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084B1 - 계면 슬러지 자동 샘플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계면 슬러지 자동 샘플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084B1
KR101963084B1 KR1020180066801A KR20180066801A KR101963084B1 KR 101963084 B1 KR101963084 B1 KR 101963084B1 KR 1020180066801 A KR1020180066801 A KR 1020180066801A KR 20180066801 A KR20180066801 A KR 20180066801A KR 101963084 B1 KR101963084 B1 KR 101963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treatment tank
measuring
measurement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화
Original Assignee
이준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화 filed Critical 이준화
Priority to KR1020180066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dip members, e.g. dip-sti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29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using visual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9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 G01N21/53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within a flowing fluid, e.g. smoke
    • G01N21/534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within a flowing fluid, e.g. smoke by measuring transmission alone, i.e. determining opac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06Dispersed solids
    • G01N2001/1012Suspensions
    • G01N2001/1025Liquid suspensions; Slurries; Mud; Slud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시설의 처리조 내부에 쌓이는 슬러지를 측정하기 위한 슬러지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처리조 위에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다중 레일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처리조 바닥으로 승강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로 출입하면서 상기 처리조 내부에 침전된 슬러지의 단층을 채워 들어올리도록 투명한 유리 또는 아크릴로 형성하되, 하단에는 힌지 결합된 상태로 개폐되면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개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마개가 설치된 측정관; 상기 지지대를 통해 설치하되, 정역모터에 의하여 제1 권취롤에 풀리고 감기면서 상기 슬라이더를 오르내리는 제1 와이어; 상기 지지대를 통해 설치하되, 정역모터에 의해 제2 권취롤에 풀리고 감기는 한편 일단이 상기 측정관의 마개와 연결되어 상기 마개를 개폐하는 제2 와이어; 및 상기 슬라이더 또는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관에 채워진 슬러지의 높이를 감지하는 계측 센서 모듈;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슬러지를 담기 위한 측정관의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운용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은 물론이고, 측정관을 통한 슬러지의 측정이 더욱 정확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운용의 정확성이 더욱 향상되는 슬러지 측정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계면 슬러지 자동 샘플 측정장치{Auto-measuring equipment for interfacial sludge}
본 발명은 수처리시설의 처리조 내부에 쌓이는 슬러지를 측정하기 위한 계면 슬러지 자동 샘플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처리장이나 하수처리장에서 물을 정수할 때에는 침전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침전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이 슬러지다. 따라서 수처리 공정에서 슬러지의 처리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상기 슬러지의 처리를 위해서는 슬러지의 측정과 이의 감시가 중요하다.
종래 슬러지의 측정방법을 살펴보면 크게 수동측정과 자동측정으로 구분되는데, 수동측정이란 작업자가 직접 아크릴 통 형태의 게이지를 이용하여 슬러지의 침전 높이를 측정하는 것이고, 자동측정이란 초음파나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슬러지의 침전 높이를 측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초음파나 적외선 등을 이용한 슬러지 자동측정장치의 경우 부상하는 슬러지의 발생 시 측정이 어렵고 정확하지 않은 문제점은 물론이고, 센서의 고장이나 많은 부속장비로 인해 유지 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슬러지 깊이 측정장치'의 실시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92106호(2000.08.16. 공고)에는 침전지를 형성하고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상부에 형성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활주하는 바퀴가 설치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릴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침전지에 투입되는 투명관;을 포함하는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슬러지 깊이 측정장치에 의하면 상기 투명관이 케이블에 의해서 승강하기 때문에 바람이나 조류에 의해 투명관이 움직이는 등 운용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투명관을 상승시킨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직접 투명관의 눈금을 확인하고 기록해야 하는 등 운용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슬러지의 측정을 자동으로 감시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되, 처리조 안의 슬러지를 샘플링하여 처리조 밖에서 자동으로 측정하도록 측정관이 안정적으로 승강하도록 하고, 측정관을 통한 슬러지의 측정이 더욱 정확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계면 슬러지 자동 샘플 측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수 처리를 위한 수처리시설의 처리조 내부에 쌓이는 슬러지를 측정하기 위한 슬러지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 위에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다중 레일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처리조 바닥으로 승강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로 출입하면서 상기 처리조 내부에 침전된 슬러지의 단층을 채워 들어올리도록 투명한 유리 또는 아크릴로 형성하고, 하단에는 힌지 결합된 상태로 개폐되면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개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마개가 설치된 측정관; 상기 슬라이더지지대를 통해 설치하며, 정역모터에 의해 제1 권취롤에 풀리고 감기면서 상기 슬라이더를 오르내리는 제1 와이어; 상기 지지대를 통해 설치하며, 정역모터에 의해 제2 권취롤에 풀리고 감기는 한편 일단이 상기 측정관의 마개와 연결되어 상기 마개를 개폐하는 제2 와이어; 및 상기 슬라이더 또는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관에 채워진 슬러지의 높이를 감지하는 계측 센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는 상단에 상기 제1,2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제1,2 풀리가 설치된다.
