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251B1 - 골형성단백질과 세포외기질이 코팅된 골 이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골형성단백질과 세포외기질이 코팅된 골 이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251B1
KR101962251B1 KR1020177007986A KR20177007986A KR101962251B1 KR 101962251 B1 KR101962251 B1 KR 101962251B1 KR 1020177007986 A KR1020177007986 A KR 1020177007986A KR 20177007986 A KR20177007986 A KR 20177007986A KR 101962251 B1 KR101962251 B1 KR 101962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extracellular matrix
bmp
bone graft
graft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432A (ko
Inventor
정홍희
이정수
이광일
김영식
장주웅
심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루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루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루메드
Publication of KR20170048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human or animal origin of the biological material, e.g. hair, fascia, fish scales, silk, shellac, pericardium, pleura, renal tissue, amniotic membrane, parenchymal tissue, fetal tissue, muscle tissue, fat tissue, enamel
    • A61L27/3608Bone, e.g. demineralised bone matrix [DBM], bone 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2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e.g. degradation products
    • A61L27/227Other specific proteins or polypeptides not covered by A61L27/222, A61L27/225 or A61L27/2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28Materials for coating prostheses
    • A61L27/3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human or animal origin of the biological material, e.g. hair, fascia, fish scales, silk, shellac, pericardium, pleura, renal tissue, amniotic membrane, parenchymal tissue, fetal tissue, muscle tissue, fat tissue, enamel
    • A61L27/3633Extracellular matrix [EC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83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8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2Hydrogels or hydrocoll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002/2817Bone stimulation by chemical reactions or by osteogenic or biological products for enhancing ossification, e.g. by bone morphogenetic or morphogenic proteins [BMP] or by transforming growth factors [TG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002/2835Bone graft implants for filling a bony defect or an endoprosthesis cavity, e.g. by synthetic material or biological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Cell Bi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 이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골 형성 단백질이 첨가된 세포외 기질이 코팅된 골 이식재 및 상기 골 이식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형성단백질과 세포외기질이 코팅된 골 이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골 이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골 형성 단백질이 첨가된 세포외 기질이 코팅된 골 이식재 및 상기 골 이식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결손된 골의 신속하고 완전한 회복을 위한 많은 실험적, 임상적 시도들이 오래 전부터 진행되어 왔으며 그 동안의 노력으로 다양한 골 이식재, 골 대체재 및 골 성장 인자들이 연구, 개발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이상적이고 완벽한 골 대체물은 개발되지 못하였으며, 이를 찾기 위한 여러 연구들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골 결손시 가장 이상적인 방법인 자가 골이식은 신체의 다른 부위에 대한 부가적인 수술을 요하게 되며, 채취 부위의 병적 상태 여부에 따라 채취된 골의 질이 결정되고 골 채취량도 제한적이다. 이러한 자가골 이식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유전적으로 다른 종인 이종골을 이용한 골 결손 치료용 이식재가 개발되고 있다. 다만, 이종골의 경우 세포성 항원 물질들을 최소화하기 위해 탈단백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골유도능이 급격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골 이식재는 골에 결함이나 상처가 있을 때 자연적인 재생 과정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종종 이용되는데, 골 이식재의 골 재생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직 재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질들을 부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물질은 골세포의 유도와 분화를 도울 수 있는 물질로, BMP (Bone Morphogenic Protein), PDGF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등일 수 있다(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80081165, Cell Tissue Bank 2003; 4(1):17-23, J Bone Miner Res. 2006; 21:735). 