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535B1 - 순환형 분말 적층 기반의 3차원 프린팅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순환형 분말 적층 기반의 3차원 프린팅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535B1
KR101962535B1 KR1020170067608A KR20170067608A KR101962535B1 KR 101962535 B1 KR101962535 B1 KR 101962535B1 KR 1020170067608 A KR1020170067608 A KR 1020170067608A KR 20170067608 A KR20170067608 A KR 20170067608A KR 101962535 B1 KR101962535 B1 KR 101962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hamber
plate
raw material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1068A (ko
Inventor
박홍석
웬딘선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67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535B1/ko
Publication of KR20180131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41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solid materials
    • B29C64/153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solid materials using layers of powder being selectively joined, e.g. by selective laser sintering or me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41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soli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14Doct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18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64Arrangements for irradiation
    • B29C64/268Arrangements for irradiation using laser beams; using electron beams [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07Handling of material to be used in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21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1Particles, powder or gran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환형 분말 적층 기반의 3차원 프린팅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프린팅 장치는 3차원 프린팅 공정을 통해 제조물이 성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하부에 위치하며, 피스톤 동작을 통해 플레이트를 상승시켜 원재료 분말을 공급하는 분말 공급부, 상기 챔버의 하부에 위치하며, 피스톤 동작을 통해 플레이트를 하강시켜 레이저에 의해 소결되는 분말층이 형성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가공부, 상기 원재료 분말을 상기 분말 공급부에서 상기 가공부로 이송하며, 상기 가공부가 제공한 공간에 상기 원재료 분말을 적층하는 복수의 이송 부재, 그리고 상기 복수의 이송 부재가 동일한 간격으로 결합되며, 상기 챔버의 양 측면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폐쇄형의 궤도를 따라 순환하는 복수의 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베이어와 유사한 원리로 이송 부재를 순차 이동시키므로 이송 부재를 초기 시작 위치로 옮기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3차원 프린팅 공정에 소비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순환형 분말 적층 기반의 3차원 프린팅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OF 3D PRINTING BASED REVOLVING POWDER COAT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순환형 분말 적층 기반의 3차원 프린팅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3차원 프린팅 공정 시간을 단축시키고 제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순환형 분말 적층 기반의 3차원 프린팅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말 적층 기반의 3차원 프린팅 기술은 원재료 분말이 적층된 분말층을 가열하는 방식을 통해 물품을 제조하는 기술로서, 선택적 레이저 용융(SLM), 전자 빔 용융(EBM), 선택적 레이저 소결(SLS)과 같은 기술이 있다.
분말 적층 기반(Powder Bed Based)의 3차원 프린팅 기술은 재료 선택이 유연하고 자유 설계가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의학, 우주 항공, 자동차 부품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인쇄물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엄격한 공정 파라미터를 요구할 뿐만 아니라 복잡한 제어 과정이 동반된다는 단점으로 인해 해당 분야에서 적용이 쉽지 않다.
분말 적층 기반의 3차원 프린팅 기술은 제조물을 층별로 성형한다. 따라서 제조물의 품질은 분말 층의 품질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분말층은 분말 코팅 공정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도 1은 종래 분말 적층 기반의 3차원 프린팅 공정에서 분말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분말 적층 기법은 도 1에 나타난 제1 단계 내지 제3 단계를 통해 분말층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단계에서는 블레이드가 초기 위치(initial position)에서 분말 운반 지점(Powder delivery piston)을 지나는 과정에서 원재료 분말을 획득한다. 그러면 제2 단계에서 블레이드가 제작 지점(Fabrication Piston)에 원재료 분말을 적층하여 분말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3 단계에서 블레이드는 제1 단계 및 제2 단계에서 이동하였던 경로에 따라 초기 위치(initial position)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제1 단계 내지 제3 단계의 과정은 제조물이 완성될 때까지 반복된다.