상기 측정관의 하단과 상기 마개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고무 패킹이 설치된다.
상기 계측 센서 모듈은 슬러지 높이와 함께 상기 하수의 투명도 및 색도를 측정하도록 다수개의 센서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정관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역모터와 계측 센서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계측 센서 모듈로부터 감지된 슬러지의 측정값을 데이터로 저장하며, 상기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중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계면 슬러지 자동 샘플 측정장치에 의하면 슬러지를 담기 위한 측정관의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운용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은 물론이고, 측정관을 통한 슬러지의 측정이 더욱 정확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운용의 정확성과 효율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계면 슬러지 자동 샘플 측정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계면 슬러지 자동 샘플 측정장치를 도시한 요부 설명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계면 슬러지 자동 샘플 측정장치의 작동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계면 슬러지 자동 샘플 측정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요부 설명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계면 슬러지 자동 샘플 측정장치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처리조 위에 설치되는 지지대(100), 상기 지지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다중 레일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처리조 바닥으로 승강하는 슬라이더(200),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로 출입하면서 상기 처리조 내부에 침전된 슬러지의 단층을 채워 들어올리도록 투명한 유리 또는 아크릴로 형성하되, 하단에는 힌지 결합된 상태로 개폐되면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개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마개(310)가 설치된 측정관(300), 상기 지지대를 통해 설치하되, 정역모터에 의하여 제1 권취롤(410)에 풀리고 감기면서 상기 슬라이더를 오르내리는 제1 와이어(400), 상기 지지대를 통해 설치하되, 정역모터에 의해 제2 권취롤(510)에 풀리고 감기는 한편 일단이 상기 측정관의 마개와 연결되어 상기 마개를 개폐하는 제2 와이어(500); 및 상기 슬라이더 또는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관에 채워진 슬러지의 높이를 감지하는 계측 센서 모듈(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00)는 처리조(10)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 형태로 절곡되면서 상기 처리조의 상부의 출입구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대(100)는 실시 예로서 상단에 상기 제1,2 와이어(400, 500)를 안내하기 위한 제1,2 풀리(110, 12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지지대(100)의 일측에는 상기 제1,2 와이어(400, 500)를 감거나 풀기 위한 제1,2 권취롤(410, 510)이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기 지지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다중 레일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처리조 바닥으로 승강한다. 즉, 상기 슬라이더(200)는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이 'ㄷ' 형태로 형성되면서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레일이 결합된 것으로서 도 4와 같이 길이가 줄거나 도 7과 같이 길이가 늘어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슬라이더(200)의 구성을 통해 상기 측정관(300)은 바람이나 조류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측정관(300)은 상기 슬라이더(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조(10) 내부로 출입하면서 상기 처리조 내부에 침전된 슬러지의 단층을 채워 들어올리도록 투명한 유리관 형태로 형성하되, 하단에는 힌지 결합된 상태로 개폐되면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개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마개(31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측정관(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비이커 또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슬러지가 채워지도록 하되, 하단에 형성된 마개(310)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면서 그 안에 슬러지를 채우거나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마개(310)는 예를 들어 힌지 축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에 의해 항상 개방된 상태이므로 하강시 그 내부로 슬러지가 자연스럽게 채워지고, 상승시에는 상기 제2 와이어(500)의 작동에 의해 닫힌 상태가 되므로 저장된 하수와 슬러지가 배출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측정관(300)은 실시 예로서 하단과 상기 마개(310)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고무 패킹(32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고무 패킹(320)의 설치를 통해 내부에 채워진 하수 또는 슬러지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와이어(400)는 상기 지지대(100)를 통해 설치하되, 정역모터에 의하여 제1 권취롤(410)에 풀리고 감기면서 상기 슬라이더(200)를 오르내리게 한다. 이때, 상기 제1 권취롤(4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00)의 일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절곡된 상단에 직접 설치하여 별도의 풀리 없이 운용 가능하다.