이 중, BMP-2는 골조직의 재생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의 사용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BMP-2와 같은 인자는 안정적인 상태로 보존되면서 유지되는 골 이식재는 아직 개발되지 못한 실정이다. 골 이식재가 골 결손 부위에 이식되었을 때, BMP-2가 치료 동안 안정적으로 효능을 발휘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결합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통상 BMP-2는 식염수와 혼합하여 골 결손부에 주사되는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해 BMP-2를 주입한다 하더라도 효과는 수 시간 내지 수 일 정도 유지될 뿐 대부분 분해되기 때문에, 골 결손의 회복에 수 주 내지 수 개월 소요되는 것을 고려하면 치료 기간 동안 BMP-2에 의한 효과는 지속되지 못하고 미미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효과의 지속을 위해서는 다량의 BMP-2를 적용해야 하나, 이는 고비용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골 형성 단백질이 첨가된 세포외 기질로 코팅된 골 이식재의 경우, 골 형성 단백질이 골 결손 치료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골 형성 유도능이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골 결손 치료에 적합하도록 우수한 골 형성능을 보이는 골 이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골 형성 단백질 (BMP)이 첨가된 세포외 기질 (ECM)이 코팅된 골 이식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a) 골 이식재와 골 형성 단백질/세포외 기질 하이드로겔을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혼합물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의 동결건조물을 분쇄하여 마이크로 시브(micro sieve)로 골 형성 단백질/세포외 기질 하이드로겔이 코팅된 골이식재를 분리하는 단계.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골 형성 단백질 (BMP)이 첨가된 세포외 기질 (ECM)이 코팅된 골 이식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골 형성 단백질 (BMP)이 첨가된 세포외 기질 (ECM)이 코팅된 골 이식재 표면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도 2는 골 형성 단백질 (BMP)이 첨가된 세포외 기질 (ECM)이 코팅된 골 이식재에서 배양된 Rat 유래 Mesenchymal stem cell의 세포증식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골 형성 단백질 (BMP)이 첨가된 세포외 기질 (ECM)이 코팅된 골 이식재에서 배양된 Rat 유래 Mesenchymal stem cell의 Alkaline Phosphatase의 발현을 나타낸다.
도 4는 골 형성 단백질 (BMP)이 첨가된 세포외 기질 (ECM)이 코팅된 골 이식재에서 배양된 Rat 유래 Mesenchymal stem cell의 Alkaline Phosphatase 염색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ECM/BMP2가 코팅된 DBM powder에서 BMP2의 방출량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바람직한 구현예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골 형성 단백질 (BMP)이 첨가된 세포외 기질 (ECM)이 코팅된 골 이식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a) 골 이식재와 골 형성 단백질/세포외 기질 하이드로겔을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혼합물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의 동결건조물을 분쇄하여 마이크로 시브 (micro sieve)로 골 형성 단백질/세포외 기질 하이드로겔이 코팅된 골 이식재를 분리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a) 골이식재와 골 형성 단백질/세포외 기질 하이드로겔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혼합은 예를 들어, 골 형성 단백질/세포외 기질 하이드로겔을 골이식재와 혼합장치 예를 들어, 페이스트 믹서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골이식재는 결손된 골의 재건과 관련하여 동종 또는 이종이식 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어 탈회골 기질일 수 있으며, 이는 공여부로부터의 질병 전염 위험으로부터 안전하다.
상기 세포외 기질은 조직에서 세포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으로, 세포들이 분비한 다양한 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을 보유하고 있어 세포의 기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세포는 자신이 만든 것과 유사한 세포외기질 환경에 가장 잘 적응할 수 있고, 생리적 활동도 가장 활발할 수 있으므로 지지체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포외 기질은 예를 들어, 산 처리된 탈회골에서 분리된 가용성 물질 및 불용성 물질의 혼합물로, 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세포외 기질은 고함량의 성장인자, 비콜라겐성 단백질 및 유형 I의 콜라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외 기질은 예를 들어,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a) 탈회골 기질에 3M 내지 5M 농도의 시트르산 용매를 첨가하여 탈회골 기질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탈회골 기질 용액으로부터 탈회골 기질의 가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과 불용성 물질을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가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을 중화시키는 단계; d) 상기 c) 단계의 