 있는 다른 작업자들에게도 주의 신호를 보낼 수 있게 되어, 작업의 집중력을 높여서 오조작이나 충돌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이와 같은 구성의 엔진블럭 회전 지그를 이용한 엔진블럭 조립과 분해 작업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먼저, 대차부(100)를 작업할 장소로 이동시킨다. 이때, 대차부(100)의 적치대(120)에 작업할 엔진블럭(10)을 싣고 갈 수도 있고, 작업 장소로 가서 실을 수도 있다.
일단, 작업 장소를 잡으면 상기 스토퍼(140)로 대차부(100)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킨 후, 호이스트(미도시)로 엔진블럭(10)을 들어올린다.
그런 다음, 엔진블럭(10)에 있는 여러 체결홀 중에서 체결에 적정한 체결홀을 골라서 해당 체결홀에 맞도록 지지부(400)의 3개의 록킹로드(440)의 위치를 조정한다.
그리고 록킹로드(440)의 위치가 조정되면, 해당 체결홀에 록킹볼트(450)를 끼우고 반대편에서 너트로 조여 체결시킨다. 그러면 엔진블럭(10)은 록킹로드(440)에 체결되어 공중에 들려진 상태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핸들(210)을 돌리면 회전되는 회전반(220)에 의하여 엔진블럭(10)은 회전되고, 작업자는 원하는 위치로 엔진블럭(10)을 회전 위치시켜 조립이나 분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회전반(220)은 360도 회전이 가능하므로, 엔진블럭(10)의 바닥면이 위로 가도록 돌려서 작업할 수도 있고, 좌측면이나 우측면이 위로 가도록 돌려서 작업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접근하기 편한 위치로 엔진블럭(10)을 자유자재로 돌려놓고 작업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하기가 매우 편리해지고 중량물을 작업자가 손으로 들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도 없어지게 되고, 따라서 작업 생산성과 안정성이 모두 향상될 수 있다.
즉, 중량체인 엔진블럭(10)의 조립 및 분해 작업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고, 회전반(220)이 360도 회전 가능하므로 엔진블럭의 조립 및 분해 작업을 어느 각도에서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3 개의 제1,2장공부재(410)(420) 및 3개의 록킹로드(440)에 의해 최소한의 부재로 엔진블럭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각각의 제1,2장공부재(410)(420)에 형성된 제1,2장공(411)(421)에 의하여 록킹로드(440)의 위치 조정의 자유도를 최대한으로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엔진블럭(10)을 감지하는 센서(510) 및 센서(510)에 연동되어 발광되는 경광등(520)을 포함함으로서, 해당 작업자 뿐 아니라 주변에 있는 다른 작업자들에게도 주의 신호를 보낼 수 있게 되어, 작업의 집중력을 높여서 오조작이나 충돌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엔진블럭 100 ... 대차부
110 ... 지지대 120 ... 적치대
130 ... 이동바퀴 140 ... 스토퍼
150 ... 손잡이 200 ... 기어박스
210 ... 핸들 220 ... 회전반
300 ... 체결공 310 ... 체결볼트
400 ... 지지부 410 ... 제1장공부재
411 ... 제1장공 420 ... 제2장공부재
421 ... 제2장공 430 ... 축부재
440 ... 록킹로드 441 ... 나사공
442 ... 비나사공 450 ... 록킹볼트
510 ... 센서 520 ... 경광등

Claims (5)

  1.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대(110)가 설치된 대차부(100)와, 상기 지지대(110)에 탑재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회전시키는 핸들(210) 및 그 핸들(210)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반(220)을 가지는 기어박스(200)와, 상기 회전반(2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공(300)와, 상기 체결공(300)에 의하여 회전반(220)에 위치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엔진블럭(10)을 지지하는 지지부(400)를 포함하는 엔진블럭 회전 지그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100)는, 상기 지지대(110)가 후방측에 위치되고 전방측에 상기 엔진블럭(10)이 안착되는 공간이 형성된 적치대(120)와, 상기 적치대(120)를 이동시키는 이동바퀴(130)와, 상기 적치대(120)를 위치고정하기 위한 스토퍼(140)와, 상기 적치대(120)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이동을 위하여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15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회전반(220)의 체결공(300)에 결합되는 체결볼트(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내측에 제1장공(411)이 형성된 3 개의 제1장공부재(410)와; 내측에 제2장공(421)이 형성된 3개의 제2장공부재(420)와; 각각의 상기 제2장공부재(420)를 제1장공부재(410)를 따라 전후 이동되게 함과 동시에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장공(411)과 제2장공(421)을 관통하여 상기 제1,2장공부재(410)(420)를 축결합시키는 축부재(430)와; 상기 제2장공부재(420)의 단부에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고정되는 록킹로드(440)와; 상기 록킹로드(440)를 관통하여 상기 엔진블럭(10)에 체결되는 록킹볼트(450);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로드(440)는, 내측 전방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1내직경(D1)을 가지는 나사공(441)과, 상기 나사공(441)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내직경(D1) 보다 큰 제2내직경(D2)을 가지는 비나사공(442)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반(2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록킹로드(440)가 엔진블럭(10)을 체결시켜 들어올린 상태에서만 엔진블럭(10)을 감지하는 센서(510)와, 상기 센서(510)에 연동되어 상기 엔진블럭(10)을 감지하였을 때 발광되는 경광등(5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블럭 회전 지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23261A 2018-10-16 2018-10-16 엔진블럭 회전 지그 KR101963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261A KR101963087B1 (ko) 2018-10-16 2018-10-16 엔진블럭 회전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261A KR101963087B1 (ko) 2018-10-16 2018-10-16 엔진블럭 회전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087B1 true KR101963087B1 (ko) 2019-03-27

