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224B1 -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224B1
KR101962224B1 KR1020170079686A KR20170079686A KR101962224B1 KR 101962224 B1 KR101962224 B1 KR 101962224B1 KR 1020170079686 A KR1020170079686 A KR 1020170079686A KR 20170079686 A KR20170079686 A KR 20170079686A KR 101962224 B1 KR101962224 B1 KR 101962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mounting pad
antenna pattern
base substrate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549A (ko
Inventor
전찬익
문병인
김양훈
천재동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70079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2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근거리 무선통신용으로 사용되고 표면 실장이 가능한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베이스 기판과 안테나 기판을 적층 구조로 형성하고, 루프 패턴을 도전성 와이어로 연결하여 추가적인 인덕턴스를 확보함으로써 안테나의 성능을 개선함과 동시에, 몰딩 작업을 통해 단일 조립체의 형태로 안테나를 형성함으로써, 인접 루프 패턴과의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안테나 장치{Antenna apparatus}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근거리 무선통신용으로 사용되고 표면 실장이 가능한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소형화 되어가는 추세에 따라, 이에 탑재되는 안테나도 경박단소화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안테나를 실장하는 표면 실장 기술(SMT; Surface Mount Technology)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는데, 근거리 통신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도 이러한 표면 실장 기술이 적용된다.
도 1은 종래의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는 베이스 기판(10)과, 베이스 기판(10)의 상면에 형성된 나선 모양의 루프 패턴(20)과, 루프 패턴(20)을 외부의 전자 기기에 연결하기 위하여 베이스 기판(10)의 일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 단자(21, 22)로 이루어진다. 제1 단자(21)는 루프 패턴(20)의 외측 종단과 연결되며, 제2 단자(22)는 루프 패턴(20)의 내측 종단과 연결된다. 이 때, 제2 단자(22)는 베이스 기판(10)의 하면에 형성된 연결 패턴을 통해 루프 패턴(20)에 연결되는데, 이를 위하여 도전성 패턴이 베이스 기판(10)의 양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의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 장치는 등록특허공보 제 10-1317897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조 과정이 복잡하여 생산비용이 증가하고, 안테나의 성능을 충분히 구현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 10-1317897 호 (2013.10.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일 조립체의 구조를 가지되, 적층 구조의 루프 패턴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신호 간섭을 최소화 하고 안테나의 인식 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표면 실장형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는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 단자가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실장 패드가 형성된 베이스 기판과,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의 일정 영역에 부착되는 자성체 시트와, 상기 자성체 시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안테나 기판과, 상기 안테나 기판에 형성되고, 루프 형태로 형성된 메인 안테나 패턴과, 상기 메인 안테나 패턴과 상기 연결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와이어와,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에서 상기 자성체 시트, 상기 안테나 기판, 상기 메인 안테나 패턴 및 상기 도전성 와이어를 봉지하는 몰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베이스 기판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단자와 연결되는 보조 안테나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안테나 패턴은 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안테나 패턴은 상기 안테나 기판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기판은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보조 안테나 패턴은 상기 안테나 기판을 적어도 1회 이상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안테나 패턴의 일단은 상기 연결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안테나 패턴의 타단은 상기 실장 패드와 상기 베이스 기판을 관통하는 비아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단자는 서로 이격된 제1 연결 단자 및 제2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안테나 패턴의 양단은 상기 제1 연결 단자 및 상기 제2 연결 단자와 상기 도전성 와이어를 통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베이스 기판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 단자와 연결되는 보조 안테나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장 패드는 제1 실장 패드 및 제2 실장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단자는 상기 보조 안테나 패턴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을 관통하는 제1 비아홀을 통해 상기 제1 실장 패드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단자는 상기 베이스 기판을 관통하는 제2 비아홀을 통해 제2 실장 패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단자와 상기 제2 비아홀은 상기 베이스 기판에 형성된 단형 패턴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단형 패턴은 상기 보조 안테나 패턴보다 길이가 짧을 수 있다.
상기 실장 패드는 제1 실장 패드, 제2 실장 패드 및 접지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장 패드 및 상기 제2 실장 패드는 상기 메인 안테나 패턴의 양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지 패드는 상기 제1 실장 패드 및 상기 제2 실장 패드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은 경성의 인쇄 회로기판일 수 있다.
상기 안테나 기판은 연성의 인쇄 회로기판일 수 있다.
상기 자성체 시트는 페라이트 재질의 시트일 수 있다.