결과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e) 상기 d) 단계의 결과물을 재수화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에서 재수화된 용액을 -80℃ 내지 -60℃의 온도에서 동결하고, 이를 해동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상기 세포외 기질 및 이의 제조방법은 본 출원인의 한국등록특허 제1329559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 출원에 참조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골 형성 단백질은 골 결손 회복 효과를 나타내는 단백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BMP-2, BMP-4, BMP-7 또는 BMP-14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BMP-2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 형성 단백질/세포외 기질 하이드로겔은 세포외 기질 중 가용성 물질을 포함한 용액 자체가 겔 담지체로 작용하여 하이드로겔 형태가 되며, 여기에 골 형성 단백질이 첨가된 것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골 유래 세포외 기질을 예를 들어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범위의 골 유래 세포외 기질을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골 이식재 조성물을 통해 제조된 골 이식재는 골 손실 회복 효과를 나타내는 골 형성 단백질을 치료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골 유래 세포외 기질의 농도가 전술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세포외 기질의 농도에 의해 하이드로겔 형태로 제조되지 않아 골이식재와의 코팅에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골 형성 단백질이 첨가된 골 유래 세포외 기질과 골이식재는 예를 들어 0.1-10:1, 바람직하게 0.5-5:1, 더욱 바람직하게 0.5-1.5: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범위의 비율로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골 이식재 조성물을 통해 제조된 골 이식재는 골 유래 세포외 기질이 균일하게 코팅된 형태일 수 있다. 골 형성 단백질이 첨가된 골 유래 세포외 기질과 골이식재의 중량비가 전술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균일하게 코팅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골 형성 단백질은 예를 들어, 1-20 ㎍/ml의 농도, 바람직하게 1-15㎍/ml의 농도, 더욱 바람직하게 1-10 ㎍/ml의 농도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골 유래 세포외 기질을 통해 골 형성 단백질이 고정됨으로써, 식염수 중 골 형성 단백질을 이식재와 함께 골 결손 부위에 직접 주사하던 종래의 방법에 비해 저용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도 목적하는 우수한 골 형성 유도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b) 상기 단계 (a)의 혼합물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a)에서 제조된 혼합물은 -120℃ 내지 -50℃에서 24 내지 72시간 동안 동결건조할 수 있다. 동결건조를 통해 이식재에 존재 가능한 수분 내 미생물을 일부 제거하는 효과가 있으며, 수분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하게 수분 함유량은 6%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c) 상기 단계 (b)의 동결건조물을 분쇄하여 마이크로 시브 (micro sieve)로 골 형성 단백질/세포외 기질 하이드로겔이 코팅된 골 이식재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b)의 동결건조물을 예를 들어, 막자사발 또는 믹서로 분쇄하여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이후 분쇄된 분산물을 마이크로 시브에 통과시켜 과립이 아닌, 분말 형태의 골 형성 단백질/세포외 기질 하이드로겔이 코팅된 골 이식재를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마이크로 시브는 골 이식재 제조에 적합한 형태로 분리하기 위한 체 눈 크기를 가지며, 예를 들어 0.5~900㎛, 바람직하게 200㎛ 내지 300㎛의 체 눈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골 이식재로, 골 형성 단백질 (BMP)이 첨가된 세포외 기질 (ECM)이 코팅된 골 이식재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골 이식재는 안전하면서도 향상된 골 형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 이식재는 예를 들어, 분말의 형태일 수 있고, 분말의 크기(입도)는 예를 들어, 500㎛ 내지 900㎛, 바람직하게 200㎛ 내지 300㎛일 수 있다.
앞서 기술한 골 형성 단백질 및 골 유래 세포외 기질과 골 이식재 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골 이식재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ECM/BMP-2 코팅된 DBM 제조
1. ECM의 제조
(1) 탈회골 기질의 제조
소의 피질골(cortical bone) (㈜셀루메드에서 가공)을 83% 에탄올과 6% 과산화수소 용액에 처리하여 골수 및 지질을 제거하였다. 이후, 띠톱 기계를 이용하여 골을 블록 형태로 절단하였다. 상기 절단된 블록을 bone mill_1 (M20, Fritsch, 독일)에 넣고, 1차 분쇄를 한 다음, 다시 상기 1차 분쇄물을 bone mill_2 (M35, IKA, 독일)에 넣고 2차로 분쇄하여 상기 1차 분쇄물의 크기를 더욱 작게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된 골 분말에서 파편을 제거하기 위해 용기에 골 분말 1 g당 15 ㎖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10분 동안 세척하고, 정제수를 교환하여 총 3회 세척을 실시하였다. 세척이 끝난 골 분말을 교반기에 넣고 골 분말 1 g당 15 ml의 0.6 N HCl을 첨가한 다음, 24℃에서 6시간 동안 200 rpm의 속도로 교반하였다. 상기 교반 후, 골 분말이 포함된 용액의 pH가 6.0이상이 될 때까지 세척 작업을 반복하였다. 이후, 상기 골 분말에 83% 에탄올 및 6%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여 소독을 하고, 상층액을 제거한 다음, 12시간 동안 -70℃에서 냉동 보관하였다. 상기 결과물을 동결 건조 처리하여 탈회골 기질을 제조하였다.