상기 제2 와이어(500)는 상기 지지대(100)를 통해 설치하되, 정역모터에 의해 제2 권취롤(510)에 풀리고 감기는 한편 일단이 상기 측정관(300)의 마개(310)와 연결되어 상기 마개를 개폐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와이어(500)는 상기 제1 와이어(400)와 함께 풀리고 감기는 작용이 이루어지되 상기 마개(310)를 개폐하기 위해서 소정 길이만큼 더 풀리고 감기는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계측 센서 모듈(600)은 상기 슬라이더(200) 또는 지지대(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관(300)에 채워진 슬러지의 높이를 감지한다.
상기 계측 센서 모듈(600)은 실시 예로서 슬러지 높이와 함께 상기 하수의 투명도 및 색도를 측정하도록 다수개의 센서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실시 예로서 상기 측정관(300)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감시 카메라(7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00)의 일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역모터와 계측 센서 모듈(600)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계측 센서 모듈로부터 감지된 슬러지의 측정값을 데이터로 저장하며, 상기 감시 카메라(7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중앙제어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중앙제어부(800)의 구성을 통해 슬러지의 측정 과정이 전자동화되는 것은 물론이고, 측정된 슬러지의 데이터와 슬러지의 검사 데이터를 통합 관리할 수 있어서 수처리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슬러지를 담기 위한 측정관의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운용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은 물론이고, 측정관을 통한 슬러지의 측정이 더욱 정확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운용의 정확성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10: 처리조
100: 지지대 110: 제1 풀리
120: 제2 풀리
200: 슬라이더
300: 측정관 310: 마개
320: 고무 패킹
400: 제1 와이어 410: 제1 권취롤
500: 제2 와이어 510: 제2 권취롤
600: 계측 센서
700: 감시 카메라
800: 중앙제어부

Claims (6)

  1. 하수 처리를 위한 수처리시설의 처리조 내부에 쌓이는 슬러지를 측정하기 위한 슬러지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 위에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다중 레일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처리조 바닥으로 승강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로 출입하면서 상기 처리조 내부에 침전된 슬러지의 단층을 채워 들어올리도록 투명한 유리 또는 아크릴로 형성하되, 하단에는 힌지 결합된 상태로 개폐되면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개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마개가 설치된 측정관;
    상기 지지대를 통해 설치하되, 정역모터에 의하여 제1 권취롤에 풀리고 감기면서 상기 슬라이더를 오르내리는 제1 와이어;
    상기 지지대를 통해 설치하되, 정역모터에 의해 제2 권취롤에 풀리고 감기는 한편 일단이 상기 측정관의 마개와 연결되어 상기 마개를 개폐하는 제2 와이어; 및
    상기 슬라이더 또는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관에 채워진 슬러지의 높이를 감지하는 계측 센서 모듈;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 슬러지 자동 샘플 측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단에 상기 제1,2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제1,2 풀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 슬러지 자동 샘플 측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관의 하단과 상기 마개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고무 패킹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 슬러지 자동 샘플 측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측 센서 모듈은 슬러지 높이와 함께 상기 하수의 투명도 및 색도를 측정하도록 다수개의 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 슬러지 자동 샘플 측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관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 슬러지 자동 샘플 측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정역모터와 계측 센서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계측 센서 모듈로부터 감지된 슬러지의 측정값을 데이터로 저장하며, 상기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중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 슬러지 자동 샘플 측정장치.