상기 몰딩부는 에폭시 몰딩 컴파운드(EMC, Epoxy Molding Compound)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베이스 기판과 안테나 기판을 적층 구조로 형성하고, 루프 패턴을 도전성 와이어로 연결하여 추가적인 인덕턴스를 확보함으로써 안테나의 성능을 개선함과 동시에, 몰딩 작업을 통해 단일 조립체의 형태로 안테나를 형성함으로써, 인접 루프 패턴과의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근거리 통신 안테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 실장형 안테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 실장형 안테나의 상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 실장형 안테나의 배면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한 성격,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그 밖의 다른 특정한 성격이나,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 실장형 안테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표면 실장형 안테나의 상면도이며, 도 4는 표면 실장형 안테나의 배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표면 실장형 안테나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100)는 베이스 기판(120), 자성체 시트(130), 안테나 기판(140), 메인 안테나 패턴(145), 도전성 와이어(151, 152), 보조 안테나 패턴(125) 및 몰딩부(160)를 포함한다.
베이스 기판(120)은 서로 대향된 상면 및 하면을 가지는 판형의 기판으로 형성된다. 베이스 기판(120)은 경성의 인쇄 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기판(120)은 에폭시 계열의 FR4(Flame Retardant 4) 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되고, 구리 또는 은 등의 도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패턴은 후술할 단자(121, 122, 141, 142), 패드(111, 112, 113), 메인 안테나 패턴(145) 및 보조 안테나 패턴(125) 등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2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단자(121, 12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연결 단자(121, 122)는 도면에 표시된 것과 같이 2개의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연결 단자는 제1 연결 단자(121) 및 제2 연결 단자(122)로 지칭하도록 한다. 베이스 기판(120)의 상면에는 후술할 자성체 시트(130) 및 안테나 기판(140)이 위치하게 되는데, 자성체 시트(130) 및 안테나 기판(140)은 베이스 기판(120)의 상면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제1 연결 단자(121) 및 제2 연결 단자(122)는 베이스 기판(120)에서 자성체 시트(130) 및 안테나 기판(140)과 겹치지는 않으면서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20)의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실장 패드가 형성된다. 실장 패드는 적어도 2개의 실장 패드(111, 112)를 포함한다. 2개의 실장 패드는 제1 실장 패드(111) 및 제2 실장 패드(112)로 지칭하도록 한다. 여기서, 추가로 접지 패드(113)인 하나의 실장 패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장 패드(111) 및 제2 실장 패드(112)는 제1 연결 단자(121) 및 제2 연결 단자(122)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실장 패드(111, 112) 및 연결 단자(121, 122)는 베이스 기판(120)을 관통하는 비아홀(171, 172)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비아홀은 제1 실장 패드(111)와 제1 연결 단자(121)를 연결하는 제1 비아홀(171) 및 제2 실장 패드(112)와 제2 연결 단자(122)를 연결하는 제2 비아홀(172)을 포함할 수 있다. 실장 패드와 연결 단자가 연결되는 것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접지 패드(113)는 제1 실장 패드(111) 및 제2 실장 패드(112)와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전기적으로 분리된 패드이다.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100)가 전자 장치에 실장되는 경우, 제1 실장 패드(111) 및 제2 실장 패드(112)는 전자 장치의 안테나 신호 단자에 연결되게 되고, 접지 패드(113)는 전자 장치의 접지부에 연결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실장 패드(111) 및 제2 실장 패드(112)는 베이스 기판(120)의 하면 일측에 치우치게 위치하고, 접지 패드(113)는 베이스 기판(120)의 하면 타측에 치우치게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20) 및 하면의 실장 패드(111, 112, 113)에 의해서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100)는 표면 실장 기술(SMT, Surface Mount Technology)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 실장될 수 있다. 이는 안테나 장치(100)를 실장하는 공정을 간소화하고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자성체 시트(130)는 베이스 기판(120) 상면의 일정 영역에 부착된다. 구체적으로, 자성체 시트(130)는 베이스 기판(120)의 상면 중앙 부분에 부착된다. 자성체 시트(130)는 베이스 기판(12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성체 시트(130)는 전자파를 흡수하여, 안테나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자성체 시트(130)는 투자율(μ)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성체 시트(130)는 예를 들어, 페라이트 시트(Ferrite Sheet)일 수 있다. 통상의 페라이트 시트의 경우 투자율(μ)이 약 130 이상, 손실값이 0.5 ∼ 10 수준으로 안테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안테나 기판(140)은 자성체 시트(130)의 상부에 위치한다. 안테나 기판(140)은 자성체 시트(130)의 상부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안테나 기판(140)은 연성을 가지는 인쇄 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안테나 패턴(145)은 안테나 기판(140)에 형성된다. 안테나 기판(140)이 연성의 인쇄 회로기판인 경우, 메인 안테나 패턴(145)은 안테나 기판(140)에 인쇄된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테나 기판(140)은 폴리이미드(Polyimide)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절연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되고, 메인 안테나 패턴(145)은 이에 결합된 구리 또는 은 등의 도전성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 안테나 패턴(145)은 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안테나 패턴(145)은 안테나 기판(14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복수로 권취된 나선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안테나 패턴(145)은 구체적으로, 내측 단자(142), 외측 단자(141) 및 내측 단자(142)에서 외측 단자(141)까지 나선형 형태로 연장된 루프 패턴을 포함한다. 메인 안테나 패턴(145)의 양단은 내측 단자(142) 및 외측 단자(141)를 의미한다.