(2) ECM의 제조
(1)에서 제조한 탈회골 기질 1.5kg을 3M의 시트르산 15L에 첨가하고 100rpm, 상온에서 7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20um 이상 50um 이하 포어 크기를 갖는 체를 사용하여 가용성 물질과 불용성 물질을 분리하여 가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을 50L 탱크에 수집하고, 불용성 물질을 20L 탱크에 넣었다. 불용성 물질이 들어 있는 20L 탱크에 정제수 15L를 넣고 100rpm에서 세척하였다. 정제수를 2회 교체하여 pH가 7.0 내지 7.5 사이에 올 때까지 세척하였다. 세척이 끝난 불용성 물질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70℃ 이하에서 12 시간 이상 건조시켰다. 50L 탱크로 옮겨진 가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을 micro hollow fiber (미국, PALL, 10K cut off)를 사용하여 pH가 7.0 내지 7.5 사이에 올 때까지 약 45L 가량의 정제수를 순환시켜 5L까지 농축 및 정제시켰다. 농축된 가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을 동결 건조기에서 -70℃ 이하에서 12 시간 이상 건조시켰다. 건조된 가용성 물질을 정제수에 첨가하여 8%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8% 수용액을 -70℃에서 3시간 동결 후 상온에서 해동시키는 동결-해동 과정을 12번 거쳤다. 동결-해동 과정에서 점성이 생긴 8% 수용액에 상기 건조시킨 불용성 물질을 부피비 1:1로 혼합한 후 주사기에 충전하였다.
2. BMP-2 첨가된 ECM의 제조
1%, 5% 및 10% ECM 수화겔 제조 후, BMP-2 ((주) Cellumed)를 10 ug/ml의 농도로 첨가하고 voltexing 후 사용 직전까지 4에서 보관하였다.
3. ECM/BMP-2 코팅된 DBM 제조
셀루메드 SOP 규정에 의해 제조된 Bovine DBM (Intergraft)과 1%, 5%, 및 10% ECM/BMP-2 수화겔을 페이스트 믹서 (대화테크, PDM-300V)로 혼합하였으며, 이 때 혼합 비율은 1:1(v/v)이었다. 혼합물을 -70에서 72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였으며, 동결건조가 끝난 Intergraft/ECM/BMP는 덩어리 상태이므로 막자사발 또는 믹서로 분산시킨 후, 체 눈 크기가 300㎛인 마이크로시브 (CISA)로 분말의Intergraft/ECM/BMP 만을 분리하였다. 제조된 Intergraft/ECM/BMP를 유리 vial에 포장하고, 감마멸균 후 냉장 (4)에서 보관하였다.