하지만 블레이드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오는 과정에서 소비되는 시간으로 인해 프린팅 공정 시간이 요구된다. 그리고 블레이드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 오는 중 형성된 분말층에 접촉하여 분말층을 와해시킬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10-1646773호(2016.08.08.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3차원 프린팅 공정 시간을 단축시키고 제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순환형 분말 적층 기반의 3차원 프린팅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3차원 프린팅 장치는 3차원 프린팅 공정을 통해 제조물이 성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하부에 위치하며, 피스톤 동작을 통해 플레이트를 상승시켜 원재료 분말을 공급하는 분말 공급부, 상기 챔버의 하부에 위치하며, 피스톤 동작을 통해 플레이트를 하강시켜 레이저에 의해 소결되는 분말층이 형성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가공부, 상기 원재료 분말을 상기 분말 공급부에서 상기 가공부로 이송하며, 상기 가공부가 제공한 공간에 상기 원재료 분말을 적층하는 복수의 이송 부재, 그리고 상기 복수의 이송 부재가 동일한 간격으로 결합되며, 상기 챔버의 양 측면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폐쇄형의 궤도를 따라 순환하는 복수의 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이송 부재는, 4개로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동력 전달 부재가 순환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원재료 분말을 분말 공급부에서 가공부로 이송하여 적층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송 부재는, 상기 이송 부재들 사이 간격이 상기 가공부의 플레이트 길이보다 길거나 같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 부재는 스크랩퍼, 블레이드 및 룰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 부재는 체인 또는 벨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공부의 플레이트 위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송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슬롯은, 상기 폐쇄형 궤도의 하부 궤도에 상기 이송 부재의 끝단이 삽입되는 홈을 포함하되, 상기 가공부의 플레이트 길이 및 상기 분말 공급부의 플레이트 길이를 합한 값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팅 장치를 이용한 3차원 프린팅 방법에 있어서, 3차원 프린팅 방법은 상기 동력 전달 부재의 순환에 따라 제1 이송 부재가 상기 원재료 분말을 상기 분말 공급부에서 상기 가공부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가공부가 피스톤 동작을 통해 플레이트를 하강시켜 분말층이 형성되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분말 공급부가 피스톤 동작을 통해 플레이트를 상승시켜 원재료 분말을 공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이송 부재가 상기 원재료 분말을 상기 가공부가 제공한 공간에 적층함과 동시에 제2 이송 부재가 상기 원재료 분말을 상기 분말 공급부에서 상기 가공부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베이어와 유사한 원리로 이송 부재를 순차 이동시키므로 이송 부재를 초기 시작 위치로 옮기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3차원 프린팅 공정에 소비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송 부재 이동시 모터를 한쪽 방향으로만 동작시키므로 모터와 같은 동력 장치의 내구도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송 부재를 초기 시작 위치로 되돌리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말층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어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분말 적층 기반의 3차원 프린팅 공정에서 분말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팅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2 및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환형 분말 적층 기반의 3차원 프린팅 장치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팅 장치(100)는 챔버(110), 분말 공급부(120), 가공부(130), 복수의 이송 부재(140)와 복수의 동력 전달 부재(150)를 포함하며 고정 슬롯(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챔버(110)는 내측에 3차원 프린팅 공정을 통해 제조물이 성형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챔버(110) 내측에서는 분말 재료 적층 및 레이저에 의한 소결 공정이 반복 수행되며, 이러한 공정의 반복 수행을 통해 물건이 제조된다. 3차원 프린팅 공정 중 챔버(110) 내측 공간에는 활성 가스(예를 들어, 산소)에 의한 제조물 변형 방지를 위해 기 설정된 양만큼의 보호 가스가 채워진다.
그리고 챔버(110)의 상부에는 원재료 분말이 적층된 면에 빛을 조사하는 레이저 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레이저 장치는 가공부(130)와 마주보는 챔버(110)의 상부에 설치된다.
한편 챔버(110)는 직육면체의 박스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3차원 프린팅 장치(100)의 공정 특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분말 공급부(120)는 챔버(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피스톤 동작을 통해 플레이트를 상승시켜 원재료 분말을 공급한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말 공급부(120)는 플레이트와 피스톤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된다. 3차원 프린팅 공정 시작 시 분말 공급부(120)는 플레이트 위에 원재료 분말을 적층하며, 피스톤 구동에 따라 플레이트를 상승시켜 일정량의 원재료 분말을 공급한다.
다음으로 가공부(130)는 피스톤 동작을 통해 플레이트를 하강시켜 레이저에 의해 소결되는 분말층이 형성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공부(130)는 플레이트와 피스톤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된다. 3차원 프린팅 공정 시 가공부(130)의 플레이트 위에 원재료 분말이 적층되며, 가공부(130)는 피스톤 구동에 따라 플레이트를 일정한 높이로 상승시켜 일정량의 원재료 분말을 공급한다.
다음으로 이송 부재(140)는 원재료 분말을 분말 공급부(120)에서 가공부(130)로 이송하며, 가공부(130)가 제공한 공간에 원재료 분말을 적층한다.
구체적으로 이송 부재(140)는 복수로 형성되며, 이송 부재(140)들 사이 간격이 가공부(130)의 플레이트 길이보다 길거나 같게 배치된다.
이때 복수의 이송 부재(140)는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4개의 이송 부재(140)는 가공부(130)의 플레이트 길이보다 길거나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는데, 이를 통해 가공부(130) 상단으로 레이저가 조사될 공간이 제공된다.