여기서 메인 안테나 패턴(145)은 안테나 기판(140)의 일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안테나 패턴(145)이 안테나 기판(140)의 일면에만 형성되는 것은 메인 안테나 패턴(145)이 양면에 형성되는 것보다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 단가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전성 와이어(151, 152)는 메인 안테나 패턴(145)과 베이스 기판(120) 상면의 연결 단자(121, 122)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도전성 와이어(151, 152)는 2개가 존재하여, 하나의 도전성 와이어(151)는 메인 안테나 패턴(145)의 외측 단자(141)와 제1 연결 단자(121)를 연결하고, 다른 하나의 도전성 와이어(152)는 메인 안테나 패턴(145)의 내측 단자(142)와 제2 연결 단자(122)를 연결한다.
도전성 와이어(151, 152)의 양단은 메인 안테나 패턴(145)의 단자(141, 142) 중 하나와 연결 단자(121, 122)를 연결하며, 도전성 와이어(151, 152)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만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전성 와이어(151, 152)의 최상단 부분은 베이스 기판(120)의 상면 및 안테나 기판(140)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보조 안테나 패턴(125)은 베이스 기판(120)에 형성된다. 베이스 기판(120)이 경성의 인쇄 회로기판인 경우, 보조 안테나 패턴(125)은 베이스 기판(120)에 인쇄된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안테나 패턴(125)은 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안테나 패턴(125)은 베이스 기판(120)의 상면 중앙에 위치한 안테나 기판(140)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안테나 패턴(125)은 안테나 기판(140)을 적어도 1회 이상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안테나 패턴(125)의 루프 중앙 부분에 메인 안테나 패턴(145)의 루프가 연결되어 위치할 수 있다.
보조 안테나 패턴(125)은 연결 단자(121, 122)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안테나 패턴(125)은 일단, 타단 및 일단에서 타단까지 나선형 형태로 연장된 루프 패턴을 포함한다. 보조 안테나 패턴(125)의 일단은 연결 단자(121, 122)와 연결되고, 루프 패턴은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된다. 보조 안테나 패턴(125)의 타단은 비아홀(171, 172)을 통해 실장 패드(111, 112)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안테나 패턴(125)의 일단과 연결되는 연결 단자는 제1 연결 단자(121)이고, 타단과 연결되는 실장 패드는 제1 실장 패드(111)이며, 타단과 제1 실장 패드(111)를 연결시키는 비아홀은 제1 비아홀(171)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연결 단자(122)는 제2 비아홀(172)을 통해 제2 실장 패드(112)와 연결된다. 제2 연결 단자(122)와 제2 비아홀(172)은 베이스 기판(120)에 형성된 단형 패턴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단형 패턴은 보조 안테나 패턴(125)보다 길이가 매우 짧게 형성된 도전성 패턴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비아홀(171) 및 제2 비아홀(172)은 베이스 기판(120)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안테나 패턴(125)의 제1 연결 단자(121)는 제1 실장 패드(111)의 반대면에 위치하고, 제2 연결 단자(122)는 제2 실장 패드(112)의 반대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안테나 패턴(125)에 의해 메인 안테나 패턴(145)으로 부족한 인덕턴스(Inductance)가 보강될 수 있다. 루프 안테나는 충분한 인덕턴스를 확보하기 위해서 루프 패턴의 턴 수를 증가시켜야 할 수 있다. 그러나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해 충분한 루프 패턴의 턴 수를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는 메인 안테나 패턴(145) 뿐만 아니라 보조 안테나 패턴(125)까지 활용하여 최대한의 인덕턴스를 확보할 수 있다.