시험예 1: Intergraft/ECM/BMP의 표면 분석
실시예 1에서 제조된 Intergraft/ECM/BMP 샘플을 카본테이프를 이용하여 금속판에 고정시키고 아르곤 하에서 2분 동안 프라즈마 스퍼터를 이용해 백금코팅한 후 주사전자 현미경으로 형태학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ECM의 농도가 1~5%일 경우 ECM/BMP가 Intergraft 표면에 부분적으로 코팅되어 있는 반면, ECM의 농도가 10%일 경우 Intergraft 표면에 균일하게 코팅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Intergraft/ECM/BMP의 세포 증식 평가
Rat (Sprague dawley rat/수컷/250~300g) 등을 기재)에서 분리 배양한 Mesenchymal stem cell을 24well plate에 2×105개씩 접종하였다. 그 후 실시예 1에 따른 1~10%의 ECM/BMP가 코팅된 Intergraft를 각 well에 25mg씩 첨가하여 1,3,7일간 배양하고 CCK-8을 3시간 처리하여 450 nm파장에서 OD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따르면, 각 이식재에 대한 세포 증식을 평가한 결과 1,3,7일의 배양기간 동안 증식세포 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각 군간 비교에서 10%의 ECM/BMP가 코팅된 Intergraft는 1,3,7일 모두 다른 군에 비해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시험예 3: Intergraft/ECM/BMP의 골 형성능 분석
1. ALP(Alkaline Phosphatase) 활성 분석
Rat (Sprague dawley rat/수컷/250~300g)에서 분리 배양한 Mesenchymal stem cell을 12 well plate에 5×104개씩 접종하였다. 그 후 실시예 1에 따른 1~10%의 ECM/BMP가 코팅된 Intergraft를 각 well에 25mg씩 첨가하고 골화세포 분화에 필요한 Ascorbic acid(50 ug/ml), β-Glycrol phosphate(10 mM), Dexamethasone (100 mM/ml)이 포함된 배양액에서 7, 14일간 배양하였다. ALP 활성도는 p-nitrophenylphosphate를 기질로 사용하는 Alkaline Phosphate activity colorimetric assay kit(BioVision) 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따르면, 골화세포 분화의 지표가 되는 ALP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5%, 10%의 ECM/BMP가 코팅된 Intergraft에서 다른 군에 비해 ALP 활성도가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2. ALP 염색
실시예 1에 따른 1~10%의 ECM/BMP가 코팅된 Intergraft를 포함한 12 well plate에서 (Sprague dawley rat/수컷/250~300g) 유래 Mesenchymal stem cell을 14일간 배양한 후 alkaline phosphate 용액으로 염색하고 파란색으로 염색된 세포를 조골세포로 간주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따르면, 14일 후 ALP 염색으로 ECM/BMP가 코팅된 Intergraft에서 조골세포의 분화를 관찰하였고, 10%의 ECM/BMP가 코팅된 Intergraft에서 분화된 조골세포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2: ECM/BMP2 코팅된 DBM powder의 수분흡수율 분석
Bovine DBM (Intergraft) (㈜ 셀루메드 SOP 규정에 의해 제조) 및 1%, 5%, 및 10% ECM 수화겔을 준비하였다. ECM 수화겔과 Bovine DBM (Intergraft)를 1:1(v/v)의 혼합 비율로 페이스트 믹서 (대화테크, PDM-300V)에서 혼합하였다. 혼합물은 -70℃에서 72시간 동안 동결건조하고, 막자사발 또는 믹서로 분산시킨 후, 체 눈 크기가 300㎛인 마이크로시브(CISA)로 100~300㎛ 크기의 Intergraft/ECM을 분리하였다. 1%, 5%, 및 10% ECM 수화겔로 제조된 Intergraft/ECM 1g을 10 ml의 포스페이트 완충액(Phosphate buffer solution, pH=7.4)이 들어있는 용기에 넣은 후, 37 수조에 넣고 6시간 동안 15rpm으로 회전시켰다. 포스페이트 완충액을 제거 후 수분을 흡수한 1%, 5%, 및 10% ECM 수화겔로 제조된 Intergraft/ECM의 질량을 구하고 수분흡수율을 분석하였다.