그리고 이송 부재(140)는 복수의 동력 전달 부재(150)가 순환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원재료 분말을 분말 공급부(120)에서 가공부(130)로 이송하여 적층한다.
한편 이송 부재(140)는 스크랩퍼(scraper), 블레이드(blade), 롤러(roller) 및 룰러(rull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원재료 분말을 이송하거나 적층할 수 있는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력 전달 부재(150)는 복수로 형성되며, 복수의 이송 부재(140)가 동일한 간격으로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2 개의 동력 전달 부재(150)는 챔버(110)의 양 측면에 평행하게 설치되며 폐쇄형의 궤도를 따라 순환한다.
한편 동력 전달 부재(150)는 체인(chain) 또는 벨트(bel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 슬롯(160)은 가공부(130)의 플레이트 위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이송 부재(140)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고정 슬롯(160)은 폐쇄형 궤도의 하부 궤도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이송 부재(140)의 끝단이 삽입되는 홈을 포함한다. 그리고 고정 슬롯(160)은 가공부(130)의 플레이트 길이 및 분말 공급부의 플레이트 길이를 합한 값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동력 전달 부재(150)의 순환에 따라 이송 부재(140)가 이동하는 과정 중, 이송 부재(140)가 원재료 분말을 이송하여 적층하는 구간에서 이송 부재(140)의 끝단이 고정 슬롯(160)의 홈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이송 부재(140)는 원재료 분말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부(130)가 제공하는 분말층 형성 공간에 원재료 분말을 평탄하게 적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팅 장치를 이용한 3차원 프린팅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팅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분말 공급부(120)는 피스톤 동작을 통해 플레이트를 상승시켜 원재료 분말을 공급한다. 즉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말 공급부(120)의 플레이트 상승을 통해 플레이트 위에 쌓여 있는 원재료 분말이 일정 높이만큼 상승함으로써 원재료 분말을 공급한다.
그러면 동력 전달 부재(150)의 순환에 따라, 제1 이송 부재(140a)는 원재료 분말을 분말 공급부(120)에서 가공부(130)로 이송한다(S410). 즉 도 5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5의 (a)에서 분말 공급부(120)에 일정 높이만큼 상승하였던 원재료 분말이 제1 이송 부재(140a)에 의해 가공부(130)로 이송된다.
다음으로 가공부(130)는 피스톤 동작을 통해 플레이트를 하강시켜 분말층이 형성되는 공간을 제공한다(S420). 이와 함께, 분말 공급부(120)는 피스톤 동작을 통해 플레이트를 상승시켜 원재료 분말을 공급한다(S430).
즉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부(130)의 플레이트가 하강하여 분말층이 형성되는 공간이 제공되고, 분말 공급부(120)의 플레이트가 상승하여 일정량의 원재료 분말을 공급한다.
그러면 제1 이송 부재(140a)는 가공부(130)가 제공한 공간에 원재료 분말을 적층한다(S440). 이와 함께, 제2 이송 부재(140b)는 원재료 분말을 분말 공급부(120)에서 가공부(130)로 이송한다(S450).
즉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 부재(140a)에 의해 가공부(130)의 플레이트 위에 분말층이 형성되고, 제2 이송 부재(140b)에 의해 원재료 분말이 가공부(130)로 이송됨을 알 수 있다.
S450 단계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팅 장치(100)는 가공부(130)의 플레이트 위에 적층된 분말층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조물을 성형한다(S360).
즉 도 5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부(130) 위에 형성된 분말층에 레이저가 조사됨으로써 제조물(도 5의 (e)의 분말층에 어두운 부분)이 성형된다.