Family

ID=65906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261A KR101963087B1 (ko) 2018-10-16 2018-10-16 엔진블럭 회전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0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776A (ko) * 2020-09-03 2022-03-11 박규태 변속기 고정지그
CN115194687A (zh) * 2022-07-29 2022-10-18 山东省章丘鼓风机股份有限公司 一种叶轮轴定位装置及定位方法
CN117340850A (zh) * 2023-10-25 2024-01-05 广州三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船舶发动机维修用辅助装置
KR20240000755U (ko) 2022-10-28 2024-05-0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계량배관 스트레이너 세척관련 블라인드 플랜지 분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7261A (ja) * 1993-04-07 1994-10-25 Nissan Motor Co Ltd ワーク保持装置
JPH09192949A (ja) * 1996-01-23 1997-07-29 Kubota Corp エンジンの分解組立用台車
KR0128726B1 (ko) * 1995-11-24 1998-04-04 김태구 중량물 분해조립용 지그
KR20090080639A (ko) * 2008-01-22 2009-07-27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엔진 오버홀 작업을 위한 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7261A (ja) * 1993-04-07 1994-10-25 Nissan Motor Co Ltd ワーク保持装置
KR0128726B1 (ko) * 1995-11-24 1998-04-04 김태구 중량물 분해조립용 지그
JPH09192949A (ja) * 1996-01-23 1997-07-29 Kubota Corp エンジンの分解組立用台車
KR20090080639A (ko) * 2008-01-22 2009-07-27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엔진 오버홀 작업을 위한 지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776A (ko) * 2020-09-03 2022-03-11 박규태 변속기 고정지그
KR102402265B1 (ko) * 2020-09-03 2022-05-25 박규태 변속기 고정지그
CN115194687A (zh) * 2022-07-29 2022-10-18 山东省章丘鼓风机股份有限公司 一种叶轮轴定位装置及定位方法
CN115194687B (zh) * 2022-07-29 2024-01-19 山东省章丘鼓风机股份有限公司 一种叶轮轴定位装置及定位方法
KR20240000755U (ko) 2022-10-28 2024-05-0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계량배관 스트레이너 세척관련 블라인드 플랜지 분해장치
CN117340850A (zh) * 2023-10-25 2024-01-05 广州三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船舶发动机维修用辅助装置
CN117340850B (zh) * 2023-10-25 2024-04-02 广州三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船舶发动机维修用辅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087B1 (ko) 엔진블럭 회전 지그
US7665200B1 (en) Multiple purpose CNC machine
US8419509B2 (en) Swivel device and grinding machine incorporating the same
US20150366627A1 (en) Rotatable connection having rotational angle limitation
US8848101B2 (en) Orientable head for supporting video-photographic equipment
KR20160034314A (ko) 얇은 대형 베어링의 시험 장치
CN106736344B (zh) 汽车变速箱流水线用托盘装置
JPH09503448A (ja) 電磁空気式機械加工用ジグ
US5204507A (en) Work rotating device for laser beam machine tool
CA2071449C (en) Universal hold-down assembly for pump assemblies and the like
US4816955A (en) Robot joint with an electric drive motor
US20060153655A1 (en) Machine tool having a C-shaped frame
CN207273047U (zh) 一种用于汽车转向机构正面碰撞试验的夹紧装置
CN210209336U (zh) 自动调节式操作工具支架及带有支架的模具拆合设备
JPS6035584Y2 (ja) 心なし研削盤の研削位置包囲用ケ−シング
US9049925B1 (en) Tool mounting structure
KR100217938B1 (ko) 머시닝센터의 로터리테이블
US5711198A (en) Vertical lathe workpiece support structure
KR101289788B1 (ko) 공작기계용 경사조절베드의 클램핑 장치
CN105377667A (zh) 转向装置
CN115194525B (zh) 机械加工定位设备
JP6380190B2 (ja) 工作機械
CN220902405U (zh) 一种焊接夹具及台焊装置
JP7046430B2 (ja) ワーク支持治具
CN211759848U (zh) 一种多角度加工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