Figure 112017028720012-pct00001
그 결과, 1%, 5%, 및 10% ECM 수화겔로 제조된 Intergraft/ECM의 수분 흡수율을 측정한 결과, ECM 수화겔 농도의 증가는 수분흡수율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17028720012-pct00002
실시예 3: ECM/BMP2 코팅된 DBM powder에서 BMP2의 방출량 분석
Bovine DBM (Intergraft) (㈜ 셀루메드 SOP 규정에 의해 제조) 및 1%, 5%, 및 10% ECM 수화겔을 준비하였다. 1%, 5%, 및 10% ECM 수화겔에 BMP-2를 10ug/ml의 농도로 혼합하였다. BMP-2가 첨가된 ECM 수화겔과 Bovine DBM (Intergraft)를 1:1(v/v)의 혼합 비율로 페이스트 믹서 (대화테크, PDM-300V)에서 혼합하였다. 혼합물은 -70℃에서 72시간 동안 동결건조하고, 막자사발 또는 믹서로 분산시킨 후, 체 눈 크기가 300㎛인 마이크로시브(CISA)로 100~300㎛ 크기의 Intergraft/ECM/BMP 만을 분리하였다. 1%, 5%, 및 10% ECM 수화겔로 제조된 Intergraft/ECM/BMP 1g을 5ml의 포스페이트 완충액(Phosphate buffer solution, pH=7.4)이 들어있는 용기에 넣은 후, 37 수조에 넣고 15rpm으로 회전시켰다. 각 측정 시기별로 완충액을 교환하였고, 제거한 완충액에 들어있는 BMP2의 양을 BMP2 Quantikine ELIZA Kit(R&D system,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 5%, 및 10% ECM 수화겔로 제조된 Intergraft/ECM/BMP로부터 BMP2의 방출을 측정한 결과, 2일 동안 방출된 BMP2의 양은 각각 75%, 60%, 35%로 ECM 수화겔의 농도로 증가할수록 급격한 초기 대량 방출은 감소하였다. 10% ECM 수화겔과 5% ECM 수화겔로 제조된 Intergraft/ECM/BMP의 BMP2 방출은 18일까지 지속되었다 (도 5).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골 이식재는 무해하고 우수한 골 형성능을 발휘하면서도, 종래 골 형성 단백질의 단순 주입에 의해 골 결손을 치료하는 동안 효과가 유지되지 못하고 골 형성 단백질이 분해되는 단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해 적은 양의 BMP-2만으로도 목적하는 치료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다량의 BMP-2를 적용함으로써 발생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10)

  1.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골 형성 단백질 (BMP)이 첨가된 세포외 기질 (ECM)이 코팅된 골 이식재의 제조방법:
    (a) 골 이식재와, 골 형성 단백질이 첨가된 세포외 기질 하이드로겔을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혼합물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의 동결건조물을 분쇄하여 마이크로 시브 (micro sieve)로 골 형성 단백질이 첨가된 세포외 기질 하이드로겔이 코팅된 골 이식재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골 이식재는 탈회골 기질 (demineralized bone matrix)을 포함하며;
    상기 탈회골 기질은
    1) 소의 피질골(cortical bone)로부터 골수 및 지질을 제거한 뒤 블록으로 절단하는 단계;
    2) 상기 블록을 1차 분쇄하고, 1차 분쇄물을 다시 2차 분쇄하여 분말형태의 2차 분쇄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차 분쇄물을 세척하는 단계;
    4) 세척된 2차 분쇄물을 산과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
    5) 혼합물의 pH가 6.0 이상이 될 때까지 세척 작업을 반복 실시하는 단계;
    6) 세척된 혼합물을 소독 후 상층액을 제거하는 단계; 및
    7) 상층액이 제거된 혼합물을 냉동보관 후 동결 건조 처리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세포외 기질 하이드로겔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a) 탈회골 기질에 3M 내지 5M 농도의 시트르산 용매를 첨가하여 탈회골 기질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탈회골 기질 용액으로부터 탈회골 기질의 가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과 불용성 물질을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가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을 중화시키는 단계;
    d) 상기 c) 단계의 결과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e) 상기 d) 단계의 결과물을 재수화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에서 재수화된 용액을 -80℃ 내지 -60℃의 온도에서 동결하고, 이를 해동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혼합물 중 세포외 기질의 농도는 1 내지 10%(v/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골 형성 단백질/세포외 기질 하이드로겔 및 골 이식재는 1:0.1-10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골 형성 단백질은 BMP-2, BMP-4, BMP-7 또는 BMP-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골 형성 단백질은 세포외 기질 하이드로겔 1ml 당 1~20 ㎍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마이크로 시브는 200 내지 300 ㎛의 체눈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골 형성 단백질 (BMP)이 첨가된 세포외 기질 (ECM)이 코팅된 골 이식재.
  10. 제9항에 있어서,
    200 내지 300 ㎛의 크기를 가지는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이식재.