이후 제조물을 완성할 때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팅 장치(100)는 제1 내지 제4 이송 부재(140a 내지 140d)를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S320 내지 S360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컨베이어와 유사한 원리로 이송 부재를 순차 이동시키므로 이송 부재를 초기 시작 위치로 옮기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3차원 프린팅 공정에 소비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송 부재 이동시 모터를 한쪽 방향으로만 동작시키므로 모터와 같은 동력 장치의 내구도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송 부재를 초기 시작 위치로 되돌리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말층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어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3차원 프린팅 장치
110 : 챔버 120 : 분말 공급부
130 : 가공부 140 : 이송 부재
150 : 동력 전달 부재 160 : 고정 슬롯

Claims (7)

  1. 3차원 프린팅 공정을 통해 제조물이 성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하부에 위치하며, 피스톤 동작을 통해 플레이트를 상승시켜 원재료 분말을 공급하는 분말 공급부,
    상기 챔버의 하부에 상기 분말 공급부와 나란히 위치하며, 피스톤 동작을 통해 플레이트를 하강시켜 레이저에 의해 소결되는 분말층이 형성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가공부,
    스크랩퍼, 블레이드 및 룰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원재료 분말을 상기 분말 공급부에서 상기 가공부로 이송하여, 상기 가공부가 제공한 공간에 상기 원재료 분말을 적층하는 복수의 이송 부재,
    상기 복수의 이송 부재가 동일한 간격으로 고정 결합되며, 상기 챔버의 양 측면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폐쇄형의 궤도를 따라 일방향으로 순환하는 복수의 동력 전달 부재, 그리고
    상기 가공부의 플레이트 위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송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슬롯은,
    상기 폐쇄형 궤도의 하부 궤도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이송 부재의 끝단이 삽입되는 홈을 포함하되, 상기 가공부의 플레이트 길이 및 상기 분말 공급부의 플레이트 길이를 합한 값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이송 부재는,
    4개로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동력 전달 부재가 순환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원재료 분말을 분말 공급부에서 가공부로 이송하여 적층시키고, 상기 이송 부재들 사이 간격이 상기 가공부의 플레이트 길이보다 길거나 같게 배치되며,
    상기 동력 전달 부재는 체인 또는 벨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67608A 2017-05-31 2017-05-31 순환형 분말 적층 기반의 3차원 프린팅 장치 및 그 방법 KR101962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608A KR101962535B1 (ko) 2017-05-31 2017-05-31 순환형 분말 적층 기반의 3차원 프린팅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608A KR101962535B1 (ko) 2017-05-31 2017-05-31 순환형 분말 적층 기반의 3차원 프린팅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068A KR20180131068A (ko) 2018-12-10
KR101962535B1 true KR101962535B1 (ko) 2019-03-26

Family

ID=64670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608A KR101962535B1 (ko) 2017-05-31 2017-05-31 순환형 분말 적층 기반의 3차원 프린팅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5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961B1 (ko) 2021-07-06 2022-05-1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오그제틱(Auxetic) 패턴 탄성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0205A (zh) * 2020-12-03 2021-04-02 首都航天机械有限公司 一种梯度材料结构激光熔化沉积成形用自动混粉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3134A (ja) * 2014-03-31 2015-11-05 日本電子株式会社 三次元積層造形装置
KR101646773B1 (ko) * 2015-02-12 2016-08-08 윈포시스(주) 3차원 프린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3134A (ja) * 2014-03-31 2015-11-05 日本電子株式会社 三次元積層造形装置
KR101646773B1 (ko) * 2015-02-12 2016-08-08 윈포시스(주) 3차원 프린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961B1 (ko) 2021-07-06 2022-05-1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오그제틱(Auxetic) 패턴 탄성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068A (ko) 201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8864B1 (ko) 레이어와이즈 제조 방식에 의한 유형 생산품 제조 방법 및 장치
US9067360B2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ve production
KR101682087B1 (ko) 레이저와 분말을 이용한 3차원 형상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EP027230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n integral object from laminations
KR101962535B1 (ko) 순환형 분말 적층 기반의 3차원 프린팅 장치 및 그 방법
CN111601712B (zh) 用于印刷三维成形结构的3d丝网印刷系统
KR20150115598A (ko) 3차원 조형 장치 및 3차원 형상 조형물의 제조 방법
KR101855184B1 (ko) 가변형 레이저 조사장치를 구비한 3d 프린터
US10828834B2 (en) Plant for additively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objects
JP3557970B2 (ja) 三次元形状造形物の製造方法
CN104972118A (zh) 三维造型装置和三维形状造型物的制造方法
WO2019074107A1 (ja) 粉末供給装置および三次元積層造形装置
KR102424649B1 (ko) 소결체의 제조 장치 및 소결체의 제조방법
JP6794406B2 (ja) 粉末モジュール
JP2015175012A (ja) 3次元積層造形装置及び3次元積層造形方法
KR20180052225A (ko) 3d 프린터의 가공챔버 분할 장치
CN111182985B (zh) 三维造型装置以及三维造型方法
CN113438996B (zh) 用于生成地制造构件的设施和方法
KR102236112B1 (ko) 베드의 일부 영역에서 3차원 프린팅이 가능한 3차원 프린팅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3차원 프린터
CN108430741B (zh) 三维物体的成形装置及制造方法
JP6796440B2 (ja) 積層装置および三次元造形装置
JP2022037806A (ja) 縦型加熱炉
KR102373953B1 (ko) 고정 테이블 및 승강 테이블을 구비한 3차원 프린터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프린팅 방법
EP3023176B1 (en) Contact arrangement for use in an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work pieces
KR101855185B1 (ko) 가열장치를 구비한 3d 프린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