몰딩부(160)는 베이스 기판(120)의 상면에서 베이스 기판(120)의 상면에 위치한 구성을 봉지한다. 구체적으로 몰딩부(160)는 베이스 기판(120)의 상면에 위치한 자성체 시트(130), 안테나 기판(140), 메인 안테나 패턴(145), 보조 안테나 패턴(125) 및 도전성 와이어(151, 152)를 봉지한다. 따라서 메인 안테나 패턴(145), 보조 안테나 패턴(125) 및 도전성 와이어(151, 152)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몰딩부(160)에 의해 메인 안테나 패턴(145), 보조 안테나 패턴(125) 및 도전성 와이어(151, 152) 등이 외부의 충격 또는 자극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몰딩부(160)는 비도전성이면서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딩부(160)는 예를 들어, 에폭시 몰딩 컴파운드(EMC, Epoxy Molding Compound) 또는 에폭시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안테나 장치 111, 112: 실장 패드
113: 접지 패드 120: 베이스 기판
121, 122: 연결 단자 125: 보조 안테나 패턴
130: 자성체 시트 140: 안테나 기판
141: 외측 단자 142: 내측 단자
145: 메인 안테나 패턴 151, 152: 도전성 와이어
160: 몰딩부 171, 172: 비아홀

Claims (15)

  1.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 단자가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실장 패드가 형성된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의 일정 영역에 부착되는 자성체 시트;
    상기 자성체 시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안테나 기판;
    상기 안테나 기판에 형성되고, 루프 형태로 형성된 메인 안테나 패턴;
    상기 베이스 기판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단자와 연결되는 보조 안테나 패턴;
    상기 메인 안테나 패턴과 상기 연결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와이어;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에서 상기 자성체 시트, 상기 안테나 기판, 상기 메인 안테나 패턴 및 상기 도전성 와이어를 봉지하는 몰딩부를 포함하는 안테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안테나 패턴은 루프 형태로 형성되는 안테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안테나 패턴은 상기 안테나 기판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안테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기판은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보조 안테나 패턴은 상기 안테나 기판을 적어도 1회 이상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안테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안테나 패턴의 일단은 상기 연결 단자와 연결되는 안테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안테나 패턴의 타단은 상기 실장 패드와 상기 베이스 기판을 관통하는 비아홀을 통해 연결되는 안테나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는 서로 이격된 제1 연결 단자 및 제2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안테나 패턴의 양단은 상기 제1 연결 단자 및 상기 제2 연결 단자와 상기 도전성 와이어를 통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 패드는 제1 실장 패드 및 제2 실장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단자는 상기 보조 안테나 패턴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을 관통하는 제1 비아홀을 통해 상기 제1 실장 패드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단자는 상기 베이스 기판을 관통하는 제2 비아홀을 통해 제2 실장 패드와 연결되는 안테나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단자와 상기 제2 비아홀은 상기 베이스 기판에 형성된 단형 패턴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단형 패턴은 상기 보조 안테나 패턴보다 길이가 짧은 안테나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 패드는 제1 실장 패드, 제2 실장 패드 및 접지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장 패드 및 상기 제2 실장 패드는 상기 메인 안테나 패턴의 양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지 패드는 상기 제1 실장 패드 및 상기 제2 실장 패드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안테나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경성의 인쇄 회로기판인 안테나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기판은 연성의 인쇄 회로기판인 안테나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시트는 페라이트 재질의 시트인 안테나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는 에폭시 몰딩 컴파운드(EMC, Epoxy Molding Compound) 재질로 형성되는 안테나 장치.
KR1020170079686A 2017-06-23 2017-06-23 안테나 장치 KR101962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686A KR101962224B1 (ko) 2017-06-23 2017-06-23 안테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686A KR101962224B1 (ko) 2017-06-23 2017-06-23 안테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549A KR20190000549A (ko) 2019-01-03
KR101962224B1 true KR101962224B1 (ko) 2019-07-31

Family

ID=65022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686A KR101962224B1 (ko) 2017-06-23 2017-06-23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2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29393B (zh) * 2021-08-18 2023-12-01 安徽安努奇科技有限公司 一种天线系统及终端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553B1 (ko) * 2013-09-06 2015-01-21 주식회사 바른전자 근거리 무선통신용 페라이트 안테나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897B1 (ko) 2013-01-30 2013-10-16 에이큐 주식회사 브리지 공법을 이용한 루프안테나 양면 회로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553B1 (ko) * 2013-09-06 2015-01-21 주식회사 바른전자 근거리 무선통신용 페라이트 안테나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549A (ko)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5192B2 (en) Antenna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EP2696438B1 (en) Antenna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tenna device
JP5413489B2 (ja) プリント配線回路基板及び電子機器
CN103620868B (zh) 天线装置及通信终端装置
US8602310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CN208016128U (zh) 多层基板及电子设备
US10164336B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9779353B2 (en) Antenna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N205646165U (zh) 天线装置与通信终端装置
KR101962224B1 (ko) 안테나 장치
KR101927955B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946529B1 (ko) 안테나 장치
US20220121898A1 (en) Rfid tag
CN104798255B (zh) 用于无线通信的模块和用于制造用于无线通信的模块的方法
JP4671446B2 (ja) 電磁誘導モジュール
KR101091447B1 (ko) 적층형 안테나
US10305187B2 (en) Antenna devic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tenna device
KR101889012B1 (ko) 안테나 장치
WO2024080331A1 (ja) Rfidモジュール
JP6239176B1 (ja) アンテナモジュール
KR101905809B1 (ko)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모듈
KR20150024242A (ko) 솔더링이 가능한 인테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