KR1020177007986A 2014-08-25 2015-08-25 골형성단백질과 세포외기질이 코팅된 골 이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2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901 2014-08-25
KR20140110901 2014-08-25
PCT/KR2015/008856 WO2016032197A1 (ko) 2014-08-25 2015-08-25 골형성단백질과 세포외기질이 코팅된 골 이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432A KR20170048432A (ko) 2017-05-08
KR101962251B1 true KR101962251B1 (ko) 2019-03-26

Family

ID=55400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986A KR101962251B1 (ko) 2014-08-25 2015-08-25 골형성단백질과 세포외기질이 코팅된 골 이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2251B1 (ko)
WO (1) WO201603219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242B1 (ko) * 2020-03-31 2020-12-30 (주)메드파크 골 이식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6254B1 (ko) * 2020-03-31 2020-12-30 (주)메드파크 골 이식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8881B1 (ko) * 2020-03-31 2021-04-14 (주)메드파크 골 이식재 조성물 및 그에 의한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13436A (zh) * 2016-10-09 2018-04-17 刘英芹 作用于伤残组织原位的骨与软组织同步再生诱导剂
BR102018003726B1 (pt) * 2018-02-26 2023-04-11 Universidade Federal Do Espírito Santo - Ufes Método de produção de um biomaterial ósseo, biomaterial ósseo e uso do mesmo
KR102209893B1 (ko) * 2018-08-20 2021-02-01 김범수 녹용 및 녹각 유래의 골이식재 및 그의 제조방법
US11807689B1 (en) 2022-06-01 2023-11-07 Tg Therapeutics, Inc. Anti-CD20 antibody compositions
US11814439B1 (en) 2022-06-01 2023-11-14 Tg Therapeutics, Inc. Anti-CD20 antibody compositions
US11884740B1 (en) 2022-06-01 2024-01-30 Tg Therapeutics, Inc. Anti-CD20 antibody composi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559B1 (ko) 2011-08-18 2013-11-14 주식회사 셀루메드 골 형성 유도 조성물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6956A1 (en) * 2007-05-06 2008-12-04 Byoung-Hyun Min Therapeutic composite for cartilage disorder using extracellular matrix (ecm) scaffol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559B1 (ko) 2011-08-18 2013-11-14 주식회사 셀루메드 골 형성 유도 조성물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N, B. et al., Journal of Biomedical Materials Research Part A(2007) Vol.80, pp.428-434
Stadlinger, B. et al.,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08) Vol.37, pp.54-59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242B1 (ko) * 2020-03-31 2020-12-30 (주)메드파크 골 이식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6254B1 (ko) * 2020-03-31 2020-12-30 (주)메드파크 골 이식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587727A (zh) * 2020-03-31 2021-04-02 美迪帕克医疗器械有限公司 骨移植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238881B1 (ko) * 2020-03-31 2021-04-14 (주)메드파크 골 이식재 조성물 및 그에 의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432A (ko) 2017-05-08
WO2016032197A1 (ko)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251B1 (ko) 골형성단백질과 세포외기질이 코팅된 골 이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20372438A1 (en) Biologically functional soft tissue scaffolds and implants
US10828395B2 (en) Bone repair product and methods of use thereof
AU2010255700B2 (en) Multi-dimensional bio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U2015334897B2 (en) A biomaterial scaffold for regenerating the oral mucosa
FR2794649A1 (fr) Biomateriau a base d'un derive de dextrane insolubilise et d'un facteur de croissance,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ses applications
JP2018522824A (ja) 胎盤由来マトリックス並びにその調製方法及び使用
WO1998014222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ogramming an organic matrix for remodeling into a target tissue
US20200405912A1 (en) Decellularized bone biomaterial enriched with a hydrogel containing decellularized extracellular bone matrix
KR101329559B1 (ko) 골 형성 유도 조성물의 제조 방법
WO2016160717A1 (en) Endochondral tissue engineering for vascularized bone regeneration
Honsawek et al. Osteoinductive potential of small intestinal submucosa/demineralized bone matrix as composite scaffolds for bone tissue engineering
WO2024086171A1 (en) Bone grafts
AU2015202527A1 (en) Multi-dimensional bio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17127227A1 (en) Xenograft bio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