KR1020180066801A 2018-06-11 2018-06-11 계면 슬러지 자동 샘플 측정장치 KR101963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801A KR101963084B1 (ko) 2018-06-11 2018-06-11 계면 슬러지 자동 샘플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801A KR101963084B1 (ko) 2018-06-11 2018-06-11 계면 슬러지 자동 샘플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084B1 true KR101963084B1 (ko) 2019-03-27

Family

ID=65906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801A KR101963084B1 (ko) 2018-06-11 2018-06-11 계면 슬러지 자동 샘플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08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01313A (zh) * 2019-09-05 2019-11-26 江苏省渔业技术推广中心 一种水环境监测台站透明度实时自动监测装置及其使用方法
CN110542581A (zh) * 2019-09-05 2019-12-06 中国地质科学院水文地质环境地质研究所 可测水位的取水装置
CN112461596A (zh) * 2020-12-14 2021-03-09 陈国庆 生活饮用水全自动采样器
CN112629621A (zh) * 2020-12-01 2021-04-09 北京科技大学 一种测量膏体浓密机泥层高度的简易高精度装置及方法
CN113984147A (zh) * 2021-10-26 2022-01-28 杭州艾科赛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移动的非接触式泥层界面仪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0623A (ja) * 1994-04-14 1995-10-27 Fujita Corp 沈殿槽における汚泥界面の計測装置
KR200192106Y1 (ko) * 2000-03-21 2000-08-16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슬러지 깊이 측정장치
JP2002286527A (ja) * 2001-03-23 2002-10-03 Sumitomo Heavy Ind Ltd 汚泥界面検知器および汚泥界面計測装置
KR200456058Y1 (ko) * 2008-12-26 2011-10-11 한국중부발전(주) 수질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0623A (ja) * 1994-04-14 1995-10-27 Fujita Corp 沈殿槽における汚泥界面の計測装置
KR200192106Y1 (ko) * 2000-03-21 2000-08-16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슬러지 깊이 측정장치
JP2002286527A (ja) * 2001-03-23 2002-10-03 Sumitomo Heavy Ind Ltd 汚泥界面検知器および汚泥界面計測装置
KR200456058Y1 (ko) * 2008-12-26 2011-10-11 한국중부발전(주) 수질 측정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01313A (zh) * 2019-09-05 2019-11-26 江苏省渔业技术推广中心 一种水环境监测台站透明度实时自动监测装置及其使用方法
CN110542581A (zh) * 2019-09-05 2019-12-06 中国地质科学院水文地质环境地质研究所 可测水位的取水装置
CN110542581B (zh) * 2019-09-05 2024-04-19 中国地质科学院水文地质环境地质研究所 可测水位的取水装置
CN112629621A (zh) * 2020-12-01 2021-04-09 北京科技大学 一种测量膏体浓密机泥层高度的简易高精度装置及方法
CN112629621B (zh) * 2020-12-01 2021-11-12 北京科技大学 一种测量膏体浓密机泥层高度的简易高精度装置及方法
CN112461596A (zh) * 2020-12-14 2021-03-09 陈国庆 生活饮用水全自动采样器
CN113984147A (zh) * 2021-10-26 2022-01-28 杭州艾科赛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移动的非接触式泥层界面仪
CN113984147B (zh) * 2021-10-26 2023-09-26 杭州艾科赛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移动的非接触式泥层界面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084B1 (ko) 계면 슬러지 자동 샘플 측정장치
CN110186716B (zh) 一种高保真定深水样采集装置
CN104749116A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水环境监测装置
CN110345933B (zh) 一种用于房屋倾斜度的新型检测装置
US20150300867A1 (en) Device with function for measuring the volumetric changes in a substance
CN210374920U (zh) 一种污水处理沉淀池污泥厚度的检测装置
CN217819885U (zh) 光学法泥层位置测量追踪设备
CN111175464A (zh) 一种压力校核下的水质指标垂向分布监测系统及使用方法
JP2009222719A (ja) 透視度計
CN206740218U (zh) 一种液位计校准装置
CN112697088B (zh) 一种砼钢筋保护层非破损的厚度检测机构
JPS6371621A (ja) 打設コンクリ−トの天端深さ測定装置
CN210321716U (zh) 一种倾斜观测装置
KR200192106Y1 (ko) 슬러지 깊이 측정장치
CN214374748U (zh) 一种用于污水处理厂生化池不同深度水质参数的检测装置
KR100989591B1 (ko) 폐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슬러지 누적층 검지장치
CN113089675A (zh) 测量输料导管与混凝土液面高差的方法及装置
CN219347906U (zh) 一种便于对水位观测的降水观测井警报装置
KR200162945Y1 (ko) 수도미터 기차 검사 기구의 실량눈금 판독측정장치
CN213933034U (zh) 一种基于拉绳传感器的桥梁挠度测量装置
CN216945791U (zh) 一种矿井提升机首绳伸长量自动检测装置
KR20080095424A (ko) 광센서를 이용한 교량의 처짐량 측정방법
CN217505839U (zh) 一种生态湿地水环境监测装置
CN218974266U (zh) 一种可适应不同检测高度的桥梁水下桩基裂纹检测装置
CN215677696U (zh) 一种具有可伸缩固定架的地表水准深采样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